KR100745623B1 - 방파제의 조립식 호안블록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방파제의 조립식 호안블록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5623B1
KR100745623B1 KR1020070024391A KR20070024391A KR100745623B1 KR 100745623 B1 KR100745623 B1 KR 100745623B1 KR 1020070024391 A KR1020070024391 A KR 1020070024391A KR 20070024391 A KR20070024391 A KR 20070024391A KR 100745623 B1 KR100745623 B1 KR 100745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reakwater
holes
elastic pipe
reve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4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기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항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항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항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70024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56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5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5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재인 판체로 전후방측으로 수평을 이루는 수평바가 형성되고, 수평바 상하측으로는 상,하부바가 각각 돌출형성되되, 상,하부바 선단에는 체결돌부가 각각 포개어지게 대응형성되고, 상기 포개어진 체결돌부에는 앙카가 삽입되어 방파제의 해수측면에 사면으로 체결고정되면서 상하측으로 길이가 연장되며, 상기 상,하부바 사이의 수평바 상단에는 연결판이 수직기립되는 블록고정구와; 개방된 일측은 별도의 측판을 볼트를 통해 연결 고정시켜 폐쇄를 이루고 있으며, 수평으로 누인 측면이 마름모형상의 통체인 블록케이스가 형성되되, 상기 블록케이스에는 다수개의 투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블록케이스의 전방측에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블록케이스의 후방측 상면에는 다수개의 체결볼트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블록고정구의 연결판에 체결고정되고, 상기 블록케이스의 개방부 중심과 이에 대응되는 상기 측판 중심에는 상기 개방부로 절곡되는 이탈방지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블록케이스 내부 개방부측에는 콘크리트완충봉이 위치되고, 상기 콘크리트완충봉 후방측으로는 다수개의 통공을 갖는 중심탄성관이 위치되며, 상기 중심탄성관과 콘크리트완충봉 하부에는 중심탄성관보다 두께가 두껍고 다수개의 통공을 갖는 하부탄성관이 위치되고, 상기 중심탄성관과 콘크리트완충봉 상부에는 중심탄성관보다 두께가 얇고 다수개의 통공을 갖는 상부탄성관이 위치되는 호안블록을 구비하는 방파제의 조립식 호안블록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항만이나 해안 시설물을 보호하기 위해 구축하게 되는 방파제에 있어 지속적으로 밀려오는 파랑의 충격에너지를 효율적으로 다단으로 완화시켜 침식을 극소화시키고, 방파제를 이루는 호안블록을 파랑과 수직으로 설치하여 호안블록의 버팀력을 더욱 증대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블록고정구, 호안블록, 방파제

Description

방파제의 조립식 호안블록 설치구조{Construction structure of prefabricated covering block for breakwater}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방파제의 조립식 호안블록 설치구조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방파제의 조립식 호안블록 설치구조의 시공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방파제의 조립식 호안블록 설치구조의 시공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방파제의 조립식 호안블록 설치구조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블록고정구 11 : 수평바
12 : 연결판 13 : 상부바
13a,14a : 체결돌부 14 : 하부바
15 : 앙카 20 : 호안블록
21 : 블록케이스 21a,22a : 이탈방지구
22 : 측판 23 : 투수공
24 : 개방부 25 : 체결볼트
26 : 콘크리트완충봉 27 : 중심탄성관
27a,28a,29a : 통공 28 : 하부탄성관
29 : 상부탄성관 30 : 방파제
본 발명은 방파제의 조립식 호안블록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항만이나 해안 시설물을 보호하기 위해 구축하게 되는 방파제에 있어 지속적으로 밀려오는 파랑의 충격에너지를 효율적으로 다단으로 완화시켜 침식을 극소화시키고, 방파제를 이루는 호안블록을 파랑과 수직으로 설치하여 호안블록의 버팀력을 더욱 증대시키도록 하는 방파제의 조립식 호안블록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안은 끊임없이 밀려오는 파랑의 파력에 의한 침식, 세굴을 방지하기 위하여 호안경사면에 사석을 피복하여 보호하게 되는데 자연석인 사석은 부존자원량이 한정되어 있어 활용이 용이치 못함에 따라 최근에는 대안으로써 소정의 크기와 형태로 되는 호안경사면 포설용 블록을 공장에서 대량생산하여 이러한 호안피복블록으로 호안경사면을 피복하여 호안의 침식 및 세굴 방지와 호안의 외관을 질서정연하게 구축하여 왔다.
그러나 종래의 호안 피복블록 역시 단지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파랑에 의한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없어 침식이나 방파제의 국부적 인 세굴현상을 막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항만이나 해안 시설물을 보호하기 위해 구축하게 되는 방파제에 있어 지속적으로 밀려오는 파랑의 충격에너지를 효율적으로 다단으로 완화시켜 침식을 극소화시키고, 방파제를 이루는 호안블록을 파랑과 수직으로 설치하여 호안블록의 버팀력을 더욱 증대시키도록 하는 방파제의 조립식 호안블록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철재인 판체로 전후방측으로 수평을 이루는 수평바가 형성되고, 수평바 상하측으로는 상,하부바가 각각 돌출형성되되, 상,하부바 선단에는 체결돌부가 각각 포개어지게 대응형성되고, 상기 포개어진 체결돌부에는 앙카가 삽입되어 방파제의 해수측면에 사면으로 체결고정되면서 상하측으로 길이가 연장되며, 상기 상,하부바 사이의 수평바 상단에는 연결판이 수직기립되는 블록고정구와;
개방된 일측은 별도의 측판을 볼트를 통해 연결 고정시켜 폐쇄를 이루고 있으며, 수평으로 누인 측면이 마름모형상의 통체인 블록케이스가 형성되되, 상기 블록케이스에는 다수개의 투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블록케이스의 전방측에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블록케이스의 후방측 상면에는 다수개의 체결볼트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블록고정구의 연결판에 체결고정되고, 상기 블록케이스의 개방부 중심과 이에 대응되는 상기 측판 중심에는 상기 개방부로 절곡되는 이탈방지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블록케이스 내부 개방부측에는 콘크리트완충봉이 위치되고, 상기 콘크리트완충봉 후방측으로는 다수개의 통공을 갖는 중심탄성관이 위치되며, 상기 중심탄성관과 콘크리트완충봉 하부에는 중심탄성관보다 두께가 두껍고 다수개의 통공을 갖는 하부탄성관이 위치되고, 상기 중심탄성관과 콘크리트완충봉 상부에는 중심탄성관보다 두께가 얇고 다수개의 통공을 갖는 상부탄성관이 위치되는 호안블록을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방파제의 조립식 호안블록 설치구조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방파제의 조립식 호안블록 설치구조의 시공모습을 보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방파제의 조립식 호안블록 설치구조의 시공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방파제의 조립식 호안블록 설치구조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 방파제의 조립식 호안블록 설치구조는, 방파제(30) 경사측면에 상하측으로 앙카(15)에 의해 고정결합되어 배열되는 블록고정구(10)와, 블록고정구(10)에 마름모형상으로 상하로 고정결합되어 파랑을 감소시키는 호안블록(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블록고정구(10)는 철재인 판체로 전후방측으로 수평을 이루는 수평바(11)가 형성되고, 수평바(11) 상하측으로는 상,하부바(13,14)가 각각 돌출형성되되, 상,하부바(13,14) 선단에는 체결돌부(13a,14a)가 각각 포개어지게 대응형성되고, 상기 포개어진 체결돌부(13a,14a)에는 앙카(15)가 삽입되어 방파제(30)의 해수측면에 사면으로 체결고정되면서 상하측으로 길이가 연장되며, 상기 상,하부바(13,14) 사이의 수평바(11) 상단에는 연결판(12)이 수직기립된다.
상기 호안블록(20)은 개방된 일측은 별도의 측판(22)을 볼트를 통해 연결 고정시켜 폐쇄를 이루고 있으며, 수평으로 누인 측면이 마름모형상의 통체인 블록케이스(21)가 형성되되, 상기 블록케이스(21)에는 다수개의 투수공(23)이 형성되고, 상기 블록케이스(21)의 전방측에는 개방부(24)가 형성되며, 상기 블록케이스(21)의 후방측 상면에는 상기 블록고정구(10)의 연결판(12)에 체결고정을 이룰 수 있는 다수개의 체결볼트(25)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블록케이스(21)의 개방부(24) 중심과 이에 대응되는 상기 측판(22) 중심에는 상기 개방부(24)로 절곡되는 이탈방지구(21a,22a)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블록케이스(21) 내부 개방부(24)측에는 콘크리트완충봉(26)이 위치되어 있고, 상기 콘크리트완충봉(26) 후방측으로는 다수개의 통공(27a)을 갖는 중심탄성관(27)이 위치되며, 상기 중심탄성관(27)과 콘크리트완충봉(26) 하부에는 중심탄성관(27)보다 두께가 두껍고 다수개의 통공(28a)을 갖는 하부탄성관(28)이 위치되고, 상기 중심탄성관(27)과 콘크리트완충봉(26) 상부에는 중심탄성관(27)보다 두께가 얇고 다수개의 통공(29a)을 갖는 상부탄성관(29)이 위치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앙카(15)에 의해서 방파제(30)의 해수측 경사면인 측벽에 상하측으로 블록고정구(10)가 고정된 상태에서 호안블록(20)의 체결볼트(25)를 연결판(12)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체결고정시키면 된다.
이렇게 설치된 호안블록(20)은 해수에 의해 방파제(30)로 파랑이 접근하면 이 압력에 의해서 도 4와 같이, 호안블록(20) 블록케이스(21) 내측에서 콘크리트완충봉(26)이 중심탄성관(27)을 누르면서 동시에 상하부탄성관(29,28)을 눌려 찌그려 트리고, 이 상태에서 파랑이 소멸하면 중심탄성관(27)과 상하부탄성관(29,28)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하여 원형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해수는 블록케이스(21)의 투수공(23)과 중심탄성관(27)과 상하부탄성관(29,28)의 통공(27a)(29a,28a)을 통과하면서 하부로 배수된다. 즉, 파랑의 힘은 바로 다수개의 통공(27a)(29a,28a)을 통과하면서 그 힘을 잃어 소멸된다.
이렇게 다수개의 호안블록(20)에 의해서 방파제(30) 해수측 측벽에서 이루어지는 파랑의 감소현상은 방파제(30)의 침식을 극소화시키고, 각종 해안시설물들을 보호하여 그 수명을 보다 길게 연장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항만이나 해안 시설물을 보호하기 위해 구축하게 되는 방파제에 있어 지속적으로 밀려오는 파랑의 충격에너지를 효율적으로 다단으로 완화시켜 침식을 극소화시키고, 방파제를 이루는 호안블록을 파랑과 수직으로 설치하여 호안블록의 버팀력을 더욱 증대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

  1. 철재인 판체로 전후방측으로 수평을 이루는 수평바가 형성되고, 수평바 상하측으로는 상,하부바가 각각 돌출형성되되, 상,하부바 선단에는 체결돌부가 각각 포개어지게 대응형성되고, 상기 포개어진 체결돌부에는 앙카가 삽입되어 방파제의 해수측면에 사면으로 체결고정되면서 상하측으로 길이가 연장되며, 상기 상,하부바 사이의 수평바 상단에는 연결판이 수직기립되는 블록고정구와;
    개방된 일측은 별도의 측판을 볼트를 통해 연결 고정시켜 폐쇄를 이루고 있으며, 수평으로 누인 측면이 마름모형상의 통체인 블록케이스가 형성되되, 상기 블록케이스에는 다수개의 투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블록케이스의 전방측에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블록케이스의 후방측 상면에는 다수개의 체결볼트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블록고정구의 연결판에 체결고정되고, 상기 블록케이스의 개방부 중심과 이에 대응되는 상기 측판 중심에는 상기 개방부로 절곡되는 이탈방지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블록케이스 내부 개방부측에는 콘크리트완충봉이 위치되고, 상기 콘크리트완충봉 후방측으로는 다수개의 통공을 갖는 중심탄성관이 위치되며, 상기 중심탄성관과 콘크리트완충봉 하부에는 중심탄성관보다 두께가 두껍고 다수개의 통공을 갖는 하부탄성관이 위치되고, 상기 중심탄성관과 콘크리트완충봉 상부에는 중심탄성관보다 두께가 얇고 다수개의 통공을 갖는 상부탄성관이 위치되는 호안블록을 구비하는 방파제의 조립식 호안블록 설치구조.
KR1020070024391A 2007-03-13 2007-03-13 방파제의 조립식 호안블록 설치구조 KR100745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391A KR100745623B1 (ko) 2007-03-13 2007-03-13 방파제의 조립식 호안블록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391A KR100745623B1 (ko) 2007-03-13 2007-03-13 방파제의 조립식 호안블록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5623B1 true KR100745623B1 (ko) 2007-08-02

Family

ID=38601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4391A KR100745623B1 (ko) 2007-03-13 2007-03-13 방파제의 조립식 호안블록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56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74854A (zh) * 2020-01-16 2020-04-28 沈阳促晋科技有限公司 一种挤压耗能式大坝防浪涌结构
KR102277070B1 (ko) 2020-09-28 2021-07-14 (주)상원그린콘 곡선 구간의 시공이 용이한 호안블록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595U (ko) * 1997-12-17 1999-07-05 양원회 반사파 흡수구조를 가진 항내 접안시설
KR20050082690A (ko) * 2004-02-20 2005-08-24 심교성 호안 블럭을 이용한 해안 구조물 축조 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595U (ko) * 1997-12-17 1999-07-05 양원회 반사파 흡수구조를 가진 항내 접안시설
KR20050082690A (ko) * 2004-02-20 2005-08-24 심교성 호안 블럭을 이용한 해안 구조물 축조 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74854A (zh) * 2020-01-16 2020-04-28 沈阳促晋科技有限公司 一种挤压耗能式大坝防浪涌结构
KR102277070B1 (ko) 2020-09-28 2021-07-14 (주)상원그린콘 곡선 구간의 시공이 용이한 호안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9954B2 (en) Wave attenuator
US20190382974A1 (en) Beach erosion inhibitor
CN104674753B (zh) 一种透空消波组件结构
KR100745623B1 (ko) 방파제의 조립식 호안블록 설치구조
KR20160016200A (ko)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모래유실 방지용 잠제블록
KR100964121B1 (ko) 공기주입식 방파제 파라핏
NO792122L (no) Kollisjonsbeskyttelse.
US6588978B2 (en) Block assembly for protecting embankment
KR100612719B1 (ko) 곡류하천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한 침식방지 구조물
KR100481970B1 (ko) 폐흄관을 이용한 하천제방 보호공 설치구조
KR100689266B1 (ko) 콘크리트 기성제품을 이용한 조립식 방파제
KR100479197B1 (ko) 월파 차단 및 해수교환을 위한 방파제 제체구조
KR101766182B1 (ko) 해안침식 방지용 잠제구조물
KR200272952Y1 (ko) 하천의 제방 구축용 돌망테 구조
JPH11229346A (ja) ケーソン揚圧力低減工法
KR200367416Y1 (ko) 폐흄관을 이용한 하천제방 보호공 설치구조
KR20100070631A (ko) 쇄파능력이 향상된 부유식 방파제
KR100722166B1 (ko) 유실방지를 위한 호안피복블록 설치구조
KR200300479Y1 (ko) 변위 상태가 원위치 되는 구조의 부방파제
KR101157503B1 (ko) 고중량 단층 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US10954641B2 (en) Beach erosion inhibitor
KR100459509B1 (ko) 친환경적인 하천저면의 생태보호시설
KR20020058557A (ko) 하부 골조에 단위 소파블럭이 계지 조립되는 호안구조
KR100533519B1 (ko) 친환경적인 하천 호안시설물
KR200358601Y1 (ko) 하천저면의 생태보호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