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3096B1 - Button structur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utton structur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3096B1
KR100743096B1 KR1020060042380A KR20060042380A KR100743096B1 KR 100743096 B1 KR100743096 B1 KR 100743096B1 KR 1020060042380 A KR1020060042380 A KR 1020060042380A KR 20060042380 A KR20060042380 A KR 20060042380A KR 100743096 B1 KR100743096 B1 KR 100743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unit
sensing unit
cas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23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덕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60042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309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3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30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Abstract

A button structure and a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are provided to change a dome switch button scheme into a simple magnetic body sensor scheme for having a simple, light and thin structure, and to make it possible to arrange plural buttons because a space occupied by a sensor, which senses movement of the magnetic body, is small. A button structure comprises a button unit(200), installed at a side of a main body(100), which can slide. The button unit(200) includes a button case(210), which forms an exterior, and a magnetic body(230), which is installed under the button case(210). It is desirable that the magnetic body(230) is a magnet which forms a magnetic field. An elastic member(220), whose center is swollen, is installed at a side of the button case(210). The elastic member(220), forming hook type projections at its both ends, can be fixed to the button case(210). There are plural projections on an upper surface of the button case(210), which increase friction coefficient and enable a user to push or pull the button case(210) by little force. A button guide(110), which can hold the button unit(200) and couple with it, is formed on a side of the main body(100). In the button guide(110), a curved unit(115) which can stop the button unit(200)'s sliding is formed. Plural sensing units(400) which sense movement of the magnetic body(230) are formed at a lower part of the button unit(200). The sensing units(400) are matched with a position of the curved unit(115), and each of them is attached to an assistant circuit unit(300). A separation film is between the button unit(200) and the sensing unit(400), and intercepts an inner space of the main body(100) from an external environment for protecting the sensing unit(400) and the assistant circuit unit(300) from dust and moisture.

Description

버튼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BUTTON STRUCTUR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BUTTON STRUCTUR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도 1은 종래 돔 스위치 방식의 보조 키를 구비한 휴대폰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phone having a conventional dome switch auxiliary key.

도 2는 종래 돔 스위치 방식의 보조 키 구조 및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key structur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dome switch method.

도 3은 본 발명의 버튼 유닛을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with a butt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버튼 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butt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버튼 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butt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버튼 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button guid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버튼 유닛의 작동 방법 및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method and effect of the butt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50: 개인휴대단말기 100: 본체50: personal portable terminal 100: main body

110: 버튼 가이드 115: 굴곡부110: button guide 115: bend

200: 버튼 유닛 210: 버튼 케이스200: button unit 210: button case

220: 탄성부재 225: 볼록부220: elastic member 225: convex portion

230: 자성체 300: 보조 회로유닛230: magnetic material 300: auxiliary circuit unit

400: 센싱 유닛 500: 분리 막400: sensing unit 500: separation membrane

본 발명은 자성체가 장착된 버튼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써, 자성체가 부착된 버튼을 슬라이딩 이동하여 멀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버튼 구조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tton structure equipped with a magnetic material and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tton structure capable of performing a multi function by sliding a button having a magnetic material attached thereto, and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전화나 메일을 송신할 수 있는 메인 키가 구비된다. 그러나 메인 키를 이용하여 메일 송수신이나, 카메라 작동을 할 경우에는 메인 키를 여러 번 조작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메인 키외에 보조 키가 별도로 형성된다. 이로써, 사용자가 굳이 폴더나 혹은 슬라이드를 개방하지 않고도, 휴대폰의 측면에 형성된 보조 키를 이용하여 간단하고 신속하게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general, a mobile phone is provided with a main key for sending a phone call or mail. However, when using the main key to send and receive mails or to operate the camera, there is a need to operate the main key several times. Thus, in general, an auxiliary key is formed separately in addition to the main key. Thus, the user can perform a desired function simply and quickly by using an auxiliary key formed on the side of the mobile phone without having to open the folder or the slide.

도 1은 종래 돔 스위치 방식의 보조 키를 구비한 휴대폰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phone having a conventional dome switch auxiliary key.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폰(1)은 외관을 이루는 단말기 케이스(10)가 제공된다. 상기 단말기 케이스(10)의 전면에는 사용자에게 시각정보를 전달하는 디스플레이(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20)의 하부에는 각종 메뉴 및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키(45) 및 메뉴 키(40)가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mobile phone 1 is provided with a terminal case 10 forming an appearance. The front of the terminal case 10 is provided with a display 20 for transmitting visual information to the user. In addition, a navigation key 45 and a menu key 40 for performing various menus and functions may be provided below the display 20.

상기 단말기 케이스(10)의 측면에는 카메라 작동 및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보조 키(30)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 키(30)는 돔 스위치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Side of the terminal case 10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key 30 that can adjust the operation and volume of the camera. The auxiliary key 30 is configured by a dome switch method.

도 2는 종래 돔 스위치 방식의 보조 키 구조 및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key structur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dome switch method.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키는 버튼(32)이 키패드(34)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키패드(34)의 저면에는 누름 돌출부(36)가 아래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As shown therein, the auxiliary key has a button 32 formed on the keypad 34, and the push projection 36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keypad 34 to face downward.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버튼(32)을 누르면, 상기 누름 돌출부(36)가 돔 스위치(54)를 누르게 되고, 상기 돔 스위치(54)가 변형되면서 상기 돔 스위치(54) 하부에 위치한 전극(52)을 서로 연결할 수가 있다. 상기 전극(52)이 서로 연결됨에 따라 상기 버튼(32)의 누름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전극(52)에서 발생된 신호는 숫자 또는 문자 입력을 위해 내부 회로부(5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버튼(32)의 면적이 상기 누름 돌출부(36)의 면적보다 훨씬 크므로, 상기 버튼(32)을 누르는 힘이 모아져서 상기 누름 돌출부(36)에 전해질 수 있으며, 적은 힘으로도 상기 돔 스위치(54)를 용이하게 누를 수가 있다.Accordingly,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32, the pressing protrusion 36 presses the dome switch 54, and the dome switch 54 is deformed while the electrode 52 positioned below the dome switch 54.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As the electrodes 5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button 32 is pressed, and the signal generated from the electrodes 52 may be transmitted to the internal circuit unit 50 for input of numbers or letters. Since the area of the button 32 is much larger than the area of the pressing projection 36, the force for pressing the button 32 can be collected and transmitted to the pressing projection 36, and the dome switch with a small force. (54) can be pressed easily.

그런데, 종래 돔 스위치 방식의 보조 키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dome switch auxiliary key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돔 스위치 방식은 많은 수량의 요소들이 결합하기 때문에 휴대폰의 크기와 무게를 증가시키게 되어 결국 휴대성을 떨어뜨리게 된다.First, the dome switch system combines a large number of elements, which increases the size and weight of the mobile phone, which in turn reduces portability.

둘째, 버튼의 수가 제한되어 있다. 즉, 단말기 케이스의 측면을 활용하여 버튼을 형성할 경우 돔 스위치를 설치하기 위해 최소한의 공간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의 버튼들을 구성하기가 곤란하다Second, the number of buttons is limited. In other words, when a button is formed using the side of the terminal case, a minimum space is required to install the dome switch, which makes it difficult to configure buttons having a function frequently used by a user.

셋째, 단말기 케이스와 보조 키 사이의 미세 공간을 통해 외부의 먼지나 습기가 유입되어 단자의 접속불량 및 회로 고장이 발생될 수 있다.Third, external dust or moisture may flow through the microcavity between the terminal case and the auxiliary key, resulting in connection failure of the terminal and circuit failure.

넷째, 복잡한 구조로 인해 제조 및 결합 공정이 복잡하게 되고, 이로써 생산원가 및 생산시간이 늘어나게 된다. Fourth, the complicated structure complicates the manufacturing and bonding process, thereby increasing the production cost and production time.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돔 스위치 버튼 방식을 구조가 간단한 자성체 센서 방식으로 변경하여 경박 단소한 버튼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s to provide a light and simple button structure and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by changing the dome switch button method to a simple magnetic sensor metho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성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가 차지하는 공간이 작아 다수개의 버튼을 구성할 수 있는 버튼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tton structure and a personal handheld terminal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constitute a plurality of buttons because the space occupied by the sensor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magnetic material is smal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기 케이스를 밀봉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버튼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tton structure for sealing a terminal case and blocking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from the outside, and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라이딩 방식의 버튼을 구비하여 조작이 간편하고 쉬운 버튼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tton structure having a sliding type button and easy to operate, and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개인휴대단말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단말기 케이스의 외측에 슬라 이딩 이동이 가능한 버튼이 장착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button that is capable of sliding movement on the outside of the terminal case forming the appearance.

상기 버튼에는 자기력을 구비한 자성체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 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자성체의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자성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싱 유닛을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센싱 유닛은 상기 버튼이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외측을 따라 이동할 경우, 상기 자성체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해 상기 버튼의 이동 경로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자성체는 마그네틱이 유용하며,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하부에는 상기 자성체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버튼이 결속되어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는 버튼 가이드가 형성된다. 상기 버튼 가이드에는 물결 모양의 굴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버튼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버튼에는 상기 굴곡부에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탄성부재가 장착되는데, 상기 탄성부재는 중앙이 볼록하게 형성된 판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굴곡부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굴곡부에 대응하여 상기 센싱 유닛이 형성된다. 이러한 각각의 상기 센싱 유닛은 음량 조절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싱 유닛에 의해 음량조절을 할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시각적으로 알려주기 위해 상기 단말기 케이스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는 음량조절 상태를 영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본체와 상기 버튼 사이에는 분리 막이 게재되어 외부로부터 먼지나 가시가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The button may be equipped with a magnetic material having a magnetic force. In addition, the terminal case may be equipped with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magnetic material dur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magnetic material. When the button is moved along the outside of the terminal case, a plurality of sensing units may be disposed along the movement path of the button to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magnetic material. Magnetic material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ful magnetic, the lower portion of the terminal case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that can accommodate the magnetic material. In addition, one side of the terminal case is coupled to the button is formed with a button guide for sliding movement. The button guide may have a wavy curved portion to control the sliding movement of the button. The button is equipped with an elastic member that can be partially inserted into the bent portion, the elastic member may use a leaf spring formed in the center convex. At least two curved portions are formed, and the sensing unit is formed corresponding to each curved portion. Each of the sensing units may perform various functions including volume control. Meanwhile, in order to visually inform the user when the volume is adjusted by the sensing unit, the display provided in the terminal case may implement the volume control state as an image. Separation membran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button to block dust or thorns from flowing into the main body from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의 버튼 구조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는 통신이 가능한 본체 와, 상기 본체에 부착되어 자성체를 구비한 버튼 유닛과, 상기 자성체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상기 버튼 유닛의 위치 신호를 전달하는 센싱 유닛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having a butt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in body capable of communication, a button unit attached to the main body having a magnetic body, and senses the movement of the magnetic body, and transmits the position signal of the button unit And a sensing unit.

상기 버튼 유닛은 버튼 케이스와, 상기 버튼 케이스의 일측에 장착되고, 복원력을 구비한 탄성부재가 장착된다. 상기 버튼 케이스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버튼 케이스를 밀거나 당길 때 상기 버튼 유닛을 용이하게 슬라이딩 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 케이스의 상면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또 하나의 방법으로 고무재질을 씌울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양단이 상기 버튼 케이스에 형성된 돌기들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탄성부재는 중앙에 볼록부가 형성된 판 스프링이 바람직하다.The button unit is mounted to a button case and one side of the button case, the elastic member having a restoring force is mounted. A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utton case to easily slide the button unit when the user pushes or pulls the button case using a finger. In addition, the rubber material may be covered by another method for increasing fric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utton case. Both ends of the elastic member may be fixed by protrusions formed on the button case. The elastic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 leaf spring formed with a convex portion in the center.

상기 센싱 유닛은 상기 본체 내부에 저장된 보조 회로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버튼 유닛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으로 복수개가 장착된다. 각각의 센싱 유닛(400)은 MP3, 카메라, 볼륨 조절 등의 다양한 입력에 대한 신호를 상기 보조 회로유닛에 전달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is connected to an auxiliary circuit unit stored in the main body, and a plurality of sensing units are mounted in the slide movement direction of the button unit. Each sensing unit 400 may transmit signals for various inputs such as an MP3, a camera, and volume control to the auxiliary circuit unit.

이와 같이 구성하여, 버튼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단순화 할 수 있으며, 이로써, 경박단소한 단말기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방식의 버튼 구조로 인해 조작이 용이하다.By configuring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button, thereby manufacturing a light and simple terminal. In addition, the operation of the button is easy due to the slide type button structure.

본 명세서의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핸드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A personal portable devic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 portabl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such a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smart phone, a handheld PC, a mobile phone, an MP3 player, and the like.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module, a Bluetooth module, an infrared communication module (IrDA), a wired / wireless LAN card, etc., and a terminal having a predetermined computing power by mounting a predetermined microprocessor for performing a multimedia playback function Can be used as a generic concept.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도 3은 본 발명의 버튼 유닛을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with a butt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인휴대단말기(50)는 외관을 구성하는 본체(100)가 제공된다.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사용자에게 시각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06)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106)의 하부에는 통화나 메일 명령을 입력하는 메뉴 키(102) 및 방향 키(10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의 측면에는 일정공간 함몰되어 형성된 버튼 가이드(110)가 형성된다. 상기 버튼 가이드(110)는 상기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버튼 가이드(110)의 일측 외벽은 물결 모양의 굴곡부(115)가 형성된다. 상기 버튼 가이드(110)에 결합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버튼 유닛(200)이 형성된다. 상기 버튼 유닛(200)은 상기 굴곡부(115)에 의해 이동에 제한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4에서 자세히 언급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100 constituting the appearance. A display 106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0 to transmit visual information to a user, and a menu key 102 and a direction key 104 for inputting a call or a mail command are provided below the display 106. It may be provided. The side of the main body 100 is formed with a button guide 110 formed by recessing a predetermined space. The button guide 110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In addition, the outer wall of one side of the button guide 110 is a wavy curved portion 115 is formed. A button unit 200 slidingly coupled to the button guide 110 is formed. The button unit 200 may be limited to movement by the bent portion 115.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는 본 발명의 버튼 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butt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튼 유닛(200)은 본체(100)의 측면에 장착되어 슬 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버튼 유닛(200)은 외관을 형성하는 버튼 케이스(210)와, 상기 버튼 케이스(210)의 하부에 장착된 자성체(230)를 포함한다. 상기 자성체(230)는 자기장을 형성하는 마그네틱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튼 케이스(210)의 일측면에는 중앙이 볼록하게 형성된 탄성부재(22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탄성 부재(220)는 양단에 후크 형태의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버튼 케이스(2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 케이스(21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는데, 이로 인해 마찰 계수가 증가하게 되고,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버튼 케이스(210)를 적은 힘으로도 밀거나 당길 수 있다.As shown in this, the button unit 200 is mount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100 can move the slide. The button unit 200 includes a button case 210 forming an appearance, and a magnetic body 230 mounted below the button case 210. The magnetic body 230 is preferably a magnetic to form a magnetic field. In addition, an elastic member 220 having a center convex may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button case 210. The elastic member 220 has a hook-like protrusion is formed at both ends can be fixed to the button case 210. In addition,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tton case 210, thereby increasing the friction coefficient, the user can push or pull the button case 210 with a small force using a finger.

본체(100)의 측면에는 상기 버튼 유닛(200)을 수용하여 결합할 수 있는 버튼 가이드(110)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버튼 가이드(110)에는 상기 버튼 유닛(2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굴곡부(115)가 형성된다.The side of the main body 100 is formed with a button guide 110 that can accommodate and combine the button unit 200. The button guide 110 is formed with a bent portion 115 to stop the sliding movement of the button unit 200.

또한, 상기 버튼 유닛(200)의 하부에는 상기 자성체(23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싱 유닛(400)이 형성된다. 상기 센싱 유닛(400)은 상기 굴곡부(115)의 위치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형성되고, 각각의 센싱 유닛(400)은 보조 회로유닛(300)에 부착된다. 즉, 상기 센싱 유닛(400)의 장착 지점은 상기 버튼 유닛(200)이 상기 굴곡부(115)에 의해 정지할 때, 상기 자성체(230)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써, 상기 자성체(230) 하부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sensing unit 400 for detecting a movement of the magnetic body 230 is formed below the button unit 200. The sensing unit 400 is formed in plural in correspondence with the position of the bend 115, and each sensing unit 400 is attached to the auxiliary circuit unit 300. That is, the mounting point of the sensing unit 400 i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magnetic body 230 when the button unit 200 is stopped by the curved portion 115, and is below the magnetic body 230. It is preferred to be mounted.

상기 버튼 유닛(200)과 상기 센싱 유닛(400) 사이에는 분리 막(500)이 게재된다. 이러한 상기 분리 막(500)은 상기 본체(10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먼지나 습기로부터 상기 센싱 유닛(400) 및 보조 회로유닛(300)을 보호한다. 이때 상기 분리 막(500)은 자기장이 통과되는 재질로써, 상기 자성체(230)로부터 발산하는 자기장을 방해하지 않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paration membrane 500 is disposed between the button unit 200 and the sensing unit 400. The separation membrane 500 blocks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from the outside to protect the sensing unit 400 and the auxiliary circuit unit 300 from dust or moisture. In this case, the separation membrane 500 is a material through which the magnetic field passes, and it is preferable to use a material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agnetic field emitted from the magnetic body 230.

도 5는 본 발명의 버튼 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버튼 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butt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button guid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튼 유닛(200)은 외관을 형성하는 버튼 케이스(210)가 제공되고, 상기 버튼 케이스(210)의 일측에는 복원력을 갖는 탄성부재(220)가 장착된다. 상기 버튼 케이스(21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상기 버튼 케이스(210)를 손가락으로 밀거나 당기는 등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마찰력을 증가시킨다. 또한,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다른 방법으로 상기 버튼 케이스(210)의 상면에 고무재질을 덧씌울 수도 있다. 상기 탄성부재(220)는 양단이 상기 버튼 케이스(210)에 고정되고, 이로써, 슬라이딩 이동을 해도 상기 버튼 케이스(210)로부터 일탈되지 않는다. 상기 탄성부재(220)는 중앙이 돌출되어 볼록부(225)를 이루며, 본 발명에서의 탄성부재(220)로는 복원력을 구비한 판 스프링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튼 케이스(210)의 하부에는 자기력을 갖는 자성체(230)가 장착되고, 상기 자성체(230)는 마그네틱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성체(230)를 수납하기 위해 상기 버튼 케이스(210)의 하부에는 상기 자성체(230) 외형에 대응하여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is, the button unit 200 is provided with a button case 210 to form an appearance, the elastic member 220 having a restoring force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button case 210. A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utton case 210, which increases a frictional force so that a user may easily manipulate or push the button case 210 with a finger. In addition, the rubber material may be overlai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tton case 210 as another method of increasing frictional force. Both ends of the elastic member 220 are fixed to the button case 210, whereby the sliding member 220 does not deviate from the button case 210 even when sliding. The elastic member 220 has a center protruding to form a convex portion 225, the elastic member 22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 leaf spring having a restoring force. In addition, a magnetic body 230 having a magnetic force is mounted below the button case 210, and the magnetic body 230 is preferably magnetic. The accommodating part may b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utton case 210 to accommodate the magnetic body 230 to correspond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magnetic body 230.

상기 버튼 가이드(110)는 상기 본체(100)의 측면에 길게 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홀을 통해 상기 본체(100) 내부를 볼 수 있다. 상기 버튼 가이드(110)로 인해 형성된 상기 홀을 밀봉하기 위해 분리 막(500)이 게재된다. 상기 버튼 가이 드(110)의 일측면에는 물결 모양의 상기 버튼 유닛(200)의 슬라이딩 움직임을 제어하는 굴곡부(115)가 형성된다. 상기 굴곡부(115)에는 상기 탄성부재(220)에 형성된 상기 볼록부(225)가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버튼 유닛(200)이 상기 버튼 가이드(110)에 결속되어 슬라이드 이동을 할 때, 상기 탄성부재(220)의 상기 볼록부(225)는 상기 굴곡부(115)에 삽입된다. 삽입된 상기 볼록부(225)는 상기 굴곡부(115)와 접하는 면을 밀게 되어 슬라이딩 이동방향으로 외력을 주지 않는 한 상기 버튼 유닛(200)을 그 자리에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굴곡부(115)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그 중 일부는 상기 센싱 유닛(미도시)에 의해 음량 조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버튼 유닛(200)을 음량조절에 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굴곡부(115)에 위치시킬 때, 상기 버튼 유닛(200)에 장착된 상기 자성체(230)는 상기 본체(100) 내부에 장착된 상기 센싱 유닛에 감지되고, 상기 센싱 유닛은 해당 지점에 대응하는 신호를 보조 회로유닛(미도시)에 전송한다.The button guide 110 is formed in a long shape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100, can see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hole. Separation membrane 500 is placed to seal the hole formed by the button guide 110. One side of the button guide 110 is formed with a curved portion 115 for controll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wavy button unit 200. The convex portion 225 formed in the elastic member 220 may be inserted into the curved portion 115. That is, when the button unit 200 binds to the button guide 110 and slides, the convex portion 225 of the elastic member 220 is inserted into the curved portion 115. The inserted convex portion 225 pushes the surface contacting the curved portion 115 to prevent the button unit 200 from moving in place unless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the sliding movement direction. At least one curved portion 115 may be formed, and some of them may perform a volume control function by the sensing unit (not shown). That is, when the button unit 200 is located in the bent portion 115 corresponding to the volume control, the magnetic body 230 mounted to the button unit 200 is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100. The sensing unit is sensed, and the sensing unit transmit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oint to the auxiliary circuit unit (not shown).

이하 본 발명의 사이드 키의 작동 방법 및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method and effect of the side ke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의 버튼 유닛의 작동 방법 및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method and effect of the butt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메뉴 버튼을 이용하지 않고, 본체(100)의 측면에 형성된 버튼 유닛(200)을 이용하여 음량을 조절하고자 한다. 사용자는 손가락을 상기 버튼 유닛(200)의 상단에 올린 후 상기 버튼 유닛(200)을 밀거나 당길 수 있다. 이때 상기 버튼 유닛(200)은 상기 본체(100)의 측면에 형성된 버튼 가이드(11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한다. 상기 버 튼 가이드(110)의 일측 벽면에는 물결 모양의 굴곡부(115)가 형성되는데, 각각의 상기 굴곡부(115)는 음량 조절, MP3 또는 카메라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버튼 유닛(200)이 위치하는 지점이다. 각각의 상기 굴곡부(115)가 어떤 기능에 대응되는지를 알려주기 위해 상기 굴곡부(115)와 가까운 상기 본체(100)의 일 지점에는 음량 조절, 카메라 혹은 MP3 형상의 스티커나 글자를 새겨 넣을 수 있다. 볼륨 조절에 해당하는 상기 굴곡부(115)에 상기 버튼 유닛(200)을 위치시키면, 상기 버튼 유닛(200)에 구비된 탄성부재(220)가 상기 굴곡부(115)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22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버튼 유닛(200)은 슬라이딩 이동 방향으로 힘을 주지 않는 한 그 자리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버튼 유닛(200)의 하부에 장착된 자성체(230)는 주위에 자기장을 형성하게 되고, 센싱 유닛(400)이 자기장을 감지하여 보조 회로유닛(300)에 볼륨조절에 해당하는 감지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보조 회로유닛(300)에 전달된 상기 자성체(230)의 위치 신호는 메인 회로유닛(미도시)에 전달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 즉, 볼륨 조절을 하게 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user does not use the menu button by using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but controls the volume using the button unit 200 form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100. The user may push or pull the button unit 200 after raising a finger on the top of the button unit 200. In this case, the button unit 200 performs a sliding movement on the button guide 110 form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100. A wavy curved portion 115 is formed on one side wall of the button guide 110, and each of the curved portions 115 is positioned at the button unit 200 to perform a function such as volume control, MP3, or camera. That's the point. In order to indicate which function each curved portion 115 corresponds to, one point of the main body 100 close to the curved portion 115 may have a volume control, a camera, or an MP3 shaped sticker or letter. When the button unit 200 is positioned in the bent part 115 corresponding to the volume control, the elastic member 220 provided in the button unit 200 is inserted into the bent part 115. At this time,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20, the button unit 200 is fixed in place unless the force in the sliding movement direction. On the other hand, the magnetic body 230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button unit 200 forms a magnetic field around the sensing unit, the sensing unit 400 detects the magnetic field and the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volume control to the auxiliary circuit unit 300 To pass. The position signal of the magnetic body 230 transmitted to the auxiliary circuit unit 300 is transmitted to the main circuit unit (not shown) to control the user's desired command, that is, volume control.

이와 같이 구성하여, 버튼 유닛의 구조를 단순하게 하고, 단말기를 경박 단소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방식은 버튼 유닛으로 편리하게 조작이 가능하고, 본체 내부에 이물질 및 습기를 막을 수 있어 제품의 고장을 줄일 수 있다.By configuring in this way, the structure of a button unit can be simplified, and a terminal can be manufactured lightly and simply. In addition, the sliding method can be conveniently operated by a button unit, and can prevent foreign matter and moisture inside the body to reduce the failure of the product.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버튼 유닛의 구조가 간단하여 단말기의 크기와 두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button unit is simple, thereby reducing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terminal.

또한, 마그네틱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의 저장공간에 크기의 제약이 거의 없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도 여러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 유닛을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almost no limitation on the size of the storage space of the sensor that detects the movement of the magnetic,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button unit that performs various functions in a narrow space.

또한, 버튼 유닛을 본체에 결합 시 완벽한 밀봉으로 인해 외부로부터 본체 내부로 침투하는 먼지나 이물질 혹은 습기 등을 차단하여 제품의 고장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button unit is coupled to the main body, the product can be reduced by blocking dust, foreign substances or moisture that penetrate into the main body from the outside due to the perfect sealing.

또한, 슬라이딩 방식의 버튼 유닛으로 인해 사용이 편리하고, 새로운 방식 및 디자인을 추구하는 사용자들의 욕구를 만족시켜 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sliding button unit is convenient to use, and can satisfy the needs of users seeking new ways and designs.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및 결합공정이 단순하고, 생산성이 증진되며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tructure is simple, the manufacturing and bonding process is simple, productivity is increased 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lower the unit cost of the produc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Claims (23)

단말기 케이스;Terminal case; 상기 단말기 케이스 외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버튼;A button slidable outside the terminal case; 상기 버튼과 함께 이동하는 자성체; 및Magnetic material moving with the button; And 상기 단말기 케이스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자성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싱 유닛;A sensing unit accommodated in the terminal case to sense movement of the magnetic material; 을 포함하는 버튼 구조.Button structur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버튼이 결속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버튼 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구조.One side of the terminal case butt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button guide is formed so that the button is coupled to the sliding movement.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버튼 가이드의 일측면에는 물결 모양의 굴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구조.One side of the button guide butt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wavy curved portion formed.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굴곡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그 중 일부는 상기 센싱 유닛에 의해 음량 조절 기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구조.At least one curved portion is formed, a part of which is a butt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volume control function is performed by the sensing unit.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버튼이 음량 조절에 해당하는 상기 굴곡부에 정지시, 상기 센싱 유닛은 상기 본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에 음량이 조절 중임을 영상으로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구조.And when the button stops at the ben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volume control, the sensing unit notifies the display formed in the main body of the volume control as an imag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버튼의 일측에는 상기 굴곡부에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버튼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동하는 탄성부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구조.One side of the button is button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member is inserted into the bent portion to brake the sliding movement of the button.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탄성부재는 중앙이 볼록하게 형성되고, 복원력을 구비한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구조.The elastic member is a butt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er is convex, the leaf spring having a restoring forc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센싱 유닛은 상기 버튼이 상기 굴곡부에 의해 정지 시, 상기 자성체에 대응하는 지점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구조.The sensing unit is a butt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button is stopped by the bent portion is mounted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magnetic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자성체는 마그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구조.The magnetic body is a butt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gnetic.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버튼의 하부에는 상기 버튼 내부로 상기 자성체를 수납하는 수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구조.The butt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button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magnetic material inside the butt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말기 케이스와 상기 버튼 사이에는 분리 막이 게재되어 상기 센싱 유닛을 외부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구조.Separating membrane is placed between the terminal case and the button to release the sensing unit from the outside. 통신이 가능한 본체;A body capable of communicating; 상기 본체에 부착되며, 자성체를 구비한 버튼 유닛; 및A button unit attached to the main body and having a magnetic body; And 상기 자성체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상기 버튼 유닛의 위치 신호를 전달하는 센싱 유닛;A sensing unit which senses a movement of the magnetic material and transmits a position signal of the button unit; 을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버튼 유닛은The button unit 버튼 케이스; 및Button case; And 상기 버튼 케이스의 일측에 장착되고, 복원력을 구비한 탄성부재;An elastic member mounted on one side of the button case and having a restoring force; 를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탄성부재는 중앙에 볼록부가 형성된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The elastic member is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leaf spring formed with a convex portion in the center.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센싱 유닛은 상기 본체에 내장된 보조 회로유닛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The sensing unit is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mounted on the auxiliary circuit unit built in the main body.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본체 측면에는 버튼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버튼 유닛은 상기 버튼 가이드를 통해 슬라이딩 왕복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A button guid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butt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reciprocating motion through the button guide.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버튼 가이드는 상기 센싱 유닛의 위치에 대응하여 물결 모양의 굴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The button guide is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wavy curved portion forme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nsing unit.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센싱 유닛은 상기 버튼 유닛이 상기 굴곡부에 정지 시, 상기 자성체에 대응하는 지점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And the sensing unit is mounted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magnetic material when the button unit stops at the bent portion.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굴곡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그 중 일부는 상기 센싱 유닛에 의해 음량 조절 기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At least one curved portion is formed, some of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olume control function is performed by the sensing unit. 제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센싱 유닛이 음량 조절에 해당하는 상기 굴곡부에 정지시, 상기 본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에 음량이 조절 중임을 영상으로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When the sensing unit is stopped at the bend corresponding to the volume control,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inform the display that the volume is being adjusted to the display formed on the main body.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본체와 상기 버튼 유닛 사이에는 분리 막이 게재되어 상기 센싱 유닛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Separating membrane is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button unit is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blocking the sensing unit from the outside.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자성체는 마그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The magnetic material is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magnetic.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버튼의 하부에는 상기 버튼 내부로 상기 자성체를 수납하는 수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The lower portion of the button personal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magnetic material formed in the button.
KR1020060042380A 2006-05-11 2006-05-11 Button structur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KR1007430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2380A KR100743096B1 (en) 2006-05-11 2006-05-11 Button structur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2380A KR100743096B1 (en) 2006-05-11 2006-05-11 Button structur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3096B1 true KR100743096B1 (en) 2007-07-27

Family

ID=38499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2380A KR100743096B1 (en) 2006-05-11 2006-05-11 Button structur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3096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314B1 (en) 2006-10-11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Key input apparatus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N107979680A (en) * 2018-01-18 2018-05-01 广东工业大学 Mobile terminal dustproof construction and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structure
WO2022034941A1 (en) * 2020-08-12 2022-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Flexible display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3997A (en) 1997-11-28 1999-06-18 Sony Corp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and rotary operator
KR20040082486A (en) * 2003-03-19 2004-09-30 삼성전기주식회사 automatic driving type slide phone, automatic driving method for a slide phone, and detecting method for incoming call for mobile phone
KR20050027473A (en) * 2003-09-15 2005-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Side button device of mobile phone
KR20060007859A (en) * 2004-07-22 200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having slide open and close apparatus using magnetic force
KR100677317B1 (en) 2004-04-28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Slide open and close type portable termina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3997A (en) 1997-11-28 1999-06-18 Sony Corp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and rotary operator
KR20040082486A (en) * 2003-03-19 2004-09-30 삼성전기주식회사 automatic driving type slide phone, automatic driving method for a slide phone, and detecting method for incoming call for mobile phone
KR20050027473A (en) * 2003-09-15 2005-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Side button device of mobile phone
KR100677317B1 (en) 2004-04-28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Slide open and close type portable terminal
KR20060007859A (en) * 2004-07-22 200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having slide open and close apparatus using magnetic for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314B1 (en) 2006-10-11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Key input apparatus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8222554B2 (en) 2006-10-11 2012-07-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Key input apparatus of portable terminal
CN107979680A (en) * 2018-01-18 2018-05-01 广东工业大学 Mobile terminal dustproof construction and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structure
WO2022034941A1 (en) * 2020-08-12 2022-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Flexible displa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49120B1 (e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movable keypad
KR101328132B1 (en) A working mode conversion device, a mobile terminal having the working mode conversion device and operating mode conversion method
EP2367094B1 (en) Touch sensitive keypad with tactile feedback
JP4584210B2 (en) Electronics
JP4716956B2 (en) Touch key assembly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083071B1 (en) Metal Dome switch integrated touch window of portable terminal
US20110254788A1 (en) Movable touch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2005094763A (en)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2141390B1 (en) Remotely controller
EP2954393B1 (en) Touch sensitive surface for an electronic device with false touch protection
US8330064B2 (en) Key button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8947269B2 (en) Key input unit and key input method
KR20120059866A (en) Key pad assembly for portable terminal
JP5483802B2 (en) Slide-type mobile terminal
KR100743096B1 (en) Button structur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JP4932385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EP1256968A1 (en) Multifunctional switch structure
KR20150031968A (en) Terminal
KR101072026B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movable touch screen
KR100797673B1 (en) Modular input unit and portable handset and remote controller provided with the same
JP4767792B2 (en) Electronics
US8094044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scroll wheel control module
KR100632114B1 (en) Pointing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4767793B2 (en) Electronics
EP1569078B1 (en) Track wheel with reduced space requir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