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2345B1 - 선호 채널 리스트를 표시하는 방송수신장치 - Google Patents

선호 채널 리스트를 표시하는 방송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2345B1
KR100742345B1 KR1020050117716A KR20050117716A KR100742345B1 KR 100742345 B1 KR100742345 B1 KR 100742345B1 KR 1020050117716 A KR1020050117716 A KR 1020050117716A KR 20050117716 A KR20050117716 A KR 20050117716A KR 100742345 B1 KR100742345 B1 KR 100742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user
preferred
lis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7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8890A (ko
Inventor
허재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7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2345B1/ko
Publication of KR20070058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8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2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2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3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user identification, e.g. by entering a PIN or passwo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선호 채널 리스트를 표시하는 방송수신장치가 개시된다. 본 방송수신장치는, 사용자 아이디 별 선호 채널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부, 사용자 아이디 및 채널 선국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된 사용자 아이디에 대한 선호 채널 정보를 확인하여, 선호 채널 리스트를 생성하는 생성부, 선호 채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출력부, 채널 선국 명령에 대응되는 채널을 선국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및 신호 수신부의 채널 선국 상태에 따라 메모리부에 저장된 선호 채널 정보를 갱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선호 채널 리스트를 생성하여 확인함으로써, 채널 이동시 불필요한 채널 검색 및 시간 낭비를 감소할 수 있게 된다.
방송수신장치, 선호 채널, 사용자 아이디

Description

선호 채널 리스트를 표시하는 방송수신장치{Broadcasting receiver for displaying preference channel lis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호 채널 리스트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호 채널의 시청 여부에 대한 문의 메시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호 채널 리스트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호 채널 리스트 활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0 : 방송수신장치 110 : 입력부
120 : 신호수신부 130 : 제어부
140 : 메모리부 150 : 생성부
160 : 출력부
본 발명은 선호 채널 리스트를 표시하는 방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아이디 별로 채널 시청 빈도 및 채널 시청 시간을 확인하여 선호 채널 리스트를 표시하는 방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송수신장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한 후, 화면상에 출력한다. 한편, 사용자가 현재 화면상에 출력되고 있는 방송을 타 채널의 방송으로 전환하고자 할 경우, 리모콘 및 외부 조작 키를 이용하여 채널 번호를 입력하거나 상/하 이동 버튼을 눌러 채널을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채널 전환 방법에 있어서, 아날로그 방송의 경우, 채널의 수가 적으며 사용자가 채널 번호 및 방송 순서를 숙지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채널의 수가 많은 케이블 방송 및 디지털 방송의 경우, 사용자가 채널 번호 및 방송 순서를 기억하는 것은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사용자는 케이블 방송 및 디지털 방송의 채널을 선택하고자 할 경우, 채널 번호를 상/하로 이동하여 모든 채널의 방송을 확인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을 선택할 수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선호하는 채널이 정해져 있는 사용자에게 있어서 채널 선택으로 인해 비교적 많은 시간을 소요해야 하며, 사용자 불편함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아이디 별로 채널 시청 빈도 및 채널 시청 시간을 확인하여 선호 채널 리스트를 생성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는, 사용자 아이디 별 선호 채널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부, 사용자 아이디 및 채널 선국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사용자 아이디에 대한 선호 채널 정보를 확인하여, 선호 채널 리스트를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선호 채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출력부, 상기 채널 선국 명령에 대응되는 채널을 선국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및 상기 신호 수신부의 채널 선국 상태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선호 채널 정보를 갱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생성부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시청 빈도 및 시청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선호 채널 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선호 채널 순위에 따라 상기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성부는 시간대별 시청 채널에 대한 정보를 상기 리스트 상에 추가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수신부에 의해 현재 선국된 채널보다 선호되는 채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상기 리스트를 통해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선호 채널에 대한 시청 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생성부 및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시지에 대응하는 수락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확인된 선호 채널을 선국하고, 상기 메시지에 대응되는 거절 명령이 입력되면 현재 선국된 채널을 유지하도록 상기 신호 수신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방송수신장치(100)는 입력부(110), 신호수신부(120), 제어부(130), 메모리부(140), 생성부(150) 및 출력부(16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채널 선국 명령 및 사용자 아이디를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채널 선국 명령은 리모콘이나 외부 조작 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 번호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방송수신장치(100)의 전원을 켰을 때, 화면에 출력되는 사용자 아이디 설정창을 통해 사용자 아이디를 입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 아이디는 리모콘이나 외부 조작 키를 이용하여 숫자 또는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 가능하다. 한편, 방송수신장치(100)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1인일 경우, 방송수신장치 (100) 작동시 사용자 아이디 설정창의 출력 자체를 미설정할 수도 있다.
신호수신부(120)는 입력부(110)를 통해 선택된 채널 번호에 대응되는 채널을 선국하여 방송신호를 수신받는다. 신호처리부(130)는 신호수신부(120)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메모리부(140)는 사용자 아이디 별 선호 채널 정보를 저장한다.
생성부(150)는 소정의 메시지 또는 유저 인터페이스 창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아이디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아이디 입력창, 선호 채널을 순서대로 나열하는 선호 채널 리스트 및 기타 안내 메시지를 OSD 형태로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아이디 입력창의 경우, 숫자, 영문, 국문 등을 입력받을 수 있는 표시창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사용자가 4인이고, 각 사용자가 사용자 아이디 입력창을 통해 자신의 아이디를 1, 2, 3, 4와 같이 입력하게 되면, 사용자 아이디는 '1', '2', '3' 및 '4'와 같이 부여된다.
또한, 생성부(15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아이디에 대한 선호 채널 정보를 메모리부(140)에서 독출하여 선호 채널 리스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생성부(15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시청 빈도 및 시청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선호 채널 순위를 결정한 후, 그 순위에 따라 각 선호 채널 정보를 나열하는 형태로 선호 채널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시간대 별 시청 채널에 대한 정보를 선호 채널 리스트에 추가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부(150)는 선호 채널의 시청 여부에 대한 문의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성부(150)는 사용자가 현재 시간대에 해당하는 선호 채널을 시청하고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에게 선호 채널의 시청 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문의 메시지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현재 시간대에 해당하는 선호 채널이 'MBC'인데 타 채널의 방송을 시청하고 있는 경우, '[MBC]를 시청하겠습니까?'라는 문의 메시지를 생성한다. 한편, 이러한 문의 메시지는 사용자가 시청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수락 및 거절 선택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제어부(130)는 시스템 전반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입력부 (1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아이디를 인식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선호 채널 리스트를 확인하기 위한 요청이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면, 선호 채널 리스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생성부(150) 및 출력부(160)를 제어한다. 이 경우, 사용자 아이디 입력 시에 선호 채널 리스트를 즉시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생성부(150) 및 출력부(16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신호수신부(120)의 채널 선국 상태에 따라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선호 채널 정보를 수시로 갱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선국된 채널에 대한 시청 빈도를 1회 증가시키거나, 선국된 채널을 시청한 시간을 카운팅하여 카운팅된 시간 만큼 총 시청 시간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선호 채널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호 채널 리스트는 수시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신호수신부(120)에 의해 현재 선국된 채널이 선호 채널 리스트 상에 존재하는 채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선호 채널 리스트 상에 존재하지 않는 채널이라면, 선호 채널 리스트 상에서 최상위 순위에 해당하는 채널을 시청할 것인지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생성부(150) 및 출력부(160)를 제어한다. 선호 채널 리스트 상에 존재하는 채널이라고 하더라도, 현재 시청중인 채널보다 상위의 선호 채널이 존재한다면, 해당 선호 채널을 시청할 것인지 여부를 문의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문의 메시지에 따라 수락 명령 또는 거절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수락 명령이 입력되면 확인된 선호 채널을 선국하고, 거절 명령이 입력되면, 현재 선국된 채널을 유지하도록 신호수신부(120)를 제어한다.
출력부(160)는 선국된 채널의 방송, 선호 채널 리스트 및 선호 채널의 시청 여부에 대한 문의 메시지 등을 화면 상에 출력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호 채널 리스트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사용자 '[1]'의 채널 시청 빈도에 따른 선호 채널 리스트(200)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선호 채널 리스트(200)는 선호 채널 리스트 제목 표시 영역(210), 순위 영역(220), 채널 번호 영역(230), 방송사(240) 및 시청 빈도 영역(250)이 포함된다.
선호 채널 리스트 제목 표시 영역(210)은 사용자 아이디에 대한 선호 채널 리스트임을 표시하며, 사용자 아이디는 방송수신장치(100)의 전원을 켰을 때 입력된 아이디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수신장치(100)의 전원을 켰을 때, 사용자 아이디를 '1'로 설정하면, 이에 따라 선호 채널 리스트 제목 표시 영역(210)엔 '사용자 [1]님의 선호 채널 리스트'가 표시되게 된다. 또한, 순위 영역(220)은 소정 갯수의 리스트 번호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한편, 채널 번호 영역(230)은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대한 번호이며, 방송사 영역(240)은 채널 번호에 대응되는 방송사를 표시한다. 시청 빈도 영역(250)은 각 채널의 시청 빈도를 표시하며, 시청 빈도는 사용자가 채널을 선택하여 해당 채널이 선국될 때마다 1회씩 증가된다. 이 때, 선호 채널 리스트(200)는 시청 빈도가 높은 순으로 채널 번호 및 방송사가 정렬된다.
이와 같은 시청 빈도에 따른 선호 채널 리스트(200)를 통해 사용자 [1]이 가장 선호하는 채널이 'KBS2'임을 알 수 있다. 또한, 'KBS2'의 채널 번호가 '7'인 것 을 알 수 있으며, 'KBS2' 시청 빈도는 31 회가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은 사용자 '[1]'의 채널 시청 시간에 따른 선호 채널 리스트(300)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에 따르면, 선호 채널 리스트(300)는 선호 채널 리스트 제목 표시 영역(310), 순위 영역(320), 채널 번호 영역(330), 방송사(340) 및 시청 시간 영역(350)이 포함된다.
선호 채널 리스트 제목 표시 영역(310)은 사용자 아이디에 대한 선호 채널 리스트임을 표시한다. 또한, 순위 영역(320)은 소정 갯수의 리스트 번호를 표시한다.
한편, 채널 번호 영역(330)은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대한 번호이며, 방송사 영역(340)은 채널 번호에 대응되는 방송사를 표시한다. 시청 시간 영역(350)은 각 채널의 시청 시간을 표시하며, 시청 시간은 각 채널의 시청 시작 시점에서 시청 종료 시점까지의 시간이 계산되어 누적된다. 이 때, 선호 채널 리스트(300)는 시청 시간이 많은 순으로 채널 번호 및 방송사가 정렬된다.
이와 같은 시청 시간에 따른 선호 채널 리스트(300)를 통해 사용자 [1]이 가장 선호하는 채널이 'SBS'임을 알 수 있다. 또한, 'SBS'의 채널 번호가 '6'인 것을 알 수 있으며, 'SBS'의 시청 시간은 6시간 27분인 것을 알 수 있다.
도 4는 시청 시간대 별로 사용자 '[1]'의 채널 시청 빈도에 따른 선호 채널 리스트(400)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에 따르면, 선호 채널 리스트(400)는 선호 채널 리스트 제목 표시 영역(410), 순위 영역(420), 채널 번호 영역(430), 방송사(440) 프로그램 영역(450) 및 시청 빈도 영역(460)이 포함된다.
선호 채널 리스트 제목 표시 영역(410)은 사용자 아이디에 대한 선호 채널 리스트임을 표시하며, 이 영역의 우측에 현재 시간을 표시한다. 또한, 순위 영역(420)은 소정 갯수의 리스트 번호를 표시한다.
한편, 채널 번호 영역(430)은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대한 번호이며, 방송사 영역(440)은 채널 번호에 대응되는 방송사를 표시한다. 또한, 프로그램 영역(450)은 현재 시간대에 선호하는 채널의 프로그램을 표시한다. 시청 빈도 영역(460)은 각 채널의 시청 빈도를 표시한다. 이 때, 선호 채널 리스트(400)는 현재 시간대에서 시청 빈도가 높은 순으로 채널 번호, 프로그램 및 방송사가 정렬된다.
이와 같은 시청 시간대 별로 생성된 채널 시청 시간에 따른 선호 채널 리스트(400)를 통해 현재 시간, 즉, 오후 9시 15분에 사용자 [1]이 가장 선호하는 채널이 'MBC'이고 해당 프로그램이 'MBC 뉴스데스크'임을 알 수 있다. 또한, 'MBC' 채널 번호가 '11'인 것을 알 수 있으며, 시청 빈도는 37 회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시청 시간대 별로 생성된 선호 채널 리스트는 시청 시간에 따라 표시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의 메시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에 따르면, 문의 메시지는 현재 선국된 채널보다 선호되는 채널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선호 채널 중 최상위 선호 채널에 대한 시청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출력된다.
한편, 문의 메시지는 '[MBC]를 시청하시겠습니까?'라는 내용을 포함하며, 수락 및 거절 영역을 포함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문의 메시지를 확인한 후, 'MBC'를 시청하고자 한다면, '예'를 선택하고, 현재 시청 중인 방송을 계속 시청하고자 한다면', '아니오'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선택한 경우, 방송수신장치(100)는 'MBC'의 방송이 화면상에 출력될 수 있도록 해당 채널을 자동으로 전환하여 선국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타 채널의 방송을 시청하고 있는 중에도 자신의 선호 채널을 확인할 수 있으며, 자동 전환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호 채널 리스트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따르면, 먼저, 방송수신장치(100)는 사용자 아이디 설정 명령을 입력받는다(S610). 구체적으로, 사용자 아이디 설정은 방송수신장치(100)를 온시켰을 때, 화면상에 출력되는 사용자 아이디 설정창을 통해 기 설정된 번호나 문자 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새로이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방송수신장치(100)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1인일 경우, 방송수신장치(100) 작동시 사용자 아이디 설정창의 출력 자체를 미설정할 수도 있다.
이 후, 방송수신장치(100)는 채널 번호를 입력받는다(S620). 여기서 채널 번호의 입력은 리모콘 및 외부 조작 키를 이용하여 채널 번호를 선택하거나 상/하 이동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방송수신장치(100)는 S620 단계에서 입력된 채널 번호를 시청 빈도에 증가한다(S630). 예들 들어, 입력된 채널 번호가 '11'이고 해당 방송사가 'MBC'일 경우, 채널 번호 '11'의 'MBC'에 대한 시청 빈도가 1회 누적된다.
S620 단계에서 입력된 채널 번호에 대응되는 채널을 선국하여 방송신호를 수신받는다(S640).
이후, 방송수신장치(100)는 채널 시청 시간을 선호 채널 리스트의 시청 시간 에 누적한다(S650). 여기서 채널 시청 시간은 채널 시청 시작 시점에서 채널 시청 종료 시점까지의 시간을 계산하여 누적한다.
이 후, S630 단계 및 S650 단계에서 누적된 채널 시청 빈도 및 채널 시청 시간을 이용하여 선호 채널 리스트를 생성한다(S660). 구체적으로, 선호 채널 리스트는 앞서 입력된 사용자 아이디에 해당하는 사용자에 대한 것이며, 채널 시청 빈도 및 채널 시청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선호 채널 순위를 정하고, 선호 채널 순위에 따라 선호 채널 리스트를 생성한다. 또한, 시간대 별로 선호하는 채널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다음, 방송수신장치(100)는 생성된 선호 채널 리스트를 출력한다(S670).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본인의 선호 채널을 확인하여 원하는 채널로 보다 빠르고 쉽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호 채널 리스트 활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따르면, 먼저, 방송수신장치(100)는 채널 번호를 입력받는다(S710). 이 후, 입력된 채널 번호에 대응되는 채널을 선국한다(S720).
다음, 방송수신장치(100)는 현재 선국된 채널보다 선호되는 채널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S730). 여기서 선호 채널 확인은 선호 채널 리스트를 이용하여 가능하다.
이 후, 현재 선국된 채널보다 선호되는 채널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방송수신장치(100)는 확인된 선호 채널 중 최상위 선호 채널에 대한 시청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생성한 후, 출력한다(S740).
다음, 문의 메시지에 대응되는 수락 명령이 입력되면(S750), 확인된 선호 채널을 자동으로 전환하여 선국한다(S760).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선호 채널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아이디 별로 채널 시청 빈도 및 채널 시청 시간이 높은 순서로 선호 채널 리스트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선호 채널 리스트를 제공하여 채널 전환시, 불필요한 채널 검색 및 시간 낭비를 감소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에 있게 된다.

Claims (5)

  1. 사용자 아이디 별 선호 채널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부;
    사용자 아이디 및 채널 선국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사용자 아이디에 대한 선호 채널 정보를 확인하여, 선호 채널 리스트를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선호 채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출력부;
    상기 채널 선국 명령에 대응되는 채널을 선국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및,
    상기 신호 수신부의 채널 선국 상태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선호 채널 정보를 갱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수신부에 의해 현재 선국된 채널보다 선호되는 채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상기 리스트를 통해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선호 채널에 대한 시청 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생성부 및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시청 빈도 및 시청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선호 채널 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선호 채널 순위에 따라 상기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시간대별 시청 채널에 대한 정보를 상기 리스트 상에 추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시지에 대응하는 수락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확인된 선호 채널을 선국하고, 상기 메시지에 대응되는 거절 명령이 입력되면 현재 선국된 채널을 유지하도록 상기 신호 수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KR1020050117716A 2005-12-05 2005-12-05 선호 채널 리스트를 표시하는 방송수신장치 KR100742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716A KR100742345B1 (ko) 2005-12-05 2005-12-05 선호 채널 리스트를 표시하는 방송수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716A KR100742345B1 (ko) 2005-12-05 2005-12-05 선호 채널 리스트를 표시하는 방송수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890A KR20070058890A (ko) 2007-06-11
KR100742345B1 true KR100742345B1 (ko) 2007-07-25

Family

ID=38355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7716A KR100742345B1 (ko) 2005-12-05 2005-12-05 선호 채널 리스트를 표시하는 방송수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234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831A (ko) * 2001-07-20 2003-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 및 그 사용자별 프로그램 수신방법
KR20030067816A (ko) * 2002-02-08 2003-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신호 수신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831A (ko) * 2001-07-20 2003-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 및 그 사용자별 프로그램 수신방법
KR20030067816A (ko) * 2002-02-08 2003-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신호 수신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890A (ko) 2007-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8752B1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television programs based on the past selection history of an identified user
KR100429221B1 (ko) 디지털 티브이 및 그 채널 정보 제공방법
JPH10510691A (ja) テーマによってチャンネルを走査する装置及び方法
US200100100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on-timer channel of digital broadcast receiver
KR20030070275A (ko) 선호 채널 관리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시청률 조사장치 및 방법
US20090044220A1 (en) Creating shortlists for control of a broadcast receiver
KR100658854B1 (ko) 영상표시기기의 채널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040133906A1 (en) Device for selecting channel of radio and television sets and method for selecting channel of radio and television sets
KR100407964B1 (ko) 디지털 티브이 및 그 사용자별 프로그램 수신방법
KR20050005652A (ko) 디지털 티브이 및 그 채널 설정방법
KR100742345B1 (ko) 선호 채널 리스트를 표시하는 방송수신장치
JP3703357B2 (ja) 受信装置
JP4486214B2 (ja) テレビ受信機およびテレビ受信機の表示制御方法
KR100780725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프로그램 안내 정보 갱신 방법
JP5432570B2 (ja) 番組情報検索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JP2008271392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1295566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전환 방법
KR20000044728A (ko) 디지털 텔레비젼에서의 프로그램 예약 방법
KR20110057462A (ko) 텔레비전 수신 장치에서 채널 전환 장치 및 방법
KR100686773B1 (ko) 영상표시기기의 채널 설정장치 및 방법
KR100742338B1 (ko) 채널을 네비게이션할 수 있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JP2005110282A (ja) 情報素材選択
KR101101524B1 (ko) 영상표시기기의 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
JP2013201497A (ja)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およびチャンネル選択方法
KR20000044783A (ko) 디지털 텔레비젼에서의 현재 방송 프로그램 디스플레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