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1171B1 - 경막외마취용 니들 및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 - Google Patents

경막외마취용 니들 및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1171B1
KR100741171B1 KR1020060119904A KR20060119904A KR100741171B1 KR 100741171 B1 KR100741171 B1 KR 100741171B1 KR 1020060119904 A KR1020060119904 A KR 1020060119904A KR 20060119904 A KR20060119904 A KR 20060119904A KR 100741171 B1 KR100741171 B1 KR 100741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epidural
anesthesia
catheter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9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범
Original Assignee
강신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신범 filed Critical 강신범
Priority to KR1020060119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11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1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1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5/04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in the body, e.g. expansi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1Puncturing needles for the peridural or subarachnoid space or the plexus, e.g. for anaesth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06"Over-the-needle" catheter assemblies, e.g. I.V. cath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막외마취시 사용되는 경막외마취용 니들 및 상기 니들을 사용하는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은 상단 일측이 곡면을 형성하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의 타측 일단으로부터 형성되는 니들절개홈을 갖는 중공 원통 형상의 니들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니들 몸체와 결합되는 니들고정구와, 그 일단이 상기 니들 및 상기 니들고정구를 관통하여 삽입되며 타단이 하기 카테타고정구에 일체로 결합된 카테터와 상기 카테타고정구의 하단을 잡아 고정하는 카테터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경막외마취, 에피듀랄니들(Epidural Needle), 카테터

Description

경막외마취용 니들 및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The Epidural Needle and The Epidural Device}
도 1은 경막외마취가 이루어지는 척수부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a는 종래 기술상의 경막외마취용 니들의 사시도
도 2b는 종래 기술상의 스타일렛의 사시도
도 2c는 종래 기술상의 주사기결합구의 사시도
도 2d는 카테터(Catheter)의 사시도
도 2e는 종래 기술상의 카텍터커낵터(Catheter Connector)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막외마취장치의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막외마취용 니들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의 정면도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막외마취용 니들의 정면도
도 4d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Sheath)가 덮인 상태의 사시도이고, B는 상기 덮개(Sheath) 일부가 절개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니들고정구 및 니들고정구용날개의 결합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니들고정구의 사시도이고,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니들고정구의 사시도
도 5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니들고정구의 사시도
도 5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니들고정구용날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고정구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 100 : 경막외마취용 니들
101 : 니들몸체 103 : 만곡부
105 : 니들절개홈 107 : 원추형선단
109 : 나사산 300 : 덮개(Sheath)
301 : 절개선 303 : 절개손잡이
500 : 니들고정구 501 : 니들고정부
503 : 제1플랜지 505 : 날개결합부
507 : 제2플랜지 509 : 카테터고정구결합부
511 : 주사기결합부 513 : 원추형선단
515 : 니들고정구용덮개 517 : 니들고정구용절개홈
519, 520 : 나사산 700 : 니들고정구용날개
삭제
삭제
702 : 계지홈 800 : 카테터
900 : 카테터고정구 901 : 카테터고정구용본체
903 : 카테터고정구용덮개 905 : 카테터고정구용캡
907 : 나사산 1001 : 피부(Skin)
1002 : 극상인대 1003 : 횡인대
1004 : 척수경막 1000 : 경막외강
10 : 경막외마취용 니들 20 : 스타일렛
30 : 주사기결합구 40 : 카테터
50 : 카테터커낵터 51 : 카테터커넥터용덮개
52 : 카테터커넥터용캡
본 발명은 경막외마취시 사용되는 경막외마취용 니들 및 상기 니들을 사용하는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은 상단 일측이 곡면을 형성하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의 타측 일단으로부터 형성되는 니들절개홈을 갖는 중공 원통 형상의 니들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는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과, 상기 니들 몸체와 결합되는 니들고정구와, 상기 니들 및 상기 니들고정구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카테터 고정을 위한 카테터고정구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경막외마취시 마취과정상의 편의를 도모하고 감염우려를 낮출 수 있는 경막외마취용 니들 및 마취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취란 무의식, 무통, 혹은 수술에 방해가 되는 신체반응의 제거를 말하며, 이러한, 마취는 인류의 역사와 함께 존재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인바, 특히 16세기에 전신마취를 위해 에테르를 이용하게 되면서부터 마취과학은 눈부신 발전을 거듭해 왔다.
일반적으로, 전술한 무의식, 무통, 혹은 수술에 방해가 되는 신체반응 제거 모두에 해당되는 마취를 전신마취라 하고, 신체의 일부분만을 마취하며 의식의 소실은 없는 것을 부위마취 또는 국소마취라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경막외마취는 경막외강 내 척수를 둘러싸는 경막외측에 가는 관을 넣어 그곳에 국소마취제를 주입하여 선택적으로 척수신경을 차단하는 방법으로, 명확한 생리적 이해와 다양한 국소마취제의 활용으로 인해 현재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마취방법의 하나이다.
또한, 경막외마취방법은 단순히 수술을 위한 마취뿐만 아니라 분만이나 수술 후 통증관리 등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다른 나라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출산 전 관리(Antenatal Care)가 이루어지는 우리나라의 실정에서 볼 때, 가장 중요하게 취급되는 마취방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경막외마취는 무통분만에 있어서 가장 효율적인 마취방법인데, 무통분만이란 산모를 옆으로 돌려 눕힌 뒤 척추와 척추 사이(주로 요추)를 통하여 경막과 척추사이를 연결하는 인대 사이에 있는 경막 바깥의 공간, 즉 경막외강에 가느다란 관을 삽입하고 이관을 통해 희석된 국소마취제를 투여함으로써, 산모가 통증이나 의식저하 없이도 분만과정에 협조할 수 있도록 하여 분만을 유도하는 방법을 말한다.
상기 경막외마취방법은 과거 수년간 비교적 고농도의 국소마취제를 사용함에 따른 부작용, 즉 심한 운동차단의 문제 및 경막외마취에 사용한 약물 중 일부가 척 수에서 전신으로 흡수됨에 따라 산모와 아기에게 해가 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으나, 최근에는 카테터(Catheter), 척추바늘, 약물주입기구 등 기구가 발전하였고 독성이 적고 효과가 뛰어난 국소마취제와 경막외 지주막하 마약 제제의 투여법 등의 발전이 이루어짐으로써 전술한 문제점의 해결이 가능해져 우수한 장점을 지닌 마취방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이처럼 우수한 마취방법인 경막외마취방법을 따르는 경우라 하여도, 상기 경막외마취를 위한 종래 마취 기구상에는 간과할 수 없는 중대한 단점이 존재하였는바, 이하에서는 경막외마취에 사용되는 종래의 마취기구 및 마취방법을 살펴보고 그 문제점을 지적해보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경막외마취가 이루어지는 척수부의 구조를 알 수 있다. 인체의 신경이 통과하는 척수부는 여러 개의 근육막이 감싸고 있는 구조로, 바깥쪽으로부터 피부(1001,Skin), 극상인대(1002,Interspinous Ligament), 횡인대(1003,Ligamnenet Flavum), 그리고 척수경막(1004,Dura mater)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중 상기 척수경막(1004,Dura mater)의 바깥쪽에 위치한 2mm의 공간을 경막외강(1000,Epidural Space)이라 하고, 이 공간에 국소마취제가 주입된다.
상기 경막외강(1000)은 약간의 음압(Negative Pressure)이 걸려있는 빈 공간이므로 주사바늘이 이 지점에 이르면 갑자기 주사기에 느껴지는 저항이 급격히 감소하게 되는데 이 신호가 주사기가 경막공간에 위치했음을 알려주는 중요한 신호가 된다.
또한, 마취제가 상기 경막외강(1000)에 이르기 전에 주입될 경우, 목적하는 마취제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주사바늘이 경막을 통과하게 될 경우 환자에게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감염우려가 있게 되는바 경막외마취를 시술하기 위해서는 각 근육막을 통과할 때의 촉감과 주사기 끝이 상기 경막외강(1000)에 이르렀을때 압력이 감소하는 현상을 알아챌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즉, 수술이나 마취 등의 의료 시술에서 촉감은 시각과 더불어 가장 중요한 정보의 통로 역할을 하고 있는바, 도구를 통해 손끝에 느껴지는 감각을 통해 의사는 시술의 성공과 진행 정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는 의료인력의 숙련도를 결정 지을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기도 하나, 그 습득을 위해서는 장기간의 경험과 많은 시술횟수를 요한다. 특히, 마취나 시침 등의 주사기를 이용한 시술의 경우 모든 작업이 전적으로 손끝에서 느껴지는 촉감에 의지해서 이뤄지기 때문에 전술한 경막외마취에 있어서도 이러한 감각은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것이지만, 숙련자가 아닐 경우에도 마취를 해야할 상황이란 반드시 있을 것이며, 이를 위해서 현재 관련업계에서는 경막외마취 니들(10)을 일정 정도까지 밀어넣은 후 주사기로 인체에 무해한 생리식염수를 투입하는 방법으로 상기 경막외강(1000)에 상기 니들(10)이 투입됐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이하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e를 참조하면, 경막외마취에 사용되는 도구를 알 수 있다.
도 2a는 경막외마취에 사용되는 경막외마취용 니들(10,Epidural Needle)이고, 도 2b는 스타일렛(20)이며, 도 2c는 전술한 사항중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이 상기 경막외강(1000)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구비되는 주사기결합구(30)이고, 도 2d는 카테터(40,Catheter)이며, 도 2e는 카텍터커낵터(50,Catheter Connector)를 나타낸 것이다.
경막외마취의 경우 인튜베이션 튜브를 사용하는 전신마취와 달리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을 사용하는데, 사용되는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은 다양한 종류가 있으나, 대게 삽입시 내측 인대 등을 상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해 끝부분이 굽어진 토하이 니들(Touhy Needle)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 스타일렛(20)은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을 상기 경막외강(1000)까지 밀어넣는 과정에서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에 불필요한 조직 등의 이물질이 끼어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일종의 막음재 역할을 담당하는 도구를 말한다.
상기 스타일렛(20) 없이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만을 삽입하는 경우에는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 내부로 이물질이 끼어들어갈 수 있으므로 후술하는 상기 카테터(40)의 삽입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생긴다. 그러나, 상기 스타일렛(20)은 최초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에 삽입된 상태로 구비되나, 이후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을 일정 위치까지 삽입한 경우 제거되는 도구이므로, 처음부터 상기 카테터(40)가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에 삽입된 상태로 존재한다면 없어도 무방한 불필요한 도구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주사기결합구(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이 상기 경막외강(1000)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필요한 도구를 말한다. 즉, 고도로 숙련된 마취의가 아닐 경우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이 상기 경막외강(1000)에 정확히 삽입되었는지를 아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므로, 먼저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을 피부 및 인대를 관통하여 임시적으로 삽입한 후, 상기 주사기결합구(30)를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과 결합하고, 생리식염수 등의 인체에 무해한 액상 물질을 충전시킨 주사기를 상기 주사기결합구(30)와 결합시킨 후, 주사기의 충전물질을 조금씩 투여하면서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을 점진적으로 삽입하는 방법에 의해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의 정확한 삽입위치를 찾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이 인대부근에 삽입된 경우, 양압(Positive Pressure)이 걸려있는 인대의 특성상 상기 주사기 충전물질 투여시 충전물질이 다시 상기 주사기결합구(30)를 통해 밀려나오게 되나,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이 상기 경막외강(1000)에 삽입된 경우, 음압(Negative Pressure)이 걸려있는 상기 경막외강(1000)의 특성상 투여물질이 더 이상 밀려나오지 않게 되므로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의 정확한 삽입위치를 찾아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을 정확한 위치에 삽입한 후에는 상기 주사기결합구(30)를 제거하고 상기 카테터(40)를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을 관통하여 삽입하게 된다.
상기 주사기결합구(30)는 숙련된 의사에게는 불필요한 도구이며, 상기 경막외강(1000)을 정확히 찾아내기 어려운 미숙련의의 경우에도 다른 방법을 통해 상기 경막외강(1000)의 위치를 찾아낼 수 있는 경우, 과정상의 복잡함만 더할 뿐 그 존재의의를 찾기 어려운 불필요한 도구로 볼 수 있으며, 제거시 불필요한 인력낭비를 막을 수 있고, 비용절감 및 경막외마취과정상의 효율성 증대를 꾀할 수 있으므로 종래 경막외마취 장치에는 문제점이 없다고 할 수 없을 것이다.
상기 카테터(40)는 체강(늑막강·복막강) 또는 관상(管狀)·낭상(囊狀) 기관(소화관·방광 등)의 내용액의 배출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무 또는 금속제의 가는 관을 말하나, 본래의 목적과는 반대로 약제나 세정액의 주입 등에도 응용될 수 있는 도구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카테터(40)는 마취용 약제를 주입하기 위해 구비되는 도구로써의 의미를 가지며, 이하에서 동일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카테터(40)의 삽입까지 완료된 후에는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을 상기 카테터(40)를 따라 끌어내림으로써 제거하게 되며,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 제거후에는 상기 카테터(40)의 끝단을 상기 카테터커낵터(50) 상측에 삽입하게 되고, 상기 카테터커낵터(50)의 캡(52)을 제거한 후, 상기 카테터커낵터의 덮개(51)를 눌러 덮음으로써 상기 카테터(40)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며, 다음으로는 상기 카테터커낵터(50)에 약물용주사기를 삽입하고 약물을 주입하는 방법으로 경막외마취과정이 진행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 과정상 상기 카테터(40)를 따라서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을 끌어내리는 것은 매우 긴 상기 카테터(40)의 길이를 감안해 볼때 결코 간단한 일이 아닐 뿐만 아니라,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 제거과정에서 상기 카테터(40)가 바닥이나 벽면에 닿을 수 있는 위험성도 존재하므로 매우 주의를 요하는 일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즉, 상기 카테터(40)가 바닥이나 벽면에 닿는 경우, 상기 카테터(40)를 멸균포장하는 의미자체가 퇴색될 수밖에 없으며, 감염의 우려가 증대되게 되므로, 경막외마취를 해야하는 의료상황에 무관하게 오히려, 세균감염을 통한 농증(膿症)이 생길 수 있다. 상기 경막외강(1000)에 농증(膿症)이 발생하는 경우, 단순한 치료만으로 이를 치유할 수는 없으며, 반드시 절개수술을 통해 이를 제거해야한다는 점을 생각한다면, 전술한 문제점은 더욱 심각해질 수밖에 없다. 또한, 무통분만을 위해 경막외마취술을 시행하는 경우 아무리 적은 양의 세균감염이 일어난다 해도, 이는 아직 자체 면역력을 충분히 갖추지 못한 태아에게 있어서는 돌이킬 수 없는 치명적 결과를 야기시킬 수 있는바, 종래 기술상 문제점은 매우 우려할 만한 수준의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경막외마취과정이란 다양한 도구를 필요로 하는 복잡한 과정으로, 수인이 서로 협조하여 경막외마취를 진행해야하며, 여러 가지 도구를 삽입하거나 제거해야 하는 등의 진행과정상 번거로움은 별개로 하더라도, 상기 과정 진행상의 많은 위험요소가 내재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경막외마취과정을 가장 단순화할 경우 결국 필요한 도구는 상기 카테터(40)일 뿐임에도, 상기 카테터(40)를 상기 경막외강(1000)에 정확히 삽입시키고, 이를 통해 희석된 국소마취제를 투여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복잡한 도구의 결합 및 제거가 요구되는 것이므로, 경막외마취장치를 단순화할 수 있다면 전술한 문제점들의 해결이 가능해 질 수 있다.
특히, 경막외마취 과정 진행상 발생할 수 있는 세균감염의 문제만큼은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만 하는 중차대한 문제라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히 제거할 수 있는 경막외마취용 니들을 제공함으로써 경막외마취 시술상의 편의성을 더하고, 불필요한 인력낭비를 막으며, 특히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 제거시 발생가능한 세균감염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는 경막외마취용 니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 카테터 및 카텍터커낵터가 일체로 구비된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간단하고 신속하게 경막외마취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하고, 불필요한 도구 제거를 통한 비용절감 및 세균감염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는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막외강을 정확히 찾아낼 수 없는 미숙련의의 경우라도, 쉽고 간단하게 경막외강의 위치를 찾아낼 수 있도록 하는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경막외마취용 니들은 상단 일측이 곡면을 형성하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의 타측 일단으로부터 형성되는 니들절개홈을 갖는 중공 원통 형상의 니들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는 상단 일측이 곡면을 형성하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의 타측 일단으로부터 형성되는 니들절개홈을 갖는 중공 원통 형상의 니들몸체를 포함하는 경막외마취용 니들과, 상기 니들 몸체와 결합되는 니들고정구와, 그 일단이 상기 니들 및 상기 니들고정구를 관통하여 삽입되며 타단이 하기 카테타고정구에 일체로 결합된 카테터와 상기 니들고정구의 하단을 잡아 고정하는 카테터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경막외마취용 니들은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은 적어도 상기 니들절개홈을 부분적으로 덮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은 적어도 상기 니들절개홈을 부분적으로 덮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경막외마취용 니들은,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절개선 및 절개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는,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절개선 및 절개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는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니들몸체 및 상기 니들고정구는 나사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는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니들몸체는 원추형 선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는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니들고정구는 원추형 선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는 제 7 실시예 내지 제 9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니들고정구는 상기 니들고정구 일측에 형성되는 니들고정구용절개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는 제 7 실시예 내지 제 9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니들고정구 및 상기 카테터고정구는 나사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는 제 7실시예 내지 제 9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니들고정구는 원추형 선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는 제 7 실시예 내지 제 9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고정구는 원추형 선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니들고정구는 경막외강의 정확한 위치파악을 위한 약물 주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주사기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는 제 7 실시예 내지 제 9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니들고정구는 경막외강의 정확한 위치파악을 위한 약물을 주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주사기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출원인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앞서 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1)는 경막외마취용 니들(100), 덮개(300), 니들고정구(500), 니들고정구용날개(700), 카테터(800) 및 카테터고정구(900)가 일체형으로 결합된 상태로 준비된다.
종래기술과의 차이를 나타내고자 종래기술상의 경막외마취용 니들은 도면부호 10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막외마취용 니들은 도면부호 100으로 나타내었고, 종래기술상의 카테터는 도면부호 40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는 도면부호 800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0), 상기 니들고정구(500) 및 상기 카테터고정구(900)에는 이미 상기 카테터(800)가 삽입된 상태로 존재해야 하므로, 각각의 부재 내측에는 상기 카테터(800) 삽입을 위한 중공 원통 형상이 포함되야 하고, 이하에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0)은 니들몸체(101), 만곡부(103) 및 니들절개홈(105)을 가지며, 상기 니들몸체(101) 하측은 나사산(109)을 포함한다.
상기 니들몸체(101)는 상기 카테터(800)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을 내부에 포함하고 전체적으로 중공 원통 형상을 가지나, 상기 니들절개홈(105)이 일측에 형성되는바 도시한 것과 같이 일측면이 절단된 형상의 중공 원통 형상을 포함한다.
상기 만곡부(103)는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0)을 경막외강에 삽입시 내측 인대 등이 상하는 일을 방지하고자 포함되는 구성으로 일반적 토하이 니들(Touhy Needle)의 형상을 그대로 따른다.
상기 니들절개홈(105)은 상기 카테터(800)로부터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0)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채택된 구성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0)의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0) 일측면이 일정 부분이 절개된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니들절개홈(105)의 폭은 상기 카테터(800)의 크기에 따라 상대적으로 결정되어야 하는바, 후술하는 상기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1)의 사용예에서 살펴볼 바와 같이 상기 카테터(800)가 경막외강에 삽입된 후,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0)의 분리에 있어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을 정도, 즉 사용되어 지는 상기 카테터(800)보다 약간 크게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의 사용예를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나사산(109)은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0)과 상기 니들고정구(500) 간의 결합·분리의 편의성을 도모하고자 추가되는 구성으로 결합·분리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다른 방법이 있다면 이를 따라도 무방하다.
즉, 도 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나사산(109)에 갈음하여 상기 니들몸체(101) 하측에 원추형선단(107)이 포함된 경우를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0)과 상기 니들고정구(500)는 일반적인 압입방식에 의해 상호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니들몸체(101) 하측에 형성되는 상기 원추형선단(107)에 갈음하여 상기 니들고정구(500)의 하기 니들고정부(501)에 원추형선단(513)을 포함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이를 도 5c에 도시하였다.
도 4d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덮개(300)는 중공 원통 형상의 부재로써, 절개선(301) 및 절개손잡이(303)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300)는 상기 니들몸체(101)를 직접적으로 둘러싸는 부재이므로 상기 경막외강까지 그대로 삽입됨을 고려할 때 Clear PVC, Siliconized PVC 또는 Clear Polyurethane 등의 인체에 무해한 성분을 가진 물질로서 제작되야 하고,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0)을 상기 카테터(80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과도한 힘을 요하지 않도록 쉽게 찢어질 수 있는 물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덮개(300)는 상기 니들몸체(101) 전체가 아닌 일부만을 덮도록 크기가 결정되야 하는바, 상기 만곡부(103) 및 상기 나사산(109) 또는 상기 원추형선단(107)의 기능을 고려할 때 상기 만곡부(103)의 시작점에서부터 시작하여 상기 나사산(109) 또는 상기 원추형선단(107)의 시작점 전까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개선(301) 및 절개손잡이(303)는 상기 덮개(300)를 쉽게 찢어낼 수 있도록 포함되는 구성으로 도면상에는 두 줄로 상기 절개선(301)을 나타내었으나 한 줄 또는 세 줄 이상의 상기 절개선(301)을 포함시켜도 무방하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니들고정구(500) 및 상기 니들고정구용날개(700)가 결합된 상태를 알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니들고정구(500)는 니들고정부(501), 제1플랜지(503), 날개결합부(505), 제2플랜지(507), 카테터고정구결합부(509) 및 주사기결합부(511)를 포함한다.
상기 니들고정부(501)는 상기 니들몸체(101)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기 니들몸체(101)가 하측에 상기 나사산(109)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니들고정부(501)의 내측에도 이에 대응하는 나사산(519)이 포함되어야 하나,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압입방식에 의한 결합의 경우에는 상기 나사산(519)의 생략이 가능하다.
또한, 결합의 편의를 위해 상기 니들고정부(501) 내측에 상기 원추형선단(513)을 포함시킬 수 있으며, 이를 도 5c에 나타내었다. 이 경우 상기 원추형선단(513)은 상기 니들몸체(101)의 삽입정도에 따라 그 크기가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제1플랜지(503), 날개결합부(505) 및 제2플랜지(507)는 상기 니들고정구(500)와 상기 니들고정구용날개(700)를 결합하기 위해 포함되는 구성으로, 상기 니들고정부(501) 하단에서 확장되어 지름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재형상의 상기 제1플랜지(503), 상기 제1플랜지(503) 하면에서 축경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카테터(800)의 통과를 위한 중공 원통 형상을 포함하는 상기 날개결합부(505), 상기 날개결합부(505)의 하단에서 다시 확장되어 지름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재형상의 제2플랜지(507)가 형성된다.
결국, 상기 니들고정구용날개(70)는 상기 날개결합부(505)에 끼워맞춤되는 방법으로 상기 니들고정구(500)와 결합되게 되며, 상기 니들고정구(500)와 결합된 상기 니들고정구용날개(70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플랜지(503) 및 상기 제2플랜지(507) 간의 간격, 즉 상기 날개결합부(505)의 길이와 상기 니들고정구용날개(700)의 두께를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테터고정구결합부(509)는 상기 카테터고정구(900)와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520)을 하측에 포함하며, 상기 니들몸체(101)와 마찬가지로 압입방식에 의한 결합도 가능한바, 이 경우 상기 나사산(520)은 생략가능하다.
상기 주사기결합부(511)는 종래기술에서 살핀 바와 같이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0)이 상기 경막외강에 정확히 위치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으로, 중공 원통 형상을 포함하여 주사기 결합 후 상기 주사기에 충전된 물질의 주입이 가능하도록 하고, 숙련된 의사의 경우 촉감만으로 상기 경막외강의 위치를 찾아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5d를 참조하면, 상기 니들고정구(500)가 니들고정구용절개홈(517) 및 니들고정구용덮개(515)를 더 포함하는 경우를 알 수 있다.
상기 니들고정구용절개홈(517)(도면상 상기 니들고정구용덮개(515)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됨)은 상기 니들고정구(500) 일측 일부가 절개된 상태로, 상기 니들고정구(500)의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 전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니들고정구(500)를 상기 카테터(800)로부터 완전히 분리해 내고자 하는 경우, 즉 상기 니들고정구(500)와 상기 카테터고정구(900)를 결합하지 않는 경우 사용된다.
또한, 상기 니들고정구용덮개(515)는 상기 니들고정구용절개홈(517)가 메우는 부재로써 상기 니들몸체(101)를 덮는 상기 덮개(30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고, 경막외마취과정 진행 중 상기 니들고정구용절개홈(517)으로부터 상기 카테터(800)가 분리될 염려가 없는 경우라면, 상기 니들고정구용덮개(515)의 생략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니들고정구용덮개(515)는 상기 덮개(300)와 마찬가지로 절개손잡이나 절개선을 포함시킬 수 있다.
도 5e를 참조하면, 상기 니들고정구용날개(700)은 판재형상으로 중앙 일단으로부터 형성되는 계지홈(701)을 포함한다.
상기 계지홈(702)은 상기 니들고정구용날개(700)를 상기 날개결합부(511)와 끼워맞춤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으로 상기 날개결합부(511)의 크기에 따라 상대적으로 결정되는 크기를 갖는다.
상기 니들고정구용날개(700)는 상기 주사기 및 상기 주사기결합부(511)의 결합 또는 상기 주사기를 통한 충전물질 주입시 작업의 편의를 위해 갖춰지는, 일종의 손잡이 역할을 담당하는 구성이므로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카테터고정구(900)는 카테터고정구용본체(901), 카테터고정구용덮개(903) 및 카테터고정구용캡(905)를 포함한다.
상기 카테터고정구용본체(901)는 상측에 상기 카테터고정구결합부(509)와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907)이 포함되고,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압입방식에 의한 결합을 택할시 상기 나사산(907)은 생략가능하다.
상기 카테터고정구용덮개(903)은 도 2e에 도시된 카테터커넥터용덮개(51)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말하는데,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카테터(800)가 이미 상기 카테터고정구(900)에 삽입된 상태로 준비될 수 있음을 감안할 때 생략되어도 관계없다.
상기 카테터고정구용캡(905)은 상기 카테터(800)가 상기 경막외강에 정확히 삽입된 후, 희석된 국소마취제를 주입하기 위해 포함되며, 전술한 상기 카테터(800)의 삽입완료시 상기 카테터고정구용캡(905)을 벗겨내고, 국소마취제 투입을 위한 주사기를 결합한 후, 상기 마취제를 주입하는 방법으로 경막외마취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1)의 결합관계 및 사용순서·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경막외마취를 시술하기 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1)가 준비되어야 한다. 이 경우,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0) 표면은 상기 덮개(300)로 덮여 있고,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0) 하측은 상기 니들고정구(500)의 상기 니들고정부(501)에 삽입된 상태로 구비되며,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0) 및 상기 니들고정구(500)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상기 카테터(800) 끝단에는 상기 카테터고정구(900)가 결합된 상태로 마련된다.
즉, 종래기술과 같이 경막외마취용 니들(10)을 환자에게 삽입한 후, 스타일렛(20)을 제거하고, 카테터(40)를 삽입한 후 카테터커낵터(50)를 결합시키는 번거로운 과정을 밟지 않더라도, 본 발명에 따라 경막외마취를 시술하는 경우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0)만을 환자에게 삽입하면 되므로 간단하고 편리한 시술이 가능해지며, 불필요한 인력낭비 및 기구를 줄이고, 이를 통한 시간단축 및 비용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상기 카테터(800)의 길이가 아무리 길더라도, 상기 카테터(800) 상측은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0)에 이미 삽입된 상태로 존재하고, 상기 카테터(800) 하측은 상기 카테터고정구(900)와 이미 결합된 상태로 존재하므로, 환자 몸으로 삽입되는 상기 카테터(800)의 상측 및 국소마취제가 투입되는 상기 카테터(800) 하측이 바닥이나 벽면에 쓸릴 염려가 전혀 없게 되므로, 이를 통해 감염예방이라는 중대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1)의 준비를 마친 뒤에는, 경막외강의 정확한 위치까지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0)을 밀어넣는다. 이 경우,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숙련의의 경우 상기 주사기결합부(511)는 불필요할 것이나, 미숙련의의 경우 상기 주사기결합부(511)에 생리 식염수 등이 충전된 주사기를 결합시키고, 이를 조금씩 주입하면서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0)을 상기 경막외강까지 삽입하면 된다.
종래기술은 전술한 상기 경막외강의 정확한 위치를 찾기 위해 생리 식염수 등을 주입하는 경우에도, 상기 스타일렛(20)을 제거하고 상기 주사기결합구(30)를 결합한 후, 주사기를 상기 주사기결합구(30)에 삽입하여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을 상기 경막외강(1000)까지 밀어넣고, 또다시 상기 주사기결합구(30)를 제거한 후 상기 카테터(40)를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에 삽입하는 복잡한 과정을 요하는바, 본 발명과는 비교할 수도 없을 만큼 작업의 효율이나 편의가 떨어지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0)을 상기 경막외강(1000)까지 정확하게 삽입한 후에는 상기 카테터(800)를 조금씩 밀어넣으며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0)을 조금씩 당김으로써, 상기 카테터(800)만이 상기 경막외강(1000)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경막외 마취용 니들(100)이 피부(1001)로부터 완전히 이격될 정도로 빠져나온 후에는 상기 니들고정구(500)의 상기 니들고정부(501)로부터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0)을 분리하고(상기 나사산(109) 포함시에는 돌려서 빼내는 방법을 따르고, 압입방법에 의한 결합일 시에는 그대로 빼내는 방법을 따른다), 상기 덮개(300)의 상기 절개손잡이(303)를 잡고 상기 절개선(301)을 따라 상기 덮개(300)를 절개하며, 상기 덮개(300)를 절개한 후에는 상기 카테터(800)로부터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0)을 분리해 내면 된다.
본 발명의 경우, 종래기술과 달리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0)을 분리할 수 있는 구성을 따름으로써, 작업상의 편의성뿐만 아니라 감염우려까지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경막외마취용 마치장치(1)가 제공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100)의 분리까지 마친 후에는, 상기 니들고정구(500)와 결합된 상기 니들고정구용날개(700)를 상기 카테터(800)를 따라 끌어내린 후, 상기 카테터고정구결합부(509)와 상기 카테터고정구(900)를 결합시키고, 국소마취제 주입시 손잡이로써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황에 따라서 상기 니들고정구(500)로부터 상기 니들고정구용날개(700)를 분리하여 상기 니들고정구용날개(700)를 제거하고, 상기 니들고정구용덮개(515)를 찢은 후 상기 니들고정구(500)로부터 상기 카테터(800)를 분리함으로써 상기 카테터(800)와 상기 카테터고정구(900)만을 남겨 두어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간단히 제거할 수 있는 경막외마취용 니들을 제공함으로써 경막외마취 시술상의 편의성을 더하고, 불필요한 인력낭비를 막으며, 특히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 제거시 발생가능한 세균감염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는 경막외마취용 니들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 경막외마취용 니들, 카테터 및 카텍터커낵터가 일체로 구비된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간단하고 신속하게 경막외마취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하고, 불필요한 도구 제거를 통한 비용절감 및 세균감염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는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경막외강을 정확히 찾아낼 수 없는 미숙련의의 경우라도, 쉽고 간단하게 경막외강의 위치를 찾아낼 수 있도록 하는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포함한다.

Claims (15)

  1. 삭제
  2. 상단 일측이 곡면을 형성하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의 타측 일단으로부터 형성되는 니들절개홈을 갖는 중공 원통 형상의 니들몸체와, 적어도 상기 니들절개홈을 부분적으로 덮는 덮개를 포함하는 경막외마취용 니들과,
    상기 니들 몸체와 결합되는 니들고정구와,
    그 일단이 상기 니들 및 상기 니들고정구를 관통하여 삽입되며 타단이 하기 카테터고정구에 일체로 결합된 카테터와,
    상기 니들고정구의 하단을 잡아 고정하는 카테터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니들은 상기 카테터를 포함한 채 일체로 인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절개선 및 절개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몸체 및 상기 니들고정구는 나사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몸체는 원추형 선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고정구는 원추형 선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
  10.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고정구는 상기 니들고정구 일측에 형성되는 니들고정구용절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
  11.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고정구 및 상기 카테터고정구는 나사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
  12.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고정구는 원추형 선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
  13.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고정구는 원추형 선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
  1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고정구는 경막외강의 정확한 위치파악을 위한 약물 주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주사기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
  15.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고정구는 경막외강의 정확한 위치파악을 위한 약물을 주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주사기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
KR1020060119904A 2006-11-30 2006-11-30 경막외마취용 니들 및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 KR100741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904A KR100741171B1 (ko) 2006-11-30 2006-11-30 경막외마취용 니들 및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904A KR100741171B1 (ko) 2006-11-30 2006-11-30 경막외마취용 니들 및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1171B1 true KR100741171B1 (ko) 2007-07-20

Family

ID=38499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9904A KR100741171B1 (ko) 2006-11-30 2006-11-30 경막외마취용 니들 및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11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9339A (ko) 2021-03-16 2022-09-2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음파 유도하 미추 경막외 신경차단용 바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45874A1 (en) 2002-11-20 2005-11-03 Vygon Device for locoregional anesthesia and method for making the cannula of said device
US6973346B2 (en) 2000-03-13 2005-12-06 Arrow International, Inc. Instrument and method for delivery of anaesthetic dru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3346B2 (en) 2000-03-13 2005-12-06 Arrow International, Inc. Instrument and method for delivery of anaesthetic drug
US20050245874A1 (en) 2002-11-20 2005-11-03 Vygon Device for locoregional anesthesia and method for making the cannula of said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9339A (ko) 2021-03-16 2022-09-2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음파 유도하 미추 경막외 신경차단용 바늘
KR102511860B1 (ko) 2021-03-16 2023-03-1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음파 유도하 미추 경막외 신경차단용 바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4293A (en) Slotted regional anesthesia needle
JP4754147B2 (ja) 引き込み式針部材を持つシールド付医療用装置
US8287496B2 (en) Flow elements for use with flexible spinal needles, needle assemblies and methods therefor
CN100508906C (zh) 改进的脊椎穿刺针头
AU669026B2 (en) Catheter/needle assembly kit and method for administering therapeutic agents to the subarachnoid space
US5630802A (en) Device for introducing a catheter into a body cavity
AU2009205726B2 (en) Flow elements for use with flexible spinal needles, needle assemblies and methods for manufacture and use thereof
US20080065029A1 (en) Nerve block needle and related methods
US20070135768A1 (en) Spinal and epidural regional anesthesia catheter
US20090157044A1 (en) Epidural administration systems
JPH10305101A (ja) 複合型硬麻/脊麻針装置
JP6463748B2 (ja) 歯科および他の用途のための麻酔アプリケータ/インジェクタおよび使用方法
US20120004625A1 (en) Spinal needle including a chamber for identifying cerebrospinal fluid
US4586921A (en) Method of applying a local anesthetic agent to a wound
KR100777455B1 (ko) 경막외마취용 니들 및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
KR100741171B1 (ko) 경막외마취용 니들 및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
CN202569139U (zh) 一种医用导管
US20140276622A1 (en) Nerve block system with curved introducer and methods of use
DE3830653A1 (de) Besteck fuer die intrapleurale regionalanaesthesie
CN204134020U (zh) 一种导管导入装置
CN218484628U (zh) 硬膜外麻醉导管输注用连接装置
US20230181888A1 (e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subclavian vein catheter placement
RU144275U1 (ru) Игла для пункции верхнечелюстной пазухи мирошниченко-степанова
CN218870422U (zh) 管套式的穿刺针组件
CN212547116U (zh) 一种用于气管内浸润麻醉的环甲膜穿刺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