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1116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1116B1
KR100741116B1 KR1020060017301A KR20060017301A KR100741116B1 KR 100741116 B1 KR100741116 B1 KR 100741116B1 KR 1020060017301 A KR1020060017301 A KR 1020060017301A KR 20060017301 A KR20060017301 A KR 20060017301A KR 100741116 B1 KR100741116 B1 KR 100741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dielectric layer
storage electrode
disposed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7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희
강경두
김세종
소현
김현
한진원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7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11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1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1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8Details of algorithms
    • H04L27/2673Details of algorithms characterised by synchronisation parameters
    • H04L27/2676Blind, i.e. without using known symbols
    • H04L27/2678Blind, i.e. without using known symbols using cyclostationarities, e.g. cyclic prefix or postfi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전압에서도 고휘도의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하여,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과 함께 가스방전이 일어나는 방전셀들을 한정하는 격벽과, 상기 방전셀에 대응하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유지 전극과 제 2 유지 전극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유지 전극쌍들과, 상기 유지 전극쌍들을 덮으며 상기 각 유지 전극쌍의 제 1 유지 전극과 제 2 유지 전극 사이에 대응하는 다단구조를 갖는 홈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제 1 유전체층과, 상기 제 1 유전체층을 덮는 보호막과, 상기 유지 전극쌍들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어드레스 전극들과, 상기 방전셀들 내에 배치되는 형광체층과, 상기 방전셀들 내에 배치되는 방전가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도 1은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다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11: 제 1 기판
212: 제 1 유지 전극 213: 제 2 유지 전극
214: 유지 전극쌍 215: 제 1 유전체층
216: 보호막 221: 제 2 기판
222: 어드레스 전극 223: 제 2 유전체층
224: 격벽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저전압에서도 고휘도의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은 기체방전으로 생성된 자외선으로 형광체를 여기시켜 소정의 영상을 구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박형화가 가능하고 고해상도의 대화면 구성이 가능하여 차세대 박형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유지 전극쌍이 구비되는데, 이 유지 전극쌍의 보호를 위해 유전체와 보호막 등이 구 비된다.
도 1에는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서로 대향된 제 1 기판(111)과 제 2 기판(121)을 구비한다. 제 1 기판의 제 2 기판 방향의 면(111a) 상에는 유지 전극쌍(114)들이 배치되고, 이 유지 전극쌍들을 덮는 제 1 유전체층(115) 및 제 1 유전체층(115)을 덮는 보호막(116)이 구비된다. 유지 전극쌍은 제 1 유지 전극(X전극)(112)과 제 2 유지 전극(Y전극)(113)을 구비하며, 이 제 1 유지 전극(112)과 제 2 유지 전극(113)은 각각 투명전극(112b, 113b)과 버스전극(112a, 113a)을 구비한다. 제 1 기판(111)에 대향된 제 2 기판(121)의 제 1 기판 방향의 면(121a) 상에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어드레스 전극(122)들이 구비되고, 이 어드레스 전극(122)들을 덮는 제 2 유전체층(123), 제 2 유전체층(123) 상에 형성된 격벽(124), 그리고 제 2 유전체층(123)의 제 1 기판(111) 방향의 면과 격벽(124)의 측면에 형성된 형광체층(125)이 구비된다.
이때, 제 1 유지 전극(112)과 제 2 유지 전극(113) 사이의 방전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제 1 유지 전극(112)과 제 2 유지 전극(113)을 덮는 제 1 유전체층(115)의 제 1 유지 전극(112)과 제 2 유지 전극(113) 사이에 대응하는 부분에 홈(115a)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제 1 유전체층(115)에 형성된 홈(115a)의 폭 또는 깊이는 제 1 유전체층(115)이 덮고 있는 제 1 유지 전극(112)과 제 2 유지 전극(113)에 의해 한정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제 1 유전체층(115)이 제 1 유지 전극(112)과 제 2 유지 전극(113)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제 1 유전체층(115)에 형성된 홈(115a)에 의해 제 1 유전체층(115)의 제 1 유지 전극(112)과 제 2 유지 전극(113)에 대응하는 부분의 두께가 필요 이하로 얇아져서는 안된다. 따라서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유전체층(115)에 형성된 홈(115a)의 폭 또는 깊이가 한정됨에 따라, 제 1 유지 전극(112)과 제 2 유지 전극(113) 사이의 방전 효율을 향상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저전압에서도 고휘도의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과 함께 가스방전이 일어나는 방전셀들을 한정하는 격벽과, 상기 방전셀에 대응하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유지 전극과 제 2 유지 전극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유지 전극쌍들과, 상기 유지 전극쌍들을 덮으며 상기 각 유지 전극쌍의 제 1 유지 전극과 제 2 유지 전극 사이에 대응하는 다단구조를 갖는 홈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제 1 유전체층과, 상기 제 1 유전체층을 덮는 보호막과, 상기 유지 전극쌍들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어드레스 전극들과, 상기 방전셀들 내에 배치되는 형광체층과, 상기 방전셀들 내에 배치되는 방전가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유전체층에 의해 형성된 홈은 2단구조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유전체층에 의해 형성된 다단구조의 홈의 각 절곡부의 각도는 90°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유전체층에 의해 형성된 다단구조의 홈의 각 절곡부의 각도는 둔각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유전체층에 의해 형성된 다단구조의 홈의 각 절곡부의 각도는 모두 동일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유전체층에 의해 형성된 다단구조의 홈의 절곡부의 각도는 상호 상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유전체층에 의해 형성된 다단구조의 홈의 각 절곡부의 각도는 상호 상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유전체층에 의해 형성된 다단구조의 홈의 각 절곡부의 각도는 90° 이상 150° 이하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유지 전극쌍들은 상기 제 1 기판의 상기 제 2 기판 방향의 면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유전체층에 의해 형성된 다단 구조의 홈의 깊이는 상기 제 1 유전체층의 두께보다 작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유전체층에 의해 형성된 다단구조의 홈의 두께는 상기 제 1 유전체층의 두께와 같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기판의 상기 제 1 유전체층에 의해 형성된 다단구조의 홈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어드레스 전극들을 덮는 제 2 유전체층을 더 구비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다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제 1 기판(211)과 제 2 기판(221)이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제 1 기판(211) 및 제 2 기판(221)은 유리와 같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기판(211)과 제 2 기판(221) 사이에 격벽(224)이 구비된다. 도 3에는 제 2 기판(221)의 제 1 기판(211) 방향의 면의 상부에 격벽(224)이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 1 기판(211)의 제 2 기판(221) 방향의 면의 상에 격벽이 구비되거나 제 1 기판(211)과 제 2 기판(221) 모두에 격벽이 구비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격벽(224)은 제 1 기판(211) 및 제 2 기판(221)과 함께 가스방전이 일어나는 방전셀(226)들을 한정한다. 이때, 도 3에는 격벽(224)이 격자 형태로 구비되어 방전셀들을 한정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격벽(224)이 일 방향, 예컨대 도 3의 y방향으로의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도 3에는 방전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델타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3에는 방전셀의 횡단면이 사각형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삼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 등으로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는 후술할 실시예들 또는 변형예들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이와 같이 제 1 기판(211), 제 2 기판(221) 및 격벽(224)에 의해 한정되는 방전셀들에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유지 전극(212)과 제 2 유지 전극(213)을 구비하는 유지 전극쌍(214)들이 구비된다. 즉,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0)에는 방전셀(226)에 대응하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지 전극쌍(214)들이 구비되는데, 도 3 및 도 4에서는 유지 전극쌍(214)들이 y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서는 유지 전극쌍(214)들이 제 1 기판(211)의 제 2 기판(221) 방향의 면 상에 배치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유지 전극쌍(214)들이 제 1 기판(211)의 제 2 기판(221) 방향의 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유지 전극(212)과 제 2 유지 전극(213)은 유지 방전을 위한 전극들로서, 이 전극들 사이에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을 구현하기 위한 유지 방전이 일어난다.
제 1 유지 전극(212)과 제 2 유지 전극(213)은 알루미늄 또는 구리 등과 같은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0) 내부에서 발생된 광이 상기 유지 전극쌍(214)이 구비된 방향으로 방출되는 경우, 즉 제 1 기판(211)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경우에는 유지 전극쌍(214)이 투명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투명 전극의 형성을 위해 ITO(Indium tin oxide) 등과 같은 투명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유지 전극(212) 및 제 2 유지 전극(213)에는 필요에 따라 제 1 버스 전극(212a) 및 제 2 버스 전극(213a)이 각각 더 구비될 수 있다. 제 1 유지 전극(212) 및 제 2 유지 전극(213)의 투명한 부분들(212b, 213b)은 일반적으로 저항이 높기 때문에, 이러한 높은 저항에 의한 전압강하를 방지하기 위해 위와 같은 버스 전극들(212a, 213a)이 더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버스 전극들(212a, 213a)은 저항이 낮고 전기 전도도가 높은 은, 구리, 금 또는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버스 전극들(212a, 213a)에 흑색 첨가제를 포함시키거나 버스 전극들(212a, 213a)이 흑색 물질로 형성된 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콘트라스트가 향상되도록 할 수도 있다.
유지 전극들(212, 213)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연결 케이블에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바, 버스 전극들(212a, 213a)만이 연 결 케이블에 접속되도록 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유지 전극쌍(214)들은 제 1 유전체층(215)으로 덮인다. 이는 유지 전극쌍(214)에 구비되는 제 1 유지 전극(212) 및 제 2 유지 전극(213)이 서로 직접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전 입자가 상기 유지 전극들(212, 213)에 충돌함으로써 이들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유전체로는 PbO, B2O3 및 SiO2 등이 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0) 내부에서 발생된 광이 제 1 기판(211)을 통해 외부로 취출되는 경우에는 제 1 유전체층(215)은 투명한 물질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 제 1 유전체층(215)은 각 유지 전극쌍(214)의 제 1 유지 전극(212)과 제 2 유지 전극(213) 사이에 대응하는 홈(215a)이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우에는 제 1 유전체층(215)에 의해 형성된 홈(215a)의 두께가 제 1 유전체층(215)의 두께보다 작아, 결과적으로 제 1 유전체층(215)이 각 유지 전극쌍(214)의 제 1 유지 전극(212)과 제 2 유지 전극(213) 사이에 대응하는 홈(215a)을 갖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이 홈(215a)은 각 방전셀(226)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일 방향 예컨대 도 3의 y 방향으로의 복수개의 방전셀들에 있어서 일체인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지 전극쌍(214)을 덮는 제 1 유전체층(215)이 홈(215a)을 갖도록 함으로써, 유지 전극쌍(214)의 제 1 유지 전극(212)과 제 2 유지 전극(213) 사 이의 방전 거리를 단축시켜 방전 전압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유지 방전이 더욱 용이하게 일어나게 되어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비하여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보다 발광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 1 유전체층(215)에 홈(215a)이 형성됨에 따라 방전셀(226) 내에서 발생한 광이 제 1 기판(211)을 통해 외부로 취출되는 광 경로에 있어서 광의 취출을 방해할 수도 있는 제 1 유전체층(215)의 용적이 줄어들게 되어, 결과적으로 휘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유전체층(215)에 의해 형성된 홈(215a)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단구조를 갖는다.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차가 하나뿐인 (절곡부가 두 개 뿐인) 홈을 구비하는 것에 그치기에, 제 1 유지 전극과 제 2 유지 전극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두께의 제 1 유전체층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 1 유전체층에 형성된 홈의 깊이를 깊게 하기 어려우며 또한 그 폭을 넓게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구조에 있어서 절연 파괴에 의한 제 1 유지 전극 및 제 2 유지 전극의 제 1 유전체층을 통한 직접적인 통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유지 전극 및 제 2 유지 전극을 덮는 제 1 유전체의 두께는 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한 바, 이는 제 1 유전체에 형성된 홈 부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 결과 제 1 유전체에 형성된 홈 부위에서의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제 1 유전체층에 형성된 홈의 깊이를 깊게 하거나 그 폭을 넓히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우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단구조의 홈(215a)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홈(215a)의 중앙부의 깊이는 종래의 홈의 깊이보다 더 깊게 할 수도 있으며, 또한 제 1 유전체층(215) 표면에 가까운 부분에서의 홈의 폭은 종래의 홈의 폭보다 더 넓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유지 전극쌍(214)을 덮는 제 1 유전체층(215)이 다단구조의 홈(215a)을 갖도록 함으로써, 제 1 유전체층(215)의 절연 파괴를 방지하면서도 유지 전극쌍(214)의 제 1 유지 전극(212)과 제 2 유지 전극(213) 사이의 방전 거리를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우보다 더욱 단축시켜 방전 전압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유지 방전이 더욱 용이하게 일어나게 되어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비하여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보다 발광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다단구조의 홈(215a)이 형성됨에 따라 제 1 유전체층(215)의 제거되는 용적이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우보다 증가하게 되어, 방전셀(226) 내에서 발생한 광이 제 1 기판(211)을 통해 외부로 취출될 경우 광 경로에 있어서 광의 취출을 방해하는 요소를 더욱 줄일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획기적인 휘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방전 중의 제 1 유전체층(215)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막(216)이 더 구비된다. 보호막(216)은 디핑법, 스프레이법 또는 스핀코팅법 등의 습식 코팅법 등을 이용하여 PbO, B2O3, SiO2 또는 MgO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보호막(216)은 제 1 유전체층(215)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2차 전자를 방출하여 방전을 더욱 활성화시키는 역할도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경우에는, 유지 전극쌍(214)들이 상기 일 방향, 즉 y방향으로 연장되고, 이 유지 전극쌍(214)들과 교차하도록, 즉 x방향으로 연장된 어드레스 전극(222)들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전극 배치 구조는 제 1 유지 전극(212) 및 제 2 유지 전극(2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극과 어드레스 전극(222) 간에 어드레스 방전이 일어나고, 그 후 제 1 유지 전극(212)과 제 2 유지 전극(213) 간에 유지 방전이 일어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어드레스 방전과 유지 방전에 의하여 구동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에는 통상 X 전극과 Y 전극이라고 불리는 두 개의 유지 전극들(하나의 유지 전극쌍) 외에 적어도 하나의 어드레스 전극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어드레스 방전은 Y 전극과 어드레스 전극 사이에 일어나는 방전인바,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우와 같이 어드레스 전극(222)이 제 1 유지 전극(212)과 제 2 유지 전극(213)의 하측에 배치된 경우에는 제 1 유지 전극(212)과 제 2 유지 전극(213) 중 어느 한 전극이 Y 전극이 되고 다른 전극이 X 전극이 된다. 이러한 어드레스 전극(222)도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어드레스 전극(222)들은 제 2 기판(221)의 제 1 기판(211) 방향의 면 상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전시 하전 입자가 어드레스 전극(222)에 충돌하여 어드레스 전극(222)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어드레스 전극(222)들을 덮는 제 2 유전체층(223)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 제 2 유전체층 (223) 역시 하전 입자를 유도할 수 있는 유전체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와 같은 유전체로서는 PbO, B2O3, SiO2 또는 MgO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방전셀(226)의 내부,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유전체층(223)의 상면(223a)과 격벽의 측면(224a)에는 형광체층(225)이 구비된다. 형광체층(225)은, 적색발광 형광체, 녹색발광 형광체 및 청색발광 형광체 중의 일 형광체와, 솔벤트 및 바인더가 혼합된 형광체 페이스트를 제 2 유전체층(223)의 상면(223a)과 격벽의 측면(224a)에 도포한 후 이를 건조 및 소성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적색발광 형광체로서는 Y(V,P)O4:Eu 등이 있고, 녹색발광 형광체로서는 Zn2SiO4:Mn, YBO3:Tb 등이 있으며, 청색발광 형광체로서는 BAM:Eu 등이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형광체층(225)이 제 2 유전체층(223)의 상면(223a)과 격벽(224)의 측면(224a)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형광체층(225)은 후술하는 방전가스로부터 방출되는 자외선을 받아서 가시광선을 방출하므로 그 위치가 제 2 유전체층(223)의 상면(223a)과 격벽(224)의 측면(224a)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방전셀(226) 내에 있으면 된다.
방전셀(226)의 내부에는 방전가스가 충전되어 있다. 방전가스는 예컨대 Xe이 5% 내지 15% 포함된 Ne-Xe 혼합가스인데, 필요에 따라서 Ne의 적어도 일부가 He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물론 이 외의 가스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방전셀(226) 내부가 진공으로 유지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 1 유지 전극(212)과 제 2 유지 전극(213)을 덮는 제 1 유전체 층(215)이 홈(215a)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되, 그 홈(215a)이 다단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방전 전압을 낮춰 저전압에서도 고휘도의 이미지를 재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다른 점은, 제 1 유전체층(215)에 의해 형성된 홈(215a)이 전술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우에는 네 개의 절곡부를 갖는 2단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우에는 여섯 개의 절곡부를 갖는 3단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더 많은 절곡부를 갖는 다단구조의 홈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다른 점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다단구조의 홈의 각 절곡부가 90°의 각도를 이루고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우에는 각 절곡부의 각도(θ1, θ2, θ3)가 둔각이라는 것이다.
각 절곡부의 각도(θ1, θ2, θ3)가 예각이라면 상대적으로 가시광선의 투과 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제 1 유전체층(215) 상에 보호막(217)을 형성할 시 제 1 유전체층(215)의 표면이 모두 보호막(217)에 의해 덮이지 않거나 균일도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절곡부가 적어도 90°의 각도를 이루거나 둔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절곡부의 각도가 둔각이 되는 경우, 보호막(217)의 균일한 형성이라는 점과 효과적인 깊이와 폭을 갖는 다단구조의 홈의 형성이라는 점을 모두 고려하면 각 절곡부의 각도는 대략 90° 이상 150°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 1 유전체층(215)에 의해 형성된 다단구조의 홈의 일측의 각 절곡부의 각도는 모두 동일할 수도 있고(θ1=θ2=θ3), 각 절곡부의 각도가 모두 상이할 수도 있으며(θ1≠θ2, θ2≠θ3, θ1≠θ3), 일부는 같고 일부는 상이할 수도 있는 등(θ1=θ2≠θ3)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제 1 유전체층(215)에 의해 형성된 다단구조의 홈의 각 절곡부의 각도는 모두 동일할 수도 있고, 각 절곡부의 각도가 모두 상이할 수도 있으며, 일부는 같고 일부는 상이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들과 상이한 점은, 제 1 유전체층(215)에 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개구부가 구비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제 1 유전체층(215)에 의해 형성되는 홈(215a)의 두께는 제 1 유전체층(215)의 두께와 같아, 결과적으로 제 1 유전체층(215)은 유지 전극쌍들을 덮으며, 제 1 기판(211)의 각 유지 전극쌍의 제 1 유지 전극(212)과 제 2 유지 전극(213) 사이에 대응하는 부분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갖는다. 물론 제 1 기판(211) 상에 버퍼층 등과 같은 다른 층이 구비되고 그 층 상에 유지 전극쌍들이 구비된다면, 제 1 유전체층(215)의 개구부에 의해 그와 같은 버퍼층이 노출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도 제 1 기판(211)이 노출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제 1 유전체층(215)에 개구부가 구비될 경우에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유지 전극(212)과 제 2 유지 전극(213)을 덮는 제 1 유전체층(215)이 홈(215a)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되 그 홈(215a)이 다단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방전 전압을 낮춰 저전압에서도 고휘도의 이미지를 재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도 7을 참조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이한 점은, 제 1 기판(211)의 제 1 유전체층(215)에 의해 형성된 홈에 대응하는 부분에 홈이 구비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제 1 기판(211)의 제 1 유전체층(215)의 개구부에 의해 노출된 부분이 홈을 갖는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제 1 기판(211)과 제 1 유전체층(215)에 의해 형성되는 홈이 다단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방전 전압을 낮춰 저전압에서도 고휘도의 이미지를 재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격벽(224)은 각 방전셀(226)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각 방전셀(226)은 이웃하는 방전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방전셀과의 사이에 격벽에 의 해 한정되는 비방전 공간(226a)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방전셀(226) 사이에 비방전 공간(226a)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비방전 공간(226a)을 통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중에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따르면, 저전압에서도 고휘도의 이미지를 재현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과 함께 가스방전이 일어나는 방전셀들을 한정하는 격벽;
    상기 방전셀에 대응하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유지 전극과 제 2 유지 전극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유지 전극쌍들;
    상기 유지 전극쌍들을 덮고, 상기 각 유지 전극쌍의 제 1 유지 전극과 제 2 유지 전극 사이에 대응하는 다단구조를 갖는 홈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며, 다단구조의 홈의 각 절곡부의 각도가 상호 상이한, 제 1 유전체층;
    상기 제 1 유전체층을 덮는 보호막;
    상기 유지 전극쌍들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어드레스 전극들;
    상기 방전셀들 내에 배치되는 형광체층; 및
    상기 방전셀들 내에 배치되는 방전가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전체층에 의해 형성된 홈은 2단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3.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과 함께 가스방전이 일어나는 방전셀들을 한정하는 격벽;
    상기 방전셀에 대응하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유지 전극과 제 2 유지 전극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유지 전극쌍들;
    상기 유지 전극쌍들을 덮고, 상기 각 유지 전극쌍의 제 1 유지 전극과 제 2 유지 전극 사이에 대응하는 다단구조를 갖는 홈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며, 다단구조의 홈 일측의 각 절곡부의 각도가 상호 상이한, 제 1 유전체층;
    상기 제 1 유전체층을 덮는 보호막;
    상기 유지 전극쌍들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어드레스 전극들;
    상기 방전셀들 내에 배치되는 형광체층; 및
    상기 방전셀들 내에 배치되는 방전가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전체층에 의해 형성된 다단구조의 홈의 각 절곡부의 각도는 둔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5.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과 함께 가스방전이 일어나는 방전셀들을 한정하는 격벽;
    상기 방전셀에 대응하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유지 전극과 제 2 유지 전극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유지 전극쌍들;
    상기 유지 전극쌍들을 덮고, 상기 각 유지 전극쌍의 제 1 유지 전극과 제 2 유지 전극 사이에 대응하는 다단구조를 갖는 홈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며, 다단구조의 홈 일측의 일부 절곡부의 각도가 상기 일측의 나머지 절곡부의 각도와 상이한, 제 1 유전체층;
    상기 제 1 유전체층을 덮는 보호막;
    상기 유지 전극쌍들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어드레스 전극들;
    상기 방전셀들 내에 배치되는 형광체층; 및
    상기 방전셀들 내에 배치되는 방전가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6.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과 함께 가스방전이 일어나는 방전셀들을 한정하는 격벽;
    상기 방전셀에 대응하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유지 전극과 제 2 유지 전극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유지 전극쌍들;
    상기 유지 전극쌍들을 덮고, 상기 각 유지 전극쌍의 제 1 유지 전극과 제 2 유지 전극 사이에 대응하는 다단구조를 갖는 홈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며, 다단구조의 홈의 일부 절곡부의 각도가 나머지 절곡부의 각도와 상이한, 제 1 유전체층;
    상기 제 1 유전체층을 덮는 보호막;
    상기 유지 전극쌍들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어드레스 전극들;
    상기 방전셀들 내에 배치되는 형광체층; 및
    상기 방전셀들 내에 배치되는 방전가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전체층에 의해 형성된 다단구조의 홈의 각 절곡부의 각도는 90° 이상 1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전극쌍들은 상기 제 1 기판의 상기 제 2 기판 방향의 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전체층에 의해 형성된 다단구조의 홈의 깊이는 상기 제 1 유전체층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전체층에 의해 형성된 다단구조의 홈의 깊이는 상기 제 1 유전체층의 두께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의 상기 제 1 유전체층에 의해 형성된 다단구조의 홈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3. 제 1항 내지 제 6항 및 제 8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전극들을 덮는 제 2 유전체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60017301A 2006-02-22 2006-02-22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41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301A KR100741116B1 (ko) 2006-02-22 2006-02-22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301A KR100741116B1 (ko) 2006-02-22 2006-02-22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1116B1 true KR100741116B1 (ko) 2007-07-19

Family

ID=38499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7301A KR100741116B1 (ko) 2006-02-22 2006-02-22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11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7209A (ja) 1998-04-13 1999-10-29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1216904A (ja) 2000-02-04 2001-08-10 Pioneer Electron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20020096792A (ko) * 2001-06-20 2002-12-31 최시영 방전유지 전극 사이에 공극을 가지는 플라즈마 평판 표시기
KR20050076430A (ko) * 2004-01-20 2005-07-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7209A (ja) 1998-04-13 1999-10-29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1216904A (ja) 2000-02-04 2001-08-10 Pioneer Electron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20020096792A (ko) * 2001-06-20 2002-12-31 최시영 방전유지 전극 사이에 공극을 가지는 플라즈마 평판 표시기
KR20050076430A (ko) * 2004-01-20 2005-07-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9674B2 (en) Plasma display panel provided with discharge electrodes arranged within upper and lower barrier ribs assemblies
KR10092274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101432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
KR10076821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4111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5136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7773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0874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60273721A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65907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92274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8742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4763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5212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8194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08661B1 (ko) 휘도가 개선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0866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6821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64765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7009999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8195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8192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4764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11279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7132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