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0974B1 - Rna 앱타머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Rna 앱타머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0974B1
KR100740974B1 KR1020050094404A KR20050094404A KR100740974B1 KR 100740974 B1 KR100740974 B1 KR 100740974B1 KR 1020050094404 A KR1020050094404 A KR 1020050094404A KR 20050094404 A KR20050094404 A KR 20050094404A KR 100740974 B1 KR100740974 B1 KR 100740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na
catenin
tcf
beta
apta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4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9269A (ko
Inventor
정선주
이희규
박민우
최강현
이승연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094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0974B1/ko
Priority to US12/064,384 priority patent/US7999089B1/en
Priority to PCT/KR2006/004048 priority patent/WO2007043784A1/en
Publication of KR20070039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9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0Processes for the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of DNA or RN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12N15/115Aptamers, i.e. nucleic acids binding a target molecule specifically and with high affinity without hybridising therewith ; Nucleic acids binding to non-nucleic acids, e.g. apta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310/00Structure or type of the nucleic acid
    • C12N2310/10Type of nucleic acid
    • C12N2310/11Antisense
    • C12N2310/111Antisense spanning the whole gene, or a large part of i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310/00Structure or type of the nucleic acid
    • C12N2310/10Type of nucleic acid
    • C12N2310/16Aptam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NA 앱타머와 그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베타-카테닌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TCF와의 상호작용을 억제하는 RNA 앱타머, TCF-1의 HMG 도메인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RNA 앱타머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RNA 앱타머는 암 발생 및 전이 경로에 관여하는 베타-카테닌과 TCF의 상호작용 및 TCF-1이 암 관련 유전자에 결합하여 전사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해하므로 항암제 개발에 이용될 수 있다.
RNA 앱타머, 베타-카테닌, RNA 앱타머, TCF-1

Description

RNA 앱타머 및 그의 용도{RNA aptamers and the uses thereof}
도 1은 RNA 앱타머가 베타-카테닌 단백질에 결합시 친화도와 특이성을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실시예에서 사용된 다양한 베타-카테닌 단백질을 나타낸 것으로 아르마딜로(Arm) 반복서열 12개와 TCF-1 결합부위를 나타낸 그림이고,
도 1b는 0, 6, 8 주기의 선별주기 후 GST pull-down assay를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고,
도 1c는 선별된 RNA 앱타머의 서열을 나타낸 그림이고,
도 1d는 선별된 RNA 앱타머가 베타-카테닌 단백질에 결합하는지 RNA-EMSA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고,
도 2는 U6-RNA 인트라머의 발현과 안정성을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U6 앱타머로 형질전환된 세포의 노던 블럿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고,
도 2b는 U6-RNA 인트라머의 안정성을 나타낸 그림이고,
도 2c는 U6-NC (뉴클레오캡시드), U6-앱타머(U6-Apt) 또는 U6 (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주에서 RNA 동시-면역침강 어세이를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고,
도 3은 U6-RNA 인트라머에 의해 표적 유전자가 조절됨을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RNA 앱타머 발현벡터로 형질도입된 293T 세포에서 LiCl 처리시 내생의 베타-카테닌이 안정화됨을 나타낸 그림이고,
도 3b는 TCF-1 결합(OT) 루시퍼라제 리포터와 U6 벡터 또는 U6-RNA 앱타머 벡터로 형질전환된 293T 세포의 루시퍼라제 어세이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고,
도 3c는 HCT116 세포를 TCF-responsive (OT) 또는 mutant (OF) 루시퍼라제 리포터 유전자와 U6 벡터(-), 뉴클레오캡시드에 대한 RNA 앱타머(U6-NC) 또는 U6-앱타머로 공-형질도입한 후, 루시퍼라제 어세이를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고,
도 3d는 HCT116 세포를 -1745 cyclin D1 프로모터 루시퍼라제 리포터(WT, 야생형; MT, 돌연변이 TCF 부위) 와 U6 벡터, U6-NC 또는 U6-앱타머로 공-형질전환시킨 후, 루시퍼라제 어세이를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고,
도 3e는 목(mock), U6 벡터, U6-앱타머를 발현하는 HCT116 세포에서 다양한 RNA(c-myc, cyclin D1, GAPDH mRNA)에 대해 RT-PCR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고,
도 4는 pDHFR-앱타머 발현 세포를 동시-면역침강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고,
도 4a는 TCF와 베타-카테닌를 정온배치한 후, RNA 앱타머의 부재(-) 또는 존재(+)하에 항-TCF 항체로 면역침강한 후, 항-TCF 및 항-베타-카테닌 항체로 웨스턴 블럿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고,
도 4b는 U6-벡터 또는 U6-앱타머를 과발현하는 HCT116 세포를 항-베타-카테닌 항체로 동시면역침강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고,
도 5는 RNA 인트라머가 안정적으로 발현되는 세포주(stable cell line)의 면역형광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5a는 HCT116 세포주에서 U6-NC, U6-앱타머(클론 #6), 및 U6 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주에서 RNA 인트라머가 안정적으로 발현되는지 RT-PCR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고,
도 5b는 U6-RNA 인트라머로 형질전환된 HCT116 세포주에서 웨스턴 블럿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림이고,
도 5c는 RNA 인트라머가 안정적으로 발현되는 세포주의 유세포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d는 RNA 인트라머가 안정적으로 발현되는 세포주의 연성 아가 콜로니 형성 어세이 실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고,
도 6은 TCF-1 단백질의 DNA 결합부위에 대한 RNA 앱타머 #10의 결합을 나타낸 그림으로,
도 6a는 본 발명에 사용된 재조합 GST TCF-1 단백질의 모식도이고,
도 6b는 방사성 동위원소로 표지된 RNA 앱타머 #10으로 GST pull down assay를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고,
G: GST 단백질, F: 전체-길이 TCF-1 단백질, C: TCF-1 C200
N: TCF-1 N100, β: β-카테닌, NF: NFAT 단백질
도 7은 RNA 앱타머 #10이 TCF-1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함을 나타내는 그림으로,
도 7a는 방사성 동위원소 표지된 RNA 앱타머 #10, TCF-1 C200 단백질과 경쟁자로 과량의 표지되지 않은 RNA #10, #9 및 #20으로 RNA-EMSA를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고,
도 7b는 방사성 동위원소 표지된 RNA 앱타머 #10, 세포내 핵 추출물의 TCF-1단백질과 경쟁자로 과량의 표지되지 않은 RNA 앱타머 #10, #9 및 Ori로 RNA-EMSA를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고,
레인 1: 핵 추출물(TCF-1) 없음
레인 2: GST-TCF-1 벡터 형질도입된 세포
레인 3: TCF-1 cDNA 형질도입된 세포
도 8은 RNA 앱타머 #10에 의한 TCF-1과 DNA의 결합 억제를 나타낸 그림으로,
도 8a는 RNA 앱타머 #10이 TRE(TCF-1 response element)가 TCF-1 C200에 결합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나타낸 그림이고,
레인 1: 표지된 TRE 단독, 레인 2: TCF-1 C200 단백질 존재
레인 3-6: 2, 20, 200 및 1000nM의 표지되지 않은 RNA 앱타머 #10
레인 7-9: 20, 200 및 1000nM의 표지되지 않은 tRNA
도 8b는 RNA 앱타머 #10이 TRE가 TCF-1 전체-길이 단백질에 결합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나타낸 그림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베타 카테닌 결합 앱타머와 TCF-1 결합 앱타머의 결합부위를 나타낸 그림이다.
본 발명은 RNA 앱타머와 그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타-카테닌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TCF와의 상호작용을 억제하는 RNA 앱타머, TCF-1의 HMG 도메인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RNA 앱타머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베타-카테닌은 복합 기능을 가진 단백질로 신호전달 뿐 아니라 세포 부착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Moon RT et al., Nat Rev Genet. 5(9):691-701, 2004; Nelson WJ and Nusse R. Science. 303(5663):1483-7, 2004). 베타 카테닌은 처음에 막 통과 카드헤린 단백질과 세포골격을 연결하는 세포 부착 복합체의 성분으로 동정되었다. 또한 수정란 발생과 암 발생에서 세포 성장과 분화를 조절하는 중요한 Wnt 경로의 중요 성분이다(Gregorieff A and Clevers H. Genes Dev. 19(8):877-890, 2005). Wnt가 없을 때, 내피세포(endothelial cell)의 대부분의 베타-카테닌은 막 단백질에 결합하여 adherens junction의 E-cadherin과 결합한다. 세포질의 베타-카테닌은 adenomatous polyposis coli(APC) 단백질, axin/conducin 및 글리코겐 합성 키나제-3베타(GSK-3베타)로 이루어진 다중 단백질 복합체에 존재한다. 그러나 APC 또는 베타-카테닌의 돌연변이는 종종 다양한 형태의 암세포에서 발견된다(Polakis P. Genes Dev. 14(15):1837-1851, 2000). 베타-카테닌의 ser/thr-인산화 부위 중 어느 하나의 돌연변이는 베타-카테닌을 안정화시켜 표적 유전자의 전사를 일으키는데 표적 유전자에는 cyclin D1과 c-myc 등이 있다(Morin PJ et al., Science. 275(5307):1787-1790, 1997; Rubinfeld Bet al., Science. 275(5307):1790-1792, 1997; Tetsu O and McCormick F. Nature. 398(6726):422-426, 1999; He et al., Science. 281(5382):1509-1512, 1998). TCF 단백질은 이러한 표적 유전자의 인핸서에 HMG-1(High Mobility Group-1) DNA 결합부위를 통하여 결합하고 베타-카테닌 결합부위도 가지고 있다(Behrens J et al., Nature. 382(6592):638-642, 1996; Morin PJ et al., Science, 275(5307):1787-1790, 1997).
Wint 신호전달이 종양 발생에 있어 중요하기 때문에 베타-카테닌 매개의 신호전달은 치료 목적, 특히 암 치료를 위해 중요하다고 여겨져 왔다(Lustig B and Behrens J. J Cancer Res Clin Oncol. 129(4):199-221, 2003; Lee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327(1):294-299, 2005). 이 과정을 조절하는 분자들은 항암 치료에 유용한데(Tolwinski & Wieschaus, PLoS Biol. 2(4):486-493, 2004; Lipinski et al., Mol Ther. 10(1):150-61, 2004). 몇 가지 화학물질은 암세포에서 베타-카테닌/TCF 결합을 방해한다고 보고되었다(Nath et al., Proc Natl Acad Sci U S A. 100(22):12584-9, 2003; Lepourcelet et al., Cancer Cell. 5(1):91-102, 2004). 그러나 베타-카테닌이 몇가지 다른 단백질 복합체의 성분이기 때문에 베타-카테닌과 TCF와의 결합을 E-cadherin과의 상호작용없이 선택적으로 방해할 수 있는 보다 특이적인 도구가 필요하다.
한편, T 세포인자-1(T-cell factor-1, TCF-1)은 원래 고이동성 그룹-1(high mobility group-1, HMG-1) DNA 결합 도메인을 통해서 DNA에 결합하는 T 세포 특이적인 전사인자이다(M van de Wetering et al., EMBO J. 10: 123-32, 1991; M. Oosterwegel et al., J. Exp. Med. 173: 1133-1142, 1991; H. C. Clevers et al., Immunol. Today 14: 592-597, 1993) 형질전환 및 녹아웃 실험으로 TCF-1이 T-림프구의 증식에 관여할 것이라 여겨지고 있으나 T 세포 발달에서 맡고 있는 정확한 기능은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다(M. Oosterwegel et al., Development 118: 439-448; S. Verbeek et al., Nature 374: 70-74, 1990; R.M. Okamura et al., Immunity 8: 11-20, 1998).
TCF 패밀리 단백질은 서열 특이적으로 DNA에 결합하여 다른 전사 인자가 모여 DNA에 결합하는 것을 유도하는 구성 단백질(architectural protein)의 역할을 한다(J. J. Love et al., Nature 376: 791-795, 1995). 베타-카테닌이 TCF 패밀리 단백질의 잠재적인 전사 보조-활성인자로 동정되었고(H. Clevers and M. van de wertering, Trends Genet. 13: 485-489, 1997; J. Behrens et al., Nature 382: 638-642, 1996), TCF-1이 다양한 암세포에서 높게 발현되므로 TCF가 암유발 단백질인 베타-카테닌과 결합하여 복합체를 형성함으로써 암을 진행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V. Korniek et al., Science 275: 1784-1787, 1997; P. J. Morin et al., Science 275: 1787-1790, 1997; B. Rubinfeld et al., Science 275: 1790-1792, 1997).
TCF/베타-카테닌 단백질 복합체는 또한 개구리(Xenopus) 수정란에서 축(axis) 형성 및 초파리의 Wingless 신호전달과 같이 초기 발달에 있어 중요한 조절 자이다(M. Molenaar et al., Cell 86: 391-399, 1996; M. van de Wetering et al., Cell 88: 789-799, 1997; E. Brunner et al., Nature 385: 829-833, 1997). 이에 덧붙여, Wnt 신호전달을 매개하는 TCF/베타-카테닌 복합체는 미성숙한 흉선세포(thymocyte)가 발달하는데 중요한 경로라는 것이 밝혀졌다(V. Ionnidis et al., Nat. Immunol. 2: 691-697, 2001). 이러한 발견은 TCF 패밀리 단백질이 증식과 세포사멸을 결정하는 유전자의 중요한 조절자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J. Roose and H. Clevers, Biochem. Biophys. Acta 87456: M23-M37: 1999; J. Roose et al., Nature 395: 608-612, 1998). 예를 들어, TCF/베타-카테닌은 cyclin D1과 c-myc과 같은 암 발달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전사가 일어나도록 한다(O. Tetsu and F. McCormick, Nature 395: 608-612, 1998; T. C. He et al., Science 281: 1509-1512, 1998).
앱타머는 짧은 단일가닥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높은 친화도와 특이성으로 표적 물질에 결합할 수 있는 3차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앱타머는 대부분의 경우에 표적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효율적으로 그 기능을 억제할 수 있어 표적 단백질의 기능을 알아내는데 이용될 수 있다.
반복된 생체 외 선별과정은 임의의 RNA 라이브러리로부터 특이적인 RNA 분자, 즉 앱타머의 선별이 가능하도록 하는데(A. D. Ellington and J. W. Szostak, Nature 346: 818-822, 1990; C. Tuerk and L. Gold, Science 249: 505-510, 1990) RNA 라이브러리의 사이즈가 크고(1014-1015) 생체 외 효소 작용에 의해 RNA 분자를 생성하기 쉽기 때문에 RNA 라이브러리는 고 친화도 앱타머를 선별하기 위한 다른 생물학적 라이브러리 또는 합성 라이브러리 보다 우수하다(E. N. Brody and L. Gold, Rev. Mol. Biotechnol. 74: 5-13, 2000).
치료제로서 RNA 앱타머의 잠재적인 용도에 대한 흥미가 증가하고 있는데(Nimjee et al., Trends Cardiovasc Med. 15(1):41-45, 2005), 고친화도 RNA 앱타머는 SELEX(Systematic Evolution of Ligands by Exponential Enrichment) 과정에 의해 선별될 수 있다(Ellington et al., Nature. 346(6287):818-822, 1990; Brody & Gold, J Biotechnol. 74(1):5-13, 2000). RNA 앱타머는 작은 화학물질보다 억제제로서 잇점이 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표적 단백질에 넓은 결합부위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병리학적인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은 RNA 앱타머의 훌륭한 표적이 될 수 있는데 이는 고친화도 RNA가 표적 단백질에 결합하여 복합체에서 다른 단백질과의 결합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RNA 앱타머는 세포에서 RNA 발현 벡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인트라머로 발현될 수 있다(Famulok & Mayer, Chembiochem. 6(1):19-26, 2005).
앱타머에 대한 내용이 기술되어 있는 특허로는 하기와 같은 것이 있는데, 대한민국 특허 10-2003-0054412는 응고 촉진을 위하여 RNA 앱타머(aptamer)를 포함하는 약제에 관해 기술하고 있고 대한민국 특허 10-2002-7009983는 용액 중의 동족 리간드의 존재를 신호화하는데 사용되는 리포터 분자를 함유하는 앱타머(aptamer)에 관해 기재되어 있다. 또한, 국제특허 WO 2003/027319는 왓슨-크릭(Watson-Crick) 또는 상동성 결합으로 결합된 2개 이상의 핵염기-함유 서열을 포함하는 앱타머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 중 어느 것도 베타-카테닌의 TCF 결합부위와 상호작용하는 앱타머 또는 TCF-1 의 DNA 결합부위와 상호작용하는 앱타머에 대해서는 기술하고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베타-카테닌에 결합하는 RNA 앱타머를 선별하고 이를 세포주에 특이적으로 위치하는 RNA 인트라머로 안정적으로 발현시켜 RNA 인트라머가 베타-카테닌의 전사 활성을 억제하고 표적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키며 생체 외에서 선별된 TCF-1에 결합하는 RNA 앱타머(RNA 앱타머 #10)가 실제로 TCF-1 단백질에 결합하여 암 관련 유전자와의 결합을 방해하여 전사를 억제함으로써 항암제 개발에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베타-카테닌에 결합하는 RNA 앱타머, TCF-1의 HMG 도메인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RNA 앱타머 및 그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베타 카테닌에 결합하는 RNA 앱타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RNA 앱타머를 함유하는 유전자 발현 조절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베타-카테닌과 다른 단백질 간의 상호작용 저해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RNA 앱타머를 포함하는 항암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TCF-1의 HMG 도메인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RNA 앱타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RNA 앱타머를 함유하는, TCF-1과 타 유전자 간 상호작용 저해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RNA 앱타머를 함유하는 유전자 발현 조절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RNA 앱타머를 함유하는 항암제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베타 카테닌에 결합하는 RNA 앱타머를 제공한다.
베타-카테닌에 결합하는 RNA 앱타머를 제작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베타-카테닌 단백질의 아르미딜로 반복부위(armadillo repeat(Arm 1-12)를 시험관 선별을 위한 표적으로 이용하였는데 이는 TCF-4 단백질과 상호작용하는 모티프를 포함하고 있는 부위이다(도 1a 참조). 임의의 50 개짜리 RNA 서열(1x1015개의 분자)을 SELEX(Systematic Evolution of Ligands by EXponential enrichment)과정의 시작물질로 사용하여(Kim & Jeong, Biochem. Biophys. Res. Commun 320:1181-1186, 2004) 방법으로 재조합된 아르마딜로 반복서열에 결합한 RNA만을 선별하였다. 선별된 RNA에 대해 in vitro에서 베타-카테닌에 결합하는지 확인한 결과, RNA-EMSA에서 전체길이 베타-카테닌에 결합하는 반면(도 1d 참조) 베타-카테닌 이외의 다른 단백질에는 결합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RNA 앱타머가 베타 카테닌에 특이적으로 결합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RNA 앱타머를 함유하는 유전자 발현 조절제를 제공한다.
베타-카테닌은 세포질에서는 세포 부착에 관여하고 핵 내에서는 표적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한다. 본 발명자들은 세포질의 세포 부착 복합체가 아닌 핵의 전사 복합체에서 표적 세포의 베타 카테닌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핵 발현 RNA 벡터를 사용하여 세포내에서 RNA 인트라머를 발현시켰다. 핵 특이적 RNA 발현 벡터시스템은 삽입 서열을 핵에서 발현시키는 모든 벡터가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RNA polymerase Ⅲ의 조절을 받는 U6 프로모터를 이용한 pTZU6+1과 pTZU6+27 벡터 및 Human tRNAmet 프로모터를 이용한 벡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pTZU6+27 벡터이다.
본 발명자들은 높은 수준으로 베타-카테닌을 발현하는 대장암 세포에서 루시퍼라제 어세이를 실시하여, RNA 인트라머 용량 의존적으로 베타-카테닌 의존적인 TCF 전사 활성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도 3c 참조). 한편, 베타-카테닌이 TCF 단백질의 패밀리와 결합하고 cyclin D1과 c-myc 프로모터의 전사를 활성화시킨다고 알려져 있어(Tetsu & McCormick, 1999; He et al., 1998) RNA 인트라머가 베타-카테닌의 표적 유전자인 cyclin D1의 전사를 억제할 수 있는지 알아본 결과, cyclin D1 mRNA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유사한 결과가 c-myc 발현에 대해서도 수득됨을 확인하였다(도 3d 참조).
이로써, in vitro에서 베타-카테닌에 결합하는 것으로 선별된 RNA 앱타머를 세포주에서 핵내에 특이적으로 위치하는 RNA 인트라머로 안정적으로 발현시켜, RNA 인트라머는 베타-카테닌의 전사 활성을 억제하고 표적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켰으나 세포 부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베타-카테닌과 다른 단백질 간의 상호작용 저해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RNA 앱타머는 베타-카테닌과 TCF 단백질 간의 결합과 핵내 단백질 복합체의 형성도 억제하므로(도 4a 및 4b) 병리학적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의 특이적인 억제제를 제작하는데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RNA 앱타머를 포함하는 항암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RNA 인트라머를 발현하는 세포주에서는 cyclin D1 발현이 낮았기 때문에 이러한 세포주가 세포주기의 G1/S 전이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가정한 후,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유세포 분석 실험을 실시한 결과, 실제로 세포주는 G1에 머물러 있는 비율이 높았다(도 5c 참조).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세포주가 종양 형성 능력을 감소시켰는지 테스트하기 위하여 연성 아가 콜로니 형성(soft agar colony formation)을 어세이하였다. 그 결과, RNA 인트라머 안정 세포주에서는 콜로니가 생성되지 않은 반면 대조 세포주에서는 많은 수의 콜로니가 생성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베타-카테닌 RNA 인트라머가 세포분열 주기를 멈추게 하는데 효과가 있고 궁극적으로는 종양 발생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도 5d 참조).
또한, 본 발명은 TCF-1의 HMG 도메인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RNA 앱타머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전에 생체 외(in vitro)에서 TCF-1 단백질의 HMG 도메인에 결합하는 RNA 앱타머를 선별하였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RNA 앱타머가 세포 내에서 실제로 TCF-1 단백질과 결합하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RNA 앱타머 #10은 DNA 결합부위를 포함하는 HMG 도메인(C200, C)에는 결합했지만 N-말단의 베타 카테닌 결합 도메인(N100, N)에는 결합하지 않았고 베타-카테닌이나 NFAT(NF)와 같은 다른 단백질의 DNA 결합 도메인에도 결합하지 않았다(도 6 참조).
본 발명자들은 RNA 앱타머 #10의 TCF-1 단백질에 대한 결합 특이성을 시험하기 위해 RNA 앱타머 #10과 비특이적인 RNA 간의 경쟁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RNA #10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TCF-1과 결합한 RNA 앱타머 #10의 세기가 점차 약해지나 TCF-1에 결합하지 않는 RNA #9나 원래 RNA 풀(Ori)에 의해서는 결합이 약해지지 않았으므로(도 7 참조) RNA 앱타머 #10은 TCF-1에 특이적으로 결합함을 확인하 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RNA 앱타머를 함유하는, TCF-1과 타 유전자 간 상호작용 저해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TCF-1 결합서열을 포함하는 DNA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TRE, TCF responsive element), TCF-1, RNA 앱타머 #10 및 tRNA를 반응시켰다. 그 결과, TRE와 TCF-1 단백질 간의 결합은 RNA 앱타머 #10의 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점차 억제되었지만, 비-특이적인 tRNA와에 의해서는 억제되지 않았다(도 8a 참조).
이로써, RNA 앱타머 #10은 TCF-1과 이에 특이적인 DNA 결합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RNA 앱타머를 함유하는 유전자 발현 조절제를 제공한다.
TCF 단백질은 DNA 결합 전사인자로 다른 전사 활성인자에 강하게 결합하여 각종 표적 유전자를 활성화시킨다. 본 발명의 RNA 앱타머는 TCF-1의 HMG 도메인에 강력하게 결합하여 다른 전사인자와의 상호작용을 저해하므로 TCF-1이 결합하는 유전자, 즉, cyclin D1, c-myc과 같은 표적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RNA 앱타머를 함유하는 항암제를 제공한다.
cyclin D1과 c-myc 등의 표적 유전자는 암 발생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전사인자 TCF-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다른 전사 활성인자와의 결합을 저해할 수 있는 RNA 앱타머는 표적 유전자의 발현 활성화로 일어나는 암과 같은 질환의 치료제로 유용하다. 베타 카테닌이 TCF-1과 결합하지 못할 경우 여러 종류의 암을 발생시키지만 특히 대장암과 직장암의 발생 빈도가 높아 본 발명의 항암제는 대장암과 직장암 치료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Lustig B and Behrens J. J, Cancer Res Clin Oncol. 129(4): 199-221, 2003; Gregorieff A & Clavers H. Genes Dev. 19(8): 87-90, 2005).
본 발명의 RNA 앱타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는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등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 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RNA 앱타머를 포함하는 항암제는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국소 또는 시각 경로에 적용)가 바람직하며,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본 발명의 치료제는 RNA 앱타머를 10 내지 95 중량 %,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75 중량 %로 포함할 수 있으며 하루 일회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RNA 앱타머의 유효량은 세포내 농도가 약 1nM 내지 1000nM, 바람직하게는 100nM 내지 500nM이 되도록 하는 양을 포함한다. 보다 적거나 많은 양의 앱타머를 투여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베타-카테닌에 결합하는 앱타머
<실시예 1> 플라스미드와 시약
pCAN-베타-카테닌은 Dr. McCrea(University of Texas M.d. Anderson Cancer Center)로부터, pTZU6+27은 Dr. David Engelke(University of Michigan) 그리고 루시퍼라제 리포터 플라스미드, pGL3-OT(TOPFLASH의 개선된 버전)와 pGL3-OF(돌연변이)는 Dr.Shivdasani과 Volestein(Johns Hopkins University)으로부터 수득하였다. 야생형과 세 가지 TCF 부위 돌연변이 -1745 cyclin D1 프로모터 리포터는 Dr. Pestell(Albert Eistein College of Medicine)으로부터 수득하였다. 대조군 벡터, Renilla 루시퍼라제 pRL-TK는 형질전환 횟수를 표준화하기 위해 이중 루시퍼라제 키트(Promega)를 이용하였고 pCMV-β는 Clonetech에서 구입하였다. 항-케타-카테닌 폴리클론(C-18), 항-TCF-4 폴리클론(H-125) 및 항-cyclin D1 모노클론(HD11) 항체는 Santa Cruz 로부터 구입하였고 항-감마-카테닌과 E-cadherin 모노클론 항체는 Transduction Laboratories로부터 구입하였다.
<실시예 2> In vitro RNA 결합 어세이
<2-1> GST-베타-카테닌 단백질의 클로닝과 발현
재조합 베타-카테닌 단백질의 세균 발현 벡터는 pCAN-베타-카테닌 플라스미드의 베타-카테닌 부위(Arm 1-12, 아미노산 129-695)는 BamHⅠ(서열번호 3) 및 EcoRⅠ(서열번호 4) 제한효소부위를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증폭하였다. PCR 증폭 조건은 DNA (10 μM), 10 × Mg2+ free buffer, 2.5 mM MgCl2, 250 nM 5′ Primer, 250 nM 3′ Primer, 100 μM, Taq polymerase lu (Promega)을 첨가하고 총 부피가 100 ㎕ 되도록 제작한 뒤 95℃에서 5분 동안 변성시키고, 95℃ 1분, 55℃ 1분, 72℃ 1분의 조건으로 30 cycle을 반복하여 72℃에서 10분간 연장(extension)시켜 반응을 종결하였다. PCR 증폭산물은 상기 제한효소부위를 사용하여 pBluescriptⅡ-SK 벡터로 클로닝하였다. 상기 삽입부위를 BamHⅠ과 XhoⅠ으로 절단하여 GST-5X-1 벡터(Amersham Biosciences)로 융합하여 GST-베타-카테닌 발현벡터를 제작하였다. 재조합 GST-융합 단백질은 대장균에서 발현시킨 후, 기존에 알려진 방법으로 정제 하였다(Lee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327: 294-299, 2005).
<2-2> In vitro RNA 선별과 RNA 결합 어세이
<2-2-1> 앱타머 선별과 동정
베타-카테닌에 결합하는 RNA 앱타머를 제작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베타-카테닌 단백질의 아르미딜로 반복부위(armadillo repeat(Arm 1-12))를 시험관 선별을 위한 표적으로 이용했는데 이는 TCF-4 단백질과 상호작용하는 모티프를 포함하고 있는 부위이다(도 1a).
SELEX(Systematic Evolution of Ligands by EXponential enrichment) 방법을 이용한 RNA 앱타머 선별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임의의 50 개짜리 RNA 서열(1x1015개의 분자)을 시작물질로 사용하여 이를 베타-카테닌에 노출시키고 일정시간 정온배치한 후, GST-결합된 RNA는 제외시키고 GST-아르마딜로 반복서열에 결합한 RNA만을 글루타치온-세파로즈 4B 비드로 선별하였다. 선별한 RNA를 증폭시키고 증폭된 앱타머들로만 구성된 라이브러리를 다음 단계의 시작물질로 하여 다시 선별반응을 8회 반복하여 결합한 RNA 앱타머를 분리하였다. 선별된 RNA는 6 번의 선별 과정을 거친 후에 단백질에 결합하였고(selection 6, SE6, 도 1b) 유사한 수준의 결합은 8 주기의 선별 후에 관찰되었다(SE8). 각각의 RNA 분자를 SE8 RNA 풀(pool)로부터 분리하여 40개의 독립적인 클론을 시퀀싱하였다. 시퀀싱 결과, 모든 클론이 동일한 서열을 가지고 있었다(Kim & Jeong, Biochem. Biophys. Res. Commun 320:1181-1186, 2004; Lee SK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327:294-299, 2005)(도 1c).
<2-2-2> In vitro RNA 결합 어세이
SELEX 선별과정 8주기 후에 선별된 서열은 EcoRⅠ과 BamHⅠ으로 처리한 후, pUC19로 클로닝하여 pUC19-aptamer를 제작하였다. RNA 결합을 테스트하기 위해, RNA는 방사성 동위원소로 기존의 방법(Kim & Jeong, Biochem. Biophys. Res. Commun 320:1181-1186, 2004)대로 표지하였고 GST-베타 카테닌과 정온배치한 후, GST pull-down(Kim & Jeong, Biochem. Biophys. Res. Commun 320:1181-1186, 2004) 또는 RNA-EMSA 방법(RNA-Electrophoretic Mobility-Shift Assay)(Kim & Jeong, Biochem. Biophys. Res. Commun 320:1181-1186, 2004)으로 어세이하였다. 그 결과, 상기 RNA 앱타머는 RNA-EMSA에서 전체길이 베타-카테닌에 결합함을 확인하였고 결합 친화도(Kd)는 약 5nM(도 1d)였다. 그러나 RNA 앱타머는 베타-카테닌 이외의 다른 단백질, 예를 들어 RNA 결합 단백질 HuR, 베타-카테닌과 결합하는 TCF1 또는 전혀 관련이 없는 GST 단백질 모두에 결합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RNA 앱타머가 베타 카테닌에 특이적으로 결합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RNA 앱타머의 세포내 발현과 세포질 베타-카테닌과의 특이적 결합
RNA 앱타머가 시험관내에서 베타-카테닌에 대한 높은 친화도와 특이성을 나타내었기 때문에, 본 발명자들은 포유류 세포에서도 RNA 앱타머와 베타-카테닌이 특이적으로 결합하는지 시험하였다.
<3-1> RNA 인트라머의 제작과 발현
본 발명자들은 작은 RNA 인트라머 전사체가 핵에서만 발현되도록 U6 프로모터를 포함하는 pTZU6+27 벡터에 RNA 앱타머 서열을 삽입한 발현벡터 pU6-aptamer를 제작하였다(Paul CP et al., Nature Biotechnol 20: 505-50, 2002).
구체적으로, 앱타머 서열을 pTZU6+27로 클로닝하기 위해서, 프라이머 U6-F1(서열번호 5)와 U6-R1(서열번호 6)를 사용하여 pUC19-aptamer로부터 앱타머 부분을 증폭하였다. PCR 증폭 조건은 94℃에서 5분 동안 변성시키고, DNA (10 μM), 10 × Mg2+ free buffer, 2.5 mM MgCl2, 250 nM 5′ Primer, 250 nM 3′ Primer, 100 μM, Taq polymerase lu (Takara사)을 첨가하고 총 부피가 100 ㎕ 되도록 제작한 뒤 95℃에서 5분 동안 변성시키고, 95℃ 1 분, 55℃ 1분, 72℃ 1분의 조건으로 30 cycle을 반복하여 72℃에서 10분간 연장(extension)시켜 반응을 종결하였다. PCR 산물은 SalⅠ과 XbaⅠ으로 절단하여 pTZU6+27의 동일한 제한효소부위로 클로닝함으로써 pU6-aptamer를 제작하였다. 플라스미드 U6-NC(뉴클레오캡시드)(Kim & Jeong, Biochem. Biophys. Res. Commun 320:1181-1186, 2004)는 모든 실험에서 음성대조군으로 사용되었다. pDHFR-앱타머는 이전에 기술된 내용(Kim & Jeong, Biochem. Biophys. Res. Commun 320:1181-1186, 2004)대로 만들어졌다.
RNA 인트라머의 높은 수준의 발현은 U6-앱타머로 형질전환된 293 세포의 노 던 블럿과(도 2a) 실-시간 RT-PCR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형질전환 5일 후에 RNA 인트라머가 안정적으로 지속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3-2> 세포 배양, 형질전환 및 루시퍼라제 어세이
Humane Embryonic Kidney 293T 세포, 인간 대장암(colorectal carcinoma) HCT116 세포 및 선암(adenocarcinoma) SW480 세포(상기 모든 세포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로 부터 수득)를 10% FBS를 포함하는 DMEM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실시예 <3-1>에서 제작한 pU6-aptamer를 lipofectAMINE(invitrogen)을 사용하여 HCT116 세포 및 SW480 세포에 형질전환시켰다. 루시퍼라제 어세이를 위해서 상기 세포는 루시퍼라제 리포터, pU6-aptamer 및 pCMV-β-catenin으로 공-형질전환시켰다. 루시퍼라제 활성은 Turner Luminometer TD-20/20를 이용하여 Luciferase assay system(Promega)로 검출하였다.
<3-3> RNA 인트라머와 베타-카테닌의 결합 확인
본 발명자 들은 RNA 앱타머가 세포내에서도 베타-카테닌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3-3-1> RNA 동시-면역침강 어세이
HCT116 세포를 RNA 발현벡터, pU6-aptamer 또는 대조군 벡터인 pU6-NC로 형질전환시켰다. 핵 추출물은 단백질-G-세파로즈 비드로 미리 정제한 후 정상 래빗 IgG, 항-감마-카테닌 항체 또는 항-베타-카테닌 항체로 4℃에서 밤새 면역침강시켰다. 펠렛과 상등액은 페놀로 추출되어 결합된 RNA는 순수분리되어 역전사된 후 상기와 같이 서열번호 5와 6으로 기재되는 앱타머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22와 23으로 기재되는 GAPDH 프라이머 서열로 PCR 증폭되었다.
<3-3-2> 바이오틴 RNA Pull-down 어세이
RNA 앱타머는 시험관 내에서 4-thio UTP(USB)의 존재하에 전사되었고 Biotin(Pierce)로 말단표지되었다. RNA pull-down 어세이를 위해서 4.4㎍의 표지된 앱타머를 20㎍의 SW480 핵 추출물과 상온에서 30분 동안 정온배치한 후 UV로 15분 동안 조사하였다. 복합체들은 streptavidin-conjugated Dynabead(New England BioLabs)로 분리하였고 비드와 상등액의 단백질은 웨스턴 블럿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바이오틴-RNA 침강된 레인에서 베타-카테닌을 검출하였으나 대조 레인에서는 검출하지 못했다. 베타-카테닌 항체로 면역침강하였을 때도 U6-RNA 인트라머만이 공-면역침강(co-immunoprecipitation)되었고 대조군인 NC 단백질(HIV의 뉴클레오캡시드) 또는 벡터 RNA와는 면역침강되지 않았다(도 2c).
또한, 세포내 단백질 결합의 특이성을 시험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들은 베타-카테닌과 86% 서열 상동성을 갖고 세포막에서 베타-카테닌과 세포 부착 복합체를 형성하는 감마-카테닌에 대해서도 상기와 동일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RNA 인트라머는 세포내에서 감마-카테닌과 결합하지 않았는데 이로써 RNA 인트라머가 베타-카테닌과 특이적인 결합을 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베타-카테닌의 전사 기능 억제
<4-1> 베타-카테닌 발현 유도 확인
RNA 인트라머가 베타-카테닌 의존적인 TCF 전사 활성을 억제하는지 알아보기 위한 준비단계로 먼저, 염화리튬(LiCl)을 293T 세포에 처리하고 항-베타-카테닌 항체로 면역블로팅하여 내생의 베타-카테닌 단백질이 염화리튬 처리에 의해 활성화됨을 확인하였다(도 3a).
또한, 야생형 TCF 결합부위 또는 야생형(OT)과 돌연변이(OF) TCF 결합 부위를 갖는 루시퍼라제 리포터를 U6 벡터 또는 RNA 앱타머(U6-Aptamer)와 함께 293T 세포에 공-형질도입하였다. 염화리튬 또는 염화칼륨 처리 후 루시퍼라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 야생형(OT) TCF 결합부위를 갖는 루시퍼라제 리포터에서만 RNA 인트라머 용량에 따른(dose-dependent) 루시퍼라제 활성 억제가 나타났다(도 3b). 매우 높은 수준으로 베타-카테닌을 발현하는 HCT116 대장암 세포에 동일한 실험을 실시한 결과, 역시 야생형(OT)에서만 RNA 인트라머 용량에 따른 루시퍼라제 활성 억제가 나타났다(도 3c).
한편, 뉴클레오캡시드 단백질(U6-NC)은 루시퍼라제 수준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기 때문에 RNA 인트라머의 억제 효과가 서열 특이적임을 확인하였다.
<4-2> 베타 카테닌의 전사기능 억제 확인
<4-2-1> RT-PCR과 노던 블럿 분석 방법
전체 세포내 RNA는 세포로부터 TRisol(Invitrogen)로 분리되어 M-MuLV Reverse Transcriptase(Roche)로 역전사된 후 PCR 반응에 주형으로 이용되었다. PCR을 실시한 결과, 서열번호 7 및 8으로 기재되는 프라이머로 cyclin D1의 483bp PCR 산물, 서열번호 9 및 10로 기재되는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베타-카테닌의 334bp PCR 산물 및 서열번호 11 및 13으로 기재되는 프라이머로 c-myc의 308 bp PCR 산물을 생성하였다.
노던 블럿 분석에서 전체 세포내 RNA는 상기 방법으로 추출하였고 RNA 시료는(5㎍/레인)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젤에서 분리하고 나일론 막에 블롯팅하였다. 블롯은 UV에 의해 크로스 링크되었고 DIG-표지된 RNA 프로브(Roche)와 혼성화되었다. DIG Luminescent Detection kit(Roche)가 검출을 위해 사용되었다.
<4-2-2> 베타 카테닌의 전사기능 억제 확인
염화리튬에 의해 베타-카테닌이 발현 유도되고 루시퍼라제 어세이에 의해 RNA 인트라머가 정상적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으므로, 본 발명자들은 실시예 <4-2-1>의 방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RNA 인트라머가 DNA 결합 TCF 단백질의 패밀리와 결합하고 cyclin D1과 c-myc 프로모터의 전사를 활성화시킨다고 알려져 있는 베타-카테닌(Tetsu & McCormick, 1999; He et al., 1998)의 작용을 억제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RNA 인트라머가 내생의 표적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염화리튬 처리한 293T 세포, HCT116 및 SW480 대장암 세포주를 U6-RNA 인트 라머로 형질전환시키고 c-myc과 cyclin D1 mRNA의 발현을 측정하였다(도 3d 및 도 3e).
그 결과, RNA 인트라머의 발현은 세포주 모두에서 cyclin D1과 c-myc mRNA의 발현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베타-카테닌/TCF 복합체의 특이적인 저해
U6-RNA 인트라머가 특이적으로 핵의 베타-카테닌과 결합하기 때문에, 본 발명자들은 베타-카테닌과 TCF 간의 상호작용도 저해할 수 있을 것이라 가정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먼저 시험관 내에서 재조합 베타-카테닌과 TCF간의 상호작용에 대해 시험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재조합된 베타-카테닌과 TCF 단백질들을 앱타머의 존재(실험군) 또는 부재(대조군)하에서 반응시킨 뒤, 항-베타-카테닌 항체를 이용한 면역침강 및 웨스턴 블럿으로 베타-카테닌과 TCF 단백질간의 단백질-단백질 상호결합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베타-카테닌과 TCF 단백질 간의 결합은 U6-RNA 인트라머에 의해 억제되었는데 이는 고친화도 RNA 앱타머가 TCF와 베타-카테닌과의 결합을 위해 경쟁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도 4a).
다음으로 본 발명자들은 핵내 단백질 복합체의 형성이 RNA 앱타머에 의해 억제되는지 확인하여 보았다(도 4b). 동시-면역침강 어세이 결과, 베타-카테닌/TCF-4 상호작용은 RNA 인트라머에 의해 저해되지만 베타-카테닌과 E-cadherin 간의 결합은 억제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대조군으로 베타-카테닌 결합 RNA 인트라머를 잘못된 스플라이싱이 일어난 DHFR 전사체와 융합 전사체를 이루도록 제작하고(Kim & Jeong, Biochem. Biophys. Res. Commun 320:1181-1186, 2004) 단백질-단백질 결합을 시험하였다(도 4). 그 결과, DHFR-인트라머는 TCF-4와의 베타 카테닌 단백질 상호작용 뿐만 아니라 E-cadherin과의 상호작용도 억제하였다. 이는 포유류 세포 내에서 인트라머가 전체적으로 발현되었기 때문인데(Kim & Jeong, Biochem. Biophys. Res. Commun 320:1181-1186, 2004), 이는 U6-RNA 인트라머가 특이적으로 핵내 전사 복합체만 저해하고 세포질의 세포 부착 복합체는 저해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는 U6-RNA 인트라머가 핵에서만 발현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실시예 6> RNA 앱타머에 의한 종양 생성 억제
<6-1> 안정적인 앱타머 형질전환체의 선별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에서, RNA 인트라머가 형질도입에 의해 일시적으로 발현되는 세포에서 베타-카테닌의 표적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기 때문에, RNA가 안정적으로 발현되는 세포주에서 RNA 인트라머가 나타내는 효과를 시험해보았다.
먼저, HCT116 세포는 pU6-aptamer, pU6-NC 또는 pU6 벡터로 pTK-Hyg(Clontech)의 존재하에 공-형질도입한 후, 안정적으로 형질도입된 클론은 hygromycin B(Invitrogen)으로 선별하였다. 2 주 후에 hygromycin에 저항성이 있는 클론이 RNA 앱타머를 발현함을 RT-PCR로 확인한 후, RT-PCR로 cyclin D1과 c- myc의 발현 수준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5a 및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mRNA의 수준(cyclin D1과 c-myc)과 cyclin D1 단백질의 수준은 원래의 종과 비교했을 때, 안정적으로 앱타머가 발현되는 세포주에서는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안정적으로 앱타머가 발현되는 HCT116 세포주의 형태는 U6 RNA(벡터)나 뉴클레오캡시드(NC)-결합 RNA 인트라머를 포함하는 세포주와 다르지 않았다(도 5).
<6-2> 세포주기 분석과 연성 아가 콜로니 형성(Soft Agar Colony Formation)
본 발명자들은 안정적으로 RNA 인트라머를 발현하는 세포주에서는 cyclin D1 발현이 낮았기 때문에 이러한 세포주가 세포주기의 G1/S 전이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가정한 후,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유세포 분석 실험을 실시하였다.
유세포 분석을 위해, 안정적으로 앱타머가 발현되는 HCT116 세포주(10,000 세포/시료)는 트립신 처리한 후 70% 에탄올로 고정하고 프로피디움 요오드(10㎍/ml)로 염색하고 37℃에서 301ns 동안 정온배치하였다. 세포주기 프로파일은 Cellquest Software(Becton Dickinson)을 장착한 FACScaliber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세포주 #6 중 G1에 머물러 있는 비율이 높았다(도 5c).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세포주가 종양 형성 능력을 감소시켰는지 테스트하기 위하여 연성 아가 콜로니 형성(soft agar colony formation)을 어세이하였다. 5000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0.7% 아가와 함께 접종하여 10일 후에, 콜로니가 형성되었고 이를 70% 에탄올로 고정한 후 물로 세척하고 0.005% 크리스탈 바이올렛으로 20분 동안 염색하였다. 그 결과, RNA 인트라머 안정 세포주에서는 콜로니가 생 성되지 않은 반면 대조 세포주에서는 많은 수의 콜로니가 생성되었다(도 5d). 이러한 결과는 베타-카테닌 RNA 인트라머가 세포분열 주기를 멈추게 하는데 효과가 있고 궁극적으로는 종양 발생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TCF-1에 결합하는 앱타머
<실시예 7> 플라스미드 단백질 및 시약
본 발명자들은 pcDNA3.1 벡터의 EcoRⅠ 부위로 마우스 TCF-1의 완전한 코딩 부위를 삽입하였다(S. Jeong et al., Kor. J. Biol. Sci. 4:389-394, 2000). 먼저, EcoRⅠ(5' 프라이머, N100 및 전체길이 TCF-1:서열번호 16, C200: 서열번호 19 )과 SalⅠ(3' 프라이머, N100: 서열번호 17, 전체길이 TCF-1 및 C200: 서열번호 20) 제한효소 부위를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PCR을 실시하였다. PCR 반응조건은, DNA 중합효소 (Taq polymerase, Takara사)를 사용하여 상기에 기재된 프라미어 쌍과 주형을 94℃에서 5분 동안 변성시키고, 94℃에서 1분, 55℃에서 1분 및 72℃에서 1분간 30회 반응시키고, 72℃에서 10분간 연장 (extension)시켜 반응을 종결하였다. 상기 PCR에 의하여 수득한 산물(C200: 아미노산 188-388, N100: 아미노산 5-100, 전체길이 TCF-1 단백질: 아미노산 5-388)은 EcoRⅠ과 SalⅠ으로 절단하여 pGEX 4T-1 플라스미드로 클로닝하여 재조합 TCF-1 단백질에 대한 발현벡터를 제작하였다. 상기 발현벡터로부터 각각의 재조합 단백질을 발현시켜 GST-TFP-1 단백질 및 (His)6 -NFAT-1을 순수분리하는 과정은 이미 기술되어 있다(S. Y. Lee and S. Jeong, Mol. Cell 17: 174-179, 2004; M.Y. Kim and S. Jeong, Biochem. Biophys. Res. Commun. 320: 1181-1186, 2004).
<실시예 8> RNA 앱타머 #10과 TCF-1 단백질 DNA 결합 도메인의 특이적 결합
먼저, 서열번호 13로 기재되는 RNA 앱타머 #10은 방사성 동위원소로 표지하고(α-32P UTP) GST-융합된 TCF-1 단백질과 정온배치하여 후 GST pull-down에 의해 어세이하였다. RNA-단백질 복합체는 글루타치온-세파로즈(GST) 4B 비드로 침강시킨 후 결합된 RNA 앱타머는 5mM EDTA로 용리시켰다. 이를 6% 폴리아크릴아마이트/7M 우레아 젤에서 전기영동한 후 자동 방사선 사진법(autoradiography)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RNA 앱타머 #10은 DNA 결합부위를 포함하는 HMG 도메인(C200, C)에는 결합했지만 N-말단의 베타 카테닌 결합 도메인(N100, N)에는 결합하지 않았고 베타-카테닌이나 NFAT(NF)와 같은 다른 단백질의 DNA 결합 도메인에도 결합하지 않았다. 즉, 본 발명의 RNA 앱타머 #10은 TCF-1의 HMG 도메인에만 특이적으로 결합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9> RNA 앱타머 #10과 비특이적인 RNA와의 경쟁
<9-1> 핵 추출물의 준비
인간 태아 신장 293T 세포와 뮤린(murine)의 미성숙한 흉선세포주 S49.1(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를 Dulbecco's modified Eagle's 배지(10% 우태아 혈청과 항체를 포함하는)에서 배양하였다. 인간 태아 신장 293T세포는 GST-TCF-1 발현벡터로 형질전환되었고 S49.1 세포주는 cd4/cd8 이중 음성 미성숙 흉선세포를 가지고 있고 높은 수치의 TCF-1을 나타내며 TCF 신호전달에 의해 조절된다(S. H. Jeon et al., J. Exp. Med. 185: 1827-1836, 1997) 293T 세포(1X107 세포)와 S49.1 세포(1X108 세포)는 회수하여 차가운 PBS로 2회 세척하였다. 세포 펠렛은 단백질 분해효소 억제제 칵테일과 포스파타제 억제제 칵테일(Sigma-Aldrich)이 첨가된 200μl의 차가운 완충용액 A(20mM Tris-Cl (pH 8.0), 10mM NaCl, 1mM EDTA, 1mM DTT, 1mM PMSF, protease inhibitor cocktail, phosphatase inhibitor cocktail)에 재현탁하였다. 이를 얼음에 15분 동안 정온배치한 후, 세포는 0.5% NP40로 용해시키고 부드럽게 흔들었다. 세포 파쇄물은 4℃에서 30분 동안 4000rpm으로 원심분리하였다. 펠렛은 50ml의 차가운 완충용액 C(20mM Tris-Cl (pH8.0), 400mM NaCl, 1.5mM MgCl2, 0.2mM EDTA, 0.5mM PMSF, 25% glycerol, protease inhibitor cocktail, phosphatase inhibitor cocktail)에 재현탁하였다. 얼음에 30분 동안 정온배치한 후, 파편은 원심분리로 침전시키고 상등액만 수득하였다. 여과된 세포 추출물의 단백질 농도는 Bradford assay(Bio-Rad)에 의해 측정되었다.
<9-2>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EMSA)
본 발명자들은 RNA 앱타머 #10의 TCF-1 단백질에 대한 결합 특이성을 시험하기 위해 RNA 앱타머 #10과 비특이적인 RNA 간의 경쟁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9-1>에서 준비한 핵 추출물(5.25μg의 S49.1)에 0.2μg poly(dI-dC), 방사성 표지된 RNA 앱타머 #10와 방사성 표지되지 않은 RNA 앱타머 #10, 비특이적인 RNA 앱타머 #9(서열번호 14) 및 #20(서열번호 15)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30분 동안 정온배치하였다. 정온배치 후 상기 반응물을 5% 네이티브 폴리아크릴아마이드젤에서 1xTBE 150V로 4 시간 동안 전기영동하는 EMSA를 실시하여 단백질 RNA-단백질 복합체를 분리한 후 자동 방사선 사진법(autpradiography)으로 시각화하였다.
그 결과, 표지되지 않은 RNA(#10, #9, #20)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결합 밴드, 즉 TCF-1과 결합한 방사성 표지된 RNA 앱타머 #10의 세기가 점차 약해지는 것을 관찰하였다. 그러나 TCF-1에 결합하지 않는 RNA #9나 원래 RNA 풀(Ori)에 의해서는 결합이 약해지지 않았다. 이로써 비-결합 RNA 분자(#9와 #20)는 TCF-1 결합에 있어, RNA 앱타머 #10과 경쟁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0> RNA 앱타머 #10에 의한 TCF-1과 DNA의 결합 억제
본 발명자들은 TCF-1 결합서열(A/T A/T CAAAG)을 포함하는 DNA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TRE, TCF responsive element, 서열번호 21)로 EMSA(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를 수행하였다.
<10-1> TRE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제작
서열번호 12로 기재되는 이중가닥 TRE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Bioneer에 의해 합성되었다. TRE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20U의 T4 폴리뉴클레오티드 키나제에 의해 50μCi[γ-32P]ATP로 말단-표지된 후, G-50 Sephadex spin column(Sigma)으로 분리되고 페놀 추출되고 에탄올 침전되었다.
<10-2> EMSA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10-1>에서 준비한 TRE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핵 추출물(5.25μg의 S49.1)에 0.2μg poly(dI-dC)(Roche)에 첨가하고 , 방사성 표지되지 않은 RNA 앱타머 #10과 tRNA를 첨가하여 정온배치 한 후, 상기 실시예 <9-2>과 같이 EMSA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TRE와 TCF-1 C200 단백질 간의 결합은 표지되지 않은 앱타머 #10의 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점차 억제되었지만, 비-특이적인 tRNA와에 의해서는 억제되지 않았다(도 8a).
본 발명자들은 또한 RNA 앱타머 #10에 의해 TCF-1 전체길이 단백질과 TRE 결합이 특이적으로 억제되는지 관찰하였다.
그 결과, RNA 앱타머 #10에 의해 TCF-1 전체길이 단백질과 TRE 결합역시 억제되었지만 TCF-1에 비특이적인 HIV-1 뉴클레오캡시드(NC) 단백질 결합 RNA 앱타머(M. Y. Kim and S. Jeong, Biochem. Biophys. Res. Commun. 320: 1181-1186, 2004) 또는 원래의 RNA 라이브러리는 TCF-1과의 결합을 위해 TRE와 경쟁하지 않았다(도 8b).
이로써, RNA 앱타머 #10은 생체 외와 세포내 모두에서 TCF-1와 이에 특이적인 DNA 결합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제제예> 주사액제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RNA 앱타머 100 nM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사액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5‘-클로로-3,2’-디하이드록시찰콘 또는 5‘-클로로-2,3’-디하이드록시찰콘ㆍ염산염 1 g, 염화나트륨 0.6 g 및 아스코르브산 0.1 g을 증류수에 용해시켜서 100 ㎖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병에 넣고 20℃에서 30 분간 가열하여 멸균시켰다.
상기 주사액제의 구성성분은 다음과 같다.
RNA 앱타머 ---------------------- 5 ㎍(100nM)
5‘-클로로-3,2’-디하이드록시찰콘 또는 5‘-클로로-2,3’-디하이드록시찰콘ㆍ염산염 --------------------- 1 g
염화나트륨 --------------------- 0.6 g
아스코르브산 --------------------- 0.1 g
증류수 --------------------- 정량
본 발명의 베타-카테닌에 결합하는 RNA 앱타머는 베타-카테닌의 전사 활성을 억제하고 표적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키므로 베타-카테닌/TCF 전사 복합체의 특이적인 억제제로 병리학적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의 특이적인 억제제 및 암 유전자인 베타-카테닌의 기능을 억제하는 항암제를 개발하는데 이용될 것이다. 또한, TCF-1의 DNA 결합부위에 대한 RNA 앱타머는 TCF-1과 표적 유전자의 결합을 억제하여 표적 유전자의 발현을 저해함으로써 TCF-1의 기능을 밝히는데 이용될 수 있고, 대부분의 표적 유전자가 cyclin D나 c-myc과 같은 암 관련 유전자이므로 TCF-1의 DNA 결합을 저해하는 RNA 앱타머는 항암제 개발 및 항암제 후보물질 스크리닝에 이용될 수 있다.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15)

  1.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베타 카테닌에 결합하는 RNA 앱타머.
  2. 삭제
  3. 제 1항의 RNA 앱타머를 함유하는 유전자 발현 조절제.
  4. 제 3항에 있어서, 유전자가 cyclin D1 또는 c-myc 유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발현 조절제.
  5. 제 1항의 RNA 앱타머를 함유하는 베타-카테닌과 타 단백질 간 상호작용 저해제.
  6. 베타 카테닌에 결합하고, 서열번호 2로 기재되는 DNA로부터 전사되는 RNA 인트라머 발현용 재조합벡터.
  7. 삭제
  8. 제 1항의 RNA 앱타머 또는 제 6항의 인트라머가 발현되는 재조합벡터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050094404A 2005-10-07 2005-10-07 Rna 앱타머 및 그의 용도 KR100740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404A KR100740974B1 (ko) 2005-10-07 2005-10-07 Rna 앱타머 및 그의 용도
US12/064,384 US7999089B1 (en) 2005-10-07 2006-10-09 RNA aptamers and the uses thereof
PCT/KR2006/004048 WO2007043784A1 (en) 2005-10-07 2006-10-09 Rna aptamers and the use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404A KR100740974B1 (ko) 2005-10-07 2005-10-07 Rna 앱타머 및 그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9269A KR20070039269A (ko) 2007-04-11
KR100740974B1 true KR100740974B1 (ko) 2007-07-20

Family

ID=37942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4404A KR100740974B1 (ko) 2005-10-07 2005-10-07 Rna 앱타머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999089B1 (ko)
KR (1) KR100740974B1 (ko)
WO (1) WO20070437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12696B1 (pl) * 2008-02-14 2012-11-30 Inst Chemii Bioorg Pan Inhibitor rybonukleazy Dicer
US9944933B2 (en) * 2014-07-17 2018-04-17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Aptamer-guided gene targeting
CN104388422B (zh) * 2014-10-24 2017-08-25 集美大学 寡核苷酸序列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4844691B (zh) * 2015-05-22 2017-12-22 中国人民解放军南京军区福州总医院 Sox2蛋白肽适配子及其鉴定
CN107941767A (zh) * 2017-11-23 2018-04-20 王颖皓 基于核酸适体荧光探针gsh2的谷胱甘肽试剂盒及其检测方法
WO2023183873A1 (en) * 2022-03-24 2023-09-28 Mensura Health Inc. Aptamers and use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52045A1 (en) * 2003-06-06 2006-11-09 Moitreyee Chatterjee-Kishore Methods and materials for identifying agents which modulate bone remodeling and agents identified thereby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ol. Cells 17(1): 174-179 (2004.2.29, 인용발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43784A1 (en) 2007-04-19
KR20070039269A (ko) 2007-04-11
US7999089B1 (en) 2011-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in et al. The liver-enriched transcription factor CREB-H is a growth suppressor protein underexpressed in hepatocellular carcinoma
KR100740974B1 (ko) Rna 앱타머 및 그의 용도
Klotzbücher et al. Misexpression of wild-type and truncated isoforms of the high-mobility group I proteins HMGI-C and HMGI (Y) in uterine leiomyomas
KR102344598B1 (ko) 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060141529A1 (en) Compositions, kits and assays containing reagents directed to cortactin and an ARG/ABL protein kinase
Bai et al. A role for CITED2, a CBP/p300 interacting protein, in colon cancer cell invasion
Luan et al. The retinoblastoma protein is an essential mediator of osteogenesis that links the p204 protein to the Cbfa1 transcription factor thereby increasing its activity
US20200326343A1 (en) Gene and its expression product promoting the occurrence and development of cancer and application
Wang et al. The Kruppel-like KLF4 transcription factor, a novel regulator of urokinase receptor expression, drives synthesis of this binding site in colonic crypt luminal surface epithelial cells
Tan et al. A novel recurrent chromosomal inversion implicates the homeobox gene Dlx5 in T-cell lymphomas from Lck-Akt2 transgenic mice
JP5645171B2 (ja) 細胞増殖抑制剤及びそ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KR20230048234A (ko) Dna 손상 복구 효율 조절용 조성물
Tan et al. An N-terminal splice variant of human Stat5a that interacts with different transcription factors is the dominant form expressed in invasive ductal carcinoma
Park et al. Inhibition of the DNA binding by the TCF-1 binding RNA aptamer
Baghmisheh et al. CASZ1 promotes migration, invasion, and metastasis of lung cancer cells by controlling expression of ITGAV
Su et al. Recruitment of nuclear factor Y to the inverted CCAAT element (ICE) by c-Jun and E1A stimulates basal transcription of the bone sialoprotein gene in osteosarcoma cells
KR100954823B1 (ko) PPAR-δ에 결합하는 RNA 앱타머 및 이의 용도
JP2007282628A (ja) 抗癌剤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CA2546363A1 (en) Methods and agents for screening for compounds capable of modulating her2 expression
WO2006023210A2 (en) Gp132: me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cancer
JPWO2006126505A1 (ja) Stat機能阻害剤およびその応用
Murad et al. PKR activation by a non-coding RNA expressed in lymphocytes of mice bearing B16 melanoma
Dooher et al. C/EBP, C/EBP oncoproteins, or C/EBP preferentially bind NF-B p50 compared with p65, focusing therapeutic targeting on the C/EBP: p50 interaction
Wu et al. Targeting high circDNA2v levels in colorectal cancer induces cellular senescence and elicits an anti-tumor secretome
WO2005063987A1 (en) Gp153: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canc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