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0695B1 - Sustaining apparatus of a sign board - Google Patents

Sustaining apparatus of a sign 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0695B1
KR100740695B1 KR1020060071719A KR20060071719A KR100740695B1 KR 100740695 B1 KR100740695 B1 KR 100740695B1 KR 1020060071719 A KR1020060071719 A KR 1020060071719A KR 20060071719 A KR20060071719 A KR 20060071719A KR 100740695 B1 KR100740695 B1 KR 100740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ign
noise
noise plat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7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기룡
Original Assignee
김기룡
주식회사 케이아이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룡, 주식회사 케이아이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김기룡
Priority to KR1020060071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069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6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A support device of a sign plate is provided to support a sign plate stably against strong wind pressure, to fix and install simply with a simple structure and to install a sign plate stably against strong wind pressure. The support device of a sign contains a fixed assembly installed to a sign plate and installed to a support, and an arc-shaped soft friction member(7) fitted to a contact part between the fixed assembly and the support. The fixed assembly contains a fixed plate(3) fixed with a sign plate(9) to move integrally with the force of a spring(6), a primary noise plate(4) formed in an arc shape to cover the soft friction member to make the soft friction member and the horizontal bar adhered closely to each other with strong frictional force, a secondary noise plate(5) connected with the primary noise plate by a hinge(2), wherein the fixed plate, the primary noise plate and the secondary noise plate are connected to make relative rotation possible by the hinge.

Description

표지판 지지장치{Sustaining apparatus of a sign board}Signing apparatus of a sign boar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지판 지지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개략적인 측면도.1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state in which a sign suppor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 2는 표지판 지지장치에서 연질마찰부재가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oft friction member is disassembled in the sign support device.

도 3은 고정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xing assembly.

도 4는 힌지를 중심으로 한 고정판과 제 1 잡음판과 제 2 잡음판의 연장방향을 설명하는 측면도. Fig. 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extending directions of the fixing plate, the first noise plate, and the second noise plate centered on the hing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표지판의 배면도.5 is a rear view of a sig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에서 Ⅰ-Ⅰ'의 단면도.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II ′ in FIG. 5. FIG.

도 7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되는 역삼각형 표지판의 배면도.Figure 7 is a rear view of the inverted triangle sign to which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가로대 2 : 힌지 3 : 고정판 1 crossbar 2 hinge 3 fixed plate

4 : 제 1 잡음판 5 : 제 2 잡음판 6 : 스프링4: first noise plate 5: second noise plate 6: spring

7 : 연질마찰부재 8 : 설치 가이드 9 : 표지판7: soft friction member 8: installation guide 9: sign

대한민국등록특허 10-586627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586627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번호 20-0400225호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00225

본 발명은 표지판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도로교통을 위한 교통표지판이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하는 교통표지판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만, 도로교통을 위한 교통표지판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device for a sig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pport device for a traffic sign for stably supporting a traffic sign for road traffic.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raffic signs for road traffic.

교통표지판은 도로에 설치되어서 통행자에게 교통상황이나, 통행조건을 알려줌으로써 안전하게 통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상기 교통표지판은 차량의 운행에 도움을 주기 위한 형태로서, 도로의 모서리에 세워지는 세로대에서 연장되는 가로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있고, 도로의 모서리에 세워지는 세로대에 직접 설치되어 운전자 및 보행자에게 직접 도움을 주는 형태도 있다. The traffic sign is installed on the road and is a device that allows traffic to be informed of traffic conditions and conditions of traffic so that traffic can pass safely. The traffic sign is a form for assist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which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runway extending from the vertical stand on the corner of the road, and installed directly on the vertical stand on the corner of the road to drivers and pedestrians There are also forms that help directly.

그런데 상기 표지판은 차량의 충돌과 같은 외부의 충격이나, 강한 풍압에 의해서 파손되는 경우가 잦다. 이 경우에는 표지판이 휘거나, 설치위치가 변경되거나, 가로대에서 떨어지는 등의 현상이 발생됨으로써, 표지판으로서의 원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signs are often broken by external shocks such as a collision of the vehicle, or strong wind pressure.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ign is not bent, the installation position is changed, or a phenomenon such as falling off the crossbar occurs, thereby failing to perform the original function as the sign.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은 대한민국등록특허 10-586627호(인용문헌 1)를 이미 제안한 바가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가로대의 구조 자체를 변경시켜야 하기 때문에 실 제품의 적용에 어려움이 있고, 구조 자체가 복잡하기 때문에 실제 적용이 어렵고, 탄성력이 너무 크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에 대하여 대응을 하지 못하고 표지판이 파손되는 일이 잦은 문제가 있었다. In view of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lready proposed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586627 (Citation Document 1). However, since the patent has to change the structure of the crossbar,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actual product, and because the structure itself is complicated, the actual application is difficult, and the elastic force is so large that it cannot cope with external shocks, There was a frequent problem of being broken.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번호 20- 0400225호(인용문헌 2)를 더 출원한 바가 있다. 그러나, 상기 인용문헌 2에 따르면, 가로대(인용문헌 2에서는 지지봉이라고 함)에 구멍을 뚫어야 되기 때문에, 가로대에 직접적인 흠이 남게 되는 단점이 있고, 역풍이 부는 경우에는 종국적으로는 표지판이 파손되어 교체를 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 뿐만 아니라, 표지판의 회전각도가 작기 때문에, 차체의 높은 차량에 의해서는 표지판이 파손될 수 있는 문제가 계속해서 존재하고, 별도의 나사(16)를 조립해야 하고, 볼트(50) 및 너트(51)를 조아야 하기 때문에, 체결과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별도의 스토퍼(90)가 마련되어야 하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한 단점이 있고, 가로대와 표지판(40)과의 거리가 떨어져 있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표지판이 지지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In order to improve this problem, the applicant has further applied for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00225 (quotation 2). However, according to the cited reference 2, since the crossbars (referred to as supporting rods in the cited document 2) have to be drille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 direct flaw remains on the crossbars, and in the event of a backwind, the signs are eventually damaged and replaced. There is a disadvantage to that. In addition to this, since the sign angle is smal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ign may be broken by a vehicle having a high vehicle body, and a separate screw 16 must be assembled, and the bolt 50 and the nut 51 Since tightening), the fastening process is difficult. And, since a separate stopper 90 has to be provide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and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crossbar and the sign 40 is not stable, the sign cannot be stably supported.

본 발명은 상기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강한 풍압에 대해서도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구조가 간단하여 체결 및 설치가 간편하고, 가로대에 대한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표지판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sign support apparatus that is stably supported even against strong wind pressure, the structure is simple, the fastening and installation are simple, and the deformation of the crossbar does not occur.

또한, 풍압이 표지판의 전면으로 가하여지는 경우는 물론이고, 표지판의 배면으로 가하여지는 경우에도 표지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표지판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In addition, if the wind pressure is applied to the front of the sign, as well as to provide a sign support device that can prevent damage to the sign even when applied to the back of the sign.

또한, 외부 풍압에 대한 표지판의 회전각도가 극대화되어서, 차량등의 충돌시에 표지판이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높이가 그만큼 높아지는 표지판 지지장치를 제안한다. In addition, the rotation angle of the sign to the external wind pressure is maximized, suggests a sign support device that the height to prevent the sign is damaged in the event of a collision, such as the vehicle is increased so much.

상기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지판 지지장치는, 표지판에 장착되고, 일정 높이의 지지대에 설치되는 고정 어셈블리; 및 상기 고정 어셈블리와 상기 지지대의 접촉부에 끼워지는 적어도 반원을 넘는 원호형상의 연질마찰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고정 어셈블리에는, 상기 표지판에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연질마찰부재를 실질적으로 안아서 압박하는 원호형의 제 1 잡음판; 상기 고정판과 상기 제 1 잡음판이 서로 당겨지는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 상기 제 1 잡음판과 체결되는 제 2 잡음판; 및 상기 고정판과 상기 제 1 잡음판과 상기 제 2 잡음판이 서로 힌지 운동가능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가 포함된다.Sign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ixed to the sign assembly, which is installed on the support of a certain height; And at least a semicircular soft friction member fitted over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xing assembly and the support, the fixing assembly comprising: a fixing plate fixed to the sign; An arc-shaped first noise plate for substantially holding and pressing the soft friction member; A spring providing a force for pulling the fixing plate and the first noise plate together; A second noise plate fastened to the first noise plate; And at least one hinge that allows the fixed plate, the first noise plate, and the second noise plate to be hinged with each other.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표지판 지지장치는, 표지판에 장착되고 일정 높이의 지지대에 설치되는 고정 어셈블리; 및 상기 고정 어셈블리와 상기 지지대의 접촉부에 끼워지는 연질마찰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고정 어셈블리에는, 상기 표지판에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연질마찰부재를 실질적으로 안아서 압박함과 동시에, 적어도 일 지점은 상기 고정판과 접촉되어 상기 고정판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제 1 잡음판; 상기 고정판과 상기 제 1 잡음판이 서로 당겨지는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 상기 제 1 잡음판과 체결되는 제 2 잡음판; 및 상기 고정판과 상기 제 1 잡음판과 상기 제 2 잡음판이 서로 힌지 운동가능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가 포함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gn support device includes: a fixing assembly mounted to a sign and installed on a support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soft friction member fitted to a contact portion of the fixing assembly and the support, wherein the fixing assembly includes: a fixing plate fixed to the sign; A first noise plate that substantially hugs and presses the soft friction member, and at least one point is in contact with the fixed plate to prevent reverse rotation of the fixed plate; A spring providing a force for pulling the fixing plate and the first noise plate together; A second noise plate fastened to the first noise plate; And at least one hinge that allows the fixed plate, the first noise plate, and the second noise plate to be hinged with each other.

더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표지판 지지장치는, 표지판에 장착되고 일정 높이의 지지대에 설치되는 고정 어셈블리; 및 상기 고정 어셈블리와 상기 지지대의 접촉부에 삽입되는 연질마찰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고정 어셈블리에는, 상기 표지판에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연질마찰부재가 내부에 설치되는 제 1 잡음판; 상기 고정판과 상기 제 1 잡음판이 서로 당겨지는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 상기 제 1 잡음판과 체결되어 상기 연질마찰부재와 상기 지지대와의 사이에 강한 마찰력을 제공하는 제 2 잡음판; 및 상기 고정판의 하단부에 직접 형성되어 상기 제 1 잡음판과 상기 제 2 잡음판이 상기 고정판에 대하여 회전운동가능하도록 하는 힌지가 포함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gn support device includes: a fixing assembly mounted to a sign and installed on a support of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soft friction member inserted into a contact portion of the fixing assembly and the support, wherein the fixing assembly includes: a fixing plate fixed to the sign; A first noise plate having the soft friction member installed therein; A spring providing a force for pulling the fixing plate and the first noise plate together; A second noise plate fastened with the first noise plate to provide a strong friction force between the soft friction member and the support; And a hinge which is direct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late to allow the first noise plate and the second noise plate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xing plate.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표지판 지지장치는, 일정 높이에 놓이는 지지대; 및 표지판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는 고정 어셈블리가 포함되고, 상기 표지판에는, 상기 표지판의 배면에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설치 가이드; 및 상기 설치 가이드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는 걸림턱이 포함되고, 상기 설치 가이드의 내부 수용공간 안으로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위치까지 삽입되는 체결부재; 및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고정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 부분에 관계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와 체결되어 일정 높이에서 상기 표지판 및 상기 고정 어셈블리를 양자 간에 고정시키는 다른 체결부재가 더 포함된다.Sign suppo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support is placed at a certain height; And a fixing assembly installed on the support in a state in which the sign is mounted, wherein the sign includes: an installation guide formed to be long in one direction on a rear surface of the sign; And a locking jaw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installation guide, the fastening member being inserted into the internal receiving space of the installation guide to a position to be caught by the locking jaw; And another fastening member engaged with the fastening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member is related to at least a part of the fastening assembly to fix the sign and the fastening assembly therebetween at a predetermined height.

제안되는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표지판의 설치가 간편하게 되고, 간단한 구성으로도 견고하게 표지판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 풍압에 대해서도 견고하게 표지판이 지지될 수 있고, 높이가 높은 차량의 충돌시에도 표지판의 파손이 예방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By the configuration as proposed, the sign can be easily installed, and the sign can be firmly supported by the simple configuration. In addition, the sign can be firmly supported against the external wind pressure, it can be expected that the breakage of the sign is prevented even when a high vehicle crash.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ccompanying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dd, change, delete, and add other embodiments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It may be sugges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지판 지지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sign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표지판 지지장치는, 가로대(1)와, 상기 가로대(1)를 감싸서 설치되는 연질마찰부재(7)와, 상기 연질마찰부재(7)를 감싸서 연질마찰부재(7)와 가로대(1)가 밀착되어 양자간에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압력을 제공하는 제 1 잡음판(4)과, 상기 제 1 잡음판(4)과 힌지(2)로 연결되는 제 2 잡음판(5) 및 고정판(3)이 주된 구성요소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3)과 제 1 잡음판(4)에는 스프링(6)이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고정판(3)과 상기 제 1 잡음판(4)이 항상 접촉하는 방향으로 힘을 제공한다. 이러한 상기 스프링(6)의 장착 상태는, 상기 고정판(3)이 상기 가로대(1)에 대하여 수직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힘을 제공하는 것임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물론, 운전자가 편리하게 볼 수 있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가로대(1)의 표지판(9)의 설치각도는 어느 정도 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sign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ossbar 1, a soft friction member 7 installed to surround the crossbar 1, and a soft friction member 7 wrapped around the soft friction member 7. (7) and the crosspiece (1)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provide a pressure for generating a friction force between the first noise plate (4), the second noise plate connected to the first noise plate (4) and the hinge (2) 5 and the fixing plate 3 are provided as main components. In addition, a spring 6 is connected to the fixed plate 3 and the first noise plate 4 to provide a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xed plate 3 and the first noise plate 4 are always in contact with each other. It can be easily seen that the mounting state of the spring 6 provides a force so that the fixing plate 3 is maintained perpendicular to the crosspiece 1. Of course,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sign 9 of the crosspiece 1 may be installed to be inclined downward to some extent within the range for the driver to see conveniently, but this is also included 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고정판(3)의 전방에는 소정 형상의 표지판(9)이 제공되어 고정판(3)과 표지판(9)이 일체로 움직이도록 하는 것임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In addition, it can be easily seen that the front of the fixing plate 3 is provided with a sign 9 of a predetermined shape to allow the fixed plate 3 and the sign 9 to move integrally.

상기되는 표지판의 지지장치에 있어서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바람이 불 어 오거나 차량등이 충돌할 때에는, 도면을 기준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표지판(9)이 회전되어 도면에서 가상선으로 표시되는 상태로 회전된다. 그럼으로써, 외부의 풍압에 의해서 표지판(9)이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차량이 충돌하더라도 스프링(6)의 힘에 의해서 표지판(9)이 회전된 뒤에 곧 바로 원상태로 복귀하기 때문에, 종국적으로 표지판(9)이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When the wind blows from the left side or the vehicle collides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 the sign 9 is rotated counterclockwise based on the drawing and is displayed as a virtual line in the drawing. Is rotated. As a result, the sign 9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the external wind pressure, and even after the vehicle collides, the sign 9 is returned immediately after the sign 9 is rotated by the force of the spring 6. The sign 9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roken.

한편,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에서 바람이 불어오거나 차량등이 충돌하는 경우도 상정할 있으나, 차량은 표지판(9)의 전방에서 후방으로만 이동하기 때문에 그러한 경우는 거의 있을 수 없다. On the other hand, it may be assumed that the wind blows from the right side or the vehicle collides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such a case may hardly exist because the vehicle moves only from the front of the sign 9 to the rear.

그리고, 풍압이 표지판(9)의 후방으로부터 가하여지는 경우에는, 일정 정도까지는 가로대(1)와 연질마찰부재(7) 간의 접촉면의 마찰력에 의해서 풍압에 대하여 저항하는 힘을 제공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그 이후에는 가로대(1)와 연질마찰부재(7)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서-잡음판의 결합위치 및 결합력을 조정하는 것으로서-, 풍압에 의해서 표지판(9)이 파손되기 전에 가로대(1)에 대하여 연질마찰부재(7)가 회전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역풍에 의해서 표지판(9)이 지지되지 못할 정도에 이르면, 표지판에 가하여지는 풍압에 의해서 연질마찰부재(7)가 가로대(1)에 대하여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풍압이 가하여지더라도 표지판(9)이 파손되지는 않고 시계방향으로 일정 정도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추후에 작업자가 연질마찰부재(7)를 도면을 기준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돌려주기만 하면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실시상태는, 바람일 불 때 가로대(1)를 기준으로 하부에서 받는 힘이 커서, 하부가 상방으로 회전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배경으 로 한다. 물론, 그와 반대의 경우에도 동일한 양상으로 표지판(9)이 회전될 수 있는 것임은 당연히 이해될 것이다. And, when the wind pressure is applied from the rear of the sign 9, because it provides a force to resist the wind pressure by the frictional force of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crossbar 1 and the soft friction member 7 to a certain degree, it is supported stably Can be. Thereafter, by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crossbar 1 and the soft friction member 7-by adjusting the engagement position and the coupling force of the noise plate-with respect to the crossbar 1 before the sign 9 is damaged by the wind pressure. The soft friction member 7 is rotated. In other words, when the sign 9 cannot be supported by the reverse wind, the soft friction member 7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crossbar 1 by the wind pressure applied to the sign, so that the sign 9 is applied even if the wind pressure is applied. ) Is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without being damaged, so that the operator only needs to rotate the soft friction member 7 counterclockwis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is embodiment, the force received from the lower portion relative to the crosspiece 1 when the wind is large, and the background is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portion is rotated upward. Of course, it will of course be understood that the sign 9 can be rotated in the same manner in the reverse case.

이와 같은 사상은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가로대에 대응되는 물품과 제 1 잡음판에 대응되는 물품 사이에 볼트등이 체결됨으로써 애초에 불가능한 사항이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가로대(1)와 연질마찰부재(7)의 사이에 어떠한 체결도구가 없이 순수한 마찰력에 의해서만 상대적인 회전이 방지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Such a concept was not possible in the first place due to the fastening of bolts or the like between the article corresponding to the crossbar and the artic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noise plat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but the crossbar 1 and the soft friction member 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possible because relative rotation is prevented only by the pure frictional force without any fastening tool between the parts.

또한, 상기 제 1 잡음판(4)은 상기 고정판(3)에 직접 접촉하는 형식으로 마련되어 표지판(9)의 시계방향회전을 막고 있다. 이와 같이 양자가 직접 접촉됨으로써, 상기 인용문헌 2와 같은 별도의 스페이서를 마련할 필요도 없고,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고, 표지판(9)과 가로대(1)와의 거리를 단축시킬 수 있기 때문에, 표지판의 하방을 향하는 자체적인 모멘트에 의해서 표지판의 지지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강한 풍압이 걸릴 때 가로대(1)와 표지판(9)의 주변부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발생되는 난류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양자가 단일체로 작용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강한 풍압에 대해서도 표지판(9)이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noise plate 4 is provided in a form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xed plate 3 to prevent clockwise rotation of the sign 9. In this way, since the two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spacer as in Reference 2, and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ign 9 and the crossbar 1 can be shorten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prevented from breaking the support device of the sign by its own moment directed downward of the sign. In addition, when the strong wind pressure is applied, 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turbulence genera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t the periphery of the crossbar 1 and the sign 9, both can act as a single body, so that the sign 9 also has a strong wind pressure. It can be supported more stably.

이 뿐만 아니라, 상기 제 2 잡음판(5)은 도면에 제시되는 바와 같이, 한차례 벤딩되는 양상으로 제공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구조로 마련됨으로써, 가로대(1)를 두 지점에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가로대(1)와 연질마찰부재(7)와의 결합력을 보다 크게 할 수 있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제 1 잡음판(5) 이 힌지(2)에서 하방으로 길게 연장되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 고정판(3)이 거의 직각으로 회전되는데에 있어서 방해로 작용되지 않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to thi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econd noise plate 5 is provided in the form of being bent once. Since the crossbar 1 can be supported at two points by being provided in such a structure, Coupling force between the crossbar 1 and the soft friction member 7 can be increas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stably supported. In addition, since the first noise plate 5 does not extend downwardly from the hinge 2,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 that the fixing plate 3 does not act as an obstacle when the fixing plate 3 is rotated almost at right angles.

한편, 상기 표지판(9)이 고정판(3)에 체결되는 상대적인 위치는 표지판의 형태에 따라서 달라지게 되는데, 이는 일정한 풍압이상이 가하여 질 때에만 표지판이 도면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강한 풍압이 아닌 경우에는 표지판(9)이 회전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교통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삼각형의 표지판(9)의 경우에는 중간 정도의 높이에 상기 고정판(3)이 설치되더라도 하측의 표지판의 하측면적이 넓기 때문에, 일정한 외부 풍압이 가하여 질 때에만 표지판(9)이 회전될 수 있다. 그러나, 역삼각형의 표지판(9)의 경우에는 표지판(9)의 상측에 상기 고정판(3)이 설치되어야만이, 상기 힌지(2)를 중심으로 표지판 하부의 면적이 넓어져서 일정한 외부 풍압에 대하여 표지판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elative position that the sign 9 is fastened to the fixed plate 3 will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sign, which is rotated counterclockwise relative to the drawing only when a certain wind pressure is applied, In the case of not strong wind pressure, the sign 9 is not rotated so as not to disturb the driver's traffic.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triangular sign 9, even if the fixing plate 3 is installed at a medium height, since the lower area of the lower sign is wide, the sign 9 only when a certain external wind pressure is applied. Can be rotat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inverted triangle sign 9, the fixed plate 3 should b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ign 9, so that the area under the sign widens around the hinge 2 so that the sign for a constant external wind pressure This can be rotated smoothly.

이와 같이 상기 고정판(3)이 상기 표지판(9)의 일정위치에 편리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구조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7을 통하여 상세하게 후술될 것이다. As such, the structure for allowing the fixing plate 3 to be convenient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ign 9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본 발명에 따른 표지판의 지지장치를 도 2에 제시되는 표지판 지지장치에서 연질마찰부재가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와, 도 3에 제시되는 고정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를 이용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sign suppor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using a perspective view of the soft friction member in the disassembled state in the sign supporting device shown in FIG. 2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xing assembly shown in FIG. 3.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연질마찰부재(7)는 고정 어셈블리(10)와 분리가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고정 어셈블리(10)는 표지판(9)이 고정되는 고정판(3)과, 원호 형상으로 제공되는 제 1 잡음판(4)과, 제 1 잡음판(4)의 내부에 상 기 연질마찰부재(7) 및 가로대(1)가 놓인 상태에서 가로대(1) 및 연질마찰부재(7)를 강한 마찰력으로 고정하는 제 2 잡음판(5)이 제공되고, 상기 고정판(3)과 제 1 잡음판(4)과 제 2 잡음판(5)이 서로 힌지(2)에 의해서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연결된다. 2 and 3, the soft friction member 7 is provided to be separated from the fixing assembly 10, and the fixing assembly 10 includes a fixing plate 3 to which a sign 9 is fixed, The crossbar 1 and the soft friction member (1) in a state where the soft friction member 7 and the crossbar 1 are placed inside the first noise plate 4 and the first noise plate 4 provided in an arc shape. A second noise plate 5 is provided to fix 7) with a strong frictional force, and the fixed plate 3 and the first noise plate 4 and the second noise plate 5 are rotated relative to each other by the hinge 2. This leads to a possible form.

상세하게, 상기 힌지(2)에는 힌지축(21)과, 상기 힌지축(21)이 끼워지는 형태로, 고정판(3)에 형성되는 고정판측 힌지축 가이드부(24)와, 상기 제 1 잡음판(4)에 형성되는 제 1 잡음판측 힌지축 가이드부(23)와, 상기 제 2 잡음판(5)에 형성되는 제 2 잡음판측 힌지축 가이드부(22)가 포함된다. 상기 힌지축 가이드부(22)(23)(24)는 각각의 부재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각각의 부재가 상기 힌지축(21)에 대하여 연장되는 방향이 자체적으로 결정되도록 하고, 이에 대해서는 도 4에 의해서 뒤에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In detail, the hinge 2 has a hinge shaft 21, the hinge shaft 21 is fitted into the hinge plate 21, and a fixing plate side hinge shaft guide 24 formed on the fixing plate 3, and the first noise. A first noise plate side hinge axis guide portion 23 formed in the plate 4 and a second noise plate side hinge axis guide portion 22 formed in the second noise plate 5 are included. The hinge shaft guides 22, 23 and 24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respective members so that the direction in which each member extends with respect to the hinge shaft 21 is determined by itself, as shown in FI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상기되는 각 부재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structure of each member mentioned above is demonstrated in detail.

상기 고정판(3)에는 볼트가 삽입되어 표지판과 고정 어셈블리(10)가 체결되도록 하는 슬릿이 다수개 형성되는데, 제 1 상측슬릿(31)과 제 2 상측슬릿(32)과 하측슬릿(34)이 그것이다. 상기 하측슬릿(34)은 볼트등과 같은 체결부재가 항상 끼워지는 부분으로서, 고정판(3)의 하측부가 표지판(9)에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상측슬릿(31) 및 제 2 상측 슬릿(32)은 표지판의 형태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볼트등과 같은 체결부재가 끼워지는 부분이다. 예를 들면, 정삼각형의 표지판의 경우와 같이 표지판(9)의 중간 정도의 위치에 고정판(3)이 설치되면 되는 표지판인 경우에는, 높은 위치에 있는 제 1 상측슬릿(31)에 체결부재가 삽입되도록 한다. 이와 달 리 역삼각형의 표지판의 경우와 같이 표지판(9)의 대략 상측의 위치에 고정판(3)이 설치되어야 하는 표지판인 경우에는 제 2 상측슬릿(32)에 체결부재가 삽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역삼각형 표지판의 경우에 제 1 상측슬릿(31)보다 하측에 제공되는 제 2 상측슬릿(32)에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이유는, 일반적인 표지판(9)의 경우에는 일정길이의 설치 가이드(도 1의 8참조)가 상하로 형성되어 있는데, 역삼각형 표지판과 같이 상기 고정판(3)이 높게 설치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상측슬릿(31)은 상기 설치 가이드(도 1의 8참조)의 상한 위치를 넘는 위치에 놓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기존에 유지되고 있는 설치 가이드에 대한 기본구조를 바꾸지 아니하면서도 고정판이 상호 교체되면서 설치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구성인 것이다. The fixing plate 3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lits for inserting the bolt to fasten the sign and the fixing assembly 10, the first upper slit 31, the second upper slit 32 and the lower slit 34 It is. The lower slit 34 is a portion in which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is always fitted, and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plate 3 is fastened to the sign 9. In addition, the first upper slit 31 and the second upper slit 32 are portions into which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is selectively fitted according to the shape of a sign.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ign in which the fixed plate 3 is to be installed at the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sign 9 as in the case of an equilateral triangle sign, the fasten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irst upper slit 31 at a high position. Be sure to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a sign that the fixing plate 3 is to be installed at a position approximately above the sign 9 as in the case of the inverted triangle sign, the fasten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second upper slit 32. The reason why the fastening member is fastened to the second upper slit 32 provided below the first upper slit 31 in the case of the inverted triangular sign is, in the case of the general sign 9, an installation guide having a certain length ( 1, 8) is formed up and down. When the fixing plate 3 is to be installed high, such as an inverted triangle sign, the first upper slit 31 is the installation guide (see 8 in FIG. 1). This is because it is positioned above the upper limit of. Therefore, without changing the basic structure of the existing installation guide is a configuration required to ensure that the fixed plate is installed while being interchanged.

상기 제 2 상측 슬릿(32)의 하방에는 제 1 스프링 고정부(33)가 원형의 관통홀이 포함되는 형태로 제공되고, 그 관통홀의 내부에는 스프링(6)의 일단부가 끼워진다. 상기 스프링(6)의 일단부는 전체적으로 폐곡선으로 와이어가 감겨있는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일단 스프링(6)의 일단부를 벌려서 상기 제 1 스프링 고정부(33)로 삽입을 하면, 사용자가 이를 역으로 조작하기 전에는 빠지지 아니한다. 이는 상기 제 1 잡음판(4)에 형성되는 제 2 스프링 고정부(42)와는 다른 양상이다. 상기 제 2 스프링 고정부(42)는 원형의 관통홀이 있는 것은 마찬가지이지만, 그 관통홀에는 슬릿(43)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폐곡선을 이루는 상기 스프링(6)의 타단부를 슬릿(43)을 통하여 내부로 삽입하기만 하면 걸리게 되고, 일단 걸린 뒤에는 스프링(6)의 탄성이 계속해서 작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스프링(6)을 당 겨서 빼내지만 않으면 스프링(6)은 제 2 스프링 고정부(42)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Below the second upper slit 32, the first spring fixing part 33 is provided in a form including a circular through hole, and one end of the spring 6 is fitted inside the through hole. Since one end of the spring 6 is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wire is wound in a closed curve as a whole, once the one end of the spring 6 is opened and inserted into the first spring fixing part 33, the user manipulates it in reverse. Do not fall before you do. This is a different aspect from the second spring fixing part 42 formed in the first noise plate 4. The second spring fixing part 42 is the same as having a circular through hole, but a slit 43 is formed in the through hole. Therefore, the other end of the spring 6 forming the closed curve is caught simply by inserting it into the interior through the slit 43, and once caught,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6 continues to act. If the spring 6 is not pulled out, the spring 6 will not fall out of the second spring fixing part 42.

이와 같은 작용은 상기 고정 어셈블리(10)의 이동 시에는 상기 스프링(6)을 상기 제 1 스프링 고정부(33)에 걸어서 이동함으로써, 이동 시에 스프링(6)의 분실의 우려가 없도록 하고, 가로대(1)에 고정 어셈블리(10)를 체결할 때에는 작업자가 상기 스프링(6)의 타단부를 당겨서 그 타단부가 상기 슬릿(43)을 통하여 삽입되어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하면 되기 때문에 작업의 편의가 증진되는 장점을 얻게 한다. This action is to move the spring (6) to the first spring fixing portion 33 when moving the fixing assembly 10, so that there is no fear of losing the spring (6) during movement, crossbar When fastening the fixing assembly 10 to (1), the operator should pull the other end of the spring 6 so that the other end is inserted through the slit 43 so as to easily fix the work convenience. To gain the benefits of

상기 연질마찰부재(7)가 상기 제 1 잡음판(4)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잡음판(4)과 상기 제 2 잡음판(5)이 체결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잡음판(4)의 단부에는 제 1 체결편(44) 및 제 1 나사 삽입홀(45)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잡음판(5)의 단부에는 제 2 체결편(53)과 제 2 나사 삽입홀(55)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나사 삽입홀(55)에는 딥 드로링(deep drawing)과 같은 특정의 가공방법에 의해서 버(burr)가 형성되고-그러므로, 상기 버에 의해서 상기 제 2 나 사 삽입홀(55)은 제 2 체결편(53)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의 구조를 이루는 것은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상기 버의 내면에는 탭 가공에 의해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나사 삽입홀(45)은 볼트의 나사부보다 큰 나사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다. In order to allow the first noise plate 4 and the second noise plate 5 to be fastened in a state where the soft friction member 7 is mounted inside the first noise plate 4, the first friction plate 7 is coupled to the first noise plate 4. A first fastening piece 44 and a first screw insertion hole 45 are formed at an end of the noise plate 4, and a second fastening piece 53 and a second screw are formed at an end of the second noise plate 5. Insertion hole 55 is formed. Here, a burr is formed in the second screw insertion hole 55 by a specific processing method such as a deep drawing-and therefore, the second screw insertion hole 55 is formed by the burr. ) Will be easily understood to form the structure of the protrusion projecting rearward from the second fastening piece (53). Threads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ur by tapping. The first screw insertion hole 45 has a screw insertion hole larger than the screw portion of the bolt.

그러므로, 작업자는 상기 연질마찰부재(7)가 상기 제 1 잡음판(4)의 내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잡음판(5)을 상기 제 1 잡음판(4)을 향하여 당긴 상태에서, 제 1 나사 삽입홀(45)에 나사를 삽입하고, 나사의 꼬리부가 제 2 나사 삽입홀(55)에 끼워진 상태에서 볼트를 돌리면 된다. 이러한 작업에 의해서 작업자는 별 도의 너트가 볼트에 체결될 필요가 없이 나사가 체결되어 상기 제 1 잡음판(4)과 제 2 잡음판(5)을 상호간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Therefore, in the state where the soft friction member 7 is se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noise plate 4, the worker pulls the second noise plate 5 toward the first noise plate 4. The screw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screw insertion hole 45 and the bolt may be turned while the tail portion of the screw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crew insertion hole 55. By this operation, the worker can fasten the screw without fastening a separate nut to the bolt to fix the first noise plate 4 and the second noise plate 5 to each other.

또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잡음판(5)에는 벤딩부(52)가 형성되는데, 상기 벤딩부(52)에 의해서 가로대(1)가 상기 제 2 잡음판(5)의 적어도 두 부분의 강한 압박력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 잡음판(5)의 압박력은 상기 연질마찰부재(7)와 가로대(1)의 결합력으로 작용되는 것은 물론이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a bending part 52 is formed in the second noise plate 5, and the crossbar 1 is formed by at least two portions of the second noise plate 5 by the bending part 52. It can be fixed by the strong pressing force of. Of course, the pressing force of the second noise plate 5 acts as a coupling force between the soft friction member 7 and the crosspiece 1.

또한, 상기 잡음판(4)(5)에는 절개부(41)(51)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잡음판(4)(5)이 회동될 때 잡음판(4)(5)이 힌지축(21) 및 다른 부재와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Further, cutouts 41 and 51 are formed in the noise plates 4 and 5 so that the noise plates 4 and 5 are hinged shafts when the noise plates 4 and 5 are rotated. 21) and other members.

한편, 본 발명의 일 특징적인 구성으로서, 상기 제 1 잡음판(4)과 상기 연질마찰부재(7)는, 그 단면이 인용문헌들과는 달리 반원의 절반을 넘는 형상의 원호형상으로 제공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연질마찰부재(7)는 상기 가로대(1)를 안아서 가로대(1)를 잡아서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제 1 잡음판(4)은 상기 연질마찰부재(7)가 상기 가로대(1)를 전체적으로 안아서 압박하는 압박력에 의해서 보다 강력하게 상기 연질마찰부재(7)와 상기 가로대(1)의 접면에 강한 마찰력을 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noise plate 4 and the soft friction member 7 are provided in an arc shape having a cross section of more than half of a semicircle, unlike the cited references. Therefore, the soft friction member 7 may hold the crossbar 1 to hold and support the crossbar 1, and the first noise plate 4 may include the soft friction member 7 in the crossbar 1. It is possible to apply a strong frictional force to the contact surface of the soft friction member 7 and the crosspiece 1 more strongly by the pressing force to hold the pressure as a whole.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상기 인용문헌 등에서 볼 수 있는 가로대(1)와 제 1 잡음판(4)에 공통적으로 삽입되는 볼트등과 같은 부재는 필요가 없게 되고, 설치시에 작업이 더욱 편리하게 된다. 상기 제 1 잡음판(4) 및 제 2 잡음판(5)에 의한 상기 연질마찰부재(7)의 강한 압박력은, 상기 제 1 잡음판(4)이 상기 연질마찰부 재(7)에 비하여 더 긴 원호형상으로 제공되어 상기 연질마찰부재(7)를 상기 제 1 잡음판(4)의 내부에 제한적으로 위치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그 효과가 더욱 증진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Such a configuration eliminates the need for a member such as a bolt commonly inserted in the crossbar 1 and the first noise plate 4, which can be seen in the above-cited documents, and the like, and makes the work more convenient at the time of installation. The strong pressing force of the soft friction member 7 by the first noise plate 4 and the second noise plate 5 is such that the first noise plate 4 is more than the soft friction member 7. Since the soft friction member 7 is limitedly positioned inside the first noise plate 4 because it is provided in an elongated arc shape, it is natural that the effect can be further enhanced.

나아가서, 상기 제 1 잡음판(4) 및 상기 연질마찰부재(7)가 상기 가로대(1)를 실질적으로 안아서 지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인용문헌에서 볼 수 있는 볼트가 필요없게 된다. 이로써, 표지판에 역풍압이 가하여지는 경우에도 상기 표지판(9)은 파괴되지 않고, 상기 연질마찰부재(7) 및/또는 제 1 잡음판(4)이 회전되는 운동만이 발생되므로, 본 발명인 표지판의 지지장치는 파손되지 아니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Furthermore, the first noise plate 4 and the soft friction member 7 can substantially hold the crossbar 1 to support it,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for the bolts found in the references. Thus, even when a counter wind pressure is applied to the sign, the sign 9 is not destroyed, and only the movement of rotating the soft friction member 7 and / or the first noise plate 4 is generated. The support device of the can obtain the advantage that is not broken.

도 4는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고정판과 제 1 잡음판과 제 2 잡음판이 연장방향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fixed plate, the first noise plate, and the second noise plate around the hinge.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특징을 이루는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관찰할 수 있는데, 먼저, 수직인 고정판(3)에는, 이격됨이 없이 고정판(3)의 하단부에 직접 힌지축(21)이 놓이고 고정판(3)의 전면에는 직접 표지판(9)이 고정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표지판(9) 및 그에 부속되는 여타 구성이 가로대(1)에 대하여 중력 또는 풍압 또는 충격에 의한 강한 모멘트를 작용시키지 않기 때문에, 표지판 지지장치의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4, it can be observed in more detail the configuration that makes up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vertical fixed plate 3, the hinge shaft 21 directly to the lower end of the fixed plate 3 without being spaced apart It can be seen that the sign (9) is directly fixed to the front of the fixed plate (3), by being configured in this way, the sign (9) and other components attached thereto are gravity or wind pressure or impact against the crossbar (1) Since no strong moment is exerted, the stability of the sign support apparatus can be enhanced.

또한, 상기 힌지축(21)을 중심으로 볼 때, 상기 제 1 잡음판(4)은 고정판(3)을 향하여 원호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인 표지판 지지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판(3)과 상기 제 1 잡음판(4)은 접촉하여 접촉점(39)을 제공하게 되고, 상기 표지판(9)이 역회전하는 것-도면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외부의 난류 및 약한 풍압에 의해서 표지판이 요동하지 않게 된다. 물론, 상기 고정판(3) 및 제 1 잡음판(4)이 접촉을 하는 것은 상기 스프링(6)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서 수행되는 것은 용이하게 짐작 가능하다. In addition, when viewed from the hinge shaft 21, the first noise plate 4 extends in an arc shape toward the stationary plate 3. Therefore, the fixed plate 3 and the first noise plate 4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provide a contact point 39 in the state in which the sign suppo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the sign 9 is reversely rotated. By preventing the clockwise rotation relative to the reference, the sign is not rocked by external turbulence and weak wind pressure. Of course, the contact between the fixed plate 3 and the first noise plate 4 can be easily performed by the elastic force by the spring (6).

또한, 상기 제 2 잡음판(5)은 상기 힌지축(21)을 중심으로 볼 때, 상방의 위치에서부터 상기 힌지(2)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후방으로 연장된 뒤에, 상기 벤딩부(52)에 의해서 다시금 상방으로 꺽이게 된다. 나아가서, 상기 제 2 잡음판(5)의 최하단은 힌지(2)의 하단부보다 상측에 놓이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표지판(9)에 외부의 충격이 가하여져서 표지판이 회전되는 경우에, 표지판의 회전각도는 90도까지 이를 수 있고, 차량의 충돌시에 회전되어 파손되지 아니할 수 있는 높이가 더욱 높아지는 장점을 얻을 수 있고, 보다 강한 풍압에 대해서도 견딜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econd noise plate 5 extends from the upper position toward the lower side from the upper position toward the lower side when viewed from the hinge axis 21, the bending portion 52 is used. It is bent upward again. Furthermore, the lower end of the second noise plate 5 is placed above the lower end of the hinge 2. Therefore, when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to the sign 9, the sign is rotated, the rotation angle of the sign can reach up to 90 degrees, the height that can be rotated at the time of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is not damaged even higher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 that can withstand even stronger wind pressure.

도 5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표지판의 지지장치가 직접 표지판에 설치되는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표지판 지지장치가 표지판에 편리하게 설치되는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5 to 7 is a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ign suppor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directly on a sign, with reference to this drawing, the sign suppor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veniently installed in the sign in more detail. Explai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표지판의 배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Ⅰ-Ⅰ'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삼각형 표지판(9)의 배면에는 상하로 길게 두 개의 설치 가이드(8)가 제공되고, 상기 설치 가이드의 단면도를 보면 상단부에 턱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볼트의 머리부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Figure 5 is a rear view of the sign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I 'in FIG. 5 and 6, the rear surface of the triangular sign 9 is provided with two installation guides 8 which are vertically long and long, and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stallation guide, a jaw is formed at the upper end and the head of the bolt is formed inside. An accommodation space to be inserted is formed.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서 상기 설치 가이드(8)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되는 개구를 통해서는 볼트(83)로 예시되는 체결부재의 머리부가 설치 가이드(8) 내부의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설치 가이드(8)의 내부로 슬라이드되어 삽입된다. 일정거리만큼 상기 볼트(83)가 상기 설치 가이드(8)의 내부로 삽입된 다음에는, 상기 설치 가이드(8)의 일 측면에 제공되는 상측 걸림턱(81) 및 하측 걸림턱(82)에 걸려서 상기 볼트(83)는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고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걸림턱(81)(82)은 예시적으로 상기 설치 가이드(8)의 양측에서 삽입되는 나사가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With the above structure, through the openings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stallation guide 8, the installation guide in the state where the head of the fastening member exemplified by the bolt 83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inside the installation guide 8. It slides into the inside of (8) and is inserted. After the bolt 83 is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guide 8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bolt 83 is caught by the upper locking jaw 81 and the lower locking jaw 82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stallation guide 8. The bolt 83 can no longer be moved and its position is fixed. For example, the locking jaw 81 and 82 may be provided with screws inserted at both sides of the installation guide 8,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때, 상기 볼트(83)가 걸림턱(81)(82)에 의해서 정지되는 위치는 표지판의 형태에 따라서 미리 규정되는 것으로서, 표지판의 형태에 따라서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도 5에 제시되는 삼각형 표지판의 경우에는 표지판의 상단에서 가로대가 위치하는 높이까지의 거리(H1)이 절반 정도인 것에 반하여, 도 7에 제시되는 역삼각형 표지판의 경우에는 표지판의 상단에서 가로대가 위치하는 높이까지의 거리(H2)가 훨씬 짧게 된다. 이는 적정한 풍압에 대하여 표지판이 일정각도만큼 회전이 가능한 거리를 미리 설정한 것이다. 이와 같이 표지판의 형상 및 종류에 따라서, 볼트의 위치가 설정됨으로써 적정한 풍압에 대하여 일정각도만큼 표지판이 회전되도록 하는 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position where the bolt 83 is stopped by the locking step 81 and 82 is define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ign, it will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sign.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triangular sign shown in FIG. 5, the distance H1 from the top of the sign to the height at which the cross is located is about half, whereas in the case of the inverted triangle sign shown in FIG. 7, the top of the sign is shown. The distance (H2) to the height at which the crosspiece is at will be much shorter. This is a preset distance that the sign can be rotated by a certain angle for the proper wind pressure. As such, according to the shape and type of the sign, the position of the bolt is set so that the criterion for rotating the sign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proper wind pressure can be satisfied.

이와 같은 볼트의 위치 설정은 표 1에 제시되는 본 발명인 표지판의 설치구조의 풍압실험표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상기 표 1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표지판의 전방에서 불어오는 풍속에 대하여 표지판의 회전각도를 측정한 도표이다.Positioning of such bolts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e wind pressure test table of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igns shown in Table 1. For reference, Table 1 is a chart measur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sign with respect to the wind speed blowing from the front of the sign in the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Figure 112006054807903-pat00001
Figure 112006054807903-pat00001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네모형상의 표지판인 경우에는 표지판의 상단에서 가로대가 설치되는 높이까지의 거리가 368mm인 경우에, 풍속 30m/s이고, 스프링(6) 상수가 0.1Kg/cm일때, 40도 정도 회전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표지판의 형상이 다르더라도 상기 표지판의 상단에서 가로대가 설치되는 높이까지의 거리를 달리함으로써-예를 들어, 역삼각형의 표지판의 경우에는 247mm-, 스프링 상수와 풍속이 동일하다면 동일한 각도인 40도 정도 회전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지판의 설치 높이를 달리함으로써, 표지판의 형상이 다르더라도 편리하게 표지판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Referring to Table 1, in the case of a square sign, when the distance from the top of the sign to the height of the crosspiece is 368mm, when the wind speed is 30m / s, and the spring (6) constant is 0.1Kg / cm, You can see that it rotates about 40 degrees. And, even if the shape of the sign is different by varying the distance from the top of the sign to the height of the crosspiece is installed-for example, 247 mm in the case of the inverted triangle sign, if the spring constant and the wind speed is the same, the same angle 40 You can see that it rotates about degrees. By changing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sign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shape of the sign is differ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conveniently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sign.

한편,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어떠한 풍속하에서도 표지판의 전면에서 불어오는 풍속에 의해서 표지판이 회전되거나 표지판이 탈락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은 것을 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Table 1,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no problem that the sign is rotated or dropped by the wind speed blowing from the front of the sign under any wind speed.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걸림턱(81)(82)이 장착된 위치에 볼트(83)가 놓인 상태에서, 고정판(3)의 슬릿(31)(32)(34)으로도 볼트(83)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고정판(3)을 위치시키고, 그 위로는 너트(85)를 볼트(83)에 끼워서 강하게 고정하면 된다. 이렇게 되면, 표지판의 정해진 위치에 표지판의 지지장치가 완전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슬릿(31)(32)(34)은 도면에 제시되는 바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으로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보다 편리하게 상기 볼트를 슬릿에 삽입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Referring to FIG. 5, in the state where the bolt 83 is placed at the position where the locking jaw 81, 82 is mounted, the bolt 83 is also used as the slit 31, 32, 34 of the fixing plate 3. The fixing plate 3 is positioned in such a manner as to be inserted into the nut, and the nut 85 is inserted into the bolt 83 to be firmly fixed thereon. In this case, the supporting device of the sign is completely fixed at the fixed position of the sign. Since the slits 31, 32 and 34 are provided in a shape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operator has an advantage that the bolt can be inserted into the slit more conveniently.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본 발명의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더 제안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그러한 예를 더 제시하도록 한다.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suggest other embodiments that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볼트(83)는 다른 어떠한 체결부재와 대치될 수 있는데, 다른 체결부재도 폭이 넓은 머리부와 폭이 좁은 몸통부가 제공되어서, 상기 머리부는 상기 설치 가이드 내부의 수용공간에 놓이고, 상기 몸통부는 상기 설치 가이드 상단부의 턱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기만 하면된다. The bolt 83 can be replaced with any other fastening member, the other fastening member is also provided with a wide head and a narrow body, the head is placed in the receiving space inside the installation guide, the body The part just needs to be drawn out through the jaw of the upper end of the installation guide.

또한, 상기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표지판 중에서도 가로대에 설치되는 표지판을 예로들어 설명을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도로의 모서리에서 세로대에 설치되는 표지판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고,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aking an example of a sign installed on a crossbar among signs, but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aturally applicable to the case of a sign installed on a vertical bar at the corner of the road. This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일의 힌지가 상기 고정판과 제 1 잡음판과 제 2 잡음판을 동시에 힌지 운동 시키는 것으로 설명이 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어느 두 부재는 단일의 힌지에 의해서 힌지 운동되고, 다른 두 부재는 다른 힌지에 의해서 힌지 운동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cribed that a single hinge hinges the fixed plate, the first noise plate and the second noise plate at the same tim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two members may be formed by a single hinge. The hinge is moved, and the other two members may be hinged by the other hinge, but this will also be included 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설치 가이드(8)는 두 개가 있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하나가 제시되는 경우에도 동작에는 지장이 없다. In addition, the installation guide 8 has been described in the case that there are two, but is not limited to this, even if one is presented, there is no problem in the operation.

또한, 상기 연질마찰부재는 전체가 단일의 두께로 제공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단면의 두께가 서로 다른 상태에서 제공되더라도 실질적으로 상기 가로대를 감싸서 안는 형태로 제공되기만 하면 된다.In addition, the soft friction member is assumed that the whole is provided in a single thickness, but is not limited to this, even if the thickness of the cross-section is provided in a different state, it may be provided only in the form of substantially wrapped around the crosspiece.

또한, 상기 제 2 잡음판은 벤딩부가 제공되어 두 개의 지점에서 상기 가로대를 접하여 지지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바람직한 어느 한 형태에 지나지 아니하고, 상기 제 2 잡음판은 상기 제 1 잡음판을 압박하기만 하면 되고, 반드시 상기 가로대에 접해서 가로대를 밀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비록 제 2 잡음판이 상기 가로대에 접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second noise plate is described as being provided with a bending portion to support the crosspiece at two points, but this is only one of the preferred forms, the second noise plate is to press the first noise plate It is not necessary to push the crossbar in contact with the crossbar. Although the second noise plate is not in contact with the crosspiece, it will be included 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해서, 표지판은, 강한 풍압에 대하여도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구조가 간단하여 체결 및 설치가 간편하고, 가로대를 직접적으로 가공하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표지판을 설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 is stably supported against strong wind pressure, the structure is simple, the fastening and installation are simple, and the sign can be easily installed without directly processing the crossbar.

또한, 풍압이 표지판의 전면 및 배면 어느 방향으로 풍압이 가하여지더라도 표지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f the wind pressure is appli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sign in any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of the sign.

또한, 외부 풍압에 대한 표지판의 회전각도가 극대화되어서, 차량등의 충돌시에 표지판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높이가 높아져서 표지판의 안정성이 더욱 개선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rotation angle of the sign to the external wind pressure is maximized, the height of the sign can be stably supported in the event of a collision, such as a vehicle can be obtained to further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sign.

Claims (12)

표지판에 장착되고, 일정 높이의 지지대에 설치되는 고정 어셈블리; 및A fixed assembly mounted to a signboard and installed on a support of a certain height; And 상기 고정 어셈블리와 상기 지지대의 접촉부에 끼워지는 적어도 반원을 넘는 원호형상의 연질마찰부재가 포함되고, At least a semicircular soft friction member fitted to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xing assembly and the support is included, 상기 고정 어셈블리에는, The fixing assembly, 상기 표지판에 고정되는 고정판;A fixed plate fixed to the sign; 상기 연질마찰부재를 실질적으로 안아서 압박하는 원호형의 제 1 잡음판;An arc-shaped first noise plate for substantially holding and pressing the soft friction member; 상기 고정판과 상기 제 1 잡음판이 서로 당겨지는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A spring providing a force for pulling the fixing plate and the first noise plate together; 상기 제 1 잡음판과 체결되는 제 2 잡음판; 및A second noise plate fastened to the first noise plate; And 상기 고정판과 상기 제 1 잡음판과 상기 제 2 잡음판이 서로 힌지 운동가능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가 포함되는 표지판의 지지장치.And at least one hinge configured to allow the fixing plate, the first noise plate, and the second noise plate to be hinged to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잡음판은 상기 연질마찰부재를 넘는 범위까지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상기 연질마찰부재를 안는 형태로 제공되는 표지판의 지지장치.The first noise plate is extended to a range over the soft friction member, the support device of the sign provided in the form of holding the soft friction member as a whol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잡음판 및 상기 제 2 잡음판은 나사 결합되고, 상기 두 부재 중의 어느 한 부재에는 돌출부가 제공되어 그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표지판의 지지 장치.And the first noise plate and the second noise plate are screwed together, and either of the two members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so that a thread is formed therein.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프링은, 상기 고정판의 관통홀 및 상기 제 1 잡음판의 관통홀에 걸려서 지지되고, 상기 관통홀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관통홀이 외부와 개방되도록 하는 슬릿이 형성되는 표지판의 지지장치.The spring is supported by the through-hole of the fixing plate and the through-hole of the first noise plate, the at least one of the through-hole sign support device is formed with a slit to open the through hole to the outsid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고정판에는, 상기 표지판에 체결되는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상측 슬릿 및 하측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상측 슬릿은 적어도 두 개가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 형성되는 표지판의 지지장치.The fixing plate, the upper slit and the lower slit is formed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member to be fastened to the sign, the upper slit is at least two support devices for signs are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2 잡음판에는 벤딩부가 형성되는 표지판의 지지장치.The sign supporting device is formed with a bending portion in the second noise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프링이 설치되었을 때, 상기 제 1 잡음판은 상기 고정판과 접촉되는 표지판의 지지장치.When the spring is installed, the first noise plate is in contact with the fixed plate support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프링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잡음판은 상기 고정판을 향하여 연장되는 표지판의 지지장치.In the spring mounted state, the first noise plate is extended to the fixed plate support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힌지는 상기 고정판의 하단부에 놓이는 표지판의 지지장치.The hinge supporting device of the sign that is placed on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late. 표지판에 장착되고 일정 높이의 지지대에 설치되는 고정 어셈블리; 및A fixed assembly mounted on the signboard and installed on a support of a certain height; And 상기 고정 어셈블리와 상기 지지대의 접촉부에 끼워지는 연질마찰부재가 포함되고, It includes a soft friction member fitted to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xing assembly and the support, 상기 고정 어셈블리에는, The fixing assembly, 상기 표지판에 고정되는 고정판;A fixed plate fixed to the sign; 상기 연질마찰부재를 실질적으로 안아서 압박함과 동시에, 적어도 일 지점은 상기 고정판과 접촉되어 상기 고정판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제 1 잡음판;A first noise plate that substantially hugs and presses the soft friction member, and at least one point is in contact with the fixed plate to prevent reverse rotation of the fixed plate; 상기 고정판과 상기 제 1 잡음판이 서로 당겨지는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A spring providing a force for pulling the fixing plate and the first noise plate together; 상기 제 1 잡음판과 체결되는 제 2 잡음판; 및A second noise plate fastened to the first noise plate; And 상기 고정판과 상기 제 1 잡음판과 상기 제 2 잡음판이 서로 힌지 운동가능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가 포함되는 표지판의 지지장치.And at least one hinge configured to allow the fixing plate, the first noise plate, and the second noise plate to be hinged to each other. 표지판에 장착되고 일정 높이의 지지대에 설치되는 고정 어셈블리; 및A fixed assembly mounted on the signboard and installed on a support of a certain height; And 상기 고정 어셈블리와 상기 지지대의 접촉부에 삽입되는 연질마찰부재가 포 함되고, Soft friction member is inserted into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xing assembly and the support, 상기 고정 어셈블리에는, The fixing assembly, 상기 표지판에 고정되는 고정판;A fixed plate fixed to the sign; 상기 연질마찰부재가 내부에 설치되는 제 1 잡음판;A first noise plate having the soft friction member installed therein; 상기 고정판과 상기 제 1 잡음판이 서로 당겨지는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A spring providing a force for pulling the fixing plate and the first noise plate together; 상기 제 1 잡음판과 체결되어 상기 연질마찰부재와 상기 지지대와의 사이에 강한 마찰력을 제공하는 제 2 잡음판; 및A second noise plate fastened with the first noise plate to provide a strong friction force between the soft friction member and the support; And 상기 고정판의 하단부에 직접 형성되어 상기 제 1 잡음판과 상기 제 2 잡음판이 상기 고정판에 대하여 회전운동가능하도록 하는 힌지가 포함되는 표지판의 지지장치.And a hinge formed directly at the lower end of the fixed plate to allow the first noise plate and the second noise plate to rotate relative to the fixed plate. 일정 높이에 놓이는 지지대; 및Supports placed at a certain height; And 표지판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는 고정 어셈블리가 포함되고, It includes a fixed assembly installed on the support while the sign is mounted, 상기 표지판에는, In the above sign, 상기 표지판의 배면에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설치 가이드; 및An installation guide formed in one direction on the back of the sign; And 상기 설치 가이드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는 걸림턱이 포함되고, Included is a locking step form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installation guide, 상기 설치 가이드의 내부 수용공간 안으로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위치까지 삽입되는 체결부재; 및A fastening member inserted into an inner receiving space of the installation guide up to a position caught by the locking jaw; And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고정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 부분에 관계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와 체결되어 일정 높이에서 상기 표지판 및 상기 고정 어셈블리를 양자 간에 고정시키는 다른 체결부재가 더 포함되는 표지판의 지지장치.And another fastening member fastened with the fastening member to fix the sign and the fastening assembly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member is related to at least a part of the fastening assembly.
KR1020060071719A 2006-07-28 2006-07-28 Sustaining apparatus of a sign board KR1007406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719A KR100740695B1 (en) 2006-07-28 2006-07-28 Sustaining apparatus of a sign 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719A KR100740695B1 (en) 2006-07-28 2006-07-28 Sustaining apparatus of a sign boar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0695B1 true KR100740695B1 (en) 2007-07-18

Family

ID=38499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719A KR100740695B1 (en) 2006-07-28 2006-07-28 Sustaining apparatus of a sign bo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0695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8038A (en) 2015-09-03 2017-03-13 박중식 Sign Board having Shock-absorbing Device
KR20200124872A (en) * 2019-04-25 2020-11-04 한국도로공사 Road Sign
KR20230087777A (en) 2021-12-10 2023-06-19 장현실 Bidirectional swivel type spring band for traffic informaion boar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061Y1 (en) 2000-10-18 2001-03-15 주식회사광국실업 Establishment device of traffic sign plate
JP2002180427A (en) 2000-12-15 2002-06-26 Kkm Kk Road sign post fixing device
KR200331644Y1 (en) 2003-08-01 2003-10-30 주식회사 현대표지 a traffic sign-board
JP2004197480A (en) 2002-12-20 2004-07-15 Hoan Kogyo Kk Sign fix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061Y1 (en) 2000-10-18 2001-03-15 주식회사광국실업 Establishment device of traffic sign plate
JP2002180427A (en) 2000-12-15 2002-06-26 Kkm Kk Road sign post fixing device
JP2004197480A (en) 2002-12-20 2004-07-15 Hoan Kogyo Kk Sign fixture
KR200331644Y1 (en) 2003-08-01 2003-10-30 주식회사 현대표지 a traffic sign-board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8038A (en) 2015-09-03 2017-03-13 박중식 Sign Board having Shock-absorbing Device
KR20200124872A (en) * 2019-04-25 2020-11-04 한국도로공사 Road Sign
KR102207158B1 (en) * 2019-04-25 2021-01-25 한국도로공사 Road Sign
KR20230087777A (en) 2021-12-10 2023-06-19 장현실 Bidirectional swivel type spring band for traffic informaion board
KR102552702B1 (en) * 2021-12-10 2023-07-05 장현실 Bidirectional swivel type spring band for traffic informaion boa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0695B1 (en) Sustaining apparatus of a sign board
CN103283258A (en) A microphone mounting apparatus
KR930019975A (en) Impact tool support
JP4764746B2 (en) Panel hanger and bar hanger
KR101207171B1 (en) Road sign plate of rivet
KR20090009012U (en) Traffic-control sign of road
EP2361004A3 (en) Base for electronic card and associated extraction device
US20160144791A1 (en) Vehicle-mounted device and display device
EP3666117B1 (en) Bracket mounting structure
KR20080084704A (en) Folding bed system
EP2355100A1 (en) Shaft support structure and optical disk device comprising same
JP2008191434A5 (en)
JP2011149453A (en) Electronic equipment mounting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mounting bracket
JP2015058720A (en) Display device for vehicle
JP3218421U (en) Wall hanging fixture
CN2916737Y (en) Optical drive or floppy drive fixing device for casing
KR200389528Y1 (en) A keyboard pedestal of computer
JP2017119994A (en) Suspension structure, suspender and vibration-stop device
KR100777453B1 (en) A wall-hanging fixing apparatus of an object
KR102400889B1 (en) Multi-function storage box system
JP4022129B2 (en) Fixture for goods
KR20170006405A (en) The bracket for signboard installation
CN217957559U (en) Electrical guide rail mounting structure
CN220873226U (en) Assembled turnover sign support
CN220107743U (en) Adjustment base for die cutting machine mo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