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0640B1 - 연수기능을 갖는 온수탱크 - Google Patents

연수기능을 갖는 온수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0640B1
KR100740640B1 KR1020060015190A KR20060015190A KR100740640B1 KR 100740640 B1 KR100740640 B1 KR 100740640B1 KR 1020060015190 A KR1020060015190 A KR 1020060015190A KR 20060015190 A KR20060015190 A KR 20060015190A KR 100740640 B1 KR100740640 B1 KR 100740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storage container
softener
ion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5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운
Original Assignee
이기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운 filed Critical 이기운
Priority to KR1020060015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06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08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 단말기에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탱크내에 연수설비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물과 에너지 낭비를 초래하지 않고 연화된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연수기능을 갖는 온수탱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한 본 발명은 물을 연수시키는 연수장치; 내부에 상기 연수장치가 설치되며, 온수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이 형성된 단열층을 갖는 저장용기; 상기 온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온수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상기 저장용기의 하부에 설치된 것이다.
연수장치, 온수, 이온교환수지, 필터

Description

연수기능을 갖는 온수탱크{container for water heated and sof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가정의 온수 단말기에 인접되게 설치되어 온수밸브를 틀었을 때 연화된 온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온수기능을 갖는 온수탱크에 관한 것이다.
가정에서는 화장실, 주방등에 온수밸브가 설치되어 온수를 사용하고 있지만 보일러실 또는 공동주택인 경우에 온수 주 배관인 온수원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 온수밸브를 틀어 사용하는 경우 처음에는 배관에 냉각된 물이 배출된 후에 온수가 배출되게 되어 사용자가 불편을 느끼게 되고, 처음에 배출되는 냉수를 버리게 됨으로써 물과 에너지를 낭비하게 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출원한 특허출원10-2005-0055495호, 10-2005-0118769호의 기술이 개발되었다.
또한, 가정에서는 피부보호를 위하여 연수기를 많이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으 나, 이러한 연수기의 구조가 연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물이 흐르면서 이온교환수지에 의하여 연화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온수 배관에 연수기가 설치된 경우에는 연수기가 데워질 때 까지 많은 물을 버려야 함으로 물과 에너지가 낭비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온수 단말기에 인접되어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탱크내에 연수설비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물과 에너지 낭비를 초래하지 않고 연화된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연수기능을 갖는 온수탱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을 연수시키는 연수장치; 내부에 상기 연수장치가 설치되며, 온수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이 형성된 단열층을 갖는 저장용기; 상기 온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온수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상기 저장용기의 하부에 설치된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제 1 실시예의 온수탱크(100)는 연수장치(10)와, 연수장치가 내부에 설치되고, 온수의 유입관(4)과 유출관(5)이 하부에 설치된 저장용기(20)로 이루어진다. 저장용기(20)는 단열층(3)과 단열층의 내, 외면에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보호층(1), (2)으로 형성된다. 이때, 유입관(4)과 유출관(5)은 저장용기(20)의 하부에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온수가 냉각되는 것을 방지한다.
유입관(4)이 설치된 저장용기(20)의 내측으로는 필터(6)가 설치되어 불순물을 걸러 저장용기(20)에 불순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유출관(5)이 설치된 저장용기 내측으로는 연수장치(10)가 연직으로 설치되고, 저장용기(20)의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연수장치(10)의 상부는 저장용기(20)의 상부의 개구부에 연설되어 캡(11)에 의하여 외부에서 개폐가능하도록 한다.
연수장치(10)의 용기(14)의 상부에는 필터(12)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이온교환수지(13)가 충진되어 있으며, 용기(14)의 필터(12)가 설치된 상부의 일측으로는 개구부를 갖는 유입관(15)이 설치되어 있어 유입관(15)으로 유입된 물이 필터(12)를 거쳐 이온교환수지(13)를 통과하게 된다. 또한, 용기(14) 하부는 유출관(5)에 연설되어 있고, 유출관(5)에는 필터(16)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온교환수지(13)를 통과한 온수가 필터(16)를 거쳐 유출관(5)으로 유출되게 된다.
이온교환수지(13)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캡(11)을 열고 통상적인 재생제인 소금을 주입하여 재생시킨다.
도 1은 유출관 측에 연수장치(10)가 설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유입관측의 내측으로 연수장치(10)가 설치되어도 무방하고, 연수장치(10)의 설치형태 또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의 제 2 실시예의 온수탱크(200)는 저장용기(20)의 내부에 이온 교환수지(13), 자석입자(22), 세라믹 입자(23)가 혼합되어 적층되어 있고, 적층면 위에 메쉬망(21)이 설치되어 입자들이 온수에 유동되거나 부유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저장용기(20)의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부에는 캡(24)이 설치되어 이온 교환수지를 재생하기 위하여 소금을 넣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유입관(4)의 저장용기 내측으로는 필터(25)가 설치되고, 유출관(5)의 저장용기 내측으로는 필터가 설치되어 이 물질의 유입과 유출을 방지하도록 하며 불순물을 걸러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온수탱크(200)의 유입관(4)으로 온수가 유입되어 저장용기내부에서 온수가 저장되고, 유출관(5) 측에 연결된 온수단말기(미도시)의 밸브를 열어 온수를 사용하면, 저장용기(20)에서 저장된 온수가 이온교환수지(13)에 의하여 연화되고, 자석입자(21)에 의하여 자화된다. 이때, 온수탱크(200) 내의 세라믹입자(22)는 온수에 의하여 상온 보다 높은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제 1 실시예, 제 2 실시예에서 유출관(5)으로부터 온수단말기까지의 배관의 길이는 유입관(4)으로부터 온수원까지의 배관이 길이 보다 극히 짧은 위치가 되도록 온수탱크(100), (200)가 설치되므로 유출관(5)으로부터 온수단말기 사이에 잔류된 물은 극히 미량이므로 사용자는 온수단말기의 밸브를 동작시키면 즉시 온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 연수장치(10)는 저장용기(20)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 므로 온수와 같은 온도를 유지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연수기의 용기의 온도가 높아질 때 까지 물을 낭비하게 되는 일이 없다. 또한, 제 2 실시예에서와 같이, 저장용기 내부에 이온 교환수지(13)와 메쉬망(21)을 이용하여 간단히 연수장치를 형성함으로써 제조원가를 저렴하게 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과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온수탱크의 저장용기 내부에 연수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별도로 연수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조원가를 저렴하게 할 수 있으며, 물의 낭비와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다.

Claims (9)

  1. 물을 연수시키는 연수장치;
    내부에 상기 연수장치가 설치되며, 온수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이 형성된 단열층을 갖는 저장용기;
    상기 온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온수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상기 저장용기의 하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능을 갖는 온수탱크.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의 단열층의 내면과 외면에는 상기 단열층을 보호하는 보호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능을 갖는 온수 탱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에는 상기 연수장치 내에 재생제를 넣기 위하여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에는 캡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능을 갖는 온수 탱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수장치의 상부는 상기 개구부와 연설되며, 하부는 상기 유출관과 연설되어 연직방향으로 직립으로 설치되며, 상기 상부의 일측에는 온수가 유입되는 온수 유입부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상기 온수 유입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온수를 연화시키는 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능을 갖는 온수 탱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수장치는
    상기 저장용기의 하부에 적층되는 이온교환수지;
    상기 이온교환수지가 부유되지 않도록 상기 이온교환수지의 적층면에 설치되는 메쉬망;
    상기 이온교환수지가 상기 유입관과 상기 유출관의 입구에 설치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능을 갖는 온수 탱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의 하부에는 세라믹입자가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능을 갖는 온수 탱크.
  9. 삭제
KR1020060015190A 2006-02-16 2006-02-16 연수기능을 갖는 온수탱크 KR100740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190A KR100740640B1 (ko) 2006-02-16 2006-02-16 연수기능을 갖는 온수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190A KR100740640B1 (ko) 2006-02-16 2006-02-16 연수기능을 갖는 온수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0640B1 true KR100740640B1 (ko) 2007-07-18

Family

ID=38498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5190A KR100740640B1 (ko) 2006-02-16 2006-02-16 연수기능을 갖는 온수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06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854B1 (ko) 2010-01-25 2012-05-18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팽창탱크와 필터장치의 결합구조 및 필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7108A (ko) 1997-04-16 1998-11-16 배순훈 순간온수장치내장형 연수기
KR19980077107A (ko) 1997-04-16 1998-11-16 배순훈 연수기의 연수 및 재생 시스템
KR19990003086U (ko) 1997-06-30 1999-01-25 김승구 태양열 온수기용 온수 저장탱크
KR20030096203A (ko) 2003-12-02 2003-12-24 김보현 연수기를 갖는 순간 온수기
KR20040091394A (ko) 2003-04-21 2004-10-28 주식회사 승광 연수의 온도 세분화가 가능한 연수기 및 그 연수기용전환밸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7108A (ko) 1997-04-16 1998-11-16 배순훈 순간온수장치내장형 연수기
KR19980077107A (ko) 1997-04-16 1998-11-16 배순훈 연수기의 연수 및 재생 시스템
KR19990003086U (ko) 1997-06-30 1999-01-25 김승구 태양열 온수기용 온수 저장탱크
KR20040091394A (ko) 2003-04-21 2004-10-28 주식회사 승광 연수의 온도 세분화가 가능한 연수기 및 그 연수기용전환밸브
KR20030096203A (ko) 2003-12-02 2003-12-24 김보현 연수기를 갖는 순간 온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854B1 (ko) 2010-01-25 2012-05-18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팽창탱크와 필터장치의 결합구조 및 필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67301A1 (en) Water-heater, a combination of a top cover and bottom tray for a water heater, and a bottom cover
CN203444767U (zh) 非能动堆芯熔融物捕集系统
KR100740640B1 (ko) 연수기능을 갖는 온수탱크
JPH046850B2 (ko)
CN102809216A (zh) 热泵水暖装置
WO2019038971A1 (ja) 避難シェルターとしても機能するバス・モジュール、及び当該バス・モジュールを囲う剛性のフレームワーク
CN205156692U (zh) 全自动清洁热能回收装置
JP2011117633A (ja) ソーラーシステム
KR100752338B1 (ko) 수압을 이용한 저수조의 수질개선장치
JP2008075291A (ja) 融雪槽
KR101741931B1 (ko) 마이크로파-유도 반-순간 가열 서모 히터
CN208851434U (zh) 一种水软化器及洗碗机
KR101153149B1 (ko) 냉온정수기
JP4653249B1 (ja) エコ上がり湯付給湯器
CN214936784U (zh) 一种阻垢型耦合罐
KR100518901B1 (ko) 온,난방수 공급장치
CN209457779U (zh) 一种单扇防火密闭门
JP2013076239A (ja) 捨て水無し節水装置
CN215686854U (zh) 饮水机和饮水机用水箱组件
CN205783732U (zh) 分层保温水箱
CN211380850U (zh) 一种储水壶组件和净水机
CN212179648U (zh) 一种矿用热能设备辅助蓄热装置
JP2007263467A (ja) 汚れ排出機能を備えた貯湯式温水器
CN206018975U (zh) 一种即开即热式热水器
JP2008064346A (ja) 電気給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