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0424B1 - Wheelchair With Lifting Device - Google Patents

Wheelchair With Lif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0424B1
KR100740424B1 KR1020070031247A KR20070031247A KR100740424B1 KR 100740424 B1 KR100740424 B1 KR 100740424B1 KR 1020070031247 A KR1020070031247 A KR 1020070031247A KR 20070031247 A KR20070031247 A KR 20070031247A KR 100740424 B1 KR100740424 B1 KR 100740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upper body
toilet
wheelchai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12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45161A (en
Inventor
김록곤
Original Assignee
김록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록곤 filed Critical 김록곤
Priority to KR1020070031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0424B1/en
Publication of KR20070045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51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4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2Parts, details or accessories with toilet facili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04Wheel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oilet Supplies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용자가 타고 내리기와 용변 보는 것을 쉽도록 승강장치를 구비한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ch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heelchair equipped with a lifting device to facilitate a user getting on and off and viewing a toilet.

본 발명의 휠체어는 용변구가 구비된 좌석이 중심이 된 좌석부가 상승 또는 하강이 자동으로 되기 때문에 좌석이 바닥에 근접하게 내려오면 이용자는 휠체어를 타거나 내린다. 또한 상승된 좌석의 하부에는 좌변기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여 휠체어를 탄 상태에서 화장실의 좌변기에 용변을 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휠체어는 이용자가 좌석에 앉아서 용변을 보기 위하여 하의를 벗고 입는 것과 뒤처리를 쉽게 할 수 있도록 상체를 들어주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In the wheel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at is equipped with a toilet seat, the seat part is automatically raised or lowered, so that the user rides or lowers the wheelchair when the seat comes down close to the floor. 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is provided with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toilet seat can be seen in the toilet seat toilet seat in the toilet. On the other hand, the wheel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unction of lifting the upper bod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take off and wear the bottoms and post-treatment in order to sit in the seat to see the toilet.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휠체어 좌석부의 좌석에는 용변구가 구비되고, 좌석의 하부에는 좌변기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며, 좌석부를 승강시키는 좌석부 승강장치가 구비되고, 좌석부 후방의 위쪽에는 상체를 고정하기 위한 상체프레임과 안전띠로 구성되는 상체고정부와 상기 상체고정부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toilet seat in the seat of the wheelchair seat,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is provided with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toilet seat, is provided with a seat lifting device for elevating the seat, the rear of the sea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body having an upper body frame and a safety belt for fixing the upper body and a lifting device for elevating the upper body fixing portion.

좌석부, 좌석부 승강장치, 용변구, 상체부, 상체부 승강장치, 안전띠 Seat, seat lifting device, toilet, upper body, upper body lifting device, seat belt

Description

승강장치를 구비한 휠체어{Wheelchair With Lifting Device}Wheelchair with lifting device {Wheelchair With Lift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의 측면 구성도1 is a side configuration view of a wheel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의 배면 구성도2 is a rear configuration of the wheel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의 평면 구성도3 is a plan view of a wheel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좌석부의 배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4A is a rear view of the seat, and FIG. 4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4A.

도 5a는 발판이 설치된 부위의 부분 평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FIG. 5A is a partial plan view of a portion where the scaffold is installed, and 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5A.

도 6a는 덮개의 일부를 절개한 좌석의 평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FIG. 6A is a plan view of a seat with a portion of the lid cut away and FIG. 6B is a cross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6A

도 7a는 덮개와 좌석의 일부를 절개한 좌석의 평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7c는 도 7a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FIG. 7A is a plan view of a seat with a cover and a portion of the seat cut away, FIG. 7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7A, and FIG. 7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 of FIG. 7A.

도 8a는 좌석의 하부에 휴대변기가 조립된 측면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8A is a side view of the portable toilet assembled in the lower part of the seat, and FIG. 8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8A.

도 9a는 팔걸이가 설치된 좌석부의 부분 평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A-A'에서 본 부분 단면도 FIG. 9A is a partial plan view of a seating unit in which an armrest is installed, and FIG. 9B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9A.

도 10a는 롤러가 설치된 부위의 부분 측면도이고, 도 10b는 롤러가 설치된 부위의 주요부를 절개한 부분 평면도. Fig. 10A is a partial side view of the site where the roller is installed, and Fig. 10B is a partial plan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site where the roller is installed.

도 11a는 롤러가 설치된 부위의 부분 측면도이고, 도 11b는 롤러가 설치된 부위의 주요부를 절개한 부분 평면도Fig. 11A is a partial side view of the site where the roller is installed, and Fig. 11B is a partial plan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site where the roller is installed;

도 12a는 구동케이스와 상부케이스 그리고 상체파이프의 일부를 절개한 배면도이고, 도 12b는 도 12a의 A부위를 취하여 주요부를 절개한 부분도FIG. 12A is a rear view of a portion of the driving case, the upper case, and the upper pipe, and FIG. 12B is a partial view of the main portion taken along the portion A of FIG. 12A.

도 13a 내지 도 13c는 링크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4b의 A부위를 확대한 부분도13A to 13C are enlarged partial views of portion A of FIG. 4B to explain the function of a link.

14a는 상체걸대가 적용된 상체고정부의 측면도이고, 도 14b는 상체걸대가 적용된 상체고정부의 평면도14a is a side view of the upper body fixing to which the upper body is applied, and FIG. 14b is a top view of the upper body fixing to which the upper body is applied.

도 15a는 상체프레임에 안전띠가 설치된 상체고정부의 측면도이고 도 15b는 상체프레임에 안전띠가 설치된 상체고정부의 평면도15A is a side view of the upper body fixing part provided with a seat belt on the upper body frame, and FIG. 15B is a plan view of the upper body fixing part with a seat belt installed on the upper body frame.

도 16은 도 12a의 B 부위의 일부를 절개하여 확대한 부분도FIG. 1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12A taken away

도 17은 휠체어의 좌석부가 하강하여 바닥에 근접한 상태의 측면도 Figure 17 is a side view of the wheelchair seat lowered close to the floor

도 18은 휠체어 좌석부의 아래에 좌변기가 위치되고 상체고정부는 상승한 휠체어의 측면도 18 is a side view of a wheelchair in which a toilet seat is positioned under a wheelchair seat and an upper body fixing part is raised;

도 19는 자석부와 좌석부 승강장치만 적용된 휠체어의 측면도19 is a side view of a wheelchair to which only the magnet and the seat lift device is applie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2-프레임 3-손잡이 4, 4a, 4b-안내프레임2-frame 3-handle 4, 4a, 4b guide frame

5-보강프레임 6-구동케이스 7-연결프레임 5-reinforcement frame 6-drive case 7-connection frame

8-하부프레임 9-바퀴 10-발판8-bottom frame 9-wheel 10-footstool

11-발판프레임 13, 13a-좌석 14-등받이11 footrest frame 13, 13a, seat 14, backrest

15-팔걸이(15) 16-좌석브라켓 17, 17a-롤러15-armrest (15) 16-seat bracket 17, 17a-roller

18-좌석모터 19-좌석기어 20-모터브라켓18-seat motor 19-seat gear 20-motor bracket

21-좌석나사 축 22-나사기어 26-상체프레임21-seat screw shaft 22-screw gear 26-upper frame

27-상체받침 28-상체케이스 29-프레임가이드27-Upper body 28-Upper case 29-Frame guide

30-상체걸대 31a, 31b-안전띠 32-상체모터30-upper 31a, 31b-belt 32-upper motor

33-상체기어 34-상체나사 축 35-상체파이프33-Upper gear 34-Upper screw shaft 35-Upper pipe

36-파이프 가이드 37-나사블록 38-기어36-pipe guide 37-screw block 38-gear

45-스토퍼 46-축 49a-용변구45-stopper 46-axis 49a-toilet

50-좌석프레임 52, 52a-덮개 58-가이드50-seat frame 52, 52a-cover 58-guide

65-팔걸이프레임 66-슬리브 72-링크65-armrest frame 66-sleeve 72-link

본 발명은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용자가 휠체어에 타고 내림이 쉽고 또한 용변을 보는 일이 쉽도록 승강장치를 구비한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ch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heelchair having a lifting device so that a user can easily get in and out of a wheelchair and easily view a toilet.

중증 장애인 등의 휠체어 이용자는 일반적으로 보호자의 도움에 의해서만 휠체어에 타고 내릴 수 있으며, 용변을 볼 때에도 보호자의 도움을 받아야만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하였다. 특히 체격이 큰 사람이 휠체어에 타거나 내릴 때 그리고, 용변을 볼 때에는 어려움이 한층 더하며, 보호자 한 사람이 이를 감당하기가 어려운 등 여간 불편하지 않았다. Wheelchair users such as severely disabled persons can generally get in and out of wheelchairs only with the help of a guardian, and are very inconvenient because they can only get help from a caregiver when viewing toilets. In particular, it was not uncomfortable, especially when a person with a large physique was in or out of a wheelchair, and when he saw a toilet, it was difficult for one guardian to handle it.

이에 따라 이용자가 휠체어를 타고 내리는데 따르는 문제점과 용변의 편의성을 위하여 제안된 기술로서는 특허(출원번호: 특2000-0035777호, 2000. 6.27), 실용신안(등록번호: 20-0084896-0000호, 1994.12.27) 그리고 실용신안(등록번호: 20-0372818, 2005.1.4)이 있지만 이 기술들은 이용자가 휠체어에 타고 내리는 편리성은 제공되고 있으나 휠체어를 타고 화장실에 있는 좌변기는 사용할 수 없는데 이는 휠체어의 구조가 화장실의 좌변기를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한편, 특허(공개번호: 특2003-0031 039, 2003. 4.18)와 실용신안(등록번호: 20-0370097, 2004.12.2)에서 제안한 기술은 휠체어를 타고 좌변기를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은 제시하고 있으나 휠체어를 타고 내리는 불편함은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Accordingly, the technology proposed for the user's problems in riding down the wheelchair and the convenience of toilet, patent (application number: Patent No. 2000-0035777, June 27, 2000), utility model (registration number: 20-0084896-0000, December 1994) .27) And there is 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72818, 2005.1.4), but these technologies provide the convenience of users getting in and out of wheelchairs, but the toilet seats in wheelchairs and toilets cannot be used. This is because it does not provide a structure for using the toilet of the toilet. On the other hand, the technology proposed by the patent (Publication No .: 2003-0031 039, April 18, 2003) and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 20-0370097, 2004.12.2) suggest a way to use the toilet seat in a wheelchair. Uncomfortable riding down has not been resolved.

한편, 몸이 불편한 휠체어 이용자는 용변을 보기 위하여 하의를 벗고 입는 것 그리고 뒤처리(몸에 묻은 잔여용변 제거)를 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였다. On the other hand, wheelchair users who are uncomfortable were very uncomfortable to take off and wear the bottoms in order to see the toilet and to remove the remaining toilet on the body.

이는 이용자의 체중이 옷을 누르고 있기 때문에 몸이 불편한 이용자는 옷을 벗고 입는 것이 번거로운 것이며, 조금만 주의를 게을리 하여도 옷을 더럽히게 되고, 뒤처리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제안된 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번호: 20-0370097, 2004.12.2)에서 유압을 이용하여 휠체어를 탄 이용자의 상체를 들고 내리도록 제안하고 있으나 유압을 이용할 경우에는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작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이용자가 휠체어에 타고 내리는 불편함은 여전히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This is because the user's weight is holding the clothes, the user uncomfortable to take off the clothes are cumbersome, even if you neglect a little attention, the clothes become dirty, there is also a difficult problem after the treatment. In this regard, the proposed technology proposes to lift and lower the upper body of a user who rides a wheelchair by using hydraulic pressure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70097, 2004.12.2). There is a costly problem and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getting in and out of the wheelchair is still not solved.

본 발명의 목적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여 휠체어 이용자 및 보호자의 편의에 기여하는 승강장치를 구비한 휠체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heelchair with a lifting device that solves the above problems and contributes to the convenience of wheelchair users and guardians.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목적은, 휠체어의 좌석을 상하로 승강시켜 이용자가 휠체어를 타고 내리는 것을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휠체어에 탄 상태에서 화장실의 좌변기를 이용할 수 있는 휠체어를 제공하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휠체어에 앉아서 용변을 볼 때 옷을 벗고 입는 것이 용이하도록 이용자의 상체를 들어주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구체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휠체어의 바람직한 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A more specific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heelchair that can be used to lift the seat of the wheelchair up and down to facilitate the user riding down the wheelchair and at the same time use the toilet of the toilet while in the wheelchair,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ns of lifting the upper body of the user so that it is easy to take off clothes when sitting in a wheelchair and looking at the toilet. In order to achieve this specific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erred means of a wheelchair.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휠체어 좌석의 하부에는 좌변기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고, 좌석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좌석부 승강장치와 상기 좌석부 승강장치에 고정되어 승강되는 좌석부의 좌석에는 용변구가 구비되어 덮개로 열고 닫을 수 있으며, 좌석부 후방의 위로는 이용자의 상체를 고정하기 위한 상체프레임과 상체걸대 그리고 안전띠로 구성되는 상체고정부가 있고, 상기 상체고정부를 승강시키는 상체고정부 승강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좌석부 및 상체고정부의 승강장치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수단과 상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wer portion of the wheelchair seat is provided with a space for accommodating a toilet seat, and a seat portion lifter driven by a seat motor and a seat portion fixed to and elevated by the seat portion lift device. The toilet is equipped with a cove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and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seat upper body frame for fixing the user's upper body and the upper body hung and safety belt, upper body fixing government to elevate the upper body fixing Elevating device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means for adjusting the elevating device of the seat and the upper body and the pow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나타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how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의 측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의 배면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의 평면 구성도이고, 도 4a는 좌석부의 배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서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1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of a wheel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configuration diagram of a wheel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configuration diagram of a wheel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A is a rear view of a seat. 4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in FIG. 4A.

휠체어(1)의 프레임(2)은 직립부 상부를 후방으로 절곡하여 연장된 고정부와 손잡이(3)가 제공되고, 안내프레임(4)과 보강프레임(5)은 상기 프레임(2)의 직립부와 손잡이(3) 사이에 배열하여 상단이 프레임(2)에 고정되며, 상기 프레임(2)과 안내프레임(4) 그리고 보강프레임(5)의 하단은 하부프레임(8)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프레임(8)은 전 후방의 하부에 한 쌍의 바퀴(9)가 설치되며, 좌우에 배치된 하부프레임(8) 사이의 전방에는 발판(10)을 구비한 발판프레임(11)이 설치되고, 좌우에 배치된 프레임(2) 사이에 상부에는 구동케이스(6)를 배치하여 프레임(2)의 고정부에 구동케이스(6)의 상부가 고정되며, 연결프레임(7)은 구동케이스(6)의 하부를 지지하며 좌우에 배치된 보강프레임(5)에 고정된다. The frame 2 of the wheelchair 1 is provided with a fixed portion and a handle 3 extended by ben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upright portion rearwardly, and the guide frame 4 and the reinforcement frame 5 are upright of the frame 2. Arranged between the part and the handle 3, the upper end is fixed to the frame 2, the lower end of the frame 2, the guide frame 4 and the reinforcement frame 5 is fixed to the lower frame 8, The lower frame 8 is provided with a pair of wheels 9 at the lower part of the front and rear, and the footrest frame 11 having the footrest 10 is installed at the front between the lower frames 8 arranged at the left and right. The upper part of the driving case 6 is fixed to the fixing part of the frame 2 by arranging the driving case 6 on the upper part between the frames 2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and the connecting frame 7 is the driving case 6. It is fixed to the reinforcing frame (5)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좌석부(12)는 좌석(13)과 등받이(14) 그리고 팔걸이(15)를 구비한 좌석브라켓(16)과 상기 좌석브라켓(16)의 좌우에 배치된 롤러(17)는 상기 안내프레임(4)의 좌우에 각각 조립된다.The seat 12 includes a seat bracket 16 having a seat 13, a backrest 14, and an armrest 15, and rollers 17 disposed a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at bracket 16. ) Are assembled to the left and right of each.

좌석부 승강장치는 좌석모터(18)가 좌석기어(19)를 구비하여 상기 구동케이스의 바닥에 설치된 모터브라켓(20)에 설치되고, 나사기어(22)는 상기 좌석기어(19)와 치합되게 모터브라켓(20)에 설치되며, 좌석나사 축(21)은 상기 나사기어(22)에 조립되고, 상기 좌석나사 축(21)의 하단은 상기한 좌석브라켓(16)에 고정된다.The seat lifting device has a seat motor 18 having a seat gear 19 is installed on the motor bracket 20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drive case, the screw gear 22 is engaged with the seat gear 19 It is installed on the bracket 20, the seat screw shaft 21 is assembled to the screw gear 22, the lower end of the seat screw shaft 21 is fixed to the seat bracket (16).

상체고정부는 상체프레임(26)의 상부에 상체받침(27)을 설치하고, 상체걸 대(30)는 안전띠(31a, 31b)를 구비하여 상기한 상체프레임(26)의 직립부 상부의 좌우에 설치되며, 상기 상체프레임(26)의 직립부 하부는 상체케이스(28)와 구동케이스(6)의 상부에 구비된 프레임가이드(29)에 조립된다. The upper body fixing part installs the upper body support 27 o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body frame 26, and the upper body rest base 30 is provided with safety belts 31a and 31b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upper body frame 26. It is installed, the lower part of the upright part of the upper body frame 26 is assembled to the frame guide 29 provided on the upper body case 28 and the drive case (6).

상체고정부의 승강장치는 상체모터(32)가 상체기어(33)를 구비하여 구동케이스(6)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체나사 축(34)은 상단에 구비된 기어(38)가 상기 상체기어(33)와 치합되게 구동케이스(6)와 모터브라켓(20)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체파이프(35)는 상체케이스(28)와 구동케이스(6)의 상부에 구비된 파이프가이드(36)에 조립되고, 상기 상체파이프(35)는 하부에 한쪽에 암나사가 형성된 나사블록(37)이 고정되고 상단에는 상기 상체프레임(26)이 고정되며, 상기 나사블록(37)의 암나사에는 상기 상체나사 축(34)이 조립된다. The lifting device of the upper body fixing unit has an upper motor 32 having an upper gear 33 to be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drive case 6, and an upper body screw shaft 34 having a gear 38 provided at an upper end thereof with the upper upper gear. It is installed between the drive case 6 and the motor bracket 20 so as to mate with the 33, the upper pipe 35 is a pipe guide 36 provided on the upper case 28 and the drive case (6) Assembled in the upper pipe 35 is fixed to the screw block 37 is formed with a female screw on one side of the lower and the upper frame 26 is fixed to the upper, the upper screw to the female screw of the screw block 37 The shaft 34 is assembled.

한편, 구동케이스(6)의 하부와 좌석브라켓(16)의 사이에는 스크린커버(39)가 배치된다. 상기 스크린커버(39)는 스크린을 감은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를 지지하는 축이 좌석브라켓(16)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의 외측 끝이 구동케이스(6)의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한 슬리브와 슬리브를 지지하는 축 사이에는 스프링이 개재되고, 상기 스프링은 한쪽이 축에 고정되고 다른 쪽은 슬리브에 고정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크린커버(39)는 좌석브라켓(16)이 하강하면 스크린이 풀려서 좌석브라켓(16)과 구동케이스(6) 사이에 생기는 공간을 막아주고, 좌석브라켓(16)이 상승하면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슬리브가 회동하여 스크린을 슬리브에 감아준다. 상기한 스프링은 태엽스프링이나 토션스프링 을 이용하면 된다.Meanwhile, the screen cover 39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driving case 6 and the seat bracket 16. The screen cover 39 has a sleeve wound around the screen and a shaft supporting the sleeve is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bracket 16, the outer end of the screen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drive case (6), the sleeve A spring is interposed between the shaft and the shaft for supporting the sleeve, the spring being fixed to one of the shafts and the other to the sleeve. The screen cover 39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revents the space generated between the seat bracket 16 and the drive case 6 when the seat bracket 16 is lowered, and prevents the space generated between the springs when the seat bracket 16 is raised. The sleeve rotates with the restoring force to wind the screen around the sleeve. The spring may be a spring or torsion spring.

도 1의 미 설명부호 40은 일부가 절개된 측면커버이고 41은 승강장치 조작스 위치이며, 도 2의 미 설명부호 42는 일부가 절개된 후면커버이고 43은 전원콘센트 이며, 47은 전원스위치 이다.In FIG. 1, reference numeral 40 denotes a partially cut side cover, 41 is a lift device operation switch, FIG. 2 denotes a reference numeral 42 in a partially cut rear cover, 43 is a power outlet, and 47 is a power switch. .

다음은 발판(1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는 발판이 설치된 부위의 부분 평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Next, the scaffold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G. 5A is a partial plan view of a portion where the scaffold is installed, and 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5A.

발판프레임(11)은 하부프레임(8)의 좌우측 사이를 가로지르는 크기의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로부터 하부프레임(8)의 후방 쪽으로 절곡하여 연장된 고정부에는 홀(44)이 구비되고 발판(10)은 상기 받침대에 구비된다. 하부프레임(8)은 전방의 내측에 스토퍼(45)가 고정되고 상기 스토퍼(45)의 후방으로 약간 거리를 두고 발판프레임(11) 설치용 축(46)이 고정된다. 상기한 발판프레임(11)은 발판프레임(11)에 구비된 홀(44)을 상기한 하부프레임(8)에 고정된 축(46)에 끼워서 설치된다.The scaffold frame 11 is provided with a base 44 having a size that crosses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frame 8 and a fixing portion that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base toward the rear of the lower frame 8, and the scaffold 10 is provided. Is provided on the pedestal. The lower frame 8 has a stopper 45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front, and the shaft 46 for mounting the scaffold frame 11 is fixed at a distance to the rear of the stopper 45. The scaffold frame 11 is installed by inserting the hole 44 provided in the scaffold frame 11 to the shaft 46 fixed to the lower frame 8.

상기한 발판프레임(11)은 상기한 축(46)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발판프레임(11)을 전방으로 회동시켜 발판프레임(11)이 스토퍼(45)에 지지되면 발판(10)은 휠체어(1) 이용자의 발받침이 되고, 발판프레임(11)을 후방으로 회동시키면 발판(10)이 바닥에 닿는다. 상기한 발판프레임(11)은 좌우에 배치된 하부프레임(8)을 상호 연결하고 있어서 휠체어(1)의 구조강도도 좋게 한다. The scaffold frame 11 is rotated about the shaft 46, and when the scaffold frame 11 is supported by the stopper 45 by rotating the scaffold frame 11 forward, the scaffold 10 is a wheelchair ( 1) the footrest of the user, and when the footrest frame 11 is rotated to the rear footrest 10 reaches the floor. The scaffold frame 11 is connected to the lower frame 8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to improve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wheelchair (1).

좌석부(12)의 좌석(13)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는 덮개의 일부를 절개한 좌석의 평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The seat 13 of the seat 1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6A is a plan view of a seat with a part of the cover cut away, and FIG. 6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6A.

좌석(13)은 용변구(49)을 중앙에서 후방으로 개방되게 구비하여 좌석프레 임(50)과 좌석받침(51)에 지지되어 설치되고, 상기 용변구(49)는 사용의 편의를 위해 적당한 크기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평상시에는 덮개(52)에 의해 폐쇄된다. 상기한 좌석프레임(50)은 좌석(13)의 우측으로 연장된 부위가 좌석브라켓(16)의 하부에 구비된 조립부(53)에(도 4b 참조) 조립 내지 분리되고, 상기한 좌석받침(51)은 그 하부에 가이드레일(54)을 구비하여 덮개(52)를 용변구(49)에 덮었을 때 덮개(52)가 하부로 빠지지 못하게 받쳐주며, 좌석(13)은 좌석받침(51)의 후면에 배치된 리브(56)에 설치된 볼트(55)로(도 4b 참조) 좌석브라켓(16)에 조립하여 좌석브라켓(16)에 고정한다. 상기한 덮개(52)는 상기한 용변구(49)를 덮을 수 있도록 적당한 크기로 제작하여 용변구(49)에 닫으면 덮개(52)는 좌석(13)의 일부가 된다. 한편, 상기한 좌석(13)의 용변구(49)에 상기한 덮개(52)를 닫으면 용변구(49)의 앞쪽은 반원 형상의 공간이 있는데 이 공간으로 손을 넣어서 덮개(52)을 열거나 닫는다. The seat 13 is provided with a toilet 49 to be opened from the center to the rear and supported by the seat frame 50 and the seat support 51, the toilet 49 is suitable for ease of use It is formed in size and is preferably closed by the lid 52 in normal times. The seat frame 50 has a portion extending to the right side of the seat 13 is assembled or separated from the assembly portion 53 (see Fig. 4b)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bracket 16, the seat support ( 51 is provided with a guide rail (54) at the bottom to cover the cover 52 to the toilet bowl 49 to support the lid 52 from falling out, the seat 13 is a seat support (51) With a bolt 55 installed on the rib 56 disposed at the rear of the assembly (see Fig. 4b) to the seat bracket 16 to be fixed to the seat bracket (16). The cover 52 is manufactured in a suitable size so as to cover the toilet 49, and when the cover 52 is closed in the toilet 49, the cover 52 becomes a part of the seat 13.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ver 52 is closed in the toilet 49 of the seat 13, the front of the toilet 49 has a semi-circular space there is a hand to open the cover 52 or Close it.

좌석부(12)의 좌석에 대하여 다른 실시례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a는 덮개와 좌석의 일부를 절개한 좌석의 평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7c는 도 7a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seat of the seat 1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7A is a plan view of a seat with a cover and a portion of the seat cut away, FIG. 7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7A, and FIG. 7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 of FIG. 7A.

좌석(13a)은 가운데에 용변구(49a)를 배치하여 좌석프레임(50a)과 좌석받침(51a)에 고정되고, 상기한 용변구(49a)는 사용의 편의를 위해 적당한 크기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평상시에는 덮개(52a)에 의해 폐쇄된다. 상기한 좌석받침(51a)은 조립 홈(57)이 앞쪽에 구비되고 하부에는 가이드레일(54a)이 용변구(49a)에 평행하여 구비된다. 상기한 덮개(52a)는 상기한 용변구(49a)를 덮을 수 있도록 적당한 크기로 제작하여 후방의 하부에는 가이드(58)를 구비한 블록(59)이 고정되고 전방의 하부에는 손잡이(60)가 부착된다. The seat 13a is fixed to the seat frame 50a and the seat support 51a by arranging the toilet 49a at the center, and the toilet 49a is formed in a suitable size for convenience of use. Preferably it is closed by the cover 52a. The seat support 51a is provided with an assembly groove 57 at the front side and a guide rail 54a at the bottom thereof in parallel with the toilet 49a. The cover 52a is made of a suitable size to cover the toilet bowl 49a so that the block 59 having the guide 58 is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rear, and the handle 60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front. Attached.

상기한 용변구 덮개(52a)를 좌석(13a)에 조립할 때는 덮개(52a)의 하부에 구비된 가이드(58)를 좌석받침(51a)에 구비된 조립 홈(57)으로 삽입한 뒤 가이드레일(54a)의 하부에 블록(59)의 가이드가(58)를 위치시켜 덮개(52a)를 좌석(13a)의 후방으로 밀면 좌석(13a)의 용변구(49a)는 닫히고, 덮개(52a)의 하부에 구비된 손잡이(60)를 잡아서 앞으로 당기면 좌석(13a)의 용변구(49a)는 개방된다. 이와 같이 좌석(13a)에 덮개(52a)를 슬라이딩 방법으로 열거나 닫으면 덮개(52a)가 좌석(13a)에서 분리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편리한 면이 있다. When assembling the toilet cover 52a to the seat 13a, the guide 58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52a is inserted into the assembly groove 57 provided in the seat support 51a, and then the guide rail ( Positioning the guide bar 58 of the block 59 at the lower part of 54a, pushing the cover 52a to the rear of the seat 13a, closes the toilet 49a of the seat 13a, and lowers the cover 52a. When grasping the handle 60 provided in the pull forward, the toilet 49a of the seat 13a is opened. Thus, when the cover 52a is opened or closed to the seat 13a by the sliding method, since the cover 52a does not need to be removed from the seat 13a, there exists a convenient surface.

좌석부(12)의 좌석(13)에 구비된 용변구(49)에 휴대변기를 설치한 실시례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a는 좌석의 하부에 휴대변기가 조립된 측면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An embodiment in which a portable toilet is installed in the toilet 49 provided in the seat 13 of the seat 1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8A is a side view of the portable toilet assembled in the lower part of the seat, and FIG. 8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8A.

조립용 휴대변기(62)는 좌석(13)에 형성된 용변구(49) 보다는 넓은 크기이면서 적당한 깊이를 갖는 용기이며, 휴대변기(62)의 상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지지편(63)이 구비되고 후면에는 손잡이(64)가 배치된다. 상기한 휴대변기(62)는 좌석(13)의 후방에서 좌석받침(51)의 하부에 구비된 가이드레일(54)에 상기한 지지편(63)을 걸어서 조립 내지 분리한다. Assembling portable toilet 62 is a container having a wider size and a suitable depth than the toilet 49 formed in the seat 13, the support piece 63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ortable toilet 62 and the rear The handle 64 is disposed. The portable toilet 62 is assembled or separated by hooking the support piece 63 on the guide rail 54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support 51 at the rear of the seat 13.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1)는 휠체어(1)를 타고 화장실의 좌변기를 이용하여 용변을 보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좌변기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한 휴대변기(62)를 좌석(13)에 조립하여 용변을 보면 편리하다. Wheelchai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red to view the toilet using the toilet of the toilet riding the wheelchair (1), but when the toilet is not available, the portable toilet (62) is assembled to the seat (13) It is convenient to see the toilet.

좌석부(12)의 팔걸이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a는 팔걸이가 설치된 좌석부의 부분 평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A-A'에서 본 부분 단면도이다. The armrest of the seat 12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9A is a partial plan view of a seating part in which an armrest is installed, and FIG. 9B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9A.

팔걸이(15)는 팔걸이(15)를 고정한 팔걸이프레임(65)의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우측이 아래로 절곡하여 연장된 삽입부로 구성된다. 상기한 팔걸이(15)가 설치될 조립용 슬리브(66)는 파이프 형상으로 내경이 상기한 팔걸이프레임(65)의 조립부를 수용하는 크기로 제작하여 좌석브라켓(16) 전방의 좌우에 고정된다. 상기한 팔걸이(15)는 상기한 팔걸이프레임(65)의 삽입부를 상기한 좌석브라켓(16)의 조립용 슬리브(66)의 상부에서 삽입하여 좌석부(12)에 설치 내지 분리할 수 있다. Armrest 15 is composed of a horizontal portion of the armrest frame 65 to which the armrest 15 is fixed and an insertion portion extending by bending the right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downward. The assembly sleeve 66 to which the armrest 15 is to be installed is manufactured in a pipe shape to a size that accommodates the assembly portion of the armrest frame 65 and fixed to left and right of the front of the seat bracket 16. The armrest 15 may be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seat 12 by inserting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armrest frame 65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leeve 66 for assembly of the seat bracket 16.

상기한 팔걸이(15)는 좌석부(12)에 설치되면 팔걸이(15)는 수평으로 좌우로 약간의 회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두고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고, 또한 침대나 차량에서 휠체어를 측면으로 타거나 내릴 때에는 팔걸이(15)를 분리한 뒤 타거나 내린 다음 다시 팔걸이(15)를 설치하면 편리하다. When the armrest 15 is installed in the seat 12, the armrest 15 can be rotated horizontally to the left and right a little, so that the user can use it at a desired position, and the wheelchair can be used in a bed or a vehicle. When riding or lowering to the side, it is convenient to remove the armrest 15, then ride or lower and install the armrest 15 again.

다음은 좌석부(12)의 롤러(17)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도4a 내지 도 4b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a는 롤러가 설치된 부위의 부분 측면도이고, 도 10b는 롤러가 설치된 부위의 주요부를 절개한 부분 평면도이다. Next, the roller 17 of the seat 1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4B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10A is a partial side view of the site where the roller is installed, and Fig. 10B is a partial plan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site where the roller is installed.

롤러(17)는 좌석브라켓(16)의 측면에 좌우와 상하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롤러 축(68)에 회동되게 설치된다. 상기한 롤러(17)는 외주가 안내프레임(4)의 외주보다 약간 큰 오목한 곡면형상으로 제작되어 안내프레임(4)과는 선 접촉을 이룬다. 상기한 좌석브라켓(16)은 상하로 배치된 좌우의 롤러(17) 사이에 안내프레 임(4)을 위치시켜 휠체어(1)에 설치한다. 안내프레임(4)의 좌우에 배치된 롤러(17)는 안내프레임(4)과 유동 유격은 적으면서 상하로 슬라이딩은 자연스럽게 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좌석브라켓(16)이 외력을 받더라도 좌석브라켓(16)의 측면에 설치된 롤러(17)가 안내프레임(4)에 의해서 기울지 않고 상하로 승강해야 하기 때문이다. The roller 17 is installed to be rotated on the roller shaft 68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side of the seat bracket 16 at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The roller 17 is manufactured in a concave curved shape whose outer periphery is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periphery of the guide frame 4 to make line contact with the guide frame 4. The seat bracket 16 is installed on the wheelchair 1 by placing the guide frame 4 between the left and right rollers 17 arranged up and down. The rollers 17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guide frame 4 should naturally slide up and down with little flow clearance with the guide frame 4. The reason is that even if the seat bracket 16 receives an external force, the roller 17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eat bracket 16 should be lifted up and down without inclination by the guide frame 4.

좌석부(12)의 롤러(17)에 대하여 다른 실시례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a는 롤러가 설치된 부위의 부분 측면도이고, 도 11b는 롤러가 설치된 부위의 주요부를 절개한 부분 평면도이다. The roller 17 of the seat part 12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another example. It is a partial side view of the site | part in which the roller was installed, and FIG. 11B is a partial plan view which cut | disconnected the principal part of the site | part in which the roller was installed.

롤러(17a)는 좌석브라켓(16a)의 측면에 상하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된 축(68a)에 회동되게 설치되고, 안내프레임(4a, 4b)은 프레임(2a)의 후방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두개가 배치된다. 상기한 좌석브라켓(16a)은 좌석브라켓(16a)에 구비된 롤러(17a)가 안내프레임(4a, 4b)의 사이에 조립하여 휠체어에 설치된다. 롤러(17a)는 좌우에 배치된 안내프레임(4a, 4b)과의 사이는 유격이 적으면서 상하로 슬라이딩은 자연스럽게 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좌석브라켓(16a)이 외력을 받더라도 좌석브라켓(16a)에 설치된 롤러(17a)가 안내프레임(4a, 4b)에 지지되어 기울지 않으면서 상하로 승강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타원형 파이프로 안내프레임(4a, 4b)을 구성하고 보강판(69)이 안내프레임(4a, 4b)을 받쳐주어서 안내프레임(4a, 4b)의 강도를 좋게 하였다.The roller 17a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eat bracket 16a at a fixed interval 68a at a predetermined interval up and down, and the guide frames 4a and 4b are spaced rearward to the rear of the frame 2a. Two are arranged. The seat bracket 16a is installed in the wheelchair by assembling the roller 17a provided in the seat bracket 16a between the guide frames 4a and 4b. The roller 17a should naturally slide up and down with little play between the guide frames 4a and 4b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The reason is that even if the seat bracket 16a is subjected to an external force, the roller 17a installed on the seat bracket 16a must be supported by the guide frames 4a and 4b to be lifted up and down without tilting.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uide frames 4a and 4b are formed of elliptical pipes, and the reinforcement plate 69 supports the guide frames 4a and 4b to improve the strength of the guide frames 4a and 4b.

좌석부(12)의 승강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a는 구동케이스와 상부케이스 그리고 상체파이프의 주요부를 절개한 배면도이고, 도 12b는 도 12a의 A부위를 취하여 주요부를 절개한 부분도 이다.The lifting device of the seat 1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12A is a rear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driving case, the upper case, and the upper pipe, and FIG. 12B is a partial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좌석부(12)의 승강장치는 좌석모터(18)가 좌석기어(19)를 구비하여 모터브라켓(20)에 설치되고, 나사기어(22)는 내주엔 나사를 외주엔 기어를 형성하여 상기 좌석기어(19)와 치합되게 모터브라켓(20)의 상하에 배치된 베어링(70)을 지지하여 설치되며, 상기 모터브라켓(20)은 구동케이스(6)의 바닥에 고정되고, 좌석나사 축(21)은 상기 나사기어(22)의 나사에 조립되어 상단은 가이드(71)가 고정되어 상체파이프(35)의 안쪽으로 배치되고, 좌석나사 축(21)의 하단은 링크(72)가 고정된다. 상기한 링크(72)는 상기 좌석나사 축(21)과는 핀(73)으로 고정되고 하부는 좌석브라켓(16)에 고정된 축(74)에 핀(73)으로 고정된다. 상기한 링크(72)는 좌석부(12)와 좌석부 승강장치의 연결지점이다. The elevating device of the seat 12 includes a seat motor 18 having a seat gear 19, which is installed in the motor bracket 20, and the screw gear 22 forms a screw in an inner circumference to form a gear in an outer circumference thereof. It is installed to support the bearing (70)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otor bracket 20 to be engaged with the (19), the motor bracket 20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drive case (6), the seat screw shaft (21) Is assembled to the screw of the screw gear 22, the upper end of the guide 71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upper pipe 35, the lower end of the seat screw shaft 21 is fixed to the link 72. The link 72 is fixed to the seat screw shaft 21 with a pin 73 and the lower part is fixed with a pin 73 to a shaft 74 fixed to the seat bracket 16. The link 72 is a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seat 12 and the seat lift device.

상기와 같이 링크(72)을 좌석나사 축(21)과 좌석브라켓(16) 사이에 개재시키면 상기한 나사기어(22)와 좌석나사 축(21)의 조립은 언제나 자연스럽게 된다. 만약에 상기한 링크(72)가 없고 좌석나사 축(21)이 좌석브라켓(16)에 직접 고정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이용자가 좌석(13)에 앉거나 팔걸이(15)에 지지하는 힘에 의해 이용자의 체중이 좌석부(12)에 가해지면 좌석브라켓(16)은 외력의 크기에 따라 유동되고 좌석브라켓(16)에 고정된 좌석나사 축(21)도 좌석브라켓(16)이 유동된 만큼 위치변동이 일어난다. When the link 72 is interposed between the seat screw shaft 21 and the seat bracket 16 as described above, the assembly of the screw gear 22 and the seat screw shaft 21 is always natural. If the link 72 is not present and the seat screw shaft 21 is directly fixed to the seat bracket 16, the following problem occurs. That is, when the user's weight is applied to the seat 12 by the force that the user sits on the seat 13 or supports the armrest 15, the seat bracket 16 is mov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external force and the seat bracket 16 The seat screw shaft 21 fixed to) also changes position as the seat bracket 16 is moved.

그러나 나사기어(22)는 구동케이스(6)에 설치되어 있어서 위치변동이 동일하게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좌석나사 축(21)과 나사기어(22)는 상호 중심이 어긋나서 편심지기 때문에 이상마모가 발생하거나 좌석나사 축(21)이 휘는 등의 문제가 발생 된다. 롤러(17)를 비롯한 관련부품들을 정밀하게 제작하여 조립했다 하더라도 좌석나사 축(21)과 나사기어(22) 사이에 약간의 위치변동은 피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한 링크(72)가 설치되는 것이며, 다음 도면을 참조하여 링크(72)의 작용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owever, since the screw gear 22 is installed in the drive case 6 and the positional shift does not occur equally, abnormal wear occurs because the seat screw shaft 21 and the screw gear 22 are eccentrically displaced from each other. Or a problem such as the seat screw shaft 21 is bent. Even if the related parts, including the roller 17, are precisely manufactured and assembled, a slight positional shift between the seat screw shaft 21 and the screw gear 22 will be inevitabl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above-described link 72 is installed, and the effect of the link 7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도 13a 내지 도 13c는 링크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4b의 A부위를 확대한 부분도이다. 도 13a는 좌석부(12)에 외력이 없거나 미약하여 좌석브라켓(16)에 위치변동이 거의 없을 때 링크(72)가 이상적으로 설치된 상태이고, 도 13b는 좌석부(12)에서 좌석(13)이 배치된 쪽이 아래로 내려가는 위치변동이 발생하였을 때 링크(72)가 체결된 상태이며, 도 13c는 좌석브라켓(16)에서 좌석(13)이 배치된 쪽이 위로 올라가는 위치변동이 발생하였을 때 링크(72)가 체결된 상태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석부(16)에서 좌석(12)이 배치된 쪽이 상하 어느 방향으로 위치변동이 있더라도 링크(72)가 좌석브라켓(16)과 좌석나사 축(21) 사이에서 위치변동을 흡수하기 때문에 좌석나사 축(21)과 나사기어(22)는 언제나 이상적인 조립상태가 된다. 13A to 13C are enlarged partial views of the portion A of FIG. 4B to explain the function of the link. FIG. 13A is a state in which the link 72 is ideally installed when there is little or no external force in the seat 12 and the position bracket 16 is little. FIG. 13B is a seat 13 in the seat 12. The link 72 is in a locked state when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arranged side is lowered, and FIG. 13C shows a positional change of the seat 13 on the seat bracket 16 in the up position. The link 72 is in a locked state. As shown in the figure, even if the position where the seat 12 is disposed in the seat portion 16 is changed in any of the up and down directions, the link 72 performs the position shift between the seat bracket 16 and the seat screw shaft 21. Because of the absorption, the seat screw shaft 21 and the screw gear 22 are always in an ideal assembling state.

상술한 바에 의하면 상기한 좌석부(12)의 높이는 좌석브라켓(16)에 구비된 축(74)이 링크(72)에 의해 좌석나사 축(21)의 하부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좌석나사 축(21)에 의해 결정되고, 좌석부(12)의 자세는 좌석브라켓(16)의 좌우에 설치된 롤러(17)가 안내프레임(4)에 지지되기 때문에 좌석브라켓(16)의 롤러(17)와 안내프레임(4)에 의해 결정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the height of the seat 12 is the seat screw shaft 21 because the shaft 74 provided in the seat bracket 16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screw shaft 21 by the link 72. And the posture of the seat 12 is supported by the guide frame 4 by the rollers 17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at bracket 16, so that the roller 17 and the guide frame of the seat bracket 16 are supported. Determined by (4).

상기 구조에 의해 좌석부(12)의 승강 작동은 다음과 같이 된다. 좌석모 터(18)가 구동하면 나사기어(22)가 회동되어 좌석나사 축(21)은 좌석모터(18)의 구동 방향에 따라 상하로 유동되고, 좌석나사 축(21)에 조립된 좌석브라켓(16)에 의해 좌석부(12)도 함께 승강된다. 한편, 좌석부(12)가 승강할 때 롤러(17)는 안내프레임(4)에 지지되어 레일 방식으로 구름 접촉을 하기 때문에 소음이 없는 유연한 운동이 된다.By the above structure,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seat 12 is as follows. When the seat motor 18 is driven, the screw gear 22 is rotated so that the seat screw shaft 21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seat motor 18, and the seat bracket assembled to the seat screw shaft 21. The seat 12 is also raised and lowered by 16.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at 12 is raised and lowered, the roller 17 is supported by the guide frame 4 and makes a rolling contact in a rail manner, thereby making a flexible movement without noise.

상체부는 상체고정부와 상체고정부 승강장치로 구성되는데 먼저 상체고정부에 대하여 도 12a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4a는 상체걸대가 적용된 상체고정부의 측면도이고, 도 14b는 상체걸대가 적용된 상체고정부의 평면도이다.The upper body is composed of the upper body and the upper body lifting device. First, the upper body fixing par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2A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14A is a side view of the upper body fixing part to which the upper body stool is applied, and FIG. 14B is a plan view of the upper body fixing part to which the upper body stool is applied.

상체고정부(25)의 상체프레임(26)은 횡으로 형성된 수평부의 가운데에 상체받침(27)을 설치하고 수평부의 양측이 아래로 절곡하여 연장된 직립부가 소정의 크기로 구비되고, 상체프레임(26)의 직립부 상부에 다수의 위치결정 홀(77)이 구비되며, 상체걸대(30)는 한쪽에 구비된 조립구가 상기한 상체프레임(26)의 직립부의 상부에 조립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체걸대(30)는 위치결정 홀(77)에 조립된 지지핀(80)과 링(81)에 저지되어 아래로 내려오지 못하고 상체프레임(26)에 설치된다. 상기한 상체걸대(30)는 상체프레임(26)에 조립된 부위에서 수평으로 연장되고 다시 위로 경사지게 절곡하여 이어지며 경사부의 아래에는 고리(78)가 구비되고, 상기한 고리에는 버클(79a)을 구비한 안전띠(31a)가 설치된다. 대향 측 상체걸대(30)에는 상기한 안전띠(31a)에 구비된 버클(79a)에 체결 내지는 분리되는 버클(79b)을 구비한 안전띠(31b)가 설치된다. 상기한 안전띠(31a, 31b)는 이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통상의 방법으로 그 길이를 조정할 수 있고, 상체걸대(30)에는 외주에 이용자에게 접촉의 불쾌감이 없도록 스폰지 등의 쿠션재로 감싸준다. The upper body frame 26 of the upper body fixing portion 25 is provided with an upper body support 27 in the middle of the horizontal portion formed horizontally, and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portion are bent downward to extend to a predetermined size, the upper body frame ( A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77 are provided at an upper part of the upright part of the upper part 26, and the upper body holder 30 is assembled to an upper part of the upright part of the upper body frame 26 with an assembly tool provided on one side. The upper body hanger 30 assembled as described above is blocked by the support pins 80 and the ring 81 assembled in the positioning hole 77 and is not lowered and is installed in the upper body frame 26. The upper body hanger 30 is extended horizontally from the site assembled in the upper body frame 26 and bent to be inclined upward again and is provided with a ring 78 under the inclined portion, the ring is buckle (79a) The provided seat belt 31a is provided. The opposite side upper body stool 30 is provided with a seat belt 31b having a buckle 79b which is fastened to or separated from the buckle 79a provided in the seat belt 31a. The seat belts 31a and 31b can be adjusted in length in a conventional manner to fit the user's body shape, and the upper body rack 30 is wrapped in a cushion material such as a sponge so that there is no discomfort to the user on the outer circumference.

상기한 상체고정부(25)는 상체프레임(26)의 직립부가 상체케이스(28)와 구동케이스(6)의 상부의 좌우에 각각 구비된 프레임가이드(29)에 조립하여 상하로 유동되게 휠체어(1)에 설치된다. In the upper body fixing part 25, the upright part of the upper body frame 26 is assembled to the frame guides 29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body case 28 and the upper part of the driving case 6, so that the wheelchair can be moved up and down. 1) is installed.

한편, 상기한 상체걸대(30)의 바람직한 높이는 다음과 같이 조정한다. 이용자가 휠체어(1)에 앉은 다음 상체걸대(30)를 앞으로 돌려서 이용자의 겨드랑이를 상체걸대(30)에 걸었을 때 겨드랑이보다 약간 높게 조정한다. 상체걸대(30)의 높이가 조정되면 상체걸대(30)의 조립부 바로 아래에 링(81)을 위치시키고 상체프레임(26)의 위치결정 홀(77)에 지지핀(80)을 조립하면 상체걸대(30)의 높이 조정은 완성된다. 그리고 평소에는 상체걸대(30)가 이용자에게 간섭하지 못하도록 뒤로 돌려 고정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 돌려서 사용하면 편리하다. On the other hand, the preferred height of the upper body hanger 30 is adjusted as follows. When the user sits in the wheelchair (1) and then rotates the upper body hanger (30) forward to adjust the user's armpit slightly higher than the armpits when walking on the upper arm rest (30). When the height of the upper body hanger 30 is adjusted, the ring 81 is positioned directly under the assembly of the upper body hanger 30, and the support pin 80 is assembled to the positioning hole 77 of the upper body frame 26, and the upper body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bench 30 is completed. And usually the upper body hanger 30 is fixed to turn back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user, it is convenient to turn to use when needed.

상기한 상체고정부(25)에 이용자의 상체를 고정할 때는 양측의 상체걸대(30)를 앞으로 돌려서 이용자의 겨드랑이를 상체걸대(30)에 걸고, 이용자의 어깨부위는 상체받침(27)에 밀착한 다음 적당한 길이로 조정된 좌우의 안전띠(31a, 31b)에 구비된 버클(79a, 79b)을 상호 체결하면 이용자의 상체는 상체걸대(30)와 상체받침(27) 그리고 안전띠(31a, 31b)에 의해 상체프레임(26)에 고정된다. When fixing the upper body of the user to the upper body fixing section 25, the upper body hangers 30 on both sides are turned forward to hang the user's armpits on the upper body hanger 30, and the shoulder portion of the user is closely attached to the upper body support 27. Then, when fastening the buckle (79a, 79b) provided in the left and right seat belts (31a, 31b) adjusted to an appropriate length to each other, the upper body of the user is the upper body hanger 30 and the upper body support 27 and the seat belts (31a, 31b) It is fixed to the upper frame 26 by the.

상기한 실시례에서는 이용자의 상체고정부(25)에 상체걸대(30)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체프레임(26)의 직립부에 안전띠(31a, 31b)를 직접 설치하여도 된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upper body holder 30 is used for the upper body fixing part 25 of the us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safety belts 31a and 31b are directly installed on the upright part of the upper body frame 26. You may also

도 15a는 상체프레임에 안전띠가 설치된 상체고정부의 측면도이고, 도 15b는 상체프레임에 안전띠가 설치된 상체고정부의 평면도이다. 상체프레임(26c)의 직립부 상부의 한쪽에는 버클(79c)을 구비한 안전띠(31c)를 다른 쪽에는 상기한 안전띠(31c)에 구비된 버클(79c)에 체결 내지는 분리되는 버클(79d)을 구비한 안전띠(31d)를 고정하며, 상기한 안전띠(31c, 31d)는 상체프레임(26c)의 위치결정 홀(77c)에 조립된 지지핀(80c)과 링(81c)에 의해 아래로 내려오지 못하고 고정된다.15A is a side view of the upper body fixing part provided with a safety belt on the upper body frame, and FIG. 15B is a plan view of the upper body fixing part provided with the safety belt on the upper body frame.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upper body frame 26c, a safety belt 31c having a buckle 79c is provided on one side, and a buckle 79d which is fastened to or separated from the buckle 79c provided in the safety belt 31c on the other side. The seat belt 31d is secured, and the seat belts 31c and 31d are lowered by the support pins 80c and the ring 81c assembled in the positioning holes 77c of the upper frame 26c. Not fixed.

상기한 상체고정부(25c)에 이용자의 상체를 고정할 때는 이용자의 어깨부위를 상체받침(27c)에 밀착시킨 다음 적당한 길이로 조정된 좌우의 안전띠(31c, 31d)를 이용자의 겨드랑이와 가슴부위로 당겨서 좌우의 버클(79c, 79d)을 상호 체결하면 이용자의 상체는 상체받침(27c)과 안전띠(31c, 31d)에 의해 상체프레임(26c)에 고정된다. When fixing the upper body of the user to the upper body fixing portion 25c, the shoulder part of the us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body support 27c, and then the left and right seat belts 31c and 31d adjusted to appropriate lengths are attached to the user's armpit and chest. When the left and right buckles 79c and 79d are fastened to each other, the upper body of the user is fixed to the upper body frame 26c by the upper body support 27c and the safety belts 31c and 31d.

이용자의 상체고정부(25)에서 상체걸대(30)를 적용하여 상체고정부(25)를 상승시키면 상승 반응이 빠르다. 그 이유는 상체고정부(25)에 고정된 이용자의 체중이 상체걸대(30)에 대부분 지지되고 안전띠(31a, 31b)는 보조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체프레임(26c)의 직립부에 안전띠(31c, 31d)를 설치하여 이용자의 상체를 상체고정부(25c)에 고정하여 상체고정부(25c)를 상승시키면 상체고정부(25c)에 고정된 이용자의 상체는 비교적 느리게 상승된다. When the upper body fixing unit 25 in the user's upper body fixing unit 25 is applied to raise the upper body fixing unit 25, the upward reaction is quick.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weight of the user fixed to the upper body fixing part 25 is mostly supported by the upper body stool 30 and the safety belts 31a and 31b play an auxiliary role. However, if the user's upper body is fixed to the upper body fixing part 25c by raising the upper body fixing part 25c by installing safety belts 31c and 31d at an upright part of the upper body frame 26c, the upper body fixing part 25c is fixed to the upper body fixing part 25c. The user's upper body rises relatively slowly.

왜냐하면 이용자는 이용자의 체형과 체중 그리고 안전띠(31a, 31b)에 의해서 상체고정부(25c)로부터 늘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체프레 임(26c)의 직립부에 안전띠(31c, 31d)를 설치하여 이용자의 상체를 고정한 경우에는 상체걸대(30)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상체를 고정한 경우에 비해서 동일한 높이로 이용자의 상체를 상승시키더라도 더 많은 상승 높이가 필요하다. This is because the user sags from the upper body fixing part 25c by the user's body shape, weight, and seat belts 31a and 31b. Therefore, when the user's upper body is fixed by installing safety belts 31c and 31d at the upright part of the upper body frame 26c, the upper body of the user is held at the same height as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upper body of the user is fixed by using the upper body holder 30. Ascending requires more elevation.

한편, 상기한 상체고정부(25)에서 안전띠(31a, 31b)의 체결 내지 분리는 안전띠(31a, 31b)에 구비된 버클(79a, 79b)로 이용자의 상체를 고정 내지 분리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한정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버클 대신 매직테이프를 이용하여 좌우에 배치된 안전띠(31a, 31b)를 상호 고정 내지 분리되게 구성하여도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astening or detachment of the seat belts 31a and 31b in the upper body fixing part 25 is described as fixing or separating the upper body of the user with the buckle 79a and 79b provided in the seat belts 31a and 31b. It is not limited. Therefore, the safety belts 31a and 31b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may be configured to be fixed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using a magic tape instead of a buckle.

이어서 상체고정부(25)의 승강장치에 대하여 상술했던 도 12a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6은 도 12a의 B부위를 취하여 주요부를 절개한 부분도이다. Next, the lifting device of the upper body fixing unit 2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2A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16 is a partial view taken along the portion B of FIG.

상체모터(32)는 상체기어(33)를 구비하여 구동케이스(6)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체나사 축(34)은 상단에 설치된 기어(38)가 상기 상체기어(33)와 치합되게 구동케이스(6)의 상부에 배치된 베어링(85)과 모터브라켓(20)의 상부에 배치된 베어링(85)에 설치되며, 상체파이프(35)는 상체케이스(28)와 구동케이스(6) 상부에 설치된 파이프가이드(36)에 조립되어 상하로 유동가능하고, 상기 상체파이프(35)는 상체파이프(35)의 상단이 상기한 상체프레임(26)에 볼트(86) 등에 의해 고정되고 상체파이프(35)의 하부엔 한쪽에 암나사를 형성한 나사블록(37)이 고정되며, 상기 나사블록(37)의 나사부에는 상기 상체나사 축(34)이 조립된다. 상기한 상체파이프(35)의 내측엔 상기한 좌석나사 축(21)의 상부가 드나들게 되며, 좌석나사 축(21)은 좌석나사 축(21)의 상단에 구비된 가이드(71)에 의해 상체파이프(35)의 내측과 접촉되지 않게 보호된다. The upper motor 32 has an upper gear 33 and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drive case 6, the upper screw shaft 34 is driven so that the gear 38 installed on the upper end is engaged with the upper gear 33. It is installed on the bearing 85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6 and the bearing 85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tor bracket 20, and the upper pipe 35 has the upper upper case 28 and the upper driving case 6. It is assembled to the pipe guide 36 installed in the upper and lower flowable, the upper pipe 35 is the upper end of the upper pipe 35 is fixed to the upper frame 26 by the bolt 86 or the like and the upper pipe ( A screw block 37 having a female screw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part 35 is fixed, and the upper screw shaft 34 is assembled to the threaded portion of the screw block 37.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 screw shaft 21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body pipe 35, the seat screw shaft 21 is upper body by a guide 71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seat screw shaft 21 It is protected from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pipe 35.

상기한 상체고정부(25) 승강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상체모터(32)가 구동하면 상체나사 축(34)이 연동되고 그 회동방향에 따라서 나사블록(37)이 상하로 연동된다. 그러므로 나사블록(37)에 고정된 상체파이프(35)와 상기 상체파이프(35)의 상단에 고정된 상체프레임(26)도 연동하여 상체고정부(25)가 상하로 연동된다. The operation of the upper body fixing unit 25 lifting device is as follows. When the upper motor 32 is driven, the upper screw shaft 34 is interlocked, and the screw block 37 is interlocked up and down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Therefore, the upper body pipe 35 fixed to the screw block 37 and the upper body frame 26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pipe 35 is also interlocked so that the upper body fixing part 25 is interlocked up and down.

상기한 상체프레임(26)은 이용자의 체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게 견고하게 제작되어야 하고, 상체프레임(26)이 최대한 상승하더라도 상체프레임(26)의 직립부 하단이 구동케이스(6)의 상부에 설치된 프레임가이드(29)에서 이탈되지 않게 제작되어야 한다. The upper body frame 26 should be manufactured to be strong enough to withstand the weight of the user, and even if the upper body frame 26 rises as much as possible, the lower part of the upright part of the upper body frame 26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driving case 6. It should be manufactur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frame guide 29.

한편, 프레임가이드(29)는 스냅링(87)으로 구동케이스(6) 내지 상체케이스(28)에 고정되고, 파이프가이드(36)는 볼트(89)로 구동케이스(6) 내지 상체케이스(28)에 고정됨을 예시하였다.Meanwhile, the frame guide 29 is fixed to the drive case 6 to the upper case 28 by the snap ring 87, and the pipe guide 36 is the drive case 6 to the upper case 28 by the bolt 89. Fixed to

상기한 실시례에서 상체프레임(26)은 상체케이스(28)와 구동케이스(6)의 상부에 각각 설치된 프레임가이드(29)에 지지되어 슬라이딩 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한 좌석부(12)에 적용한 롤러(17)를 이용한 방식을 적용하여 상기한 상체프레임(26)을 지지하도록 구성해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upper frame 26 is described as being supported by the frame guide 29 installed on the upper body 28 and the driving case 6, respectively, slid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you may comprise so that the said upper body frame 26 may be supported by applying the method using the roller 17 applied to the said seat part 12. FIG.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1)에 이용자가 타고 내리는 바람직한 실시례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휠체어의 좌석부(12)가 하강하여 바닥에 근접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A preferred embodiment in which a user rides down on a wheelchai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7 is a side view of the seat 12 of the wheelchair lowered and close to the floor.

이용자가 바닥에서 휠체어(1)에 타고 내리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외부 전원을 제품의 콘센트(43)에 연결한 다음 전원스위치(47)를 켜고, 발판(10)을 뒤로 회동시켜 바닥에 닿게 한다. 이어서 좌석부(12) 조작스위치(41)에서 하강레버를 누르면 좌석모터(18)의 구동으로 나사기어(22)가 회동하여 좌석나사 축(21)은 하강하고 좌석나사 축(22)의 하부에 고정된 좌석부(12)도 하강하여 바닥에 근접하면 리미트 스위치(미 도시) 등에 의해 이를 감지함으로서 좌석모터(18)가 정지하고 좌석부(12)의 하강도 멈춘다. 이용자는 좌석부(12)의 좌석(13)에 뒤로 들어가서 등받이(14)에 이용자의 등이 밀착되게 앉은 후에 좌석부(12) 조작스위치(41)의 상승레버를 누르다. 그러면 좌석모터(18)가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나사기어(22)가 연동함에 따라 좌석나사 축(21)이 상승하게 되며 좌석나사 축(21)에 고정된 좌석부(12)가 소망하는 위치까지 상승이 완료되면 리미트 스위치(미 도시) 등에 의해 이를 감지함으로서 좌석모터(18)가 정지하고 좌석부(12)의 상승도 멈춘다. 이어서 발판(10)을 앞쪽으로 회동시켜 발판프레임(11)이 스토퍼(45)에 지지되면 이용자의 발을 발판(10)에 올려놓을 수 있는 받침이 되고, 이어서 전원스위치(47)를 끄고 콘센트에서 코드를 분리하면 이용자는 휠체어(1)를 타는 과정이 완료된다. 그리고 이용자가 휠체어(1)에서 내릴 때는 타는 때의 역순으로 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는 좌석부(12)가 바닥에 근접하게 하강하기 때문에 몸이 불편한 이용자라 할지라도 휠체어(1)에 타고 내림이 쉽다. 특히 팔걸이(15)와 등받이(14)가 함께 승강되기 때문에 이용자는 보다 안정감 있게 휠체어(1)를 타고 내릴 수 있다. The process of a user getting in and out of the wheelchair 1 from the floor is demonstrated. First connect the external power to the outlet (43) of the product, then turn on the power switch 47, the footrest 10 is rotated back to reach the floor. Subsequently, when the lower lever is pressed at the seat 12 operating switch 41, the screw gear 22 is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seat motor 18 so that the seat screw shaft 21 is lowered and the lower part of the seat screw shaft 22 is lowered. When the fixed seat 12 also descends and approaches the floor, the seat motor 18 is stopped by detecting it by a limit switch (not shown) or the like and the lowering of the seat 12 is also stopped. The user enters the back of the seat 13 of the seat 12 and sits back against the back 14 so that the user presses the lift lever of the operation switch 41 of the seat 12. Then, the seat motor 18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as the screw gear 22 interlocks, the seat screw shaft 21 rises, and the seat 12 fixed to the seat screw shaft 21 rises to a desired position. When this is completed by detecting this by a limit switch (not shown) or the like, the seat motor 18 stops and the rising of the seat 12 also stops. Subsequently, when the footrest frame 11 is supported by the stopper 45 by rotating the footrest 10 forward, the footrest 10 can be placed on the footrest 10. Then, the power switch 47 is turned off and the outlet When the cord is disconnected, the user rides the wheelchair 1 to complete the process. When the user gets out of the wheelchair 1, the user may perform the reverse order of the ride. As described above, the wheel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get on and off the wheelchair 1 even if the user is uncomfortable because the seat 12 descends close to the floor. In particular, since the armrest 15 and the back 14 are lifted together, the user can ride down the wheelchair 1 with more stability.

이어서 본 발명의 휠체어(1)를 타고 용변보기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휠체어 좌석부의 아래에 좌변기가 위치되고 상체고정부는 상승한 휠체어의 측면도이다. Next,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toilet seat in the wheelchair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8 is a side view of a wheelchair in which a toilet seat is positioned under a wheelchair seat and an upper body fixing part is raised;

이용자는 휠체어(1)에 탄 다음 휠체어 좌석의 아래에 구비된 공간으로 화장실의 좌변기(88)가 들어가도록 위치를 맞춘 다음, 휠체어(1)를 뒤로 밀어 넣어서 좌석(13)의 용변구(49)와 좌변기(88)의 용변구를 일치시킨 후 휠체어를 고정시킨다. 이어서 상체걸대(30)를 돌려서 이용자의 양쪽 겨드랑이를 걸치고 상체를 상체받침(27)에 밀착시킨 후 가슴 부위로 안전띠(31a, 31b)를 약간 긴장되게 당겨서 버클(79a, 79b)을 체결한다. 그러면 이용자는 상체걸대(30)와 상체받침(27) 그리고 안전띠(31a, 31b)에 의해 상체고정부(25)에 고정된다. 이어서 상체부 조작스위치(41a)의 상승레버를 누르면 상체모터(32)의 구동으로 상체나사 축(34)이 회동하고 상체나사 축(34)에 조립된 나사블록(37)과 나사블록(37)에 고정된 상체파이프(35) 그리고 상체파이프(35)의 상단에 고정된 상체프레임(26)에 의해 상체고정부(25)가 상승되며, 상체고정부(25)에 고정된 이용자의 상체도 상승하여 이용자의 엉덩이가 들린다. 이용자의 상체가 상승하여 이용자의 엉덩이 부위가 들리면 이용자는 하의를 벗고, 좌석(13)의 용변구(49)를 덮은 덮개(52)을 연 다음 상체부 조작스위치(41a)의 하강레버를 누른다. 그러면 상체모터(32)가 역방향으로 구동하고 상체나사 축(34)이 회동하고 상체나사 축(34)에 조립된 나사블록(37)과 나사블록(37)에 고정된 상체파이프(35) 그리고 상체파이프(35)의 상체고정부(25)가 원래의 위치인 아래로 내려와서 이용자는 다시 좌석(13)에 앉는다. 좌석(13)에 앉은 이용자는 용변구(49)을 통하여 용변을 본다. 용변을 본 다음 상체부 조작스위치(41a)의 상승 레버를 누르면 상체모터(32)의 구동으로 상체나사 축(34)이 회동하고 상체나사 축(34)에 조립된 나사블록(37)과 나사블록(37)에 고정된 상체파이프(35) 그리고 상체파이프(35)의 상단에 고정된 상체프레임(26)에 의해 상체고정부(25)가 상승되며, 상체고정부(25)에 고정된 이용자의 상체도 상승하여 이용자의 엉덩이가 들리면 이용자의 뒤처리(묻어있는 잔여 용변제거)를 하고 옷을 입은 다음, 덮개(52)는 좌석(13)의 용변구(49)를 닫는다. 이어서 상체부 조작스위치(41a)의 하강레버를 누르면 상체모터(32)가 역방향으로 구동하고 상체나사 축(34)이 회동하고 상체나사 축(34)에 조립된 나사블록(37)과 나사블록(37)에 고정된 상체파이프(35) 그리고 상체파이프(35)의 상체고정부(25)가 원래의 위치인 아래로 내려와서 이용자는 다시 좌석(13)에 앉는다. 그러면 안전띠(31a, 31b)를 이용자로부터 분리한 뒤 상체걸대(30)를 뒤로 돌려 고정하고 휠체어(1)를 화장실의 좌변기(88)에서 나오면 용변보기가 완료되며, 용변이 있는 좌변기(88)는 자체에서 수세를 한다.The user rides in the wheelchair (1) and then positions the toilet (88) of the toilet into the space provided under the wheelchair seat, and then pushes the wheelchair (1) back to the toilet (49) of the seat (13). After matching the toilet of the toilet and the toilet 88 is fixed to the wheelchair. Subsequently, the upper body hanger 30 is turned to cover both sides of the user, and the upper body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body support 27, and the buckle 79a and 79b are fastened by pulling the belts 31a and 31b slightly to the chest area. Then, the user is fixed to the upper body fixing part 25 by the upper body stool 30, the upper body support 27, and the seat belts 31a and 31b. Subsequently, when the upward lever of the upper body operating switch 41a is pressed, the upper body screw shaft 34 is rotated by driving the upper motor 32, and the screw block 37 and the screw block 37 assembled to the upper body screw shaft 34 are rotated. The upper body fixing part 25 is raised by the upper body pipe 35 fixed to the upper body and the upper body frame 26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upper body pipe 35, and the upper body of the user fixed to the upper body fixing part 25 is also raised. Your hips are heard. When the user's upper body rises and the user's hips are lifted up, the user takes off the bottom, opens the cover 52 covering the toilet 49 of the seat 13, and then presses the lower lever of the upper body operating switch 41a. Then, the upper motor 32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upper body screw shaft 34 is rotated, the upper body pipe 35 fixed to the screw block 37 and the screw block 37 assembled to the upper body screw shaft 34 and the upper body The upper body fixing portion 25 of the pipe 35 descends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user sits on the seat 13 again. The user sitting on the seat 13 sees the toilet through the toilet 49. After viewing the toilet, the upper lever screw 34 and the screw block assembled to the upper screw shaft 34 are rotated by the upper body screw shaft 34 being driven by pushing the upward lever of the upper body operating switch 41a. The upper body fixing part 25 is raised by the upper body pipe 35 fixed to the upper part 37 and the upper body frame 26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upper body pipe 35, and the user fixed to the upper body fixing part 25 When the upper body also rises and the user's hips are lifted up, the user's back treatment (removal of remaining stool) is put on and the clothes are put on, and then the cover 52 closes the toilet bowl 49 of the seat 13. Subsequently, when the lower lever of the upper body operating switch 41a is pressed, the upper motor 32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upper body screw shaft 34 is rotated, and the screw block 37 and the screw block (34) assembled to the upper body screw shaft 34 ( The upper body pipe 35 fixed to 37 and the upper body fixing part 25 of the upper body pipe 35 come down to their original positions so that the user sits on the seat 13 again. Then, after removing the seat belts 31a and 31b from the user, the upper body hanger 30 is fixed by turning back and the wheelchair 1 exits the toilet 88 of the toilet, and the toilet viewing is completed, and the toilet with the toilet 88 is I wash myself.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좌석부(12)와 상체고정부(25)를 승강시키는 장치가 모두 적용된 휠체어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닐 것이다. 예를 들면 이용자에 따라서는 상체고정부(25)와 그에 따른 승강장치가 필요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용자가 필요 없는 기능이 있는 제품을 구입할 경우에는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가 발생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는 좌석부(12)와 좌석부(12)의 승강장치 그리고 상체고정부(25)와 상체고정부(25)가 함께 적용된 휠체어로 구성하여도 되고, 좌석부(12)와 좌석부의 승강장치 그리고 상체고정부(25)와 상체고정부 승강장치 중에 한 가지만 적용된 휠체어로 구성하여도 된 다. 도 19는 자석부와 좌석부 승강장치가 적용된 휠체어의 측면도이다. 휠체어(1a)는 상체고정부(25)가 없는 것으로 이용자 스스로 구동할 수 있도록 손잡이(90)가 구비된 뒷바퀴(91)와 머리받침(92)을 파이프(93)의 상부에 배치하여 구성된 실시례이다. On the other hand, a wheelchair to which both the seat 12 and the device for elevating the upper body fixing portion 2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required. For example, depending on the user,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 upper body fixing part 25 and the lifting device thereof are not required. If you purchase a product with a function that the user does not ne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conomic burden is increased, which is not desirable. Therefore, the wheel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as a wheelchair in which the seat 12 and the elevating device of the seat 12 and the upper body fixing part 25 and the upper body fixing part 25 are applied together, and the seat part 12. And the lifting device of the seat and the upper body fixing unit (25) and the upper body fixing unit may be composed of a wheelchair applied only one. 19 is a side view of a wheelchair to which a magnet part and a seat part lifting device are applied. The wheelchair 1a has no upper body fixing part 25, and the rear wheel 91 and the headrest 92 provided with the handle 90 are arranged on the upper part of the pipe 93 so that the user can drive by himself. to be.

본 발명의 좌석부(12) 및 상체고정부(25)가 승강장치에 의해 상하 유동할 때 이용자는 조작스위치(41, 41a)의 제어로 기동되고 또 필요한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이용자는 소망하는 좌석(13)의 높이를 얻을 수 있으며, 상체고정부(25)도 이용자의 체형에 맞게 적당한 높이까지만 상승시킬 수가 있다. 또한 좌석부(12)나 상체고정부(25)의 상승 내지 하강이 완료되면 제한된 범위까지 안전하게 승강된 뒤 자동으로 정지된다. When the seat portion 12 and the upper body fixing portion 25 of the present invention flow up and down by the elevating device, the user can be started by the control of the operation switches 41 and 41a and stopped at the required position. Therefore, the user can obtain the height of the desired seat 13, and the upper body fixing part 25 can also raise only the height suitable for the user's body shape. In addition, when the ascending or descending of the seat 12 or the upper body fixing part 25 is completed, it is safely lifted to a limited range and then automatically stopped.

본 실시례에 의하면 승강장치를 구동하는 동력은 일반 가정이나 직장에서 사용하는 교류전원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차량에 쓰이는 것과 같이 충전식 배터리를 사용해도 되며 이 때 배터리는 휠체어(1)의 상체케이스(28) 등의 적당한 위치에 설치하여 사용하면 된다. 또한 조작스위치도 리모콘 스위치 방식이나 유선 방식을 적용하여 필요한 위치에서 제어하면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 있음은 당연하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power for driving the elevating device is an AC power source used in a general home or work,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a rechargeable battery may be used as used in a vehicle. In this case, the battery may be installed and us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such as the upper body case 28 of the wheelchair 1. In addition, it is natural that the operation switch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if it is controlled at a necessary position by applying a remote control switch method or a wired method.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의 휠체어(1)는 좌석부(12)가 좌석부의 승강장치를 구비하면서도 좌석(13)의 하부는 좌변기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된다. 따라서 이용자는 승강되는 좌석부(12)에 의해 휠체어(1)를 타고 내리는 것이 편리하고 동시에 휠체어(1)를 타고 화장실의 좌변기에 직접 용변을 볼 수 가 있어서 편리하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wheelchair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toilet seat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13 while the seat portion 12 is provided with a lifting device. Therefore, it is convenient for the user to get on and off the wheelchair 1 by the elevating seat 12, and at the same time, the toilet can be directly seen on the toilet of the toilet by riding on the wheelchair 1.

본 발명의 휠체어에 구비된 상체고정부(25)와 상체고정부 승강장치는 이용자가 용변을 볼 때 이용자의 상체를 상승시킨 다음 하의를 벗거나 입고 또한 이용자에게 남은 잔변을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게 된다. The upper body fixing unit 25 and the upper body fixing unit provided in the wheel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very convenient because the user can raise the upper body of the user when he sees the toilet and then take off or wear the bottoms and also process the remaining residue to the user. Don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로 용변을 볼 때 좌변기가 없는 경우에는 휴대변기(62)를 좌석(13)의 하부에 설치한 뒤 용변을 볼 수 있기 때문에 화장실의 좌변기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휠체어(1)에서 용변을 쉽게 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팔걸이(15)는 쉽게 분리 내지 설치가 되기 때문에 침대나 차량에서 휠체어(1)의 옆으로 타고 내림도 편리하다.In addition, when the toilet seat is seen when th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a toilet seat, since the toilet seat can be seen after installing the portable toilet 62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13, even if the toilet seat is not available in the toilet ( You can easily see the toilet in 1). And since the armrest 1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ily removed or installed, it is also convenient to ride down the side of the wheelchair 1 in a bed or a vehicle.

Claims (1)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사용하는 휠체어에 있어서, 상체프레임(26)의 상부에 상체받침(27)이 구비되고, 상체걸대(30)는 안전띠(31a, 31b)를 구비하여 상기한 상체프레임(26)의 상부의 좌우에 설치되며, 상기 상체프레임(26)의 직립부 하부는 상체케이스(28)와 구동케이스(6)의 상부에 구비된 프레임가이드(29)에 조립되어 휠체어(1)에 설치되고, 상체모터(32)는 상체기어(33)를 구비하여 구동케이스(6)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체나사 축(34)은 상단에 구비된 기어(38)가 상기 상체기어(33)와 치합되게 구동케이스(6)의 상부와 하부를 지지하여 설치되고, 상체파이프(35)는 상체케이스(28)와 구동케이스(6)의 상부에 구비된 파이프가이드(36)에 조립되며, 상기 상체파이프(35)의 하부엔 한쪽에 암나사가 형성된 나사블록(37)이 고정되고 상단에는 상기 상체프레임(26)이 고정되며, 상기 나사블록(37)의 암나사에는 상기 상체나사 축(34)이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를 구비한 휠체어.In a wheelchair used by a person who is uncomfortable with movement, the upper body support 27 is provided on the upper body frame 26, and the upper body support 30 has safety belts 31a and 31b to provide the upper body frame 26. It i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upper part, the lower part of the upright part of the upper body 26 is assembled to the frame guide 29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case 28 and the drive case 6 is installed on the wheelchair (1) The upper motor 32 has an upper gear 33 and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drive case 6. The upper screw shaft 34 has a gear 38 provided at an upper end thereof engaged with the upper gear 33.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drive case 6 are installed to support the upper body pipe 35, and the upper pipe 35 is assembled to the upper pipe case 36 provided on the upper body case 28 and the upper drive case 6. The lower part of the (35) is fixed to the screw block 37 is formed with a female thread on one side and the upper frame 26 is fixed to the top, A wheelchair is provided with the female screw of the screw block group 37 value platform, characterized in that said upper threaded shaft 34 is assembled.
KR1020070031247A 2005-03-24 2007-03-30 Wheelchair With Lifting Device KR1007404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247A KR100740424B1 (en) 2005-03-24 2007-03-30 Wheelchair With Lif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324 2005-03-24
KR20050024324 2005-03-24
KR1020070031247A KR100740424B1 (en) 2005-03-24 2007-03-30 Wheelchair With Lifting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5902A Division KR100757649B1 (en) 2005-03-24 2006-03-22 Wheelchair With Lif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161A KR20070045161A (en) 2007-05-02
KR100740424B1 true KR100740424B1 (en) 2007-07-16

Family

ID=376233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5902A KR100757649B1 (en) 2005-03-24 2006-03-22 Wheelchair With Lifting Device
KR1020070031247A KR100740424B1 (en) 2005-03-24 2007-03-30 Wheelchair With Lifting Devic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5902A KR100757649B1 (en) 2005-03-24 2006-03-22 Wheelchair With Lif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75764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734B1 (en) * 2008-10-23 2011-02-09 재단법인 산재의료관리원 An electromotion assistant
CN103989559B (en) * 2014-05-29 2016-06-01 潘能余 Multi-functional such as lavatory wheelchair
CN104274284A (en) * 2014-10-13 2015-01-14 霍飞虎 Wheel chair with toilet auxiliary device
CN105476765A (en) * 2015-11-26 2016-04-13 哈尔滨博强机器人技术有限公司 Smart wheelchair for the disabled
US10285882B2 (en) * 2017-01-16 2019-05-14 Kwok Tung Chun Wirelessly controlled wheelchair assembly with toilet accessibility
IL279982B2 (en) * 2018-07-15 2024-06-01 Glikman Shay Toilet wheelchai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6677Y1 (en) * 1992-06-03 1994-09-28 정철영 Wheel chair
US5573261A (en) 1994-11-01 1996-11-12 Miller; S. David Narrow manually user-propelled wheelchair
JPH08317951A (en) * 1995-05-26 1996-12-03 Komura Seisakusho:Kk Chair
KR20000035777A (en) * 1998-11-30 2000-06-26 라이니어 데니스 에이치. Lubricant compositions exhibiting extended oxidation stability
JP2001129034A (en) * 1999-11-04 2001-05-15 Eiichi Asami Nursing care assisting device
KR200370097Y1 (en) * 2004-09-02 2004-12-23 강범철 Convenient wheel chair toilet us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295Y1 (en) * 2017-10-12 2022-04-19 김태연 ball-chain with prevent separate par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6677Y1 (en) * 1992-06-03 1994-09-28 정철영 Wheel chair
US5573261A (en) 1994-11-01 1996-11-12 Miller; S. David Narrow manually user-propelled wheelchair
JPH08317951A (en) * 1995-05-26 1996-12-03 Komura Seisakusho:Kk Chair
KR20000035777A (en) * 1998-11-30 2000-06-26 라이니어 데니스 에이치. Lubricant compositions exhibiting extended oxidation stability
JP2001129034A (en) * 1999-11-04 2001-05-15 Eiichi Asami Nursing care assisting device
KR200370097Y1 (en) * 2004-09-02 2004-12-23 강범철 Convenient wheel chair toilet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126A (en) 2006-09-28
KR20070045161A (en) 2007-05-02
KR100757649B1 (en) 2007-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5778B2 (en) Manually operable standing wheelchair
US4141094A (en) Increased mobility apparatus for the disabled
JP5563570B2 (en) Transfer / Moving device
KR100740424B1 (en) Wheelchair With Lifting Device
US20100219668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Lift Assistance
JP6733906B2 (en) Bathing care device
JP2748227B2 (en) Electric wheelchair
US20080290711A1 (en) Toileting chair
JP6578081B2 (en) Standing and sitting movement support device
JP2016193100A (en) Support machine for standing-up and sitting-down, and walking in standing position
JP2002028202A (en) Walking assisting equipment
KR102423485B1 (en) Auto lifting-moving chair apparatus for parapiegic capable of lifting and moving
JP2007090020A (en) Self transferring wheelchair
JP2005224558A5 (en)
JP4452082B2 (en) Special bathing system and wheelchair / stretcher
KR100626399B1 (en) A mounting and removal type wheel chair
CN110464609A (en) Multi-functional device of helping the elderly
EP0826355B1 (en) A foldable wheelchair
JPH0455704B2 (en)
JP2002065802A (en) Bathtub and bathing device
KR20070009026A (en) Wheelchair with lifting device
JPH10137296A (en) Wheelchair provided with rocking chair function
JP3247100U (en) Mobile lift for nursing care
JP2013078445A (en) Manually propelled vehicle
JP2001137297A (en) Chair type floor traveling li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