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9659B1 - Plc를 이용한 전력자동화 통신망 시스템 - Google Patents

Plc를 이용한 전력자동화 통신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9659B1
KR100739659B1 KR1020060018664A KR20060018664A KR100739659B1 KR 100739659 B1 KR100739659 B1 KR 100739659B1 KR 1020060018664 A KR1020060018664 A KR 1020060018664A KR 20060018664 A KR20060018664 A KR 20060018664A KR 100739659 B1 KR100739659 B1 KR 100739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ower
power line
communication
coup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8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식
윤현진
이국노
박병석
허재실
김재욱
지성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디프 이앤티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디프 이앤티,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디프 이앤티
Priority to KR1020060018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96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46Combination of signalling, telemetering,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선통신(PLC)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된 기기들 간의 통합 인터페이스를 수용한 PLC용 장거리 전송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전송장치로부터 전력선으로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커플러를 2개 구성하며 단말장치(FRTU)를 통해 운용장치(개폐장치)의 조작 여부를 감지하여 커플러의 동작 및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PLC를 이용한 전력자동화 통신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PLC를 이용한 전력자동화 통신망 시스템은 전력선통신(PLC)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신호 데이터의 흐름과 시스템의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송장치와, 상기 전송장치와 연결되어 통신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전력선을 통해 배전계통으로 전송하는 제1커플러 및 제2커플러와, 누전과 같은 고장에 대비하여 시스템에 분배되는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운용장치(개폐장치)와, 중앙 서버와의 데이터 교환을 통해 운용 장치의 조작 여부를 감지하고 배전 상태를 측정하는 단말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력자동화, 배전자동화, 커플러, 전력선, PLC, 임피던스 매칭 트랜스

Description

PLC를 이용한 전력자동화 통신망 시스템{Power Automation Networking System using PLC}
도1은 종래의 전력자동화 통신망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2 내지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PLC를 이용한 전력자동화 통신망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2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3은 상기 구성 요소 중 전송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4는 외부통신망과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5는 제1인터페이스 정합기 및 제2인터페이스 정합기가 구비된 전력자동화 통신망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6 및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자동화 시스템의 운용장치(개폐장치) 조작에 따른 신호전송동작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송장치 210 : 제1커플러
220 : 제2커플러 300 : 운용장치(개폐장치)
400 : 단말장치
본 발명은 전력선통신(PLC)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속전력선모듈, 저속전력선모듈, 광통신망, 이더넷(Ethernet), 블루투스 등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된 기기들 간의 통합 인터페이스를 수용한 PLC용 장거리 전송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전송장치로부터 전력선으로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커플러를 2개 구성하며 단말장치(FRTU)를 통해 운용장치(개폐장치)의 조작(오픈/클로즈) 여부를 감지하여 커플러의 동작 및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PLC를 이용한 전력자동화 통신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력선통신(PLC: Power Line Communication)은 전력전송을 위해 포설되어 있는 전력선을 통신수단으로 사용하여 음성과 데이터 등을 전송하는 기술이다. 전력선통신은 광범위하게 깔려있는 기존의 전력선을 통신망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설치비가 저렴하고 고속접속 지원이 가능하며, 통신망의 관리가 용이한 등의 장점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개발에 진행되고 있다.
특히, 최근 디지털통신과 네트워크의 기술 발달로 전력선통신의 신뢰성이 확보되어, 고압 전력선을 이용한 전력선통신을 전력자동화에 적용하여 고압 배전선로를 전력회사 자가 통신망으로 확보하는 방안이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력자동화 통신망은 내화케이블(Pair Cable)을 직접 포설하여 사용하거나, 통신사의 광통신망이나 CATV 망(HFC) 등의 유선망이나 CDMA, 위성통신망 등의 무선망을 임대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 내화케이블을 직접 포설하는 방식을 초기 투자비가 과다하고 오접속이 많이 발생하여 유지관리에 어려움이 있으며, 통신사의 통신망 등을 임대하여 사용하는 방식은 높은 모뎀료 및 운용비가 소요되고, 네트워크 트래픽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 통신품질 유지에 어려움이 있으며, 지역적 조건에 따라 사용의 제한을 받는 등의 단점이 있다.
따라서 초기 투자비와 운용비의 부담이 없고 신뢰성이 검증된 전력선통신을 통신망에 적용하기 위해 종래의 유무선 통신망과 연동 가능한 통신장치 및 시스템의 개발이 있어왔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2-0060078호와 실용신안출원 제20-2004-0030810호는 유무선 통신망과의 상호 네트워킹이 가능한 전력선통신 모듈을 제안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종래의 전력선통신 모듈을 적용한 시스템은 대체로 제어부(CPU)와 유무선 통신망과의 상호 호환을 위한 연결포트 등으로 이루어진 전송장치, 고주파 신호와 돌입전류 등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커플러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1은 이러한 종래의 전력자동화 통신망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력자동화 통신망 시스템은 전송장치(100), 커플러(200), 전원 차단을 위한 운용장치(개폐장치)(300), 및 배전측정을 위한 단말장치(FRTU)(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력자동화 통신망 시스템은 전송장치로부터 A라인과 B라인의 양방향으로 하나의 커플러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게 되는데, 전력차단 등의 목적으로 운용장치(개폐장치)가 오픈된 경우 B라인으로는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PLC를 이용한 전력자동화 통신망 시스템은 전송장치의 통신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전력선으로 전송하는 임피던스 정합부 및 커플러를 각2개 구성하여, 운용장치(개폐장치)의 오픈여부와 관계없이 연결된 모든 라인으로 신호가 전송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운용장치(개폐장치)의 조작 여부를 단말장치에서 감지하고 이에 따라 커플러의 동작을 제한하여, 통신신호가 모든 라인으로 전송되면서도 신호의 충돌은 방지하는 전력자동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PLC를 이용한 전력자동화 통신망 시스템은 전력선통신(PLC)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신호 데이터의 흐름과 시스템의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송장치와, 상기 전송장치와 연결되어 통신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전력선을 통해 배전계통으로 전송하는 제1커플러 및 제2커플러와, 누전과 같은 고장에 대비하여 시스템에 분배되는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운용장치(개폐장치)와, 중앙 서버와의 데이터 교환을 통해 운용 장치의 조작 여부를 감지하고 배전 상태를 측정하는 단말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송장치와 제1커플러 및 제2커플러 사이에 송수신되는 전기적 신호가 잡음이나 이상신호 등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전력선과의 임피던스를 맞춰주는 제1임피던스 정합기 및 제2임피던스 정합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커플러 및 제2커플러는 운용장치(개폐장치)의 조작 여부에 따라 신호의 전송 방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송장치는 전력선의 데이터 신호를 지속적으로 검출하는 신호 검출모듈 및 상기 신호 검출모듈을 통해 검출된 신호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재전송을 수행하는 재전송 모듈로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송장치는 연결 가능한 유무선 통신망과 연동하여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고, 고속 전력선모듈 및 저속 전력선모듈을 통하여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송장치는 이상전압을 감지하여 기기의 동작안정성을 확보하는 이상감지부, 각 구간별로 선로 임피던스를 최적으로 정합하는 정합부, 고압전력선 통신을 위해 신호를 고출력으로 증폭시키는 증폭부 및 전력선 상의 아날로그/디지털 신호를 변환시키는 변복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PLC를 이용한 전력자동화 통신망 시스템은 배전자동화 시스템, 원격검침, 에어컨 부하제어, 변압기 감시 등 전력선통신(PLC: Power Line Communication)을 이용한 통신망 시스템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2 내지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PLC를 이용한 전력자동화 통신망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2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3은 상기 구성 요소 중 전송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4는 외부통신망과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5는 제1인터페이스 정합기 및 제2인터페이스 정합기가 구비된 전력자동화 통신망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PLC를 이용한 전력자동화 통신망 시스템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송장치(100), 상기 전송장치(100)와 연결되어 통신신호를 분리하고 노이즈를 제거하는 제1커플러(210) 및 제2커플러(220), 누전 등에 대비하여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운용장치(개폐장치)(300), 및 배전측정을 위한 단말장치(FRTU)(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단위 시스템이 복수로 구비되고, 각 단위 시스템이 전력선에 의해 연결되어 전체 시스템을 이룬다.
먼저, 전송장치(100)는 도3과 같이 데이터 송수신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CPU)(110), 다양한 외부 유무선 통신망과의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부(120), 이상전압을 감지하여 기기의 동작안정성을 확보하는 이상감지부(130), 각 구간별로 선로 임피던스를 최적으로 정합하는 정합부(140), 고압전력선 통신을 위해 신호를 고출력으로 증폭시키는 증폭부(150), 및 전력선 상의 아날로그/디지털 신호를 변환시키는 변복조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CPU와 같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고, 통신신호의 흐름과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정상적인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상기 제1커플러(210) 또는 제2커플러(220)에 입력신호를 보내고, 이상감지부(130)를 비롯한 전송장치(100)의 구성요소의 동작을 감지하여 전력선통신의 정상여부를 판단하는 등 일련의 송수신 과정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110)는 먼저 전력선의 데이터 신호를 지속적으로 검출하는 신호 검출모듈(111) 및 상기 신호 검출모듈(111)을 통해 검출된 신호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재전송을 수행하는 재전송 모듈(1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신호 검출모듈(111)은 전력선 상에서 송수신되는 신호 전송 패킷을 지속적으로 감시 및 검출하여 신호의 송수신이 항상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in Traffic)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렇게 데이터의 송수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가 감지되기 때문에 시스템의 원활한 제어가 가능하다.
재전송 모듈(112)은 상기 신호 검출모듈(111)에서 감시 및 검출된 신호 전송 패킷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여, 이상신호(오류)의 발생으로 판단되는 경우 신호의 재전송을 수행한다. 따라서 송수신 되는 신호의 오류로 인한 시스템의 동작에러를 예방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20)는 도4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과 연동하며, 연결 가능한 다양한 유무선 통신망과의 연동을 통하여 상호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고, 원거리에서도 편리하게 유지보수를 수행 할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20)는 ADSL이나 TRS 또는 광통신망 등의 공중망과 연동하며 저속전력선모듈과 고속전력선모듈을 포함한 통합 네트워킹을 위한 RS232, RS485등의 시리얼 통신포트를 구비하고, TCP/IP 통신을 통해 LAN, PC와 연동되는 이더넷(Ethernet),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등을 지원함으로써, PLC 모뎀을 다양한 외부 인터페이스와 연결토록 그 구성을 지원하여 어떤 통신조건에서도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상기 전송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저압저속망, 고압저속망, 저압고속망, 고압고속망을 동시 지원하여 내부적으로 상호간의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다. 이로써 빠른 속도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고속전력선통신과, 한번에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저속전력선통신이 모두 가능하다.
이러한 상호간의 데이터 교환의 일례를 들면, 일반적으로 220V 내외의 저압망을 사용하는 일반 가정의 전기, 가스, 수도 등의 AMR(Automatic Meter Reading) 데이터 또는 주변 전주의 변압기 부하량, 변압기 온도 등의 데이터는 저속 (7.5Kbps) 또는 고속(14Mbps)으로 취합되어, 약 22.9KV의 고압 PLC망이나 일반 공중망, LAN 등을 통하여 원하는 곳으로 전송된다. 또한, 4GHz 내외의 블루투스 지원으로 기기의 설정, 변경, 조회 등을 전주위로 직접 올라가지 않고 조작할 수 있다. 상기 RS232 통신포트는 복수로 구비되어 FRTU와 같은 단말장치(400)와 연결될 수 있고, 관리자용 콘솔(Consol)과 연결되어 네트워킹을 통해 장치의 상태, 설정 등을 확인, 변경하는 용도로도 사용 가능 하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20)에서 지원하는 이더넷 모듈은 10/100M 이더넷 포트와 TCP/IP 스택을 통해 원격지에서 인터넷으로 전력자동화 통신망을 감시, 제어와 제어부(110)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및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며, TCP/IP 뿐만 아니라 UDP, BOOTP, DHCP, DNS, HTTP, TFTP 등 인터넷에서 사용 가능한 모든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이상감지부(130)은 전력계통에의 낙뢰, 전력 투입 및 차단에 따른 서지(Surge) 및 각종 고주파성 이상 고전압이 제1커플러(210) 또는 제2커플러(220)를 통과하여 유입되었을 경우에 전력선 통신기기로 유입되지 않고 접지로 방출되도록 하여 기기의 동작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정합부(140)는 선로 임피던스를 최적으로 정합하도록 함으로써, 신뢰성 높은 통신 시스템을 구축하고 통신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배전 선로는 수용가의 분포에 따라 불규칙하게 분기되고 전력계통의 부하에 따라 각 구간마다 임피던스는 다르게 되기 때문에, 정합부(140)에 의해 임피던스를 최적으로 유지시켜 안정적인 통신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하다.
증폭부(150)는 각 노드 간의 거리가 수 km의 장거리에 달하는 통신환경을 가진 전력 자동화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안정적인 송수신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25W 정도의 고압 전력선 통신용 고출력 증폭기를 사용한다.
변복조부(160)는 전력선 상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복원하거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로 전송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로, 전력선의 전송 특성과 주파수 선택적 감쇄 특성 등을 고려하여 광대역 변복조 기술을 채용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전송장치(100)는 주변 가정의 전기신호나 변압기정보와 같이 아날로그 신호로 이루어진 데이터를 변복조부(160)을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복원하고, 정합부(140)를 통과하여 증폭부(150)를 거쳐 제1커플러(210) 또는 제2커플러(220)로 전달된다.
이러한 외부 통신망과의 상호 연동 및 신호 전송은 인터페이스부(120) 및 제어부(110)에 의해 컨트롤된다.
제1커플러(210) 및 제2커플러(220)는 도2와 같이 하나의 전송장치(100)에 각각 연결되어 배전 선로상의 고전압이 전송장치(100)로 인가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 지하면서, 전송장치(100)에서 발생한 통신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전력선을 통해 배전계통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커플러(210) 및 제2커플러(220)는 고압용 콘덴서(커패시터)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고압용 콘덴서는 저주파 통신대역의 신호 통과 특성(감쇄 특성)이 매우 우수하고 소형화되어, 양산 대응력 및 가격경쟁력이 뛰어난 세라믹 콘덴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이루어진 제1커플러(210)와 제2커플러(220)는 운용장치(개폐장치)(300)의 조작(개/폐, 온/오프 또는 오픈/클로즈) 여부에 따라 그 동작이 제한되는데, 이러한 운용장치(개폐장치)(300)와의 연동에 대하여는 후술하는 시스템 동작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운용장치(개폐장치)(300)는 전력자동화 시스템에 분배되는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한다. 즉, 고장이 감지된 경우 시스템 운용자는 곧바로 고장선로를 찾아내 운용장치(개폐장치)(300)를 조작하여 고장구간을 분리한다. 이렇게 고장 구간이 분리되면 즉시 부하측 건전구간을 복구하고 전원측으로 이상발생 여부를 송전하게 된다.
단말장치(400)는 전송장치(100)장치와 연동하여 원격지에서 데이터를 수집해 전송 가능한 형식으로 데이터를 변환한 뒤 중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것으로,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배전측정단말기(FRTU: Feeder Remote Terminal Unit)를 사용한 다. 상기 단말장치(400)는 중앙 서버와의 DNP(Distributed Network Protocol) 데이터 교환을 통해 운용장치(개폐장치)(300)의 조작여부 즉, 오픈(Open) 또는 클로즈(Close)되어 있는지를 감지하여 신호전송에 따른 데이터 충돌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 전력자동화 통신 시스템에는 도5와 같이 상기 전송장치(100)와 제1커플러(210)사이, 및 전송장치(100)와 제2커플러(220) 사이에 각각 상호 송수신되는 전기적 신호가 잡음이나 이상신호 등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전력선과의 임피던스를 맞춰주는 제1임피던스 정합기(510) 및 제2임피던스 정합기(5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각 커플러(210, 220)마다 별도의 임피던스 정합기(510, 520)가 연결됨으로써 전력선 상에서 잡음이나 이상신호가 발생하여도 그 영향을 받지 않고 최적의 통신상태가 유지된다.
위와 같이 각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단위 시스템은 도2와 같이 전력선을 통해 연결되어 전체 시스템을 이루게 된다.
이 때, 각각의 단위 시스템의 구성요소로써 전송장치(100)는 전송 거리에 따라 단위 시스템에서 서버(관제부)로 전송되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리피터(Repeater)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어느 한 전송장치(100)로부터 서버와의 거리가 100km 인데 비해, 전송장치(100)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최대 거리가 50km 라고 가정할 경우, 해당 전송장치(100)는 연결된 타 전송장치로 신호를 전송하고, 신호를 전송받은 전송장치는 자신의 신호 데이터와 전송받은 신호 데이터를 함께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리피터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체 시스템을 이루는 각 전송장치(100)가 리피터의 역할을 함께 수행하여 전체 시스템에서 원활하고 안정적인 신호 전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 전력자동화시스템의 신호 전송동작을 도6과 도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6 및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자동화 시스템의 운용장치(개폐장치) 조작(오픈/클로즈) 여부에 따른 신호전송동작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장치(400)를 통해 가정, 전주 등과 같은 각 부하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는 전송장치(100)와 제1커플러(210) 또는 제2커플러(220)를 통과하여 전력선으로 통신신호를 전송한다.
이 때, 도6과 같이 특정 부하에 연결된 운용장치(개폐장치)(300)가 고장 등의 이유로 오픈(Open)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커플러(210) 및 제2커플러(220)는 A라인과 B라인 양측으로 모두 신호를 전송하고, 오픈된 운용장치(개폐장치)에 의해 제1커플러(210) 및 제2커플러(220)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충돌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7과 같이 전력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운용장치(개폐장치)(300)가 클로즈(Close)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커플러(210)는 A라인으로만 신호를 전송하고 제2커플러는 B라인으로만 신호를 전송한다. 이로써 제1커플러(210) 및 제2커플러(220)를 통과한 신호가 서로 충돌하지 않고 정상적인 데이터 전송이 이루 어지게 된다.
이렇게 제1커플러(210) 및 제2커플러(220)를 통과한 신호는 서로 충돌하지 않고 전력선 통신에 의해 중앙서버로 전송되어, 전력자동화 시스템이 구현된다. 이러한 일련의 전송과정은 전송장치(100)에 구비된 다양한 인터페이스 장치에 의하여 인터넷을 통해 원거리의 관리자에 의해 원격조정 되거나, 블루투스를 통해 장치에 직접 접근하지 않고도 무선통신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누구나 수정 및 변환 실시가 가능한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PLC를 이용한 전력자동화 통신망 시스템은 전송장치의 통신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전력선으로 전송하는 커플러를 2개 구성하여, 운용장치(개폐장치)의 오픈여부와 관계없이 연결된 모든 라인으로 신호가 정상적으로 전송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용장치(개폐장치)의 조작(오픈 또는 클로즈) 여부를 단말장치에서 감지하고 이에 따라 커플러의 동작을 제한하여, 통신신호가 모든 라인으로 전송되면서도 신호의 충돌은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송장치에 다양한 유무선 통신망과 호환 가능한 인터페이스 장치를 구비하여, 저압 또는 고압 전력선 통신 뿐 아니라 인터넷, 블루투스 등으로 다양한 유무선통신망과 연계되어 상호간의 데이터 교환과 시스템의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고속전력선통신과 저속전력선통신을 모두 지원하여 빠른 속도의 데이터 전송과, 한 번에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이 모두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신호 데이터의 흐름과 시스템의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송장치와,
    상기 전송장치와 연결되어 통신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전력선을 통해 배전계통으로 전송하는 제1커플러 및 제2커플러와,
    누전과 같은 고장에 대비하여 시스템에 분배되는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운용장치(개폐장치)와,
    중앙 서버와의 데이터 교환을 통해 운용 장치의 조작 여부를 감지하고 배전 상태를 측정하는 단말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C를 이용한 전력자동화 통신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장치와 제1커플러 및 제2커플러 사이에 송수신되는 전기적 신호가 잡음이나 이상신호 등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전력선과의 임피던스를 맞춰주는 제1임피던스 정합기 및 제2임피던스 정합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C를 이용한 전력자동화 통신망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플러 및 제2커플러는 운용장치(개폐장치)의 조작 여부에 따라 신호의 전송 방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C를 이용한 전력자동화 통신망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장치는 전력선의 데이터 신호를 지속적으로 검출하는 신호 검출모듈 및 상기 신호 검출모듈을 통해 검출된 신호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재전송을 수행하는 재전송 모듈로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C를 이용한 전력자동화 통신망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장치는 연결 가능한 유무선 통신망과 연동하여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고, 고속 전력선모듈 및 저속 전력선모듈을 통하여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C를 이용한 전력자동화 통신망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장치는 이상전압을 감지하여 기기의 동작안정성을 확보하는 이상감지부,
    선로 임피던스를 최적으로 정합하는 정합부,
    고압전력선 통신을 위해 신호를 고출력으로 증폭시키는 증폭부 및
    전력선 상의 아날로그/디지털 신호를 변환시키는 변복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C를 이용한 전력자동화 통신망 시스템.
KR1020060018664A 2006-02-27 2006-02-27 Plc를 이용한 전력자동화 통신망 시스템 KR100739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664A KR100739659B1 (ko) 2006-02-27 2006-02-27 Plc를 이용한 전력자동화 통신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664A KR100739659B1 (ko) 2006-02-27 2006-02-27 Plc를 이용한 전력자동화 통신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9659B1 true KR100739659B1 (ko) 2007-07-13

Family

ID=38504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8664A KR100739659B1 (ko) 2006-02-27 2006-02-27 Plc를 이용한 전력자동화 통신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965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765B1 (ko) 2015-06-30 2016-02-18 덕산공조기계 주식회사 자동차 도장 공장 기반 plc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KR20170003879A (ko) 2016-02-02 2017-01-10 덕산공조기계주식회사 자동차 도장 공장 기반 plc 제어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방법
KR20170085333A (ko) * 2016-01-14 2017-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10857B1 (ko) 2018-11-14 2020-05-13 주식회사 퀀텀솔루션 게이트웨이를 이용하는 전력망 통신 시스템 및 동작 방법
CN113300739A (zh) * 2021-05-13 2021-08-24 晋能控股煤业集团有限公司 一种工作面超远距离通信模块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2455A (ja) * 2000-09-06 2002-03-22 Idemitsu Kosan Co Ltd 電子写真感光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2455A (ja) * 2000-09-06 2002-03-22 Idemitsu Kosan Co Ltd 電子写真感光体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2002-82455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765B1 (ko) 2015-06-30 2016-02-18 덕산공조기계 주식회사 자동차 도장 공장 기반 plc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KR20170085333A (ko) * 2016-01-14 2017-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36703B1 (ko) 2016-01-14 2022-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03879A (ko) 2016-02-02 2017-01-10 덕산공조기계주식회사 자동차 도장 공장 기반 plc 제어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방법
KR102110857B1 (ko) 2018-11-14 2020-05-13 주식회사 퀀텀솔루션 게이트웨이를 이용하는 전력망 통신 시스템 및 동작 방법
CN113300739A (zh) * 2021-05-13 2021-08-24 晋能控股煤业集团有限公司 一种工作面超远距离通信模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5060B2 (en) Transparent routing in a power line carrier network
US7626489B2 (en) Power line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US7796025B2 (en) Power lin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US7436321B2 (en)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with automated meter reading
US7598844B2 (en) Power line communications module and method
US6980090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upling with electrical distribution network infrastructure to provide communications
US6965302B2 (en)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7058524B2 (en) Electrical power metering system
US9733274B2 (en) Multi-function electric meter adapter and method for use
US6980091B2 (en)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10018704A1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Power Line Communications
KR100739659B1 (ko) Plc를 이용한 전력자동화 통신망 시스템
US20080143491A1 (en) Power Line Communication Interface Device and Method
US20060255930A1 (en) Power line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WO2006062922A2 (en) Power line repeater system and method
JP2011511606A (ja) 通信インターフェースを持つユーティリティ切断監視ノード
US2007029742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a network over a substation dc/ac circuit
KR100970103B1 (ko)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지중 구간에서의 원격검침시스템
US9531435B2 (en) Communication network and wide area communication network
KR100833678B1 (ko) 전력선통신 통합 게이트웨이
Hallak et al. PLC for home and industry automation
KR20110024374A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배선용차단기 원격 모니터링장치
KR100770611B1 (ko) 배전 자동화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위한 고정 무선브리지 통신장치
Yang et al. Broadband over Powerline field trial for commercial in-building application in a Multi-Dwelling-Unit environment
US200201861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igh-speed communications over an electrical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