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9496B1 - 리튬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를 위한 도전성 구조체 - Google Patents

리튬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를 위한 도전성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9496B1
KR100739496B1 KR1020060064321A KR20060064321A KR100739496B1 KR 100739496 B1 KR100739496 B1 KR 100739496B1 KR 1020060064321 A KR1020060064321 A KR 1020060064321A KR 20060064321 A KR20060064321 A KR 20060064321A KR 100739496 B1 KR100739496 B1 KR 100739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electrode assembly
anode
region
cath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4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에이치 유 도날드
Original Assignee
피에이치 유 도날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에이치 유 도날드 filed Critical 피에이치 유 도날드
Priority to KR1020060064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94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7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리튬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는 양극 및 음극 층의 측면에 피복되지 않은 넓은 음극 리드 영역과, 피복되지 않은 넓은 양극 리드 영역이 형성된다. 또한, 집전 영역이 음극 리드 영역 또는 양극 리드 영역에 대응식으로 위치된다. 그리고 다음에, 클래스핑 조립체가 양극 리드 영역 또는 음극 리드 영역 외부에 고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두 개의 가압편이 양극 리드 영역 또는 음극 리드 영역에 대해 견고하게 가압된다. 한편, 양극 리드 영역 또는 음극 리드 영역의 개별 층은 서로 밀접하게 가압되는 한편, 양극 리드 영역 또는 음극 리드 영역의 최내 층은 집전 영역과 밀착 전기 접촉 상태로 유지된다.
리튬 이차 전지, 전극 조립체, 양극 층, 음극 층, 음극 리드 영역, 양극 리드 영역, 클래스핑 조립체

Description

리튬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를 위한 도전성 구조체{CONDUCTIVE STRUCTURE FOR AN ELECTRODE ASSEMBLY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도1은 미국 특허 제5,849,431호에 개시된 종래의 전극 조립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는 미국 특허 제5,849,431호에 개시된 종래의 전극 조립체의 리드의 용접 구조체 및 리드 단자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3은 미국 특허 제6,447,946호에 개시된 리튬 전지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사시도.
도5는 조립되기 전의 본 발명에 따른 클래스핑 조립체 및 전극 조립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6은 조립된 후의 본 발명에 따른 클래스핑 조립체 및 전극 조립체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 케이스의 내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일 가압편 클래스핑 조립체 및 전극 조립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 케이스의 내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케이스
21 : 캡
30 : 코어
31 : 연결부
40 : 전극 조립체
41 : 양극 층
42 : 음극 층
43 : 분리 층
50 : 리드 단자
51 : 연결 단부
60 : 클래스핑 조립체
201 : 개구
211 : 포트
311 : 삽입 홈
412 : 양극 리드 영역
422 : 음극 리드 영역
본 발명은 리튬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를 위한 도전성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리튬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를 위한 전력 집전 및 리딩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미국 특허 제5,849,431호에 개시된 종래의 리튬 이차 전지는 나선형으로 감긴 전극 조립체(10)가 서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다음에, 코어(14) 주위에 권취되는 웨브형 양극 층(11), 음극 층(12) 및 분리 층(13)을 포함한다. 음극 층(12)과 양극 층(11)의 일 측면은 장방형 리드(111, 131)로서의 역할을 하는 장방형 치부로 절결된다. 장방형 리드(111, 131)는 함께 모인 다음에, 디스크형 단자(15)의 외주연부에 용접된다. 이러한 배열로, 전력은 전극 조립체(10)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전극 조립체의 개별 층이 동심원을 이루는 방식으로 배열되고, 개별 리드는 도전성 단자의 외주연부에 상이한 거리를 두고 위치된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도전성 단자에 개별 리드를 용접하기 전에, 개별 리드는 트리밍 및 타이딩된 다음에 도전성 단자의 외주연부에 용접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 종래의 전지 구조체는 아직도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갖고 있다.
첫째, 전극 조립체 제조시, 트리밍 조작이 불필요한 부산물을 생성하기 때문에, 복잡한 절단 및 트리밍 조작을 피하는데 주의해야만 한다. 불필요한 부산물이 양극 및 음극 층의 표면에 부착되면, 전극 조립체의 회복불가능한 도전 방해를 초래할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리튬 이차 전지 구조체에서, 전극 조립체는 치부 절단 조작을 받아야만 하고, 이는 제조상의 곤란성을 증가시켜 생산품의 허용 비율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부산물을 생성할 것이다.
둘째, 전극 조립체의 개별 층의 리드는 동심원을 이루는 방식으로 배열되고, 리드는 길이가 동일하여야만 하고, 도전성 단자의 외주연부로부터 멀리 위치되는 리드의 길이는 기준값으로서 여겨진다. 따라서, 과도하게 긴 리드는 과도하게 긴 리드가 함께 가압되는 타이딩 조작을 받아야만 한다. 그러나, 이 타이딩 조작은 제조 공정의 복잡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리드의 피손 위험성을 가질 것이다.
셋째, 리드와 용접될 디스크형 도정성 단자의 외주연부의 영역은 매우 작아서, 너무 많은 리드가 존재하면, 전지 제조 공정이 더 복잡하고 어려워질 것이다.
도3을 참조하면, 미국 특허 제6,447,946호에 개시된 종래의 리튬 이차 전지가 도시되는데, 이는 전극 조립체(10a)의 단부 주연부에 용접되는 복수의 리드(111a, 131a)를 포함하고, 이어서 리드(111a, 131a)는 전지 단자(16)의 일 측면에 배치되는 프레임(161)에 용접된다.
상술된 종래의 리튬 전지 구조체의 전극 조립체 모두는 복수의 리드와 용접되고, 이어서 리드는 전지 단자 또는 도전성 단자에 전지로부터 전극 조립체의 전력을 안내하는 매체로서의 역할을 한다. 대용량 전지에 있어서, 리드의 개수는 보통 용량의 전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되어야만 한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다르게는, 전지 충전 또는 방전 공정에서, 내부 저항의 증가는 충전 및 방전 효율의 순차적인 감소, 또는 더 나쁘게는 전지 충전 및 방전의 실패를 초래할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구조체에 있어서, 리드의 개수는 용접 및 절단 기술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증가하기 어렵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많은 개수의 리드를 갖는 전지가 그 용량을 향상시키면서 전지의 내부 저항 및 리액턴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많은 개수의 리드에 있어서, 용접 조작은 힘들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이 복잡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용접 조작을 사용하지 않고 전극 조립체가 전지 단자와 직접 전기 접촉하는 이러한 전지 구조체를 설계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한편, 구조적 설계를 통해, 전극 조립체는 넓은 영역에서 전지 단자와 전기 접촉하는 것이 허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지의 내부 저항은 용량은 향상되면서 순차적으로 감소된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리튬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를 위한 도전성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극 조립체의 양극 및 음극 층에는 그 측면에 넓은 피복되지 않은 음극 리드 영역과, 넓은 피복되지 않은 양극 리드 영역이 형성된다. 리드 단자에는 그 중간부에 넓은 집전 영역(collecting area)이 형성된다. 클래스핑 조립체는 양극 및 음극 리드 영역이 집전 영역과 전기 접촉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만들 수 있고, 양극 및 음극 리드 영역의 개별 층이 서로에 대해 밀접하게 가압되게 만든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극 조립체는 넓은 영역에서 전지 단자와 전기 접촉하는 것이 허용되어, 내부 저항이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는 한편, 이차 전지는 큰 전류를 충전 및 방전할 수 있는 우수한 능력을 갖는다.
도4, 도5, 도6 및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를 위한 도전성 구조체는 케이스에 배치되는 코어와, 코어의 양 단부에 고정되는 두 개의 리드 단자와, 코어 주위에 권취되는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의 단부가 리드 단자와 전기 접촉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만들기 위한 두 개의 클래스핑 조립체와, 이들 내부 부품과 케이스를 고정시키기 위한 두 개의 고정 너트를 포함한다.
케이스(20)에는 그 어느 일 단부에 전지의 부품이 수용될 개구(201)가 형성되고, 각각의 개구(201)는 캡(21)으로 밀봉된다. 포트(211)가 전지 부품의 통과를 위해 캡(21)에 형성된다.
코어(30)는 케이스(20)에 배치되는 절연 구조체이고 그 일 단부에는 연결부(31)가 형성되고, 연결부(31)는 삽입 홈(311)일 수 있다.
전극 조립체(40)는 양극 층(41), 음극 층(42) 및 적어도 하나의 분리 층(43)을 포함한다. 양극 및 음극 층(41, 42)의 표면은 양극 재료(411) 및 음극 재료(421)로 각각 피복된다. 분리 층(43)은 양극 및 음극 층 사이에 위치된다. 피복되지 않은 영역이 양극 리드 영역(412)으로서의 사용을 위해 양극 층(41)의 일 측면에 형성되고, 음극 층(42)에는 양극 층(41)에 대향하여 그 다른 일 측면에 음극 리드 영역(422)으로서의 사용을 위해 피복되지 않은 영역이 형성된다. 양극 층(41), 분리 층(43) 및 음극 층(42)은 차례로 중첩되고, 양극 및 음극 리드 영역(412, 422)은 양극 층(41), 분리 층(43) 및 음극 층(42)의 조립체의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전극 조립체(40)가 양극 층(41), 분리 층(43) 및 음극 층(42)을 코어(30) 주위에 권취함으로써 형성된 후에, 전극 조립체(40)의 양 단부는 양극 및 음극 리드 영역(412, 422)로부터 돌출될 것이다.
각각의 리드 단자(50)는 그 일 단부에 형성된 연결 단부(51)를 갖는 도전성 구조체이다. 연결 단부(51)는 코어(30)의 연결부(31)에 연결될 삽입 로드 구조체(511)일 수 있다. 개별 리드 단자(50)의 다른 단부에는 나사형 로드 구조체일 수 있는 출력 단부(52)가 형성된다. 각각의 리드 단자(50)에는 특별히 연결 단부(51)와 출력 단부(52) 사이에 위치되는 플랜지(53) 및 집전 영역(54)이 형성된다. 집전 영역(54)은 관통 구멍(541)이 형성된 원통형 구조체일 수 있고, 양극 리드 영역(412) 또는 음극 리드 영역(422)에 대응식으로 위치된다. 플랜지(53)는 케이스(20)의 캡(21)에 맞닿는다.
클래스핑 조립체(60)는 스크류 로드(61)와, 두 개의 가압편(62, 62a)을 포함한다. 각압편(62, 62a) 각각에는 관통 구멍(621)이 형성되고, 양극 리드 영역(412) 또는 음극 리드 영역(422) 외부에 배치된다. 스크류 로드는 가압편(62) 중 하나의 관통 구멍(621)과, 집전 영역(54)의 관통 구멍(541)과, 가압편(62) 중 다른 하나의 관통 구멍(621)을 통해 삽입된 다음에, 너트(63)에 의해 그에 고정되어, 두 개의 가압편(62, 62a)이 양극 리드 영역(412) 또는 음극 리드 영역(422)에 대해 견고하게 가압되고, 양극 리드 영역(412) 또는 음극 리드 영역(422)은 집전 영역(54)과 밀접한 전기 접촉 상태로 유지된다.
전극 조립체(40), 코어(30) 및 리드 단자(50)가 클래스핑 조립체(60)에 의해 함께 조립될 때, 플랜지(53)가 캡(21)의 내부면에 대해 가압될 때까지, 리드 단 자(50)의 출력 단부(52)는 캡(21)의 포트(211)를 통과하고, 고정 너트(70)가 출력 단부(52)에 스크류 결합되어, 전지가 개별 부품이 케이스(20)에 보다 안정적으로 조립되게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는 리드 단자와 전기 접촉하는 넓은 영역을 가져서, 이차 전지가 큰 전류를 충전 및 방전할 수 있는 우수한 능력을 갖는다.
본 발명, 그 조작 및 기능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해, 도4 내지 도6을 다시 참조하기로 한다. 큰 전류를 충전 및 방전할 수 있는 우수한 능력을 갖기 위해, 전극 조립체(40) 및 리드 단자(50)는 양극 및 음극 층(41, 42)에 그 일 측면에 넓은 피복되지 않은 음극 리드 영역(412)과 넓은 피복되지 않은 양극 리드 영역(422)이 형성되도록 특별히 설계된다. 또한, 집전 영역(54)은 음극 리드 영역(412) 또는 양극 리드 영역(422)에 대응식으로 위치된다. 그리고, 이어서 클래스핑 조립체(60)는 양극 리드 영역(412) 또는 음극 리드 영역(422) 외부에 고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두 개의 가압편(62, 62a)이 양극 리드 영역(412) 또는 음극 리드 영역(422)에 대해 견고하게 가압된다. 한편, 양극 리드 영역(412) 또는 음극 리드 영역(422)의 개별 층은 서로에 대해 밀접하게 가압되는 한편, 양극 리드 영역(412) 또는 음극 리드 영역(422)의 최내 층은 집전 영역(54)과 밀착 전기 접촉하는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허용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지의 내부 저항이 감소될 수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첫째, 양극 및 음극 리드 영역은 전극 조립체와 일체로 되어 있다. 전기적 으로, 양극 및 음극 리드 영역은 다수로 이루어진 리드와 등가이고, 이는 큰 전류의 원활할 통과를 허용하여, 내부 저항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킨다.
둘째, 양극 및 음극 리드 영역은 넓은 영역을 통해 집전 영역과 전기 접촉하고 있고, 이는 큰 전류의 원활한 통과를 허용하여, 내부 저항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킨다.
셋째, 클래스핑 조립체는 양극 및 음극 리드 영역의 개별 층을 서로 밀접하게 가압하게 만들고, 일단 양극 및 음극 리드 영역이 서로 밀접하게 가압되면, 내부 저항은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전극 조립체(40)의 양극 또는 음극 리드 영역(412, 422)은 종래의 리드의 사용 없이 리드 단자(50)의 집전 영역(54)과 직접 전기 접촉한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리드에 리드 단자(50)를 용접할 필요가 없어, 리드 제조 공정이 간단해져서, 제조 비용 및 장비 비용을 실질적으로 저감한다.
본 발명의 구조적 설계가 대용량 전지에 사용될 때, 전극 조립체의 충전 및 방전시 발생되는 큰 전류가 넓은 양극 및 음극 리드 영역과 넓은 집전 영역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내부 저항이 감소되기 때문에, 전극 조립체의 온도는 충전 및 방전 공정시 실질적으로 덜 증가하여, 전지의 조작을 더 안정적으로 만들면서, 이차 전지의 수명을 더 길게 만든다.
전지의 개별 부품이 케이스(20)에 조립된 후에, 전지의 기밀, 특히 케이스(20)와 리드 단자(50) 사이의 기밀을 보장하기 위해, 밀봉 워셔(801)가 플랜지(53)와 캡(21)의 내부면 사이에 배열되고, 다른 밀봉 워셔(802)가 고정 너트(70) 와 캡(21)의 외부면 사이에 제공된다. 고정 너트(70)를 조임으로써, 플랜지(53)와, 캡(21)의 포트(211)는 기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도5,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래스핑 조립체(60)의 가압편(62)의 일 표면은 요철 방식으로 원통형 집전 영역(54)과 정합하기 위해 호형 오목면일 수 있다. 이 표면은 높은 부분과 낮은 부분을 갖는 단차형 구조체일 수 있어서, 낮은 부분(623)이 피복되지 않은 양극 및 음극 리드 영역(412, 422)에 대해 가압된 후에, 전극 조립체(40)의 피복된 영역은 높은 부분(622)과 같은 높이가 될 것이다. 다르게는, 가압편(62)은 그 피복된 영역과 피복되지 않은 영역이 동일한 수준이 아니기 때문에, 전극 조립체의 표면에 대해 밀접하게 가압할 수 없다.
본 발명의 기술이 소용량 전지에 사용되면,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용량 전지의 전극 조립체(40)가 상대적으로 적은 개수의 층을 갖고, 전기 케이스 또한 상대적으로 협소하기 때문에, 클래스핑 조립체(60)는 스크류 로드(61a) 및 단일 가압편(62b)을 갖는 것으로 변경될 수 있는데, 즉, 단지 하나의 가압편(62b)이 양극 및 음극 리드 영역(412, 422)의 외부면의 일 측면에 배치되고, 이어서 스크류 로드(61a)가 가압편(62b)을 통과하고 집전 영역(54)의 나사형 구멍(542)에 스크류 결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양극 및 음극 리드 영역(412, 422)의 단일 측면이 집전 영역(54)과 밀접한 전기 접촉을 갖게 만들면서, 가압편(62b)은 양극 및 음극 리드 영역(412, 422)의 단일 측면에 대해 가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극 조립체가 큰 영역에서 전지 단자와 전기 접촉하는 것이 허용되어, 내부 저항이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는 한편, 이차 전지는 큰 전류를 충전 및 방전할 수 있는 우수한 능력을 가질 수 있다.

Claims (4)

  1. 리튬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를 위한 도전성 구조체이며,
    케이스에 배치되는 코어와, 코어의 양 단부에서 고정되는 두 개의 리드 단자와, 코어의 주위에 권취되는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가 리드 단자와 전기 접촉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만들기 위한 클래스핑 조립체와, 이들 부품과 케이스를 고정시키기 위한 두 개의 고정 너트를 포함하고,
    전극 조립체는 양극 층, 음극 층 및 적어도 하나의 분리 층을 포함하고, 양극 및 음극 층의 표면은 양극 재료와, 음극 재료로 각각 피복되고, 분리 층은 양극 및 음극 층 사이에 위치되고, 피복되지 않은 영역이 양극 리드 영역으로서의 사용을 위해 양극 층의 일 측면에 형성되고, 음극 층에는 양극 층에 대향하여 그 다른 측면에 음극 리드 영역으로서의 사용을 위해 피복되지 않은 영역이 형성되고, 양극 층, 분리 층 및 음극 층은 차례로 중첩되고, 양극 및 음극 리드 영역은 양극 층, 분리 층 및 음극 층으로 이루어진 조립체의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전극 조립체가 양극 층, 분리 층 및 음극 층을 코어 주위에 권취함으로써 형성된 후에, 전극 조립체의 양 단부는 양극 및 음극 리드 영역으로부터 돌출할 것이고,
    각각의 리드 단자는 코어의 연결부에 연결하기 위해 그 일 단부에 형성되는 연결 단부를 갖는 도전성 구조체이고, 개별 리드 단자의 다른 단부에는 출력 단부가 형성되고, 각각의 리드 단자에는 연결 단부와 출력 단부 사이에 위치되는 플랜지와 집전 영역이 특별히 형성되고, 집전 영역은 양극 리드 영역 또는 음극 리드 영역에 대응식으로 위치되고, 플랜지는 케이스의 캡에 맞닿고,
    클래스핑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 로드 및 두 개의 가압편을 포함하고, 가압편 각각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양극 리드 영역 또는 음극 리드 영역 외부에 배치되고, 스크류 로드는 가압편 중 하나의 관통 구멍, 집전 영역의 관통 구멍, 가압편 중 다른 하나의 관통 구멍을 통해 삽입된 다음에, 너트에 의해 그에 고정되어, 두 개의 가압편이 양극 리드 영역 또는 음극 리드 영역에 대해 견고하게 가압되고, 양극 리드 영역 또는 음극 리드 영역은 집전 영역과 밀착 전기 접촉하는 상태로 유지되는, 리튬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를 위한 도전성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클래스핑 조립체의 가압편의 일 표면은 요철 방식으로 집전 영역과 정합하기 위한 호형 오목면이고, 집전 영역은 원통형인, 리튬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를 위한 도전성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클래스핑 조립체의 가압편의 일 표면은 높은 부분과 낮은 부분을 갖는 단차형 구조체여서, 낮은 부분이 피복되지 않은 양극 및 음극 리드 영역에 대해 가압되고, 전극 조립체의 피복된 영역은 높은 부분과 같은 높이가 되는, 리튬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를 위한 도전성 구조체.
  4. 리튬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를 위한 도전성 구조체이며,
    케이스에 배치되는 코어와, 코어의 양 단부에서 고정되는 두 개의 리드 단자 와, 코어의 주위에 권취되는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가 리드 단자와 전기 접촉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만들기 위한 두 개의 클래스핑 조립체와, 이들 부품과 케이스를 고정시키기 위한 두 개의 고정 너트를 포함하고,
    전극 조립체는 양극 층, 음극 층 및 적어도 하나의 분리 층을 포함하고, 양극 및 음극 층의 표면은 양극 재료와, 음극 재료로 각각 피복되고, 분리 층은 양극 및 음극 층 사이에 위치되고, 피복되지 않은 영역이 양극 리드 영역으로서의 사용을 위해 양극 층의 일 측면에 형성되고, 음극 층에는 양극 층에 대향하여 그 다른 측면에 음극 리드 영역으로서의 사용을 위해 피복되지 않은 영역이 형성되고, 양극 층, 분리 층 및 음극 층은 차례로 중첩되고, 양극 및 음극 리드 영역은 양극 층, 분리 층 및 음극 층으로 이루어진 조립체의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전극 조립체가 양극 층, 분리 층 및 음극 층을 코어 주위에 권취함으로써 형성된 후에, 전극 조립체의 양 단부는 양극 및 음극 리드 영역으로부터 돌출한 것이고,
    각각의 리드 단자는 코어의 연결부에 연결하기 위해 그 일 단부에 형성되는 연결 단부를 갖는 도전성 구조체이고, 개별 리드 단자의 다른 단부에는 출력 단부가 형성되고, 각각의 리드 단자에는 연결 단부와 출력 단부 사이에 위치되는 플랜지와 집전 영역이 특별히 형성되고, 집전 영역은 양극 리드 영역 또는 음극 리드 영역에 대응식으로 위치되고, 플랜지는 케이스의 캡에 맞닿고,
    각가의 클래스핑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 로드 및 하나의 가압편을 포함하고, 가압편 각각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양극 리드 영역 또는 음극 리드 영역의 외부면의 일 측면에 배치된 다음에, 스크류 로드는 가압편을 통과하여 집전 영역의 나사형 구멍에 스크류 결합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양극 및 음극 리드 영역의 단일 측면이 집전 영역과 밀접 전기 접촉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만들면서, 가압편이 양극 리드 영역 또는 음극 리드 영역의 단일 측면에 대해 가압되는, 리튬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를 위한 도전성 구조체.
KR1020060064321A 2006-07-10 2006-07-10 리튬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를 위한 도전성 구조체 KR100739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321A KR100739496B1 (ko) 2006-07-10 2006-07-10 리튬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를 위한 도전성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321A KR100739496B1 (ko) 2006-07-10 2006-07-10 리튬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를 위한 도전성 구조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615U Division KR200427198Y1 (ko) 2006-07-10 2006-07-10 리튬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를 위한 도전성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9496B1 true KR100739496B1 (ko) 2007-07-19

Family

ID=38498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4321A KR100739496B1 (ko) 2006-07-10 2006-07-10 리튬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를 위한 도전성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94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9431A (en) * 1995-09-27 1998-12-15 Sony Corporation High capacity secondary battery of jelly roll type
KR20000014999A (ko) * 1998-08-26 2000-03-15 손욱 원통형 이차전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9431A (en) * 1995-09-27 1998-12-15 Sony Corporation High capacity secondary battery of jelly roll type
KR20000014999A (ko) * 1998-08-26 2000-03-15 손욱 원통형 이차전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96450B1 (en) Welded current collector plates i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cells
KR102053407B1 (ko) 리튬 축전 배터리용 터미널 형성용 부싱 및 관련된 축전 배터리
US8765291B2 (en) Rechargeable battery
JP3975940B2 (ja) 蓄電素子
KR100612364B1 (ko) 이차 전지
WO2014091635A1 (ja) 積層電池および積層電池の組立方法
JP7296208B2 (ja) 二次電池及び組電池
US8758928B2 (en) Conductive structure for an electrode assembly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JPH0992335A (ja) 円筒形二次電池
CN110034250A (zh) 密闭型电池、电池组、密闭型电池的制造方法以及电池组的制造方法
WO2019194053A1 (ja) 電池モジュール
KR102659830B1 (ko)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JP6550863B2 (ja) 蓄電素子及び蓄電素子の製造方法
US20150207128A1 (en) Square secondary battery
KR20230006881A (ko) 버튼형 배터리
JPH0935701A (ja) 電 池
JP2010118625A (ja) 電極接続具、それを備えた蓄電装置
JP2008016411A (ja) リチウム二次電池の極巻き導電構造
US20080076013A1 (en) Conductive Structure for an Electrode Assembly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KR200427198Y1 (ko) 리튬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를 위한 도전성 구조체
JP2002015716A (ja) バッテリーパック
KR100739496B1 (ko) 리튬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를 위한 도전성 구조체
JP2003272600A (ja) 二次電池
JP2000243372A (ja) 二次電池
JPH11329398A (ja) 巻回電極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