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9471B1 - 휴대전화기용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 - Google Patents

휴대전화기용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9471B1
KR100739471B1 KR1020070023199A KR20070023199A KR100739471B1 KR 100739471 B1 KR100739471 B1 KR 100739471B1 KR 1020070023199 A KR1020070023199 A KR 1020070023199A KR 20070023199 A KR20070023199 A KR 20070023199A KR 100739471 B1 KR100739471 B1 KR 100739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ear
holder
wireless transceiver
low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3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콤
김주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콤, 김주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콤
Priority to KR1020070023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94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471B1/ko
Priority to PCT/KR2007/006220 priority patent/WO200810852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와의 무선 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 기능을 구비한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무선 송수신기에 장착된 이어폰이 송수신기 케이스에 대해 힌지축을 통하여 상하로 축선회할 수 있게 장착되어 있으면서, 상기 이어폰 홀더에 결합된 힌지축의 양쪽과 하부 케이스 사이에 비틀림 스프링이 설치되어 이어폰 홀더를 탄력지지하게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는 귀에 장착할 때, 케이스를 잡아 당겨 이어폰의 각도를 변화시키면서 착용자의 외이에 맞추어 넣고, 이어폰을 장착한 후에는 케이스를 놓으면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힘에 의해 무선 송신기의 케이스가 얼굴에 자동적으로 밀착되어 단단하게 착용되어질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는 귀에 착용하기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착용한 후에 귀에서 잘 빠져 나가지 않게 하고, 착용한 후에 전화 통화하기에도 편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휴대전화, 블루투스, 이어폰, 비틀림 스프링, 이어홀더.

Description

휴대전화기용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An earphone type wireless transmitter-receiver for a cellular phone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의 후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를 귀에 장착하기 직전 상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를 귀에 장착한 상태에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무선 송수신기 11 : 상부 케이스
12 : 하부 케이스 13 : 이어폰
14 : PCB 15 : 배터리
16 : 마이크 17 : 힌지축
18 : 이어폰 홀더 19 : 캡 이어홀더
20 : 안내 돌기 21 : 결합구멍
22 : 브래킷 23 : 관통구멍
24 : 결합돌기 25 : 가이드 홈
26 : 비틀림 스프링 27 : 화살표
본 발명은 휴대전화와의 무선 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 기능을 구비한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귀의 외이(外耳)에 장착되는 이어폰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이어폰을 장착하기가 용이하고, 장착된 이어폰을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기가 귀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한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mobile phone)는 시간이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이다. 하지만 상대방과 전화통화를 하기 위해서는 휴대전화를 귀에 가까이 가져가야 하므로 일반전화와 마찬가지로 한 손으로 휴대전화를 잡고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방안으로서 핸즈프리(hands-free) 방식의 휴대전화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핸즈프리 방식은 상대방과 통화할 때 한 손으로 휴대전화를 잡지 않아도 된다는 이점이 있기는 하나, 휴대전화와 이어폰을 유선으로 연결해야 하므로 통화자는 활동범위에 제한을 받는다는 제약이 있었 다.
한편, 휴대전화의 기능이 단순히 상대방과의 전화통화에서 벗어나 인터넷상의 웹서버와 실시간으로 접속하여 음악파일을 다운로드받거나, 혹은 음원을 가지는 영상을 제공하는 웹서버나 각종 게임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는 웹서버와 접속하여 시간이나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음악이나 영화, TV 방송 컨텐츠, 각종 정보안내 및 각종 게임을 실시간으로 즐길 수 있는 단계까지 왔다.
하지만 상대방과 전화통화를 위한 음성이나 영화, TV 방송 컨텐츠, 각종 정보안내 및 각종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출력되는 음성(오디오)의 화음은 다양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출력수단으로서 휴대전화 내의 스피커나 이어폰만을 이용하고 있어, 사용자는 음성이나 오디오를 듣기 위해 휴대전화기 본체를 귀에 가까이 대거나 이어폰을 귀에 꼽아야 한다.
따라서 휴대전화 사용자는 상대방과 전화통화를 하거나 온라인(on-line) 혹은 오프라인(off-line)상에서 영화, TV 방송 컨텐츠, 각종 정보안내 및 각종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출력되는 음성을 듣기 위해 휴대전화를 귀에 대고 있거나 혹은 이어폰을 꼽고 있어야 하므로, 휴대전화기를 손에 들고 있어야 하거나 귀에 꽂은 이어폰이 빠져 나가지 않게 하기 위해 행동이 자유롭지 못할 뿐더러 활동공간에서도 많은 제약을 받는다.
한편, 본 발명의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5-92794호와 제10-2005-92795호, 제10-2005-96534호 및 제10-2005-107942호 등으로 블루투스 기능을 채용한 무선 송수신기에 대해 특허출원한 바 있으나, 이들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 신기는 이어폰을 귀에 장착하기 용이하지 않을 뿐더러, 무선 송수신기가 귀에 견고하게 밀착되지 못하여 행동이 자유스럽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이어폰이 무선 송수신기의 몸체에 대하여 고정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람마다 형태와 크기가 서로 다른 귀의 형상과 모양에 정확하게 맞추어 주기가 곤란하기 때문에 발생하게 된다.
한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06206호 '이동 가능 이어폰을 갖춘 블루투스 헤드셋'의 고안에 따르면, 헤드셋에 구비된 이어폰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기는 하나, 상기 고안에 따른 이어폰의 힌지축은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이어폰을 접어서 헤드셋 내부로 돌려 넣고 이어폰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어폰을 돌려서 펼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이어폰을 귀에 장착하기에 용이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또한 이어폰을 귀에 쉽게 장착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귀에 장착된 이어폰이 쉽게 빠져 나오지 않게 하는 수단이 갖추어져 있지 않아 무선 송수신기의 장착을 용이하게 함과 더불어 장착된 상태에서 견고하게 지지되어지게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일반적인 휴대폰용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는, 귀에 장착할 때 한쪽 손으로 귀를 잡고 당기면서 다른 한손으로 무선 송수신기의 이어폰을 붙잡아 귀속으로 밀어 넣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이렇게 밀어 넣은 다음 이어폰이 귀속에 정확하게 안착되게 하기 위해, 이어폰의 각도를 조절하면서 편안한 자세를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어렵게 이어폰을 귀속에 삽입한 상태에서도 이어폰이 귀 에 밀착되게 설치되지 못하므로, 조금만 몸을 움직여도 무선 송수신기가 쉽게 빠져나가거나, 무선 송수신기의 몸체가 볼에 달라붙지 않아 착용감이 나쁠 뿐만 아니라 정확한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음질이 나빠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휴대폰용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에 따른 장착상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이어폰을 귀에 간편하게 삽입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귀에서 쉽게 빠져나가지 않게 단단하게 결착되어지게 하는 한편, 무선 송수신기의 몸체가 볼에 자연스럽게 밀착되어 착용감이 뛰어나게 할 뿐만 아니라, 음의 송수신상태를 뛰어나게 하는 휴대폰용 이어폰형 무선송수신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어폰형 무선송수신기는, 한 쌍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내에 휴대전화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회로가 결선되어 있는 PCB와 배터리 및 마이크 등이 내장된 착용이 용이한 이어폰형상의 무선 송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부 상단에 힌지축을 갖춘 이어폰 홀더가 회동 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의 전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을 통하여 돌출된 이어폰 홀더의 선단에 이어폰이 결합되며, 상기 이어폰 홀더에 결합된 힌지축의 양쪽과 하부 케이스 사이에 비틀림 스프링이 설치되어 이어폰 홀더를 탄력지지하게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휴대전화기용 이어폰형 무선 송수기는 귀 에 장착할 때, 케이스를 잡아 당겨 이어폰의 각도를 변화시키면서 착용자의 외이에 맞추어 넣고, 이어폰을 장착한 후에는 케이스를 놓으면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힘에 의해 무선 송신기의 케이스가 얼굴에 자동적으로 밀착되어 단단하게 착용되어질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는 귀에 착용하기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착용한 후에 귀에서 잘 빠져 나가지 않게 하고, 착용한 후에 전화 통화하기에도 편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1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면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10)의 분해 사시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10)는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한 쌍의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 및, 상기 상하부 케이스(11, 12)에 결합되는 이어폰(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하부 케이스(11, 12)의 내부에는 휴대전화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회로가 결선되어 있는 PCB(14)와 배터리(15) 및 마이크(16) 등이 내장되고, 상기 케이스(11,2)의 상단부에 이어폰(13)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어폰(13)은 사용자 귀의 외이(外耳)에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 내에 내장된 힌지축(17)과, 상기 힌지축(17)에 회동할 수 있게 결합된 이어폰 홀더(18)를 통하여 하부 케이스(12)의 바깥으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물론,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 내에 설치되는 PCB(14)와 배터리(15), 마이크(16) 및 이어폰(13)은 전기적으로 결선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이어폰(13)의 몸체에는 귀에 착용하였을 때 귀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충시켜 주기 위한 실리콘 등과 같은 캡 이어홀더(19)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캡 이어홀더(19)의 하단에는 이어폰(13)을 귀의 외이에 꽂을 때 이어폰(13)이 삽입되는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돌기(20)가 형성되어 있어 이어폰(13)을 귀의 외이에 꽂기 편하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부케이스(11)의 내부 상단 양측에 힌지축(17)이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구멍(21)을 갖춘 브래킷(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어폰 홀더(18)에 형성된 관통구멍(23)에 힌지축(17)이 끼워져 있으며, 상기 이어폰 홀더(18)의 선단에 돌출된 결합돌기(24)에 이어폰(13)이 끼워져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힌지축(17)이 이어폰 홀더(18)의 관통구멍(23)속에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에만 국한하는 것이 아니고, 힌지축(17)이 이어폰 홀더(18)에 일체로 사출 형성되어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하부 케이스(12)의 상단부에는 가이드 홈(25)이 형성되어, 상기 상하부 케이스(11,12)의 내부에 설치된 이어폰 홀더(18)의 결합돌기(24)가 상기 가이 드 홈(25)을 통하여 도면 3과 도면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의 하부 케이스(12)의 바깥으로 돌출되고, 이렇게 돌출된 이어폰 홀더(18)의 결합돌기(24)에 이어폰(13)이 끼워져 결합된다.
한편, 상기 이어폰 홀더(18)는 케이스(11,12)에 대하여 탄성수단에 의해 탄력적으로 회동할 수 있게 지지시키는데, 본 발명에서는 그 탄성수단의 설치예로서, 상기 이어폰 홀더(18)에 관통하여 끼워진 힌지축(17)에 비틀림 스프링(26)을 설치하고, 이 비틀림 스프링(26)의 한쪽 선단은 힌지축(17)에 고정되고, 나머지 한쪽 선단은 이어폰 홀더(18)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이어폰 홀더(18)가 힌지축(17)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되어지게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이어폰 홀더(18)와 힌지축(17) 사이에 비틀림 스프링(26)을 설치하여 이어폰 홀더(18)가 항상 아래쪽으로 탄력 지지되어지게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10)는 이어폰(13)을 귀의 외이에 꽂아 넣은 후 손을 떼면, 상기 비틀림 스프링(26)의 지지탄력에 의해 이어폰(13)이 아래로 내려옴과 동시에 하부 케이스(12)가 이어폰(13)쪽으로 당겨지면서 하부케이스(12)가 안면에 밀착되는 한편, 상기 하부 케이스(12)와 이어폰(13)이 귓볼을 잡아 주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10)를 귀에 착용하는 과정을 도면 3과 도면 4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10)를 귀에 착용하기 전의 상태는 도면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틀림 스프링(26)의 지지탄력에 의하여 이어폰(13)이 아래 쪽으로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무선 송수신기(10)를 착용하고 자 할 때는, 사용자가 무선 송수신기(10)의 이어폰(13)을 귀의 외이에 댄 상태에서 서로 결합된 상하부 케이스(11,12)의 하단부를 잡고 아래로 당기거나 상부 케이스(11)의 상면을 누르면, 이어폰(13)이 귀의 외이에 삽입되게 된다.
상기 이어폰(13)이 귀의 외이에 삽입될 때, 도면 4에서 화살표(27)로 나타낸 바와 같이 착용자의 외이(外耳) 형상에 따라 이어폰(13)이 움직이게 되는데, 이렇게 이어폰(13)이 움직이면 이어폰 홀더(18)가 힌지축(17)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가이드 홈(25)을 따라 위쪽으로 이동하여 이어폰(13)이 귀의 외이에 장착하기에 더욱 용이한 각도를 취하게 되어, 이어폰(13)이 쉽게 외이 속으로 들어가 장착되게 된다.
이렇게 귀의 외이에 무선 송수신기(10)의 이어폰(13)을 꽂고 나서 손을 놓아 외력을 제거하면, 비틀림 스프링(26)이 이어폰 홀더(18)를 아래쪽으로 눌러줌으로써 이어폰(13)이 가이드 홈(25)을 따라 아래로 내려와서 하부 케이스(12)가 안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하부 케이스(12)와 이어폰(13) 사이의 공간에 귓볼이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송수신기(10)는 이어폰(13)을 귀의 외도에 장착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비틀림 스프링(26)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있는 본 발명의 무선 송수신기(10)가 귀의 외도에 장착된 상태에서 가벼운 외력에 의해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는 귀에 장착되는 이어폰(13)이 송수신기의 케이스 속에 내장된 비틀림 스프링(26)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있으면서, 지지축(17)에 의해 상하로 회동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외이 형상에 따라 이어폰(13)의 각도가 자동적으로 적절하게 변화되면서 착용하기에 용이한 상태로 조절되어지게 되고, 착용한 후에는 스프링의 탄성이 붙잡아 주게 되므로 작은 외력에 의해 쉽게 빠져 이탈되지 않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한 쌍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내에 휴대전화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회로가 결선되어 있는 PCB와 배터리 및 마이크가 내장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부 상단에 힌지축을 갖춘 이어폰 홀더가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의 전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을 통하여 돌출된 이어폰 홀더의 선단에 이어폰이 결합되며, 상기 이어폰 홀더에 결합된 힌지축의 양쪽과 상기 하부 케이스 사이에 비틀림 스프링이 설치되어 이어폰 홀더를 탄력지지하게 이루어진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부 상단 양측에 상기 힌지축이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구멍을 갖춘 브래킷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어폰 홀더에는 상기 힌지축이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어폰 홀더의 선단에 돌출된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돌기에 상기 이어폰이 끼워져 결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용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
KR1020070023199A 2007-03-08 2007-03-08 휴대전화기용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 KR100739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199A KR100739471B1 (ko) 2007-03-08 2007-03-08 휴대전화기용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
PCT/KR2007/006220 WO2008108529A1 (en) 2007-03-08 2007-12-04 Earphone type wireless transmitter-receiver for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199A KR100739471B1 (ko) 2007-03-08 2007-03-08 휴대전화기용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9471B1 true KR100739471B1 (ko) 2007-07-13

Family

ID=38504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3199A KR100739471B1 (ko) 2007-03-08 2007-03-08 휴대전화기용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94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1504A (ko) 2018-04-18 2019-10-28 소리노리닷컴(주) 무선 소리 출력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031B1 (ko) 2006-01-25 2007-03-02 (주)심플비 무선 헤드셋 및 무선 헤드셋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031B1 (ko) 2006-01-25 2007-03-02 (주)심플비 무선 헤드셋 및 무선 헤드셋의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1504A (ko) 2018-04-18 2019-10-28 소리노리닷컴(주) 무선 소리 출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3737B2 (en) Ear clasp headset
JP3140230U (ja) 受信機能付きメガネ
JP5531605B2 (ja) 骨伝導スピーカ及び骨伝導ヘッドホン装置
US20020065115A1 (en) Accessory for a communication terminal
EP1587285A1 (en) Ear fixed type conversation device
US20100074462A1 (en) Headse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0620827B1 (ko) 골전도 스피커를 이용한 송수화장치
JP2006526295A (ja) オーディオ用ヘッドセット
KR200319629Y1 (ko) 헤드셋의 송화기 연결구조
KR100953835B1 (ko) 휴대전화기용 이어폰형 블루투스 무선 송수신기
KR100725050B1 (ko) 휴대전화기용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
KR100739471B1 (ko) 휴대전화기용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
KR100739472B1 (ko) 휴대전화기용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
KR100725051B1 (ko) 휴대전화기용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
KR100725049B1 (ko) 휴대전화기용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
KR200341662Y1 (ko) 모노 스테레오 겸용 무선 헤드셋
KR101754032B1 (ko) 머리띠 타입 이어셋
KR200284358Y1 (ko) 핸드폰 매립안테나 내경에 내장된 이어폰 탄력대
CN201491061U (zh) 一种手机
KR200208097Y1 (ko) 머리띠 겸용 헤드셋
JP2005277995A (ja) 無線ヘッドセット装置
JP3073415U (ja) 携帯電話の通話装置
KR200266220Y1 (ko) 휴대폰용 핸즈프리
KR200205534Y1 (ko) 휴대폰의 소음통화장치
KR20000054830A (ko) 이탈방지형 핸즈프리 이어마이크 및 이어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