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8955B1 - 다기능 usb 슬레이브 장치와 usb 호스트 장치 간의기능 변경 방법 및 이를 위한 다기능 usb 슬레이브 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usb 슬레이브 장치와 usb 호스트 장치 간의기능 변경 방법 및 이를 위한 다기능 usb 슬레이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8955B1
KR100738955B1 KR1020050131310A KR20050131310A KR100738955B1 KR 100738955 B1 KR100738955 B1 KR 100738955B1 KR 1020050131310 A KR1020050131310 A KR 1020050131310A KR 20050131310 A KR20050131310 A KR 20050131310A KR 100738955 B1 KR100738955 B1 KR 100738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usb
index
host device
descrip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1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9333A (ko
Inventor
김민형
정은수
김후종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1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8955B1/ko
Publication of KR20070069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9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8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8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04Coupling between buses
    • G06F13/4022Coupling between buses using switching circuits, e.g. switching matrix, connection or expansion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11Configuring for operating with peripheral devices; Loading of device drivers
    • G06F9/4413Plug-and-play [Pn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USB 슬레이브 장치와 USB 호스트 장치 간의 기능 변경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기능 USB 슬레이브 장치와 USB 호스트 장치 간의 기능 변경 방법은 복수의 USB 기능을 포함하는 USB 슬레이브 장치와 첫번째로 정의된 기능을 기본 값으로 적용하는 USB 호스트 장치 간의 기능 변경 방법으로서, USB 호스트 장치로부터 복수의 USB 기능 중 현재 동작중인 기능 이외의 타기능으로의 변경이 요청되면, 변경할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USB 호스트 장치와의 USB 연결을 리셋하는 제1단계와; 상기 USB 호스트 장치로부터 슬레이브 장치의 기능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기능 디스크립터가 요청되면, 복수의 USB 기능 중 상기 변경할 기능을 기능 인덱스 1로 설정하고, 각 기능 별 인덱스를 모두 포함하도록 디스크립터를 조합하여 작성한 기능 디스크립터를 상기 USB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제2단계와; USB 호스트 장치가 상기 기능 인덱스 1에 대한 기능을 적용하고 USB 슬레이브 장치로 기능 인덱스 1에 대한 기능으로의 설정을 요청하면, 인덱스 1에 대한 USB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제3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USB 슬레이브 장치와 USB 호스트 장치 간의 기능 변경 방법 및 이를 위한 다기능 USB 슬레이브 장치{Method for Changing Function Between Multi-Function USB Slave Device and USB Host Device and Multi-Function USB Slave Device therefor}
도 1은 종래의 USB 슬레이브 장치와 USB 호스트 장치 간 기능 설정 및 변경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SB 슬레이브 장치와 USB 호스트 장치 간 기능 설정 및 변경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디스크립터 조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USB 슬레이브 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도 4의 USB 슬레이브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변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무선 인터넷 플랫폼 200 : USB 매니저 모듈
300 : 파일 입출력 서브 시스템 400 : USB 서브 시스템
본 발명은 다기능 USB 슬레이브 장치와 USB 호스트 장치 간의 기능 변경 방법 및 이를 위한 다기능 USB 슬레이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복수의 USB 기능을 갖는 USB 슬레이브 장치가 특정 USB 기능으로 설정되어 동작하다가 다른 USB 기능으로 설정을 변경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USB 슬레이브 장치와 USB 호스트 장치 간의 기능 변경 방법 및 이를 위한 다기능 USB 슬레이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선, 도 1을 통해 종래 호스트 장치와 다기능 슬레이브 장치 간 슬레이브 장치 기능 설정 및 변경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PC 등의 호스트 장치와 이동 통신 단말 등의 슬레이브 장치가 USB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S001) 장치 인식이 이루어지면, 호스트 장치는 슬레이브 장치로 단말(슬레이브 장치)의 기능을 나타내는 디스크립터를 요청한다(S002).
슬레이브 장치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하나의 USB 기능(예: 객체 교환 기능)을 기능 1(Configuration 1)으로 한 기능 디스크립터를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며(S003), 현재의 호스트 장치는 하나의 USB 기능만을 갖는 슬레이브 장치를 대상으로 구현되어 있음에 따라 기능 1을 기본값으로 인식하여 해당 기능을 적용하고, 슬레이브 장치로 해당 기능 디스크립터의 기능 1로 설정할 것을 요청한다(S004).
상기와 같이, 기존에는 하나의 USB 장치가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용 가능한 하나의 기능만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기존 호스트 장치의 USB 드라이버는 기 능 1을 디폴트로 하여 하나의 기능만을 적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슬레이브 장치는 복수의 USB 기능을 가지고 있더라도 모든 기능을 호스트 장치로 알리지 않고 하나의 기능 정보만을 전달한 후 해당 기능으로 세팅하여 기능 1로 동작한다(S005).
한편, 현재에는 하나의 USB 장치가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뎀 기능, 객체 교환(Object Exchange; OBEX) 기능, 매스 스토리지(Mass Storage)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다기능 USB 장치가 상기한 종래의 기능 설정 과정에 의해 기능을 설정한 후 다른 기능으로 동작하기 위해서 기존의 호스트 장치는 슬레이브 장치로 기능단에 구현되어 있는 특정 기능 변경 명령 데이터를 전송하였다(S006).
이에 따라, 슬레이브 장치와 호스트 장치 간에 리셋 과정이 수행되며(S007) 다시 호스트 장치가 슬레이브 장치로 기능 디스크립터를 요청하면(S008), 슬레이브 장치는 상기 기능 변경 명령 데이터에 따라 변경 요청된 기능 정보만을 포함하는 기능 디스크립터를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며(S009), 호스트 장치가 슬레이브 장치로 기능 설정을 요청하면(S010) 슬레이브 장치가 해당 기능 2로 동작(S011)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한 특정 기능 변경 명령 데이터는 기능단에 구현되어 있는 데이터로서, 호스트 장치가 슬레이브 장치의 모든 USB 기능을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각 USB 기능마다 자신 이외의 다른 USB 기능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변경 명령 데이터를 구현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또 다른 USB 기 능이 추가된다면 각 USB 기능마다 새로 추가된 USB 기능으로의 기능 변경 명령 데이터를 구현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기능 USB 장치가 USB 기능(Configuration)을 복수개로 관리하고 모든 기능 정보를 최초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디스크립터를 통해 전송하여, 각 USB 기능마다 특정 변경 명령 데이터를 구현하지 않고 호스트 장치가 디스트립터에 포함된 기능 정보들을 이용하여 기능 변경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USB 슬레이브 장치와 USB 호스트 장치 간의 기능 변경 방법 및 이를 위한 다기능 USB 슬레이브 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복수의 USB 기능을 포함하는 USB 슬레이브 장치와 첫번째로 정의된 기능을 기본 값으로 적용하는 USB 호스트 장치 간의 기능 변경 방법으로서, USB 호스트 장치로부터 복수의 USB 기능 중 현재 동작중인 기능 이외의 타기능으로의 변경이 요청되면, 변경할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USB 호스트 장치와의 USB 연결을 리셋하는 제1단계와; 상기 USB 호스트 장치로부터 슬레이브 장치의 기능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기능 디스크립터가 요청되면, 복수의 USB 기능 중 상기 변경할 기능을 기능 인덱스 1로 설정하고, 각 기능 별 인덱스를 모두 포함하도록 디스크립터를 조합하여 작성한 기능 디스크립터를 상기 USB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제2단계와; USB 호스트 장치가 상기 기능 인덱스 1에 대한 기능을 적용하고 USB 슬레이브 장치로 기능 인덱스 1에 대한 기능으로의 설정을 요청하면, 인덱스 1에 대한 USB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제3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USB 슬레이브 장치와 USB 호스트 장치 간의 기능 변경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USB 슬레이브 장치의 기능 인덱스 1을 기본 값으로 적용하는 USB 호스트 장치와의 USB 기능 변경을 위한 다기능 USB 슬레이브 장치로서, 무선 인터넷 플랫폼 상에서 동작하는 기능 인덱스에 대한 단말의 기능 디스크립터 및 무선 인터넷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USB 포트에 대한 정보를 파일로 저장하는 파일 입출력 서브 시스템과; 상기 파일 입출력 서브 시스템과 파일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무선 인터넷 플랫폼 상에서 동작하는 기능 인덱스에 해당되는 USB 정보를 관리하는 USB 매니저 모듈과; 단말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USB 기능 디스크립터 정보를 관리하며, USB 호스트 장치로부터 기능 변경 요청 명령을 받으면, 상기 USB 호스트 장치와의 연결을 리셋하고, 상기 USB 매니저 모듈이 관리하는 기능 인덱스에 대한 디스크립터 및 단말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기능 인덱스에 대한 디스크립터를 모두 포함하는 디스크립터를 조합 작성하되, 상기 USB 호스트 장치로부터 변경 요청된 해당 기능을 기능 인덱스 1로 설정하여 상기 USB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디바이스 매니저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기능 USB 슬레이브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SB 슬레이브 장치와 USB 호스트 장치 간 기능 설정 및 변경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디스크립터 조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USB 슬레이브 장치는 호스트 장치와의 USB 연결이 이루어지고(S101), 호스트 장치로부터 슬레이브 장치의 기능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기능 디스크립터가 요청되면(S102), 자신이 가진 복수의 USB 기능 디스크립터를 조합한다(S103).
이때, 디스크립터의 조합은 호스트 장치가 기능 1을 디폴트로 적용한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슬레이브 장치에서 활성화된 기능(가장 최근에 사용한 기능)을 기능 1로 설정한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레이브 장치가 USB 기능으로서 기능 1, 기능 2, 기능 3을 가지고 있고, 가장 최근에 활성화되었던 기능이 기능 1인 경우, 슬레이브 장치는 기능 인덱스 1에 기능 1을 할당하고, 기능 인덱스 2에 기능 2를, 기능 인덱스 3에 기능 3을 할당하는 방식으로 디스크립터를 조합하여 기능 디스크립터를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것이다.
만약, 최근 활성화되었던 기능이 기능 2인 경우, 슬레이브 장치는 기능 인덱스 1에 기능 2를, 기능 인덱스 2에 기능 3을, 기능 인덱스 3에 기능 1을 할당하여 디스크립터를 조합한다.
도면에서는 기능 인덱스가 순환하는 원형큐 형태로 관리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최근 사용한 기능이 인덱스 1이 되면 호스트 장치의 기능 인식에는 문제 없으므로 원형큐 형태로 반드시 관리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단말의 USB 기능으로는 모뎀 기능, 객체 교환 기능, 매스 스토리지 기능 등이 있으며, 그 종류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와 같이 슬레이브 장치가 기능 디스크립터의 조합을 완료하여 이를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면(S104), 호스트 장치는 기능 인덱스 1에 대한 기능(기능 1)을 적용하고 USB 슬레이브 장치로 해당 기능으로의 설정을 요청하며(S105), 이에 따라 USB 슬레이브 장치는 기능 1로 동작한다(S106).
이후, 사용자로부터 기능 2로의 변경이 요청되면 호스트 장치는 해당 기능 2의 정보를 포함하는 기능 변경 요청 명령을 슬레이브 장치로 전달하며(S107), 이에 따라 슬레이브 장치와 호스트 장치 간에 리셋이 이루어진다(S108).
다음, 최초 기능 설정 과정과 마찬가지로 다시 호스트 장치는 슬레이브 장치로 기능 디스크립터를 요청하며(S109), 슬레이브 장치는 기능 디스크립터를 재조합한다(S110). 이때, 슬레이브 장치는 앞서 수신한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기능 변경 요청 명령에 따라 해당 기능 2를 기능 인덱스 1로 설정하고, 기능 3은 기능 인덱스 2로, 기능 1은 기능 인덱스 3으로 설정하여 디스크립터를 재조합한다.
상기 슬레이브 장치는 상기와 같이 재조합된 기능 디스크립터를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며(S111), 호스트 장치가 기능 인덱스 1을 디폴트로 적용하고 슬레이브 장치로 기능 설정을 요청하면(S112) 슬레이브 장치는 기능 2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S113).
다음,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USB 슬레이브 장치의 구성도로서,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기능 설정 및 변경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슬레이브 장치이며, 복수의 USB 기능이 무선 인터넷 플랫폼 상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이동 통신 단말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기능 USB 슬레이브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로서, 무선 인터넷 플랫폼(100), USB 매니저 모듈(200), 파일 입출력 인터페이스(301), 파일 입출력 서브 시스템(300), 디바이스 매니저 인터페이스(401), USB 인터페이스(410) 및 디바이스 매니저 모듈(420)로 구성된 USB 서브 시스템(4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무선 인터넷 플랫폼(100)은 플랫폼 상에서 USB 장치를 사용하기 위하여 USB 서브 시스템(400)의 USB 인터페이스 레이어 함수를 사용하여 USB 장치를 열고 초기화하거나 해당 장치의 USB 포트를 통하여 데이터를 읽거나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무선 인터넷 플랫폼 상에서 USB 장치가 사용되려면 해당 기능이 별도의 인덱스로 관리되어야 하며, 해당 인덱스 내에서 사용될 USB 포트 정보를 USB 정보 저장소(이하, 'UIS'라 함)에 저장되어야 한다.
USB 매니저 모듈(200)은 USB 서브 시스템(400) 내의 디바이스 매니저 모듈(420)의 기능 중 상기 무선 인터넷 플랫폼 상에서 동작하기 위한 특정 인덱스에 해 당되는 USB 정보를 관리하는 라이브러리이며, 파일 입출력 인터페이스(301)를 통하여 USB 장치의 기능 디스크립터 정보 및 USB 포트 정보(이하, 'UIS 파일'이라 함)를 획득하기 위하여 단말 내 저장소인 UIS를 조회한다.
파일 입출력 인터페이스(301)는 파일 입출력 인터페이스 상에서 USB 매니저 모듈(200)이 상기 UIS 파일을 조회할 수 있도록 파일 입출력 함수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파일 입출력 서브 시스템(300)은 단말에서 제공하는 내부 메모리 장치에 접근하거나 외장 메모리 카드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기본적인 파일 입출력을 위한 서브 시스템으로서, 무선 인터넷 플랫폼 상에서 동작하는 기능 인덱스에 대한 단말의 기능 디스크립터 및 무선 인터넷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USB 포트에 대한 정보를 파일로 저장하며 조회 또는 변경 가능하도록 한다.
디바이스 매니저 인터페이스(401)는 디바이스 매니저 모듈(420)에서 사용되며, 디바이스 매니저 모듈(420)로부터 무선 인터넷 플랫폼 상에서 동작하는 기능 인덱스에 대한 기능 디스크립터 정보가 요청되면, UIS로부터 해당 기능 디스크립터 정보를 전송하는 함수 및 해당 인덱스의 인터페이스에서 사용되는 그리고 포인트를 USB 매니저 모듈(200)로 알려주는 함수로 구성되어 있다.
USB 서브 시스템(400)은 호스트 장치와 USB를 통해 연결되며, USB 인터페이스(410) 및 디바이스 매니저 모듈(420)을 포함한다. USB 서브 시스템(400)은 퀄컴사의 MSN ASIC에 구현되어 있는 USB 기능을 지원하며, 내부적으로 USB 인터페이스 함수 및 SI 인터페이스 계층을 제공하여 단말에 연결된 USB 장치를 기능에 맞게 연 결해주는 역할을 하며, 또한 이동식 디스크 장치와 직접 연결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동작하기도 한다.
디바이스 매니저 모듈(420)은 USB 호스트 장치로부터 기능 디스크립터 요청 명령을 받으면 단말에서 설정된 디스크립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기존의 단말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OEM 인덱스뿐만 아니라, 추가로 무선 인터넷 플랫폼 상에서 동작하는 인덱스 정보를 얻어오기 위하여 USB 매니저 모듈(200)로 디바이스 매니저 인터페이스(401)를 통하여 추가 정보를 요청하고, 얻어진 추가 정보를 조합하여 USB 호스트 장치로 전송할 기능 디스크립터를 앞서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성한다.
단말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는 사용자가 단말 UI 메뉴를 이용하여 기능별로 기능 인덱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디바이스 매니저 모듈(420)이 선택된 인덱스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로부터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슬레이브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를 통해 특정 기능으로의 변경 요청 명령을 입력받아 기능 변경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로부터의 변경 요청 명령은 도 2에서 호스트 장치가 슬레이브 장치로 전송하는 변경 요청 명령을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구조의 USB 슬레이브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변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트 장치로부터 기능 1로 동작하고 있는 슬레이브 장 치로 전송된 기능 변경 요청 명령은 디바이스 매니저 모듈(420)로 전달되며(S201), 디바이스 매니저 모듈(420)은 해당 기능 정보를 저장한 후(S202), 호스트 장치와 리셋을 수행한다(S203).
다음, 리셋을 수행한 호스트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기능 디스크립터 요청 명령은 디바이스 매니저 모듈(420)로 전달되며(S204), 디바이스 매니저 모듈(420)은 단말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기능에 대한 OEM 인덱스 이외의 무선 인터넷 플랫폼 상에서 동작하는 단말 USB 기능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USB 매니저 모듈(200)로 추가 기능에 대한 기능 디스크립터를 요청하고, USB 매니저 모듈(200)은 파일 입출력 서브 시스템(300)으로 해당 추가 기능 정보를 요청한다(S205).
파일 입출력 서브 시스템(300)은 UIS 정보를 조회하여(S206) 해당 추가 기능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기능 디스크립터를 USB 매니저 모듈(200)로 전송하고, USB 매니저 모듈(200)은 이 추가 기능에 대한 기능 디스크립터를 디바이스 매니저 모듈(420)로 전송한다(S207).
디바이스 매니저 모듈(420)은 추가 기능에 대한 기능 인덱스를 포함하는 기능 디스크립터를 재조합하는데 이때 앞서 기능 변경 요청 명령에 포함되어 있던 기능을 기능 인덱스 1로 설정한다(S208).
다음, 디바이스 매니저 모듈(420)은 호스트 장치로 추가 기능에 대한 인덱스 및 OEM 인덱스를 포함하는 모든 정보를 재조합한 기능 디스크립터를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며(S209), 이에 따라 호스트 장치는 디바이스 매니저 모듈(420)로부터 수신한 기능 디스크립터를 받아 규격에 맞게 내용을 분석하고, 인덱스 1에 대한 기능( 기능 2)을 디폴트로 적용하여 기능 2로 동작할 준비를 수행하고 USB 슬레이브 장치가 변경 요청된 기능 2로 USB를 설정하도록 기능 설정을 요청하여(S209), 슬레이브 장치가 기능 2로 동작하도록 한다(S210).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기능 USB 슬레이브 장치와 USB 호스트 장치 간의 기능 변경 방법 및 이를 위한 다기능 USB 슬레이브 장치에 의하면, 다기능 USB 장치가 USB 기능(Configuration)을 복수개로 관리하고 모든 기능 정보를 최초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디스크립터를 통해 전송하여, 각 USB 기능마다 특정 변경 명령 데이터를 구현하지 않고 호스트 장치가 디스트립터에 포함된 기능 정보들을 이용하여 기능 변경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으며, 기능 1을 디폴트로 사용하는 종래의 호스트 장치의 변경 사항 없이 다기능 슬레이브 장치가 현재 이용하고자 하는 기능을 적용할 수 있어 슬레이브 장치의 USB 기능 활용의 제약에 대한 문제점이 해결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복수의 USB 기능을 포함하는 USB 슬레이브 장치와 첫번째로 정의된 기능을 기본 값으로 적용하는 USB 호스트 장치 간의 기능 변경 방법으로서,
    USB 호스트 장치로부터 복수의 USB 기능 중 현재 동작중인 기능 이외의 타기능으로의 변경이 요청되면, 변경할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USB 호스트 장치와의 USB 연결을 리셋하는 제1단계와;
    상기 USB 호스트 장치로부터 슬레이브 장치의 기능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기능 디스크립터가 요청되면, 복수의 USB 기능 중 상기 변경할 기능을 기능 인덱스 1로 설정하고, 각 기능 별 인덱스를 모두 포함하도록 디스크립터를 조합하여 작성한 기능 디스크립터를 상기 USB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제2단계와;
    USB 호스트 장치가 상기 기능 인덱스 1에 대한 기능을 적용하고 USB 슬레이브 장치로 기능 인덱스 1에 대한 기능으로의 설정을 요청하면, 인덱스 1에 대한 USB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제3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USB 슬레이브 장치와 USB 호스트 장치 간의 기능 변경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 이전에,
    USB 호스트 장치로부터 슬레이브 장치의 기능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기능 디 스크립터가 요청되면, 복수의 USB 기능 중 가장 최근 활성화되었던 기능을 기능 인덱스 1로 설정하고, 각 기능 별 인덱스를 모두 포함하도록 디스크립터를 조합하여 작성한 기능 디스크립터를 상기 USB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USB 호스트 장치가 상기 기능 인덱스 1에 대한 기능을 적용하고 USB 슬레이브 장치로 기능 인덱스 1에 대한 기능으로의 설정을 요청하면, 인덱스 1에 대한 USB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USB 슬레이브 장치와 USB 호스트 장치 간의 기능 변경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SB 슬레이브 장치는,
    USB 기능으로서 단말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USB 기능 및 무선 인터넷 플랫폼 상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USB 기능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로서, 무선 인터넷 플랫폼 상에서 동작하기 위한 특정 인덱스에 해당되는 USB 정보를 관리하는 USB 매니저 모듈과, 무선 인터넷 플랫폼 상에서 동작하는 기능 인덱스에 대한 단말의 기능 디스크립터 및 무선 인터넷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USB 포트에 대한 정보를 파일로 저장하는 파일 입출력 서브 시스템과, USB 호스트 장치로부터 기능 디스크립터 요청 명령을 받아 단말의 모든 USB 기능들을 포함하는 디스크립터를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디바이스 매니저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디바이스 매니저 모듈은,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단말 기능 변경 요청 명령을 수신되면 변경할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호스트 장치와의 연결을 리셋하고,
    상기 제2단계는,
    상기 디바이스 매니저 모듈이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디스크립터 요청 명령이 수신되면, 단말 제조사 제공 USB 기능에 대한 OEM 인덱스 이외의 무선 인터넷 플랫폼 상에서 동작하는 단말 USB 기능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상기 USB 매니저 모듈로 추가 기능에 대한 기능 디스크립터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USB 매니저 모듈이 상기 파일 입출력 서브 시스템으로 해당 추가 기능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파일 입출력 서브 시스템이 USB 정보 저장소에 저장된 정보를 조회하여 해당 추가 기능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기능 디스크립터를 상기 USB 매니저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와;
    USB 매니저 모듈이 상기 파일 입출력 서브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추가 기능에 대한 기능 디스크립터를 상기 디바이스 매니저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디바이스 매니저 모듈이 추가 기능에 대한 기능 인덱스를 포함하는 기능 디스크립터를 상기 제1단계에서 저장된 기능을 인덱스 1로 작성하여 조합하여, 상기 추가 기능에 대한 인덱스 및 OEM 인덱스를 포함하는 모든 정보를 조합한 기능 디스크립터를 상기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USB 슬레이브 장치와 USB 호 스트 장치 간의 기능 변경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SB 슬레이브 장치는,
    USB 기능으로서 단말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USB 기능 및 무선 인터넷 플랫폼 상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USB 기능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로서, 무선 인터넷 플랫폼 상에서 동작하기 위한 특정 인덱스에 해당되는 USB 정보를 관리하는 USB 매니저 모듈과, 무선 인터넷 플랫폼 상에서 동작하는 기능 인덱스에 대한 단말의 기능 디스크립터 및 무선 인터넷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USB 포트에 대한 정보를 파일로 저장하는 파일 입출력 서브 시스템과, USB 호스트 장치로부터 기능 디스크립터 요청 명령을 받아 단말의 모든 USB 기능들을 포함하는 디스크립터를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디바이스 매니저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단계 이전에,
    호스트 장치로부터 전송된 기능 디스크립터 요청 명령이 상기 디바이스 매니저 모듈로 전달되면, 디바이스 매니저 모듈이 단말 제조사 제공 USB 기능에 대한 OEM 인덱스 이외의 무선 인터넷 플랫폼 상에서 동작하는 단말 USB 기능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상기 USB 매니저 모듈로 추가 기능에 대한 기능 디스크립터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USB 매니저 모듈이 상기 파일 입출력 서브 시스템으로 해당 추가 기능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파일 입출력 서브 시스템이 USB 정보 저장소에 저장된 정보를 조회하여 해당 추가 기능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기능 디스크립터를 상기 USB 매니저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와;
    USB 매니저 모듈이 상기 파일 입출력 서브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추가 기능에 대한 기능 디스크립터를 상기 디바이스 매니저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디바이스 매니저 모듈이 추가 기능에 대한 기능 인덱스를 포함하는 기능 디스크립터를 최근 활성화되었던 기능을 인덱스 1로 작성하여 조합하여, 상기 추가 기능에 대한 인덱스 및 OEM 인덱스를 포함하는 모든 정보를 조합한 기능 디스크립터를 상기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USB 슬레이브 장치와 USB 호스트 장치 간의 기능 변경 방법.
  5. USB 슬레이브 장치의 기능 인덱스 1을 기본 값으로 적용하는 USB 호스트 장치와의 USB 기능 변경을 위한 다기능 USB 슬레이브 장치로서,
    무선 인터넷 플랫폼 상에서 동작하는 기능 인덱스에 대한 단말의 기능 디스크립터 및 무선 인터넷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USB 포트에 대한 정보를 파일로 저장하는 파일 입출력 서브 시스템과;
    상기 파일 입출력 서브 시스템과 파일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무선 인터넷 플랫폼 상에서 동작하는 기능 인덱스에 해당되는 USB 정보를 관리하는 USB 매니저 모듈과;
    단말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USB 기능 디스크립터 정보를 관리하며, USB 호스트 장치로부터 기능 변경 요청 명령을 받으면, 상기 USB 호스트 장치와의 연결을 리셋하고, 상기 USB 매니저 모듈이 관리하는 기능 인덱스에 대한 디스크립터 및 단말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기능 인덱스에 대한 디스크립터를 모두 포함하는 디스크립터를 조합 작성하되, 상기 USB 호스트 장치로부터 변경 요청된 해당 기능을 기능 인덱스 1로 설정하여 상기 USB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디바이스 매니저 모듈;
    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USB 슬레이브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매니저 모듈은,
    상기 USB 호스트 장치와의 최초 기능 설정 시 USB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기능 디스크립터 요청 명령을 받으면, 상기 USB 매니저 모듈이 관리하는 기능 인덱스에 대한 디스크립터 및 단말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기능 인덱스에 대한 디스크립터를 모두 포함하는 디스크립터를 조합 작성하되, 최근 활성화되었던 기능을 기능 인덱스 1로 설정하여 상기 USB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USB 슬레이브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매니저 모듈은,
    USB 호스트 장치로부터 기능 디스크립터 요청 명령을 받으면, 상기 USB 매니 저 모듈로 USB 매니저 모듈이 관리하는 기능 인덱스에 대한 디스크립터를 요청하고, USB 매니저 모듈로부터 수신한 기능 인덱스에 대한 디스크립터 및 단말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기능 인덱스에 대한 디스크립터를 모두 포함하는 디스크립터를 조합 작성하며,
    상기 USB 매니저 모듈은,
    상기 디바이스 매니저 모듈로부터 기능 인덱스에 대한 디스크립터가 요청되면, 상기 파일 입출력 서브 시스템을 통해 해당 기능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기능 디스크립터를 획득하여 상기 디바이스 매니저 모듈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USB 슬레이브 장치.
KR1020050131310A 2005-12-28 2005-12-28 다기능 usb 슬레이브 장치와 usb 호스트 장치 간의기능 변경 방법 및 이를 위한 다기능 usb 슬레이브 장치 KR100738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1310A KR100738955B1 (ko) 2005-12-28 2005-12-28 다기능 usb 슬레이브 장치와 usb 호스트 장치 간의기능 변경 방법 및 이를 위한 다기능 usb 슬레이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1310A KR100738955B1 (ko) 2005-12-28 2005-12-28 다기능 usb 슬레이브 장치와 usb 호스트 장치 간의기능 변경 방법 및 이를 위한 다기능 usb 슬레이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9333A KR20070069333A (ko) 2007-07-03
KR100738955B1 true KR100738955B1 (ko) 2007-07-16

Family

ID=38504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1310A KR100738955B1 (ko) 2005-12-28 2005-12-28 다기능 usb 슬레이브 장치와 usb 호스트 장치 간의기능 변경 방법 및 이를 위한 다기능 usb 슬레이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89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126B1 (ko) 2011-08-12 2017-07-25 삼성전자 주식회사 Usb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usb 시스템
CN106326170B (zh) * 2016-08-19 2019-05-17 东软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设备索引号分配方法、装置及系统
KR20180083572A (ko) 2017-01-13 2018-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0729B1 (ko) 1990-04-27 2000-03-15 클라크 3세 존 엠. 매체 액세스 제어/호스트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20050727A (ko) * 2000-12-21 2002-06-27 존 비. 메이슨 Usb 장치들에서 확장 구성 디스크립터 정보를 규정하는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0729B1 (ko) 1990-04-27 2000-03-15 클라크 3세 존 엠. 매체 액세스 제어/호스트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20050727A (ko) * 2000-12-21 2002-06-27 존 비. 메이슨 Usb 장치들에서 확장 구성 디스크립터 정보를 규정하는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9333A (ko) 2007-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80350B (zh) 嵌入式sim卡的数据访问的方法和设备
JP6181214B2 (ja) モバイル機器
US8260354B2 (en) Op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universal IC card
US8645460B2 (en) Method for managing object-based storage system
US10003633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suming file download
US9736529B2 (en) USB sharing method for combo TV set, combo TV se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0738955B1 (ko) 다기능 usb 슬레이브 장치와 usb 호스트 장치 간의기능 변경 방법 및 이를 위한 다기능 usb 슬레이브 장치
CN103997521A (zh) 一种基于路由器的文件操作方法、装置及路由器
EP3780900A1 (en) Terminal application activ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N105306451A (zh) 一种控制dlna设备服务权限的方法及装置
US20170185546A1 (en) Remote Resource Access Method and Switching Device
WO2014146229A1 (zh) Nfc设备通信方法、装置和nfc设备
KR101078349B1 (ko)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칭 지원 단말기 및 방법
JP2015043231A (ja) データ保護方法、回路カード、及び移動無線通信装置
KR101899970B1 (ko) 모바일 클라우드 환경에 적용되는 모바일 단말과 클라우드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클라우드 컴퓨팅 방법
KR100740001B1 (ko) 다기능 usb 슬레이브 장치와 usb 호스트 장치 간의기능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다기능 usb 슬레이브 장치
US8532136B1 (en) Communication with a handset via a private network
EP3972263A1 (en) System and method to control a media client using a message service
CN112925766B (zh) 一种数据安全管控装置、系统、方法及其可读存储介质
CN114007202A (zh) 一种绑定关系的建立方法以及相关设备
KR101561524B1 (ko)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18717A (ko) 파일 전송 방법 및 이의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들
KR101532263B1 (ko) 프런트 엔드 어플리케이션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102322B1 (ko) 핑거 제스쳐를 이용한 콘텐츠 전송 시스템 및 방법
CN116916259A (zh) 一种信息转发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