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8312B1 - Voice processing device and a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it - Google Patents

Voice processing device and a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8312B1
KR100738312B1 KR1020050129808A KR20050129808A KR100738312B1 KR 100738312 B1 KR100738312 B1 KR 100738312B1 KR 1020050129808 A KR1020050129808 A KR 1020050129808A KR 20050129808 A KR20050129808 A KR 20050129808A KR 100738312 B1 KR100738312 B1 KR 100738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it
voice
coding
co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98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68077A (en
Inventor
정중완
Original Assignee
뮤텔테크놀러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뮤텔테크놀러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뮤텔테크놀러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9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8312B1/en
Publication of KR20070068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80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8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83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16Vocoder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공개한다. 그 장치는 음성 데이터를 코딩하여 코딩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코딩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코딩부와, 코딩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1 데이터 전송 모드에 따른 데이터 송신시에는 데이터 요청 발생시에만 코딩 데이터를 출력하고, 제2 데이터 전송 모드에 따른 데이터 송신시에는 코딩 데이터를 그대로 출력하고, 제1 및 제2 데이터 전송 모드에 따른 데이터 수신시에는 코딩 데이터를 데이터 코딩부로 그대로 출력하는 통합 메모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eSCO 데이터 전송 방식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시에 필요한 음성 데이터의 버퍼링 기능을 지원하면서도 음성 처리 장치내의 구비되는 메모리 용량을 획기적으로 감소시켜 준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voice processing device and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The apparatus encodes the voice data to generate coded data, or decodes the coded data to extract the voice data, and a coding unit for storing the coded data and transmitting the data according to the first data transmission mode. An integrated memory unit for outputting data, outputting coded data as is when data is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second data transmission mode, and outputting coded data as it is to the data coding unit when data is received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data transmission modes. Characterized in that. Therefore, while supporting the buffering function of the voice data required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ccording to the eSCO data transmission scheme, it significantly reduces the memory capacity provided in the voice processing device.

Description

음성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Voice processing device and a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it}Voice processing device and a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it}

도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1 is a block diagram of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2는 도1에 따른 음성 처리부의 상세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FIG. 2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voice processor of FIG. 1; FIG.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처리부의 상세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3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a voice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 처리부의 상세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4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a voice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음성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내에 구비되는 음성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ech process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eech processing device provided in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블루투스 통신 규격은 전세계적으로 이용가능한 전역주파수 대역인 2.4GHz의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을 이용하며, 721kbps 데이터 전송 속도와 3개의 음성 채널을 지원하고, 각 음성 채널은 64kbps의 동기화된 연결을 지원한다. The Bluetooth communication standard uses 2.4GHz 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ISM), a globally available global frequency band, and supports 721kbps data rate and three voice channels, each of which supports 64kbps synchronized connection. do.

초기의 블루투스 통신 규격은 음성을 송수신하기 위해 SCO(synchronized connection oriented) 데이터 전송 방식을 지원하였었다. SCO 데이터 전송 방식은 하나의 채널을 소정개의 타임 슬롯(1-슬롯,3-슬롯,5-슬롯)으로 정의하고, 음성 데이터를 약속된 패킷형태로 약속된 슬롯을 통해 전송하도록 하는 것으로, 데이터 손실에 따른 데이터 재전송 동작을 지원하지 않는다. Early Bluetooth communication standards supported SCO (synchronized connection oriented) data transmiss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The SCO data transmission method defines one channel as a predetermined time slot (1-slot, 3-slot, 5-slot), and transmits voice data through a promised slot in a promised packet form. Does not support data retransmission.

그러나 현재의 블루투스 통신 규격은 데이터 손실에 따른 데이터 재전송 동작을 지원하는 eSCO(enhance-synchronized connection oriented) 데이터 전송 방식을 추가로 도입하여, 데이터 통신의 품질 또한 향상시켰다. eSCO 데이터 전송 방식은 하나의 채널을 예약된 슬롯과 재전송 윈도우로 정의한 후, 음성 데이터를 약속된 패킷 형태로 예약된 슬롯을 통해 전송한 후, 데이터 손실이 발생하면 재전송 윈도우를 통해 재전송하는 것이다. However, the current Bluetooth communication standard introduces an enhancement-synchronized connection oriented (eSCO) data transmission method that supports data retransmission operation due to data loss,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data communication. In the eSCO data transmission method, one channel is defined as a reserved slot and a retransmission window, voice data is transmitted through a reserved slot in the form of a promised packet, and when data loss occurs, retransmission is performed through the retransmission window.

이에 SCO 데이터 전송 방식을 지원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별도의 데이터 재전송 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그 구성이 간단하였으나, SCO 데이터 전송 방식과 eSCO 데이터 전송 방식을 모두 지원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데이터 제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수단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그 구성이 복잡해진다.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pporting the SCO data transmission method does not need to provide a separate data retransmission means, but the configuration thereof is simple. However,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pporting both the SCO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the eSCO data transmission method is required for data transmission. The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because a separate means for transmitting should be provided.

도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으로, 음성 입출력부(1), 음성 처리부(2), 패킷 처리부(3), 및 동작 제어부(4)를 구비하고, 패킷 처리부(3)는 패킷 메모리(31)와 패킷 조립 및 분해부(32)로 구성된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includes a voice input / output unit 1, a voice processing unit 2, a packet processing unit 3, and an operation control unit 4. The packet processor 3 is composed of a packet memory 31 and a packet assembly and disassembly 32.

음성 입출력부(1)는 마이크 및 스피커와 같은 오디오 장치와 연결되어, 마이크를 통해 획득되는 음성 신호(v)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여 음성 데이터(svd)로 변환하고, 음성 처리부(2)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데이터(svd)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여 음성 신호(v)로 변환한다. The voice input / output unit 1 is connected to an audio device such as a microphone and a speaker, and converts the voice signal v obtained through the microphone into analog data, converts it into voice data (svd), and transmits the voice signal from the voice processing unit 2. The voice data svd is digital-analog converted into a voice signal v.

음성 처리부(2)는 음성 데이터(svd)를 코딩 또는 디코딩하며, 데이터 전송 모드 선택 신호(mode)에 따라 코딩 데이터(cvd)의 전송 경로를 선택한다. 즉, SCO 모드에 따른 데이터 송신시에 생성된 코딩 데이터(cvd)는 패킷 처리부(3)로 전송하고, 모드에 따른 데이터 수신시에 생성된 음성 데이터(svd)는 음성 입출력부(1)로 전송한다. 그리고 eSCO 모드에 따른 데이터 송신시에는 코딩 데이터(cvd)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이를 통보하는 인터럽트(in1)를 발생한 후,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req)에 응답하여 저장된 코딩 데이터(cvd)를 동작 제어부(4)로 전송하고, eSCO 모드에 따른 데이터 수신시에는 동작 제어부(4)로부터 전송되는 코딩 데이터(cvd)를 디코딩하여 음성 데이터(svd)를 추출한 후 음성 입출력부(1)로 전송한다. 이에 음성 처리부(2)는 SCO 모드시에는 동작 제어부(4)의 의해 제어되지 않지만, eSCO 모드시에는 동작 제어부(4)에 의해 데이터 입출력이 제어됨을 알 수 있다. The speech processing unit 2 codes or decodes the voice data svd and selects a transmission path of the coded data cvd according to the data transmission mode selection signal mode. That is, the coded data cvd generated at the time of data transmission in the SCO mode is transmitted to the packet processing unit 3, and the voice data svd at the time of data reception in the mode is transmitted to the voice input / output unit 1. do. In the data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eSCO mode, after generating an interrupt in1 for generating and storing coded data cvd and notifying it, the stored coded data cvd is stored in response to a request signal req requesting data transmission. When the data is received in the eSCO mode and the data is received in the eSCO mode, the control unit 4 decodes the coded data cvd and extracts the voice data svd, and then transmits the voice data svd to the voice input / output unit 1. . The voice processing unit 2 is not controlled by the operation control unit 4 in the SCO mode, but it can be seen that the data input / output is controlled by the operation control unit 4 in the eSCO mode.

패킷용 메모리(31)는 데이터 송신시에 메인 처리부(4)로부터 전송되는 코딩 데이터(cvd)와 데이터 수신시에 패킷 조립 및 분해부(32)로부터 전송되는 코딩 데이터(cvd)를 각각 저장한다. The packet memory 31 stores the coded data cvd transmitted from the main processing section 4 at the time of data transmission and the coded data cvd transmitted from the packet assembling and decomposition section 32 at the time of data reception, respectively.

패킷 조립 및 분해부(32)는 데이터 전송 모드 선택 신호(mode)에 따라 음성 패킷(vp)의 조립 및 분해 방식을 선택하고, 선택된 방식에 따라 코딩 데이터(cvd)를 음성 패킷(vp)으로 조립하거나 음성 패킷(vp)을 코딩 데이터(cvd)로 분해하며, 음성 패킷(vp)의 데이터 손실 발생 여부를 통보하는 인터럽트(in2)를 발생하여 동작 제어부(4)로 전송한다. 즉, SCO 모드에 따른 데이터 송신시에는 음성 처리부(2)의 코딩 데이터(cvd)를 수신하고 조립하여 HV1,HV2,HV3,DV 패킷등과 같은 음성 패킷(vp)을 생성한 후 외부로 전송하고, SCO 모드에 따른 데이터 수신시에는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패킷(vp)을 수신 및 분해하여 코딩 데이터(cvd)를 추출한 후 음성 처리부(2)로 전송한다. 그리고 eSCO 모드에 따른 데이터 송신시에는 패킷용 메모리(31)에 저장된 코딩 데이터(cvd)를 조립하여 EV3,EV4,EV5 패킷등과 같은 음성 패킷(vp)을 생성한 후 외부로 전송하고, eSCO 모드에 따른 데이터 수신시에는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패킷(vp)을 수신 및 분해하여 데이터 손실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데이터 손실 없으면 이를 통보하는 인터럽트(in2)를 발생하여 동작 제어부(4)로 전송함과 동시에 추출된 코딩 데이터(cvd)를 패킷용 메모리(31)로 전송하고, 데이터 손실이 있으면 이를 통보하는 인터럽트(in2)를 발생하여 동작 제어부(4)로 전송한다. The packet assembly and disassembly unit 32 selects an assembly and decomposition method of the voice packet vp according to the data transmission mode selection signal mode, and assembles the coded data cvd into the voice packet vp according to the selected method. Alternatively, the voice packet vp is decomposed into coding data cvd, and an interrupt in2 for notifying whether or not data loss occurs in the voice packet vp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controller 4. That is, when transmitting data according to the SCO mode, the coding data cvd of the voice processing unit 2 is received and assembled to generate voice packets vp such as HV1, HV2, HV3, DV packets, and the like, and then transmit them to the outside. When receiving data according to the SCO mode, the voice packet vp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is received and decomposed to extract the coded data cvd and then transmitted to the voice processor 2. In the data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eSCO mode, the coded data cvd stored in the packet memory 31 is assembled to generate voice packets vp such as EV3, EV4, EV5 packets, and the like, and then transmitted to the outside. In the case of data recep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oice packet vp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is received and resolved to check whether data loss occurs. As a result of the check, if there is no data loss, an interrupt (in2)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4, and the extracted coded data cvd is transmitted to the packet memory 31, and if there is data loss, it is notified. An interrupt in2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4.

동작 제어부(4)는 무선 통신 환경 또는 사용자에 선택에 따라 데이터 전송 모드를 설정하고, eSCO 모드시에는 데이터 손실 발생에 따른 음성 패킷 재전송 동작 또는 재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동작 제어부(4)는 eSCO 모드에 따른 데이터 송신시에는 음성 처리부(2)에 의해 발생되는 인터럽트(in1)를 수신하면 음성 처리부(2)내의 코딩 데이터(cvd)를 패킷용 메모리(31)로 이동시킨 후, 패킷 조립 및 분해부(32)를 통해 음성 패킷(vp)을 생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데이터 전송이 실패하면 패킷 조립 및 분해부(32)가 생성된 음성 패킷(vp)을 재전송하도록 한다. 반면에 eSCO 모드에 따른 데이터 수신시에 패킷 조립 및 분해부(32)로부터 데이터 손실 발생을 통보하는 인터럽트(in2)를 수신하면, 상대측 단말기에 음성 패킷(vp)의 재전송을 요청하고, 데이터 손실이 발생되지 않았음을 통보하는 인터럽트(in2)를 수신하면, 음성 처리부(2)가 디코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패킷용 메모리(31)내에 저장된 코딩 데이터(cvd)를 음성 처리부(2)로 이동시킨다. The operation control unit 4 sets the data transmission mode according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or the user's selection. In the eSCO mode, the operation control unit 4 performs the voice packet retransmission operation or the re-recept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data loss. To this end, the operation control unit 4 receives the interrupt in1 generated by the speech processing unit 2 during data transmission in the eSCO mode, and transmits the coded data cvd in the speech processing unit 2 to the packet memory 31. And then generate a voice packet vp through the packet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unit 32. If the data transmission fails, the packet assembly and disassembly unit 32 retransmits the generated voice packet vp. On the other hand, upon receiving the data according to the eSCO mode, upon receiving an interrupt in2 notifying the occurrence of data loss from the packet assembly and disassembly unit 32, it requests the counterpart terminal to retransmit the voice packet vp and Upon receipt of an interrupt in2 notifying that it has not occurred, the voice processing unit 2 moves the coded data cvd stored in the packet memory 31 to the voice processing unit 2 so that the decod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

이와 같이 도1의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eSCO 모드시에는 동작 제어부(4)가 SCO 모드시에는 수행하지 않는 음성 패킷(vp)의 재전송 및 재수신 동작을 더 수행하기 위해 음성 처리부(2)와 패킷용 메모리(31)간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함을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of FIG. 1 further performs the retransmission and re-receipt operation of the voice packet vp which the operation controller 4 does not perform in the SCO mode in the eSCO mode. Data input and output between the memory 31 can be controlled.

이에 음성 처리부(2)는 SCO 모드 동작시에는 코딩 데이터(cvd)를 실시간을 생성하고 출력하면 되었으나, eSCO 모드시에는 생성된 코딩 데이터(cvd)를 버퍼링하고, 동작 제어부(4)의 요청에 따라 버퍼링된 코딩 데이터(cvd)를 출력해야한다. In this case, the speech processing unit 2 may generate and output the coding data cvd in real time in the SCO mode operation, but buffer the generated coding data cvd in the eSCO mode, and at the request of the operation controller 4. You should output the buffered coded data (cvd).

결국, 음성 처리부(2)는 SCO 데이터 전송 방식과 eSCO 데이터 전송 방식을 모두 지원하기 위해 이하의 도2와 같이 생성된 코딩 데이터(cvd)를 별도로 버퍼링하는 메모리 수단을 더 구비하게 되었다. As a result, the voice processing unit 2 further includes a memory means for separately buffering the coded data cvd generated as shown in FIG. 2 to support both the SCO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the eSCO data transmission method.

도2는 도1에 따른 음성 처리부(2)의 상세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으로, 음성 직병렬 변환부(21), SCO 메모리부(22), 데이터 코딩부(23), 및 eSCO 메모리부(24)를 구비하고, SCO 메모리부(22)는 송신용 SCO 메모리(22a)와 수신용 SCO 메모리(22b)로 구성되고, eSCO 메모리부(24)는 송신용 eSCO 메모리부(24a)와 수신용 eSCO 메모리부(24b)로 구성된다. FIG. 2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speech processing unit 2 according to FIG. 1, wherein the speech serial-to-parallel conversion unit 21, the SCO memory unit 22, the data coding unit 23, and the eSCO memory unit 24 are shown. And the SCO memory section 22 is composed of a transmitting SCO memory 22a and a receiving SCO memory 22b, and the eSCO memory section 24 comprises a transmitting eSCO memory section 24a and a receiving eSCO. It is comprised of the memory part 24b.

이하, 각 구성요소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function of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음성 직병렬변환부(21)는 음성 입출력부(1)로부터 음성 데이터(svd)가 직렬 전송되면, 병렬 변환하여 송신용 SCO 메모리(22a)로 전송하고, 수신용 SCO 메모리(22b)로부터 음성 데이터(pvd)가 병렬 전송되면, 직렬변환하여 음성 입출력부(1)로 전송한다. When the voice data (svd) are serially transmitted from the voice input / output unit (1), the voice serial-to-parallel converter 21 converts them in parallel and transmits them in parallel to the transmitting SCO memory 22a, and receives the voice data from the receiving SCO memory 22b. When pvd is transmitted in parallel, serial conversion is performed to the audio input / output unit 1.

SCO 메모리부(22)는 송신용 SCO 메모리(22a)와 수신용 SCO 메모리(22b)로 구성되고, 송신용 SCO 메모리(22a)는 선입력선출력(FIFO; first-in, first-out) 방식으로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복수개의 레지스터들(미도시)을 구비하고, 음성 직병렬변환부(21)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데이터(pvd)를 데이터 코딩부(23)로 전송하고, 수신용 SCO 메모리(22b)는 FIFO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복수개의 레지스터들(미도시)을 구비하고, 데이터 코딩부(23)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데이터(pvd)를 음성 직병렬변환부(21)로 전송한다. The SCO memory section 22 is composed of a transmission SCO memory 22a and a reception SCO memory 22b, and the transmission SCO memory 22a is a first-in, first-out (FIFO) system. And a plurality of registers (not shown)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data, and transmitting the voice data pvd transmitted from the voice serial-to-parallel converter 21 to the data coding unit 23, and receiving SCO memory 22b. ) Includes a plurality of registers (not shown)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data according to the FIFO method, and transmits the voice data pvd transmitted from the data coding unit 23 to the voice serial-to-parallel converter 21.

데이터 코딩부(23)는 μ-law, a-law, 및 CVSD(Continuous Variable Slope Delta Modulation)와 같은 코딩 알고리즘에 따라 음성 데이터(pvd)를 코딩 또는 디코딩하고, 데이터 전송 모드 선택 신호(mode)에 따라 코딩 데이터(cvd)의 전송 경로를 선택한다. 즉, 송신용 SCO 메모리(22a)로부터 음성 데이터(pvd)를 수신하면, 코딩 동작을 통해 코딩 데이터(cvd)를 생성한 후 데이터 전송 모드를 확인하고, SCO 모드이면 코딩 데이터(cvd)를 패킷 조립 및 분해부(32)로 직접 전송하고, eSCO 모드이면 코딩 데이터(cvd)를 송신용 eSCO 메모리부(24a)로 전송한다. 그리고 수신용 eSCO 메모리부(24b) 또는 패킷 조립 및 분해부(32)로부터 코딩 데이터(cvd)를 수신하면, 디코딩 동작을 통해 음성 데이터(pvd)를 추출한 후 수신용 SCO 메모리(22b)로 전송하여 준다. The data coding unit 23 codes or decodes the speech data pvd according to a coding algorithm such as μ-law, a-law, and continuous variable slope delta modulation (CVSD), and applies the data to a data transmission mode selection signal mode. Accordingly,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coding data cvd is selected. That is, when the voice data pvd is received from the transmitting SCO memory 22a, the coding data cvd is generated through a coding operation, and then the data transmission mode is checked. In the SCO mode, the coded data cvd is assembled into packets. And directly to the decomposing unit 32, and transmits the coded data cvd to the transmitting eSCO memory unit 24a in the eSCO mode. When the coded data cvd is received from the receiving eSCO memory 24b or the packet assembling and resolving unit 32, the voice data pvd is extracted through a decoding operation and then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SCO memory 22b. give.

eSCO 메모리부(24)는 송신용 eSCO 메모리부(24a)와 수신용 eSCO 메모리부(24b)로 구성된다. 송신용 eSCO 메모리(22a)는 FIFO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복수개의 레지스터들(미도시)을 구비하고, 데이터 코딩부(23)로부터 전송되는 코딩 데이터(cvd)를 소정량 저장한 후, 인터럽트(in1)를 통해 이를 동작 제어부(4)에 통보하고, 요청 신호(req)에 응답하여 저장된 코딩 데이터(cvd)를 동작 제어부(4)로 전송한다. 수신용 eSCO 메모리부(24b)는 FIFO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복수개의 레지스터들(미도시)을 구비하고, 동작 제어부(4)로부터 전송되는 코딩 데이터(cvd)를 데이터 코딩부(23)로 전송한다. The eSCO memory section 24 is composed of a sending eSCO memory section 24a and a receiving eSCO memory section 24b. The transmission eSCO memory 22a includes a plurality of registers (not shown)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data according to the FIFO method, and stores a predetermined amount of coding data cvd transmitted from the data coding unit 23, and then interrupts the data. This is notified to the operation controller 4 through in1, and the stored coded data cvd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controller 4 in response to the request signal req. The receiving eSCO memory unit 24b includes a plurality of registers (not shown)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data according to the FIFO method, and transmits the coded data cvd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control unit 4 to the data coding unit 23. send.

여기서, 송신용 eSCO 메모리(22a)내에 저장되는 데이터 크기는 동작 제어부(4)에 제어되면, 이는 음성 패킷의 사용자 페이로드(user play) 길이에 따른 데이터 크기와 동일하다. Here, if the data size stored in the transmission eSCO memory 22a is controlled by the operation control section 4, this is equal to the data size according to the user payload length of the voice packet.

이에 음성 처리부(2)는 SCO 모드에 따른 데이터 송신시에는 음성 입출력부(1)의 음성 데이터(svd)를 입력받아 송신용 SCO 메모리(22a) 및 데이터 코딩부(23)를 통해 코딩 데이터(cvd)를 생성한 후 패킷 조립 및 분해부(32)로 전송하고, SCO 모드에 따른 데이터 수신시에는 패킷 조립 및 분해부(32)의 코딩 데이터(cvd)를 입력받아 데이터 코딩부(23) 및 수신용 SCO 메모리(22b)를 통해 음성 데이터(svd)를 추출한 후, 음성 입출력부(1)로 전송한다. 즉, SCO 모드시에는 동작 제어부(4)의 제어를 전혀 필요로 하지 않는다. When the data is transmitted in the SCO mode, the voice processing unit 2 receives the voice data svd of the voice input / output unit 1 and transmits the coded data cvd through the transmission SCO memory 22a and the data coding unit 23. )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packet assembly and decomposition unit 32, and when receiving data according to the SCO mode, receives the coding data (cvd) of the packet assembly and decomposition unit 32, the data coding unit 23 and the number After extracting the voice data (svd) through the credit SCO memory 22b, it transmits to the voice input / output unit 1. That is, in the SCO mode, no control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4 is required.

반면에 eSCO 모드에 따른 데이터 송신시에는 음성 입출력부(1)의 음성 데이터(svd)를 입력받아, 송신용 SCO 메모리(22a), 데이터 코딩부(23), 송신용 eSCO 메모리부(24a)를 통해 코딩 데이터(cvd)를 생성 및 저장한 후 이를 동작 제어부(4)에 통보하고, 이에 응답하여 동작 제어부(4)가 저장된 코딩 데이터(cvd)의 전송을 요청하면, 저장된 코딩 데이터(cvd)를 동작 제어부(4)로 출력한다. 그리고 eSCO 모드에 따른 데이터 수신시에는 동작 제어부(4)가 수신용 eSCO 메모리부(24b)에 소정량의 코딩 데이터(cvd)를 저장하면, 데이터 코딩부(23) 및 수신용 SCO 메모리(22b)를 통해 음성 데이터(svd)를 추출한 후, 음성 입출력부(1)로 전송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data is transmitted in the eSCO mode, the voice data (svd) of the voice input / output unit 1 is input, and the transmission SCO memory 22a, the data coding unit 23, and the transmission eSCO memory unit 24a are received. After generating and storing the coded data cvd through the control unit 4, the control unit 4 requests the transmission of the stored coded data cvd in response thereto, and stores the stored coded data cvd. Output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4. When the data is received in the eSCO mode, when the operation controller 4 stores a predetermined amount of coded data cvd in the receiving eSCO memory 24b, the data coding unit 23 and the receiving SCO memory 22b. After extracting the voice data (svd) through the audio input and output unit (1).

이와 같이 도2의 음성 처리부(2)는 SCO 메모리부(22)와 eSCO 메모리부(24)를 구비하고, 데이터 전송 모드에 따라 메모리의 이용 여부를 선택하여 주었다. 특히, eSCO 메모리부(24)는 동작 제어부(4)의 제어하에 데이터의 출력 여부를 제어함으로써, 동작 제어부(4)가 보다 안정적으로 데이터 재전송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준다. As such, the voice processing unit 2 of FIG. 2 includes the SCO memory unit 22 and the eSCO memory unit 24, and selects whether or not to use the memory according to the data transfer mode. In particular, the eSCO memory unit 24 controls whether the data is output under the control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4, thereby supporting the operation control unit 4 to perform a more stable data retransmission operation.

그러나 도2와 같이 SCO 메모리부(22)와 eSCO 메모리부(24)를 구비하는 경우, 음성 처리부(2)의 동작 신뢰성은 증대되었으나, 음성 처리부(2)내의 구비되어야 하는 메모리 용량이 상대적으로 증가되는 단점이 있었다. However, when the SCO memory unit 22 and the eSCO memory unit 24 are provided as shown in FIG. 2, the operation reliability of the voice processing unit 2 is increased, but the memory capacity to be provided in the voice processing unit 2 is relatively increased. There was a disadvantage.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2의 음성 처리부와 동일한 수준의 동작 신뢰성을 보장하되, 음성 처리부(2)내의 구비되는 메모리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device that ensures the same operation reliability as the voice processing unit of Figure 2, but can reduce the memory capacity provided in the voice processing unit (2).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메모리부를 통해 SCO 모드에 따른 데이터와 eSCO 모드에 따른 데이터를 모두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필요한 메모리의 용량을 감소시키는 음성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oice processing device capable of storing both data according to an SCO mode and data according to an eSCO mode through a single memory unit, thereby reducing the capacity of a required memory, and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the sam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성 처리 장치는 음성 데이터를 코딩하여 코딩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코딩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코딩부와, 코딩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1 데이터 전송 모드에 따른 데이터 송신시에는 데이터 요청 발생시에만 코딩 데이터를 출력하고, 제2 데이터 전송 모드에 따른 데이터 송신시에는 코딩 데이터를 그대로 출력하고, 제1 및 제2 데이터 전송 모드에 따른 데이터 수신시에는 코딩 데이터를 데이터 코딩부로 그대로 출력하는 통합 메모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peech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data cod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coded data by coding voice data, or extract coded data by decoding coded data, and store the coded data in a first data transmission mode. Coded data is output only when a data request occurs, data is output as it is when data is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second data transmission mode, and coded data is received when data is received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data transmission mode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tegrated memory unit for outputting to the data coding unit as it i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오디오 장치로부터/로 입/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성 입출력부와, 음성 데이터를 코딩하여 코딩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코딩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코딩부와, 코딩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1 데이터 전송 모드에 따른 데이터 송신시에는 데이터 요청 발생시에만 코딩 데이터를 출력하고, 제2 데이터 전송 모드에 따른 데이터 송신시에는 코딩 데이터를 그대로 출력하고, 제1 및 제2 데이터 전송 모드에 따른 데이터 수신시에는 코딩 데이터를 데이터 코딩부로 그대로 출력하는 통합 메모리부를 구비하는 음성 처리부와, 코딩 데이터를 수신하고 조립하여 음성 패킷을 생성하거나, 음성 패킷을 수신하고 분해하여 코딩 데이터를 추출하는 패킷 처리부와, 데이터 전송 모드를 설정하고, 제1 데이터 전송 모드에 따른 데이터 송신시에는 데이터 요청을 발생하여 통합 메모리부의 코딩 데이터를 패킷 처리부로 전송하고, 제1 데이터 전송 모드에 따른 데이터 송신시에는 패킷 처리부의 코딩 데이터를 통합 메모리부로 전송하는 동작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voice input and output unit for generating voice data input and output from / to the audio device, and to generate coded data by coding the voice data, or to decode the coded data A data coding unit for extracting voice data, storing the coded data, and outputs coded data only when a data request is generated when transmitting data according to the first data transmission mode, and encoding data when transmitting data according to the second data transmission mode. A voice processor including an integrated memory unit for outputting the data as it is and receiving the data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data transmission modes as it is, and outputting the coded data to the data coding unit as it is, and receiving and assembling the coded data to generate a voice packet or Packet processing unit for receiving and decomposing packets to extract coded data Set the data transmission mode, generate a data request when transmitting data according to the first data transmission mode, and transmit the coded data of the integrated memory unit to the packet processing unit, and transmit the data according to the first data transmission mode. And an operation controller for transmitting the coded data to the integrated memory uni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음성 처리부 및 이를 이용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voice processor and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처리부(5)의 상세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speech processing unit 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을 참조하면, 음성 처리부(5)는 음성 직병렬 변환부(51), 코딩용 레지스터(52), 데이터 코딩부(53), 및 통합 메모리부(54)를 구비하고, 코딩용 레지스터(52)는 송신용 레지스터(52a)와 수신용 레지스터(52b)로 구성되고, 통합 메모리부(54)는 송신용 메모리(54a)와 수신용 메모리(54b)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3, the speech processing unit 5 includes a speech serial-to-parallel conversion unit 51, a coding register 52, a data coding unit 53, and an integrated memory unit 54. 52 is composed of a transmission register 52a and a reception register 52b, and the integrated memory unit 54 is composed of a transmission memory 54a and a reception memory 54b.

이하, 각 구성요소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function of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음성 직병렬변환부(51)는 음성 입출력부(1)로부터 음성 데이터(svd)가 직렬 전송되면, 병렬 변환한 후 송신용 레지스터(52a)에 저장하고, 수신용 레지스터(52b)로부터 음성 데이터(svd)가 병렬 전송되면, 직렬변환 한 후, 음성 입출력부(1)로 전송한다. When the voice data (svd) are serially transmitted from the voice input / output unit (1), the voice serial-to-parallel conversion unit (51) performs parallel conversion and stores the voice data (svd) in the transmission register (52a). If svd) is transmitted in parallel, it is serialized and then transmitted to the voice input / output unit 1.

코딩용 레지스터(52)는 데이터 코딩부(53)의 코딩 또는 디코딩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음성 데이터(pvd)를 일시저장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며, 송신용 레지스 터(52a)는 데이터 코딩부(53)의 코딩 동작시에 직병렬 변환부(51a)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데이터(pvd)를 일시 저장한 후 다시 데이터 코딩부(53)로 출력하고, 수신용 레지스터(52b)는 데이터 코딩부(53)의 디코딩 동작시에 데이터 코딩부(53)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데이터(pvd)를 일시 저장한 후 다시 음성 직병렬변환부(51)로 전송한다. The coding register 52 serves to temporarily store voice data pvd for performing a coding or decoding operation of the data coding unit 53, and the transmitting register 52a is a data coding unit 53. In this coding operation, the voice data pvd transmitted from the serial-to-parallel conversion unit 51a is temporarily stored and then output to the data coding unit 53 again, and the receiving register 52b is the data coding unit 53. During the decoding operation, the voice data pvd transmitted from the data coding unit 53 is temporarily stored and then transmitted to the voice serial-to-parallel conversion unit 51 again.

데이터 코딩부(53)는 μ-law, a-law, 및 CVSD(Continuous Variable Slope Delta Modulation)와 같은 코딩 알고리즘에 따라 음성 데이터를 코딩 또는 디코딩한다. 이에 송신용 레지스터(52a)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pvd)를 획득하고 코딩하여 코딩 데이터(cvd)를 생성한 후 송신용 메모리(54a)로 전송하고, 수신용 메모리(54b)로부터 전송되는 코딩 데이터(cvd)를 수신 및 디코딩하여 음성 데이터(pvd)를 추출한 후 수신용 레지스터(52b)로 전송한다. The data coding unit 53 codes or decodes the speech data according to a coding algorithm such as μ-law, a-law, and continuous variable slope delta modulation (CVSD). Therefore, the voice data pvd stored in the transmission register 52a is obtained and coded to generate coded data cvd, and then transferred to the transmission memory 54a, and the coded data transmitted from the reception memory 54b ( cvd) is received and decoded to extract the voice data pvd and then transferred to the receiving register 52b.

통합 메모리부(54)는 데이터 전송 모드 선택 신호(mode)에 따라 코딩 데이터(cvd)의 전송 경로를 선택한다. 이에 송신용 메모리(54a)는 FIFO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복수개의 레지스터들(미도시)을 구비하고, SCO 모드이면 코딩 동작부(522)으로부터 전송되는 코딩 데이터(cvd)를 입출력하여 패킷 조립 및 분해부(32)로 전송하되, eSCO 모드이면 코딩 데이터(cvd)를 저장하고, 인터럽트(in1)를 통해 이를 동작 제어부(4)에 통보한 후, 요청 신호(req)에 응답하여 저장된 코딩 데이터(cvd)를 동작 제어부(4)로 전송한다. 수신용 메모리(54b)는 FIFO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복수개의 레지스터들(미도시)을 구비하고, 패킷 조립 및 분해부(32) 또는 동작 제어부(4)로부터 전송되는 코딩 데이터(cvd)를 데이터 코딩 부(53)로 전송한다. The integrated memory unit 54 selects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coded data cvd in accordance with the data transmission mode selection signal mode. Accordingly, the transmission memory 54a includes a plurality of registers (not shown)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data according to the FIFO method. In the SCO mode, the transmitting memory 54a inputs and outputs the packetized data cvd transmitted from the coding operation unit 522 to assemble the packet. And transmitting to the decomposing unit 32, storing the coded data cvd in the eSCO mode, notifying the operation control unit 4 through the interrupt in1, and storing the coded data in response to the request signal req. (cvd)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4. The receiving memory 54b includes a plurality of registers (not shown)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data according to the FIFO method, and receives the coded data cvd transmitted from the packet assembly and disassembly unit 32 or the operation control unit 4.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coding unit 53.

이하, 도3의 음성 처리부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voice processor of FIG. 3 will be described.

먼저, SCO패킷 송수신시에 음성 처리부는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First, when the SCO packet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he voice processing unit operates as follows.

SCO 모드에 따른 데이터 송신시에 음성 입출력부(1)로부터 음성 데이터(pvd)가 병렬 전송되면, 송신용 레지스터(52a)는 음성 데이터(pvd)를 일시 저장한 후 데이터 코딩부(53)로 출력하고, 데이터 코딩부(53)는 음성 데이터(pvd)를 코딩하여 코딩 데이터(cvd)를 생성한 후 송신용 메모리(54a)로 전송한다. 그러면 송신용 메모리(54a)는 코딩 데이터(cvd)를 패킷 조립 및 분해부(32)로 출력한다. When the voice data pvd is transmitted in parallel from the voice input / output unit 1 at the time of data transmission in the SCO mode, the transmission register 52a temporarily stores the voice data pvd and then outputs it to the data coding unit 53. The data coding unit 53 codes the voice data pvd to generate the coded data cvd, and then transmits the coded data cvd to the transmission memory 54a. The transmission memory 54a then outputs the coded data cvd to the packet assembling and decomposing unit 32.

SCO 모드에 따른 데이터 수신시에 패킷 조립 및 분해부(32)의 코딩 데이터(cvd)가 수신용 메모리(54b)에 저장되면, 데이터 코딩부(53)는 코딩 데이터(cvd)를 디코딩하여 음성 데이터(pvd)를 추출한 후, 수신용 레지스터(52b)로 전송하고, 수신용 레지스터(52b)는 전송된 음성 데이터(pvd)를 일시 저장한 후 다시 음성 입출력부(1)로 출력한다. When the coded data cvd of the packet assembly and decomposition unit 32 is stored in the receiving memory 54b at the time of data reception according to the SCO mode, the data coding unit 53 decodes the coded data cvd to generate voice data. After extracting (pvd), it transfers to the receiving register 52b, and the receiving register 52b temporarily stores the transmitted voice data pvd and outputs it to the voice input / output unit 1 again.

반면에 eSCO패킷 송수신시에 음성 처리부는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eSCO packet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he voice processing unit operates as follows.

eSCO 모드에 따른 데이터 송신시에 음성 입출력부(1)로부터 음성 데이터(pvd)가 병렬 전송되면, 송신용 레지스터(52a) 및 데이터 코딩부(53)는 SCO 모드에서와 같이 동작하여 코딩 데이터(cvd)를 생성한 후 송신용 메모리(54a)로 전송한다. 그러면 송신용 메모리(54a)는 코딩 데이터(cvd)를 저장한 후, 이를 동작 제어부(4)에 통보하고, 이에 응답하여 동작 제어부(4)가 데이터 제공을 요청하면 저장된 코딩 데이터(cvd)를 동작 제어부(4)로 전송한다. When the voice data pvd is transmitted in parallel from the voice input / output unit 1 at the time of data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eSCO mode, the transmitting register 52a and the data coding unit 53 operate as in the SCO mode so that the coded data cvd )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memory 54a. Then, the transmission memory 54a stores the coded data cvd, and then notifies the operation controller 4 of the coded data cvd. In response, the transmission memory 54a operates the stored coded data cvd when the operation controller 4 requests the data. Transfer to control unit 4.

그리고 SCO 모드에 따른 데이터 수신시에 동작 제어부(4)의 제어하에 코딩 데이터(cvd)가 수신용 메모리(54b)에 저장되면, 데이터 코딩부(53)는 SCO 모드에서와 같이 코딩 데이터(cvd)를 디코딩하여 음성 데이터(pvd)를 추출한 후, 수신용 레지스터(52b)로 전송하고, 수신용 레지스터(52b)는 전송된 음성 데이터(pvd)를 일시 저장한 후 다시 음성 입출력부(1)로 출력한다. When the coded data cvd is stored in the receiving memory 54b under the control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4 at the time of receiving the data according to the SCO mode, the data coding unit 53 performs the coded data cvd as in the SCO mode. Decodes the voice data pvd, extracts the voice data pvd, and transmits the received voice data pvd to the receiving register 52b. The receiving register 52b temporarily stores the transmitted voice data pvd and outputs the voice data pvd to the voice input / output unit 1 again. do.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음성 처리부는 종래의 음성 처리부와 같이 eSCO패킷 송수신시에 필요한 음성 데이터의 버퍼링 기능을 지원하여, 동작 제어부(4)가 안정적으로 데이터 재전송 및 데이터 재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voice process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buffering function of the voice data necessary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eSCO packet like the conventional voice processing unit, so that the operation control unit 4 can stably perform data retransmission and data re-receive operations. .

그러나 이때의 음성 처리부는 종래에서는 도2에서와 같이 분리되어 구비되던 SCO 송수신용 메모리부(22)와 eSCO 송수신용 메모리부(24)를 하나의 통합 메모리부(54)로 통합하고, 데이터 코딩부(53)의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메모리 수단을 매우 작은 메모리 용량을 가지는 코딩용 레지스터(52)로 구현함으로 음성 처리부(5)가 필요로 하는 메모리 용량을 획기적으로 감소시켜준다. However, the voice processing unit at this time integrates the SCO transmission / reception memory unit 22 and the eSCO transmission / reception memory unit 24, which are conventionally provided as shown in FIG. 2, into one integrated memory unit 54, and the data coding unit. By implementing the memory means for supporting the operation of 53 by the coding register 52 having a very small memory capacity, the memory capacity required by the speech processing unit 5 is drastically reduced.

상기의 도3의 음성 처리부(5)는 하나의 슬롯을 통해 송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나, 필요에 따라서는 음성 처리부는 복수개의 슬롯을 통해 송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도 처리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3 illustrates a configuration for processing voice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one slot. However, the voice processor 5 also needs to process voice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 plurality of slots. It also happens.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 처리부의 상세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4의 음성 처리부(6)는 도3의 음성 처리부(5)에서와 같이 음성 직병렬 변환부(51), 데이터 코딩부(53), 및 통합 메모리부(54)를 구비하되, 복수개의 슬롯을 통해 송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음성 직병렬 변환부(51)와 통합 메모리부(54)를 복수개 구비하고, 복수개의 음성 직병렬 변환부들(51)과 통합 메모리부(54)들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제1,제2, 및 제3 스위치(61,72,73)를 더 구비한다.4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a voice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voice processing unit 6 of FIG. 4 is the same as the voice processing unit 5 of FIG. 3. , A data coding unit 53, and an integrated memory unit 54, and a plurality of voice serial-to-parallel converting unit 51 and integrated memory unit 54 to process voice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 plurality of slots.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first, second, and third switches 61, 72, and 73 for controlling a data transmission path between the plurality of voice serial-to-parallel converters 51 and the integrated memory units 54.

제1 스위치(61)는 동작 제어부(4)의 슬롯 선택 신호(slot)에 응답하여 슬롯을 선택하고, 선택된 슬롯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하나의 음성 직병렬 변환부(51)를 데이터 코딩부(53)에 연결하고, 제2 스위치(62)는 동작 제어부(4)의 슬롯 선택 신호(slot)에 응답하여 슬롯을 선택하고, 선택된 슬롯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코딩부(53)를 하나의 통합 메모리부(54)에 연결한다. The first switch 61 selects a slot in response to a slot selection signal slot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4, and includes a voice coding unit 51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f the selected slot. 53, the second switch 62 selects a slot in response to the slot selection signal slot of the operation controller 4, and provides a data coding unit 53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f the selected slot. The integrated memory unit 54 is connected.

이때, 슬롯 선택 신호(slot)는 동작 제어부(4)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로, 현재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슬롯을 통보하는 정보를 가진다. At this time, the slot selection signal slot is a signal generated by the operation control unit 4 and has information for notifying a slot current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그리고 제3 스위치(63)는 동작 제어부(4)의 슬롯 선택 신호(slot)에 응답하여 슬롯을 선택하고, 데이터 전송 모드 선택 신호(mode)에 응답하여 데이터의 전송 경로를 선택한다. 이에 SCO 모드시에는 하나의 통합 메모리부(54)를 선택하여 패킷 조립 및 분해부(32)와 연결하고, eSCO 모드시에는 하나의 통합 메모리부(54)를 선택하여 동작 제어부(4)와 연결하여 준다. The third switch 63 selects a slot in response to the slot selection signal slot of the operation controller 4 and selects a transmission path of data in response to the data transmission mode selection signal mode. In the SCO mode, one integrated memory unit 54 is selected and connected to the packet assembly and disassembly unit 32, and in the eSCO mode, one integrated memory unit 54 is selected and connected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4. Give it.

이와 같이, 도4의 음성 처리부(6)는 제1,제2및 제3 스위치들(61,72,73)을 통해 복수개의 슬롯들 각각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경로를 구분하여, 상이한 슬롯에 대응되는 데이터간의 데이터 충돌 가능성은 사전에 없애준다. As such, the voice processor 6 of FIG. 4 distinguishes a data transmission path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lots through the first, second, and third switches 61, 72, and 73. The possibility of data collision between data corresponding to slots is eliminated beforehand.

종래의 기술에 따라 복수개의 슬롯들 각각의 데이터들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SCO 메모리부(24)와 eSCO 메모리부(24)를 복수개 구비하여야 했으나, 본 발명은 하 나의 코딩용 레지스터(52)와 복수개의 통합 메모리부(54)만을 구비하면 된다. 즉, 본 발명은 복수개의 SCO 메모리부(24)들을 하나의 코딩용 레지스터(52)로 대체하는 효과를 제공하여, 메모리 용량 감소 효과를 더욱 증대시킴을 알 수 있다.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 order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lots, a plurality of SCO memory units 24 and eSCO memory units 24 should be provid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ntegrates a plurality of coding registers 52 and a plurality of units. Only the memory unit 54 needs to be provided.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of replacing the plurality of SCO memory units 24 with one coding register 52,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memory capacity reduction effect.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따라서 본 발명의 음성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eSCO 데이터 전송 방식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시에 필요한 음성 데이터의 버퍼링 기능을 지원하면서도 음성 처리 장치내의 구비되는 메모리 용량을 획기적으로 감소시켜 준다. Accordingly, the voice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support a buffering function of voice data required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ccording to the eSCO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significantly reduce the memory capacity included in the voice processing apparatus.

Claims (23)

음성 데이터를 코딩하여 코딩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상기 코딩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코딩부; 및 A data coding unit which generates coded data by coding voice data or extracts the voice data by decoding the coded data; And 상기 코딩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1 데이터 전송 모드에 따른 데이터 송신시에는 데이터 요청 발생시에만 상기 코딩 데이터를 출력하고, 제2 데이터 전송 모드에 따른 데이터 송신시에는 상기 코딩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요청 발생과 무관하게 출력하고, 제1 및 제2 데이터 전송 모드에 따른 데이터 수신시에는 상기 코딩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코딩부로 상기 데이터 요청 발생과 무관하게 출력하는 통합 메모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처리 장치. When storing the coded data and transmitting data according to a first data transmission mode, the coded data is output only when a data request is generated, and when transmitting data according to a second data transmission mode, the coded data is irrelevant to the occurrence of the data request. And an integrated memory unit configured to output the coded data to the data coding unit irrespective of occurrence of the data request when receiving data in the first and second data transfer mo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코딩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ata coding unit 상기 음성 데이터의 코딩 또는 디코딩 동작을 수행하는 데이터 코딩 동작부; 및 A data coding operation unit which performs a coding or decoding operation of the speech data; And 코딩 또는 디코딩 동작에 필요한 상기 음성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레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처리 장치. And a register for temporarily storing the speech data necessary for a coding or decoding oper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메모리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tegrated memory unit 상기 데이터 코딩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코딩 데이터를 저장한 후 출력할 때 데이터 전송 모드를 확인하고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모드이면, 데이터 요청 발생시에만 상기 코딩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제2 데이터 전송 모드이면 상기 코딩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요청 발생과 무관하게 출력하는 송신용 통합 메모리부; 및 Confirm the data transmission mode when storing and outputting the coded data transmitted from the data coding unit, and output the coded data only when a data request occurs in the first data transmission mode; A transmission integrated memory unit for outputting coded data irrespective of occurrence of the data request; And 상기 코딩 데이터가 저장되면, 상기 데이터 코딩부로 상기 코딩 데이터를 출력하는 수신용 통합 메모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처리 장치. And a receiving integrated memory unit for outputting the coded data to the data coding unit when the coded data is stor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용 통합 메모리부와 상기 수신용 통합 메모리부는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transmitting integrated memory unit and the receiving integrated memory unit 선입력선출력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복수개의 레지스터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처리 장치. And a plurality of registers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data in accordance with a pre-input line output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메모리부는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ntegrated memory unit 상기 송신용 통합 메모리부와 상기 수신용 통합 메모리부를 복수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처리 장치. And a plurality of the unified memory unit for transmitting and the unified memory unit for receiv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는 The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the voice data processing apparatus 상기 복수개의 송신용 통합 메모리부들 및 상기 수신용 통합 메모리부들과 상기 데이터 코딩부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제어하는 제1 스위칭부; 및 A first switching unit controlling a plurality of transmission integrated memory units and a data transfer path between the reception integrated memory units and the data coding unit; And 상기 복수개의 송신용 통합 메모리부들 및 상기 수신용 통합 메모리부들과 상기 제1 외부 장치 및 상기 제2 외부 장치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제어하는 제2 스위칭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처리 장치. And a second switching unit for controlling a data transmission path between the plurality of transmitting integrated memory units and the receiving integrated memory units and the first external device and the second extern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는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voice data processing apparatus 상기 음성 데이터가 직렬 음성 데이터이면 병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 후, 상기 데이터 코딩부로 전송하는 음성 직병렬 변환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처리 장치. And a speech serial-to-parallel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speech data into parallel speech data and then transmitting the parallel speech data to the data coding uni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는 The apparatus of claim 7, wherein the voice data processing apparatus 상기 음성 직병렬 변환부를 복수개 구비하면, 상기 음성 직병렬 변환부들과 상기 데이터 코딩부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제어하는 제3 스위칭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처리 장치. And a third switching unit configured to control a data transmission path between the speech serial-to-parallel conversion unit and the data coding unit when a plurality of the speech serial-to-parallel conversion unit is provided. 제1 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모드는 eSCO 데이터 전송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드이고, The first data transmission mode is a mod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ccording to the eSCO data transmission method, 상기 제2 데이터 전송 모드는 SCO 데이터 전송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처리 장치. The second data transmission mode is a mod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ccording to the SCO data transmission metho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코딩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ata coding unit μ-law, a-law, 및 CVSD 중 하나의 코딩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음성 데이터의 코딩 또는 디코딩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처리 장치. and a coding or decoding operation of the speech data according to a coding algorithm of one of μ-law, a-law, and CVSD. 오디오 장치로부터/로 입/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성 입출력부;A voice input / output unit configured to generate voice data input / output from / to an audio device; 음성 데이터를 코딩하여 코딩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상기 코딩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코딩부와, 상기 코딩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1 데이터 전송 모드에 따른 데이터 송신시에는 데이터 요청 발생시에만 상기 코딩 데이터를 출력하고, 제2 데이터 전송 모드에 따른 데이터 송신시에는 상기 코딩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요청 발생과 무관하게 출력하고, 제1 및 제2 데이터 전송 모드에 따른 데이터 수신시에는 상기 코딩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코딩부로 상기 데이터 요청 발생과 무관하게 출력하는 통합 메모리부를 구비하는 음성 처리부; A data cod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coded data by coding voice data or to extract the coded data by decoding the coded data, and to store the coded data and to transmit data according to a first data transmission mode only when a data request is generated. Outputs the coded data, outputs the coded data irrespective of occurrence of the data request when transmitting data according to the second data transmission mode, and outputs the coded data when receiving data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data transmission modes. A voice processing unit having an integrated memory unit for outputting the data coding unit irrespective of occurrence of the data request; 상기 코딩 데이터를 수신하고 조립하여 음성 패킷을 생성하거나, 상기 음성 패킷을 수신하고 분해하여 상기 코딩 데이터를 추출하는 패킷 처리부; 및 A packet processor configured to receive and assemble the coded data to generate a voice packet, or to receive and decompose the voice packet to extract the coded data; And 데이터 전송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모드에 따른 데이터 송신시에는 데이터 요청을 발생하여 상기 통합 메모리부의 상기 코딩 데이터를 상기 패킷 처리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데이터 전송 모드에 따른 데이터 송신시에는 상기 패킷 처리부의 상기 코딩 데이터를 상기 통합 메모리부로 전송하는 동작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Setting a data transmission mode, generating a data request when transmitting data according to the first data transmission mode, and transmitting the coded data of the integrated memory unit to the packet processing unit, and transmitting data according to the second data transmission mode. 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coded data of the packet processor to the integrated memory uni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코딩부는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data coding unit 상기 음성 데이터의 코딩 또는 디코딩 동작을 수행하는 데이터 코딩 동작부; 및 A data coding operation unit which performs a coding or decoding operation of the speech data; And 코딩 또는 디코딩 동작에 필요한 상기 음성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레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And a register for temporarily storing the voice data necessary for a coding or decoding opera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메모리부는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integrated memory unit 상기 데이터 코딩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코딩 데이터를 저장한 후 출력할 때 데이터 전송 모드를 확인하고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모드이면, 데이터 요청 발생시에만 상기 코딩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2 데이터 전송 모드이면 상기 코딩 데이터를 상기 패킷 처리부로 출력하는 송신용 통합 메모리부; 및 Check the data transmission mode when storing and outputting the coded data transmitted from the data coding unit, and if the first data transmission mode is selected, output the coded data to the controller only when a data request occurs, and transmit the second data. A transmission integrated memory unit for outputting the coded data to the packet processing unit in mode; And 상기 제어부 또는 상기 패킷 처리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코딩 데이터를 저장한 후, 상기 데이터 코딩부로 출력하는 수신용 통합 메모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And a receiving integrated memory unit for storing the coded data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or the packet processing unit and outputting the coded data to the data coding uni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용 통합 메모리부와 상기 수신용 통합 메모리부는 The integrated integrated memory of claim 13 and the integrated integrated memory for receiving 복수개의 레지스터들을 구비하고, 선입력선출력방식에 따라 상기 코딩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And a plurality of registers, and input and output said coded data according to a pre-input line output method.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메모리부는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integrated memory unit 상기 송신용 통합 메모리부와 상기 수신용 통합 메모리부를 복수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And a plurality of the unified memory unit for transmission and the plurality of unified memory unit for receiving.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는 16. The apparatus of claim 15, wherein the voice data processing apparatus 상기 복수개의 송신용 통합 메모리부들 및 상기 수신용 통합 메모리부들과 상기 데이터 코딩부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제어하는 제1 스위칭부; 및 A first switching unit controlling a plurality of transmission integrated memory units and a data transfer path between the reception integrated memory units and the data coding unit; And 상기 복수개의 송신용 통합 메모리부들 및 상기 수신용 통합 메모리부들과 상기 제1 외부 장치 및 상기 제2 외부 장치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제어하는 제2 스위칭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And a second switching unit configured to control a data transmission path between the plurality of transmitting integrated memory units and the receiving integrated memory units, and the first external device and the second external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는 12. The apparatus of claim 11, wherein the voice data processing apparatus 상기 음성 데이터가 직렬 음성 데이터이면 병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 후, 상기 데이터 코딩부로 전송하는 음성 직병렬 변환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And a serial-to-parallel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voice data into serial voice data and converting the voice data into parallel voice data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data coding unit.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는 18. The apparatus of claim 17, wherein the voice data processing apparatus 상기 음성 직병렬 변환부를 복수개 구비하면, 상기 음성 직병렬 변환부들과 상기 데이터 코딩부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제어하는 제3 스위칭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And a third switching unit configured to control a data transmission path between the voice serial-to-parallel conversion unit and the data coding unit when the voice serial-to-parallel conversion unit is provided in plural. 제1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모드는 eSCO 데이터 전송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드이고, The first data transmission mode is a mod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ccording to the eSCO data transmission method, 상기 제2 데이터 전송 모드는 SCO 데이터 전송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The second data transmission mode i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d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ccordance with the SCO data transmission metho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코딩부는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data coding unit μ-law, a-law, 및 CVSD 중 하나의 코딩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음성 데이터의 코딩 또는 디코딩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and performing coding or decoding of the speech data according to a coding algorithm of one of μ-law, a-law, and CVS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부는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operation control unit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모드시에 데이터 손실이 감지되면 상기 패킷 처리부에 상기 음성 패킷의 재전송 또는 재수신 동작 수행을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And if the data loss is detected in the first data transmission mode, instructing the packet processing unit to perform retransmission or re-receipt of the voice packet.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처리부는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packet processing unit 상기 동작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코딩데이터를 저장하는 패킷용 메모리; 및 A packet memory for storing the cod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controller; And 상기 제2 데이터 전송 모드이면, 상기 패킷용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코딩 데이터로부터 상기 음성 패킷을 생성하거나, 상기 음성 패킷으로부터 상기 코딩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패킷용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모드이면, 상기 통합 메모리부의 상기 코딩 데이터로부터 상기 음성 패킷을 생성하거나, 상기 음성 패킷을 분석하여 데이터 손실 여부를 감지한 후, 데이터 손실이 없으면 상기 음성패킷으로부터 상기 코딩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통합 메모리부로 전송하는 패킷 조립 및 분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In the second data transmission mode, the voice packet is generated from the coded data stored in the packet memory, or the coded data is extracted from the voice packet and stored in the packet memory, and in the first data transmission mode. Generating the voice packet from the coding data of the unified memory unit or analyzing the voice packet to detect data loss, and extracting the coded data from the voice packet and transmitting the extracted data to the unified memory unit if there is no data los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 packet assembly and decomposition unit.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조립 및 분해부는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packet assembly and disassembly unit 데이터 손실 발생시에 상기 동작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음성 패킷의 재전송 또는 재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And retransmitting or receiving the voice packet under the control of the operation controller when data loss occurs.
KR1020050129808A 2005-12-26 2005-12-26 Voice processing device and a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it KR1007383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9808A KR100738312B1 (en) 2005-12-26 2005-12-26 Voice processing device and a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9808A KR100738312B1 (en) 2005-12-26 2005-12-26 Voice processing device and a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8077A KR20070068077A (en) 2007-06-29
KR100738312B1 true KR100738312B1 (en) 2007-07-12

Family

ID=38366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9808A KR100738312B1 (en) 2005-12-26 2005-12-26 Voice processing device and a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831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50137A (en) * 2021-04-28 2022-10-28 合肥炬芯智能科技有限公司 Bluetooth device, bluetooth system and audio transmission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2792A (en) * 2000-06-30 2002-01-10 윤종용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master and slaves of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20071234A (en) * 2001-03-05 2002-09-12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System for Dispersing Voice Signal by Bluetooth Technolog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2792A (en) * 2000-06-30 2002-01-10 윤종용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master and slaves of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20071234A (en) * 2001-03-05 2002-09-12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System for Dispersing Voice Signal by Bluetooth Technolog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8077A (en) 2007-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90531B1 (en) Smart bluetooth headset for speech command
JP486597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KR101117058B1 (en) Headset having wirelessly linked earpieces
JP4519068B2 (en) WLAN communication system
WO2006089409A1 (en) High quality, low power, wireless audio system
JP2005136871A (en) Electronic equipment and pairing processing method
US20110112834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US20070060195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for playing sound signals
US7054280B2 (en) Voice communication between a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an external terminal
KR100738312B1 (en) Voice processing device and a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it
JP3115163U (en) Audio transceiver for radio
JP4876378B2 (en) Audio processing apparatus, audio processing method, and audio processing program
CN10284505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igh-quality speech communication across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communications networks
JP4862262B2 (en) DTMF signal processing method, processing device, relay device, and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JP2009239865A (en) Emergency report system
JP6206756B2 (en) Wireless microphone system
US7162277B2 (en) Wireless earphone with built-in mobile communications module and dial-up method of the same
KR101418880B1 (en) Wireless interphone system
JP3879535B2 (en) Internet telephone equipment
JP2006222663A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data volume
JP4309198B2 (en) Voice dat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voice data wireless communication program
JP517747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program
JP2006279949A (en) Network communication device and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the same
JP4167588B2 (en) Mobile phone and data reproducing method thereof
KR100675187B1 (en) A method of emergency call for mobile s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