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7158B1 - Fitting structure for pipe flange of a refrigeration cycle system with internal heat exchanger - Google Patents
Fitting structure for pipe flange of a refrigeration cycle system with internal heat exchang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37158B1 KR100737158B1 KR1020060103908A KR20060103908A KR100737158B1 KR 100737158 B1 KR100737158 B1 KR 100737158B1 KR 1020060103908 A KR1020060103908 A KR 1020060103908A KR 20060103908 A KR20060103908 A KR 20060103908A KR 100737158 B1 KR100737158 B1 KR 1007371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flange
- coupling
- heat exchanger
- internal hea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9—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housings, mountings, conversion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71—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liquid ducts, e.g. for coolant liquids or refrigera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3—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mprising auxiliary or multiple systems, e.g. plurality of evaporators, or by involving auxiliary cooling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16L23/026—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by weld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2—Flanged joi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ip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0/00—Subcoolers, desuperheaters or superheaters
- F25B40/02—Subcool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1은 내부열교환기를 가진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냉매 회로도,1 is a refrigerant circuit diagram of a refrigeration cycle system having an internal heat exchanger;
도2는 내부열교환기를 가진 냉동사이클 시스템에서, 종래 내부열교환기와 증발기와 기액분리기 사이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ipe flang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conventional internal heat exchanger and an evaporator and a gas-liquid separator in a refrigeration cycle system having an internal heat exchanger;
도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내부열교환기를 가진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pipe flange connection structure of a refrigeration cycle system having an internal heat exchange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내부열교환기를 가진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pe flange connection structure of a refrigeration cycle system having an internal heat exchange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5는 도4의 분리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4;
도6은 도5에서 제2플랜지 블록이 결합되고 제1플랜지 블록이 제거된 상태에서 주블록의 일측면에서 바라본 입면도,FIG. 6 is an elevation view seen from one side of the main block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flange block is coupled and the first flange block is removed in FIG. 5;
도7은 도5의 주블록에 형성된 결합돌기부의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ngaging projection formed in the main block of FIG.
도8은 도5의 제1플랜지 블록의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flange block of FIG. 5;
도9은 도4에서 제2플랜지 블록과 내부열교환기의 고압출구관 및 저압입구관을 보인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igh pressure outlet pipe and a low pressure inlet pipe of the second flange block and the internal heat exchanger in FIG. 4;
도10는 도5의 실링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ealing member of FIG. 5;
도11은 본 발명의 실링부재가 결합돌기부에 조립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seal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to the engaging projection;
도12은 도5의 주블록에 형성된 돌기결합홈의 단면도,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jection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main block of FIG.
도13은 도5에서 제2플랜지 블록의 제2플랜지 서브메일 블록의 단면도 및 평면도,13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lan view of a second flange sub-mail block of the second flange block in FIG. 5;
도14는 도5에서 제2플랜지 블록의 제2플랜지 메일 블록의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14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lan view of a second flange mail block of the second flange block in FIG. 5.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
4 : 내부 열교환기 5 : 팽창장치4: internal heat exchanger 5: expansion device
6 : 증발기 7 : 기액분리기6: evaporator 7: gas-liquid separator
20 : 주 블록 30 : 제1플랜지 블록20: main block 30: first flange block
40 : 제2플랜지 블록 50 : 실링부재40: second flange block 50: sealing member
62, 64 : 제1, 제2체결수단 70 : 결합 돌기부62, 64: first and second fastening means 70: engaging projection
80 : 제2플랜지 서브메일 블록 90 : 제2플랜지 메일 블록80: second flange sub-mail block 90: second flange mail block
본 발명은 내부열교환기를 가진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열교환기를 가진 냉동사이클 시스템에서 내부열교환기와 증발기와 기액분리기 사이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flange connection structure of a refrigeration cycle system having an internal heat exchang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pe flang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n internal heat exchanger and an evaporator and a gas-liquid separator in a refrigeration cycle system having an internal heat exchanger.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탑승객의 호흡이나 외부 대기 상태, 외부의 온도변화 등에 의하여 오염된 실내를 신선한 상태로 유지하거나 실내 온도를 냉, 난방하여 탑승자의 신체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시켜 쾌적한 실내 환경을 형성할 수 있게 하는 공조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공조장치에는 엔진을 냉각하여 고온으로 가열된 냉각수를 순환시켜 주위의 공기를 가열하는 난방사이클과 냉매를 순환시켜 주위 공기의 열을 흡수함으로써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동사이클로 구분된다.In general, a car can keep the indoors contaminated by the passenger's breathing, outdoor atmosphere, or external temperature change in a fresh state, or by cooling and heating the room temperature to maintain a comfortable temperature for the passenger's body. An air conditioning system is installed. Such an air conditioner is divided into a heating cycle of cooling an engine to circulate cooling water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to heat ambient air, and a refrigeration cycle of cooling air by circulating a refrigerant to absorb heat of ambient air.
이러한 공조장치 중에서 내부열교환기를 가진 냉동사이클 시스템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2)에서 냉매가 압축되고, 압축된 냉매는 방열기(3)에 유입하여 외기와 열교환된다. 그리고, 내부열교환기(4)에서는 압축기(2)에서 압축된 고압의 냉매와 압축기(2)에 유입되는 저압의 냉매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상기 내부열교환기(4)를 통과한 고온고압의 냉매는 팽창장치(5)에서 감압되어 차실내의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6)에 유입되어 차실내의 공기와 열교환된다. 상기 증발기(6)에서 유출된 냉매는 기상과 액상을 분리하는 기액분리기(7)을 통과한 후 기상 냉매만이 상기 내부열교환기(4)에 유입한다.In the refrigerating cycle system having an internal heat exchanger among these air conditioners, as shown in FIG. 1, the refrigerant is compressed in the
냉동사이클 시스템에서는 배관 파이프를 통해 냉매가 순환되며, 이 배관 파이프는 각각 연결구로 연결되어 배관되며 배관 파이프 연결은 연결 블록 및 플랜지 블록을 사용하여 연결하고 있다. In the refrigeration cycle system, the refrigerant is circulated through the piping pipes,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connecting pipes, and the piping pipes are connected using connection blocks and flange blocks.
도2는 내부열교환기를 가진 냉동사이클 시스템에서, 종래 내부열교환기와 증발기와 기액분리기 사이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점선은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회로를 나타내고 실선은 파이프와 연결 블록 및 플랜지 블록을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증발기(6)의 입구부와 출구부에 제1플랜지 블록(12)을 설치하여 상기 팽창장치(5)와 기액분리기(7)에 각각 연결되는 파이프를 배관하고, 상기 내부열교환기(4)의 고압 출구부와 저압 입구부에 제1연결 블록(14)을 설치하여 상기 팽창장치(5)와 상기 기액분리기(7)에 각각 연결되는 파이프를 배관하며, 상기 팽창장치(5)는 제2플랜지 블록(16)에 장착되어 확관되어 설치되는데, 상기 팽창장치(5)의 장착을 위해 확관된 파이프는 제2연결 블록(18)을 매개로 상기 제1연결 블록(14)에 연결되는 파이프를 배관하게 되어 있다.2 shows a pipe flang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conventional internal heat exchanger and an evaporator and a gas-liquid separator in a refrigeration cycle system having an internal heat exchanger. The dashed line in the figure represents the circuit of the refrigeration cycle system and the solid line represents the pipe, the connecting block and the flange block. As shown, the
그런데,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 내부열교환기와 증발기와 기액분리기 사이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에 의하면, 다수의 연결 블록과 플랜지 블록을 사용하여 배관하므로, 배관연결이 복잡하게 되고 부품관리가 용이하지 못하고, 파이프를 연결 블록 및 플랜지 블록에 용접하는 용접개소(도2에서 점으로 표시된 11군데)가 많아 생산성 및 작업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pipe flang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conventional internal heat exchanger and the evaporator and the gas-liquid separator, as shown in FIG. 2, since the pipes are connected using a plurality of connection blocks and flange blocks, the pipe connection is complicated and parts management is not eas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elding parts (11 places indicated by dots in Fig. 2) for welding the pipe to the connection block and the flange block have a problem in that productivity and workability are poor.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열교환기와 증발기와 기액분리기 사이의 배관 연결을 간단히 하므로써 용접개소 및 부품점수를 줄여 생산성 및 작업성을 높이는 내부열교환기를 가진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mplify the pipe connection between the internal heat exchanger and the evaporator and the gas-liquid separator, thereby reducing the welding point and the number of parts, thereby increasing the productivity and workability. To provide a pipe flange connection structure of a refrigeration cycle system.
본 발명은, 내부열교환기와 증발기 사이에 팽창장치를 장착하여 내부열교환기와 증발기와 기액분리기 사이를 배관하는 내부열교환기를 가진 냉동사이클 시스 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입구관과 출구관이 용접된 제1플랜지 블록과; 상기 기액분리기의 입구관과 출구관이 용접된 제2플랜지 블록과; 일측면에 상기 제1플랜지 블록이 밀착되게 결합되고, 타측면에 상기 제2플랜지 블록이 밀착되게 결합되며, 또 다른 타측면에 상기 내부열교환기의 고압출구관과 저압입구관이 용접되어 배관된 주블록과; 상기 제1플랜지 블록과 상기 주블록을 체결하여 결합시키는 제1체결수단과; 상기 제2플랜지 블록과 상기 주블록을 체결하여 결합시키는 제2체결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ipe flange connection structure of a refrigeration cycle system having an internal heat exchanger for installing an expansion device between an internal heat exchanger and an evaporator to pipe between the internal heat exchanger and an evaporator and a gas-liquid separator. The welded first flange block; A second flange block to which the inlet pipe and the outlet pipe of the gas-liquid separator are welded; The first flange block is tightly coupled to one side, the second flange block is tightly coupled to the other side, and the high pressure outlet pipe and the low pressure inlet pipe of the internal heat exchanger are welded to another side. A block; First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and coupling the first flange block and the main block; And a second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and coupling the second flange block and the main block.
상기 주블록에는, 상기 증발기의 출구관과 상기 기액분리기의 입구관을 연통시키는 제1연통구멍과, 상기 기액분리관의 출구관과 상기 내부열교환기의 저압입구관을 연통시키는 제2연통구멍과, 상기 내부열교환기의 고압출구관과 상기 증발기의 입구관을 연통시키는 제3연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제3연통구멍에는 상기 팽창장치가 삽입되어 있다. The main block has a first communication hole for communicating the outlet tube of the evaporator and the inlet tube of the gas-liquid separator, a second communication hole for communicating the outlet tube of the gas-liquid separator tube and the low pressure inlet tube of the internal heat exchanger; A third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to communicate the high pressure outlet tube of the internal heat exchanger and the inlet tube of the evaporator, and the expansion device is inserted into the third communication hole.
상기 내부열교환기의 고압출구관과 저압입구관은 이 저압입구관의 내부에 고압출구관이 삽입된 이중관으로 되어 있고, 상기 고압출구관은 상기 저압입구관에서돌출하여 상기 제3연통구멍에 연통되며, 상기 주블록에는 상기 고압출구관의 단부를 용접하도록 용접 슬릿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용접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슬릿홈의 입구는 넓게 되어 있다.The high pressure outlet pipe and the low pressure inlet pipe of the internal heat exchanger are double pipes in which the high pressure outlet pipe is inserted into the low pressure inlet pipe, and the high pressure outlet pipe protrudes from the low pressure inlet pipe and communicates with the third communication hole. The main block is provided with a welding slit groove to weld the end of the high pressure outlet pipe. At this time, the inlet of the slit groove is wide to facilitate the welding.
상기 주블록의 중간에는 상기 플랜지블록을 체결하는 체결수단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파여진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다.In the middle of the main block is formed a hollow portion to facilitate the coupling means for fastening the flange block.
상기 제2플랜지 블록은, 상기 기액분리기의 입구관이 용접으로 결합되는 결 합구멍이 형성된 제2플랜지 서브메일 블록과, 일측에 상기 제2플랜지 서브메일 블록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홈이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기액분리기의 출구관이 용접으로 결합되는 결합구멍이 형성된 제2플랜지 메일 블록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플랜지 서브메일 블록과 상기 제2플랜지 메일 블록의 각 일면에는 상기 결합구멍과 연통된 상태로 돌출하여 형성된 결합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부에는 실링부재가 끼워져 결합되어 안착되며, 상기 주블록의 타측면에는 결합구멍에 연통하는 연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이 연통구멍에는 상기 결합돌기부가 결합하는 한편 상기 실링부재의 일면이 안착되는 돌기결합홈이 파여 있다.The second flange block, the second flange sub-mail block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for joining the inlet tube of the gas-liquid separator by welding, and the groove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lange sub-mail block is inserted in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The outlet pipe of the gas-liquid separator is made of a second flange mail block formed with a coupling hole to be joined by welding, the second flange sub-mail block and the one surface of each of the second flange mail block in communication with the coupling hole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by protruding into th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and a sealing member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and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coupling hol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lock, while th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in the communication hole. On the other hand, a protrusion coupling groove is formed in which one surface of the sealing member is seated.
상기 제1플랜지 블록에는 상기 증발기의 입구관과 출구관이 용접으로 결합되는 결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주블록의 일측면에는 상기 결합구멍에 연통되는 연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이 연통구멍과 연통된 상태로 돌출하여 형성된 결합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부에는 실링부재가 끼워져 결합되어 안착되며, 상기 제1플랜지 블록의 결합구멍에는 상기 결합돌기부가 결합하는 한편 상기 실링부재의 일면이 안착되는 돌기결합홈이 파여 있다.A coupling hole is formed in the first flange block in which the inlet pipe and the outlet pipe of the evaporator are welded, and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coupling hol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block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hole.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by protruding in a state is formed, and a sealing member is fitted into the coupling protrusion to be seated and seated, and the coupling protrusion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of the first flange block while the one surface of the sealing member is seated. Coupling groove is dug.
상기 증발기의 입구관에 연통하는 결합구멍에 결합되는 실링부재는 상기 팽창장치의 고정과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팽창장치와 일체로 되어 있다.The sealing member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in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pipe of the evaporator is integrated with the expansion device to maintain the fixing and airtight of the expansion devic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내부열교환기(4)와 증발기(6) 사이에 팽창장치(5 : 팽창밸브)를 장착하여 내부열교환기(4)와 증발기(6)와 기액분리기(7) 사이를 배관하는 내부열교환기를 가진 냉동사이클 시스템에 적용되며, 상기 증발기(6)의 입구관(6a)과 출구관(6b)이 용접된 제1플랜지 블록(30)과, 상기 기액분리기(7)의 입구관(7a)과 출구관(7b)이 용접된 제2플랜지 블록(40)과, 상기 제1플랜지 블록(30)과 제2플랜지 블록(40)이 후술하는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는 주블록(20)을 구비한다.The piping flang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expansion device (5: expansion valve) between the
도4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주블록(20)의 일측면(20a)에는 상기 제1플랜지 블록(30)이 밀착하여 제1체결수단(62)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주블록(20)의 타측면(20b)에는 상기 제2플랜지 블록(40)이 밀착하여 제2체결수단(64)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주블록(20)의 또 다른 타측면(20c)에는 상기 내부열교환기(4)의 저압입구관(4a)과 고압출구관(4b)이 용접되어 배관된다.4 to 6, the
도5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주블록(20)에는, 상기 증발기(6)의 출구관(6b)과 상기 기액분리기(7)의 입구관(7a)을 연통시키는 제1연통구멍(21)과, 상기 기액분리관(7)의 출구관(7b)과 상기 내부열교환기(4)의 저압입구관(4a)을 연통시키는 제2연통구멍(22)과, 상기 내부열교환기(4)의 고압출구관(4b)과 상기 증발기(6)의 입구관(6a)을 연통시키는 제3연통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연통구멍(23)에는 상기 팽창장치(5)가 삽입되어 있다. 5 and 9, the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열교환기(4)의 고압출구관(4b)과 저압입구관(4a)은 이 저압입구관(4a)의 내부에 고압출구관(4b)이 삽입된 이중관으로 되어 있고, 상기 고압출구관(4b)은 상기 저압입구관(4a)에서 돌출하여 상기 제3연통구멍(23)에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주블록(20)의 또 다른 타측면(20d)에는 상 기 고압출구관(4b)의 단부를 용접하도록 용접 슬릿홈(24)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용접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슬릿홈(24)의 입구는 챔퍼(chamfer)등의 형상으로 넓게 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주블록(20)의 중간에는 상기 제1플랜지블록(30)을 체결하는 제1체결수단(62)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파여진 공간부(25)가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9, the high
한편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주블록(20)의 일측면(20a)에는 상기 제1체결수단(62)의 볼트가 체결되도록 삽입되는 제1체결관통구멍(26)이 형성되고, 상기 주블록(20)의 타측면(20b)에는 상기 제2체결수단(64)의 볼트가 나사결합되는 제2체결나사구멍(27)이 형성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5, the one
도7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플랜지 블록(30)에는 상기 증발기(6)의 입구관(6a)과 출구관(6b)이 용접으로 결합되는 관 결합구멍(31)이 형성되고, 상기 주블록(20)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 제3연통구멍(21, 23)에 연통된 상태로 돌출하여 형성된 결합돌기부(7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부(70)에는 실링부재(50)가 끼워져 결합되어 안착되며, 상기 제1플랜지 블록(30)의 관 결합구멍(31)의 반대측에는 상기 결합돌기부(70)가 결합하는 한편 상기 실링부재(50)의 일면이 안착되는 제1돌기결합홈(32)이 파여지며, 상기 관 결합구멍(31)의 외측 둘레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후술하는 제2결합돌기부의 단부가 결합하는 제2돌기결합홈(33)이 파여진다.As shown in FIGS. 7 and 8, the
그리고, 상기 제2돌기결합홈(33)과 관 결합구멍(31) 사이에는 상기 실링부재(50)의 후술하는 내측 실링부 일면이 안착되는 제2안착면(34)이 형성되며 이 제2 안착면(34)에는 실링비드(35)가 돌설된다. 또한, 상기 제1플랜지 블록(30)에는 몸체 중간에 상기 제1체결관통구멍(26)에 대응되도록 제1체결나사구멍(36)이 뚫어져 상기 제1체결수단(62)의 볼트가 관통되어 결합된다.In addition, a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부(70)는 상기 관 결합구멍(31)과 연통된 상태로 돌출되는 제1결합돌기부(72)와, 이 제1결합돌기부(72)의 단부면에 돌출되며 내측으로 제1안착면(74a)이 형성되는 제2결합돌기부(74)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7, the
상기 실링부재(50)는 상기 제2결합돌기부(74)에 끼워져 결합하여 제2결합돌기부(74)의 외측면을 감싸고 제2결합돌기부(74)의 내측으로 제1안착면(74a)에 안착된다. 상기 제1안착면(74a)에는 상기 실링부재(50)의 후술하는 내측 실링부가 안착되는 실링비드(74b)가 원형의 돌출띠를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링비드(74b)는 삼각단면 형상, 원형단면 형상, 다각형단면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aling
도10 및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링부재(50)는, 제2결합돌기부(74)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하여 실링하는 오링부(51)와, 상기 오링부(51)의 내측에 상기 제2결합돌기부(74)의 내측으로 결합하여 상기 제1안착면(74a)에 안착되고 관 결합구멍(81, 92 : 도13 및 도14에 도시) 및 제1, 제3연통구멍(21, 23)에 연통되는 관통구멍(52a)이 형성된 내측 실링부(52)를 포함한다.10 and 11, the sealing
상기 실링부재(50)는 상기 오링부(51)와 내측 실링부(52)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내측 실링부(52)의 외주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개 돌출되며 단부가 상기 오링부(51)에 고정되어 내측 실링부(52)와 오링부(51)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날개부(53)를 포함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The sealing
상기 오링부(51)는 내경이 제2결합돌기부(74)의 외경보다 크지 않는 원형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결합돌기부(74)의 외측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오링부(51)는 합성고무 또는 고무재질로 제조되며, 내한성 및 기밀성이 우수한 에틸렌계 고무(EPDN) 또는 니트롤계 고무(H-NBR)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
상기 내측 실링부(52)는 중앙에 관통구멍(52a)이 뚫린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과 상기 오링부(51)의 내주면 사이에 제2결합돌기부(74)가 끼워져 결합되어 오링부(51)의 내부에 고정된다. 이 내측 실링부(52)는 주석합금, 연질알루미늄, 백납 등의 연질 금속이나 불소수지, 테프론 계열의 수지재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즉, 내측 실링부(52)는 제1, 제2플랜지 블록(30, 40)) 또는 주블록(20)보다 연질 재질을 사용하고, 동일 재질 사용시 경도 차이를 주어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수지재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이다.The
그리고, 상기 내측 실링부(52)는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날개부(53)가 일체로 돌출되며, 이 날개부(53)의 단부는 상기 오링부(51)의 내측으로 인서트되어 고정된다. 상기 날개부(53)는 그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그 외측으로 일정부분 오링부(51)가 덮여지도록 한다. 또한, 이 날개부(53)는 상기 제2결합돌기부(74)에 형성되는 후술하는 결합홈에 대응되는 개수로 돌출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오링부(51)와 내측 실링부(52) 사이의 간격은 제2결합돌기부(74)의 두께보다 1 ~ 2 배로 형성하여 기밀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실링부재(50)를 제2결합돌기부(74)에 끼워 결합하기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The gap between the O-
상기 오링부(51)는 그 단면 두께(t1)가 내측 실링부(52)의 두께(t2)보다 1.0 ~ 2.0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오링부(51)의 압착에 의한 2차 실링 및 주 실링기능인 내측 실링부(52)의 실링을 균등하게 하는 것으로 오링부 단면 두께(t1)가 크면 2차 실링 효과가 커지는 반면, 주실링부인 내측 실링부(52)의 실링기능은 약화되고 조립성 및 구조적 불리함이 있으며, 오링부 단면 두께(t1)가 작으면 주실링 기능은 증가하나 2차 실링 기능이 저하되어 외부의 부식물질이 침투하여 내측 실링부의 부식을 발생시킬 수 있다. The O-
또한, 상기 단면 두께비(t1/t2)는 메일부와 피메일부 조립성 및 플랜지 크기 증가에도 영향이 있어 단면 두께비가 커질 때(t1>t2) 조립성은 어려워지고 메일부 크기는 커져야 한다. 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thickness ratio t1 / t2 also affects the assembly of the male part and the female part and the increase of the flange size, so that when the cross-sectional thickness ratio is large (t1> t2), the assembly is difficult and the size of the male part must be large.
상기 제2결합돌기부(74)에는 단부에서 수직으로 뚫리는 결합홈(74c)이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재(50)의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상기 제2결합돌기부(74) 끝단에 실링부재(50)의 오링부(51)가 걸리는 걸림턱(74d)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실링부재(50)는 제2결합돌기부(74) 외경보다 상기 실링부재(50)의 오링부(51) 내경을 약 0.8배 작게 하여 오링부(51)의 신축성에 의해 제2결합돌기부(74)로 결합하여 고정되는 것이다.The
도13 및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플랜지 블록(40)은, 상기 기액분리기(7)의 입구관(7a)이 용접으로 결합되는 관 결합구멍(81)이 형성된 제2플랜지 서브메일 블록(80)과, 일측에 상기 제2플랜지 서브메일 블록(80)이 삽입되어 결합 되는 홈(91)이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기액분리기(7)의 출구관(7b)이 용접으로 결합되는 관 결합구멍(92)이 형성된 제2플랜지 메일 블록(90)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3 and 14, the
상기 제2플랜지 서브메일 블록(80)과 상기 제2플랜지 메일 블록(90)의 각 일면에는 상기 관 결합구멍(81, 92)과 연통된 상태로 돌출하여 형성된 결합돌기부(70, 70)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부(70)에는 실링부재(50)가 끼워져 결합되어 안착된다. Coupling
상기 제2플랜지 서브메일 블록(80)은, 상기 관 결합구멍(81)을 가지며 상기 제2플랜지 메일 블록(90)의 홈(91)에 삽입되는 삽입부(82)와, 상기 삽입부(82)가 정해진 길이로 삽입되어 걸리는 한편 상기 제2체결수단(64)의 체결에 의해 상기 주주블록(20)을 누르도록 외주면에 형성된 누름부(83)와, 상기 누름부에서 돌출형성된 상기 결합돌기부(70)로 이루어진다. 상기 관 결합구멍(81)의 입구부는 상기 입구관(7a)이 밀착하여 용접되도록 넓게 되어 있다.The second flange
상기 제2플랜지 메일 블록(90)은, 상기 관 결합구멍(92)와 상기 홈(91)을 가지며, 상기 관 결합구멍(92)와 상기 홈(91) 사이에는 상기 제2체결수단(64)의 볼트가 삽입되도록 제2체결관통구멍(9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 결합구멍(92)의 입구부는 상기 출구관(7b)가 밀착하여 용접되도록 넓게 되어 있다. 상기 홈(91)은 상기 제2플랜지 서브메일 블록(80)이 용이하게 조립되도록 제2플랜지 메일 블록(90)의 측방향으로 트여 있다. The second
상기 제2플랜지 메일 블록(90)의 측단부에는 상기 제2체결수단(64)의 볼트의 체결력을 보강하는 계단형상의 단차부(94)가 돌출되며, 이 단차부(94)는 제2플랜지 서브메일 블록(80)에 볼트의 체결력이 균일하게 전달되도록 한다. 즉, 상기 단차부(94)는 제2플랜지 메일 블록(90)과 주블록(20)의 결합 시 누름부(83)의 한쪽으로 힘이 편중되지 않게 하여 제2체결수단(64)의 볼트의 체결력을 단부까지 균등하게 전달시키고, 고압의 냉매가 통과될 경우 체결력 저하로 누수가 발생하거나 고압에 견딜 수 있는 체결력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On the side end of the second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주블록(20)의 타측면(20b)에는 상기 제1, 제3연통구멍(21, 23)에 각각 연통하도록 상기 결합돌기부(70)가 결합하는 한편 상기 실링부재(50)의 일면이 안착되는 제1돌기결합홈(32')이 파여지며, 상기 제1, 제3연통구멍(21, 23)의 외측 둘레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제2결합돌기부(74)의 단부가 결합하는 제2돌기결합홈(33')이 파여진다. 그리고, 상기 제2돌기결합홈(33')과 제3연통구멍(23) 사이에는 상기 실링부재(50)의 후술하는 내측 실링부 일면이 안착되는 제2안착면(34')이 형성되며 이 제2안착면(34')에는 실링비드(35')가 돌설된다.As shown in FIG. 12, the
상기 제2플랜지 블록(40)과 관련된 결합돌기부(70)와 실링부재(50)는 도7, 도10 및 도1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한편,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증발기(6)의 입구관(6a)에 연통하는 결합구멍에 결합되는 실링부재(50)는 상기 팽창장치(5)의 고정과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팽창장치(5)와 일체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5, the sealing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내부열교환기를 가진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는, 주블록(20)의 내부에 팽창장치(5)를 삽입하고, 주블 록(20)의 일측에는 증발기(6)의 입구관(6a) 및 출구관(6b)이 용접된 제1플랜지 블록(30)을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하고, 주블록(20)의 타측에는 기액분리기(7)의 입구관(7a) 및 출구관(6b)이 용접된 제2플랜지 블록(40)을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하며, 주블록(20)의 또 다른 타측에는 내부열교환기(4)의 이중관을 용접으로 결합함으로써, 배관의 용접개소가 6개(도3의 점표시 참조)로 줄어지게 되어, 내부열교환기와 증발기와 기액분리기 사이의 배관 연결을 간단히 하므로써 용접개소 및 부품점수를 줄여 생산성 및 작업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Pipe flang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refrigeration cycle system having an internal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이때, 주블록(20)에는 내부열교환기(4)의 고압출구관(4b)을 용접하기 위한 슬릿홈(24)이 형성되고, 플랜지 블록(30)을 체결하기 위한 공간부(25)가 형성되어 용접작업 및 볼트 체결작업을 특히 용이하게 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플랜지 블록(30, 40)이 주블록(20)과 결합되는 곳에는 제1, 제2결합돌기부(72, 74)가 제1, 2 돌기결합홈(32, 32', 33, 33')에 각각 결합함으로써 그 결합부분에서 강도가 증대되며, 실링부재는 제 2 결합돌기에 끼워져 관 결합구멍의 내, 외측에서 이중으로 실링작용을 하므로 조립 후 결합부분에서 기밀성이 증대된다.Where the flange blocks 30 and 40 are coupled to the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modifications.
상기한 본 발명의 내부열교환기를 가진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이중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에 의하면, 내부열교환기와 증발기와 기액분리기 사이의 배관 연결을 간단히 하므로써 용접개소 및 부품점수를 줄여 생산성 및 작업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double pipe flang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refrigeration cycle system having the internal heat exc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implifying the pipe connection between the internal heat exchanger and the evaporator and gas-liquid separator, the effect of improving the productivity and workability by reducing the number of welding points and parts have.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03908A KR100737158B1 (en) | 2006-10-25 | 2006-10-25 | Fitting structure for pipe flange of a refrigeration cycle system with internal heat exchang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03908A KR100737158B1 (en) | 2006-10-25 | 2006-10-25 | Fitting structure for pipe flange of a refrigeration cycle system with internal heat exchang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37158B1 true KR100737158B1 (en) | 2007-07-06 |
Family
ID=38503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03908A KR100737158B1 (en) | 2006-10-25 | 2006-10-25 | Fitting structure for pipe flange of a refrigeration cycle system with internal heat exchang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37158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36829A (en) * | 2022-03-18 | 2023-09-27 | 주식회사 유니크 | Refrigerant manifold for vehicle |
KR20240052518A (en) * | 2022-10-14 | 2024-04-23 | 주식회사 유니크 | Manifold for heat pump system of electric vehicl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33241A (en) | 2001-05-09 | 2002-11-22 |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 Accumulator equipped with expansion device |
JP2004058863A (en) | 2002-07-30 | 2004-02-26 | Japan Climate Systems Corp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2006
- 2006-10-25 KR KR1020060103908A patent/KR10073715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33241A (en) | 2001-05-09 | 2002-11-22 |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 Accumulator equipped with expansion device |
JP2004058863A (en) | 2002-07-30 | 2004-02-26 | Japan Climate Systems Corp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36829A (en) * | 2022-03-18 | 2023-09-27 | 주식회사 유니크 | Refrigerant manifold for vehicle |
KR102657500B1 (en) * | 2022-03-18 | 2024-04-16 | 주식회사 유니크 | Refrigerant manifold for vehicle |
KR20240052518A (en) * | 2022-10-14 | 2024-04-23 | 주식회사 유니크 | Manifold for heat pump system of electric vehicle |
KR102705928B1 (en) * | 2022-10-14 | 2024-09-11 | 주식회사 유니크 | Manifold for heat pump system of electric vehic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453267B2 (en) | Integrated heat pump bundled module mounting manifold | |
US7766391B2 (en) | Pipe connecting structure | |
US8468849B2 (en) | Double metal seal fitting | |
JP4096832B2 (en) | Piping joint for refrigeration cycle | |
CN102679464B (en) | For connecting the structure of refrigerant pipe and method and there is the air-conditioning of this structure | |
KR100737158B1 (en) | Fitting structure for pipe flange of a refrigeration cycle system with internal heat exchanger | |
KR100737157B1 (en) | Fitting structure for double pipe flange of a refrigeration cycle system | |
KR100737159B1 (en) | Fitting structure for pipe flange of a refrigeration cycle system with a internal heat exchanger | |
KR100704645B1 (en) | Fitting structure for pipe flange of a refrigeration cycle system | |
KR20110021352A (en) | Service valve for air conditioning system and connecting structure thereof | |
US11754204B2 (en) | Stabilized h-plate | |
JP2008039262A (en) | Expansion valve | |
JP2007198549A (en) | Piping joint for refrigerating cycle | |
JPH07293775A (en) | Piping connecting joint | |
JPH0988918A (en) | Clamp and clamp body structure | |
JP2005291441A (en) | Piping flange | |
WO2016125698A1 (en) | Pipe joint | |
KR101448112B1 (en) | Refrigerant pipe connection structure of car air conditioning system | |
KR0129559Y1 (en) | Pipe connecting apparatus for an automobile's airconditioner | |
CN213514528U (en) | Vrv air conditioner refrigerant pipeline system | |
JP2007198696A (en) | Pipe joint for refrigerating cycle | |
KR101125446B1 (en) | A flange structure for connecting coolant pipe of airconditioner | |
JP2013088092A (en) | Heat exchanger | |
JP2002022074A (en) | Fitting | |
JP2005207463A (en) | Connecting structure of passag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