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917B1 - 포도용 블록의 파손방지를 위한 블록버퍼 - Google Patents

포도용 블록의 파손방지를 위한 블록버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917B1
KR100736917B1 KR1020070028518A KR20070028518A KR100736917B1 KR 100736917 B1 KR100736917 B1 KR 100736917B1 KR 1020070028518 A KR1020070028518 A KR 1020070028518A KR 20070028518 A KR20070028518 A KR 20070028518A KR 100736917 B1 KR100736917 B1 KR 100736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uffer
blocks
buffer pad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8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식
Original Assignee
이재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식 filed Critical 이재식
Priority to KR1020070028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9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3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omposition used for beds or joint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la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16Reinforcements
    • E01C11/18Reinforceme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s
    • E01C11/20Reinforceme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s for prestressed concrete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도, 차도, 주차장, 공원 등의 바닥을 포장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미관을 아름답게 하며, 바닥에서의 보행이나 주행 등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포도용 블록들이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포도용 블록의 파손방지를 위한 블록버퍼에 관한 것으로서, 블록과 지반 사이에 놓여져서 상기 블록을 지지하고 그리고 완충시키는 완충패드와; 상기 완충패드에 체결되어 고정되되, 블록과 블록 사이에서 상기 완충패드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블록들의 측면들 간의 충돌을 방지하고 그리고 완충시키는 완충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블록, 포도, 메지, 모래, 쇄석, 석분, 완충패드, 완충핀

Description

포도용 블록의 파손방지를 위한 블록버퍼 {Anti breaking block buffer of block for pave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도용 블록의 파손방지를 위한 블록버퍼를 구성하는 완충패드와 완충핀을 사용하여 블록으로 도로를 포장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완충핀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블록 12 : 완충패드
13 : 완충핀 121 : 가로선
122 : 세로선 131 : 핀본체
132 : 편부 133 : 체결홈
본 발명은 포도용 블록의 파손방지를 위한 블록버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인도, 차도, 주차장, 공원 등의 바닥을 포장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미관을 아름답게 하며, 바닥에서의 보행이나 주행 등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포도용 블록들이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포도용 블록의 파손방지를 위한 블록버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인도나 차도, 주차장, 공원 등의 바닥에 점토블록, 석재블록 등으로 포장할 경우, 블록과 블록 사이의 메지에 주로 모래, 쇄석, 석분 또는 시멘트 몰탈 등을 채워주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으며, 메지로서 모래, 쇄석, 석분 등을 사용할 경우, 강우 시, 투수성은 확보될 수 있으나, 메지 사이의 모래가 유실되어 블록 간의 충돌에 의해 블록이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로 인해 지반침하 등의 현상이 발생되고, 블록들로 포장된 바닥 전체 또는 일부를 수시로 다시 시공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경제적으로도 큰 손실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에서 ‘메지’란 일본 말로서, 우리말로는 ‘줄눈’ 이라고 한다. 보통 타일, 대리석, 벽돌, 블록 등의 시공 시 생기는 틈새를 말하는 것으로서, 줄눈 전용시멘트, 백시멘트, 실리콘, 스치로폼 등의 재료를 가지고 시공한다. 물론 백시멘트에 색소를 첨가해 여러 원하는 색깔로 시공하기도 하며, 일반 시멘트에 모래를 섞어 시공하기도 하며, 또한 최근에는 전문 줄눈용 메지시멘트가 생산, 시판되기도 하며, 이를 많이 사용하기도 한다. 그리고 시공방법에 따라, 마른 메지, 물메지, 가루메지 등으로 불리는 데, 대체로 벽메지 시공에서는 마른메지로 하고, 바다메지 시공에서는 물메지로 많이 시공하나, 대리석이나 줄눈 간격이 매우 작은(2㎜ 이내)현관 시공 시에는 가루메지로 시공한다.
상기 마른메지는 질게 반죽한 시멘트를 메지용 헤라로 밀어 놓고, 약간 시간 을 주어 물기가 증발하거나 침착되었을 때, 메지용 막대로 메지선이 잘나오도록 파준 후에 수세미나 양파자루 등과 같이 거친 것으로 털어내는 것에 의해 시공된다. 물메지는 물기가 빠진 후에 양동이에 스폰지를 적신 다음 짜내어 닦아 내는 것에 의해 시공된다. 그리고 가루메지는 메지 반죽을 매우 질게 반죽(손으로 잡을 수 없을 정도)하여 헤라를 이용해 틈새를 채우고, 가루로 재단(마무리)하여 마감을 하는 것에 의해 시공된다.
또한 메지에 시멘트 몰탈을 사용하는 경우, 블록과 블록 사이가 상당기간 고정되기는 하나, 강우 시 투수성이 전혀 없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또는 충격이 큰 차도 등에서는 블록과 시멘트 몰탈이 쉽게 분리되어 역시 깨짐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지반침하가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도, 차도, 주차장, 공원 등의 바닥을 포장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미관을 아름답게 하며, 바닥에서의 보행이나 주행 등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포도용 블록들이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포도용 블록의 파손방지를 위한 블록버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도용 블록의 파손방지를 위한 블록버퍼는, 블록과 지반 사이에 놓여져서 상기 블록을 지지하고 그리고 완충시키는 완충패드와; 상기 완충패드에 체결되어 고정되되, 블록과 블록 사이에서 상기 완충패드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블록들의 측면들 간의 충돌을 방지하고 그리고 완충시키는 완충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완충패드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완충핀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된 봉상체의 핀본체와, 상기 핀본체의 단부에 대향하는 한 쌍의 편부들을 잔류시키도록 상기 핀본체의 일측단부를 부분절개하여 상기 한 쌍의 편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체결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도용 블록의 파손방지를 위한 블록버퍼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11)과 지반 사이에 놓여져서 상기 블록(11)을 지지하고 그리고 완충시키는 완충패드(12)와; 상기 완충패드(12)에 체결되어 고정되되, 블록(11)과 블록(11) 사이에서 상기 완충패드(12)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블록(11)들의 측면들 간의 충돌을 방지하고 그리고 완충시키는 완충핀(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블록버퍼는 블록(11)을 지면에 포설하기 전에 지면에 먼저 완충패드(12)를 설치하고, 상기 완충패드(12) 위에 블록(11)들을 포설하되, 블록(11)들 간의 충돌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블록(11)들의 포설 동안에 블록(11)들 간에 완충핀(13)들을 고정시키며, 이때 완충핀(13)을 상기 완충패드(12)에 고정시켜 완충핀(13)이 상기 완충패드(12)로부터 상방으로 향하여 직립하도록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블록(11)들 간의 완충핀(13)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고, 그에 따라 시공 동안 및 시공 후에도 블록(11) 간의 충돌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완충패드(12)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완충패드는 합성수지나 금속으로 된 수지선, 용접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세로선(122)과 가로선(121)을 직각으로 배열하여, 교차점을 접합제에 의한 결합(수지선의 경우) 또는 전기용접(금속의 경우)등에 의해 접합시킨 격자형의 시트이다. 원형용접철망과 이형용접철망으로 분류되며, 주로 콘크리트 도로포장, 콘크리트관, 보강근, 지하 및 옥상 주차장 등에 쓰입니다. 금속완충패드의 규격은 임의로 조절될 수 있으며, 선의 굵기는 2.6 내지 6㎜이고, 격자간격은 50 내지 200㎜이며, 0번(#0)부터 26번(#26)까지 세분할 수 있다. 0번선은 지름 8.64㎜이고, 1번선은 7.62㎜이며, 주로 거푸집이나 긴결용으로 사용되는 6번선은 지름 5.16㎜이고, 주로 비계용으로 사용되는 10번선은 지름 3.40㎜이다. 금속완충패드(12)로 사용하는 경우, 본 발명에서 주로 금속완충패드는 7 내지 11번의 규격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블록(11)이 포장되는 지면의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른 적절한 금속이 사용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완충핀(13)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된 봉상체의 핀본체(131)와, 상기 핀본체(131)의 단부에 대향하는 한 쌍의 편부(132)들을 잔류시키도록 상기 핀본체(131)의 일측단부를 부분절개하여 상기 한 쌍의 편부(132)들 사이에 형성되는 체결홈(1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완충핀(13)의 체결홈(133)에 미리 지면에 포설된 상기 완충패드(12)의 가로선(121)이나 세로선(122) 중 어느 하나의 선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완충핀(13)이 지면에 대해 상방으로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시킬 수 있으며, 그에 의해 블록(11)과 블록(11) 사이에 상기 완충핀(13)이 직립된 상태로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블록(11)의 포설시공을 용이하게 하며, 일일이 완충핀(13)을 손으로 잡고, 블록(11)을 밀착시키거나 하는 등의 불필요한 작업 없이 포설시공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에 먼저 상기 완충패드(12)를 설치하고, 그 위에 블록(11)들을 하나씩 놓아가면서 포설하되, 블록(11)의 측면에 닿도록 하여 하나의 블록(11)의 측면들에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개의 상기 완충핀(13)들을 위치시켜 고정시키고, 다른 하나의 블록(11)을 연접시켜 포설하는 방법으로 포도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연설된 다수의 블록(11)들 중 어느 하나의 블록(11)을 기준으로 볼 때, 그 블록(11)의 4개의 측면들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완충핀(13)이 위치되어 블록(11)들 간의 직접적인 충돌을 방지하고, 상기 완충핀(13)의 완충작용에 의해 블록(1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블록(11)들과 지면 사이에 이미 상기 완충패드(12)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강우 등에 의한 지반의 부분적인 침하에 의해서도 블록(11)은 상기한 완충패드(12)에 의해 지지되어 심하게 침하되어 포도상태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완충패드(12)는 단순히 지면에 올려놓는 것만으로도 그 위에 다수의 블록(11)들이 놓여지기 때문에 충분히 지면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달리 지반침하 등이 예상되는 지점에서는 지면에 대해 앵커 등과 같은 적절한 수단으로 사전 고정시킨 후, 그 위에 블록(11)들을 포설할 수도 있다.
상기 블록(11)들 사이에는 모래, 쇄석, 석분 등을 사용하여 메지를 더 형성 시킬 수도 있음은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메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또한 외관을 보기 좋게 하고, 블록(11)들 사이에 다른 이물질이 삽입되어 외관이 보기 흉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모래, 쇄석, 석분 등의 공지의 수단을 사용하여 메지를 형성하는 경우에서도, 강우에 따른 모래, 쇄석, 석분의 손실이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한 완충핀(13)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블록(11)들이 쉽게 파손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인도, 차도, 주차장, 공원 등의 바닥을 포장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미관을 아름답게 하며, 바닥에서의 보행이나 주행 등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포도용 블록(11)들이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포도용 블록의 파손방지를 위한 블록버퍼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1. 블록과 지반 사이에 놓여져서 상기 블록을 지지하고 그리고 완충시키는 완충패드와;
    상기 완충패드에 체결되어 고정되되, 블록과 블록 사이에서 상기 완충패드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블록들의 측면들 간의 충돌을 방지하고 그리고 완충시키는 완충핀;
    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용 블록의 파손방지를 위한 블록버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패드가 합성수지 또는 금속의 와이어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용 블록의 파손방지를 위한 블록버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핀이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된 봉상체의 핀본체와, 상기 핀본체의 단부에 대향하는 한 쌍의 편부들을 잔류시키도록 상기 핀본체의 일측단부를 부분절개하여 상기 한 쌍의 편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체결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용 블록의 파손방지를 위한 블록버퍼.
KR1020070028518A 2007-03-23 2007-03-23 포도용 블록의 파손방지를 위한 블록버퍼 KR100736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518A KR100736917B1 (ko) 2007-03-23 2007-03-23 포도용 블록의 파손방지를 위한 블록버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518A KR100736917B1 (ko) 2007-03-23 2007-03-23 포도용 블록의 파손방지를 위한 블록버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6917B1 true KR100736917B1 (ko) 2007-07-10

Family

ID=38503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8518A KR100736917B1 (ko) 2007-03-23 2007-03-23 포도용 블록의 파손방지를 위한 블록버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91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133B1 (ko) 2004-05-14 2005-12-16 주식회사공간세라믹 보도블록의 모서리깨짐방지와 자동줄눈형성을 위한장치물과 이를 이용한 보도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133B1 (ko) 2004-05-14 2005-12-16 주식회사공간세라믹 보도블록의 모서리깨짐방지와 자동줄눈형성을 위한장치물과 이를 이용한 보도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125814U (zh) 一种园林道路结构
CN204875442U (zh) 人行道地砖及人行道
JP2006512519A (ja) 成形済み複合ブロック
KR100736917B1 (ko) 포도용 블록의 파손방지를 위한 블록버퍼
CN106337346A (zh) 一种城市风景园林路面施工结构
KR100736918B1 (ko) 포도용 블록의 파손방지를 위한 블록버퍼
CN105155387A (zh) 一种园林道路结构
CN211689742U (zh) 一种排水路面
CN211713563U (zh) 一种用于路面砖体铺设固定装置
CN110820458A (zh) 一种人行道地砖组合结构及其铺设施工方法
CN106544940B (zh) 一种园路桩基式汀步结构及施工工艺
KR200396342Y1 (ko) 경계석 기능을 갖는 포장재
CN110924263A (zh) 一种透水生态砖固定装置及铺设方法
CN110258246B (zh) 一种人行道路结构及其施工方法
CN214782995U (zh) 一种防积水园林路面砖及其园林道路
JPH0248484Y2 (ko)
CN109653055A (zh) 一种贯通式园路排水结构及施工工艺
CN209508747U (zh) 一种贯通式园路排水结构
CN209941424U (zh) 一种人行道用生态透水砖铺砖结构
JP3138247B2 (ja) 透水性路面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CN217174230U (zh) 一种再生混凝土预制互锁环保砖
US459754A (en) Combined curb and gutter
AU2020101094A4 (en) Paving Device
JP2000136502A (ja) 透水性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629634A (zh) 防翘、快速排水的人行道砖、路缘石装置及整体拼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