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900B1 - 오프라인 학습교재와 연계된 온라인 교육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오프라인 학습교재와 연계된 온라인 교육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900B1
KR100736900B1 KR1020060063903A KR20060063903A KR100736900B1 KR 100736900 B1 KR100736900 B1 KR 100736900B1 KR 1020060063903 A KR1020060063903 A KR 1020060063903A KR 20060063903 A KR20060063903 A KR 20060063903A KR 100736900 B1 KR100736900 B1 KR 100736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nline education
identification code
free
authentication
regis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3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5614A (ko
Inventor
이찬승
진교문
Original Assignee
(주) 능률교육
이찬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능률교육, 이찬승 filed Critical (주) 능률교육
Priority to KR1020060063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900B1/ko
Publication of KR20060085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5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프라인 학습교재와 연계된 온라인 교육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오프라인 학습교재에 온라인 교육서비스의 자유이용권을 첨부하여 판매한 상태에서 학습자가 이를 통해 일정 기간 온라인 교육서비스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시킴은 물론, 이에 따라 오프라인 학습교재 판매업자와 학습자 및 온라인 교육서비스업자 모두에게 이익이 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오프라인 학습교재와 연계된 온라인 교육서비스 방법은 각종 교육용 컨텐츠를 제공하는 온라인 교육서버가 학습자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온라인 교육서버에 의해 수행되어지되 (a) 회원인 학습자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오프라인 학습교재에 포함된 교육용 컨텐츠 자유이용권 식별코드의 등록요청이 존재하는 경우에 식별코드를 입력받아 유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b) 단계 (a)에서의 판단 결과 유효한 경우에는 학습자 클라이언트에 대한 소정의 인증 경로를 통해 인증 요청서를 전송한 후에 인증이 접수되면 당해 학습자 클라이언트에게 자유이용권 사용권한을 부여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반면에 유효하지 않거나 인증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그 등록을 거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오프라인, 교재, 온라인, 교육, 서비스, 자유이용권, 등록, 연계

Description

오프라인 학습교재와 연계된 온라인 교육서비스 방법{online education service method linked with offline teaching material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학습교재와 연계된 온라인 교육서비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
도 2a 및 도 2b 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교육서비스 방법과 연계된 오프라인 학습교재에 첨부된 자유이용권 안내서를 펼쳐놓은 상태에서의 표면 및 이면 내용을 보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학습교재와 연계된 온라인 교육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a 내지 도 4k 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학습교재와 연계된 온라인 교육서비스 방법의 각 단계에서의 웹페이지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인터넷 20. 무선통신망
100. 온라인 교육서버 110. 웹서버
120. 데이터베이스 121. 회원 DB
122. 자유이용권 발행내역 DB 123. 자유이용권 사용내역 DB
124. 컨텐츠 DB 200. 학습자 클라이언트
210. 본체 220. 모니터
230. 키보드 240. 마우스
250. 스피커 300. 이동통신 단말기
본 발명은 오프라인 학습교재와 연계된 온라인 교육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프라인 학습교재에 온라인 교육서비스의 자유이용권을 첨부하여 판매한 상태에서 학습자가 이를 통해 일정 기간 온라인 교육서비스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오프라인 학습교재와 연계된 온라인 교육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래 들어 인터넷(온라인)을 통한 각종 교육이나 강의 서비스가 오프라인의 시간 및 공간적인 제약을 받지 않는 이유로 인해 오프라인 시장에 버금갈 정도로 확대되어 가고 있음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비록 전술한 바와 같은 온라인 교육서비스를 수강함에 있어서도 오프라인 학습교재는 여전히 필요한 것이어서 온라인 교육서비스 기관에서는 자체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교육 컨텐츠를 오프라인 학습교재의 내용에 맞추어서 구성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오프라인 학습교재와 온라인 교육 컨텐츠가 상호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지만, 종래에는 오프라인 학습교재와 연계된 온라인 교육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지 않아서 학습자는 오프라인 학습교재의 구매와는 별도로 온라인 교육 컨텐츠를 유료로 이용해야만 했다.
따라서, 학습자의 입장에서는 비용을 이중으로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온라인 교육서비스의 이용을 꺼리게 되고, 결과적으로 온라인 교육서비스의 경쟁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는 것은 다시 언급하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사실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오프라인 학습교재에 온라인 교육서비스의 자유이용권을 첨부하여 판매한 상태에서 학습자가 이를 통해 일정 기간 온라인 교육서비스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입한 교재, CD(콤팩트 디스크), 테이프 및 DVD 등과 함께 온라인 강좌서비스를 이용하여 학습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오프라인 학습교재와 연계된 온라인 교육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오프라인 학습교재에 온라인 교육서비스의 자유이용권을 첨부하여 판매한 상태에서 학습자가 이를 통해 일정 기간 온라인 교육서비스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습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시킴은 물론, 이에 따라 오프라인 학습교재 판매업자와 학습자 및 온라인 교육서비스업자 모두에게 이익이 되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학습교재와 연계된 온라인 교육서비스 방법은 각종 교육용 컨텐츠를 제공하는 온라인 교육서버가 학습자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온라인 교육서버에 의해 수행되어지되, (a) 회원인 학습자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오프라인 학습교재에 포함된 교육용 컨텐츠 자유이용권 식별코드의 등록요청이 존재하는 경우에 식별코드를 입력받아 유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b) 단계 (a)에서의 판단 결과 유효한 경우에는 학습자 클라이언트에 대한 소정의 인증 경로를 통해 인증 요청서를 전송한 후에 인증이 접수되면 당해 학습자 클라이언트에게 자유이용권 사용권한을 부여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반면에 유효하지 않거나 인증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그 등록을 거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단계 (a)에서의 유효 판단은 당해 식별코드가 유효한 식별코드인지의 여부 및 기등록 여부에 의해 수행되거나 단계 (a)에서의 유효 판단은 당해 식별코드의 등록유효기간이 도과되었는지의 여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삭제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인증은 이메일 인증으로 이루어지거나 인증은 온라인 교육서버의 사이트 주소가 콜백으로 포함된 문자 메시지를 통한 인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자유이용권은 유한한 사용허가기간(등록유효기간)을 갖되 오프라인 학습교재의 종류에 따라 차등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자유이용권의 사용기간은 식별코드의 등록시부터 역법에 의해 기산되되거나 자유이용권의 사용기간은 온라인 교육서버의 접속 일수에 의해 기산될 수 있으며, 자유이용권의 사용기간은 온라인 교육서버의 접속 횟수에 의해 기산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오프라인 학습교재는 책자, 테이프, CD 또는 DVD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식별코드는 자유이용권 안내서에 기재되어지되 자유이용권 안내서는 식별코드가 노출되지 않도록 밀봉된 채로 오프라인 학습교재의 내부 또는 그 포장지 내부에 첨부되거나 학습교재와 함께 제본됨이 보다 양호하다. 이때, 식별코드는 자유이용권 안내서에 은폐용 피막에 의해 은폐됨이 보다 양호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구성에서 오프라인 학습교재의 표지 또는 포장지에는 오프라인 학습교재가 자유이용권을 향수할 수 있는 학습교재임을 나타내는 엠블럼이 인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오프라인 학습교재와 연계된 온라인 교육서비스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학습교재와 연계된 온라인 교육서비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프라인 학습교재와 연계된 온라인 교육서비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은 크게 온라인 교육서비스 기관(100 : 이하, 간단히 "온라인 교육서버"라 한다)이 유선통신망, 예를 들어 인터넷(10)을 통해 학습자의 유선 PC(200 : 이하, 이를 간단히 "학습자 클라이언트"라 한다)와 연결되고, 나아가 이동통신망, 무선 인터넷망 또는 휴대인터넷망과 같은 무선통신망(20)을 통해 학습자의 이동통신 단말기(300)와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온라인 교육서버(100)는 크게 학습자 클라이언트(200)와의 사이에서 웹통신을 담당하는 웹서버(110) 및 온라인 교육서비스와 관련한 각종 데이터들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120)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데이터베이스(120)는 학습자인 회원의 신상과 관련된 각종 정보, 예를 들어 회원 ID와 패스워드, 회원의 성명, 주소, 주민등록번호와 전화번호, 회원의 이메일 주소와 이동통신 전화번호 및 회원이 등록한 자유이용권의 식별코드(유일하게 주어질 수 있다)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회원 DB(121); 출판된 오프라인 학습교재에 첨부되어 발행된 모든 자유이용권의 식별코드와 이러한 자유이용권이 첨부된 학습교재 정보, 당해 자유이용권의 유효등록기간 및 사용허가기간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자유이용권 DB(122); 회원인 학습자의 자유이용권 식별코드, 등록일자, 사용허가기간 및 잔여기간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사용내역 DB(123); 및 각종 교육용 텍스트, 오디오(MP3 파일 형태), 비디오 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 DB(1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교육 컨텐츠의 교과목에는 큰 제한이 없는데, 예를 들어 영어 문법, 독해, 작문 또는 회화, 토익이나 토플 등이 있을 수 있고, 이외에도 국어, 수학 또는 과학 등의 각종 교과목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학습자 클라이언트(200)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컴퓨터 본체(210), 교육 컨텐츠 등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모니터(220)와 이를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스피커(250) 및 각종 항목의 입력/선택 수단으로서의 키보드(230)와 마우스(240)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컴퓨터 본체(210)에는 윈도우즈 시리즈와 같은 운영체제, 온라인 교육서버(100)와의 사이에서 웹통신에 의해 각종 웹문서나 멀티미 디어 컨텐츠를 제공받는 웹브라우저 및 온라인 교육서버(100)에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는 범용 또는 전용의 재생기 프로그램이 탑재되어야 할 것이다.
도 2a 및 도 2b 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교육서비스 방법과 연계된 오프라인 학습교재에 첨부된 자유이용권 안내서를 펼쳐놓은 상태에서의 표면 및 이면 내용을 보인 예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서 취급하는 오프라인 학습교재는 예를 들어, 각종 학습교재, 잡지 및 신문 등과 같은 책자, 테이프, CD(Compact Disk) 또는 DVD(Digital Video Disk)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학습교재 자체 또는 그 포장 안에는 도 2b 에 예시한 바와 같이 무형의 자유이용권 식별코드(이하, 이를 구체적인 실시에 따른 명칭인 "드림넘버"라고도 한다)가 들어있는 안내서가 첨부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자유이용권 안내서는 교재에 첨부되어 불특정인에게 판매되기 때문에 이러한 자유이용권 안내서에 포함된 "드림넘버"가 정당한 권한이 없는 자에게 노출되어 먼저 등록되는 경우에는 정당 구매한 학습자가 불의의 피해를 당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요구된다. 이러한 대책은 예를 들어, 자유이용권 안내서를 밀봉한 채로 교육용 책자 내부에 부착 또는 교육용 책자와 함께 제본하거나, 테이프, CD 또는 DVD의 밀봉된 포장 안에 삽입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드림넘버"가 인쇄된 부분을 즉석식 복권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은폐용 피막으로 가린 상태에서 이를 긁어내야만 비로소 "드림넘버"가 노 출되도록 함으로써 권한 없는 학습자에 의해 드림넘버가 도용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자유이용권의 사용허가기간(등록유효기간)은 학습교재의 종류에 따라 수 일(3일, 4일 및 7일 등), 수 주(2주, 3주 및 4주 등) 및 수 개월(1개월, 2개월 및 3개월 등) 등으로 차별을 둘 수 있고, 등록유효기간은 사용 편의성, 실효성 및 데이터베이스 관리 효율성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용 가능한 교육 컨텐츠의 종류로는 당해 학습교재에 국한된 컨텐츠나 당해 학습과목과 관련된 컨텐츠 또는 온라인 교육서버(100)가 제공하는 모든 컨텐츠 등으로 차별을 둘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교재의 표지나 포장지 및 자유이용권 안내서 등에 당해 학습교재가 자유이용권 혜택이 주어지는 교재임을 나타내는 엠블럼을 그 사용허가기간(등록유효기간)과 함께 인쇄함으로써 학습자에게 당해 학습교재의 구매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2 로 돌아가서,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이용권 안내서의 그 표면의 양단에는 밀봉 상태에서 이면에 인쇄되어 있는 "드림넘버"에 접근하기 위한 절취 안내선과 안내 문구가 인쇄되어 있고, 그 중앙에는 앰블럼이 인쇄되어 있으며, 기타 간단한 주의사항이 적소에 인쇄되어 있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한편, 자유이용권 안내서의 이면에는 "드림넘버"와 이를 온라인 교육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등록시의 유의사항 및 이를 통해 누릴 수 있는 각종 교육용 컨텐츠 정보가 인쇄된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도 2b 에서는 은폐용 피막이 벗겨져서 드림넘버가 노출되어 있는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학습교재와 연계된 온라인 교육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a 내지 도 4k 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학습교재와 연계된 온라인 교육서비스 방법의 각 단계에서의 웹페이지 예시도이다.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온라인 교육서버(100)의 웹서버(110)가 주체가 되어 수행함을 밝혀둔다.
먼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온라인 교육서버(100)와 연계된 오프라인 학습교재를 구매한 학습자가 "드림넘버"를 등록하기 위해서는 자유이용권 안내서에 기재된 안내에 따라 온라인 교육서버의 웹사이트(www.et-house.com)에 접속(단계 S10)을 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단계 S12에서는 현재 접속한 학습자 클라이언트(200)가 회원인지를 판단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자유이용권은 회원에게만 부여되는 권리이기 때문에 회원이 아닌 경우에는 단계 S14로 진행하여 회원 가입을 유도한 후에 전술한 바와 같은 회원의 각종 신상정보를 입력받아 회원으로 등록하게 되는데 이러한 회원정보에는 인증을 위한 이메일 주소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단계 S16에서는 회원 ID와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로그인을 수행하고, 다시 단계 S18에서는 자유이용권 식별코드(드림넘버) 등록 메뉴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도 4a 는 본 발명에 따른 단계 S10의 접속에 따라 학습자 클라이언트(200)에게 최초로 디스플레이되는 온라인 교육서버(100)의 메인페이지 예시도로, 그 우측 상단과 중단에는 각각 "드림넘버등록" 메뉴가 표시되어 있고, 나아가 로그인창 및 "회원가입" 메뉴도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학습자 클라이언트(200)가 "드림넘버등록" 메뉴를 마우스로 클릭(이하 같다)하게 되면 도 4b 에 도시한 바와 같은 "드림넘버등록" 페이지가 학습자 클라이언트(200)에게 전송되어 디스플레이되는데, 이러한 "드림넘버등록" 페이지에는 "드림넘버등록"과 관련된 각종 유의사항이 표시되어 있다.
나아가, "드림넘버등록" 버튼이 표시되어 있는데 학습자 클라이언트(200)가 이러한 "드림넘버등록"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도 4c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로그인 및 회원가입 유도창이 뜨게 된다. 물론, 학습자 클라이언트(200)가 로그인을 미리 수행한 경우에는 이 창이 뜨지 않을 것인바, 학습자 클라이언트(200)가 회원가입과 로그인 절차를 모두 마친 후에는 도 4d 와 같은 "인증번호"(드림넘버와 같은 개념임) 등록창이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다시 도 3 으로 돌아가서, 단계 S20에서는 도 4d 에 예시된 "인증번호" 등록창을 통해 인증번호인 "자유이용권 식별코드(드림넘버)"를 학습자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입력받는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자유이용권 식별코드(드림넘버)의 인증을 이메일을 통해서 수행하는데, 이는 유한한 사용허가기간(등록유효기간)을 갖는 자유이용권의 기간계산이 등록시부터 이루어지기 때문에 등록에 앞서 충분한 숙고기간을 주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학습자 클라이언트(200)는 "드림넘버" 등록창에 나타나는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재확인할 필요가 있다.
도 4e 는 학습자 클라이언트(200)에 의해 인증번호가 입력된 상태를 예시하는 화면인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인증번호(드림넘버 또는 자유이용권 식별코드) 는 소정 자리수, 예를 들어 16자리수의 숫자와 영문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3 으로 돌아가서, 단계 S22에서는 단계 S20에서 입력받은 자유이용권 식별코드(드림넘버 또는 인증번호)가 유효한 식별코드, 즉 자유이용권 발행내역 DB(122)에 사전 등록된 식별코드인지를 판단한다. 단계 S22에서의 판단 결과 입력된 식별코드가 등록 식별코드, 즉 유효하게 발행된 식별코드인 경우에는 다시 단계 S24에서 자유이용권 발행내역 DB(122)를 조회하여 당해 식별코드가 등록유효기간을 도과한 식별코드인지를 판단한다. 단계 S24에서의 판단 결과 등록유효기간이 도과하지 않은 식별코드인 경우에는 다시 단계 S26에서 자유이용권 사용내역 DB(123)를 조회하여 이미 등록된 식별코드인지를 판단한다.
전술한 단계 S26에서의 판단 결과 이미 등록된 식별코드도 아닌 경우에는 단계 S28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회원 가입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로 인증요청서를 전송하게 된다. 다음으로, 단계 S30에서는 학습자 클라이언트(200)로부터의 인증이 접수되었는지를 판단하는데, 접수된 경우에는 단계 S32로 진행하여 당해 학습자 클라이언트에 대해 당일자로 자유이용권 사용권한을 부여하고 이를 자유이용권 사용내역 DB(123)에 등록하게 된다.
도 4f 및 도 4g 는 각각 이러한 인증번호(식별코드 또는 드림넘버)의 등록완료 전 공지 및 재공지에 관한 예시화면이다. 도 4h 는 드림넘버 등록 후 메일 인증 전의 마이 페이지 예시 화면으로, 학습자 클라이언트(200)는 이를 통해 유효사용기간이나 인증 여부 등을 확인할 수가 있다.
도 4i 는 학습자 클라이언트에게 전송되는 인증요청서의 예시 화면이다. 도 4i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인증요청서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이메일 인증" 버튼과 "이메일 수신거부" 버튼이 표시되어 있는데, "이메일 인증" 버튼이 클릭된 경우에는 인증이 접수되게 되고, 도 4j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서비스 시작 알림 메일이 학습자 클라이언트(200)에게 전송되게 된다.
한편, 도 4i 의 예시 화면에서 "이메일 수신거부" 버튼이 클릭된 경우에는 해당 이메일의 주소는 회원 DB(121)에서 오류 메일 주소로 인식되어 메일이 발송되지 않게 되는데, 이에 따라 학습자 클라이언트(200)는 도 4h 에 예시한 "마이 페이지" 화면에서 "메일인증 다시하기"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메일 인증을 재요청할 수가 있는데, 도 4k 는 이에 의해 나타나는 이메일 주소수정창의 예시화면이다.
다시 도 3 으로 돌아가서, 단계 S22에서 유효 식별코드가 아니거나 단계 S24에서 등록유효기간이 도과하였거나 단계 S28에서 기등록된 식별코드이거나 단계 S30에서 인증이 접수되지 않은 경우에는 프로그램은 바로 종료된다.
한편, 전술한 단계 S18에서 자유이용권 등록 메뉴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34로 진행하여 학습자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유료 컨텐츠의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34에서의 판단 결과 유료 컨텐츠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다시 단계 S36에서 자유이용권 사용내역 DB(123)를 조회하여 등록된 자유이용권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36에서의 판단 결과 등록된 자유이용권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다시 단계 S38에서 자유이용권 사용내역 DB(123)를 조회하여 당해 자유이용권이 사용허가기간 이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데, 사용허가기간 이내에 있는 경우 에는 단계 S40으로 진행하여 요청된 유료 컨텐츠를 학습자 클라이언트(200)에게 제공하게 된다.
반면에, 단계 S36에서 등록된 자유이용권이 존재하지 않거나 단계 S38에서 사용허가기간을 도과한 경우에는 이를 무시하고 프로그램을 종료하게 된다.
본 발명의 오프라인 학습교재와 연계된 온라인 교육서비스 방법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사용기간을 계산함에 있어서 단순히 역법에 의하지 않고 실제 접속한 일수에 의해 계산할 수도 있으며, 이메일 인증을 대체하거나 이메일 인증과 병행하여 온라인 교육서버의 웹사이트 URL이 콜백으로 내재된 문자 메시지를 학습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여 이를 통해 인증을 접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교육 컨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학습교재와 연계된 온라인 교육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오프라인 학습교재에 온라인 교육서비스의 자유이용권을 첨부하여 판매한 상태에서 학습자가 이를 통해 일정 기간 온라인 교육서비스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입한 교재, CD(콤팩트 디스크), 테이프 및 DVD 등과 함께 온라인 강좌서비스를 이용하여 학습의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발현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오프라인 학습교재에 온라인 교육서비스의 자유이용권을 첨부하여 판매한 상태에서 학습자가 이를 통해 일정 기간 온라인 교육서비스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습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이에 따라 오프라인 학습교재 판매업자와 학습자 및 온라인 교육서비스업자 모두에게 이익이 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각종 교육용 컨텐츠를 제공하는 온라인 교육서버가 학습자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온라인 교육서버에 의해 수행되어지되,
    (a) 회원인 상기 학습자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오프라인 학습교재에 포함된 상기 교육용 컨텐츠 자유이용권 식별코드의 등록요청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식별코드를 입력받아 유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 (a)에서의 판단 결과 유효한 경우에는 상기 학습자 클라이언트에 대한 소정의 인증 경로를 통해 인증 요청서를 전송한 후에 인증이 접수되면 당해 학습자 클라이언트에게 자유이용권 사용권한을 부여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반면에 유효하지 않거나 인증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그 등록을 거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오프라인 학습교재와 연계된 온라인 교육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의 유효 판단은 당해 식별코드가 유효한 식별코드인지의 여부 및 기등록 여부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학습교재와 연계된 온라인 교육서비스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의 유효 판단은 당해 식별코드의 등록유효기간이 도과되었는지의 여부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학습교재와 연계된 온라인 교육서비스 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은 이메일 인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학습교재와 연계된 온라인 교육서비스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은 상기 온라인 교육서버의 사이트 주소가 콜백으로 포함된 문자 메시지를 통한 인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학습교재와 연계된 온라인 교육서비스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이용권의 유한한 사용허가기간(등록유효기간)을 갖되 상기 오프라인 학습교재의 종류에 따라 차등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학습교재와 연계된 온라인 교육서비스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이용권의 사용기간은 상기 식별코드의 등록시부터 역법에 의해 기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학습교재와 연계된 온라인 교육서비스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이용권의 사용기간은 상기 온라인 교육서버의 접속 일수에 의해 기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학습교재와 연계된 온라인 교육서비스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이용권의 사용기간은 상기 온라인 교육서버의 접속 횟수에 의해 기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학습교재와 연계된 온라인 교육서비스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또는 제 5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학습교재는 책자, 테이프, CD 또는 DVD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학습교재와 연계된 온라인 교육서비스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코드는 자유이용권 안내서에 기재되어지되 상기 자유이용권 안내서는 상기 식별코드가 노출되지 않도록 밀봉된 채로 상기 오프라인 학습교재의 내부 또는 그 포장지 내부에 첨부되거나 상기 학습교재와 함께 제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학습교재와 연계된 온라인 교육서비스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코드는 자유이용권 안내서에 은폐용 피막에 의해 은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학습교재와 연계된 온라인 교육서 비스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학습교재의 표지 또는 포장지에는 상기 오프라인 학습교재가 자유이용권을 향수할 수 있는 학습교재임을 나타내는 엠블럼이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학습교재와 연계된 온라인 교육서비스 방법.
KR1020060063903A 2006-07-07 2006-07-07 오프라인 학습교재와 연계된 온라인 교육서비스 방법 KR100736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903A KR100736900B1 (ko) 2006-07-07 2006-07-07 오프라인 학습교재와 연계된 온라인 교육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903A KR100736900B1 (ko) 2006-07-07 2006-07-07 오프라인 학습교재와 연계된 온라인 교육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614A KR20060085614A (ko) 2006-07-27
KR100736900B1 true KR100736900B1 (ko) 2007-07-10

Family

ID=37175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3903A KR100736900B1 (ko) 2006-07-07 2006-07-07 오프라인 학습교재와 연계된 온라인 교육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9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275B1 (ko) * 2007-05-16 2010-04-30 김장수 학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8715B1 (ko) 2000-05-13 2003-01-24 (주) 마이프랜드넷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결합된 교재출판 및 그 사용방법
KR100441061B1 (ko) 2000-12-11 2004-07-19 주식회사 아이원에듀테인먼트 인터넷 멀티미디어 유아교육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8715B1 (ko) 2000-05-13 2003-01-24 (주) 마이프랜드넷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결합된 교재출판 및 그 사용방법
KR100441061B1 (ko) 2000-12-11 2004-07-19 주식회사 아이원에듀테인먼트 인터넷 멀티미디어 유아교육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614A (ko) 2006-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plin et al. A legal guide for student affairs professionals.
Strange et al. Educating by Design: Creating Campus Learning Environments That Work. The Jossey-Bass Higher and Adult Education Series.
Sutherland-Smith et al. You don’t always get what you pay for: User experiences of engaging with contract cheating sites
Zuckerman The paper office: Forms, guidelines, and resources to make your practice work ethically, legally, and profitably
Kavanagh et al. Libraries for the Blind in the Information Age-Guidelines for development
KR100700333B1 (ko) 교육 블로그를 통한 웹기반의 전자책 출판 시스템
Vanacker Returning students’ right to access, choice and notice: A proposed code of ethics for instructors using Turnitin
KR100736900B1 (ko) 오프라인 학습교재와 연계된 온라인 교육서비스 방법
Dickerson Facilitated plagiarism: The saga of term-paper mills and the failure of legislation and litigation to control them
KR20120134286A (ko) 펜 컴퓨팅 전용펜과 펜 컴퓨팅 입력 장치를 사용한 온라인 전자문제집 시스템 및 그 방법
Hawke Computer and Internet Use on Campus: A Legal Guide to Issues of Intellectual Property, Free Speech, and Privacy. The Jossey-Bass Higher and Adult Education Series.
Vaillancourt Bare Bones Young Adult Services: Tips for Public Library Generalists.
Jones et al. Do It Right! Best Practices for Serving Young Adults in School and Public Libraries. Teens@ the Library Series.
Williams Public procurement
Needham et al. Ethical issues in providing library services to distance learners
Shepherd et al. Communication access in the library for individuals who use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Kawooya Does Africa’s LIS education address new forms of digital content and related right?
Macklem et al. Fair Dealing, Online Teaching and Technological Neutrality: Lessons From the COVID-19 Crisis
FI118358B (fi) Digitaalisen mediasisällön käytön kontrollointimenetelmä
Ezell How to identify diploma mills and axact websites, and tools for your protection
Smith Internet Policy Handbook for Libraries. Neal-Schuman NetGuide Series.
Richmond et al. Business fundamentals for the rehabilitation professional
Coulson Arbitration in the Schools. An Analysis of Fifty-Nine Grievance Arbitration Cases.
Rovin A curriculum for primary care dentistry
JP2007086974A (ja) 印刷教材を入手した受講者のみに授業データのダウンロードを許す講座提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