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610B1 - camera lens module - Google Patents

camera lens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610B1
KR100736610B1 KR1020050059698A KR20050059698A KR100736610B1 KR 100736610 B1 KR100736610 B1 KR 100736610B1 KR 1020050059698 A KR1020050059698 A KR 1020050059698A KR 20050059698 A KR20050059698 A KR 20050059698A KR 100736610 B1 KR100736610 B1 KR 100736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variable focus
positive
modul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96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04250A (en
Inventor
문희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9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610B1/en
Publication of KR20070004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42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6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10Mirrors with curved fa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es (AREA)

Abstract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렌즈 모듈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굴절률을 갖는 다수의 렌즈들이 배열된 렌즈군과, 렌즈군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외부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곡면의 값을 다르게 변경하여 상기 렌즈군으로부터 굴절된 이미지를 자동 포커싱하는 가변 초점 미러와, 가변 초점 미러로부터 자동 포커싱된 이미지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 camera lens module for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lens group in which a plurality of lenses having a predetermined refractive index are arranged, and spaced apart from the lens group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curved surface is changed differently according to an external electrical signal. And a sensor for sensing an autofocused image from the variable focus mirror.

가변 초점 미러, 렌즈군, 센서, 곡면, 포커싱 Varifocal mirror, lens group, sensor, curved surface, focusing

Description

카메라 렌즈 모듈{camera lens module}Camera lens module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 제 1 내지 제 5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을 보여주는 단면도1A to 1E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camera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초점 미러의 측면도2A is a side view of a variable focus mirro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초점 미러의 평면도2b is a plan view of a variable focus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렌즈군 2 : 가변 초점 미러1: lens group 2: varifocal mirror

3 : 센서 4 : 광 분할부3: sensor 4: light splitter

5 - 7 : 제 1 - 제 3 렌즈 8 : 조리개5-7: 1st-3rd lens 8: Aperture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 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렌즈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lens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mera lens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최근 휴대폰이나 PDA 등의 휴대용 단말기에 카메라가 일체형으로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 제품을 소비자에게 보급하는 경향이 주류를 형성하고 있다.Recently, the trend of distributing portable terminal products in which cameras are integrated into portab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and PDAs to consumers has formed a mainstream.

이와 같은 카메라들은 CCD, CMOS 등의 촬상 소자에 렌즈를 부착시켜 피사체 를 촬상하고, 촬상된 피사체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를 통하여 기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Such cameras are configured to attach a lens to an imaging device such as a CCD or a CMOS to photograph a subject, and to record the photographed subject data through a predetermined recording medium.

일반적으로 카메라 렌즈 모듈에서, 카메라 렌즈는 포커싱(focusing)을 하기 위한 수단이므로, 렌즈의 이동을 위한 구동 수단이 필요하다.In general, in the camera lens module, since the camera lens is a means for focusing, a driving means for moving the lens is required.

따라서, 종래에는 이동 수단으로서, DC 모터, 스텝 모터(step moter), 피에조 모터(piezo motor) 및 VCM(Voice Coil Motor) 등이 사용되었다.Therefore, conventionally, as a moving means, a DC motor, a step motor, a piezo motor, a voice coil motor (VCM), and the like have been used.

즉, 기존의 카메라 렌즈는 상기 이동 수단에 의해 이동되어 거리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자동으로 포커싱된다.That is, the existing camera lens is moved by the moving means and is automatically focused by adjusting the distance interval.

그러나, 기존의 카메라 렌즈 모듈은 렌즈를 이동시켜 포커싱해야 하므로, 렌즈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수단이 필요하고 렌즈가 이동할 수 있는 거리 및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camera lens module needs to move and focus the lens, a moving means for moving the lens is required and a distance and a space for moving the lens must be secured.

따라서, 기존의 카메라 렌즈 모듈은 렌즈 모듈을 소형화시키는데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Therefore, the existing camera lens module ha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apply to downsizing the lens module.

또한, 기존의 카메라 렌즈 모듈에서, 사용되는 이동 수단으로서, VCM은 렌즈가 포커싱하는 동안 전력이 계속 공급되어야 하므로 전력 낭비의 문제가 있었고, 피에조 모터는 온도 및 위치 제어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DC 모터는 정밀도가 떨어지고 및 크기가 크며, 스텝 모터는 소음이 큰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camera lens module, as a moving means used, the VCM has a problem of power waste because the power must be continuously supplied while the lens is focused, the piezo motor has a problem of difficult temperature and position control, DC motor Has a problem of low precision and large size, and the stepper motor has a big noise.

이와 같이, 이동 수단을 갖는 카메라 렌즈 모듈은 렌즈 모듈 이동시, 기구 및 조립 공차에 의해 틸트(tilt) 등이 발생되며, 낙하 충격 등에 약한 문제가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camera lens module having the moving means generates a tilt or the like due to a mechanism and assembly tolerances when the lens module moves, and has a weak problem in dropping impact.

특히, VCM은 판 스프링을 사용하는 구조이므로 낙하 충격 등에 의해 변형이 발생할 수가 있다.In particular, VCM is a structure that uses a leaf spring, so deformation may occur due to drop impact.

그리고, 기존의 카메라 렌즈 모듈은 렌즈가 이동하기 때문에 포커싱 속도가 각 소자의 특성에 따라 달라서 전자 또는 전기적 제어 속도에 못 미치는 경향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camera lens module, since the lens moves, the focusing speed is different from the electronic or electrical control speed because the focusing speed vari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evice.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렌즈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수단이 없는 새로운 형태로 카메라 렌즈 모듈을 구성함으로써,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problems, and to provide a camera lens module that can be downsized by configuring a camera lens module in a new form without a moving means for moving the len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렌즈의 이동 없이 포커싱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신뢰성이 향상되고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mera lens module that can improve reliability and reduce power consumption by performing a focusing function without moving the lens.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은 소정의 굴절률을 갖는 다수의 렌즈들이 배열된 렌즈군과, 렌즈군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외부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곡면의 값을 다르게 변경하여 상기 렌즈군으로부터 굴절된 이미지를 자동 포커싱하는 가변 초점 미러와, 이 가변 초점 미러로부터 자동 포커싱된 이미지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amera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lens group in which a plurality of lenses having a predetermined refractive index are arranged,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lens group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s different from the lens group by changing a value of a curved surface according to an external electrical signal. And a sensor for sensing an autofocused image from the variable focus mirror.

여기서, 렌즈군은 양면이 네거티브(negative)인 제 1 렌즈와, 제 1 렌즈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양면 중 일면은 네거티브(negative)이고 다른 일면은 포지티브(positive)인 제 2 렌즈와, 제 2 렌즈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양면 중 일면은 포지티브이고 다른 일면은 네거티브인 제 3 렌즈와, 제 1 렌즈 앞쪽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거나 또는 제 1 렌즈와 제 2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조리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in, the lens group includes a first lens having both sides negative, a second len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lens, one side of the both sides being negative, and the other side being positive; A third lens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two lense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one side of the two surfaces being positive and the other surface negative, and an apertur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front of the first lens or disposed between the first lens and the second lens.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또한, 렌즈군은 양면이 네거티브(negative)인 제 1 렌즈와, 제 1 렌즈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양면이 포지티브(positive)인 제 2 렌즈와, 제 2 렌즈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양면 중 일면은 포지티브이고 다른 일면은 네거티브인 제 3 렌즈와, 제 2 렌즈와 제 3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조리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s group includes a first lens having both sides negative, a second len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the first lens, and having a positive surface on both sides, and a second len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lens. One sid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hird lens that is positive and the other surface is negative, and an apertur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lens and the third lens.

그리고, 렌즈군은 양면이 포지티브(positive)인 제 1 렌즈와, 제 1 렌즈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양면 중 일면은 포지티브이고 다른 일면은 네거티브인 제 2 렌즈와, 제 1 렌즈와 제 2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조리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The lens group includes a first lens having both surfaces positive, a second len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lens, one of which is positive and one of which is negative, and a first lens and a second lens.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aperture disposed between.

그리고, 본 발명은 렌즈군과 가변 초점 미러 사이에 배치되고, 렌즈군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키고, 가변 초점 미러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광 분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ight splitter disposed between the lens group and the variable focus mirror to transmit light incident from the lens group and reflect light incident from the variable focus mirror.

여기서, 광 분할부는 빔 스플리터(beam splitter) 또는 프리즘일 수 있으며, 가변 초점 미러의 표면은 광 분할부로부터 입사되는 광 축에 대해 수직할 수 있다.Here, the light splitter may be a beam splitter or a prism, and the surface of the variable focus mirror may b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incident from the light splitter.

가변 초점 미러의 표면은 전기적 신호에 의해 자유 곡면을 가지고, 자유 곡면은 표면의 X축 방향으로는 대칭이고 Y축 방향으로는 비대칭이도록 제작 가능하며, 전기적 신호에 의해 회전 가능할 수도 있다.The surface of the variable focus mirror has a free curved surface by an electrical signal, and the free curved surface may be manufactured to be symmetrical in the X-axis direction and asymmetrical in the Y-axis direction, and may be rotatable by an electrical signal.

그리고, 가변 초점 미러의 표면은 렌즈군으로부터 입사되는 광 축에 대해 소정의 기울기를 가질 수 있으며, 센서는 가변 초점 미러로부터 반사된 광 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 위치하거나 또는 가변 초점 미러를 마주보는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variable focus mirror may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incident from the lens group, and the sensor is loc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reflected from the variable focus mirror or faces the variable focus mirror. It can be located in the direc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by it will be described as at least one embodiment,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its cor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is not limited.

본 발명의 개념은 렌즈군과 센서 사이에 포커싱 기능을 수행하는 가변 초점 미러를 배치하여 렌즈군의 이동 없이도 이미지를 포커싱할 수 있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mera lens module that can focus the image without moving the lens group by arranging a variable focus mirror that performs a focusing function between the lens group and the sensor.

도 1a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1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amera lens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 1 실시예는 렌즈군(1), 가변 초점 미러(2), 센서(3)로 크게 구성된다.First, as shown in FIG. 1A,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a lens group 1, a variable focus mirror 2, and a sensor 3.

여기서, 렌즈군(1)은 소정의 굴절률을 갖는 다수의 렌즈들로 구성되고, 렌즈군(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구면을 가질 수 있다.Here, the lens group 1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nses having a predetermined refractive index, and the lens group 1 may have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본 발명의 렌즈군(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와, 하나의 조리개로 구성되 는데, 제 1 실시예의 렌즈군(1)은 제 1 렌즈(5), 제 2 렌즈(6), 제 3 렌즈(7), 그리고 조리개(8)로 구성된다.The lens group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t least one lens and one aperture. The lens group 1 of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lens 5, a second lens 6, and a third lens. (7), and the aperture (8).

제 1 렌즈(5)는 양면이 네거티브(negative)이고, 제 2 렌즈(6)는 제 1 렌즈(5)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양면 중 일면은 네거티브(negative)이고 다른 일면은 포지티브(positive)이다.Both surfaces of the first lens 5 are negative, and the second lens 6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ens 5 by a predetermined interval, one side of the both surfaces is negative,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lens 5 is negative. positive.

여기서, 제 2 렌즈(6)의 네거티브 면은 제 1 렌즈(5)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Here, the negative surface of the second lens 6 is arranged to be adjacent to the first lens 5.

그리고, 제 3 렌즈(7)는 제 2 렌즈(6)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양면 중 일면은 포지티브이고 다른 일면은 네거티브이다.The third lens 7 is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lens 6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one surface of both surfaces is positive and the other surface is negative.

여기서, 제 3 렌즈(7)의 포지티브 면은 제 2 렌즈(6)의 포지티브 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Here, the positive face of the third lens 7 is arranged to be adjacent to the positive face of the second lens 6.

이 때, 제 1 렌즈(5)와 제 3 렌즈(7)의 초점 거리는 0보다 크고, 제 1 렌즈(5)의 초점 거리가 제 3 렌즈(7)의 초점 거리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ocal length of the first lens 5 and the third lens 7 is greater than zero, and the focal length of the first lens 5 is larger than the focal length of the third lens 7.

또한, 조리개(8)는 제 1 렌즈(5)와 제 2 렌즈(6) 사이에 배치되어 빛을 단속한다.In addition, the diaphragm 8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lens 5 and the second lens 6 to interrupt the light.

한편, 가변 초점 미러(2)는 렌즈군(1)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외부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렌즈군(1)으로부터 굴절된 이미지를 자동 포커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variable focus mirror 2 is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lens group 1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performs a function of automatically focusing an image refracted from the lens group 1 according to an external electrical signal.

여기서, 가변 초점 미러(2)의 표면은 전기적 신호에 의해 자유 곡면을 가지는데, 자유 곡면은 미러 표면의 X축 방향으로는 대칭이고 Y축 방향으로는 비대칭 구조를 갖는다.Here, the surface of the variable focus mirror 2 has a free curved surface by an electrical signal, which is symmetrical in the X-axis direction and asymmetrical in the Y-axis direction of the mirror surface.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초점 미러의 측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초점 미러의 평면도이다.2A is a side view of the variable focus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B is a plan view of the variable focus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초점 미러(2)의 자유 곡면은 Y축 방향으로는 대칭 구조를 갖지 아니하고, X축 방향으로는 대칭 구조를 가져야 한다.As shown in Figs. 2A and 2B, the free curved surface of the variable focus mirror 2 should not have a symmetrical structure in the Y-axis direction, but should have a symmetrical structure in the X-axis direction.

즉, 자유 곡면은 Y축을 중심으로 선대칭이 된다.That is, the free curved surface is line symmetrical about the Y axis.

경우에 따라서, 가변 초점 미러(2)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회전 가능하다.In some cases, the variable focus mirror 2 is rotatable by an electrical signal.

가변 초점 미러(2)는 렌즈군(1)으로부터 입사되는 광 축에 대해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입사되는 광 축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The variable focus mirror 2 may be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incident from the lens group 1, and in some cases,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ly to the incident optical axis.

또한, 가변 초점 미러(2)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곡면을 설계치에 맞게 변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ariable focus mirror 2 can deform the curved surface according to a design value by an electrical signal.

따라서, 가변 초점 미러(2)는 포커싱을 위해 전기적 신호를 변경하여 곡면의 값을 다르게 변경함으로써, 마치 렌즈의 곡률 반경을 바꾸어 포커싱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Therefore, the variable focus mirror 2 changes the electrical signal for focusing to change the value of the curved surface, thereby changing the curvature radius of the lens to perform the focusing.

이와 같이, 가변 초점 미러(2)는 기구적인 요소 없이 마이크론 단위의 변형만으로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어, 신뢰성이 보장되고 전력 소모가 적으며 소형화가 가능하다.As such, the variable focus mirror 2 can perform focusing only by micron-deformation without any mechanical element, thereby ensuring reliability, low power consumption, and miniaturization.

한편, 센서(3)는 가변 초점 미러(2)로부터 반사된 광 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 위치하거나 또는 가변 초점 미러(2)를 마주보는 방향에 위치하여, 가변 초점 미 러(2)로부터 자동 포커싱된 이미지를 센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sensor 3 is loc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reflected from the variable focus mirror 2 or in a direction facing the variable focus mirror 2, so that the sensor 3 is automatically moved from the variable focus mirror 2. It senses the focused image.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Thus,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is operated as follows.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렌즈군(1)은 외부의 이미지를 결상하기 위해 광을 모으는데, 광에 대한 색 수차, 왜곡 수차, 구면 수차, 코마 수차 등을 보정한다.As shown in FIG. 1A, first, the lens group 1 collects light to form an external image, and corrects chromatic aberration, distortion, spherical aberration, coma, and the like with respect to the light.

이어, 가변 초점 미러(2)는 렌즈군(1)으로부터 광이 입사되면, 전기적 신호에 의해 곡면을 변경하여 포커싱 기능을 수행한다.Subsequently, when light is incident from the lens group 1, the variable focus mirror 2 changes a curved surface by an electrical signal to perform a focusing function.

다음, 센서(3)는 포커싱된 이미지를 센싱한다.The sensor 3 then senses the focused image.

이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은 기존과 같이 렌즈의 이동 없이도 가변 초점 미러에 의해 자동 포커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신뢰성이 보장되고 전력 소모가 적으며 소형화가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camera lens module opera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the auto focusing function by the variable focus mirror without moving the lens as in the prior art, thereby ensuring reliability, low power consumption, and miniaturization.

도 1b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1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amera lens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 제 2 실시예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조리개(8)의 위치만이 다르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nly the position of the diaphragm 8 is different.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군(1)은 양면이 네거티브(negative)인 제 1 렌즈(5)와, 제 1 렌즈(5)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양면 중 일면은 네거티브(negative)이고 다른 일면은 포지티브(positive)인 제 2 렌즈(6)와, 제 2 렌즈(6)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양면 중 일면은 포지티브이고 다른 일면은 네거티브인 제 3 렌즈(7)와, 제 1 렌즈(5) 앞쪽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조리개(8)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B, the lens group 1 is disposed with a first lens 5 having both sides negative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ens 5, and one side of both surfaces is negative. And a second lens 6, the other one of which is positive, and a third lens 7, which is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lens 6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ne of which is positive and the other of which is negative; 1 is composed of a diaphragm (8)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front of the lens (5).

조리개(8)가 제 1 렌즈(5) 앞에 위치하는 경우, 광로의 길이가 본 발명 제 1 실시예보다는 더 길어지는 점이 다르며 그 외의 성능 및 효과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When the diaphragm 8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first lens 5, the length of the optical path is longer than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ther performances and effect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c는 본 발명 제 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1C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amera lens module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군(1)은 양면이 네거티브(negative)인 제 1 렌즈(5)와, 제 1 렌즈(5)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양면이 포지티브(positive)인 제 2 렌즈(6)와, 제 2 렌즈(6)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양면 중 일면은 포지티브이고 다른 일면은 네거티브인 제 3 렌즈(7)와, 제 2 렌즈(6)와 제 3 렌즈(7) 사이에 배치되는 조리개(8)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C, the lens group 1 includes a first lens 5 having both sides negative and a first lens 5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lens 5 and having both sides positive. A second lens 6, a third lens 7 which is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lens 6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one surface of the both surfaces is positive and the other surface is negative, and the second lens 6 and the third lens ( 7) the diaphragm 8 is arranged between.

여기서, 제 3 렌즈(7)의 포지티브 면은 제 2 렌즈(6)에 인접해 있도록 배치된다.Here, the positive surface of the third lens 7 is arranged to be adjacent to the second lens 6.

그리고, 제 1 렌즈(5)와 제 3 렌즈(7)의 초점 거리는 0보다 크고, 제 1 렌즈(5)의 초점 거리가 제 3 렌즈(7)의 초점 거리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The focal length of the first lens 5 and the third lens 7 is preferably greater than zero, and the focal length of the first lens 5 is larger than the focal length of the third lens 7.

본 발명 제 3 실시예는 제 1 렌즈(5)가 다른 렌즈들에 비해 더 큰 것이 특징이다.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lens 5 is larger than the other lenses.

도 1d는 본 발명 제 4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1D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amera lens module according to a four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군(1)은 양면이 포지티브(positive)인 제 1 렌즈(5)와, 제 1 렌즈(5)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양면 중 일면은 포지티브이고 다른 일면은 네거티브인 제 2 렌즈(6)와, 제 1 렌즈(5)와 제 2 렌즈(6) 사이에 배치되는 조리개(8)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D, the lens group 1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ens 5 having a positive surface on both side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lens 5, and one side of the lens group is positive and the other surface. Is composed of a negative second lens 6 and an aperture 8 disposed between the first lens 5 and the second lens 6.

여기서, 제 2 렌즈(6)의 포지티브 면은 제 1 렌즈(5)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Here, the positive surface of the second lens 6 is arranged to be adjacent to the first lens 5.

본 발명 제 4 실시예는 렌즈를 두 개만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using only two lenses.

도 1e는 본 발명 제 5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1E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amera lens module according to a fif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 5 실시예는 렌즈군(1)과 가변 초점 미러(2) 사이에 광 분할부(4)를 배치하는 것이 특징이다.As shown in Fig. 1E,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splitting portion 4 is disposed between the lens group 1 and the variable focus mirror 2.

여기서, 광 분할부(4)는 빔 스플리터(beam splitter), 패널 형태의 빔 스플리터, TIR 프리즘 등을 사용할 수 있다.Here, the light splitter 4 may use a beam splitter, a panel splitter, a TIR prism, or the like.

광 분할부(4)는 렌즈군(1)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키고, 가변 초점 미러(2)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센서(3)로 반사시킨다.The light splitter 4 transmits the light incident from the lens group 1 and reflects the light incident from the variable focus mirror 2 to the sensor 3.

이 경우, 가변 초점 미러(2)의 표면은 광 분할부(4)로부터 입사되는 광 축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이 특징이다.In this case, the surface of the variable focus mirror 2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incident from the light splitting section 4.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은 포커싱을 위해 렌즈를 이동시키는 기구적인 장치들이 필요 없기 때문에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므로 모바일 폰과 같이 작은 공간을 갖는 환경에서도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다.As such, the camera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nfigured in various forms, can be easily applied even in an environment having a small space, such as a mobile phone, since it is possible to miniaturize and reduce the weight because no mechanical device for moving the lens is required for focusing. hav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은 가변 초점 미러를 사용하여 포커싱 기능을 수행하므로, 크기를 소형화하고 경량화가 가능하므로, 모바일 폰 등 휴대가능한 기기들에 적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다양한 설계가 가능하므로 응용 분야가 넓다.As described above, the camera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focusing function using a varifocal mirror, so that the size and size of the camera lens can be reduced, and can be applied to portable devices such as a mobile phone. It is possible to design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그리고, 본 발명은 렌즈 이동 없이 포커싱 기능을 수행하므로, 신뢰성이 향상되고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focusing function without moving the lens, the reliability is improved and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Claims (18)

소정의 굴절률을 갖는 다수의 렌즈들이 배열된 렌즈군;A lens group in which a plurality of lenses having a predetermined refractive index are arranged; 상기 렌즈군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외부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곡면의 값을 다르게 변경하여 상기 렌즈군으로부터 굴절된 이미지를 자동 포커싱하는 가변 초점 미러; 그리고,A variable focus mirror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lens group and automatically focusing an image refracted from the lens group by changing a value of a curved surface according to an external electrical signal; And, 상기 가변 초점 미러로부터 자동 포커싱된 이미지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And a sensor for sensing an autofocused image from the varifocal mirr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군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The camera lens module of claim 1, wherein the lens group has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군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와, 하나의 조리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The camera lens module of claim 1, wherein the lens group includes at least one lens and one aper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군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ens group 양면이 네거티브(negative)인 제 1 렌즈;A first lens having both sides negative; 상기 제 1 렌즈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양면 중 일면은 네거티브(negative)이고 다른 일면은 포지티브(positive)인 제 2 렌즈;A second lens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en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ne side of which is negative and the other side being positive; 상기 제 2 렌즈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양면 중 일면은 포지티브이고 다른 일면은 네거티브인 제 3 렌즈;A third lens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len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ne surface of which is positive and the other surface of which is negative; 상기 제 1 렌즈 앞쪽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렌즈와 제 2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조리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The camera lens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stop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len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r disposed between the first lens and the second len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렌즈의 네거티브 면은 상기 제 1 렌즈에 인접한 면이고, 상기 제 3 렌즈의 포지티브 면은 상기 제 2 렌즈의 포지티브 면에 인접한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The camera lens module of claim 4, wherein the negative surface of the second lens is a surface adjacent to the first lens, and the positive surface of the third lens is a surface adjacent to the positive surface of the second len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와 제 3 렌즈의 초점 거리는 0보다 크고, 상기 제 1 렌즈의 초점 거리가 상기 제 3 렌즈의 초점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The camera lens module of claim 4, wherein a focal length of the first lens and a third lens is greater than zero, and a focal length of the first lens is larger than a focal length of the third le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군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ens group 양면이 네거티브(negative)인 제 1 렌즈;A first lens having both sides negative; 상기 제 1 렌즈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양면이 포지티브(positive)인 제 2 렌즈;A second len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ens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having both surfaces positive; 상기 제 2 렌즈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양면 중 일면은 포지티브이고 다른 일면은 네거티브인 제 3 렌즈;A third lens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len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ne surface of which is positive and the other surface of which is negative; 상기 제 2 렌즈와 제 3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조리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And a stop disposed between the second lens and the third len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렌즈의 포지티브 면은 상기 제 2 렌즈에 인접한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The camera lens module of claim 7, wherein the positive surface of the third lens is a surface adjacent to the second len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와 제 3 렌즈의 초점 거리는 0보다 크고, 상기 제 1 렌즈의 초점 거리가 상기 제 3 렌즈의 초점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The camera lens module of claim 7, wherein a focal length of the first lens and a third lens is greater than 0, and a focal length of the first lens is larger than a focal length of the third le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군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ens group 양면이 포지티브(positive)인 제 1 렌즈;A first lens having both surfaces positive; 상기 제 1 렌즈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양면 중 일면은 포지티브이고 다른 일면은 네거티브인 제 2 렌즈;A second lens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ens by a predetermined interval, one surface of which is positive and the other surface of which is negative; 상기 제 1 렌즈와 제 2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조리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And a diaphragm disposed between the first lens and the second lens.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렌즈의 포지티브 면은 상기 제 1 렌즈에 인접한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The camera lens module of claim 10, wherein the positive surface of the second lens is a surface adjacent to the first le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군과 상기 가변 초점 미러 사이에 배치되고, 상 기 렌즈군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키고, 상기 가변 초점 미러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광 분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The light emitting devic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ight splitter disposed between the lens group and the variable focus mirror to transmit light incident from the lens group and to reflect light incident from the variable focus mirror. Camera lens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분할부는 빔 스플리터(beam splitter) 또는 프리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The camera lens module of claim 12, wherein the light splitter is a beam splitter or a prism.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초점 미러의 표면은 상기 광 분할부로부터 입사되는 광 축에 대해 수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The camera lens module of claim 13, wherein a surface of the variable focus mirror is perpendicular to an optical axis incident from the light split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초점 미러의 표면은 전기적 신호에 의해 자유 곡면을 가지고, 상기 자유 곡면은 상기 표면의 X축 방향으로는 대칭이고 Y축 방향으로는 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The camera lens module of claim 1, wherein a surface of the variable focus mirror has a free curved surface by an electrical signal, and the free curved surface is symmetrical in the X-axis direction and asymmetrical in the Y-axis direction of the surface.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초점 미러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The camera lens module of claim 1, wherein the variable focus mirror is rotatable by an electrical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초점 미러의 표면은 상기 렌즈군으로부터 입사되는 광 축에 대해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The camera lens module of claim 1, wherein a surface of the variable focus mirror ha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with respect to an optical axis incident from the lens grou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가변 초점 미러로부터 반사된 광 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가변 초점 미러를 마주보는 방향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The camera lens module of claim 1, wherein the sensor is position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reflected from the variable focus mirror or in a direction facing the variable focus mirror.
KR1020050059698A 2005-07-04 2005-07-04 camera lens module KR1007366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698A KR100736610B1 (en) 2005-07-04 2005-07-04 camera lens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698A KR100736610B1 (en) 2005-07-04 2005-07-04 camera lens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4250A KR20070004250A (en) 2007-01-09
KR100736610B1 true KR100736610B1 (en) 2007-07-09

Family

ID=37870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9698A KR100736610B1 (en) 2005-07-04 2005-07-04 camera lens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61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093B1 (en) * 2008-12-23 2011-01-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module
KR101792344B1 (en) 2015-10-19 2017-11-01 삼성전기주식회사 Optical Imaging System
KR102428362B1 (en) * 2015-10-30 2022-08-04 (주)엠아이웨어 Camera Apparatus having multi-cameras and optical band pass filter for detection and recognition of objec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930A (en) * 2002-11-12 2004-05-20 삼성전기주식회사 Lens assembly of camera module
KR20050033675A (en) * 2003-10-07 2005-04-1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Lense connecting and separating apparatu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camera modu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930A (en) * 2002-11-12 2004-05-20 삼성전기주식회사 Lens assembly of camera module
KR20050033675A (en) * 2003-10-07 2005-04-1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Lense connecting and separating apparatu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camera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4250A (en) 2007-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9589B1 (en) Camera module
CN108254857B (en) Optical imaging syste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US7209295B2 (en) Optical system, and optical apparatus
US6833966B2 (en) Optical system, and optical apparatus
JP4857529B2 (en) Magnification optical system, imaging lens device, and digital device
US20060170766A1 (en) Varifocal mirror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the same
JP4685907B2 (en) Imaging device
WO2021213216A1 (en) Periscopic camera module, multi-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ssembling camera module
US20220413282A1 (en) Spacer and camera module
US11668999B2 (en) Optical imaging apparatus
US6906867B2 (en) Zoom optical system and imag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7605989B1 (en) Compact auto-focus image taking lens system with a micromirror array lens and a lens-surfaced prism
JP4795083B2 (en) Piezoelectric driving device, imaging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KR100736610B1 (en) camera lens module
US6927920B2 (en) Zoom optical system and imag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6039063A (en) Variable magnification optical system, imaging lens device and digital equipment
JP2006227322A (en) Imaging optical system, imaging lens device and digital apparatus
JP4879641B2 (en) Piezoelectric driving device, imaging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JP2023539266A (en) Lens module, camera module, and terminal
CN220381363U (en) Optical image capturing device
JP2007058168A (en) Zoom lens, optical module,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
CN111953895B (en) Focusable imaging device
CN219329799U (en) Camera module and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7255963A (en) Optical system and image pickup apparatus module including the same
JP7254864B2 (en) Optical system and camera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