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451B1 - 용기마개 - Google Patents

용기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451B1
KR100736451B1 KR1020050127652A KR20050127652A KR100736451B1 KR 100736451 B1 KR100736451 B1 KR 100736451B1 KR 1020050127652 A KR1020050127652 A KR 1020050127652A KR 20050127652 A KR20050127652 A KR 20050127652A KR 100736451 B1 KR100736451 B1 KR 100736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ealing member
main body
pressing plat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7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0949A (ko
Inventor
노희권
Original Assignee
노희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희권 filed Critical 노희권
Priority to EP06824071A priority Critical patent/EP1963194A4/en
Priority to US12/096,444 priority patent/US20090218348A1/en
Priority to PCT/KR2006/005365 priority patent/WO2007067015A1/en
Publication of KR20070060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0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65D51/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 B65D51/228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a major part of the inner closure being removed from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8Caps combined with 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8Caps combined with stoppers
    • B65D41/30Deformable caps combined with resilient stoppers to permit re-use as temporary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57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made separately from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76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9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within a flat surface of the base element
    • B65D47/0895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within a flat surface of the base element one part of the hinge being integral with the hinged closure and the other part with the base element, without any other additional hing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06Upper closure
    • B65D2251/0025Upper closure of the 47-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68Lower closure
    • B65D2251/0093Membrane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에 장착되고 상기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마개를 상기 용기에서 분리하면 상기 용기의 용기입구에 실링되는 실링부재를 제거하고 제거된 실링부재를 본체 내부에 저장시키는 실링부재 제거유닛과, 상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배출구의 개폐 작용을 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마개를 돌려서 열면 실링부재가 자동으로 제거되기 때문에 별도로 실링부재를 제거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한 용기 마개를 제공한다.
용기마개, 캡, 실링부재제거유닛, 실링부재

Description

용기마개 {CLOSURE OF VESSEL}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용기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가 개방된 용기마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의 안쪽 부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의 사시도이다.
도 8,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커터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커버유닛이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용기 52 : 용기입구
54 : 배출구 56 : 본체
58 : 실링부재 60 : 실링부재 제거유닛
62 :커버 64 : 제1장착부
66 : 제2장착부
본 발명은 용기의 입구를 개폐하는 용기 마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개를 열면 용기입구에 실링된 실링부재가 커팅되어 마개와 함께 용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한 용기마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용기 마개의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용기 마개는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용기입구(12)에 장착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는 본체(14)와, 상기 본체(14)에 형성되어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6)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배출구(16)를 덮는 커버(18)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의 용기입구(12)에는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을 보호하는 실링부재(20)가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입구(12)의 외주면에는 상기 본체(14)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24)에 나사 체결되는 수나사부(22)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18)는 그 일단이 상기 본체(14)의 상면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본체(14)에 형성된 배출구(16)를 개방하거나 덮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용기 마개의 작용을 살펴보면, 먼저 용기마개를 손으로 잡고 돌리면 본체(14)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24)가 용기입구(12)에 형성된 수나사부(22)를 따라 회전되면서 용기 마개가 용기입구(12)에 분리된다. 그런 후, 실링부재(20)를 용기입구(12)에서 손으로 뜯거나 칼 등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여 제거하고 용기마개를 용기 입구에 다시 닫는다.
그리고, 본체(14)에 장착된 커버(18)를 열고 본체(14)에 형성된 배출구(16) 를 통해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용기 마개는 용기 마개를 용기에서 분리한 후 용기입구(12)에 부착되어 밀봉하고 있는 실링부재(20)를 손으로 뜯어서 제거하거나, 칼 등의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여 제거해야 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실링부재(20)는 손으로 제거시 용기입구(12)에 손이 접촉하게 되므로 위생상 문제점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개에 실링부재 제거유닛을 일체로 형성하여 마개를 돌려서 열면 실링부재가 자동으로 제거되기 때문에 별도로 실링부재를 제거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한 용기 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링부재가 실링부재 제거유닛에 의해 자동으로 제거되기 때문에 실링부재를 손으로 제거할 때 용기입구에 손이 접촉됨에 따른 위생상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용기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버의 반대쪽을 누르면 커버가 개방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한 용기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는 용기에 장착되고 상기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 체에 형성되어 마개를 상기 용기에서 분리하면 상기 용기의 용기입구에 실링되는 실링부재를 제거하고 제거된 실링부재를 본체 내부에 저장시키는 실링부재 제거유닛과, 상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배출구의 개폐 작용을 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실링부재 제거유닛이 형성되는 제1장착부와, 상기 제1장착부의 반경방향으로 반대쪽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커버가 장착되는 제2장착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구에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내용물이 배출될 때 내용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배출량 조절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량 조절부는 상기 배출구를 중간에 설치되어 배출구를 제1통로와 제2통로로 구획하는 구획 바와, 상기 제1통로에 형성되어 상기 제1통로로 배출되는 내용물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그물 형태의 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부재 제거유닛은 상기 본체의 제1장착부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하면 바깥쪽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을 누르면 실링부재를 뚫고 들어가고 상기 본체를 회전시키면 실링부재를 커팅하는 커터와, 상기 누름판의 하면 안쪽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커터에 의해 커팅된 실링부재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납시키는 걸림부와, 상기 누름판의 외주면과 상기 본체의 장착홀의 내주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누름판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에 형성된 제2장착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2장착부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플레이트 타입으로 형성되고, 그 일단은 상기 본체의 상면에 연결리브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타단은 하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장착부의 가장자리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상기 누름판이 사용자의 의도와는 다르게 외부의 충격에 의해 눌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부재는 일정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 타입으로 형성되고, 그 일단이 상기 제1장착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장착부의 타측 가장자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누름판의 상면에 덮혀진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와 제2장착부의 양쪽 가장자리 사이에는 상기 커버를 개방하면 커버의 개방된 상태를 유지시킴과 아울러 배출구로 배출되는 내용물이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막은 삼각형 형태의 얇은 막으로 구성되어, 그 한쪽면은 상기 커버의 양쪽 측면에 연결되고, 다른쪽 면은 제2장착부의 양쪽 가장자리에 연결되며, 그 중앙에는 접힐 수 있는 절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커버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는 용기(50)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용기입구(52)에 장착되고 그 상면에 용기(50)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54)가 형성되는 본체(56)와, 상기 본체(56)에 형성되어 용기 마개를 용기입구(52)에서 분리하면 상기 용기입구(52)에 실링되는 실링부재(58)를 제거하고 제거된 실링부재(58)를 본체(56) 내부에 저장시키는 실링부재 제거유닛(60)과, 상기 본체(56)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배출구(54)의 개폐 작용을 하는 커버(62)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50)의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용기입구(52)에는 용기입구(52)를 실링하여 상기 용기(50)에 담긴 저장물을 보호하는 실링부재(58)가 부착된다. 여기에서, 상기 실링부재(58)는 종이재질 또는 알루미늄 박판재질 등 칼 등에 의해 제거하기 용이한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56)의 상면에는 실링부재 제거유닛(60)이 형성되는 제1장착부(64)가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장착부(64)의 반경방향으로 반대쪽에는 상기 배출구(54)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54)를 개폐하는 커버(62)가 장착되는 제2장착부(66)가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배출구(54)에는 상기 배출구(54)를 통해 내용물이 배출될 때 내용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배출량 조절부(68)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량 조절부(68)는 상기 배출구(54)를 중간에 설치되어 배출구(54)를 두 부분으로 구획하는 구획 바(70)와, 상기 구획 바(70)에 구획된 배출구(54)의 어느 한쪽에 형성되어 배출되는 내용물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그물 형태의 망(72)으로 구성된다.
즉, 이와 같은 배출량 조절부(68)는 상기 용기(50)를 기울인 상태로 배출구를 통해 내용물을 배출시킬 때 용기를 조금 기울인 상태일 때에는 그물 형태의 망(72)이 형성된 부분을 통해 내용물이 배출되므로 배출량을 적게 배출시킬 수 있고, 용기(50)를 좀더 많이 기울이면 배출구(54)의 전체를 통해 내용물이 배출되어 많은 량을 배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56)의 하측 내주면에는 상기 용기입구(52)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76)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74)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실링부재 제거유닛(60)은 상기 본체(56)의 제1장착부(64)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사용자가 누르는 누름판(80)과, 상기 누름판(80)의 하면 바깥쪽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80)을 누르면 실링부재(58)를 뚫고 들어가고 상기 본체(56)를 회전시키면 실링부재(58)를 커팅하는 커터(82)와, 상기 누름판(80)의 하면 안쪽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커터(82)에 의해 커팅된 실링부재(58)를 본체(56)의 내부에 수납시키도록 실링부재(58)가 걸림되는 걸림부(84)와, 상기 누름판(80)의 외주면과 상기 제1장착부(64)에 형성된 관통홀의 내주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누름판(8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고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누름판(80)의 이동된 위치를 지지해주는 연결부(86)로 구성된다.
상기 누름판(80)은 제1장착부(64)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본체(56)의 반경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상기 본체(56)의 반지름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원판 형태로 형 성된다.
상기 커터(8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름판(80)의 하면 바깥쪽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지지부(90)와, 상기 지지부(90)의 하단에 뽀쪽하게 형성되어 누름판(80)을 누르면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실링부재(58)를 뚫고 들어가는 제1커팅부(92)와, 상기 지지부(90)의 양쪽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56)를 회전시키면 용기 입구(52)의 내주면에 접촉한 상태로 회전되면서 실링부재(58)를 원형으로 커팅하는 제2커팅부(94)로 구성된다.
상기 걸림부(8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름판(80)의 하면 중앙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누름판(80)을 누르면 실링부재(58)를 뚫고 들어가는 지지로드(96)와, 상기 지지로드(96)의 끝부분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커터(82)에 의해 커팅된 실링부재(58)가 본체(56) 내부에 저장되도록 실링부재(58)가 걸림되는 걸림로드(98)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로드(96)는 상기 누름판(80)의 중앙에서 하측방향으로 직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원봉 형태로 형성되고, 그 끝부분에는 실링부재(58)를 뚫고 들어갈 수 있도록 뽀쪽한 형태의 펀칭부(100)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로드(98)는 상측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실링부재(58)를 뚫고 들어갈 때는 상측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펀칭부(100)에 의해 뚫린 구멍을 통과하면서 실링부재(58)의 안쪽으로 들어가고 상기 실링부재(58)의 안쪽으로 들어간 후에는 원상태로 펼쳐지면서 상기 실링부재(58)의 안쪽면에 걸림된다.
이러한 걸림로드(98)는 지지로드(96)의 외주면에 일정 길이만큼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성되고, 지지로드(96)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로드(98)는 지지로드(96)의 외주면에 180도의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86)는 상기 본체(56)의 제1장착부(64)의 내주면과 상기 누름판(80)의 외주면 사이를 연결하는 돔 형태의 얇은 막으로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80)을 일정 힘 이상으로 누르면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누름판(80)이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한다.
이러한 연결부(86)는 상기 누름판(80)의 현재 위치를 탄성적으로 유지해준다. 즉, 누름판(80)이 눌려지지 않은 위치인 상측방향으로 돌출되게 위치된 경우 연결부(86)는 볼록한 돔 형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누름판(80)의 현재 위치를 유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누름판(80)을 일정 힘 이상으로 누르면 오목한 형태로 탄성 변형되면서 누름판(80)이 눌려진 위치를 유지해준다.
상기 커버(62)는 본체(56)에 형성된 제2장착부(66)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2장착부(66)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플레이트 타입으로 형성되고, 그 일단은 상기 본체(56)의 상면에 연결리브(10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타단은 하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장착부(66)의 가장자리에 삽입된다.
상기 커버(62)와 제2장착부(66)의 양쪽 가장자리 사이에는 상기 커버(62)를 개방하면 커버(62)의 개방된 상태를 유지시킴과 아울러 배출구(54)로 배출되는 내용물이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막(61)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막(61)은 삼각형 형태의 얇은 막으로 구성되어, 그 한쪽면은 상기 커버(62)의 양쪽 측면에 연결되고, 다른쪽 면은 제2장착부(66)의 양쪽 가장자리에 연결되며, 그 중앙에는 접힐 수 있는 절첩부(63)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절접부(63)는 커버(62)가 덮일 때 커버(62)의 안쪽으로 접혀 들어갈 수 있도록 내측방향으로 오목하게 접혀진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56)의 상면에는 누름판(80)이 사용자의 의도와는 다르게 외부의 충격에 의해 눌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부재(104)가 형성된다.
상기 안전부재(104)는 그 일단이 상기 제1장착부(64)의 일측 가장자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장착부(64)의 타측 가장자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누름판(80)의 상면에 덮혀진 상태로 배치되어 외부의 충격에 의해 누름판(80)이 임의로 눌려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상기 안전부재(104)는 그 일단이 연결리브(106)에 의하여 제1장착부(64)의 가장자리에 회전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은 제1장착부(64)의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걸림홈(108)에 탈착 가능하게 걸림으로써 본체(56)에 결합되는 걸림턱(110)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안전부재(104)와 본체(56) 사이의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는 걸림홈(108) 및 걸림턱(110) 이외에도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상기 안전부재(104)는 상기 본체(56)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안전부재(104)의 작용을 살펴보면, 누름판(80)의 상면에 덮여진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누름판(80)이 임의로 눌려지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누 름판(80)을 누르고자 할 경우에는 안전부재(104)를 본체(56)에서 분리하면 상기 안전부재(104)에 형성된 걸림턱(110)이 제1장착부(64)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걸림홈(108)에서 이탈되면서 연결리브(106)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누름판(80)의 상면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안전부재(104)는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누름판(80)과 제1장착부(64)의 가장자리 사이에 일정 이상으로 힘을 주면 뜯겨지는 보강리브(미도시)를 일체로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다음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8,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의 작동 상태도이다.
먼저, 누름판(80)의 상면에 덮인 안전부재(104)의 록킹을 해제시킨 후 안전부재(104)를 회전시켜 누름판(80)의 상면에서 분리시킨다. 그런 후 용기(50)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먼저 본체(50)의 제1장착부(64)에 배치된 누름판(80)을 하측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연결부(86)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누름판(80)이 하측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상기 누름판(80)의 하면 바깥쪽 가장자리에 형성된 커터(82)의 제1커팅부(92)가 실링부재(58)의 가장자리를 뚫고 들어가고, 이와 동시에 걸림부(84)의 지지로드(96)가 실링부재(58)의 중앙을 뚫고 들어간다.
이때, 상기 걸림부(84)의 걸림로드(98)는 상기 실링부재(58)를 뚫고 들어갈 때 상측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지지로드(96)의 펀치부(100)가 뚫은 구멍으로 들 어간다. 그리고, 상기 걸림로드(98)가 실링부재(58)의 안쪽으로 들어가면 원상태로 탄성 변형되어 펼쳐진 상태로 상기 실링부재(58)의 안쪽면에 위치된다.
그런 후, 본체(56)를 잡고 돌리면 본체(56)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74)가 용기입구(52)에 형성된 수나사부(76)를 따라 돌면서 상기 본체(56)가 용기입구(52)에서 분리된다. 이때, 상기 커터(82)가 용기 입구(52)의 내주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되면서 커터의 제2커팅부(94)가 상기 실링부재(58)를 원형으로 절단한다.
그리고, 상기 용기입구(52)에서 제거된 실링부재(58)는 걸림부(84)의 걸림로드(98)에 걸린 상태이기 때문에 본체(56)와 같이 용기입구(52)에서 분리되어 상기 본체(56) 내부에 수납된다.
상기 본체(56) 내부에 수납된 실링부재(58)를 본체(56) 내부에서 꺼낸 후 본체(56)를 다시 용기입구(52)에 체결한다. 그런 후 본체(56)에 장착된 커버(62)를 개방시키고 본체(56)에 형성된 배출구(54)를 통해 용기(50)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때, 상기 커버(62)는 지지막(61)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되어 내용물을 배출시킬 때 커버(62)가 닫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배출구(54)를 통해 배출되는 내용물이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의 단면도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는 용기(50)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용기입구(52)에 장착되고 그 상면에 용기(50)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 (54)가 형성되는 본체(56)와, 상기 본체(56)에 형성되어 용기 마개를 용기입구(52)에서 분리하면 상기 용기입구(52)에 실링되는 실링부재(58)를 제거하고 제거된 실링부재(58)를 본체(56) 내부에 저장시키는 실링부재 제거유닛(60)과, 상기 본체(56)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배출구(54)의 개폐 작용을 하는 커버유닛(130)과, 상기 본체(56)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누름판(80)이 임의로 눌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부재(104)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56)의 일측에는 실링부재 제거유닛(60)이 설치되는 제1장착부(132)가 반지름보다 큰 길이를 갖고 반경방향으로 형성되고,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54)가 형성되고 상기 제1장착부(132)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장착부(134)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장착부(132)는 하측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로 형성되고 본체(56)의 반지름보다 큰 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2장착부(134)는 상기 제1장착부(132)와 격벽에 의해 구획되고 반지름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다.
상기 실링부재 제거유닛(60)은 상기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실링부재 제거유닛(6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누름판(80)이 상기 본체(56)의 상면에 비해 낮게 위치된다.
상기 커버유닛(130)은 상기 제1장착부(132)와 일정 정도 겹쳐진 부위의 제1장착부(132)의 양쪽 가장자리에 힌지 연결되는 힌지돌기(140)와 상기 힌지돌기(14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장착부(134)를 덮어주고 상기 제2장착부에 걸림 되는 덮개부(142)와, 상기 덮개부(142)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장착부(132)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덮개부(142)를 개폐시키는 작동을 하는 작동로드(144)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작동로드(144)는 상기 누름판(80)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누름판(80)을 누를 때 같이 눌려지게 되고, 이에 따라 힌지돌기(140)가 지렛대의 역할을 하면서 덮개부(142)가 상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열리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장착부(132)의 양쪽 내벽면에는 상기 작동로드(144)가 눌려질 때 작동로드(144)의 양쪽 가장자리에 걸림되어 상기 작동로드(144)가 눌려진 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돌기(145)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작동로드(144)가 눌려지면 상기 걸림돌기(145)에 걸림되어 눌려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덮개부(142)가 열린 상태를 유지시킨다. 그리고, 덮개부(142)를 닫히는 방향으로 눌러주면 상기 작동로드(144)가 걸림돌기(145)에 이탈되면서 상측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안전부재(104)는 상기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안전부재(104)의 구조와 동일하고, 다만 누름판(80)과 더불어 작동로드(144)도 눌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작동로드(144)의 상면에 덮여질 수 있도록 배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작동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작동 상태도이다.
먼저, 안전부재(104)를 제거한다. 즉, 안전부재(104)의 록킹을 해제한 후 회 전시키면 누름판(80) 및 작동로드(144)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누름판(80)과 작동로드(144)를 같이 누르면 상기 누름판(80)이 하강하면서 상기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링부재(58)를 제거한 후 본체(56)의 내부에 수납시킨다.
그리고, 상기 작동로드(144)가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힌지돌기(140)를 중심으로 상기 덮개부(142)가 상승되면서 제2장착부(132)에서 열리면서 본체(56)에 형성된 배출구(54)를 개방한다. 이때, 상기 작동로드(144)는 그 양쪽 측면이 제1장착부(132)의 양쪽 내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돌기(145)에 걸림된 상태이기 때문에 눌러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누름판(80)을 누를 때 작동로드(144)가 같이 눌려지면 힌지돌기(140)를 중심으로 커버유닛(130)이 회전되어 덮개부(142)가 상승되면서 배출구(54)를 개방하기 때문에 별도로 커버를 제2장착부(66)에서 열어야 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는 용기(50)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용기입구(52)에 장착되고 그 상면에 용기(50)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54)가 형성되는 본체(56)와, 상기 본체(56)에 형성되어 용기마개를 용기입구(52)에서 분리하면 상기 용기입구(52)에 실링되는 실링부재(58)를 제거하고 제거된 실링부재(58)를 본체(56) 내부에 저장시키는 실링부재 제거유닛(60)과, 상기 본체 (56)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배출구(54)의 개폐 작용을 하는 커버(62)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56)는 상기 실링부재 제거유닛(60)이 설치되는 제1장착부(150)와, 상기 배출구(54)가 형성되고 커버(62)가 장착되는 제2장착부(152)로 구성된다.
상기 제1장착부(150)는 상기 커버(62)가 장착되는 제2장착부(152) 이외의 부분 전면에 걸쳐 넓은 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실링부재 제어유닛(60)이 형성된다.
상기 실링부재 제거유닛(60)은 상기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실링부재 제거 유닛과 동일하고, 다만 제1장착부(150)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커터(156)가 장착된다.
즉, 상기 실링부재 제거유닛(60)의 누름판(154)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62)가 장착되는 부위만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누름판은 다른 실시예로서, 별 모양으로 형성되고, 각 꼭지점 마다 커터가 형성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커터(156)는 상기 누름판(154)의 둘레방향으로 등 간격을 두고 180도 이상으로 형성되어 본체(56)를 180도 또는 180도 이하로 회전시키더라도 실링부재(58)가 커팅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158)는 본체(56)의 중앙측에 위치되는 누름판(154)의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에서 하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160)는 상기 누름판(154)의 외주면과 제1장착부(150)의 내주면 사이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는 본체(56)의 둘레방향으로 180도 이상으로 다수의 커터(156)가 설치되기 때문에 본체(56)를 180 또는 180도 이하로 회전시킬 때에도 실링부재(58)가 커팅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작동은 상기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용기마개의 작동과 동일하고, 다만, 실링부재(58)를 커팅할 때 본체(56)를 180도 또는 180도 이하로 회전시킨다.
도 16은 본 발명이 제4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제4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는 상기 제3실시예에서 설명한 용기마개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다만 실링부재 제거유닛이 다른 구조를 갖는다.
즉,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 제거유닛은 상기 본체(56)의 제1장착부(15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사용자가 누르는 누름판(200)과, 상기 누름판(200)의 하면 바깥쪽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200)을 누르면 실링부재(58)를 뚫고 들어가면서 실링부재(58)의 일부분을 커팅하는 커터(202)와, 상기 누름판(200)의 하면 안쪽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커터(202)에 의해 커팅된 실링부재(58)를 본체(56)의 내부에 수납시키도록 실링부재(58)가 걸림되는 걸림부(204)와, 상기 누름판(200)의 외주면과 상기 제1장착부(150)의 내주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누름판(20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고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누름판(200)의 이동된 위치를 지지해주는 연결부(206)로 구성된다.
상기 누름판(200)은 일정 길이를 갖는 부채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204)는 본체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도록 누름판(200)의 꼭지점 하면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204)의 구성은 제3실시예에서 설명한 걸림부(158)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커터(202)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름판(200)의 원호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210)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210)의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누름판(200)을 누르면 실링부재(58)의 외주면의 약 1/4~1/2 정도를 뚫고 들어가는 제1커팅날(212)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210)의 양쪽 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본체(56)를 회전시키면 실링부재(58)를 원형으로 절단하는 제2커팅날(214)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커팅날(212)은 톱니 형태로 형성되어 실링부재(58)를 보다 잘 뚫고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4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는 상기 제3실시예에서 설명한 용기마개와 동일하게 작동되고, 다만 커터(202)가 일정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누름판(200)을 누르면 실링부재(58)는 1/4~1/2 정도 커팅되고 본체(56)를 180도 내지 180도 이하로 회전시키면 실링부재(58)가 전체적으로 커팅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단면도이다.
제5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는 용기(50)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용기입 구(52)에 장착되는 본체(56)와, 상기 본체(56)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용기 마개를 용기입구(52)에서 분리하면 상기 용기입구(52)에 실링되는 실링부재(58)를 제거하고 제거된 실링부재(58)를 본체(56) 내부에 저장시키는 실링부재 제거유닛(250)과, 상기 실링부재 제거유닛(250)의 누름판(252)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고 상기 누름판(252)에 형성된 배출구(254)의 개폐 작용을 하는 커버(256)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56)는 그 하측 내주면에 상기 용기입구(52)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76)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74)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내면에는 실링부재 제거유닛(250)이 형성되도록 관통된 형태로 형성되며, 그 일측에는 상기 커버(256)를 개폐하기 위해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그루브(258)가 형성된다.
상기 실링부재 제거유닛(250)은 상기 본체(56)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그 일측에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254)가 형성되는 누름판(252)과, 상기 누름판(252)의 하면 바깥쪽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252)을 누르면 실링부재(58)를 뚫고 들어가고 상기 본체(56)를 회전시키면 실링부재(58)를 커팅하는 커터(260)와, 상기 누름판(252)의 하면 안쪽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커터(260)에 의해 커팅된 실링부재(58)를 본체(56)의 내부에 수납시키도록 실링부재(58)가 걸림되는 걸림부(262)와, 상기 누름판(252)의 외주면과 상기 본체(56)의 내주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누름판(252)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고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누름판(252)의 이동된 위치를 지지해주는 연결부(264)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256)는 상기 누름판(252)의 상면에 연결리브(26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누름판(252)에 형성된 배출구(254)의 개폐 작용을 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5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작용을 살펴보면, 먼저 누름판(252)을 누르면 상기 누름판(252)이 하강하면서 상기 누름판(8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커터(260)가 실링부재(58)의 가장자리를 뚫고 들어가고, 이와 동시에 걸림부(262)가 실링부재(58)의 중앙을 뚫고 들어간다.
그런 후, 본체(56)를 잡고 돌리면 본체(56)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74)가 용기입구(52)에 형성된 수나사부(76)를 따라 돌면서 상기 본체(56)가 용기입구(52)에서 분리된다. 이때, 상기 커터(260)가 용기 입구(52)의 내주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되면서 커터(260)가 상기 실링부재(58)를 원형으로 절단한다.
그리고, 상기 용기입구(52)에서 제거된 실링부재(58)는 걸림부(262)에 걸린 상태이기 때문에 본체(56)와 같이 용기입구(52)에서 분리되어 상기 본체(56) 내부에 수납된다.
상기 본체(56) 내부에 수납된 실링부재(58)를 본체(56) 내부에서 꺼낸 후 본체(56)를 다시 용기입구(52)에 체결한다. 그런 후 누름판(252)에 장착된 커버(256)를 개방시키고 누름판(252)에 형성된 배출구(254)를 통해 용기(50)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때, 사용자는 본체(56)에 형성된 그루브(258)로 손가락을 집어넣어 커버(256)를 개방시킨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단면도이고, 도 23은 본 발 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작동 상태도이다.
제6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는 상기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용기마개와 동일하고 다만, 실링부재 제거유닛(300)이 실링부재에 구멍을 뚫는 타입이 적용된다.
즉, 제6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 제거유닛(300)은 연결부(304)에 의해 본체의 내면에 상하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누름판(302)과, 상기 누름판(302)의 하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실링부재(58)에 구멍을 뚫는 펀치(306)로 구성된다.
상기 펀치(306)는 그 끝부분이 뽀족한 형태로 일정 경사면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302)이 하강하면 실링부재(58)를 뚫고 들어가면서 실링부재(58)에 구멍(310)을 형성한다. 그리고, 구멍(310)을 형성하기 위해 실링부재(58)의 잘린 부분은 실링부재(58)의 안쪽면에 접혀진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실링부재(58)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물망 형태의 보강부재(312)가 접착된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펀치(306)에 의해 구멍(310)을 뚫을 때 다른 부분이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사시도이고, 도 26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작동 상태도이다.
제7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는 용기입구(52)에 장착되고 그 상면에 용기(50)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350)가 형성되는 본체(352)와, 상기 본체(35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배출구(350)의 개폐 작용을 하는 커버유닛(3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유닛(360)은 상기 본체(352)의 상면에 힌지 연결되는 힌지돌기 (362)와, 상기 힌지돌기(362)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350)를 덮어주는 덮개부(364)와, 상기 덮개부(364)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352)의 상면에 일정 패인 형태로 형성되는 삽입홈(370)의 배치되어 상기 덮개부(364)를 개폐시키는 작동을 하는 작동로드(366)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홈(370)의 양쪽 내면에는 상기 작동로드(366)가 눌려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작동로드(366)의 양쪽 측면이 걸림되는 걸림돌기(361)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용기마개는 배출구(350)를 개방할 때 작동로드(366)를 하측방향으로 누르면 힌지돌기(362)가 지렛대 역할을 하여 상기 덮개부(364)가 상승되면서 배출구(350)를 개방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로드(366)는 걸림돌기(361)에 걸림된 상태이기 때문에 눌러진 상태를 유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덮개부(364)는 열린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364)를 닫히는 방향으로 눌러주면 상기 작동로드(366)는 걸림돌기(361)에서 이탈되면서 상승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는 마개 내부에 실링부재 제거유닛을 설치하여 마개를 개방하기 전에 실링부재 제거유닛의 누름판을 누른 후 마개를 돌려서 열면 실링부재가 용기입구에서 자동으로 제거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실링부재가 실링부재 제거유닛에 의해 자동으로 제거되기 때문에 실링 부재를 손으로 제거할 때 용기입구에 손이 접촉됨에 따른 위생상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체에 장착되어 배출구를 개폐하는 커버에 작동로드를 설치하여 상기 작동로드가 누르면 커버의 덮개부가 열릴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Claims (36)

  1. 용기에 장착되고 상기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마개를 상기 용기에서 분리하면 상기 용기의 용기입구에 실링되는 실링부재를 제거하고 제거된 실링부재를 본체 내부에 저장시키는 실링부재 제거유닛과;
    상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배출구의 개폐 작용을 하는 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실링부재 제거유닛이 형성되는 제1장착부와, 상기 제1장착부의 반경방향으로 반대쪽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커버가 장착되는 제2장착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내용물이 배출될 때 내용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배출량 조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량 조절부는 상기 배출구를 중간에 설치되어 배출구를 제1통로와 제2통로로 구획하는 구획 바와, 상기 제1통로에 형성되어 상기 제1통로로 배출되는 내용물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그물 형태의 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 제거유닛은 상기 본체의 제1장착부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하면 바깥쪽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을 누르면 실링부재를 뚫고 들어가고 상기 본체를 회전시키면 실링부재를 커팅하는 커터와;
    상기 누름판의 하면 안쪽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커터에 의해 커팅된 실링부재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납시키는 걸림부와;
    상기 누름판의 외주면과 상기 본체의 장착홀의 내주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누름판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상기 누름판의 하면 바깥쪽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뽀쪽하게 형성되어 누름판을 누르면 상기 실링부재의 가장자리를 뚫고 들어가는 제1커팅부와;
    상기 지지부의 양쪽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회전시키면 실링부재를 원형으로 커팅하는 제2커팅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누름판의 하면 안쪽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을 누르면 실링부재의 중앙을 뚫고 들어가는 지지로드와, 상기 지지로드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실링부재가 걸림되는 걸림로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로드는 상기 지지로드의 외주면에 일정 길이만큼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재를 뚫고 들어갈 때는 상측방향으로 휘어진 상태로 상기 지지로드에 의해 뚫린 구멍을 통과하고, 상기 실링부재의 안쪽으로 들어간 후에는 원상태로 펼쳐지면서 상기 실링부재의 안쪽면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장착홀의 내주면과 상기 누름판의 외주면 사이에 연결되 는 돔 형태의 얇은 막으로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을 일정 힘 이상으로 누르면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에 형성된 제2장착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2장착부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플레이트 타입으로 형성되고, 그 일단은 상기 본체의 상면에 연결리브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타단은 하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장착부의 가장자리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상기 누름판이 사용자의 의도와는 다르게 외부의 충격에 의해 눌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부재는 일정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 타입으로 형성되고, 그 일단이 상기 제1장착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장착부의 타측 가장자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누름판의 상면에 덮혀진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부재의 끝부분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제1장착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걸림홈에 탈착 가능하게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부재는 상기 누름판과 제1장착부의 가장자리 사이에 상호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일정 힘 이상으로 누를 때에만 뜯어지는 다수의 보강리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제2장착부의 양쪽 가장자리 사이에는 상기 커버를 개방하면 커버의 개방된 상태를 유지시킴과 아울러 배출구로 배출되는 내용물이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막은 삼각형 형태의 얇은 막으로 구성되어, 그 한쪽면은 상기 커버의 양쪽 측면에 연결되고, 다른쪽 면은 제2장착부의 양쪽 가장자리에 연결되며, 그 중앙에는 접힐 수 있는 절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착부는 반지름보다 큰 길이를 갖고 반경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장착부는 상기 제1장착부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제1장착부의 양쪽 가장자리에 힌지 연결되어 그 일부분이 상기 제1장착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가 장착되는 부위만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2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은 외부로 돌출되는 5 개의 꼭지점과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하나의 그루브를 갖는 플레이트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상기 누름판의 둘레방향으로 등 간격을 두고 180도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2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은 부채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상기 누름판의 원호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을 누르면 실링부재의 외주면의 약 1/4~1/2 정도를 뚫고 들어가는 제1커팅날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양쪽 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회전시키면 실링부재를 원형으로 절단하는 제2커팅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팅날은 톱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25. 용기에 장착되고 상기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마개를 상기 용기에서 분리하면 상기 용기의 용기입구에 실링되는 실링부재를 제거하고 제거된 실링부재를 본체 내부에 저장시키는 실링부재 제거유닛과;
    상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배출구의 개폐 작용을 하는 커버로 구 성되고,
    상기 실링부재 제거유닛은 연결부에 의해 상기 본체의 내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하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실링부재에 구멍을 뚫는 펀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는 그 끝부분이 뽀족한 형태로 일정 경사면을 갖는 원봉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그물망 형태의 보강부재가 접착된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펀치에 의해 구멍을 뚫을 때 다른 부분이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28. 용기에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마개를 상기 용기에서 분리하면 상기 용기의 용기입구에 실링되는 실링부재를 제거하고 제거된 실링부재를 본체 내부에 저장시키며, 상기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누름판을 갖는 실링부재 제거유닛과;
    상기 누름판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배출구의 개폐 작용을 하는 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커버를 개방하기 위해 손가락을 집어넣는 그루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 제거유닛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그 일측에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하면 바깥쪽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을 누르면 실링부재를 뚫고 들어가고 상기 본체를 회전시키면 실링부재를 커팅하는 커터와, 상기 누름판의 하면 안쪽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커터에 의해 커팅된 실링부재를 본체의 내부에 수납시키도록 실링부재가 걸림되는 걸림부와, 상기 누름판의 외주면과 상기 본체의 내주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누름판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고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누름판의 이동된 위치를 지지해주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3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누름판의 상면에 연결리브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누름판에 형성된 배출구의 개폐 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32. 용기에 장착되고 상기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마개를 상기 용기에서 분리하면 상기 용기의 용기입구에 실링되는 실링부재를 제거하고 제거된 실링부재를 본체 내부에 저장시키는 실링부재 제거유닛과;
    상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배출구의 개폐 작용을 하는 커버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본체의 상면에 힌지 연결되는 힌지돌기와, 상기 힌지돌기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의 개폐 작용을 하는 덮개부와, 상기 힌지돌기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덮개를 개방시키는 작동로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로드는 상기 실링부재 제거유닛의 누름판을 누르면 같이 눌러지면서 상기 힌지돌기가 지렛대 역할을 하여 작동로드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KR1020050127652A 2005-12-08 2005-12-22 용기마개 KR100736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824071A EP1963194A4 (en) 2005-12-08 2006-12-08 VASCULAR CLOSURE
US12/096,444 US20090218348A1 (en) 2005-12-08 2006-12-08 Closure of vessel
PCT/KR2006/005365 WO2007067015A1 (en) 2005-12-08 2006-12-08 Closure of vess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799 2005-12-08
KR20050119799 2005-12-0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6720A Division KR20070061485A (ko) 2005-12-08 2007-01-22 용기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0949A KR20070060949A (ko) 2007-06-13
KR100736451B1 true KR100736451B1 (ko) 2007-07-09

Family

ID=3835689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7652A KR100736451B1 (ko) 2005-12-08 2005-12-22 용기마개
KR1020070006720A KR20070061485A (ko) 2005-12-08 2007-01-22 용기마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6720A KR20070061485A (ko) 2005-12-08 2007-01-22 용기마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90218348A1 (ko)
EP (1) EP1963194A4 (ko)
KR (2) KR100736451B1 (ko)
WO (1) WO20070670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647B1 (ko) * 2019-02-14 2020-05-15 한길산업주식회사 용기뚜껑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82161U (ko) * 1987-11-24 1989-06-01
JPH07330009A (ja) * 1994-06-08 1995-12-19 Nifco Inc キャップ
KR19980060825U (ko) * 1997-03-17 1998-11-05 박봉신 음료용기용 뚜껑의 음료 유출장치
KR20050077234A (ko) * 2004-01-27 2005-08-01 노희권 용기의 입구에 장착된 실링 부재를 제거하여 뚜껑의내부에 끼게되는 기능을 갖는 뚜껑
KR100623463B1 (ko) * 2004-12-09 2006-09-19 노희권 용기 마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1605A (en) * 1969-10-29 1971-06-01 Allied Chem Opening device for membrane-sealed plastic bottles
CH672626A5 (ko) * 1987-06-16 1989-12-15 Alfatechnic Ag
FR2647089B1 (fr) * 1989-05-17 1991-11-15 Rical Sa Verseur pour des flacons et recipients analogues, avec un element perceur pour percer un opercule du goulot des recipients
US5931828A (en) * 1996-09-04 1999-08-03 The West Company, Incorporated Reclosable vial closure
US6089391A (en) * 1998-06-22 2000-07-18 Annette Umphlett Container cap and system
DE10312237A1 (de) * 2002-03-19 2004-04-29 Sooth, Jürgen Dosenverschluß, Dosendeckel und Dose
US20040026422A1 (en) * 2002-07-09 2004-02-12 Technology Center Membrane penetrating closure with deformable top surface
AU2003273709B2 (en) * 2002-11-11 2009-10-08 Sig Technology Ltd. Tamper-proof hinged closure for film-sealed bottles and containers filled with pourable contents
MXPA05008608A (es) * 2003-02-14 2005-11-04 Heen Kwon Rho Obturador de recipient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82161U (ko) * 1987-11-24 1989-06-01
JPH07330009A (ja) * 1994-06-08 1995-12-19 Nifco Inc キャップ
KR19980060825U (ko) * 1997-03-17 1998-11-05 박봉신 음료용기용 뚜껑의 음료 유출장치
KR20050077234A (ko) * 2004-01-27 2005-08-01 노희권 용기의 입구에 장착된 실링 부재를 제거하여 뚜껑의내부에 끼게되는 기능을 갖는 뚜껑
KR100623463B1 (ko) * 2004-12-09 2006-09-19 노희권 용기 마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18348A1 (en) 2009-09-03
EP1963194A1 (en) 2008-09-03
KR20070060949A (ko) 2007-06-13
EP1963194A4 (en) 2009-09-02
KR20070061485A (ko) 2007-06-13
WO2007067015A1 (en) 200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212285B2 (en) Child-Resistant Cap
EP2363351B1 (en) Vessel cap
KR100736451B1 (ko) 용기마개
KR100677922B1 (ko) 용기마개
KR100971860B1 (ko) 화장품 용기
KR100623463B1 (ko) 용기 마개
KR20060099796A (ko) 용기마개
KR101286202B1 (ko) 어린이 보호용 마개
KR100765994B1 (ko) 용기마개
KR20080104761A (ko) 용기마개 및 그를 구비하는 용기
KR101321579B1 (ko) 용기마개
KR20060106390A (ko) 용기 마개
KR20040083313A (ko) 용기의 입구에 결합된 뚜껑과 이 용기 입구 사이에 밀봉처리된 밀봉 부재를 뚫거나 자르거나 제거하는 뚜껑 내의장치
KR100743638B1 (ko) 어린이 보호용 마개
KR20060121383A (ko) 용기마개
JP2008162612A (ja) 収納具
KR890008069Y1 (ko) 세제용기의 유출개폐장치
JP3270624B2 (ja) 振り出し容器
KR101170118B1 (ko) 어린이 보호용 마개
AU2011202635B2 (en) Vessel cap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50008612A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내마개 작동형 배출대
KR20120050937A (ko) 용기마개
KR20030091932A (ko) 개폐용 측면유출공을 갖고 있는 원터치방식의 스파우트
KR200443104Y1 (ko) 천공수단이 부가된 포장팩 밀봉구
KR20140063540A (ko) 용기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