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399B1 -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인터페이스 - Google Patents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인터페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36399B1 KR100736399B1 KR1020050006070A KR20050006070A KR100736399B1 KR 100736399 B1 KR100736399 B1 KR 100736399B1 KR 1020050006070 A KR1020050006070 A KR 1020050006070A KR 20050006070 A KR20050006070 A KR 20050006070A KR 100736399 B1 KR100736399 B1 KR 1007363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interface
- magnet
- connector
- metal pie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03F5/0409—Devices for preventing seepage around the floor drain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촉 단자 간의 면 접촉을 통해 휴대폰 등과 같은 외부 기기에 연결되어 전원 및 데이터를 송수신함과 동시에 연결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인터페이스는 일단에 인터페이스부가 구비되어 있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단부 면에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 단자들과 면 접촉을 통해 전원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접촉 단자들이 형성되어 있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 주위에 돌출 구비되어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의 삽입 홈부에 삽입되는 경우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의 삽입 홈부에 구비되어 있는 금속편과 상호 부착되는 자석 돌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폰, 면 접촉, 자석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커넥터와 휴대폰간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인터페이스 구비된 커넥터의 연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폰의 인터페이스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휴대폰용 충전기와 커넥터간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종래 휴대폰 충전기의 커넥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커넥터
11 : 인터페이스부
12 : 접속부
121 : 접촉 단자, 122 : 금도금 층
13 : 자석 돌출부
131 : 자석, 132 : 요크, 133 : 금도금 층
3 : 휴대폰
31 : 인터페이스부
32 : 접속부
321 : 접촉 단자, 322 : 금도금 층
33 : 삽입 홈부
331 : 금속편,332 : 금도금 층
5 : 휴대폰용 충전기
51 : 인터페이스부
52 : 삽입 홈부
521 : 금속편, 522 : 금도금 층
본 발명은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촉 단자 간의 면 접촉을 통해 커넥터와 휴대폰 및 충전기 들에 구비되어 상호 전원 및 데이터를 송수신함과 동시에 연결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라 함은 휴대폰의 인터페이스부나 휴대폰 충전기에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 수단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0)는 전원이 공급되는 케이블(101)과 이 케이블의 일단에 구비되어 휴대폰의 인터페이스부(300)에 연결되는 커넥터 몸체(102)로 구성된다. 그리고 커넥터 몸체(102)의 단부에는 인터페이스부의 홈부(301)에 삽입됨과 동시에 인터페이스부의 연결 접촉 단자(302)가 삽입 접속되는 접속부가 형성된 접촉 단자(103)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몸체(102)의 양측에는 인터페이스부의 홈부(301) 양측에 구비된 관통 공(303)에 삽입되는 판스프링(104)과 이 판스프링(104)을 조작하는 분리 버튼(105)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커넥터 몸체(102)를 휴대폰 인터페이스부의 홈부(301)에 삽입 연결하는 경우, 인터페이스부의 연결 접촉 단자(302)가 커넥터 접촉 단자(103)에 삽입되어 상호 연결됨으로써,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커넥터를 휴대폰의 인터페이스부에 연결함에 있어 분리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커넥터를 인터페이스부에 삽입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양측 분리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커넥터를 인터페이스부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됨에 따라 커넥터에 포함된 판스프링의 손상으로 인해 커넥터 전체의 사용을 불가능하게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인터페이스부에 삽입되어 있는 커넥터를 상하, 좌우로 흔들면서 강제적으로 분리시키는 경우, 커넥터의 접촉 단자에 삽입되어 있는 인터페이스부의 연결 접촉 단자가 커넥터의 분리 방향에 따라 휘거나 구부러져 손상됨으로써, 인터페이스부 자체는 물론 인터페이스부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연결 접촉 단자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의 연결 접촉 단자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휴대폰의 인쇄회로 기판 자체를 새로이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에 먼지나 각종 이물질이 들어가 인터페이스부의 연결 접촉 단자에 달라붙거나 끼게 됨으로써, 커넥터 접촉 시 이물질로 인해 접촉 상태가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인터페이스부에 물이 들어가는 경우 휴대폰과 인터페이스부의 연결 접촉 단자 사이의 틈을 통해 물이 휴대폰 내부로 침투됨으로써, 인터페이스부 자체는 물론 휴대폰 전체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연결 시 면 접촉을 통해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자석을 이용하여 연결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휴대폰이나 휴대폰용 충전기에 연결되는 커넥터의 분리 시 커넥터로 인해 휴대폰 또는 충전기에 내장된 인쇄회로기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인터페이스는 일단에 인터페이스부가 구비되어 있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단부 면에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 단자들과 면 접촉을 통해 전원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접촉 단자들이 형성되어 있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 주위에 돌출 구비되어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의 삽입 홈부에 삽입되는 경우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의 삽입 홈부에 구비되어 있는 금속편과 상호 부착되는 자석 돌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인터페이스는 일측에 커넥터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가 구비되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일측 단부 면에 커넥터의 접촉 단자들과 면 접촉되어 전원 및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다수의 접촉 단자들이 구비되어 있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 주위에 구비되어 커넥터 접속부 주위에 돌출 구비된 자석 돌출부가 삽입되며 내측 둘레에는 삽입된 자석 돌출부의 자력에 의해 상호 부착되는 금속편이 구비되어 있는 삽입 홈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인터페이스는 일측에 커넥터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휴대폰용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일측에 커넥터 접속부 주위에 돌출 구비된 자석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 홈부의 내측 둘레에는 자석 돌출부의 자력에 의해 상호 부착되는 금속편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식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커넥터와 휴대폰 간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에 도시된 커넥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연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커넥터(1)(이하, 편의상 "커넥터"라 한다)는 일단에 외부 기기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 상용 전원의 콘센트에 삽입 접속되는 플러그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요부인 커넥터의 인터페이스부(11)는 단부 면에 휴대폰 인터페이스부(31)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 단자(321)들과 면 접촉을 통해 전원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접촉 단자(121)들이 형성되어 있는 접속부(12)와, 접속부(12) 주위에 돌출 구비되어 휴대폰의 인터페이스부(31)에 구비되어 있는 금속편(331)을 포함하는 삽입 홈부(33)에 삽입되는 자석 돌출부(13)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가 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3)는 이 인터페이스부 구조에 상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3)의 인터페이스부(31)는 일측 단부 면에 커넥터의 접촉 단자(121)들과 면 접촉되어 전원 및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다수의 접촉 단자(321)들이 구비되어 있는 접속부(3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부(32) 주위에는 커넥터 접속부(12) 주위에 돌출 구비된 자석 돌출부(13)가 삽입 되며 내측 둘레에 금속편(331)이 구비되어 있는 삽입 홈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커넥터는 종래의 커넥터와는 달리 외부 기기, 예를 들면 휴대폰이나 개인휴대 단말기 또는 휴대폰용 충전기의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는 경우, 인터페이스부의 단부 면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 단자들이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 단자들과 면 접촉되어 이들 기기로 전원을 공급하며 이들 기기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그러므로 커넥터를 휴대폰에 연결하는 경우, 커넥터의 인터페이스부에 돌출 구비된 자석 돌출부가 휴대폰 인터페이스부 주위에 구비되어 있는 삽입 홈부의 금속편과 부착됨으로써, 커넥터의 접촉 단자과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 단자의 접촉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시켜 준다.
특히 휴대폰의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를 분리시키는 경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면 접촉되어 있는 접촉 단자 및 접촉 단자에는 영향이 없으므로, 휴대폰 인터페이스부의 접촉 단자는 물론 휴대폰의 인쇄회로기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구성 및 사용 상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후술되는 외부 기기는 휴대폰인 것을 전제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커넥터(1)의 인터페이스부(11)는 단부 면에 다수의 접촉 단자(121)들을 포함하는 접속부(12)와 이 접속부(12) 주위에 돌출 구비되어 있는 자석 돌출부(13)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접속부(12)는 커넥터(1)의 단부 면에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의 접촉 단자(321)들과 접촉되는 다수의 접촉 단자(121)들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속부를 구성하는 다수의 접촉 단자(121)들은 표면에 금도금 층(1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커넥터 내부의 인쇄회로기판(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접촉 단자(121)들은 커넥터(1)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 표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인쇄회로기판을 제작하는 동도금 과정에서 전주 도금 공법에 의해 기판 표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접촉 단자를 형성하는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은 본 건 출원일 이전에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접촉 단자들이 인쇄회로기판(14)에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인쇄회로기판 및 기판 상에 돌출되어 있는 다수의 접촉단자들 사이에는 밀봉재(15)가 몰딩되어 인쇄회로기판(14)이 커넥터의 단부 면에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고정된 인쇄회로기판(14)은 플렉시블 케이블(16)을 통해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메인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어 휴대폰 인터페이스부의 접촉 단자들과의 면 접촉 시 전원 및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그러나 이러한 접촉 단자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커넥터 접속부의 접촉 단자(121)들의 일단이 커넥터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메인 인쇄회로기판에 각각 고정되며, 타단이 갈고리 형상으로 커넥터의 단부 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접촉 단자들은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에 형 성된 접촉 단자들과 밀착되게 탄성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커넥터를 휴대폰에 연결하는 경우, 휴대폰의 인터페이스부에 구비되어 있는 접촉 단자(321) 각각에 커넥터를 구성하는 접속부의 접촉 단자(121)들이 접촉되어 커넥터와 휴대폰이 상호 연결되는 것이다.
한편 자석 돌출부(13)는 커넥터와 휴대폰을 연결하는 경우 이들 간의 연결 상태를 고정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자석(131)과 이 자석(131)이 안착되며 후방이 접촉 단자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14)에 고정되는 요크(132)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자석(131)이 안착되는 요크(132)의 외측 둘레 표면에는 금도금 층(13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커넥터(1)의 인터페이스부(11)를 휴대폰 인터페이스부(31)에 연결하는 경우, 자석 돌출부(13)가 휴대폰 인터페이스부의 삽입 홈부(33)에 삽입되면서 요크(132) 내부에 안착되어 있는 자석(131)과 삽입 홈부에 구비되어 있는 금속편(331)이 상호 부착되어 커넥터(1)와 휴대폰(3)의 연결 상태를 유지시킨다.
즉 커넥터를 휴대폰에 연결하게 되면, 접속부의 각 접촉 단자(121)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폰 인터페이스부의 접촉 단자(321)들과 면 접촉하게 된다. 이 때 커넥터의 접속부 주위에 구비되어 있는 자석 돌출부(13)는 휴대폰 인터페이스부 주위에 구비되어 있는 삽입 홈부(33)에 삽입되어 커넥터(1)와 휴대폰 간의 연결 상태를 고정 유지하게 된다.
다시 말해 자석 돌출부(13)가 삽입되는 휴대폰 인터페이스부의 삽입 홈부 (33)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측 둘레에 금속편(331)이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자석 돌출부의 자석(131)에 의해 자석 돌출부(13)가 삽입 홈부에 구비되어 있는 금속편(331)과 상호 부착되어 연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를 휴대폰(3)에 연결하는 경우 커넥터의 자석 돌출부(13)와 휴대폰의 삽입 홈부의 금속편(331)이 상호 부착됨으로써, 커넥터의 접촉 단자과 휴대폰 인터페이스부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 단자의 접촉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자석 돌출부를 구성하는 요크(132)가 인쇄회로기판(14)에 연결됨으로써, 자석 돌출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즉 커넥터를 휴대폰에 연결하는 경우, 휴대폰의 삽입 홈부(31)에 형성되어 있는 금속편(331)과 요크(132)가 상호 접촉됨으로써, 접촉된 금속편을 통해 전원을 외부 기기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부의 일측에는 돌출 형성된 자석 돌출부는 접지 단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접속부의 타측에 상호 절연되며 돌출되어 있는 2개의 자석 돌출부들은 각각이 인쇄회로기판의 +전원 공급단과 -전원 공급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 전원을 공급한다. 그러나 이러한 단자의 배열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작 상태에 따라 가변될 수도 있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자석 돌출부를 구성하는 요크(132) 외측 둘레 표면에 금도금 층(133)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금도금 층(133)은 요크(132)가 대기에 노출되는 경우 대기에 의해 요크의 표면에 산화 막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폰이나 개인 휴대 단말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이들 이동통신 단말기가 장착되는 탁상용 충전기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먼저 도 1 및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커넥터와 상호 연결되는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폰의 접속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일측에 커넥터(1)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31)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특징인 인터페이스부(31)는 일측 단부 면에 다수의 접촉 단자(321)들이 단부 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있는 접속부(32)와, 이 접속부(32) 주위에 구비되며 내측 둘레에 금속편(331)이 구비되어 있는 삽입 홈부(33)로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부를 구성하는 접속부(32)는 접촉 단자(321)들 사이 및 접속부(32)와 휴대폰(3) 사이에 휴대폰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봉재(34)가 몰딩되어 있는 것으로, 일측 단부 면에 다수의 접촉 단자(321)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접촉 단자(321)들은 표면에 금도금 층(3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동통신 내부의 인쇄회로기판(3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커넥터 인터페이스부의 접촉 단자(121)들과의 면 접촉 시 전원 및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다시 말해 접촉 단자(321)들은 이동통신 단말기(1)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35) 표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 인쇄회로기판(35)을 제작하는 동도금 과정에서 전주 도금 공법에 의해 기판 표면에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접촉 단자를 형성하는 방법은 본 건 출원일 이전에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접촉 단자(321)들이 인쇄회로기판(35)에 직접 형성되는 경우, 인쇄회로기판(35)의 둘레 및 기판 상에 돌출되어 있는 다수의 접촉 단자(321)들 사이에는 밀봉재(34)가 몰딩되어 인쇄회로기판(35)이 휴대폰의 단부 면에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고정된 인쇄회로기판(35)은 플렉시블 케이블(36)을 통해 휴대폰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메인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어 커넥터 인터페이스부의 접촉 단자들과의 면 접촉 시 전원 및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그러나 이러한 접촉 단자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접촉 단자(321)들의 일단이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메인 인쇄회로기판(35)에 각각 고정되며, 타단이 휴대폰의 단부 면 외측으로 돌출된 판이나 원형 형상의 금속 편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삽입 홈부(33)는 접속부(32) 주위에 구비되어 커넥터 접속부(12) 주위에 돌출 구비된 자석 돌출부(13)가 삽입된다. 이와 같이 자석 돌출부(13)가 삽입되는 삽입 홈부(33)의 내측 둘레에는 자석 돌출부의 자석에 의해 상호 부착되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쇄회로기판(3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금속편(33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는 커넥터(1)의 인터페이스부(11)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면에 이동통신 단말기 인터페이스부의 접속부(32)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 단자(321)들과 면 접촉을 통해 전원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접촉 단자(121)들이 형성되어 있는 접속부(12)와, 접속부(12) 단부 주위에 돌출 구비되어 이동통신 단말기 인터페이스부의 접속부(32) 주위에 구비되어 있는 금속편(331)을 포함하는 삽입 홈부(33)에 삽입되는 자석 돌출부(13)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부에 커넥터를 연결하는 경우, 단부 면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있는 접촉 단자(321)들이 커넥터의 인터페이스부에 형성되어 있는 접속부의 접촉 단자(121)들과의 면 접촉을 통해 전원 및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그러므로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와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커넥터의 접촉 단자가 삽입되는 홈부가 필요 없게 된다.
특히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부의 접촉 단자(321)들 사이 및 이 접속부와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 사이의 틈이 ABS 수지로 몰딩되어 있음으로써, 이물질이나 수분 등에 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파손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삽입 홈부(33)의 내측 둘레에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되는 금속편(331)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들 금속편(331)들의 표면에 금속편의 산화를 방지하는 금도금 층(332)이 형성되어 있어 금도금 층에 의해 금속편의 표면에 산화 막이 형성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의 자석 돌출부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부를 구성하는삽입 홈부에 삽입되는 경우, 각각에 금도금 층이 형성되어 있는 자석 돌출부의 요크 및 삽입 홈부의 금속편이 접촉됨으로써, 인터페이스의 삽입 홈부를 통해 커넥터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인가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커넥터와 상호 연결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휴대폰용 충전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충전기와 커넥터간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충전기(5)는 상면에 휴대폰이 삽입 고정되는 장착부(54)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일측에 본 발명의 특징인 인터페이스부(51)가 형성되어 전술한 커넥터(1)가 삽입 연결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충전기의 인터페이스부(51)는 커넥터의 접속부 주위에 돌출 구비된 자석 돌출부(13)가 삽입되는 삽입 홈부(5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삽입 홈부(52)의 내측 둘레에는 자석 돌출부(13)의 자력에 의해 상호 부착되며 내부의 인쇄회로기판(5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금속편(521)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금속편(521)의 표면에는 금속편의 산화를 방지하는 금도금 층(52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휴대폰용 충전기의 인터페이스부(51)에 연결되는 커넥터는 단부 면에 휴대폰의 인터페이스부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 단자들과 면 접촉을 통해 전원 및 데 이터를 송수신하는 접촉 단자들이 형성되어 있는 접속부(12)와, 접속부 단부 주위에 돌출 구비되어 휴대폰 인터페이스부의 접속부 주위에 구비되어 있는 금속편을 포함하는 삽입 홈부에 삽입되는 자석 돌출부(1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자석 돌출부는 자석(131)과, 이 자석(131)이 안착되며 후방이 접촉 단자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14)에 고정되는 요크(132)로 이루어져 있다(도3참조). 그리고 자석(131)이 안착되는 요크(132)의 외측 둘레 표면에는 금도금 층(13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충전기는 인터페이스부(51)에 커넥터(1)를 연결하는 경우, 커넥터의 자석 돌출부(13)와 인터페이스부의 삽입 홈부(52)에 구비되어 있는 금속편(521)이 자력에 의해 상호 부착됨으로써, 커넥터를 통해 외부 전원인 상용 전원을 충전기에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삽입 홈부(52)의 내측 둘레에 구비된 금속편(521)의 표면에 금도금 층(522)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금속편의 표면에 산화 막이 형성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충전기는 커넥터의 자석 돌출부가 삽입 접속되는 삽입 홈부를 통해 커넥터의 자석 돌출부로부터 인가되는 외부 전원에 의해 작동됨으로써 휴대폰용 충전기의 인터페이스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커넥터 및 이에 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휴대폰용 충전기는 종래의 커넥터와는 달리 외부 기기, 예를 들면 휴대폰이나 개인휴대 단말기 또는 휴대폰용 충전기의 접속부에 연결하는 경우, 커넥터의 단부 면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 단자들이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 단자들과 면 접촉을 통해 연결됨으로써, 용이하게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즉 커넥터를 외부 기기의 접속부에 연결하는 경우, 커넥터에 돌출 구비된 자석 돌출부가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 주위에 구비되어 있는 삽입 홈부의 금속편과 부착됨으로써, 커넥터의 접촉 단자과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 단자의 접촉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시켜 준다.
특히 외부 기기의 접속부에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를 분리시키는 경우, 면 접촉되어 있는 접촉 단자 및 접촉 단자에는 영향이 없으므로 휴대폰 인터페이스의 접촉 단자는 물론 휴대폰의 인쇄회로기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면 접촉을 통해 커넥터가 연결되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인터페이스부에는 커넥터의 접촉 단자가 삽입되는 홈부가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각 접촉단자 및 접속부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가 ABS 수지로 몰딩되어 있음으로써, 이물질이나 수분 등에 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파손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이물질이나 물 등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접속부 자체는 물론 휴대폰 전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8)
- 일단에 인터페이스부(11)가 구비되어 있는 커넥터(10)에 있어서,상기 인터페이스부(11)는 :단부 면에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 단자들과 면 접촉을 통해 전원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접촉 단자(121)들이 형성되어 있는 접속부(12)와;상기 접속부(12) 주위에 돌출 구비되어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의 삽입 홈부에 삽입되는 경우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의 삽입 홈부에 구비되어 있는 금속편과 상호 부착되는 자석 돌출부(1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인터페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돌출부(13) :자석(131)과, 내부에 상기 자석이 안착되며 후방이 커넥터 내부의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는 요크(13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인터페이스.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요크(132) 둘레에는 금속편의 산화를 방지하는 금도금 층(13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인터페이스.
- 일측에 커넥터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31)가 구비되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3)에 있어서,상기 인터페이스부(31)는 :일측 단부 면에 커넥터의 접촉 단자들과 면 접촉되어 전원 및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다수의 접촉 단자(321)들이 구비되어 있는 접속부(32)와;상기 접속부(32) 주위에 구비되어 커넥터 접속부 주위에 돌출 구비된 자석 돌출부가 삽입되며 내측 둘레에는 삽입된 자석 돌출부의 자력에 의해 상호 부착되는 금속편(331)이 구비되어 있는 삽입 홈부(3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접촉 단자(321)들 사이 및 접속부(32)와 이동통신 단말기(3) 사이에는 단말기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재(34)가 몰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인터페이스.
-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금속편(331)은 표면에 금속편의 산화를 방지하는 금 도금층(33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인터페이스.
- 일측에 커넥터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51)를 포함하는 휴대폰용 충전기(5)에 있어서,상기 인터페이스부(51)는 :일측에 커넥터 접속부 주위에 돌출 구비된 자석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 홈부(52)가 형성되어 있고,상기 삽입 홈부(52)의 내측 둘레에는 자석 돌출부의 자력에 의해 상호 부착되는 금속편(53)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인터페이스.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금속편(53)은 표면에 금속편의 산화를 방지하는 금 도금층(53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인터페이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6070A KR100736399B1 (ko) | 2005-01-22 | 2005-01-22 |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인터페이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6070A KR100736399B1 (ko) | 2005-01-22 | 2005-01-22 |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인터페이스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02028U Division KR200382247Y1 (ko) | 2005-01-22 | 2005-01-22 |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커넥터와 이 커넥터가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휴대폰용 충전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85100A KR20060085100A (ko) | 2006-07-26 |
KR100736399B1 true KR100736399B1 (ko) | 2007-07-09 |
Family
ID=37174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06070A KR100736399B1 (ko) | 2005-01-22 | 2005-01-22 |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인터페이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3639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48933B1 (ko) * | 2012-08-01 | 2014-01-08 | (주)대한특수금속 | 전자기기용 자력식 인터페이스 장치 |
US9502817B2 (en) | 2012-10-22 | 2016-11-2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onnection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80619B1 (ko) | 2012-02-02 | 2019-05-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와 연결장치 간의 커넥팅 시스템 |
KR101275492B1 (ko) * | 2012-02-23 | 2013-06-17 | (주)대한특수금속 | 텔레비전 및 스피커 연결을 위한 자석커넥터 |
KR101315688B1 (ko) * | 2012-02-27 | 2013-10-10 | (주)대한특수금속 | 비삽입형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포터블 전자기기용 케이스 |
KR101326071B1 (ko) * | 2012-02-27 | 2013-11-07 | (주)대한특수금속 | 비삽입형 포트를 가지는 태블릿 피시 및 이에 연결되는 크래들 |
KR101326072B1 (ko) * | 2012-02-27 | 2013-11-07 | (주)대한특수금속 | 비삽입형 포트를 가지는 노트북 |
KR101348932B1 (ko) * | 2012-04-17 | 2014-01-08 | (주)대한특수금속 | 비삽입형 컨넥터를 가지는 유에스비 메모리 및 이에 연결되는 젠더 |
KR101354971B1 (ko) * | 2012-04-30 | 2014-01-27 | (주)에스피에스 | 마그네틱 전원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전원공급 장치 |
KR101370934B1 (ko) * | 2012-08-01 | 2014-03-10 | (주)대한특수금속 | 전자기기용 자력식 인터페이스 장치 |
WO2014030917A1 (ko) * | 2012-08-24 | 2014-02-27 | Cho Ho Seok | 휴대용 전자기기의 충전스테이션 |
KR101578837B1 (ko) * | 2013-07-02 | 2015-12-21 | 강민석 | 면 접촉식 커넥터 |
KR101393388B1 (ko) * | 2013-11-12 | 2014-05-13 | (주)대한특수금속 | 스마트워치 및 그에 연결되는 젠더 |
KR101498537B1 (ko) * | 2014-01-15 | 2015-03-04 | (주)대한특수금속 | 전자기기 다량 충전장치 |
KR20160001560U (ko) * | 2014-11-04 | 2016-05-12 | (주)에스피에스 | 마그네트가 내장된 이동식 저장 장치 |
US10170851B2 (en) | 2015-03-31 | 2019-01-01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Connector with a wireless couple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33713Y1 (ko) * | 1995-05-26 | 1999-01-15 | 김광호 | 저장제어카드 접속장치 |
KR200265673Y1 (ko) | 2001-11-12 | 2002-02-25 | 송기석 | 핸즈프리 의 휴대폰 자동접속 마그네틱 데이터 컨넥터 잭. |
KR20020080766A (ko) * | 2001-04-17 | 2002-10-26 | 신형진 | 자석을 이용한 전원접속기구 |
KR200351676Y1 (ko) | 2004-02-20 | 2004-06-09 | (주)대한특수금속 | 휴대폰의 커넥터 연결장치 |
-
2005
- 2005-01-22 KR KR1020050006070A patent/KR10073639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33713Y1 (ko) * | 1995-05-26 | 1999-01-15 | 김광호 | 저장제어카드 접속장치 |
KR20020080766A (ko) * | 2001-04-17 | 2002-10-26 | 신형진 | 자석을 이용한 전원접속기구 |
KR200265673Y1 (ko) | 2001-11-12 | 2002-02-25 | 송기석 | 핸즈프리 의 휴대폰 자동접속 마그네틱 데이터 컨넥터 잭. |
KR200351676Y1 (ko) | 2004-02-20 | 2004-06-09 | (주)대한특수금속 | 휴대폰의 커넥터 연결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48933B1 (ko) * | 2012-08-01 | 2014-01-08 | (주)대한특수금속 | 전자기기용 자력식 인터페이스 장치 |
WO2014021507A1 (ko) * | 2012-08-01 | 2014-02-06 | (주)대한특수금속 | 전자기기용 자력식 인터페이스 장치 |
US9502817B2 (en) | 2012-10-22 | 2016-11-2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onnection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85100A (ko) | 2006-07-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36399B1 (ko) |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인터페이스 | |
US9147966B2 (en) |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non-insertion type interface | |
CN103840318A (zh) | 线缆连接器装置 | |
KR200320990Y1 (ko) | 안전 전선접속기 | |
CN104505679B (zh) | 一种连接器和一种连接器的实现方法 | |
KR200484059Y1 (ko) | 휴대용기기용 결합팁을 이용하는 보호케이스 | |
JP3763703B2 (ja) | 無線通信機および電池パックおよびコネクタ | |
CN109995399B (zh) | 连接器及其组合 | |
JP4638414B2 (ja) | 内部の電子機器と補助接続機器との間に弾力性のある接続部を備える携帯用電子機器 | |
KR101474486B1 (ko) | 배터리용 커넥터 | |
CN110677766A (zh) | 无线耳机充电盒及无线耳机 | |
US11681329B2 (en) | Electronic device assembly | |
KR200382247Y1 (ko) |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커넥터와 이 커넥터가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휴대폰용 충전기 | |
CN112290287A (zh) | 充电接触接头、配对接触接头、充电接触系统和电子设备 | |
JP2008171652A (ja) | 小型マグネットコネクター | |
KR100772985B1 (ko) | 휴대폰 및 휴대용 음향기기의 이어폰 세트 | |
JP3122429B2 (ja) | 無線通信機と電池パックとコネクタ | |
TWM584993U (zh) | 第一連接器及電連接器組件 | |
CN216085413U (zh) | 插接装置和电子设备 | |
CN210838361U (zh) | 一种磁吸连接器及磁吸电源适配器 | |
CN107086387B (zh) | 护套、扩充设备、数据线及其连接器 | |
CN206864692U (zh) | 护套、扩充设备、数据线及其连接器 | |
KR20210024933A (ko) | 접속단자 연결용 접속 커넥터 | |
CN217903564U (zh) | 一种电连接组件以及传屏器 | |
CN220774866U (zh) | 一种数码设备的外置附件连接结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