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5457B1 -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목재들을 접착시키는 접착방법 - Google Patents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목재들을 접착시키는 접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5457B1
KR100735457B1 KR1020050018292A KR20050018292A KR100735457B1 KR 100735457 B1 KR100735457 B1 KR 100735457B1 KR 1020050018292 A KR1020050018292 A KR 1020050018292A KR 20050018292 A KR20050018292 A KR 20050018292A KR 100735457 B1 KR100735457 B1 KR 100735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adhesive composition
vinyl acetate
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8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7217A (ko
Inventor
전상기
하정민
이안나
박덕희
장석기
김영기
예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50018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457B1/ko
Publication of KR20060097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7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9J1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9/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Adhesives based on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9J1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5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process specific feat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 콜로이드로서 폴리비닐알코올을 더 포함하는 에틸렌-초산비닐(EVAc) 공중합체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소맥분, 전분, 추출된 콩가루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첨가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목재(또는 목질재료)들의 접착에 적용되어 내수성, 내용제성, 방부성, 가사시간(pot time), 그리고 작업성이 우수한 친환경 접착제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무늬목과 목질보드류 등의 목재들을 접착시키는 접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포름알데히드를 포함하지 않으며, 수용성이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여 무늬목이나 합판 등과 같은 목재들을 접착시키는 경우, 기존의 목재용 접착제 조성물과는 달리 유해한 유리 포름알데히드나 휘발성 유기물(VOC ; volatile organic compound)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짧은 가공시간과 작업시간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내수성, 내용제성, 방부성, 가공안정성 및 합판 후, 비틀림 안정성 및 치수안정성들을 제공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의 사용으로 인해 목재들의 접착에서 작업성과 생산성, 그리고 제품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별도로 폴리비닐알코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친환경 접착제, 에텔렌-초산비닐, 이소시아네이트, 폴리비닐알코올

Description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목재들을 접착시키는 접착방법 {Adhesive composition and adhesion method of woods by using the adhesive composition}
도 1은 목재들로서 무늬목과 합판을 접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접착시킨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의 내수 접착력 평가에 사용된 시편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의 비틀림 안정성(warp stability)과 치수안정성 평가에 사용된 시편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의 조성별 점도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의 이소시아네이트의 잔존량의 시간과 온도(70℃ ; 도 5, 120℃ ; 도 6)에 따른 변화율을 실시간 퓨리에변환 적외선 분광분석기(FT-IR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의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무늬목층 2 : 접착제층
3 : 합판층
본 발명은 보호 콜로이드로서 폴리비닐알코올을 더 포함하는 에틸렌-초산비닐(EVAc) 공중합체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소맥분, 전분, 추출된 콩가루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첨가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접착제 조성물로서, 특히 목재의 접착에 이용되는 친환경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목재들을 접착시키는 접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계 접착제에서부터 합성수지계 접착제까지 광범위한 종류의 접착제들이 목재용 접착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또한 사용되고 있다. 천연 접착제로는 아교, 혈분, 카제인, 대두 단백질계 접착제 등이 사용되고, 합성수지계 접착제로는 폴리초산비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에폭시 수지, 멜라민 수지, 멜라민-요소 공중합체 수지, 페놀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레조르시놀 수지, 요소 수지 등이 사용된다.
현재까지 다양한 친환경 접착제의 개발이 시도되었는데, 1) 포름알데히드가 포함되어 있는 요소-멜라민 포름알데히드 수지의 전체 조성비를 줄이거나, 2) 포름알데히드가 근본적으로 포함되지 않는 수성 접착제 또는 합성 수지를 사용하거나, 3) 유리 포름알데히드를 제거하기 위하여 스캐빈져(scavenger)를 첨가하거나, 4) 캣처(catcher)를 도포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포름알데히드의 방산량을 줄이고, 요소-멜라민 포름알데히드 수지의 전체 조성비를 조절하기 위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7-102236호 및 동 공보 평8-90508호에서는 요소-멜라민 포름알데히드 수지에 수성인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를 과량 첨가하는 내용이 기술되어 있고, 동 공보 평11-140412호, 동 공보 평11-170221호, 그리고 동 공보 평11-179710호에는 기존의 요소-멜라민 포름알데히드 수지에 포함되는 포름알데히드의 함량을 줄여서 합성된 수지를 사용하는 내용이 기술되어 있으나, 각각 요소-멜라민계 접착제의 비중 감소와 포함된 포름알데히드의 감소로 인하여 목재의 셀룰로오즈의 수산기와의 반응 감소에 의해 목재들 간의 접착력이 낮아지며, 근본적으로 인체에 유해한 포름알데히드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 문제점들이 있다.
미국 특허 제3931088호에는 요소-멜라민 포름알데히드의 사용을 배제하고, 목재용 수성 접착제로서 유기용매에 이소시아네이트와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나 유사 라텍스를 혼합한 조성물이 기술되어 있다. 동 특허의 조성물은 포름알데히드의 완전한 제거에 접근하였다고 볼 수 있으나, 충분한 내수성을 얻기 위해서 경화제인 이소시아네이트를 소수성의 유기용매인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에 용해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유리 포름알데히드 대신 휘발성 유기물을 방산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 특허 제4491646호에는 미국 특허 제3931088호에 기술된 접착제 조성물의 내수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카르복실기가 아닌 히드록실기를 작용기로 하는 라텍 스를 이용하는 것이 기술되어 있으나, 이소시아네이트를 휘발성 유기용매에 용해한 후 사용해야 한다는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2003-147309호, 동 공보 2003-213235호 및 동 공보 2003-342545호들에는 친환경 접착제들을 기술하고 있으나, 요소-멜라민 포름알데히드 수지가 갖는 목질에 대한 초기 접착력과 최종 접착력, 내수성, 그리고 가격 등의 장점을 동시에 만족시키지는 못하고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1997-0033655호에는 일반적인 플라스틱 합성수지를 적용한 목질 접착제도 보고하고 있으나, 합성수지의 소수성으로 인하여 친수성인 목질과의 습윤성이 문제가 되어 충분한 접착력을 보이는데 한계가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10-80980호, 동 공보 평10-235808호, 동 공보 평10-315423호, 동 공보 평10-317830호, 동 공보 평10-331539호, 동 공보 평11-10822호, 그리고 동 공보 평11-277680호 등의 일본 특허들은 방산되는 포름알데히드를 제거하기 위해 스캐빈저를 접착제에 첨가하는 것을 기술하고 있으나, 그 효과가 미미하고, 스캐빈저를 다량 첨가하는 경우에는 접착력이 저해된다고 알려져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2002-273145호 또는 동 공보 2003-26833호에는 주로 포름알데히드와 용이하게 반응하는 요소나 아민 화합물 또는 탄닌 등의 캣처를 합판이나 보드류의 표면에 도포하여 사용하는 것이 기술되어 있다. 캣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 효과는 상당한 것으로 인정되지만 고가의 캣처의 사용으로 인한 생산단가의 증가 문제가 발생하고,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에틸렌-초산비닐 에멀션을 이용한 조성물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일본국 특허공보 소52-34650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58-162645호, 동 공보 2004-0043782호, 동 공보 소1999-0070142호, 동 공보 평6-65550호, 동 공보 2003-171639호, 동 공보 평10-287856호 등). 이들은 일반적으로 저온에서의 접착력을 얻기 위하여 사용되며, 접착 강도, 내열성, 그리고 내한성이 문제가 되고 있다.
목질용으로 사용된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멀션은 일본국 특허공보 소52-34650호에서 이용한 것이 알려져 있다. 최근 접착제의 가공 시간이 빨라지고, 접착 조작 후, 접착력이 빠르게 발현되어 초기 접착력이 우수한 접착제의 특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대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58-162645호에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멀션과 스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라텍스를 혼합한 접착제 조성물이 기술되어 있으나, 내수성과 목질간의 초기접착력을 만족시키는 데에는 아직 불충분하다. 동 공보 평6-65550호에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멀션과 폴리비닐알코올을 이용하여 목질 혹은 목질-플라스틱 등에 적용 가능한 접착제의 조성물이 기술되어 있으나, 초기 접착력과 내수성이 만족할만한 수준이 아니며, 긴 상압 시간과 양생시간이 필요하여 작업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멀션을 사용한 목질용 접착제의 내수 접착력, 초기 접착력, 그리고 방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존에 널리 사용되던 열경화성 수지인 요소-멜라민 포름알데히드 수지와 혼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요소-멜라민 포름 알데히드 수지를 열 경화함으로써 내수 접착력를 향상시킬 수 있지만, 긴 열압시간이 필요하며, 그로 인하여 목재의 함수율이 낮아져 비틀림 안정성(목재의 휨, 달리 컬링(curling) 또는 warping이라고도 함)이나 치수안정성이 나빠지게 된다. 그리고 내재된 포름알 데히드 성분에 의해 방부성은 기대할 수 있으나, 이는 포름알데히드를 방산하게 되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포름알데히드를 방산하는 기존의 요소-멜라민 포름알데히드 수지와 유기용매의 사용을 완전히 배제하여 포름알데히드의 방산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휘발성 유기물의 발생을 예방하면서도, 기존의 요소-멜라민 포름알데히드 접착제가 가지는 우수한 목질 상의 초기 접착력, 최종 접착력, 뛰어난 내수성과 우수한 가사시간 (pot life), 합판 후, 우수한 목재의 비틀림 안정성과 치수안정성 등을 갖는 친환경성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함과 동시에, 무늬목과 합판 등과 같은 목재들을 접착함에 있어서, 짧은 열압시간을 통하여 접착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함으로써 생산성과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접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보호 콜로이드로서 폴리비닐알코올을 더 포함하는 에틸렌-초산비닐(EVAc) 공중합체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소맥분, 전분, 추출된 콩가루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첨가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함과 동시에 목질 접착제에 요구되는 우수한 초기 접착력, 내수성, 최종접착력, 가사시간을 갖는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접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무늬목과 목질보드류 등의 목재들을 짧은 시간에 일체화하여 작업성, 생산성 그리고 제품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보호 콜로이드로서 폴리비닐알코올을 더 포함하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100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1 내지 30중량부; 및 소맥분, 전분, 추출된 콩가루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첨가물 0.1 내지 5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10 내지 30초의 짧은 열압 시간, 110 내지 130℃의 온도 및 8 내지 13kg/cm2 의 압력하에서 무늬목과 목질보드류 등의 목재들을 접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들을 접착시키는 접착방법은, 목재들을 연속적으로 접착시킴에 있어서, (1)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을 목재들의 표면들의 어느 한면 또는 양면에 도포하는 도포단계; (2) 15 내지 35℃의 온도와 8 내지 13kg/cm2 의 압력하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가압하는 상온가압하는 상온가압단계; 및 (3) 100 내지 130℃의 온도와 8 내지 13kg/cm2 의 압력하에서 10 내지 30초 동안 가압하는 가열가압단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틸렌-초산비닐(EVAc) 공중합체 수지는 에틸렌(ethylene) 단량체 5 내지 40중량부와 초산비닐 단량체 60 내지 95중량부를 공중합시켜 이루어지며, 상기 초산비닐 단량체 100중량부 당 보호콜로이드로서 폴리비닐알코올이 0.5 내지 10중량부가 포함되어 있으며, 평균입경이 0.1 내지 1.5㎛인 에멀션 수지이다. 상기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멀션 수지의 에틸렌 단량체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5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초산비닐 단량체 함유량은 60 내지 95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92중량부이다. 상기 에틸렌 단량체의 함유량이 5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내수 접착력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고, 접착제가 딱딱한 성질을 갖게 되어, 제품의 비틀림 안정성 및 치수안정성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한편, 4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접착제의 응집력과 내열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에틸렌 단량체와 초산비닐 단량체 이외에 수산기(hydroxyl group), 카르복실기(carboxyl group), 아미드기(amide group), 술폰산기(sulfonic group), 에폭시기(epoxy group), 메틸올기(methylol group), 아세트아세틸기(acetacetyl group) 등의 관능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를 20중량부 이하의 범위에서 포함하는 공중합체 에멀션을 사용해도 좋다.
상기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에멀션의 보호 콜로이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상기 폴리비닐알코올로는 검화도가 70 내지 97몰%, 평균 중합도가 50 내지 6,000 정도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가 50 미 만인 경우에는 이소시아네이트에 의해 가교가 되더라도 낮은 중합도에 의해 충분한 접착력을 발휘하기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6,00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물에 대한 용해성이 낮기 때문에 보호콜로이드로서의 역할을 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검화도가 70몰% 미만인 경우에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에멀션이 피착제에 침투가 어려워져 접착력이 나빠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97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다량의 히드록실기와 이소시아네이트와의 반응 증가로 접착제의 가사시간(pot life)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상기한 보호콜로이드로서 폴리비닐알코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초산비닐 단량체 100중량부 당 유화제 1 내지 10중량부를 함유할 수도 있으며, 계면활성제나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hydroxyl ethyl cellulose)와 같은 셀룰로오즈계 유도체 등을 유화분산제로 병용할 수 있다.
한편, 보호콜로이드와는 별도로 접착제의 작업성, 초기접착력, 그리고 코팅성을 우수하게 하기 위하여 폴리비닐알코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콜로이드 외에 독립적으로 폴리비닐알코올을 첨가시키므로써 최종 접착제 조성물에서 접착제 구성 성분의 분산성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초기의 끈적임 정도(tacky property)도 증가되어 목질보드류와 무늬목 등의 목재류의 접착에 있어서 초기접착력을 개선하여 작업공정상의 불량률(예를 들어, 압제시의 무늬목 틀어짐과 무늬목 들뜸 현상)을 감소할 수 있다.
상기 독립적으로 첨가되는 폴리비닐알코올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에멀션의 보호 콜로이드로 사용된 폴리비닐알코올과 비슷한 종류의 것이면 어느 것 이나 무방하다. 수용액 상태로는 10 내지 50%의 고형분 함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에멀션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50%의 고형분 함량을 갖는 폴리비닐알코올을 0.1 내지 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중량부의 양으로 첨가 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사용량이 5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접착제 조성물의 내수성이 저하되며, 이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함유량이 증가하게 되고, 이는 접착제 조성물의 작업성과 가사시간의 저하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짧은 접착 시간 동안 목질간, 바람직하게는 무늬목과 목질 보드류 간에 강한 초기 접착력과 내수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적당량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에멸션의 상세 설명에서 언급하였듯이, 보호콜로이드로서 폴리비닐알코올, 독립적인 폴리비닐알코올의 첨가 혹은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가교반응을 수행하여 우수한 내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의 보호 콜로이드로 사용되는 폴리비닐알코올의 히드록실기 및 목재의 셀룰로오즈의 히드록실기와 효과적으로 가교되어 우레탄(urethane)결합을 형성시켜 목질용 접착제가 내수 접착력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 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리진 디이소시아네이트(lysine diisocyanate) 등의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류; 1,3-시클로헥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시클로헥실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수소 첨가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류; 아이소 홀론 디이소시아네이트(iso holon diisocyanate), 1,5-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류; 2,4-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6-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m-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p-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2,4-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2,2'-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4,4'-바이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류;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류; 2,4,6-트리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 2,4,4'-트리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 에테르, 트리이소시아네이트페닐 메탄, 트리이소시아네이트 페닐티오포스파이트 등의 트리이소시아네이트류; 디이소시아네이트 3몰과 물 1몰로부터 유도되는 비우렛(biuret)형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삼량화에 의하여 형성되는 이소시아누레이트형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를 제조할 때 부생하는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글리콜류, 트리올류,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또는 폴리에테르 폴리올과의 어덕트(adduct)형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그리고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들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들 수 있으며, 이중 상대적으로 수용액에서 안정하고 휘발성이 낮은 액상의 이소시아네이트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의 함유량은 에틸렌-초산 비닐 공중합체 수지 에멸션 100중량 부에 대하여 1 내지 3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5중량부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짧은 접착시간 동안 내수성을 만족시키기가 어렵고, 3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접착제 조성물의 가사시간 (pot life)이 나빠지며, 그로 인하여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가 포함하는 다양한 반응성 관능기 및 첨가된 폴리비닐알코올과 반응하여 짧은 열압 시간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최종 접착력과 내수 접착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에는 소맥분, 전분, 추출된 콩가루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첨가물이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첨가물로는 소맥분 또는 전분이 사용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소맥분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물, 특히 소맥분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멀션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0.1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5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되는 것이 작업성과 접착력의 측면에서 좋다. 50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접착제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이들 첨가물, 특히 소맥분은 접착제의 증점과 충진 역할 뿐만 아니라, 내수성을 향상시키며 상온에서는 반응이 느리나 열에 의해서 이소시아네트와 반응하여 우수한 접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에는 충진재로서 유기 또는 무기충진재가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유기충진재로는 예를 들면 나무가루 혹은 월넛 껍질 가루를 들 수 있고, 무기충진재로는 카오리오나이트, 클레이, 실리카, 탈크, 티타늄 옥사이드, 징크 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충진재와 무기충진재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충진재는 상기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에멀션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0중량부의 양으로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충진재들은 미세한 분말의 형태로 하여 상기 접착제 조성물에 첨가하는 것이 좋다.
본 조성물의 구성성분들의 혼합 순서는 크게 상관없지만,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에멀션, 첨가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순서가 바람직하다.
이 외에도 목재와 접착제의 미생물에 대한 살균, 항균작용, 특히 세균, 곰팡이에 대하여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항균제나 방부제(biocid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항균제나 방부제 등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에멀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중량부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지만, 접착제 물성을 변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0.01 내지 2.0중량부의 양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균제 또는 방부제로서는 이소티아졸린(isothiazolin)계 화합물 또는 그의 유도체, 나트륨 바이설파이트(Sodium bisulfite), 과산화물(peroxide), 과요오드산(periodic acid)과 그의 유도체, 염소 또는 브롬 계열 화합물을 포함하는 할로겐 계열 화합물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목질 등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주거 공간이나 바닥 등에 시공되어 장식되는 무늬목과 목질보드류를 접착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적용가능한 목질보드류는 베니어로 구성된 합판, 중밀도 섬유판(MDF ; Medium Density Fiberboard), 고밀도 섬유판(HDF ; High Density Fiberboard) 또는 파티클보드(PB ; Particle Board)일 수 있으나, 특히 합판이 바람직하며, 무늬목으로는 두께가 0.15 내지 0.35mm인 습식무늬목 또는 두께가 0.35mm 내지 1.0mm인 건식무늬목을 사용할 수 있다.
기존의 유리 포름알데히드 방산을 억제하는 비포름알데히드 접착제의 경우에는 친수성인 목재와 소수성인 접착제와의 습윤성이 좋지 않았기 때문에 습윤성 향상을 위한 변성제를 첨가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멀션 수지를 주로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짧은 접착시간에도 불구하고 목재와의 상용성이 좋고 뛰어난 초기 접착력을 가지며, 동시에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에 의해 내수성과 합판 후 치수안정성이 우수해진 목질용 접착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목재들을 접착시키는 접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짧은 접착시간에도 불구하고 작업성, 생산성 그리고 제품안정성이 향상된 무늬목과 목질보드류를 일체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목재들을 접착시키는 접착방법은 목재들을 연속적으로 접착시킴에 있어서, (1)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을 목재들의 표면들의 어느 한면 또는 양면에 도포하는 도포단계; (2) 15 내지 35℃의 온도와 8 내지 13kg/cm2 의 압력하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가압하는 상온가압하는 상온가압단계; 및 (3) 100 내지 130℃의 온도와 8 내지 13kg/cm2 의 압력 하에서 10 내지 30초 동안 가압하는 가열가압단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체화 방법을 일례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접착제 조성물을 페놀 합판 상에 80~200g/m2 의 두께로 고르게 도포하고, 두께가 0.15 내지 1.0mm인 천연 무늬목을 그 위에 적층한 다음, 15 내지 35℃의 온도와 8 내지 13kg/cm2 의 압력하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가압하여 압착한다. 상온에서의 압착이 끝나면 바로 가열가압에 의한 압착을 수행하여 무늬목과 합판을 일체화한다. 상기 가열가압은 상판 온도 100 내지 130℃, 하판 온도 100 내지 130℃, 압력 8 내지 13 kg/cm2에서 10 내지 30초 동안 가열 압착하여 일체화한 후 24 내지 120시간 동안 대기온도까지 냉각하여 일체화시킨다.
일반적으로 목재의 가열가압시간은 목재의 함수율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긴 열압시간으로 인하여 목재의 함수율이 낮아지면 목재가 휘는 현상이 발생하여 제품 불량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열압시간의 단축은 생산성 뿐만 아니라 불량률 감소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어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에멀션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100 : 1 내지 30의 비율로 혼합 사용함으로써 무늬목과 목질보드류의 접착 시간을 상당히 줄이고도 우수한 내수 접착력과 최종 접착력을 제공 할 수 있다. 또한 접착시간의 단축으로 인해 본 발명의 무늬목과 목질보드류의 접착방법에서의 작업성과 생산성이 대폭 향상되었고, 목재의 함수율을 유지하게 함으로써 최종제품의 휨(curling) 문제를 개선하고 치수안정성을 높였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보호콜로이드로서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고 있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에멀션(고형분 50%) 1080g을 분취하여 2L의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용기에 담고, 소맥분 250g을 첨가하고, 기계적 교반기(mechanical stirrer)로 교반시켰다. 마지막으로 고분자성의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polymeric 4,4'-diphenyl methane diisocyanate, 함량 90%이상인 것) 120g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교반시켰다
[실시예 2]
방부제(홍원, FC-900W)를 마지막에 10g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조성에 폴리비닐알코올을 첨가한 것으로서, 에틸렌-초산비닐 공 중합체 수지 에멀션 780g에 15% 폴리비닐알코올(검화도 87%, 중합도 1700) 수용액 300g를 첨가하여 골고루 교반하고, 소맥분 180g을 첨가하여 교반한 다음. 마지막으로 고분자성의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polymeric 4,4'-diphenyl methane diisocyanate, 함량 90%이상, crude MDI) 120g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되도록 교반시켰다
[실시예 4]
방부제(홍원,FC-900W)를 마지막에 10g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의 조성에 5%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검화도 87%, 중합도 2400)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의 조성에 25%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검화도 80%, 중합도 500)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하기 비교예 1은 접착제 업계에 알려진 요소-멜라민 포름알데히드 수지의 첨가에 따른 작업성을 위한 "경화지연제" 효과와 무늬목-합판간 접착력 및 최종제품 의 치수안정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비교실험을 한 것이다.
[비교예 1]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멀션 수지(고형분 50%) 780g을 분취하여 2L의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용기에 담고, 수성 요소-멜라민 포름알데히드(urea-melamine formaldehyde, MUF) 수지(고형분 48%) 300g를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소맥분 250g을 첨가하고 기계적 교반기(mechanical stirrer)로 교반시켰다. 마지막으로 고분자성의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polymeric 4,4'-diphenyl methane diisocyanate, 함량 90%이상, crude MDI) 120g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교반시켰다.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6, 비교예 1의 접착제 조성물들을 직접식 롤코터(direct roll coater)를 이용하여 30 ( 30cm2 3겹 페놀합판 위에 11g 정도 균일하게 코팅시켰다. 이때, 롤의 선속도는 15m/min이었다. 접착제 조성물이 균일하게 코팅된 합판 위에 무늬목(8.2 ( 30 cm2)을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시켰다. 10kg/cm2의 압력으로 15분간 상온에서 압착시킨 다음, 상판 120℃, 하판 120℃, 압력 10kg/cm2으로 20 내지 30초간 가열가압시켰다. 일체화된 무늬목-합판을 상온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내수 침지 박리 접착력 시험과 포름알데히드 방산량 측정 시험을 시행하였다.
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시험 방법 1. 내수 침지 박리력 시험
무늬목-합판의 접착력과 내수성 시험은 KS F 3101규격에 명시된 내수 침지 박리 접착력 시험으로 행하였다. 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서 무늬목-합판이 시공되기 전에 실시하는 가장 대표적인 시험방법이다. 이 시험방법에 따라 한 변의 길이가 75mm인 정사각형 시편 4개를 준비하여 끓는 물에서 4시간 삶은 다음, 60±3℃에서 20시간 건조한 후, 다시 끓는 물에 4시간 삶은 다음, 60±3℃에서 3시간 건조하여 무늬목과 합판이 박리되는 정도를 조사하였다.
시험 방법 2. 포름알데히드 방산량 측정
유리 포름알데히드의 방산량은 JIS 1460, KS F 3101에서 규정한 데시케이터-아세틸 아세톤 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등에서 가열접합된 무늬목-합판을 실내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5 ( 15cm2로 절단하여 합판당 12개의 시편을 준비하였다. 이중 임의로 선택된 12개의 시편을 증류수 300ml가 담겨 있는 데시케이터에 수직방향으로 담아 뚜껑을 닫고 20℃로 유지되는 실내에서 24 시간 방치하였다. 유리 포름알데히드를 포집한 증류수를 100ml 삼각 플라스크에 담고 2M 농도의 아세트산암모늄의 아세틸아세톤 용액 25ml을 가하여 잘 섞고 마개로 막았다. 60 내지 65℃로 10분간 가열한 뒤, 냉각시켜 1cm2 셀로 옮겨서 415nm의 파장의 자외선을 방출하는 광원을 사용하는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유리 포름알데히드의 방산량을 측정하였다.
도 1은 목재들로서 무늬목층(1)과 합판층(3)을 접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접착제층(2)을 형성시켜 접착시킨 모식도로서, 실시예들과 비교예의 접착제 조성물들을 사용하여 무늬목층(1)과 합판층(3)을 일체화한 것을 보여 준다. 여기에서, 합판은 일반적으로 마루바닥재에 사용되는 합판을 사용하는 것으로, 통상 남양재(열대산 활엽수재)를 사용하며, 특히 페놀 수지로 합판된 것을 사용하였다. 페놀 합판을 사용하는 이유는 가격이 상대적으로 싼 멜라민 합판을 이용할 경우, 멜라민 합판에서 방산되는 포름알데히드의 양이 상당하기 때문이다. 페놀 합판의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은 합판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으며, 상기 시험 방법 2의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무검출 내지는 0.04mg/L 이하의 수준인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들 및 비교예 1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1 에 나타내었다.
구분 초기 접착력 내수 접착력 포름알데히드 방산량 (㎎/ℓ)
실시예 1 O O 무검출
실시예 2 O O 무검출
실시예 3 O O 무검출
실시예 4 O O 무검출
실시예 5 O O 무검출
실시예 6 O O 무검출
비교예 1 O O 0.5
O : 내수 접착력 => 내수 침지 박리 시험 통과, 무검출 : 검출한계인 0.04 mg/L 이하로 측정됨
다음으로 실시예 1, 3, 비교예 1에 대하여 하기의 평가를 실시 하였다. 평가방법은 하기 방법과 같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평가 방법 1. 접착제의 초기의 끈적임 정도(tacky property) 측정
15 ( 5cm2의 규격의 합판의 시편을 준비한 다음, 접착제 조성물을 직접식 롤코터를 이용하여 도포량 110g/㎡으로 코팅하였다. 5분 정도 대기 중에 방치한 다음, 섬유분석기(Texture Analyzer)를 이용하여 접착제 별 초기 끈적임 정도(tacky property)를 평가하였 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평가 방법 2. 내수 접착력 평가
무늬목과 합판의 내수 접착력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 하였다.
15(5cm2의 규격의 합판의 시편 및 2.5(6cm2의 규격의 무늬목의 시편을 준비하였다. 직접식 롤코터를 이용하여 상기 합판 위에 도포량 110g/㎡으로 코팅하였다. 무늬목과 합판의 접착면적이 2.5(2.5cm2로 되도록 무늬목을 적층한 다음, 상온, 10kg/cm2 의 압력에서 15분 동안 압착시켰다. 상온에서의 압착이 끝나면 바로 상판 온도 115℃, 하판 온도 115℃, 압력 10 kg/cm2에서 10초 동안 합판과 무늬목을 가열가압에 의해 열 압착하여 일체화한 후, 24시간 동안 대기온도까지 냉각하여 도 2와 같은 시편을 제작하였다. 도 2에서, 무늬목층(1)과 합판층(3)을 일체화시켜 제작된 시편을 100℃의 끓는 물에 90분 동안 침지하고 젖은 상태에서 다목적 시험기(UTM ; Universal test machine)를 이용하여 내수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평가 방법 3. 비틀림 안정성 평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92*900cm2의 규격의 시료 5개를 준비하고 각각의 시료를 길이 방향으로 2곳, 폭 방향으로 2곳을 표시한 다음, 초기값을 측정 하고, 80±2℃ 오븐에서 6시간 방치한 후, 실온에서 30분간 냉각시켜 시료의 비틀림 변화량을 측정하고 평균하여 고온 비틀림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마찬가지로 침지 비틀림 안정성은 상온수에 6시간동안 방치 후, 상온에서 30분 건조 후, 변화량을 측정하고 평균화 하였다.
평가 방법 4. 치수안정성 평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92(900cm2의 시료 5개를 준비하고 상대 습도 60 내지 65%, 온도 20±2℃로 조절된 항온항습기에 24시간 방치하여 동일 조건으로 습도조절을 한 후 다음과 같이 실험을 실시 하였다.
1)가열 수축 실험
습도조절이 행하여진 시료를 길이방향으로 2곳, 폭방향으로 2곳을 표시한 다음, 초기값을 측정 하고, 80±2℃ 오븐에서 6시간 방치한 후, 실온에서 30분간 냉각시키고, 시료의 치수를 측정하고 평균치를 계산하였다..
1)침지팽창율 시험
습도조절이 행하여진 시료를 길이방향으로 2곳, 폭방향으로 2곳을 표시한 다음, 초기값을 측정 하고, 실온수(20±2℃)에 6시간 방치한 후, 꺼내어 닦은 후, 30분간 자연 건조시키고 시료의 치수를 측정하고 평균치를 계산하였다.
평가 방법 5. 접착제 조성물의 가사시간(pot life) 측정
접착제의 조성물을 혼합한 다음 브룩필드(Brookfield)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하기 접착제의 공정에서 사용 시간은 1시간 이내이므로 접착제 혼합 후, 1시간 동안의 점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점도 측정은 스핀들 번호(Spindle Number) S64, 회전속도 5rpm, 토크(torque) 10 내지 100% 범위에서 측정하였다.
평가 방법 6. 접착제 조성물에 대한 반응(경화) 속도 평가
실시간 퓨리에변환 적외선 분광분석기(Real time FT-IR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잔존하는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의 적외선 피크 세기(IR Peak intensity)를 비교함으로써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접착제의 가교반응은 조성물 내의 이소시아네이트와 다른 관능성기의 반응에 의하여 대부분 일어남으로 시간에 따른 잔존 이소시아네이트 농도가 많으면 상대적으로 가교반응이 느려 가사시간에 유리하다. 상온에서는 접착제 조성에 따라 차이가 크지 않아 70℃(도 5)와 120℃(도 6)에서 평가하여 그 결과를 각각 도 5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두 온도 조건 모두 초산비닐-에틸렌 공중합체 수지 에멀션 만을 사용하였을 때 조성물 내의 이소시아네이트 세기가 서서히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가사시간을 측정한 점도 변화와도 일치한다.
평가 항목 접착제 조성물
실시예 1 실시예 3 비교예 1
1. 초기 끈적임 정도(g) 2115±135 2420±198 1731±31
2. 내수 접착력(kg) 52.0 61.6 29.3
3. 비틀림 안정성(mm) 80℃ L방향 3.79 5.08 4.92
W방향 0.0 0.0 0.0
침지 L방향 1.15 2.93 2.75
W방향 0.0 0.0 0.0
4. 치수 안정성(mm) 80℃ L방향 0.14 0.14 0.13
W방향 0.04 0.04 0.03
침지 L방향 0.20 0.19 0.18
W방향 0.09 0.08 0.09
5. 가사시간 (pot life) 도 3 도 3 도 3
6. 가교속도 도 4 도 4 도 4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을 통해서 만들어진 접착제가 실시예 2에 비해서 초기 끈적임 정도(tacky property)와 접착력이 각각 15 % 정도 떨어지지만 비틀림 안정성이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관행적으로 알려진 경화지연제로서 요소-멜라민 수지의 첨가(비교예 1)는 실시예 1과 비교하여 퓨리에변환 적외선 분광분석기의 분석 결과의 점도변화를 보듯 별다른 효과가 없고 가열가압 결합 시, 반응속도가 빠르고 또한 초기 끈적임 정도(tacky property)와 접착력을 저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과 비교하여 비틀림 안정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통상의 목질용 접착제, 특히 무늬목과 합판마루에 주로 사용되는 층간 접착제인 요소-멜라민계 접착제의 유해한 포름알데히드 방산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였고,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휘발성 유기물의 발생도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초기접착력, 내수 접착력과 합판 후 제품의 비틀림 안정성과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무늬목과 목질보드류의 일체화 과정에 있어서의 생산공정에서 생산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가열가압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과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었고, 짧은 열압시간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내수 접착능력을 가지는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목재류를 접착하는 접착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국내와 해외에서 엄격히 규제되는 포름알데히드의 방산이 일어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합판마루뿐 만 아니라, 앞으로 친환경성 목질상재용 접착제로 넓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1)

  1. 보호 콜로이드로서 검화도가 70 내지 97 몰%이고, 평균 중합도가 50 내지 6,000인 폴리비닐알코올을 더 포함하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100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1 내지 30중량부; 및 소맥분, 전분, 추출된 콩가루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첨가물 0.1 내지 5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초산비닐(EVAc) 공중합체 수지가 에틸렌(ethylene) 단량체 5 내지 40중량부와 초산비닐 단량체 60 내지 95중량부를 공중합시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조성물.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산비닐 단량체 100중량부 당 유화제 1 내지 10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산비닐 단량체 100중량부 당 계면활성제나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hydroxy ethyl cellulose) 등의 셀룰로오즈계 유도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에멀션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50%의 고형분 함량을 갖는 폴리비닐알코올을 0.1 내지 50중량부의 양으로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에멀션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50%의 고형분 함량을 갖는 폴리비닐알코올을 5 내지 40중량부의 양으로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류, 수소 첨가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류,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류, 방향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류, 트리이소시아네이트류, 비우렛(biuret)형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이소시아누레이트형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어덕트 (adduct)형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들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나무가루 또는 월넛 껍질 가루 등의 유기충진재; 카오리오나이트, 클레이, 실리카, 탈크, 티타늄 옥사이드 또는 징크 옥사이드 등의 무기충진재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충진재를 상기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에멀션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0중량부의 양으로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이소티아졸린(isothiazolin)계 화합물 또는 그의 유도체, 나트륨 바이설파이트(Sodium bisulfite), 과산화물(peroxide), 과요오드산(periodic acid)과 그의 유도체, 염소 또는 브롬 계열 화합물을 포함하는 할로겐 계열 화합물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항균제 또는 방부제를 상기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에멀션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중량부의 양으로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조성물.
  11. 목재들을 연속적으로 접착시킴에 있어서,
    (1)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접착제 조성물을 목재들의 표면들의 어느 한면 또는 양면에 도포하는 도포단계;
    (2) 15 내지 35℃의 온도와 8 내지 13kg/cm2 의 압력하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가압하는 상온가압단계; 및
    (3) 100 내지 130℃의 온도와 8 내지 13kg/cm2 의 압력하에서 10 내지 30초 동안 가압하는 가열가압단계;
    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들을 접착시키는 접착방법.
KR1020050018292A 2005-03-04 2005-03-04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목재들을 접착시키는 접착방법 KR100735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292A KR100735457B1 (ko) 2005-03-04 2005-03-04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목재들을 접착시키는 접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292A KR100735457B1 (ko) 2005-03-04 2005-03-04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목재들을 접착시키는 접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217A KR20060097217A (ko) 2006-09-14
KR100735457B1 true KR100735457B1 (ko) 2007-07-03

Family

ID=37629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8292A KR100735457B1 (ko) 2005-03-04 2005-03-04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목재들을 접착시키는 접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54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1011A (ko) 2016-10-13 2018-04-23 주식회사 신흥문구공업 다용도 고체풀 조성물과 다용도 고체풀 제조방법 및 다용도 고체풀 케이스 주입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430B1 (ko) * 2008-09-04 2009-03-11 (주)엔비켐 도배풀용 분말형 항균제 조성물과 이 항균제 조성물이혼합된 도배풀
KR101647301B1 (ko) * 2014-10-02 2016-08-11 대한민국 목재용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938832B1 (ko) * 2017-04-20 2019-04-10 대한민국 천연물을 기재로 한 내수합판용 접착제 조성물 및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8643A (ja) * 1991-06-25 1993-03-30 Kuraray Co Ltd 組成物および接着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8643A (ja) * 1991-06-25 1993-03-30 Kuraray Co Ltd 組成物および接着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1011A (ko) 2016-10-13 2018-04-23 주식회사 신흥문구공업 다용도 고체풀 조성물과 다용도 고체풀 제조방법 및 다용도 고체풀 케이스 주입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217A (ko) 2006-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31968A1 (en) Protein-modified isocyanate-functional adhesive binder for cellulosic composite materials
KR100679815B1 (ko) 대칭구조를 이용한 무늬목과 고밀도섬유판을 갖는마루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US7655312B2 (en) Two-part polyurethane adhesives for structural finger joints and method therefor
KR101713104B1 (ko) 리그노셀룰로즈계 제품 및 이의 형성 방법
CN101247931B (zh) 生产木基材料的方法
JP5011933B2 (ja) ウェット単板用湿気硬化型ポリウレタンホットメルト接着剤、及びそれを用いた化粧造作部材
Grøstad et al. Emulsion polymer isocyanates as wood adhesive: a review
CA1277054C (en) Aqueous glue dispersions containing polyisocyanates, their preparation and use
KR100735457B1 (ko)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목재들을 접착시키는 접착방법
US20090081468A1 (en) Reactive aromatic oils with improved adhesive properties
EP2184144A1 (en) Polyisocyanate composition used for binding lignocellulosic materials
CN109642138A (zh) 粘结体系的硬化
Kol et al. Shear strength of heat-treated tali (Erythrophleum ivorense A. Chev.) and iroko (Chlorophora excelsa) woods with various adhesives
KR101647301B1 (ko) 목재용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8025525B (zh) 胶合板制品
JP5783888B2 (ja) 高耐水性の複合材料形成用接着剤組成物、複合材料、それらの製造方法および高耐水性の複合材料形成用接着剤
KR100708968B1 (ko) 목질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함에 의해 무늬목과목질보드류를 일체화하는 방법
JP2895421B2 (ja) 通気性被着体用接着剤
EP4183815A1 (en)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ground pea seeds and an amine-based azetidinium-functional cross-linker
JP2004300793A (ja) 化粧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230347546A1 (en) Method for producing a veneered board
JP2013107311A (ja) 高耐水性の複合材料形成用接着剤組成物、複合材料、それらの製造方法および高耐水性の複合材料形成用接着剤
Gollob et al. Wood adhesion
JP2895429B2 (ja) 通気性被着体用接着剤及びこれを用いた接着方法
CA2852072C (en) Water-resistant surface treatment for wood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