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5430B1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5430B1
KR100735430B1 KR1020050025897A KR20050025897A KR100735430B1 KR 100735430 B1 KR100735430 B1 KR 100735430B1 KR 1020050025897 A KR1020050025897 A KR 1020050025897A KR 20050025897 A KR20050025897 A KR 20050025897A KR 100735430 B1 KR100735430 B1 KR 100735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guage
menu
sub
displaying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5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4063A (ko
Inventor
이종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5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430B1/ko
Publication of KR20060104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4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06F9/454Multi-language systems; Localisation; International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multilanguage fun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인언어와 서브언어로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메뉴키 입력시, 상기 메인언어로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복수언어표시메뉴 선택시, 언어목록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언어목록 중 서브언어로 표시될 언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언어를 서브언어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메인언어와 상기 서브언어를 이용하여 상기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메뉴, 메인언어, 서브언어, 메뉴의 표시패턴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METHOD FOR DISPLAYING THE MENU IN WIRELESS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체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메인언어와 서브언어로 메뉴를 표시하는 동작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메뉴표시 패턴에 따라 메인언어와 서브언어를 출력하는 동작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메인언어와 서브언어로 메뉴를 표시하는 제1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메인언어와 서브언어로 메뉴를 표시하는 제2예시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뉴표시시, 메인언어와 서브언어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의 2가지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GSM은 유럽형 이동전화방식으로 비동기식이고, CDMA는 미국식 방식으로 동기식이다. 이러한, 이동통신 기술은 현재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식의 근간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식을 기초로 한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고 다니며 언제 어디서나 통화를 할 수 있도록 서비스한다.
글로벌(GLOVER)시대에 사는 현대인은 여러 가지 목적 또는 필요에 의하여 세계 각국으로 이동하여 생활하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모국어를 사용하는 지역 이외에 다른 지역으로 이주한 경우 이주자는 언어적인 문제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느낀다. 예를 들어 한국인이 아랍어를 사용하는 이라크에 거주할 경우 현지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입하여 사용하여야 하는데, 현지에서 구입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지어를 메인언어로 정하여 메뉴에 표시되기 때문에 현지어를 잘 모르는 이주자가 이용하기에 많은 불편함이 있다. 최근 들어 영어를 메인언어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영어로만 한정되어 있어 영어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게는 별로 도움이 안돼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인언어와 서브언어를 이용 하여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인언어와 서브언어로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메뉴키 입력시, 상기 메인언어로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복수언어표시메뉴 선택시, 언어목록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언어목록 중 서브언어로 표시될 언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언어를 서브언어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메인언어와 상기 서브언어를 이용하여 상기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임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체 블록도이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용 전화기(mobile telephone)가 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RF부(21)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을 수행한다. RF부(21)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MODEM)(23)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25)는 코덱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코덱을 구비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25)는 상기 모뎀(23)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를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되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모뎀(23)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은 별도로 구비거나 또는 제어부(10)에 포함될 수 있다.
키패드(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 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메모리(29)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복수언어 표시메뉴를 선택시, 메인언어와 서브언어를 이용하여 메뉴를 표시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메뉴를 표시할 세계 언어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1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모뎀(23) 및 코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0)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복수언어 표시메뉴 선택시, 언어목록을 표시하고 표시된 언어목록 중 서브언어로 표시될 언어가 선택되면, 선택된 언어를 서브언어로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메뉴표시패턴 선택에 따라 메인언어와 서브언어를 스크롤 패턴으로 출력하거나 스위칭 패턴으로 출력한다. 또한 메뉴표시패턴 선택에 따라 메인언어와 서브언어를 두 줄 패턴으로 출력한다.
카메라(5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한다.
신호처리부(60)는 상기 카메라(5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이미지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처리부(60)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70)는 상기 신호처리부(6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처리부(70)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상기 표시부(80)의 규격에 맞춰 하는 전송하며, 또한 상기 영상데이터를 압축 및 신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표시부(80)에 출력되는 영상데이터의 시작주소 값을 전송하거나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상기 시작주소 값을 변경 설정하여 전송한다.
표시부(80)는 상기 영상처리부(70)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80)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80)는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상기 키패드(27)와 LCD는 입력부가 될 수 있다. 표시부(80)는 영상데이터가 출력되는 영상데이터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발신시 사용자가 키패드(27)를 통해 다이얼링 동작을 수행한 후 발신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10)는 이를 감지하고 모뎀(23)을 통해 수신되는 다이얼정보를 처리한 후 RF부(21)를 통해 RF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후 상대 가입자가 응답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RF부(21) 및 모뎀(23)을 통해 이를 감지한다. 이후 사용자는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착신모드시 상기 제어부(10)는 모뎀(23)을 통해 착신모드임을 감지하고,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링신호를 발생한다. 이후 사용자가 응답하면 상기 제어부(10)는 이를 감지하고, 역시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발신 및 착신모드에서는 음성통신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음성 통신 이외에 패킷 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를 통신하는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대기모드 또는 문자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는 모뎀(23)을 통해 처리되는 문자데이터를 표시부(80) 상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메인언어와 서브언어로 메뉴를 표시하는 동작을 살펴보면, 대기상태에서 사용자가 키패드(27)을 이용하여 복수언어표시메뉴를 선택하면 제어부(10)는 메모리(29)와 표시부(80)를 제어하여 언어목록을 표시하고 서브언어로 표시될 언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언어를 서브언어로 설정하고 메인언어와 서브언어를 이용하여 상기 메뉴를 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메인언어와 서브언어로 메뉴를 표시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설정된 패턴에 따라 메인언어와 서브언어를 메뉴언어로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대기상태인 201단계에서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메뉴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2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05단계에서 메모리(29)와 표시부(80)를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메인언어를 확인하고 상기 메인언어로 메뉴 목록을 표시한다. 여기서 메뉴 목록은 이미지 아이콘, 아바타 또는 텍스트로 표시될 수 있고 상기 메인언어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조된 또는 판매되는 지역 또는 국가의 언어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된 메뉴 목록 중 언어 변경 메뉴를 선택하면 제어부(10)는 2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09단계에서 메모리(29)와 표시부(80)를 제어하여 언어변경메뉴 목록을 표 1과 같이 표시한다.
언어변경메뉴 목록
1 복수 언어표시
2 단일 언어표시
이후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1번 항목인 복수언어 표시 메뉴를 선택하면 제어부(10)는 2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13단계에서 메모리(29)와 표시부(80)를 제어하여 언어종류 목록을 표 2와 같이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된 언어종류 목록에는 각각의 해당언어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어'는 한글로 표시되고 '중국어'는 중국어는 한자로 표시되고 '스페인어'는 서반어로 표시된다. 또한 복수언어 표시 메뉴 선택은 상기 키패드(27)의 네비게이션 키(navigation key) 상에 위치시키거나 또는 핫키를 설정하여 상기 203단계-상기 209단계를 생략하고 직접 복수언어 표시 메뉴가 선택되어 복수 언어 표시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언어종류 목록
1 한국어
2 영 어
3 중국어
4 러시아어
5 프랑스어
6 스페인어
7 아랍어
그리고 상기 표시된 언어종류 목록 중 사용자가 서브언어로 설정하고자 하는 언어를 선택하면 제어부(10)는 2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17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언어를 서브언어로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언어종류 목록에 체크박스를 구비하고 체크박스에 마킹하여 여러 개의 서브언어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는 메모리(29)와 표시부(80)를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메뉴의 표시패턴에 맞게 상기 메인언어와 상기 서브언어를 출력하여 상기 메뉴에 상기 메인언어와 상기 서브언어를 스크롤 패턴, 스위칭 패턴 또는 두 줄 패턴으로 표시한다. 상기 메뉴의 표시패턴에 맞게 상기 메인언어와 상기 서브언어를 출력하는 동작은 도 3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209단계에서 상기 표 1과 같이 표시된 언어변경메뉴 목록 중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2번 항목인 단일 언어표시 메뉴를 선택하면 제어부(10)는 22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23단계로 진행하여 메인언어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225단계에서 메모리(29)와 표시부(80)를 제어하여 메인언어를 이용하여 상기 메뉴를 도 4의(B)와 같이 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메뉴표시 패턴에 따라 메인언어와 서브언어를 출력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메뉴표시 패턴에 따라 메인언어와 서브언어를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제어부(10)는 301단계에서 메모리(29)를 제어하여 상기 메뉴의 표시패턴을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스크롤 표시패턴이 설정되어 있으면 제어부(10)는 3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05단계에서 메모리(29)를 제어하여 상기 메인언어와 상기 서브언어를 도 4의(A)와 같이 표시되도록 스크롤 패턴으로 출력한다.
그러나 스위칭 표시패턴이 설정되어 있으면 제어부(10)는 3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09단계에서 메모리(29)를 제어하여 도 4의(B)와 도 4의(C)가 반복하여 교대로 표시되도록 상기 메인언어와 상기 서브언어를 스위칭 패턴으로 출력한다.
그러나 두 줄 표시패턴이 설정되어 있으면 제어부(10)는 3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3단계에서 메모리(29)를 제어하여 상기 메인언어와 상기 서브언어를 도 5의(A)와 같이 표시되도록 두 줄 표시패턴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두 줄 표시패턴은 도 5의(B)와 같이 커서가 위치한 메뉴만 두 줄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특히 상기 서브언어는 디폴트(default)로 설정되어 있거나 상기 복수 언어표시기능이 설정되면 상기 기능을 해제하거나 단일 언어표시기능이 설정되지 않으면 계속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알 수 있는 기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인언어와 서브언어를 이용하여 메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익숙한 언어로 이동통신 단말기 메뉴를 조작할 수 있음으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인언어와 서브언어로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메뉴키 입력시, 상기 메인언어로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복수언어표시메뉴 선택시, 언어목록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언어목록 중 서브언어로 표시될 언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언어를 서브언어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메인언어와 상기 서브언어를 이용하여 상기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목록에 체크박스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언어를 복수개 설정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언어와 상기 서브언어를 이용하여 상기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메뉴의 표시패턴을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패턴이 스크롤링 표시패턴이면, 상기 메인언어와 상기 서브언어를 스크롤링으로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한번의 키 입력으로 복수언어표시메뉴에 진입하여 상기 언어목록을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과정은
    상기 표시패턴이 스위칭 표시패턴이면, 상기 메인언어와 상기 서브언어를 교대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과정은
    상기 표시패턴이 두 줄 표시패턴이면, 상기 메인언어와 상기 서브언어를 두 줄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KR1020050025897A 2005-03-29 2005-03-29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 KR100735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897A KR100735430B1 (ko) 2005-03-29 2005-03-29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897A KR100735430B1 (ko) 2005-03-29 2005-03-29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063A KR20060104063A (ko) 2006-10-09
KR100735430B1 true KR100735430B1 (ko) 2007-07-04

Family

ID=37634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5897A KR100735430B1 (ko) 2005-03-29 2005-03-29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54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5309A (ko) 2019-02-28 2020-09-07 에스큐엔지니어링(주) 고출력 레이저 타음을 이용한 콘크리트 건전도 평가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889A (ko) * 2002-07-31 2004-02-1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다국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구현한 휴대전화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889A (ko) * 2002-07-31 2004-02-1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다국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구현한 휴대전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063A (ko) 2006-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3528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팝업 표시방법
KR100630149B1 (ko)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 확대/축소 방법
KR100630200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계산기 모드 동작 방법
KR100678201B1 (ko) 휴대단말기에서 메인언어를 설정하는 방법
KR100689525B1 (ko) 휴대단말기에서 마우스기능을 통한 데이터 제어방법
KR1007354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
KR10067824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0849293B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70338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전자사전서비스 방법
JP2006211266A (ja) 携帯電話機
KR20060011455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특수문자 입력 방법
KR20050000143A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동작방법
KR10067810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표시방법
KR100663433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표시방법
KR100678158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 표시방법
US9122317B2 (en) Electronic device and screen display method
KR100790070B1 (ko)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678157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단축키 설정 및 그의 이용 방법
KR1006513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데이터 입력 방법
KR10075466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 거는 방법
KR2004002671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방법
KR20050015897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표시 방법
KR100713450B1 (ko)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검색방법
KR2004005871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0640502B1 (ko) 휴대단말기에서 화면표시속도를 개선하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