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4568B1 - Water tank for steam cleaner and steam cleaner using the therof - Google Patents

Water tank for steam cleaner and steam cleaner using the ther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4568B1
KR100734568B1 KR1020060037581A KR20060037581A KR100734568B1 KR 100734568 B1 KR100734568 B1 KR 100734568B1 KR 1020060037581 A KR1020060037581 A KR 1020060037581A KR 20060037581 A KR20060037581 A KR 20060037581A KR 100734568 B1 KR100734568 B1 KR 100734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steam
water tank
water
stea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75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경희
Original Assignee
한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희 filed Critical 한경희
Priority to KR1020060037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4568B1/en
Priority to CNB2006101484341A priority patent/CN100528061C/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5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2Mops with liquid-feeding devices
    • A47L13/225Steam m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3Liquid supply reservoirs; Preparation of the agents, e.g. mix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6Arrangements for steam generation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A water tank for a steam cleaner and the steam cleaner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be able to change only a heater in the heater failure by forming a heater installing hole at a bottom of a storing unit body and detachably installing a heater, thereby reducing cost for replacing parts. A steam cleaner using a water tank includes a push stick unit(10), a connecting unit, a steam generating unit, an electric cable(51), and a winding device(50). The steam generating unit includes a cover housing(31), a bottom plate(35), and a water tank(40). The cover housing includes rotation projections(32) at both sides. Hinge grooves of the connecting unit are inserted into the rotating projections. The water tank includes a storing unit and a heater. The storing unit stores water. The heater is installed at the storing unit and heats the water. A heater installing hole is formed at a bottom of the storing unit. The heater has a shape of a block with a flange at an edge, and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heater installing hole.

Description

스팀청소기의 물탱크 및 이를 이용한 스팀청소기 { WATER TANK FOR STEAM CLEANER AND STEAM CLEANER USING THE THEROF }WATER TANK FOR STEAM CLEANER AND STEAM CLEANER USING THE THEROF}

도 1a는 종래의 스팀청소기의 사시도,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steam cleaner,

도 1b는 종래의 스팀청소기의 물탱크의 내부 구조도,1b is an internal structure diagram of a water tank of a conventional steam cleaner;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청소기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a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청소기의 다른 방향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direction of the steam clea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청소기의 측면도,4 is a side view of a stea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청소기의 분리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ea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청소기의 다른 방향의 분리사시도,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direction of the steam clea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연결부의 구조를 확대한 분리사시도,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structure of the connecting unit illustrated in FIG. 5;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스팀발생부의 구조를 확대한 분리사시도,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structure of the steam generator shown in FIG. 5;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분리사시도,9A and 9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h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를 분리한 평면도,10 is a plan view separating the handl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홀더의 확대 사시도,11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lug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완충부재의 장착상태의 단면도.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unting state of the second buffe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밀대부, 12 : 손잡이, 14 : 제1완충부재,10: pusher, 12: handle, 14: the first buffer member,

20 : 연결부, 21 : 전면하우징, 21a : 삽입부, 20: connection part, 21: front housing, 21a: insertion part,

22,26 : 힌지홈, 23,27 : 삽입가이드부, 23a: 후크돌기, 22,26: hinge groove, 23,27: insertion guide portion, 23a: hook projection,

24,28 : 전원케이블출입구, 25 : 후면하우징, 25b: 스토퍼, 24,28: power cable entrance, 25: rear housing, 25b: stopper,

29 : 조립캡, 29a : 장착홈, 30 : 스팀발생부, 29: assembly cap, 29a: mounting groove, 30: steam generator,

31 : 커버하우징, 31a : 제1주입구, 31b : 표시부, 31: cover housing, 31a: first inlet, 31b: display unit,

32 : 회전돌기, 33 : 데코바디, 34 : 바퀴부재, 32: rotating projection, 33: decobody, 34: wheel member,

34a : 끼움돌기부, 34b : 고정홈, 35 : 바닥판, 34a: fitting projection, 34b: fixing groove, 35: bottom plate,

36 : 바퀴삽입홈, 37 : 고정부재, 40 : 물탱크, 36: wheel insertion groove, 37: fixing member, 40: water tank,

41 : 수용부커버, 41a : 제2주입구, 41b : 유동방지편,41: accommodating part cover, 41a: second inlet, 41b: flow preventing piece,

42,45 : 가스켓, 43 : 중간커버부재, 43a: 유동방지편관통공,42, 45: gasket, 43: intermediate cover member, 43a: flow preventing piece through hole,

44 : 수용부본체, 44a: 히터장착공, 44b : 스팀배출부, 44: accommodating unit body, 44a: heater mounting hole, 44b: steam discharge unit,

44c : 유동방지편, 46 : 히터, 46a : 플랜지,44c: flow prevention piece, 46: heater, 46a: flange,

47 : 방열판, 48 : 바이메탈, 50 : 권취기,47: heat sink, 48: bimetal, 50: winder,

51 : 전원케이블, 52 : 권취버튼, 52a: 누름부,51: power cable, 52: winding button, 52a: pressing portion,

52b : 가압부, 52c: 버튼회전돌기, 53 : 스프링클립,52b: pressurization portion, 52c: button rotating projection, 53: spring clip,

54 : 전원버튼, 55 : 메인회로기판, 56 : 스위치,54: power button, 55: main circuit board, 56: switch,

57 : 제2완충부재, 57a: 고리, 58 : 플러그홀더.57: second buffer member, 57a: ring, 58: plug holder.

본 발명은 스팀청소기의 물탱크 및 이를 이용한 스팀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탱크에 장착되는 히터가 수용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물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편이 장착된 스팀청소기의 물탱크 및 이를 이용한 스팀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tank of a steam cleaner and a steam cleaner using the same, and in particular, a heater mounted on the water tank is detachably mounted to a receiving part, and a water tank of a steam cleaner equipped with a flow preventing member for preventing the flow of water. It relates to a steam cleaner using the same.

스팀 청소기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고온의 스팀을 발생시켜 바닥의 살균과 함께 이물질을 제거하기에 적절하게 구성되어 있다.The steam cleaner is suitably configured to generate high temperature steam using electric energy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long with sterilization of the floor.

도 1a는 종래의 스팀청소기의 사시도이다.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steam cleaner.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스팀청소기는 스팀발생부(1)와, 연결부(4)와, 밀대부(2)와 전원케이블(3)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A, a steam cleaner generally includes a steam generator 1, a connection part 4, a pusher part 2, and a power cable 3.

상기 스팀발생부(1)는, 전열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켜 그 증기를 저면에 접촉된 바닥으로 토출하도록 한다.The steam generator 1 heats the water contained therein by the heat transfer to generate steam to discharge the steam to the bottom in contact with the bottom.

상기 연결부(4)는, 하부가 상기 스팀발생부(1)에 힌지결합되고 상부는 상기 밀대부(2)에 장착된다.The connecting portion 4, the lower portion is hinged to the steam generating portion 1 and the upper portion is mounted to the pusher portion (2).

상기 밀대부(2)는, 하부가 상기 연결부(4)에 장착되어 상기 스팀발생부(1)의 저면을 바닥에 대고 밀 수 있도록 한다.The pusher 2 has a lower portion moun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4 so that the bottom of the steam generator 1 can be pushed against the floor.

따라서, 상기 밀대부(2)와 연결부(4)는 상기 스팀발생부(1)를 중심으로 일체로 선회할 수 있어 여러 각도에서 청소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the pusher 2 and the connecting portion 4 can be integrally pivoted around the steam generator 1, so that cleaning can be performed at various angles.

상기 전원케이블(3)은 상기 스팀발생부(1)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스팀발생부(1)는 상기 전원케이블(3)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그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전환하여 물을 가열시켜 스팀을 발생하도록 한다.The power cable 3 is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or 1, the steam generator 1 receives the electrical energy through the power cable 3 to convert the energy into thermal energy to heat the water To generate steam.

이러한 스팀발생부(1)의 내부에는 물탱크가 장착되는데, 그 내부 구조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다.The water tank is mounted inside the steam generator 1, and its internal structure is shown in FIG. 1B.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는 수용부(100) 내부에 히터(110)가 장착되어 있는데, 상기 히터(110)는 곡선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부(100)의 측면을 관통하여 장착된다.As shown in FIG. 1B, the water tank is mounted with a heater 110 inside the accommodating part 100. The heater 110 is curved and mounted through the 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100.

그러나, 이러한 물탱크는 상기 히터(110)가 곡선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용부(100)에 상기 히터(110)를 장착하여 고정시키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기 히터(110)가 길기 때문에 상기 수용부(100)에 지지대(102)를 형성하여 상기 히터(110)의 끝단을 지지하여야만 하였다.However, such a water tank is not only difficult to mount and fix the heater 110 to the accommodating part 100 because the heater 110 is formed in a long curve, the accommodating because the heater 110 is long. A support 102 was formed in the part 100 to support the end of the heater 110.

또한, 상기 수용부(100)와 히터(110)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에는 히터 고장시 수용부(100)와 히터(110)를 모두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accommodating part 100 and the heater 110 are integrally form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both the accommodating part 100 and the heater 110 need to be replaced when the heater is broken.

또한, 청소시 상기 물탱크가 흔들릴 경우 상기 수용부(100) 내부에 수용된 물이 출렁거려 외부로 유출되거나 청소하는데 외력을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water tank is shaken during clean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ater contained in the receiving part 100 slumps and exerts an external force to flow out or clean.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용부에 히터를 용이하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고, 청소시 물탱크 내부의 물이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스팀청소기의 물탱크 및 이를 이용한 스팀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water tank of the steam cleaner can be easily and detachably mounted to the receiving portion, and can minimize the shaking of the water inside the water tank during cleaning and thi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team cleaner us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스팀청소기의 물탱크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으로 변환시키는 스팀청소기의 물탱크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는, 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장착되어 물을 가열하는 히터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용부의 저면에는 상기 히터가 장착되기 위한 히터장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히터는 가장자리에 플랜지가 형성된 블럭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히터장착공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water tank of the stea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tank of the steam cleaner for heating the water to convert the steam, the water tank, the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water; The heater is mounted to the receiving portion is made of a heater for heating water, the bottom of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with a heater mounting hole for mounting the heater, the heater is formed in a block shape with a flange formed on the edge of the heater mounting hole It is detachably mounted.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스팀청소기는, 밀대부와;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부와; 상기 밀대부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스팀발생부와 힌지결합하는 연결부와; 상기 스팀발생부에 내장되어 물을 가열하여 스팀으로 변환시키는 물탱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물탱크는, 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장착되어 물을 가열하는 히터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용부의 저면에는 상기 히터가 장착되기 위한 히터장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히터는 가장자리에 플랜지가 형성된 블럭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히터장착공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tea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sh rod; A steam generator for generating steam; A connection part mounted to the lower part of the pusher part and hinged to the steam generator; A water tank built in the steam generator to convert water into steam by heating the water tank; The heater is mounted to the receiving portion is made of a heater for heating water, the bottom of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with a heater mounting hole for mounting the heater, the heater is formed in a block shape with a flange formed on the edge of the heater mounting hole It is detachably mounted.

상기 수용부본체 또는 수용부커버에 내측으로 유동방지편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A flow preventing piece protrudes inward from the receiving body or the receiving cover.

상기 수용부본체의 상부에는 수용부에 수용된 물이 상하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중간커버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유동방지편은 상기 중간커버부재를 관통한다.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body is equipped with an intermediate cover member for prevent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housing flows up and down, the flow preventing piece penetrates the intermediate cover member.

또한, 상기 히터의 저면에는 바이메탈이 장착되도록 한다.In addition, a bimetal is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heater.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청소기의 다른 방향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청소기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청소기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청소기의 다른 방향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연결부의 구조를 확대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스팀발생부의 구조를 확대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분리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a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direction of the stea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stea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ea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direction of the stea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tructure of the connecting part shown in FIG. An enlarged separated perspective view, FIG. 8 is an enlarged separated perspective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steam generator shown in FIG. 5, and FIGS. 9A and 9B are separated perspective views of a heat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팀청소기는, 밀대부(10)와, 연결부(20)와, 스팀발생부(30)와, 전원케이블(51)과, 권취기(50) 등으로 이루어진다.2 to 9, the stea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sher 10, the connecting portion 20, the steam generating portion 30, the power cable 51, the winding machine 50 ) And so on.

상기 밀대부(10)는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부에는 사용자가 쉽게 손으로 잡도록 하기 위해 손잡이부(12)가 장착되어 있고, 하부에는 상기 연결부(20)가 장착되어 있다.The pusher 10 has a rod shape, and a handle part 12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so as to be easily grasped by the user, and the connection part 20 is mounted on the lower part.

상기 밀대부(10)는 종래의 공지기술을 이용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pusher 10 is preferably to be able to adjust the length using a conventional known art.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를 분리한 평면도이다.10 is a plan view separating the handl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12)는, 제1핸들부(12a)와 제2핸들 부(12c)가 상호 조립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0, the handle part 12 is formed by assembling the first handle part 12a and the second handle part 12c to each other.

상기 제1핸들부(12a) 내측에는 체결돌기(12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핸들부(12c)의 내측에는 상기 체결돌기(12b)가 삽입되는 체결홈(12d)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핸들부의 끝단 측면에는 'ㄷ'자 형상의 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핸들부에는 상기 제2핸들부의 돌기에 대응되는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체결돌기(12b)를 상기 체결홈(12d)에 가조립하고 상기 돌기와 상기 홈을 가조립한 상태에서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1핸들부(12a)와 제2핸들부(12c)를 체결하면 되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용이하다.A fastening protrusion 12b is formed inside the first handle part 12a, and a fastening groove 12d into which the fastening protrusion 12b is inserted is formed inside the second handle part 12c. A 'c' shaped protrusion (not shown) is formed on an end side surface of the second handle portion, and a groove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handle portion is formed on the first handle portion. Temporarily assembling the protrusion 12b into the fastening groove 12d and assembling the first handle portion 12a and the second handle portion 12c using a screw or the like in a state where the protrusion and the groove are temporarily assembled. Easy to work

상기 손잡이부(10)의 후방에는 상기 밀대부(10)가 후방으로 넘어졌을 때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 제1완충부재(14)가 돌출되도록 장착되어 있다.The rear of the handle portion 10 is mounted so that the first buffer member 14 made of rubber or the like protrudes in order to absorb the shock when the pusher 10 falls to the rear.

이를 위해 상기 제1핸들부(12a)의 후방에는 장착돌기(12e)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완충부재(14)에는 상기 장착돌기(12e)에 삽입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돌기(12e)에 상기 제1완충부재의 관통공이 삽입되어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서, 상기 제1완충부재(14)가 상기 손잡이부(12)에 장착된다.To this end, a mounting protrusion 12e is formed at a rear side of the first handle part 12a, and a through hole for insertion into the mounting protrusion 12e is formed at the first buffer member 14, and the mounting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buffer member is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12e and fastened by using a screw or the like, so that the first buffer member 14 is mounted to the handle part 12.

이때, 상기 장착돌기(12e)에는 상기 제2핸들부(12c)를 향하는 돌출편(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핸들부(12a)에는 상기 돌출편에 대응되는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핸들부(12a)와 제2핸들부(12c)를 조립하기가 더욱 용이하다.In this case, the mounting protrusion 12e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not shown) facing the second handle portion 12c, and the groove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is formed in the first handle portion 12a. Is formed, making it easier to assemble the first handle portion 12a and the second handle portion 12c.

상기 연결부(20)는, 전면하우징(21)부과 후면하우징(25)부이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부는 상기 밀대부(10)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고, 하부는 상기 스팀발생부(30)와 힌지 결합되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홈(22,26)이 형성되어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20 is formed by the front housing 21 and the rear housing 25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upper portion is moun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usher 10, the lower portion is the steam generator 30 and Hinge grooves 22 and 26 are formed as shown in FIG.

상기 연결부(20)는 상기 전면하우징(21)과 후면하우징(25)이 스크류 체결하여 결합될 수도 있으나,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하우징(21)과 후면하우징(25)의 상부에 각각 상기 밀대부(10)에 접하는 삽입가이드부(23,27)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가이드부(23,27)를 감싸면서 끼워지는 중공 원통형상의 조립캡(29)을 장착함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ng portion 20 may be coupled by screwing the front housing 21 and the rear housing 25, but as shown in FIGS. 5 to 7 of the front housing 21 and the rear housing 25 It is preferable to form an insertion guide portion (23, 27) in contact with the rod 10, respectively, and to install a hollow cylindrical assembly cap (29) fitted to surround the insertion guide (23, 27) Do.

이때, 상기 조립캡(29)과 상기 삽입가이드부(23,27)는 후크 결합되도록 하여 착탈이 용이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assembly cap 29 and the insertion guide portion (23, 27) is to be coupled to the hook to facilitate removal.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가이드부(23)에 후크돌기(58c)(23a)를 형성하고, 상기 조립캡(29)에 상기 후크돌기(58c)(23a)에 대응되는 장착홈(29a)을 형성하여 상기 조립캡(29)과 상기 삽입가이드부(23,27)가 결합되도록 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7, hook protrusions 58c and 23a are formed in the insertion guide part 23, and mounting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hook protrusions 58c and 23a in the assembly cap 29. The assembly cap 29 and the insertion guide portions 23 and 27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29a.

위와 같이 조립캡(29)을 장착함으로써, 전면하우징(21)과 후면하우징(25)의 스크류 체결이 없기 때문에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또한 조립캡(29)과 상기 삽입가이드부(23,27)를 후크결합함으로써 스크류 등의 체결부(57a)재가 불필요하여 부품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조립캡(29)을 끼우기만 하면 되는바 조립이 더욱 용이하다.By mounting the assembly cap 29 as described above, since there is no screw fastening of the front housing 21 and the rear housing 25, the assembly time can be shortened, and the assembly cap 29 and the insertion guide portion 23, By hooking 27), fastening parts 57a, such as screws, are not necessary, thereby reducing component costs, and assembling is more easy by simply fitting the assembly cap 29.

상기 스팀발생부(30)는, 커버하우징(31)과, 바닥판(35)과, 물탱크(40)로 이루어진다.The steam generator 30 includes a cover housing 31, a bottom plate 35, and a water tank 40.

상기 커버하우징(31)의 양측에는 회전돌기(3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연결부(20)의 힌지홈(22,26)이 삽입장착된다.Rotating protrusions 32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cover housing 31 so that the hinge grooves 22 and 26 of the connecting portion 20 are inserted and mounted.

상기 바닥판(35)은 상기 커버하우징(31)의 저면과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되고, 상기 물탱크(40)는 상기 바닥판(35)과 커버하우징(31) 사이에 배치된다.The bottom plate 35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cover housing 31 using fastening means such as a screw, and the water tank 40 is disposed between the bottom plate 35 and the cover housing 31. .

상기 커버하우징(31)의 상부에는 물을 넣기 위한 제1주입구(31a)와 작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1b)가 형성되어 있다.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housing 31 is formed with a first inlet 31a for inserting water and a display portion 31b for displaying an operating state.

이때, 상기 제1주입구(31a)와 표시부(31b)는 상기 연결부(20)와 스팀발생부(30)의 힌지결합부위보다 전방에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청소시 상기 연결부(20) 및 밀대부(10)에 의해 상기 표시부(31b)가 가려져 사용자가 볼 수 없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표시부(31b)가 전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청소시에도 사용자가 다른 부품의 방해없이 쉽게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inlet 31a and the display portion 31b are preferably formed in front of the hinge coupl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20 and the steam generating portion 30, which is the connecting portion 20 and The display part 31b is covered by the pusher part 10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 that the user cannot see. Since the display part 31b is located in the front, the user can easily clean the other parts without disturbing other parts. There is a visible effect.

또한, 상기 커버하우징(31)의 상부에는 다양한 색상과 다양한 형상을 갖는 데코바디(33)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하여 사용자가 기호에 맞게 상기 데코바디(33)를 장착함으로써, 여러가지의 색상과 디자인을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ttaching a detachable body 33 having a variety of colors and shapes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housing 31, the user can install the decor body 33 according to the taste, various colors and designs Can be configured.

이를 위해 상기 데코바디(33)의 저면에는 체결돌기(33a)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하우징에(31)는 상기 장착돌기(33a)에 대응되는 장착홈(31c)을 형성하여, 상기 데코바디(33)가 상기 커버하우징(31)에 가체결된 상태에서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상기 손잡이부(12)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조립작업이 용이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o this end, a fastening protrusion 33a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decor body 33 and the cover housing 31 forms a mounting groove 31c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protrusion 33a. ) Is fastened to the cover housing 31 using a screw or the like in the state in which the cover housing 31 is temporarily fastened, thereby obtaining an effect of facilitating the assembly work as described in the handle part 12.

상기 데코바디(33)는 상기 전방하우징(21)에도 장착하여 여러가지의 색상과 디자인을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The decor body 33 may also be mounted to the front housing 21 to configure various colors and designs.

또한, 상기 바닥판(35)의 후방에는 바퀴부재(34)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wheel member 34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rear of the bottom plate 35.

이를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35)의 후방에는 바퀴삽입홈(3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퀴부재(34)의 전방에는 양측에 오목하게 고정홈(34b)이 형성된 끼움돌기부(34a)가 형성되어 있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8, the wheel insertion groove 36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bottom plate 35, and the fixing groove 34b is formed concavely at both sides in front of the wheel member 34. The fitting protrusion 34a is formed.

상기 바퀴부재(34)의 끼움돌기부(34a)를 상기 바퀴삽입홈(36)에 삽입하고 나서 고정시키기 위해, 종래에는 상기 바퀴삽입홈(36) 내부에 안쪽으로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홈(34b)에 상기 돌출부가 끼워져 상기 바퀴부재(34)를 고정 장착하였다.In order to fix the fitting protrusion 34a of the wheel member 34 to the wheel insertion groove 36, the protrusion is integrally formed inside the wheel insertion groove 36 inwardly and fixed. The protrusion is fitted into the groove 34b to fix the wheel member 34.

그러나, 위와 같은 바닥판(35)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일반적으로 사출 등을 통해 제작하게 되는데, 상기 바퀴삽입홈(36) 내부에 안쪽으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바닥판(35)을 하나의 부품으로 사출하여 제작하기가 어려웠다.However, the bottom plate 35 as described above is made of plastic is generally produced through injection, etc., the protrusion is formed inward in the wheel insertion groove 36, the bottom plate 35 as a part It was difficult to produce by injection.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바닥판(35)을 상기 바퀴삽입홈(36)을 중심으로 상판과 하판으로 나누어 사출 제작하고, 상판과 하판에 각각 돌출부를 절반씩 형성하여 상판과 하판을 결합함으로써 바퀴삽입홈(36)과 돌출부를 완전하게 형성하였다.Therefore, in the related art, the bottom plate 35 is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by dividing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around the wheel insertion groove 36, and forming protrusions on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respectively, to couple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to the wheel insertion groove. 36 and the protrusions were completely formed.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바닥판(35)은 상판과 하판을 따로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작시간 및 비용이 두 배로 소모되고, 상기 바닥판(35)의 상판과 하판 사이에 스팀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스켓 등을 장착하여야 하였으며, 상판과 하판 사이에 물이 고이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However, because the conventional bottom plate 35 as described above should be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the production time and cost are doubled, and the steam is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of the bottom plate 35. In order to be equipped with a gasket, there is a problem such as water pooling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바닥판(35)에 바퀴삽입홈(36)을 일체로 형성하여 제작하고, 다만 종래의 돌출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바닥판(35)의 바퀴삽입홈(36)에 수직으로 고정부재(37)를 삽입 장착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heel insertion groove 36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ttom plate 35 and manufactured, but is fixed perpendicularly to the wheel insertion groove 36 of the bottom plate 35 to form a conventional protrusion. The member 37 was inserted and mounted.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37)는 양단이 절곡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바퀴삽입홈(36)의 상부에는 상기 고정부재(37)의 양단이 삽입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부재(37)의 양단이 상기 바퀴삽입홈(36)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끼움돌기부(34a)의 고정홈(34b)에 끼워져 상기 바퀴부재(34)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As shown in FIG. 8, the fixing member 37 has a 'c' shape in which both ends are bent, and the upper end of the wheel insertion groove 36 is inserted through both ends of the fixing member 37. A ball is formed, and both ends of the fixing member 37 penetrate through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wheel insertion groove 36 to be fitted into the fixing groove 34b of the fitting protrusion 34a so that the wheel member 34 is formed. Do not let go easily.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바닥판(35)이 하나로 이루어져 있어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고, 가스켓과 같은 부품이 불필요하여 부품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바닥판(35)에 물이 고이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the bottom plate 35, which is easy to manufacture and assemble, and eliminates the need for parts such as gaskets,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the parts, and problems such as water accumulation on the bottom plate 35. Can be solved.

그리고, 상기 물탱크(40)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41,44)와, 상기 수용부(41,44)에 장착되어 물을 가열시키는 히터(46)로 이루어진다.9A and 9B, the water tank 40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41 and 44 for accommodating water, and a heater mounted on the receiving portions 41 and 44 to heat the water. It consists of 46.

상기 수용부는 수용부본체(44)와 수용부커버(41)로 이루어져 상호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수용부본체(44)의 하부에는 상기 히터(46)가 장착되기 위한 히터장착공(44a)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로 스팀을 배출하기 위해 중공의 스팀배출부(44b)가 상향 돌출 형성되어 있다.The accommodating part includes the accommodating part body 44 and the accommodating part cover 41 to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a heater mounting hole 44a for mounting the heater 46 is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accommodating part body 44. As shown in FIG. 9B, a hollow steam discharge part 44b protrudes upward to discharge steam downward.

상기 수용부커버(41)의 상단에는 상기 커버하우징(31)에 형성된 제1주입 구(31a)에 대응되는 제2주입구(41a)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주입구(31a)와 제2주입구(41a)를 통해 상기 수용부 내로 유입된 물은 상기 히터(46)에 의해 가열되어 스팀으로 변환되고, 스팀은 상기 수용부에 형성된 스팀배출부(44b)를 따라 상기 바닥판(35)으로 분출된다.A second inlet 41a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let 31a formed in the cover housing 31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accommodating part cover 41 so that the first inlet 31a and the second inlet are formed. Water introduced into the accommodating part through the 41a is heated by the heater 46 to be converted into steam, and steam is ejected to the bottom plate 35 along the steam discharge part 44b formed in the accommodating part. do.

상기 히터(46)는 가장자리에 플랜지(46a)가 형성된 육면체의 블럭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히터장착공(44a)에 장착되어 스크류로 체결되고, 상기 히터(46)와 상기 수용부본체(44) 사이에는 가스켓(45)이 장착된다.The heater 46 is formed in a block shape of a hexahedron having a flange 46a formed at an edge thereof, and is mounted to the heater mounting hole 44a and fastened with a screw, and between the heater 46 and the receiving body 44. The gasket 45 is mounted.

이때, 상기 히터(46)의 가장자리에는 플랜지(46a)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상기 히터(46)를 상기 히터장착공(44a)에 삽입시 상기 플랜지(46a)가 상기 히터장착공(44a)을 형성하는 상기 수용부본체(44)에 걸리게 되는바, 상기 히터(46)를 단순히 상기 히터장착공(44a)에 끼우기만 하면 되므로 상기 히터(46)를 보다 쉽게 장착할 수 있다.At this time, a flange 46a protrudes from an edge of the heater 46 so that the flange 46a forms the heater mounting hole 44a when the heater 46 is inserted into the heater mounting hole 44a. To be caught by the receiving unit body 44, the heater 46 can be mounted more easily simply by fitting the heater 46 to the heater mounting hole (44a).

또한, 상기 히터(46)가 육면체의 블럭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히터장착공(44a)에 쉽게 조립할 수 있으며, 상기 플랜지(46a)와 상기 히터장착공(44a)을 형성하는 상기 수용부본체(44)를 스크류로 체결하면 되기 때문에 상기 히터(46)를 상기 수용부본체(44) 및 히터장착공(44a)에 보다 쉽게 착탈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er 46 is made of a block shape of a hexahedron can be easily assembled to the heater mounting hole (44a), the receiving portion main body 44 to form the flange (46a) and the heater mounting hole (44a) Since the screw 46 may be fastened with a screw, the heater 46 may be easily detachably mounted to the accommodation unit body 44 and the heater mounting hole 44a.

물론, 상기 수용부본체(44)와 수용부커버(41) 사이에도 가스켓(42)이 장착된다.Of course, a gasket 42 is also mounted between the housing body 44 and the housing cover 41.

상기 히터(46)를 상기 수용부와 별도로 제작하여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체결하기 때문에 상기 히터(46)가 고장난 경우에 상기 수용부의 교체없이 상기 히 터(46)만 교체하면 되는바, 부품의 교체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Since the heater 46 is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accommodating part and fastened using a screw or the like, when the heater 46 is broken, only the heater 46 needs to be replaced without replacing the accommodating part. You can save money.

상기 히터(46)의 하부에는 방열판(47)이 장착되어 다른 부품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바이메탈(48)이 장착되어 히터(46)가 과열되었을 때에 자동으로 전기가 차단되도록 한다.A heat sink 47 is mounted below the heater 46 to prevent other components from being heated, and a bimetal 48 is mounted to automatically shut off electricity when the heater 46 is overheated.

이때, 상기 바이메탈(48)이 상기 히터(46)의 저면에 삽입 장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히터(46)의 저면에는 도 9a에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메탈장착홈(46b)이 함몰되어 형성되어 있다.In this case, the bimetal mounting groove 46b is recessed in the bottom of the heater 46 so that the bimetal 48 is inserted into and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heater 46.

위와 같이, 상기 바이메탈(48)을 상기 히터(46)의 저면에 형성된 바이메탈장착홈(46b)에 삽입 장착함으로써, 상기 히터(46)의 온도를 보다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어 상기 히터(46)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inserting the bimetal 48 into the bimetal mounting groove 46b formed on the bottom of the heater 46,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46 can be measured more precisely, so that the heater 46 Overheating can be prevented.

상기 수용부본체(44)와 상기 수용부커버(41)에는 유동방지편(41b,44c)을 돌출 형성하여, 청소시 물탱크(40)가 흔들려도 상기 유동방지편(41b,44c)에 의해 물의 유동이 방해되어, 물탱크(40)에 수용된 물의 이동을 최소화하여 물탱크(40) 외부로 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Protruding flow prevention pieces (41b, 44c) formed in the receiving body (44) and the receiving cover (41), even if the water tank 40 during the cleaning by the flow preventing pieces (41b, 44c) Since the flow of water is disturbed, the movement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40 can be minimized to prevent the water from flowing out of the water tank 40.

또한, 상기 수용부본체(44)의 상부에는 중간커버부재(43)를 씌우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상기 중간커버부재(43)는 상기 수용부본체(44)에 수용된 물이 상하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main body 44, the middle cover member 43, the intermediate cover member 43 is that the water contained in the receiving portion main body 44 flows up and down This is to prevent.

종래에는 상기 중간커버부재(43)가 여러 개로 분할되어 있었고, 이를 각각 상기 수용부본체(44)에 장착하였기 때문에 부품수가 많아져 조립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related art, the intermediate cover member 43 was divided into several parts, and each of the intermediate cover members 43 was mounted on the accommodating part body 44, thereby increasing the number of parts and thus preventing assembly.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용부본체(44)의 상부 전체를 덮는 중간커버부재(43)를 하나로 제작하고, 상기 중간커버부재(43)의 테두리에는 하향절곡된 절곡부(44b)를 일체로 형성하였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mediate cover member 43 covering the entire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unit body 44 is manufactured as one, and the bent portion 44b bent downward is integrally formed at the edge of the intermediate cover member 43. It was.

이로 인해, 하나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상기 중간커버부재(43)만을 장착하기만 하여 되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고, 또한, 상기 절곡부(44b)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용부본체(44)에 삽입 장착하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삽입된 후에는 흔들림없이 지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only the intermediate cover member 43 made of one component is mounted, the assembly is easy and the bent portion 44b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body 44. Not only is it easy, but it can also be supported and fixed without shaking after being inserted.

이를 위해 상기 절곡부(44b)는 상기 수용부본체(44)와 접하도록 하여야 함은 물론이다.To this end, the bent portion 44b should be in contact with the receiving portion body 44, of course.

또한, 상기 중간커버부재(43)에는 상기 유동방지편(41b)이 관통하도록 유동방지편관통공(43a)을 형성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intermediate cover member 43 is to form a flow preventing piece through-hole 43a so that the flow preventing piece 41b penetrates.

상기 유동방지편(41b)이 상기 중간커버부재(43)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중간커버부재(43)는 상기 유동방지편(41b)에 의해 지지되어 쉽게 이동하지 않게 된다.As the flow preventing piece 41b penetrates through the intermediate cover member 43, the intermediate cover member 43 is supported by the flow preventing piece 41b and does not easily move.

이렇게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스팀발생부(30) 자세하게는 상기 히터(46)에는 전기가 공급되어야 하고, 이는 상기 전원케이블(51)을 통해 공급되어진다.In order to generate steam in this way, the steam generator 30, in detail, the heater 46 must be supplied with electricity, which is supplied through the power cable 51.

상기 권취기(50)는, 상기 전원케이블(51)을 자동으로 권취하기 위한 것으로써, 종래의 공지된 권취장치를 사용하면 충분하다.The winding machine 50 is for automatically winding the power cable 51, and it is sufficient to use a conventionally known winding device.

상기 권취기(50)는 상기 스팀발생부(30)에 장착될 수도 있으나, 상기 연결부(20)의 내부 즉 상기 전면하우징(21)과 후면하우징(25) 사이에 장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winder 50 may be mounted to the steam generator 30, but is preferably mounted inside the connection part 20, that is, between the front housing 21 and the rear housing 25.

상기 권취기(50)가 상기 연결부(20) 내부에 장착되면, 상기 연결부(20)에는 상기 전원케이블(51)이 인출되도록 하기 위해 전원케이블출입구(24,28)가 형성되어 있다.When the winder 50 is mounted inside the connection part 20, power connection ports 24 and 28 are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20 to allow the power cable 51 to be drawn out.

이때, 상기 전원케이블출입구(24,28)는 상기 연결부(20)의 측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power cable entrances 24 and 28 are form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20.

이렇게 함으로써, 청소시 상기 스팀발생부(3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도 상기 전원케이블(51)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권취기(50)에 권취된 전원케이블(51)을 상기 연결부(20)의 측방향으로 빼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쉽게 뺄 수 있다.In this way, the steam generator 3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aught by the power cable 51 even when the steam generator 30 mov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during cleaning, and the power cable 51 wound around the winder 50 can be Because the side pull out of the connection portion 20 can be removed more easily by the user.

그리고, 상기 권취기(50)의 회전축은 상기 전면하우징(21)부와 후면하우징(25)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권취기(50)에 권취된 전원케이블(51)이 휘어짐 없이 곧바로 상기 전원케이블출입구(24,28)을 통해 입출되도록 하여 상기 전원케이블(51)이 보다 쉽게 귄취되거나 빠지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ng shaft of the winder 50 is dispos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front housing 21 and the rear housing 25 so that the power cable 51 wound around the winder 50 is straight without bending. By entering and exiting through the power cable entrances 24 and 28, the power cable 51 can be more easily gripped or pulled out.

또한, 상기 권취기(50)의 회전축을 상기 전면하우징(21)부와 후면하우징(25)부에 수직하게 배치함으로써, 권취기(50)가 눕여져 있을 경우에 전원케이블(51)이 자중에 의해 아래방향으로만 감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rranging the rotation axis of the winder 50 perpendicular to the front housing 21 and the rear housing 25, the power cable 51 in its own weight when the winder 50 is lying down.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wound downward only.

그리고, 상기 전원케이블출입구(24,28)에는 전후방이 개방되고 상기 전원케이블(51)에 장착된 플러그를 수납되는 플러그홀더(58)가 장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power cable entrances 24 and 28 are opened, and a plug holder 58 accommodating the plugs mounted on the power cable 51 is mounted therein.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홀더의 확대 사시도이다.11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lug hold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플러그홀더(58)는,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제작 및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홀더부재(58a)와 제2홀더부재(58b)로 이루어져 상호 결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plug holder 58 may be formed of a single member, but is made of a first holder member 58a and a second holder member 58b as shown in FIG. 11 to facilitate manufacturing and assembly. It is preferred to be combined.

상기 제1홀더부재(58a)와 제2홀더부재(58b)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상기 제1홀더부재(58a)에 후크돌기(58c) 형성하고 상기 제2홀더부재(58b)에 상기 후크돌기(58c)가 삽입되는 후크수용부(58e)를 형성하여 상호 후크결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first holder member 58a and the second holder member 58b may be coupled by using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but a hook protrusion 58c is formed on the first holder member 58a and the second holder member 58a is coupled to the second holder member 58a. It is preferable to form a hook receiving portion 58e into which the hook protrusion 58c is inserted into the holder member 58b so as to be hooked to each other.

이렇게 함으로써, 제1홀더부재(58a)와 제2홀더부재(58b)를 한번에 보다 쉽게 조립할 수 있다.By doing this, the first holder member 58a and the second holder member 58b can be more easily assembled at one time.

또한, 상기 제1홀더부재(58a)에는 안내돌기(58d)를 형성하고, 상기 제2홀더부재(58b)에는 상기 안내돌기(58d)가 삽입되는 안내돌기수용부(58f)를 형성함이 바람직한데, 위와 같이 안내돌기(58d)와 안내돌기수용부(58f)를 형성함으로써, 후크결합이 보다 용이하게 되도록 할 수 있고, 결합후에는 상기 제1홀더부재(58a)와 제2홀더부재(58b)의 상호 결합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guide protrusion 58d is formed in the first holder member 58a, and a guide protrusion accommodating portion 58f into which the guide protrusion 58d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second holder member 58b. However, by forming the guide projection (58d) and the guide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58f)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make the hook coupling easier, after the first holder member (58a) and the second holder member (58b). ) Can increase the mutual support capacity.

또한, 상기 제1홀더부재(58a) 및/또는 제2홀더부재(58b)의 후방에는 플러그스토퍼(58g)를 형성하여 상기 플러그가 걸리도록 한다.In addition, a plug stopper 58g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first holder member 58a and / or the second holder member 58b to catch the plug.

상기 플러그스토퍼(58g)를 별도의 부재를 장착하거나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상기 제1홀더부재(58a) 및/또는 제2홀더부재(58b)의 후방을 안쪽으로 절곡시켜 후방의 관통구의 크기를 전방의 관통구보다 축소시킴으로써 플러그스토퍼(58g) 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Although the plug stopper 58g may be mounted or integrally formed with a separate member,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at the rear may be bent by bending the rear of the first holder member 58a and / or the second holder member 58b inward.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plug stopper 58g by reducing the diameter of the front through-hole.

또한, 상기 제2홀더부재(58b)에는 외부로 돌출되되 내측에 홈이 형성된 안착돌기(58h)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holder member 58b is provided with a mounting protrusion 58h that protrudes to the outside but has a groove formed therein.

그리고, 상기 제2홀더부재(58b)가 장착되는 전방하우징(21) 또는 후방하우징(25)에는 상기 안착돌기(58h)의 홈에 삽입 안착되기 위한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ront housing 21 or the rear housing 25 on which the second holder member 58b is mounted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protrusion for inserting and seating in the groove of the seating protrusion 58h.

따라서, 상기 제2홀더부재(58b)의 안착돌기(58h)를 상기 체결돌기에 가체결한 상태에서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2홀더부재(58b)를 전방하우징(21) 또는 후방하우징(25)과 결합시키고, 상기 제1홀더부재(58a)를 상기 제2홀더부재(58b)에 후크결합시키며, 그 후에 상기 전방하우징(21)과 후방하우징(25)을 상호 결합시킨다.Accordingly, the second holder member 58b is moved to the front housing 21 or the rear housing 25 by using a screw or the like in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protrusion 58h of the second holder member 58b is temporarily fastened to the fastening protrusion. And the first holder member 58a is hooked to the second holder member 58b, and then the front housing 21 and the rear housing 25 are mutually coupled to each other.

위와 같이, 플러그홀더(58)에 안착돌기(58h)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플러그홀더(58)가 상기 전방하우징(21) 및 후방하우징(25)에 더욱 지지되고, 조립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the seating protrusion 58h in the plug holder 58, the plug holder 58 is further supported by the front housing 21 and the rear housing 25, there is an effect that the assembly is easy.

위와 같은 상기 플러그홀더(58)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전원케이블(51)의 플러그가 상기 플러그홀더(58)에 수용되기 때문에 플러그가 외부와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외관상 플러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깔끔한 이미지를 줄 수 있다.By mounting the plug holder 58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lug of the power cable 51 is accommodated in the plug holder 58,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lug from colliding with the outside and to damage the plug. It is not exposed and can give a neat image.

이때, 상기 플러그홀더(58)는 상기 연결부(20)의 외부에 돌출됨이 없이 상기 연결부(20)의 내측으로 삽입장착되도록 하여 상기 플러그홀더(58)가 다른 물품과 부딪혀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plug holder 58 is inserted into and mounted inside the connecting portion 20 without protruding from the out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20 so that the plug holder 58 is not damaged by colliding with another articl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20)의 상부에는 상기 권취기(50)를 작동시키는 권취버튼(52)과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버튼(54)이 장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 a winding button 52 for operating the winding machine 50 and a power button 54 for applying power are mounted on the connection part 20.

상기 권취버튼(52)은,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누름부(52a)와, 상기 누름부(52a)에 하향 절곡 형성되어 상기 권취기(50)에 연결되는 가압부(52b)와, 상기 누름부(52a)의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버튼회전돌기(52c)로 이루어진다.The winding button 52 has a pressing portion 52a having an upper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a pressing portion 52b formed downwardly bent at the pressing portion 52a and connected to the winding machine 50, and the pressing portion. It consists of a button rotating projection 52c protru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portion 52a.

그리고, 상기 연결부(20)에는 상기 버튼회전돌기(52c)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21a)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ortion 20 is formed with an insertion portion 21a into which the button rotation protrusion 52c is rotatably inserted.

또한, 상기 권취버튼(52)의 하부에는 일단이 상기 연결부(20)에 고정 결합되는 스프링클립(53)이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a spring clip 53 having one end fixedly coupled to the connecting portion 20 is disposed below the winding button 52.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누름부(52a)를 누르면 상기 삽입부(21a)에 삽입된 버튼회전돌기(52c)가 힌지축이 되어 상기 누름부(52a)가 선회하게 되고 이때 상기 가압부(52b)가 상기 권취기(50)를 눌러 상기 권취기(50)가 작동되며, 사용자가 상기 누름부(52a)를 놓으면 상기 스프링클립(5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누름부(52a)는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user presses the pressing portion 52a, the button rotating protrusion 52c inserted into the inserting portion 21a becomes a hinge axis, and the pressing portion 52a is pivoted. The winder 50 is operated by pressing the winder 50, and when the user releases the presser 52a, the presser 52a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clip 53. .

위와 같이 권취기(50)를 연결부(20) 내부에 장착함으로서, 전원케이블(51)을 쉽게 권취하여 보관할 수 있고, 상기 전원케이블출입구(24,28)를 연결부(20)의 측방향으로 형성함으로서, 전원케이블(51)이 스팀발생부(30)의 전후방향이 아닌 측방향을 배출되도록 할 수 있어 청소 작업을 함에 있어서 상기 전원케이블(51)이 방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By mounting the winding machine 50 inside the connecting portion 20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cable 51 can be easily wound and stored, and by forming the power cable entrances 24 and 28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20. In addition, the power cable 51 may be discharged in the lateral direction rather tha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steam generator 30, so that the power cable 51 may not be disturbed in the cleaning operation.

종래에는 전원버튼이 스팀발생부(30)의 후방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전원버튼을 손으로 누르기가 불편하였으며 이로 인해 발로 누르게 되었는데, 발을 이용하여 전원버튼을 누르다보니 전원버튼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Conventionally, the power button is mounted on the rear of the steam generating unit 30, so that the user is inconvenient to press the power button by hand, and thus the user presses the foot by pressing the power button. there was.

또한, 상기 물탱크에 물을 주입하면서 물이 흘러 전원버튼에 유입되어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었다.In addition, while injecting water into the water tank, the water flows into the power button may be a problem occurs.

본 발명에서는, 상기 권취버튼(52)과 전원버튼(54)을 상기 연결부(20)의 상부에 장착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쉽게 손으로 버튼을 누를 수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mounting the winding button 52 and the power button 54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20, the user can easily press the button by hand.

또한, 전원버튼(54)을 연결부(20)의 상부에 장착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원버튼(54)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mounting the power button 54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2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ter flowing into the power button 54 as described later.

상기 전원버튼(54)의 양측에는 상기 전원버튼(45)이 승강운동을 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54a)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20)에는 상기 가이드홈(54a)이 끼워지는 가이드편(21b)이 형성되어 있다.On both sides of the power button 54, the guide groove (54a)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power button 45 can move up and down, and the guide portion (54a) is fitted into the connecting portion (20) The guide piece 21b is formed.

따라서, 상기 전원버튼(54)은 상기 가이드홈(54a)이 상기 가이드편(21b)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원버튼(54)이 흔들림없이 상하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the power button 54 may allow the guide groove 54a to slide along the guide piece 21b so that the power button 54 moves up and down without shaking.

상기 연결부(20)에는 메인회로기판(55)과 스위치(56) 등이 장착되어 상기 전원케이블(51)과 연결되도록 한다.The connection part 20 is equipped with a main circuit board 55 and a switch 56 to be connected to the power cable 51.

상기 메인회로기판(55)과 스위치(56)는 전선이 상기 커버하우징(31)의 회전돌기(32)를 관통하여 상기 히터(46)와 연결되고, 상기 전원버튼(54)의 하부에는 상기 스위치(56)가 배치된다.The main circuit board 55 and the switch 56 are connected to the heater 46 by a wire passing through the rotation protrusion 32 of the cover housing 31, and the switch below the power button 54. 56 is disposed.

이때, 상기 스위치(56)와 전원버튼(54) 사이에는 스프링이 장착되어 상기 전원버튼(54)이 항상 위로 돌출된 상태로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a spring is mounted between the switch 56 and the power button 54 so that the power button 54 always protrudes upward.

위와 같이, 메인회로기판(55), 스위치(56) 및 전원버튼(54)을 상기 스팀발생부(30)와 별도로 이루어진 상기 연결부(20)에 장착하고 상기 전원케이블(51)과 상기 연결부(20) 내부에서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스팀발생부(30)에서 발생되는 스팀에 의해 메인회로기판(55), 스위치(56) 및 전원케이블(51)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누전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점검 및 수리 작업이 용이하다.As described above, the main circuit board 55, the switch 56 and the power button 54 are mounted on the connection part 20 formed separately from the steam generator 30, and the power cable 51 and the connection part 20 By being connected in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hort circuit that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main circuit board 55, the switch 56 and the power cable 51 by the steam generated in the steam generator 30, , Inspection and repair work is easy.

또한, 상기 메인회로기판(55), 스위치(56) 및 전원버튼(54) 등을 연결부(20)에 장착하기 때문에 그만큼의 공간이 남아 상기 물탱크(40)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ain circuit board 55, the switch 56, the power button 54, and the like are mounted on the connecting portion 20, the space can be increased so that the capacity of the water tank 40 can be increased.

이때, 상기 전원케이블(51)과 상기 히터(46)는 상기 연결부(20)와 스팀발생부(30)의 힌지결합부위를 관통하여 전선에 의해 연결된다.At this time, the power cable 51 and the heater 46 are connected by a wire through the hinge coupl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20 and the steam generating portion 30.

또한, 상기 후면하우징(25)의 외부에는 고무로 이루어진 제2완충부재(57)가 장착되는데, 상기 제2완충부재(57)는 상기 후면하우징(25)에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자가 제2완충부재(57)를 임의로 교체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완충부재(14)와 더불어 상기 밀대부(10)가 후방으로 넘어졌을 경우 충격을 흡수하게 되어 제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second buffer member 57 made of rubber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rear housing 25, and the second buffer member 57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rear housing 25 by using a screw or the like. Thus, the user can replace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57 arbitrarily, and when the pusher 10 falls along with 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14, the shock absorber absorbs an impact to prevent the product from being damaged. can do.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완충부재의 장착상태의 단면도이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unting state of the second buffe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2완충부재(57)는 도 7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하우징(25)과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57a)와, 상기 체결부(57a)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전원케이블(51)을 끼워서 걸 수 있는 고리부(57b)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7 and 12,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57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astening part 57a for fastening with the rear housing 25 and the fastening part 57a so as to form the power cable. It consists of the ring part 57b which can be hooked by 51.

상기 체결부(57a)는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상기 후면하우징(25)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이때 체결부(57a)에는 철판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지지판(57c)을 장착하고 여기에 상기 스크류를 체결함이 바람직하다.The fastening portion 57a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rear housing 25 by using a screw or the like. At this time, the fastening portion 57a is equipped with a support plate 57c made of iron plate or plastic, and the screw is attached thereto. Fastening is preferred.

상기 지지판(57c)을 상기 체결부(57a)에 장착함은, 상기 스크류를 고무로 이루어진 상기 체결부(57a)에 체결할 경우 상기 스크류가 상기 체결부(57a)를 기준치 이상으로 뚫고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Mounting the support plate (57c) to the fastening portion (57a), when the screw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portion (57a) made of rubber that the screw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portion (57a) or more than the reference value This is to prevent.

상기 지지판(57c)은 외주면이 상기 체결부(57a)에 감싸여지도록 장착되도록 하여 하나의 부품을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plate (57c) is preferably such th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mounted so as to be wrapped in the fastening portion (57a) to form one component.

또한, 상기 체결부(57a)에는 체결관통공(57d)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면하우징(25)에는 상기 체결부(57a)가 용이하게 안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체결부(57a)의 외주면을 감싸는 외주안착부(25c)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주안착부(25c)의 중심에는 상기 체결관통공(57d)에 삽입되는 중앙돌기부(25d)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fastening through hole 57d is formed in the fastening part 57a, and the rear housing 25 surround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part 57a in order to easily seat the fastening part 57a. An outer circumferential seating portion 25c is formed to protrude, and a center protrusion 25d inserted into the fastening through hole 57d is protruded to the center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eating portion 25c.

따라서, 상기 체결부(57a)를 상기 외주안착부(25c)와 중앙돌기부(25d)에 끼워 넣은 후,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판(57c)과 체결부(57a)를 상기 중앙돌기부(25d)에 체결시킨다.Therefore, the fastening portion 57a is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mounting portion 25c and the central projection portion 25d, and then the support plate 57c and the fastening portion 57a are screwed to each other by the screw. Fasten to

위와 같이, 외주안착부(25c)와 중앙돌기부(25d)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2완충부재(57)를 체결위치에 쉽게 배치할 수 있으며 또한 체결시 체결위치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eating portion 25c and the center protrusion 25d, the second buffer member 57 can be easily disposed at the fastening position an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position at the time of fastening. .

상기 고리부(57b)는, 상기 체결부(57a)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밀대부(10)가 후방으로 넘어졌을 경우 밀대부(10) 및 체결부(57a)보다 먼저 바닥과 접촉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어 제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hook portion 57b is formed to protrude more than the fastening portion 57a, so that when the pusher portion 10 falls backward, the ring portion 57b contacts the bottom portion 10 and the fastening portion 57a prior to impact. Absorption of water will prevent the product from being damaged.

상기 고리부(57b)는 중앙에 오목하게 홈이 형성되어 있어 여기에 상기 전원케이블(51)을 끼우도록 한다.The ring portion 57b is recessed in the center thereof, so that the power cable 51 is fitted therein.

위와 같이 고무로 이루어진 고리부(57b)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밀대부(10)가 후방으로 넘어졌을 경우 충격을 흡수하게 되어 제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전원케이블(51)을 끼워서 걸어 전원케이블(51)의 위치를 임의로 고정시킬 수 있는바 하나의 부품으로 두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By forming the ring portion (57b) made of rubb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ush-up portion (10) fell to the rear to absorb the shock to prevent the product from being damaged and at the same time hook the power cable 51 Since the position of the power cable 51 can be fixed arbitrarily, two effects can be obtained with one component.

또한, 상기 외주안착부(25c)의 하부에는 상기 제2완충부재(57)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완충부재(57)의 고리부(57b)의 양측을 고정시키는 스토퍼(25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stopper 25b for fixing both sides of the ring portion 57b of the second buffer member 57 to prevent the second buffer member 57 from rotating below the outer seat 25c. Is formed to protrude.

본 발명인 스팀청소기의 물탱크 및 이를 이용한 스팀청소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water tank of the stea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team cleaner using the same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within the allowabl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스팀청소기의 물탱크 및 이를 이용한 스팀청소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water tank and the steam cleaner using the stea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수용부본체의 저면에 히터장착공을 형성하고 여기에 블럭형상으로 이루어진 별도의 히터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히터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상 기 히터만 교체하면 되는바, 부품 교체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First, by forming a heater mounting hole on the bottom of the accommodating unit body and detachably attaching a separate heater having a block shape to it, in case of failure of the heater, only the heater needs to be replaced. You can.

또한, 상기 히터의 가장자리에는 플랜지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상기 히터를 상기 히터장착공에 삽입시 상기 플랜지가 상기 히터장착공을 형성하는 상기 수용부본체에 걸리게 되는바, 상기 히터를 단순히 상기 히터장착공에 끼우기만 하면 되므로 상기 히터를 보다 쉽게 장착할 수 있다.In addition, a flange protrudes from an edge of the heater so that when the heater is inserted into the heater mounting hole, the flange is caught by the accommodating body to form the heater mounting hole. The heater can be more easily mounted because it only needs to be inserted in the.

또한, 상기 히터가 육면체의 블럭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구조가 단순하여 상기 히터장착공에 쉽게 조립할 수 있으며, 상기 플랜지와 상기 히터장착공을 형성하는 상기 수용부본체를 스크류로 체결하면 되기 때문에 상기 히터를 상기 수용부본체 및 히터장착공에 보다 쉽게 착탈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er is made of a block shape of a hexahedron, the structure is simple and can be easily assembled to the heater mounting hole, and the heater is formed by fastening the flange and the receiving body to form the heater mounting hole with a screw. The receiving unit body and the heater mounting hole can be mounted more easily detachable.

둘째, 상기 수용부본체 또는 수용부커버에 내측으로 유동방지편을 돌출 형성함으로써, 청소시 물탱크가 흔들릴 경우 상기 유동방지편에 의해 물의 유동이 방해되어, 물탱크에 수용된 물의 이동을 최소화하여 물탱크 외부로 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econd, by protruding the flow prevention piece inwardly in the receiving body or the receiving cover, when the water tank shakes during cleaning, the flow of water is hindered by the flow preventing piece, thereby minimizing the movement of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from leaking out of the tank.

셋째, 중간커버부재를 장착함으로써, 청소시 물탱크에 수용된 물이 상하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물탱크 외부로 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ird, by mounting the intermediate cover memb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during the cleaning to flow up and down to prevent the outflow of water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또한, 상기 유동방지편이 상기 중간커버부재를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유동방지편에 의해 중간커버부재가 지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by allowing the flow preventing piece to penetrate the intermediate cover member, an effect of supporting the intermediate cover member by the flow preventing piece can be obtained.

넷째, 상기 히터의 저면에 바이메탈을 삽입 장착함으로써, 상기 히터의 온도를 보다 잘 측정할 수 있다.Fourth, the bimetal is inserted into the bottom of the heater to better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Claims (7)

물을 가열하여 스팀으로 변환시키는 스팀청소기의 물탱크에 있어서,In the water tank of the steam cleaner for heating the water to convert to steam, 상기 물탱크는,The water tank, 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장착되어 물을 가열하는 히터로 이루어지되,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water; Is mounted to the receiving portion is made of a heater for heating water, 상기 수용부의 저면에는 상기 히터가 장착되기 위한 히터장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히터는 가장자리에 플랜지가 형성된 블럭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히터장착공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의 물탱크.A heater mounting hole for mounting the heater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housing, and the heater has a block shape having a flange formed at an edge thereof, and the water tank of the steam cleaner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heater mounting hol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용부본체 또는 수용부커버에 내측으로 유동방지편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의 물탱크.Water tank of the stea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w preventing piece protrudes inward to the receiving body or the receiving cover.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수용부본체의 상부에는 수용부에 수용된 물이 상하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중간커버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유동방지편은 상기 중간커버부재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의 물탱크.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body is equipped with an intermediate cover member for prevent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accommodation flows up and down, the flow preventing piece is a water tank of the stea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penetrates through the intermediate cover memb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히터의 저면에는 바이메탈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의 물탱크.The water tank of the stea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ter is equipped with a bimetal. 밀대부와;A wheat straw;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부와;A steam generator for generating steam; 상기 밀대부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스팀발생부와 힌지결합하는 연결부와;A connection part mounted to the lower part of the pusher part and hinged to the steam generator; 상기 스팀발생부에 내장되어 물을 가열하여 스팀으로 변환시키는 물탱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It is made to include a water tank that is built in the steam generating unit to convert the water to steam by heating, 상기 물탱크는,The water tank, 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장착되어 물을 가열하는 히터로 이루어지되,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water; Is mounted to the receiving portion is made of a heater for heating water, 상기 수용부의 저면에는 상기 히터가 장착되기 위한 히터장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히터는 가장자리에 플랜지가 형성된 블럭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히터장착공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heater mounting hole for mounting the heater, the heater is formed in a block shape with a flange formed on the edge of the stea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detachably mounted to the heater mounting hole.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수용부본체 또는 수용부커버에 내측으로 유동방지편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Stea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w prevention piece protrudes inward to the housing body or the housing cover.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수용부본체의 상부에는 수용부에 수용된 물이 상하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중간커버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유동방지편은 상기 중간커버부재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body is equipped with an intermediate cover member for prevent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housing flows up and down, the flow preventing pie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w through the intermediate cover member.
KR1020060037581A 2006-04-26 2006-04-26 Water tank for steam cleaner and steam cleaner using the therof KR1007345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581A KR100734568B1 (en) 2006-04-26 2006-04-26 Water tank for steam cleaner and steam cleaner using the therof
CNB2006101484341A CN100528061C (en) 2006-04-26 2006-11-09 Steam sweeper bucket and steam sweeper using the buck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581A KR100734568B1 (en) 2006-04-26 2006-04-26 Water tank for steam cleaner and steam cleaner using the ther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4568B1 true KR100734568B1 (en) 2007-07-02

Family

ID=38017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7581A KR100734568B1 (en) 2006-04-26 2006-04-26 Water tank for steam cleaner and steam cleaner using the ther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34568B1 (en)
CN (1) CN100528061C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313B1 (en) * 2021-01-12 2021-03-02 주식회사 티케이물류 Apparatus for Reducing Scattering Dust of Tru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84562A (en) * 2018-05-25 2018-11-13 安徽风向标清洁设备有限公司 Sweeper water injec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875Y1 (en) 1999-10-04 2000-03-15 한경희 Steam cleaner
KR100401327B1 (en) 2000-10-06 2003-10-10 한경희 Steam cleaner
KR200359231Y1 (en) 2004-05-18 2004-08-16 박항로 A steam-mop
KR200401868Y1 (en) 2005-08-22 2005-11-22 (주)한국하비비 Upright type vacuum steam clea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875Y1 (en) 1999-10-04 2000-03-15 한경희 Steam cleaner
KR100401327B1 (en) 2000-10-06 2003-10-10 한경희 Steam cleaner
KR200359231Y1 (en) 2004-05-18 2004-08-16 박항로 A steam-mop
KR200401868Y1 (en) 2005-08-22 2005-11-22 (주)한국하비비 Upright type vacuum steam clea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313B1 (en) * 2021-01-12 2021-03-02 주식회사 티케이물류 Apparatus for Reducing Scattering Dust of Tru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47648A (en) 2007-04-18
CN100528061C (en) 200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5446B2 (en) Steam generato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US20100218541A1 (en) Refrigerator
KR100734569B1 (en) Steam cleaner with buffer member
KR100734568B1 (en) Water tank for steam cleaner and steam cleaner using the therof
KR100734567B1 (en) Steam cleaner with device for winding electriccable
US20060222579A1 (en) Child care storage having steam sterilizing apparatus
KR101171968B1 (en) stand type steam iron
KR101181352B1 (en) stand type steam iron
JP4550095B2 (en) Cigarette lighter plug for vehicle
KR100677880B1 (en) A steam generating apparatus
CN110200495B (en) Upper cover assembly and cooking utensil
RU2414165C2 (en) Fasten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napkin and method of its manufacturing
RU2448638C1 (en) Nozzle for device for cleaning
KR100946298B1 (en) Skin moisturizing apparatus
RU2298272C2 (en) Receiving device for power supply means disposed in electric appliance
CN106319845B (en) Box body of separate washing machine and separate washing machine
KR20120026793A (en) Steam cleaner
JPH0788011A (en) Steam hairbrush
JP2009125357A (en) Power cord mounting structure of electric appliance for home use
TWI676455B (en) Hand dryer
CN208769595U (en) Food processor and cup body assembly thereof
KR100946297B1 (en) Skin moisturizing apparatus
JP2012040316A (en) Dish drier
KR200341549Y1 (en) Water tank for steam cleaner
KR200357819Y1 (en) Saparation type cover of electrode pole constitute fragrance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