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4519B1 - Feeder with a plurality of beams - Google Patents

Feeder with a plurality of beam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4519B1
KR100734519B1 KR1020060065431A KR20060065431A KR100734519B1 KR 100734519 B1 KR100734519 B1 KR 100734519B1 KR 1020060065431 A KR1020060065431 A KR 1020060065431A KR 20060065431 A KR20060065431 A KR 20060065431A KR 100734519 B1 KR100734519 B1 KR 100734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s
construction waste
bend
reinforcing beams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54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08447A (en
Inventor
구대환
Original Assignee
대흥에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흥에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흥에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5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4519B1/en
Publication of KR20070008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4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5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07B1/30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jigging or moving to-and-fro within their own plane in or approximately in or transverse to the direction of conveyance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이 개방된 통 형상을 이루며, 일단부로 건설 폐기물이 투입되어 나머지 일단부로 투입된 건설 폐기물을 이송 및 배출하는 휘다부, 휘다부의 측면판에 고정 설치되며, 서로 일정 간격을 이루며 배치되는 다수의 철근빔, 휘다부의 하부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 휘다부와 지지 프레임을 연결 지지하는 다수의 스프링 및 휘다부의 일단부에 일체형으로 고정 설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구동부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 구동모터와 연동하여 휘다부의 일단부에서 나머지 일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크랭크 축 및 크랭크 축에 끼워져 크랭크 축을 따라 회전하고, 단면이 가상의 원에서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로 갈수록 테이퍼진 형상을 이루어 원의 중심으로부터 각 단부까지의 거리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크랭크를 포함하고, 휘다부가 구동부와 함께 진동하면서, 투입된 건설 폐기물 중 각 철근빔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건설 폐기물은 각 철근빔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하고, 각 철근빔 사이의 간격보다 큰 건설 폐기물은 철근빔을 따라 이송하여 휘다부의 나머지 일단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eams, the upper surface is an open cylindrical shape, the construction waste is put into one end, the bent portion for transporting and discharging the construction waste injected into the other end, fixed installation on the side plate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beam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from each other, a support frame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end portion, and a plurality of springs and one end portion of the bend portion connected to support the bend portion and the support frame. It includes a drive unit, the drive unit is coupled to the crank shaft and the crank shaft which rotates in a direction from one end of the bend to the other end in conjunction with the drive motor, the drive motor generates a driving force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and rotates along the crank axis And tapered in cross section from one end to the other in the imaginary circle. And one or more cranks having different distances from the center of the circle to the ends of the circle, and the bent portion vibrating with the driving portion, the construction waste being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each of the reinforcing beams of the input construction waste. Discharge into the space between, and the construction waste larg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reinforcing beam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ransported along the reinforcing beams and discharged to the other end of the bent portion.

휘다; 건설 폐기물; 크랭크 get bent; Construction waste; crank

Description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FEEDER WITH A PLURALITY OF BEAMS}FEEDER WITH A PLURALITY OF BEA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의 제 1 실시예의 입체사시도이다.1 is a stereoscopic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fender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bea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의 제 1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fender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bea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의 제 1 실시예의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fender equipped with multiple beams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의 제 1 실시예의 폭 방향의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fender having a plurality of bea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의 구성도이다.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크랭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r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의 사용 상태도이다.7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a plurality of beams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측면도이다.8 is a side view of FIG. 7.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fender equipped with multiple bea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의 측면도이다.10 is a side view of FIG. 9.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의 제 3 실시예의 평면도이 다.11 is a plan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 fender equipped with multiple bea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의 제 4 실시예의 평면도이다.12 is a plan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a fender equipped with multiple bea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도 11 및 도 12의 측면도이다.13 is a side view of FIGS. 11 and 12.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의 제 5 실시예의 폭 방향의 단면도이다.14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width direction of a fifth embodiment of a bend in which a plurality of bea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의 제 5 실시예의 사용 상태도이다.Fig. 15 is a state diagram of use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fender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bea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drawing ***

10 : 휘다 12 : 투입부10: bend 12: input part

14 : 제 1 배출부 16 : 이송부14: first discharge portion 16: transfer portion

18 : 제 2 배출부 20 : 바퀴18: second outlet 20: wheel

30 : 휘다부 32, 52 : 측면판30: bend part 32, 52: side plate

34, 54 : 측면 보조판 40 : 철근빔34, 54: side auxiliary plate 40: reinforced beam

42 : 지지빔 50, 50a : 덮개판42: support beam 50, 50a: cover plate

56, 56a : 보조판 60 : 지지 프레임56, 56a: auxiliary plate 60: support frame

70 : 스프링 80 : 구동부70: spring 80: drive part

82 : 구동모터 84a, 84b : 크랭크82: drive motor 84a, 84b: crank

86 : 기어 90 : 크라샤86: gear 90: Krasha

92 : 호퍼92: Hopper

본 발명은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건설 폐기물을 선별 분류하여 재활용하거나 재처리하는데 있어서 크라샤로 크기가 큰 폐기물을 투입하기 전에 바이브레이팅 휘다에서 크기가 작은 폐기물을 분리할 수 있도록 휘다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H 빔을 설치한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nd in which a plurality of beams are installed. Specifically, in the sorting and recycling or reprocessing of construction waste, the small-sized waste can be separated from the vibrating bend before inputting the large waste to the crusher. The invention relates to a bend in which a plurality of beams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 beams at regular intervals.

종래에는 건설 폐기물 중 크기가 작은 폐기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진동 스크린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분리하여 왔다. 하지만, 이러한 진동 스크린의 경우 와이어 메쉬 형태여서 건설 폐기물의 내부에 혼재되어 있는 철근 등 이물질이 쉽게 껴서 막히게 되고, 함수비가 큰 토분의 경우 스크린을 통과하지 못하고 막히는 등 작업상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separate small wastes among construction wastes, foreign matters have been separated by using a vibration screen. However, such a vibrating screen is a wire mesh form, and foreign substances such as reinforcing bars mixed in the inside of construction wastes are easily trapped and blocked, and in the case of soil powder having a high water content, it does not pass through the screen. .

한편, 통상적인 그리즐리 피더(Grizzly feeder)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부에 위치한 간극 부재의 하부에 보강 및 지지 역할을 수행하는 가로대가 다수 설치되어 있어서, 이들 간극 부재와 가로대에 의하여 형성되는 폐곡선 형태의 간극 사이에 건설 폐기물의 내부에 혼재된 철근 등의 이물질이 쉽게 껴서 막히고 함수비가 큰 토분 역시 스크린을 통과하지 못하고 막히는 등 작업상 지장을 초래하여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even in the case of using a conventional grizzly feeder (Grizzly feed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ross bars to perform the role of reinforcement and support in the lower portion of the gap member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the gap of the closed curve form formed by these gap members and cross bars Dirt, such as reinforcing bars mixed inside the construction waste, is easily trapped and clogged, and soil particles with a high water content also fail to pass through the screen.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그 기술적 구성을 개선하여 건설 폐기물을 이송 및 분류하는 과정에서 각종 이물질이 중간에 걸리거나 막히는 것을 방지하여 철근빔 사이의 간격보다 큰 폐기물과 혼재되어 있는 토분과 쓰레기 등을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재생 골재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technical configuration and to prevent various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caught or blocked in the process of transporting and sorting construction waste,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reinforcing beams It is to provide a bend with multiple beams, which effectively separates soils and wastes mixed with large wastes and improves the quality and productivity of recycled aggregates.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크라샤에 건설 폐기물을 우선적으로 투입하여 작은 크기로 분쇄한 후 분쇄된 건설 폐기물을 그 크기에 따라 분류하던 종래의 건설 폐기물 처리 공정을 개선하여, 크라샤를 이용하여 건설 폐기물을 분쇄하기 전에 휘다에 의해 건설 폐기물을 미리 분류함으로써 크라샤에는 오직 크기가 큰 건설 폐기물만이 투입 및 분쇄되도록 하여 건설 폐기물의 처리 공정을 단순하게 하고 처리 수율을 높일 수 있는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conventional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process that was first put the construction waste into the crusher, crushed to a small size and then sorted the crushed construction waste according to the size, using the crusher By pre-sorting the construction waste by crushing it before crushing the construction waste, Krasha has a large number of beams that can simplify the processing of construction waste and increase the throughput by ensuring that only large construction waste is added and crushed. This is to give the installed ben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는, 건설 폐기물을 투입하여 건설 폐기물을 크기에 따라 분류 및 이송하는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로서, 상면이 개방된 통 형상을 이루며, 일단부로 건설 폐기물이 투입되어 나머지 일단부로 투입된 건설 폐기물을 이송 및 배출하는 휘다부(30), 휘다부(30)의 측면판(32)에 고정 설치되며, 서로 일정 간격을 이루며 배치되는 다수 의 철근빔(40), 휘다부(30)의 하부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60), 휘다부(30)와 지지 프레임(60)을 연결 지지하는 다수의 스프링(70) 및 휘다부(30)의 일단부에 일체형으로 고정 설치되어 전방을 향하여 진동하는 힘을 발생하는 구동부(80)를 포함하고, 구동부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82), 구동모터(82)와 연동하여 휘다부(30)의 일단부에서 나머지 일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크랭크 축(84) 및 크랭크 축(84)에 끼워져 크랭크 축을 따라 회전하고, 단면이 가상의 원에서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로 갈수록 테이퍼진 형상을 이루어 원의 중심으로부터 각 단부까지의 거리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크랭크(86)를 포함하고, 휘다부(30)가 구동부(80)와 함께 진동하면서, 투입된 건설 폐기물 중 각 철근빔(40)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건설 폐기물은 각 철근빔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하고, 각 철근빔 사이의 간격보다 큰 건설 폐기물은 철근빔을 따라 이송하여 휘다부의 나머지 일단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be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ea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e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eams for inputting the construction waste, sorting and transporting the construction waste according to the size, the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pen top surface The construction waste is put into one end portion, and the fixed portion 30 for transferring and discharging the construction waste put into the other end portion is fixedly installed on the side plate 32 of the bend portion 30 and i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each other. Of the reinforcing beam 40, the support frame 60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end portion 30, the plurality of springs 70 and the bend connecting and supporting the bend portion 30 and the support frame 60. A driving unit 82 fixedly installed at one end of the unit 30 to generate a force vibrating toward the front, and the driving unit includes a driving motor 82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Interlock with motor 82 Is fitted to the crank shaft 84 and the crank shaft 84 that rotates in one direction from one end portion of the bend portion 30 toward the other end portion, and rotates along the crank shaft, and as the cross section moves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in the imaginary circle. Each of the inputted construction waste includes one or more cranks 86 having a tapered shape, and the distances from the center of the circle to the ends thereof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bent part 30 vibrates with the driving part 80. The construction waste smaller than the spacing between the reinforcing beams 40 is discharg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reinforcing beams, and the construction waste larger than the spacing between each of the reinforcing beams is transported along the reinforcing beam and discharged to the other end of the curved portion. do.

바람직하게는, 구동부(80)가 서로 수직을 이루며 배치되는 두개의 크랭크(86)를 포함하도록 한다. 각 철근빔(40) 사이의 간격은 건설 폐기물이 투입되는 휘다부(30)의 일단부에서 건설 폐기물이 배출되는 휘다부의 나머지 일단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철근빔(40)을 휘다부(30)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하여 휘다부의 나머지 일단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가 휘다부(30)의 나머지 일단부로 노출되는 각 철근빔(40) 위에 휘다부와 동일한 폭을 이루며 설치되는 덮개판(50)을 더 포함하도록 한다. 이때, 휘다부(30)가 측면판(32)의 상단부에서 외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측면 보조판(34)을 포함하도록 하고, 덮개판(50) 역시 휘다부(30)의 측면판(32) 및 측면 보조판(34)과 동일하게 연장 형성되는 측면판(52) 및 측면 보조판(54)을 포함하도록 한다. 또한, 덮개판(50)은, 건설 폐기물이 이송되는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각 철근빔(40) 사이의 공간에 하부를 향해 일정 각도 경사지도록 덮개판(50)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보조판(56)을 더 포함하도록 하며, 보조판(56)은 덮개판(50)에 대하여 건설 폐기물이 이송되는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20 내지 40°를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는, 휘다부(30)의 중간 부분에 각 철근빔(4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 철근빔의 하부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휘다부(30)의 측면판(32)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빔(42)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지지빔(42)이 설치된 동일선상의 각 철근빔(40)의 상부에는 각 철근빔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휘다부(30)의 측면판(32)에 고정 설치되는 덮개판(50a)과, 건설 폐기물이 이송되는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각 철근빔(40) 사이의 공간에 하부를 향해 일정 각도 경사지도록 덮개판(50a)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보조판(56a)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판(56a) 역시 덮개판(50a)에 대하여 건설 폐기물이 이송되는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20 내지 40°를 이루도록 한다. 또한, 각 철근빔(40)은 그 단면이 위부분은 역삼각형을 이루고 아래부분은 삼각형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drive unit 80 includes two cranks 86 dispos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interval between each of the reinforcing beams 40 is preferably formed to gradually become narrower toward one end of the bend portion in which construction waste is discharged from one end of the bend portion 30 into which construction waste is input. In addition, each rebar beam 40 is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bend portion 30 so as to be exposed to the remaining one end of the bend portion, each of the rebar is exposed to the other end of the bend portion 30 is installed a plurality of beams The cover plate 50 is formed on the beam 40 to have the same width as the curved portion. At this time, the bent portion 30 is to include a side auxiliary plate 34 extending toward the outside from the upper end of the side plate 32, the cover plate 50 is also the side plate 32 and the bent portion 30 A side plate 52 and a side auxiliary plate 54 extending in the same manner as the side auxiliary plate 34 are included. In addition, the cover plate 50 extends from the cover plate 50 so as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downward in the space between the respective reinforcing beams 4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construction waste is conveyed. To further include, the auxiliary plate 56 is preferably configured to form 20 to 40 °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struction waste is transported with respect to the cover plate (50). The bend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eams are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each of the reinforcing beam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each of the reinforcing beams 40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bend portion 30, and both ends thereof are the side plates 32 of the bend portions 30. I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beam 42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each of the reinforcing beams 40 on the same line on which the support beam 42 is installed, the side of the bending portion 30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each of the reinforcing beams Cover plate 50a fixed to plate 32 and extended from cover plate 50a so as to be inclined at an angle downward in the space between the reinforcing beams 4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construction waste is conveyed.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plate 56a formed. The auxiliary plate 56a also makes the cover plate 50a form 20 to 40 °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construction waste is conveyed. In addition, each of the reinforcing beams 40 is preferably configured such that its cross section forms an inverted triangle at the top and a triangle at the bottom.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점,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advantages, features and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의 제 1 실시예의 입체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의 제 1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의 제 1 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의 제 1 실시예의 폭 방향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10)는 건설 폐기물이 투입 및 이송되는 부분이 경사지지 않고 지면과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진동을 이용하여 건설 폐기물을 특정 방향(도 1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장치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10)는, 건설 폐기물 등이 투입되어 진동에 의해 이송되며 다수의 철근빔이 설치되는 휘다부(30), 휘다부의 하부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60), 휘다부와 지지 프레임을 연결하는 스프링(70) 및 휘다부의 일단부에 일체형으로 고정 설치되어 휘다부를 진동시켜 투입된 건설 폐기물을 특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구동부(80)를 포함한다. 휘다부(30)의 일 단부에는 건설 폐기물이 투입되는 투입부(12)가 배치되는데, 바람직하게는 투입부(12)가 배치되는 휘다부(30)의 일 단부에 구동부(80)를 배치하도록 한다. 또한, 휘다부(30)의 나머지 일 단부에는 휘다부를 거치면서 분류된 건설 폐기물이 배출되는 제 1 배출부(14)와 제 2 배출부(18)가 배치된다. 건설 폐기물 등을 투입부(12)를 통해 휘 다부(30) 내에 투입하면 구동부(80)의 진동에 의해 건설 폐기물 등이 밀려 특정 방향(도 1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그 크기에 따라 분류되어 크기가 큰 건설 폐기물은 제 1 배출부(14)로 배출되고 크기가 작은 건설 폐기물이나 이물질 등은 제 2 배출부(18)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10)는 작업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하기 위하여 하부에 다수의 바퀴(20)를 구비할 수 있다. 각 구성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1 is a stereoscopic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fender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bea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a be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eams installed, Figure 3 is a plan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bend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bea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a bend in which a plurality of bea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The bend 10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ea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constru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part into which the construction waste is input and transported is not inclined and is level with the ground, using the vibration in a specific direction (right direction in FIG. 1). It is a device to transfer. 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bend 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ea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ion waste, etc., the bent part 30 is transported by vibration and installed a plurality of reinforcing beams, The support frame 60, which is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 part of the bend part, the spring 70 connecting the bend part and the support frame, and one end part are fixedly installed at one end of the bend part to vibrate the bent part in a specific direction. It includes a drive unit 80 for conveying. An input unit 12 into which construction waste is input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bend unit 30. Preferably, the driving unit 80 is arranged at one end of the bend unit 30 in which the input unit 12 is disposed. do. In addition, a first discharge part 14 and a second discharge part 18 through which the construction waste classified through the bend part are discharged are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bend part 30. When the construction wastes are introduced into the curved portion 30 through the input portion 12, the construction wastes are pushed by the vibration of the driving unit 80 and moved in a specific direction (the right direction in FIG. 1),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size. Large-scale construction waste is discharged to the first discharge unit 14 and small-scale construction waste or foreign matter is discharged to the second discharge unit 18. On the other hand, the bend 10 is installed a plurality of bea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heels 20 in the lower portion to easily move to the work place. Each component is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휘다부(30)는 구동부(80)와 함께 진동하면서 투입부(12)로 투입되는 건설 폐기물을 분류 및 이송하는 구성부로서, 상면이 개방된 통 형상의 구조를 이루며, 내부의 중간 높이에는 다수의 철근빔들(40)이 서로 평행하게 일자형으로 배치된다. 각 철근빔(40)은 휘다부(30)의 측면판(32)에 고정 설치된다. 휘다부(30)의 측면판(32)은 이송되는 건설 폐기물이 휘다부의 진동에 의해 위로 튀어 올라 휘다부의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높이로 형성한다. 또한, 측면판(32)은 그 상단부에서 외부로 연장되어 측면 보조판(34)을 형성하는데, 측면 보조판 역시 휘다부에서 이송되는 건설 폐기물이 진동에 의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휘다부(30), 측면판(32) 및 측면 보조판(34)은 강도가 높은 철판을 이용하여 제작하도록 한다.The bend part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nent part for classifying and transporting construction waste introduced into the input part 12 while vibrating together with the driving part 80, and forms a tubular structure with an open upper surface. At the intermediate height, the plurality of rebar beams 40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parallel to each other. Each rebar beam 40 is fixed to the side plate 32 of the bend portion 30. The side plate 32 of the bend portion 3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order to prevent the construction waste being transported to jump up due to the vibration of the bend portion and to escape from the bend portion. In addition, the side plate 32 extends from the upper end to the outside to form the side plate 34, the side plate also prevents the construction waste conveyed from the bent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vibration. The curved portion 30, the side plate 32, and the side auxiliary plate 34 are manufactured by using a high strength iron plate.

본 발명에 따른 철근빔(40)은 서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평행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휘다부(30)에 투입된 건설 폐기물이 철근빔(40) 위를 이동하면서 철근 빔들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건설 폐기물은 철근빔 사이로 배출되어 휘다부의 바닥으로 떨어지고, 철근 빔들 사이의 간격보다 큰 건설 폐기물만이 철근 빔 위에 남 게 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철근 빔(40)이 10cm 간격으로 배치되는 경우, 건설 폐기물 중 그 크기가 10cm 이상인 건설 폐기물은 철근빔 사이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철근빔 위에 남은 채로 휘다부(30)의 진동에 의해 이동하여 제 1 배출부(14)로 배출된다. 또한, 그 크기가 10cm 이하인 건설 폐기물, 토분, 쓰레기 등은 철근빔들(50) 사이로 배출되어 휘다부(30)의 바닥으로 떨어지고 역시 휘다부의 진동에 의해 이동하여 제 2 배출부(18)로 배출되게 된다. 각각의 철근빔(40) 사이의 간격은 건설 폐기물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Reinforcing beams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in parallel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Therefore, the construction waste put into the bending portion 30 moves over the reinforcing beam 40, and construction waste small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reinforcing beams is discharged between the reinforcing beams and falls to the bottom of the bending portion, and the construction larg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reinforcing beams. Only waste remains on the rebar beam. For example, when each of the reinforcing beams 40 are disposed at 10 cm intervals, the construction waste having a size of 10 cm or more among the construction wastes does not escape between the reinforcing beams and remains on the reinforcing beams by vibrating the bending part 30. It moves and is discharged to the first discharge part 14. In addition, construction waste, soil, and rubbish having a size of 10 cm or less are discharged between the reinforcing beams 50 to fall to the bottom of the bend part 30 and also moved by the vibration of the bend part to be discharged to the second discharge part 18. Will be. The spacing between each of the rebar beams 4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waste.

본 발명에 따른 철근빔(40)은 기본적으로 H 빔의 모양을 이루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철근빔의 윗부분은 그 단면이 역삼각형을 이루고 아랫부분은 그 단면이 삼각형을 이루도록 한다. 따라서, 건설 폐기물이 철근빔들(40) 상에서 진동에 의해 이동하는 도중 건설 폐기물 중 크기가 작은 물질이나 쓰레기 등의 이물질이 철근 빔(50)에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Reinforcing beam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forms the shape of the H beam, preferably the upp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beam forms an inverted triangle in cross sec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ross section forms a triangl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matters such as small-sized materials or garbage from building waste accumulated on the reinforcing beam 50 while the construction waste is moved by vibration on the reinforcing beams 40.

또한, 각각의 철근빔(40)은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휘다부(30)의 전체 길이보다 철근 빔의 길이를 더 길게 구성하도록 한다. 이때, 휘다부(30)의 전체 길이를 벗어나는 각각의 철근빔들(40)의 영역 위에는 덮개판(50)이 고정 설치된다.In addition, each of the reinforcing beams 40 has the same length as each other to make the length of the reinforcing beam longer than the total length of the bend portion (30). At this time, the cover plate 5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region of each of the reinforcing beams 40 outside the entire length of the bend portion 30.

본 발명에 따른 덮개판(50)은 휘다부(30)를 벗어나서 배치되는 철근빔들(40)의 상부에 배치되며, 덮개판의 폭은 휘다부와 동일하게 형성한다. 또한, 덮개판(50) 역시 휘다부(30)의 측면판(32)과 측면 보조판(34)과 동일하게 연장 형성되는 측면판(52) 및 측면 보조판(54)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덮개판(50)의 일측에만 측면판(52) 및 측면 보조판(54)을 도시하였으나, 실제 실시에 있어서는 덮개판의 양측 모두에 측면판 및 측면 보조판을 설치하도록 한다. 덮개판(50), 측면판(52) 및 측면 보조판(54)은 휘다부(30)와 동일한 재질의 철판으로 형성하도록 한다.Cover plate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beams 40 are disposed outside the bend portion 30, the width of the cover plate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bend portion. In addition, the cover plate 50 may also include a side plate 52 and a side auxiliary plate 54 extending in the same manner as the side plate 32 and the side auxiliary plate 34 of the bend portion 30. In FIG. 2, the side plate 52 and the side auxiliary plate 54 are shown on only one side of the cover plate 50, but in actual implementation, the side plate and the side auxiliary plate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over plate. The cover plate 50, the side plate 52, and the side auxiliary plate 54 may be formed of an iron plate having the same material as the bend portion 3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빔들(40)의 하부에는 각 철근빔을 휘다부(30)에 고정 및 지지하는 지지빔(42)이 장착될 수도 있다. 지지빔(42)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근빔(40)의 양단부의 하부에 철근빔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투입부(12)가 배치되는 휘다부(30)의 일단부에 배치된 철근빔(40)의 하부와, 제 1 배출부(14)가 배치되는 휘다부의 나머지 일단부, 즉 덮개판(50)의 아래에 배치된 철근빔의 하부에 지지빔(42)을 설치하도록 한다. 각각의 지지빔(42)은 용접 등에 의해 철근빔(40)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고 양단부는 휘다부(30)의 측면판(32)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한편, 건설 폐기물은 대부분 콘크리트 덩어리나 돌덩어리와 같은 무거운 물체로 구성되므로 건설 폐기물이 휘다부(30)에 투입되어 철근빔(40)에 올려졌을 때 철근빔 각각이 휘다부(30)와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얼마 사용하지 못하고 고장이 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철근빔(40)을 보다 더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철근빔의 중간 부분, 즉 휘다부(30)의 가로 방향의 중간 부분에 위치한 철근빔의 하부에도 지지빔(42)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빔(42) 역시 철근빔(40)과 직교하는 세로 방향으로 각 철근빔 및 휘다부(30)의 측면판(32)에 고정 설치하도록 한다. 따라서, 철근빔들(40)이 더욱 강력하게 휘다부(30)에 고정 및 지지되므로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어 더 무거운 건설 폐기물이 투입되더라도 철근 빔, 특히 측면판(32)과 인접하지 않은 철근빔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support beam 42 for fixing and supporting each of the reinforcing beams to the bent portion 30 may be mounted below the reinforcing beams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support beam 42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a reinforcement beam below the both ends of the reinforcement beam 40. As shown in FIG. Specifically, the lower part of the reinforcing beam 40 disposed at one end of the bent part 30 in which the input part 12 is disposed, and the other end of the bent part in which the first discharge part 14 is disposed, that is, the cover plate. The support beam 42 is to be installed below the reinforcing beam disposed below the 50. Each support beam 42 is fixed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inforcing beam 40 by welding or the like, and both ends thereof are fixedly installed on the side plate 32 of the bend portion 30 by welding or the like. On the other hand, since the construction waste is composed mostly of heavy objects such as concrete lumps or lumps of stone, when the construction waste is put into the bent part 30 and placed on the rebar beam 40, each of the reinforced beams is firmly fixed to the bend part 30. If not, the problem occurs that you can not use it for a while. Therefore, in order to more stably support the reinforcing beam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beam 42 is also placed in the lower part of the reinforcing beam located in the middle part of the reinforcing beam, ie, the middle part of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bend part 30. It is preferable to further provide. The support beam 42 is also fixed to the side plate 32 of each of the reinforcing beams and the bent portion 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einforcing beams (40). Therefore, since the reinforcing beams 40 are more strongly fixed and supported in the bending portion 30, the durability is greatly improved, and even if heavier construction waste is input, the reinforcing beams, particularly the reinforcing beams not adjacent to the side plate 3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parture.

본 발명에 따른 지지 프레임(60)은 휘다부(30)의 하부에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휘다부를 지지하게 된다. 지지 프레임(60)과 휘다부(30)의 이격된 공간에는 다수의 스프링(70)이 배치되는데, 구체적으로 휘다부의 측면 또는 하부에 스프링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지지 프레임의 측면 또는 상부에 스프링의 나머지 일단부가 연결된다. 따라서, 휘다부(30)가 구동부(80)와 함께 진동할 때 지지 프레임(60)은 고정된 채로 휘다부만이 진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지지 프레임(60)은 고정된 상태에서 휘다부(30)만이 구동부(80)에 의해 진동하면서 건설 폐기물을 분류 및 이송하게 된다.The support frame 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end portion 30 to support the bend portion. A plurality of springs 70 are disposed in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support frame 60 and the bend portion 30. Specifically, one end of the spring is connected to the side or the bottom of the bend portion and the rest of the spring is placed on the side or the top of the support frame. One end is connected. Therefore, when the bend part 30 vibrates together with the driving part 80, only the bend part may vibrate while the support frame 60 is fixed. That is, while the support frame 60 is fixed, only the bending portion 30 vibrates by the driving unit 80 to classify and transport the construction waste.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80)는 휘다부(30)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내부에서 발생되는 진동력을 휘다부에 전달하여 휘다부를 진동시킨다. 구동부(80)는 휘다부(3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구동부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힘에 의해 휘다부를 함께 진동시키게 된다. 구동부(80)는 회전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힘을 전방(폐기물이 배출되는 방향)을 향한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데, 구동부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driving unit 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one end of the bend part 30 to transmit a vibration force generated therein to the bend part to vibrate the bend part. The driving unit 8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ending part 30 to vibrate the bending part together by a force generated inside the driving part. The driving unit 80 converts the force generated by the rotational movement into a linear movement toward the front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ste is discharged).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의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크랭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80)는,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82), 구동 모터와 연동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두 개의 크랭크(84a, 84b) 및 두 개의 크랭크를 연동시키는 기어(86)를 포함한다.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r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the driving unit 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 motor 82 is applied to generate a driving force is applied to the power, two cranks (84a) to rotate in one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drive motor 84b) and a gear 86 that engages the two cranks.

크랭크(84a, 84b)는 구동모터(82)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한다. 즉, 크랭크(84a, 84b)는 구동모터(82)에 의해 전달된 회전력을 상하로 진동하면서 전방을 향하는 힘으로 변환한다. 크랭크(84a, 84b)의 원리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크랭크(84a, 84b)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가상의 원에서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로 갈수록 테이퍼진 형상을 이루며, 상기 가상의 원의 중심이 크랭크의 회전축이 된다. 따라서, 상기 원의 중심으로부터 크랭크(84a, 84b)의 각 단부까지의 거리가 서로 다르게 된다. 즉, 상기 원의 중심으로부터 크랭크의 일측 단부까지의 거리를 a라 하고 원의 중심으로부터 크랭크의 테이퍼진 타측 단부까지의 거리를 b라 하면 a가 b 보다 크게 된다. 원의 중심으로부터 각 단부까지의 거리는 필요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크랭크(84a, 84b)가 회전하면서 크랭크의 높이가 변하게 된다. 예를 들어, 크랭크(84a)가 회전하면서 원의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a인 일측 단부가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는 경우, 즉 일측 단부가 90°의 위치에서 0°의 위치를 거쳐 -90°의 위치로 움직이는 경우, 원의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b인 테이퍼진 타측 단부는 위로 올라가 90°의 위치에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원의 중심에서의 크랭크의 높이가 a에서 b로 줄어들어 (a-b) 만큼 내려가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 반대로, 테이퍼진 타측 단부가 90°의 위치에서 0°인 위치를 거쳐 -90°의 위치로 내려가면 일측 단부가 90°의 위치로 올라오게 되므로, 원의 중심에서의 크랭크의 높이가 b에서 a로 늘어나 (a-b) 만큼 올라가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The cranks 84a and 84b rotate in one direction by the drive motor 82 and convert the rotational motion into linear reciprocating motion. That is, the cranks 84a and 84b convert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by the drive motor 82 into a force facing forward while vibrating up and down. The principle of the cranks 84a and 84b will be described below. As shown in Fig. 6, the cranks 84a and 84b have a tapered shape in cross section from one end to the other in the imaginary circle, and the center of the imaginary circle becomes the rotation axis of the crank. Thus, the distances from the center of the circle to the respective ends of the cranks 84a and 84b are different. That is, if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circle to one end of the crank is a and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circle to the tapered other end of the crank is b, a becomes larger than b.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circle to each end can be modified as needed. As a result, the height of the crank changes as the cranks 84a and 84b rotate. For example, if the crank 84a rotates and one end with a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circle goes down from top to bottom, i.e., one end moves from a 90 ° position through a 0 ° position to a -90 ° position. In this case, the tapered other end with the distance b from the center of the circle rises up and is in a position of 90 °. Accordingly, the height of the crank at the center of the circle is reduced from a to b, resulting in a force descending by (a-b). On the contrary, when the tapered other end descends from the position of 90 ° to the position of -90 ° through the position of 0 °, one end is raised to the position of 90 °, so the height of the crank at the center of the circle is b to a. This increases the force by (ab).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80)는 두 개의 크랭크(84a, 84b)를 구비하는데, 두 개의 크랭크(84a, 84b) 중 하나의 크랭크만이 구동모터(82)와 직접 연동하고, 나머지 하나의 크랭크는 상기 구동모터와 직접 연동하는 크랭크와 기어(86)를 통해 연동한다. 즉, 구동모터(82)와 직접 연동하는 크랭크를 '제 1 크랭크(84a)'라 하고 나머지 크랭크를 '제 2 크랭크(84b)'라 할 때, 제 1 크랭크(84a)의 회전축과 구동모터(82)의 구동축이 밸트 등을 통해 서로 연동하고, 제 2 크랭크(84b)는 기어(86)를 통해 제 1 크랭크와 연동한다. 따라서, 구동모터(82)의 구동력이 제 1 크랭크(84a)에 전달되면 제 1 크랭크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기어(86)에 의해 회전력이 제 2 크랭크(84b)로 전달되어 제 2 크랭크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 1 크랭크와 제 2 크랭크의 회전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이 될 것이다. 또한, 제 1 크랭크(84a)와 제 2 크랭크(84b)는 서로 수직방향으로 이루며 배치된다. 즉, 도 6과 같은 초기 위치에서 제 1 크랭크(84a)의 회전축으로부터 일측 단부까지의 연장선과 제 2 크랭크(84b)의 회전축으로부터 일측 단부까지의 연장선이 서로 직각을 이루며 배치된다.The drive unit 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cranks 84a and 84b, in which only one crank of the two cranks 84a and 84b directly interworks with the driving motor 82, and the other one crank It interlocks with the crank and gear 86 directly interlocking with the drive motor. That is, when the crank that directly interlocks with the drive motor 82 is referred to as the 'first crank 84a' and the remaining cranks are referred to as the 'second crank 84b', the rotation shaft of the first crank 84a and the drive motor ( The drive shafts of 82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via a belt or the like, and the second crank 84b is interlocked with the first crank via the gear 86. Therefore, when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82 is transmitted to the first crank 84a, the first crank rotates in one direction, and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crank 84b by the gear 86 so that the second crank together. Will rotate. At this tim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crank and the second crank will be opposite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first crank 84a and the second crank 84b are arranged to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at is, the extension line from the rotational axis of the first crank 84a to one end and the extension line from the rotational axis of the second crank 84b to one end are disposed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at the initial position as shown in FIG. 6.

또한, 제 1 크랭크(84a)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구동모터(82)가 구동력을 발생함에 있어서, 구동모터의 구동력의 방향은 건설 폐기물이 이송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한다. 즉, 도 6에서 건설 폐기물이 우측으로 이송되는 경우 구동모터(82)는 제 1 크랭크(84a)를 일측 단부가 전방을 향해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한다. 이때, 제 2 크랭크(84b)는 일측 단부가 전방을 향해 아래 에서 위로 올라오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제 1 크랭크(84a)와 제 2 크랭크(84b)가 회전하면서 상하로 진동하는 힘이 발생하고, 제 1 크랭크와 제 2 크랭크의 회전방향에 의해 상하로 진동하는 힘에 방향성, 즉 전방으로 밀어주는 힘이 부가되어 휘다부(30)에 전달되고 건설 폐기물을 이송하게 된다. 또한, 서로 수직을 이루는 두 개의 크랭크(84a, 84b)로부터 발생하는 힘의 합력이 휘다부(30)에 전달되어 강한 진동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휘다부의 건설 폐기물이 진동에 의해 휘다부의 밖으로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driving motor 82 generates the driving force to rotate the first crank 84a, the direction of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is directed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struction waste is conveyed. That is, when construction waste is conveyed to the right in FIG. 6, the driving motor 82 rotates the first crank 84a in a clockwise direction from which one end portion descends from the top to the front. At this time, the second crank 84b will be rotat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which one end portion rises from the bottom toward the front. Accordingly, a force that vibrates up and down while the first crank 84a and the second crank 84b rotates is generated, and is directed to a force vibrating up and down by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crank and the second crank. Pushing force is added to be transferred to the bending portion 30 and to transport the construction waste. In addition, the force of the force generated from the two cranks (84a, 84b) perpendicular to each other can be transmitted to the bent portion 30 can transmit a strong vibration force, and the construction waste of the bent portion is not separated from the bent portion by the vibration It can be transported stably.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의 동작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7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a plurality of beams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ide view of FIG. Referring to FIGS. 7 and 8, the operation of a plurality of beams instal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투입부(12)를 통해 휘다부(30)에 건설 폐기물이 투입된다.First, construction waste is input to the bend part 30 through the input part 12.

또한, 구동부(80) 내부의 구동모터(82)에 전원이 공급되면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크랭크(86)가 회전하면서 전방, 즉 제 1 배출부(14)를 향하며 밀어주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부(80)와 일체형을 이루며 고정되는 휘다부(30)는 구동부의 함께 상하로 진동하면서 투입된 건설 폐기물을 전방으로 밀어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 휘다부(30)와 지지 프레임(60)은 스프링(70)에 의해 연결되므로 지지 프레임은 진동하지 않으면서 휘다부만이 진동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driving motor 82 inside the driving unit 80, the crank 86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and thus a force pushing toward the first discharge unit 14 is generated. . Therefore, the bent part 30 which is fixed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driving unit 80 pushes and transports the construction waste put forward while vibrating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driving unit. At this time, since the bend portion 30 and the support frame 60 are connected by the spring 70, only the bend portion vibrates without the support frame vibrating.

투입된 건설 폐기물 중 철근빔(40) 사이의 간격보다 크기가 큰 건설 폐기물, 예를 들어 크기가 큰 돌덩이 등은 철근빔 위에서 제 1 배출부(14)를 향해 이송된 다. 또한, 철근빔(40)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건설 폐기물, 예를 들어 크기가 작은 돌, 쓰레기 또는 나무 조각 등은 철근빔 사이로 배출되어 휘다부(30)의 바닥에 떨어진 후 휘다부의 진동에 의해 이송되어 제 2 배출부(18)로 배출된다.Among the input construction wastes, construction wastes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reinforcing beams 40, for example, large stone blocks, are transferred toward the first discharge part 14 from the reinforcing beams. In addition, construction waste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reinforcing beams 40, for example, small stones, rubbish, or wood chips are discharged between the reinforcing beams and dropped on the bottom of the bend section 30, and then transported by vibration of the bend section. And is discharged to the second discharge unit 18.

휘다부(30)의 진동에 의해 이송된 크기가 큰 건설 폐기물은 제 1 배출부(14)로 배출된다. 즉, 건설 폐기물이 덮개판(50)을 통과하여 호퍼(92)를 통해 크라샤(90)에 유입되어 더 작은 크기로 파쇄되게 된다. 이때, 덮개판(50)은 제 1 배출부(14)와 호퍼(92)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커버하여 건설 폐기물이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제 1 배출부(14)와 호퍼(92)는 서로 밀착하지 않고 일정 거리만큼 떨어지게 설치되는데, 이 경우 미처 철근빔(40) 사이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철근빔에 잔류하여 이송되던 크기가 작은 건설 폐기물이 제 1 배출부(14)와 호퍼(92) 사이의 공간으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 1 배출부(14)와 호퍼(92)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덮개판(50)에 의해 커버함으로써 건설 폐기물이 온전하게 호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덮개판(50)의 길이는 제 1 배출부(14)와 호퍼(92) 사이의 간격과 적어도 동일하게 형성하도록 한다.The large construction waste conveyed by the vibration of the bend portion 30 is discharged to the first discharge portion 14. That is, the construction waste is passed through the cover plate 50 to the crusher 90 through the hopper 92 to be shredded to a smaller size. At this time, the cover plate 50 covers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first discharge portion 14 and the hopper 92 to prevent the construction waste falling down. Typically, the first discharge portion 14 and the hopper 92 are installed to be separated by a certain distance without being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the small construction that is not transported between the reinforcing beams 40 and remains in the reinforcing beams Waste falls in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outlet 14 and the hopper 92. Therefore, by covering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first discharge portion 14 and the hopper 92 by the cover plate 50 so that construction waste can be introduced into the hopper intact.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cover plate 50 is to be formed at least equal to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discharge portion 14 and the hopper 92.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측면도로서 덮개판과 보조판의 구성을 도시한 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휘다부의 제 2 실시예는 덮개판(50)에서 철근빔(40)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된 반원형의 보조판(56)을 더 포함한다.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bend in which a plurality of beams are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side view of FIG. 9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ver plate and an auxiliary plate. 9 and 10,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curved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micircular auxiliary plate 56 protruding from the cover plate 50 into the space between the reinforcing beams 40.

보조판(56)은 크기가 큰 건설 폐기물이 철근빔들(40) 위를 진동 이송된 후 덮개판(50) 위에 쉽게 올려지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건설 폐기물은 모양이 매우 불규칙하기 때문에 철근빔들(40) 사이의 공간으로 빠진 건설 폐기물의 하단부가 덮개판(50)의 모서리에 걸려 건설 폐기물이 덮개판 위로 용이하게 올려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보조판(56)은 건설 폐기물의 이송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하부를 향하여 일정 각도만큼 경사진 구성을 이루고 그 단부는 반원형을 이룬다. 따라서, 모양이 불규칙한 건설 폐기물이 보조판(56)을 타고 위로 올려져 용이하게 덮개판(50) 위에 올려지게 된다.The auxiliary plate 56 allows large-scale construction waste to be easily mounted on the cover plate 50 after being vibrated over the reinforcing beams 40. Specifically, since the construction waste is very irregular in shape, the lower end of the construction waste falling into the space between the reinforcing beams 40 is caught by the edge of the cover plate 50 to prevent the construction waste from being easily lifted over the cover plate. Done. The auxiliary plate 56 is configured to be inclined by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bottom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nstruction waste, and its end forms a semicircular shape. Therefore, the construction waste of irregular shape is lifted up on the subsidiary plate 56 and is easily mounted on the cover plate 50.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미처리된 건설 폐기물이 최초의 파쇄공정을 위해 휘다부(30)에 투입될 때에는 건설 폐기물의 덩어리가 매우 크기 때문에 휘다부에 설치된 철근빔들(40)이 휘다부로부터 이탈되는 고장이 발생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철근빔들(40)의 중간 부분에 철근빔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빔(42)을 더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 지지빔(42) 사이에 건설 폐기물 중 쓰레기 등이 걸리기 쉬워 건설 폐기물 처리시마다 지지빔 사이에 낀 쓰레기들을 제거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실시예는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ntreated construction waste is introduced into the bent part 30 for the first crushing process as described above, the reinforcing beams 40 installed in the bend part are separated from the bend part because the mass of the construction waste is very large. Failure may occur.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beam 42 for supporting the reinforcing beam is further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reinforcing beams 40. However, in this case, the waste of construction waste is easily caught between the support beams 42, and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remove the waste caught between the support beams every time the construction waste is processed. An embodiment for solving this problem is illustrated in FIG. 11.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의 제 3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휘다부의 제 3 실시예는 철근빔들(40) 밑면의 중간 지점을 가로질러 철근빔들과 직각으로 지지빔(42)이 고정 설치되고, 지지빔의 양단부는 휘다부(30)의 측면판(32)과 고정 설치된다. 또한, 지지 빔(42)이 설치된 동일선상의 철근빔들(40)의 위에는 덮개판(50a)이 철근빔들과 직각을 이루며 고정 설치되고, 덮개판에서 철근빔들 사이의 공간으로는 반원형의 보조판(56a)이 연장 설치된다. 보조판(56a)은 건설 폐기물이 이송되는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하부를 향해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덮개판(50a)과 보조판(56a)에 의해 건설 폐기물 중 노끈, 비닐조각 등의 쓰레기 등이 지지빔(42)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Figure 11 is a plan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 fender equipped with multiple bea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1,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curved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beam 42 is fixedly installed at right angles to the reinforcing beams across a middle poin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reinforcing beams 40, and the support beam is supported. Both ends of the side plate 32 of the bending portion 30 is fixedly installed. In addition, the cover plate 50a is fixedly installed at right angles to the reinforcing beams on the collinear reinforcing beams 40 on which the support beams 42 are installed, and a semicircular shape is provided as a space between the reinforcing beams on the cover plate. The auxiliary plate 56a is extended. The auxiliary plate 56a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n angle toward the lower sid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struction waste is conveyed. Therefore, the cover plate 50a and the auxiliary plate 56a can prevent the garbage, such as a rope or a piece of vinyl, from being caught on the support beam 42.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의 제 4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휘다부의 제 4 실시예는 투입부(12)가 배치되는 위치에서 철근빔들(40) 사이의 간격이 좁고 제 1 배출부(14)가 배치되는 위치로 갈수록 철근빔들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는 구성을 갖는다. 이 경우 구동부(80)에 의해 휘다부(30)가 진동하는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철근빔들(40) 사이의 간격이 점차 넓어지므로 노끈이나 비닐조각 등 쓰레기이 철근빔들(40) 또는 지지빔(42)에 걸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분류되어야할 작은 건설 폐기물들을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12 is a plan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a fender equipped with multiple bea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2,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curved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ap between the reinforcing beams 40 is narrow and the first discharge part 14 is disposed at the position where the input part 12 is disposed. The distance between the reinforcing beams is increased toward the position. In this case, the gap between the reinforcing beams 40 is gradually wide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ending part 30 vibrates by the driving unit 80, so that garbage such as a rope or a piece of vinyl is reinforced in the reinforcing beams 40 or the support beam. It is not caught by (42).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lassify small construction wastes to be classified.

도 12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의 제 4 실시예는 지지빔(42), 덮개판(50a) 및 보조판(56a) 없이 구성될 수도 있다.A fourth embodiment of a bend in which a plurality of bea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2 is installed may be configured without the support beam 42, the cover plate 50a, and the auxiliary plate 56a.

도 13은 도 11 및 도 12의 측면도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근빔의 하부로는 3개의 지지빔(42)이 철근빔(40)과 직각으로 고정 설치되고, 각각의 지지빔은 양단부가 휘다부(30)의 측면판(32)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휘다부(30) 에 무거운 건설 폐기물이 투입되더라도 철근빔들(4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13 is a side view of FIGS. 11 and 12. As shown in FIG. 13, three support beams 42 are fixed to the bottom of the reinforcing beam at a right angle to the reinforcing beam 40, and each of the supporting beams has side plates of the curved portions 30 at both ends thereof. 32) is fixedly installed. Therefore, even when heavy construction waste is put into the bend portion 30, the reinforcing beams 40 can be prevented from escaping.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덮개판(50)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빔(42)과 철근빔(40)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는 지지빔은 덮개판(50, 50a)과 보조판(56, 56a)의 구성에 의해 쓰레기 등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보조판(56, 56a)은 건설 폐기물의 이송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덮개판(50, 50a)의 하부를 향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쓰레기 등이 지지빔(42)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모가 난 돌덩이와 같이 불규칙한 모양의 건설 폐기물 등이 투입된 경우에도 쉽게 덮개판(50, 50a) 위를 지나 진동하면서 이송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beam 42 disposed below the cover plate 50 and the support beam disposed at an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reinforcing beam 40 may include the cover plates 50 and 50a and the auxiliary plates 56 and 56a. By the configuration of the garbag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aught. Specifically, the auxiliary plates 56 and 56a are formed to be inclined at an angle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plates 50 and 50a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nstruction waste. Therefore, not only the garbage is caught on the support beam 42 but also when the construction waste of irregular shape such as a lump of stone is introduced, it can be easily transported while vibrating over the cover plates 50 and 50a. .

바람직하게는 보조판(56, 56a)의 철근빔(40)과 20 내지 40° 경사지게 형성하도록 한다. 철근빔(40)과 보조판(56, 56a)이 이루는 각도가 20° 미만이거나 40°보다 큰 경우에는 건설 폐기물이 쉽게 덮개판(50, 50a) 위로 올려지지 않게 된다. 한편, 철근빔(40)과 보조판(56, 56a)이 이루는 각도가 20 내지 40°의 범위를 벗어나게 구성하고 구동부(80)의 진동력을 더 높인 경우, 건설 폐기물이 휘다부(30)의 측면판(32)의 높이 이상으로 튀어올라 휘다부 밖으로 이탈할 뿐만 아니라 건설 폐기물이 호퍼(92)의 밖으로까지 튀어 떨어지는 등 위험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철근빔(40)과 보조판(56, 56a)의 기울어진 정도가 25 내지 35°를 이루도록 한다. 이 경우 구동부(80)의 진동의 세기에 상관없이 건설 폐기물이 철근빔들(40) 위에서 2개의 덮개판들(50, 50a)을 부드럽게 통과하여 호퍼(92) 속으 로 투입되게 된다.Preferably it is to be formed to be inclined 20 to 40 ° with the reinforcing beam 40 of the auxiliary plate (56, 56a). When the angle between the reinforcing beam 40 and the auxiliary plates 56 and 56a is less than 20 ° or greater than 40 °, construction waste is not easily lifted on the cover plates 50 and 50a. On the other hand, when the angle formed by the reinforcing beam 40 and the auxiliary plates 56 and 56a is outside the range of 20 to 40 ° and the vibration force of the driving unit 80 is higher, the construction waste is the side of the bending part 30. There was a dangerous problem, such as not only to jump out of the height of the plate 32 to escape from the bent portion, but also the construction waste to splash out of the hopper 92. More preferably, the inclination degree of the reinforcing beam 40 and the auxiliary plates 56 and 56a is 25 to 35 °. In this case, regardless of the strength of the vibration of the driving unit 80, the construction waste is gently passed through the two cover plates 50, 50a on the reinforcing beams 40 into the hopper 92.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의 제 5 실시예의 폭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의 제 5 실시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의 제 5 실시예(10)는 휘다부(30)의 저면을 개방된 형태로 형성하고 휘다부의 개방된 저면의 하부에 이송부(16)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휘다부(30)에 투입된 건설 폐기물 중 철근빔(40) 사이의 간격보다 크기가 작은 건설 폐기물이나 이물질 등은 철근빔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되어 휘다부 하부의 이송부(16)에 떨어지게 된다. 이송부(16)는 분류된 건설 폐기물을 이송하여 제 2 배출부(18)로 배출하게 된다. 이송부(16)로는 컨베이어 밸트로 구성된 컨베이어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휘다부(30)에는 철근빔(40) 사이의 간격보다 크기가 큰 건설 폐기물만이 남게 되므로 휘다부의 저면이 막힌 구성에 비하여 휘다부에 가해지는 건설 폐기물의 무게가 크게 줄어들게 된다. 또한, 휘다부(30)는 철근빔(40) 사이의 간격보다 크기가 큰 건설 폐기물만을 이송하면 되므로, 휘다부의 저면이 막힌 구성에 비하여 구동부(80)의 크랭크(84a, 84b)가 적은 힘을 발생하여도 건설 폐기물을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be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be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4 and 15, the fifth embodiment 10 of the be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eam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the bottom of the bend portion 30 in an open form and the open bottom surface of the bend portion It may be provided with a transfer unit 16 in the lower portion. Therefore, construction waste or foreign matter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reinforcing beams 40 among the construction wastes put into the bend part 30 is discharg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reinforcing beams and falls to the transfer part 16 under the bend part. The transfer unit 16 transfers the sorted construction waste to the second discharge unit 18. As the conveying part 16, a conveyor system composed of a conveyor belt may be used. Therefore, since only the construction waste having a larger size than the gap between the reinforcing beams 40 remains in the curved portion 30, the weight of the construction waste applied to the curved portion is great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bottom portion of the curved portion is blocked. In addition, since the bend portion 30 only needs to transfer construction waste having a larger size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reinforcing beams 40, the cranks 84a and 84b of the driving portion 80 have a smaller force tha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bottom portion of the bend portion is blocked. When generated, the construction waste can be transported stably.

이상 설명한 바대로,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는 휘다부에 다수의 철근빔을 설치하여 각각의 철근빔 사이의 간격보다 크기가 큰 건설 폐기물과 작은 건설 폐기물을 크라샤에서 1차 파쇄공정을 하기 전에 미리 분리함으로써 건설 폐기물의 처리 공정을 단순화하고, 이에 따라 건설 폐기물의 처리 비용 및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end in which a plurality of bea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inforcing beams in a curved portion, thereby primarily crushing construction wastes and small construction wastes having a larger size than the spacing between the respective reinforcing beams in Krasha. By separating in advance before the process, there is a remarkable effect of simplifying the treatment process of construction waste, thereby reducing the processing cost and time of construction waste.

종래의 경우에는 건설 폐기물을 현장에서 운반하여 분리 작업 없이 그대로 크라샤에서 1차 파쇄과정을 진행하였다. 따라서, 재활용되기 어려운 쓰레기들까지 크라샤에 투입하여 파쇄공정을 진행하게 되어 파쇄된 건설 폐기물에서 재활용이 가능한 건설 폐기물을 선별하는 것이 힘들고 공정 수율이 낮아지게 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은 크라샤에 의한 건설 폐기물의 1 차 파쇄공정 전에 재활용이 힘든 쓰레기들을 미리 선별 분리할 수 있으므로, 건설 폐기물의 재활용율을 높일 수 있고 처리 공정을 단순화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건설 폐기물 처리 공정의 전체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the conventional case, the construction waste was transported in the field, and the first crushing process was carried out in Krasha without being separated. Therefore, the waste that is difficult to recycle was put into the crusher to proceed with the crushing process, it is difficult to sort the construction waste that can be recycled from the crushed construction waste and the process yield is low.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parated in advance before the first crushing process of the construction waste by the crushing wast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cycling rate of the construction waste and to reduce the cost by simplifying the treatment process .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overall yield of the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process.

또한, 크랭크의 회전으로 발생되는 힘을 이용해 휘다부를 진동시키고 크랭크 축에 서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두개의 크랭크를 설치함으로써, 휘다부의 진동 강도를 건설 폐기물의 이송에 적합하게 최적화하고 건설 폐기물이 이송 중 휘다부의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using the force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crank to vibrate the bend part and install two cranks arrang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on the crank axis, the vibration strength of the bend part is optimized for the transfer of construction waste and the construction waste is bent during transf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parture from the wealth.

또한 크랭크가 설치되어 있는 구동부가 휘다부의 밑면에 설치되어 있지 않고 도 2 와 같이 건설폐기물이 투입되는 쪽의 앞쪽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많은 양의 상당한 무게의 건설폐기물이 투입되는 경우에도 휘다부가 진동하는데 별로 지장을 받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는 종래에는 구동부가 휘다부의 밑면에 설치된 경우 투입되는 건설폐기물의 무게가 상당할 경우, 투입된 건설폐기물의 무게로 인하여 구동부가 많은 부하를 받아 잘 작동하지 않거나 고장 등이 발생하던 문제점을 개선 한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driving part in which the crank is installed is not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bend, but is installed at the front side of the side where the construction waste is put in as shown in FIG. 2, the bend is vibrated even when a large amount of construction waste is input. It does not interfere much. This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when the driving portion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curved portion of the weight of the construction waste is significant, due to the weight of the input construction waste, the driving unit does not work well due to the heavy load or failure occur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Whil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using specific terms, such description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it is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You must lose.

Claims (11)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건설 폐기물을 투입하여 상기 건설 폐기물을 크기에 따라 분류 및 이송하는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로서,As a bend is installed a plurality of beams for inputting the construction waste, sorting and transporting the construction waste according to the size, 상면이 개방된 통 형상을 이루며, 일단부로 상기 건설 폐기물이 투입되어 나머지 일단부로 상기 투입된 건설 폐기물을 이송 및 배출하는 휘다부(30);An upper surface of the tubular shape having an open shape, the construction waste being introduced at one end thereof, and a curved portion 30 for transferring and discharging the injected construction waste at one end thereof; 상기 휘다부(30)의 측면판(32)에 고정 설치되며, 서로 일정 간격을 이루며 배치되는 다수의 철근빔(40);A plurality of reinforcing beams 40 fixedly installed on the side plate 32 of the bend portion 30 and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from each other; 상기 휘다부(30)의 하부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60);A support frame 60 disposed below the bend part 3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휘다부(30)와 상기 지지 프레임(60)을 연결 지지하는 다수의 스프링(70); 및A plurality of springs 70 connecting and supporting the bent portion 30 and the support frame 60; And 상기 휘다부(30)의 일단부에 일체형으로 고정 설치되어 전방을 향하여 진동하는 힘을 발생하는 구동부(80)를 포함하고,And a driving unit 80 fixedly installed at one end of the bend portion 30 to generate a force vibrating forward. 상기 구동부가,The drive unit,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82);A driving motor 82 generating power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상기 구동모터(82)와 연동하여 상기 휘다부(30)의 일단부에서 나머지 일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크랭크 축(84); 및A crank shaft 84 which rotates in a direction from one end of the bend portion 30 toward the other end in cooperation with the driving motor 82; And 상기 크랭크 축(84)에 끼워져 상기 크랭크 축을 따라 회전하고, 단면이 가상의 원에서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로 갈수록 테이퍼진 형상을 이루어 상기 원의 중심으로부터 각 단부까지의 거리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크랭크(86)를 포함하고,One that is fitted to the crank shaft 84 and rotates along the crank shaft, the cross section is tapered in shape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in the imaginary circle so that the distances from the center of the circle to each end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cluding the above crank 86, 상기 휘다부(30)가 상기 구동부(80)와 함께 진동하면서, 투입된 상기 건설 폐기물 중 상기 각 철근빔(40)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건설 폐기물은 상기 각 철근빔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하고, 상기 각 철근빔 사이의 간격보다 큰 건설 폐기물은 상기 철근빔을 따라 이송하여 상기 휘다부의 나머지 일단부로 배출하고,While the bending part 30 vibrates with the driving unit 80, the construction waste small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reinforcing beams 40 among the input construction wastes is discharg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respective reinforcing beams. Construction waste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reinforcing beams are transported along the reinforcing beams and discharged to the other end of the bent portion, 상기 각 철근빔(40)이 상기 휘다부(30)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휘다부의 나머지 일단부로 노출되고,Each of the reinforcing beams 40 is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bend portion 30 is exposed to the other end of the bend portion, 상기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가,The plurality of beams are installed, 상기 휘다부(30)의 나머지 일단부로 노출되는 각 철근빔(40) 위에 상기 휘다부와 동일한 폭을 이루며 설치되는 덮개판(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A plurality of beams are installed on the reinforcing beams 40 exposed to the other end of the bend portion 30, further comprising a cover plate 50 having the same width as the bend portion.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휘다부(30)가,The bend section 30, 상기 측면판(32)의 상단부에서 외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측면 보조판(34)을 포함하고,It includes a side auxiliary plate 34 extending toward the outside from the upper end of the side plate 32, 상기 덮개판(50)이,The cover plate 50, 상기 휘다부(30)의 측면판(32) 및 측면 보조판(34)과 동일하게 연장 형성되는 측면판(52) 및 측면 보조판(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A plurality of beams are installed, including a side plate 52 and a side auxiliary plate 54 extending in the same manner as the side plate 32 and the side auxiliary plate 34 of the bend part 30.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덮개판(50)이,The cover plate 50, 상기 건설 폐기물이 이송되는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각 철근빔(40) 사이의 공간에 하부를 향해 일정 각도 경사지도록 상기 덮개판(50)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보조판(5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And an auxiliary plate 56 extending from the cover plate 50 so as to be inclined at an angle downward in a space between the respective reinforced beams 4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struction waste is conveyed. A plurality of beams are installed.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보조판(56)이 상기 덮개판(50)에 대하여 상기 건설 폐기물이 이송되는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20 내지 40°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A plurality of beams are installed, wherein the auxiliary plate 56 forms 20 to 40 °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struction waste is transported with respect to the cover plate 50. 건설 폐기물을 투입하여 상기 건설 폐기물을 크기에 따라 분류 및 이송하는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로서,As a bend is installed a plurality of beams for inputting the construction waste, sorting and transporting the construction waste according to the size, 상면이 개방된 통 형상을 이루며, 일단부로 상기 건설 폐기물이 투입되어 나머지 일단부로 상기 투입된 건설 폐기물을 이송 및 배출하는 휘다부(30);An upper surface of the tubular shape having an open shape, the construction waste being introduced at one end thereof, and a curved portion 30 for transferring and discharging the injected construction waste at one end thereof; 상기 휘다부(30)의 측면판(32)에 고정 설치되며, 서로 일정 간격을 이루며 배치되는 다수의 철근빔(40);A plurality of reinforcing beams 40 fixedly installed on the side plate 32 of the bend portion 30 and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from each other; 상기 휘다부(30)의 하부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60);A support frame 60 disposed below the bend part 3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휘다부(30)와 상기 지지 프레임(60)을 연결 지지하는 다수의 스프링(70); 및A plurality of springs 70 connecting and supporting the bent portion 30 and the support frame 60; And 상기 휘다부(30)의 일단부에 일체형으로 고정 설치되어 전방을 향하여 진동하는 힘을 발생하는 구동부(80)를 포함하고,And a driving unit 80 fixedly installed at one end of the bend portion 30 to generate a force vibrating forward. 상기 구동부가,The drive unit,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82);A driving motor 82 generating power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상기 구동모터(82)와 연동하여 상기 휘다부(30)의 일단부에서 나머지 일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크랭크 축(84); 및A crank shaft 84 which rotates in a direction from one end of the bend portion 30 toward the other end in cooperation with the driving motor 82; And 상기 크랭크 축(84)에 끼워져 상기 크랭크 축을 따라 회전하고, 단면이 가상의 원에서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로 갈수록 테이퍼진 형상을 이루어 상기 원의 중심으로부터 각 단부까지의 거리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크랭크(86)를 포함하고,One that is fitted to the crank shaft 84 and rotates along the crank shaft, the cross section is tapered in shape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in the imaginary circle so that the distances from the center of the circle to each end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cluding the above crank 86, 상기 휘다부(30)가 상기 구동부(80)와 함께 진동하면서, 투입된 상기 건설 폐기물 중 상기 각 철근빔(40)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건설 폐기물은 상기 각 철근빔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하고, 상기 각 철근빔 사이의 간격보다 큰 건설 폐기물은 상기 철근빔을 따라 이송하여 상기 휘다부의 나머지 일단부로 배출하고,While the bending part 30 vibrates with the driving unit 80, the construction waste small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reinforcing beams 40 among the input construction wastes is discharg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respective reinforcing beams. Construction waste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reinforcing beams are transported along the reinforcing beams and discharged to the other end of the bent portion, 상기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가,The plurality of beams are installed, 상기 휘다부(30)의 중간 부분에 상기 각 철근빔(4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각 철근빔의 하부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휘다부(30)의 측면판(32)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빔(4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Is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each of the reinforcing beam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each of the reinforcing beams 40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bend portion 30, both ends are fixed to the side plate 32 of the bend portion 30 A plurality of beams are installe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pport beam (42).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가,The plurality of beams are installed, 상기 지지빔(42)이 설치된 동일선상의 상기 각 철근빔(40)의 상부에 상기 각 철근빔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휘다부(30)의 측면판(32)에 고정 설치되는 덮개판(50a); 및Cover plate 50a fixed to the side plate 32 of the curved portion 30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each of the reinforcing beams on the upper side of each of the reinforcing beams 40 on the same line provided with the support beams 42. ); And 상기 건설 폐기물이 이송되는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각 철근빔(40) 사이의 공간에 하부를 향해 일정 각도 경사지도록 상기 덮개판(50a)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보조판(56a)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And an auxiliary plate 56a extending from the cover plate 50a so as to be inclined at an angle downward in a space between the respective reinforced beams 4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struction waste is conveyed. A plurality of beams are installed.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보조판(56a)이 상기 덮개판(50a)에 대하여 상기 건설 폐기물이 이송되는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20 내지 40°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The auxiliary plate 56a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eams, characterized in that it forms 20 to 40 °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struction waste is transported with respect to the cover plate 50a. 제 4 항 또는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8, 상기 각 철근빔(40)의 단면이, 위부분은 역삼각형을 이루고 아래부분은 삼각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The cross section of each of the reinforcing beams 40, the upper portion forms an inverted triangle and the lower portion is a bend is installed a plurality of beams, characterized in that forming a triangle.
KR1020060065431A 2005-07-12 2006-07-12 Feeder with a plurality of beams KR1007345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431A KR100734519B1 (en) 2005-07-12 2006-07-12 Feeder with a plurality of bea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833 2005-07-12
KR20050062833 2005-07-12
KR1020060014130 2006-02-14
KR20060014130 2006-02-14
KR1020060065431A KR100734519B1 (en) 2005-07-12 2006-07-12 Feeder with a plurality of bea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447A KR20070008447A (en) 2007-01-17
KR100734519B1 true KR100734519B1 (en) 2007-07-03

Family

ID=38010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431A KR100734519B1 (en) 2005-07-12 2006-07-12 Feeder with a plurality of beam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451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739B1 (en) * 2022-12-19 2023-07-03 (주)포항환경건설 Multi-rail vibration feeder with improved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efficiency
KR102550740B1 (en) * 2022-12-19 2023-07-03 (주)포항환경건설 Multi-plate vibration feeder for the primary crusher of construction wast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51302A (en) * 2013-10-21 2014-02-05 江苏永钢集团有限公司 Single-shaft low-frequency vibrating screening device
CN105710032B (en) * 2016-03-22 2017-08-18 冯锦 A kind of Sand screen of automatic feed discharging
CN111921660B (en) * 2020-07-23 2022-03-15 西安大台农西北狼饲料科技有限公司 Screening installation is smashed to granule size that fodder was used
CN112893092B (en) * 2021-01-18 2022-10-14 山西吉呈生物技术有限公司 Quick capsule discharging machine with built-in material stirring mechanis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8348A (en) * 1987-06-01 1991-10-22 Pell Sune Westhed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path for a screeding means
KR950016894A (en) * 1993-12-04 1995-07-20 장응재 Method for sorting and separating construction waste and its device
KR960004302A (en) * 1994-07-18 1996-02-23 신현수 Continuous Kitchen Waste Composting Device
KR200159141Y1 (en) * 1996-12-19 1999-10-15 김도근 Separation apparatus of waste separator
KR100460296B1 (en) * 2004-06-04 2004-12-17 구경신 A choosing and separating type variable screen for recycling construction waste articl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8348A (en) * 1987-06-01 1991-10-22 Pell Sune Westhed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path for a screeding means
KR950016894A (en) * 1993-12-04 1995-07-20 장응재 Method for sorting and separating construction waste and its device
KR960004302A (en) * 1994-07-18 1996-02-23 신현수 Continuous Kitchen Waste Composting Device
KR200159141Y1 (en) * 1996-12-19 1999-10-15 김도근 Separation apparatus of waste separator
KR100460296B1 (en) * 2004-06-04 2004-12-17 구경신 A choosing and separating type variable screen for recycling construction waste articl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739B1 (en) * 2022-12-19 2023-07-03 (주)포항환경건설 Multi-rail vibration feeder with improved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efficiency
KR102550740B1 (en) * 2022-12-19 2023-07-03 (주)포항환경건설 Multi-plate vibration feeder for the primary crusher of construction was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447A (en) 200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0780B2 (en) Debris treatment equipment
KR100734519B1 (en) Feeder with a plurality of beams
KR101355785B1 (en) Vibrator screen changeable screen-board angle by load
US5398815A (en) Landfill waste material separating method
KR102164244B1 (en) crushing system for selective crushing and filtering of waste stone
JP2012206015A (en) Crusher
KR200424354Y1 (en) Distributing and moving apparatus of construction waste using vibration and upper-and-lower shock absorbing device
KR101786946B1 (en) a sorting screen apparartus for Construction sludge
KR100863605B1 (en) Apparatus for producing revival aggregate from construction waste smashed in construction waste's intermediate handling using revival aggregate sorting screen having multi-step's angle change
KR101434571B1 (en) sorting apparatus for recycling resources from waste
CN103264043A (en) Construction waste sorting machine and classification system thereof
KR100808548B1 (en) Jaw crusher having shock absorber
KR100771660B1 (en) The Sand waste Sorter use to Teeth of a Comb Attaching Conveyor
KR20020035362A (en) Aggregating Equipment of Used Concrete
KR100730877B1 (en) Feeder with a plurality of beams
KR200424363Y1 (en) Separator for construction waste
KR100971723B1 (en) Waste separation system
KR100641400B1 (en) Apparatus for crushing and separating construction wastes
CN112058464B (en) Feed unit for a treatment plant, in particular a crushing or screening plant
KR200194531Y1 (en) apparatus for disposal of waste mather on the spot
KR100518918B1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construction wastes
KR200370561Y1 (en) Apparatus for crushing and separating construction wastes
KR100574882B1 (en) Anti-lumping method of circulation aggregate of construction waste using free device of upper-and-lower shock absorbing and right-and-left swing
JP2006192355A (en) Sieving device and its method
CN213568274U (en) Feed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