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4510B1 - 형광등기구 - Google Patents

형광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4510B1
KR100734510B1 KR1020070028147A KR20070028147A KR100734510B1 KR 100734510 B1 KR100734510 B1 KR 100734510B1 KR 1020070028147 A KR1020070028147 A KR 1020070028147A KR 20070028147 A KR20070028147 A KR 20070028147A KR 100734510 B1 KR100734510 B1 KR 100734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escent lamp
standard
socket
terminal pin
coup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8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순
Original Assignee
엘티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티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티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8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45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7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 F21V19/008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of straight tubular light sources, e.g. straight fluorescent tubes, soffit lamps
    • F21V19/008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of straight tubular light sources, e.g. straight fluorescent tubes, soffit lamps at least one conductive element acting as a support means, e.g. resilient contact blades, piston-like conta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광등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지된 매입 개방형 형광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소켓을 전,후면에는 상기 본체의 소켓 고정편에 형성된 안치홈의 전,후단부 일부가 끼워져 걸려지는 슬라이드형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면 일측 중앙에는 상기 소켓 고정편의 걸림공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걸려짐과 동시에 소켓 자체가 외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 걸림고리가 돌출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면 저부에서 T10 또는 T8 규격의 형광램프와 T5 규격 형광램프들간 길이 차의 1/2 길이만큼 내측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어 단자핀 결합부가 T10 또는 T8 규격 형광램프용 소켓의 단자핀 결합부보다 내측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경사돌부와; 상기 경사돌부의 단부에서 직하방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T5 규격의 형광램프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단자핀 결합부;로 구성하여, 상기 본체의 소켓 고정편에 각각 결합되는 각 쌍의 소켓들 사이의 거리가 직경 16㎜이고 소비전력이 28W인 T5 규격의 형광램프 길이와 같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형광등기구의 본체 및 반사갓을 포함하여 천정재 등과 같은 시설의 교체나 보수작업 등과 같은 별도의 시설 변경이 필요 없게 되어 형광램프의 규격 변화에 따른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기존 자원의 재활용을 통해 불필요한 경제적 손실과 환경오염을 배제 및 방지할 수 있으며, 형광램프의 설치 및 교환에 따른 작업성이 매우 좋고, T5 규격의 형광램프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발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형광램프의 수명 연장과 더불어 절전효과를 크게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형광등기구, T10, T8, T5 형광램프, 소켓, 고정부, 경사돌부, 단자핀 결합부

Description

형광등기구{A fluorescent lamp}
도 1은 종래 매입 개방형 형광조명기구의 일부 저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형광등기구의 일부 전면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형광등기구에서 사용된 소켓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4는 도 3 소켓에 대한 설치 상태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형광등기구에서 사용된 소켓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6은 도 5 소켓에 대한 설치 상태 측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형광등기구에 사용된 일 실시 예 소켓과 형광램프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형광등기구에 사용된 다른 실시 예 소켓과 형광램프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형광등기구의 횡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 2 : 안정기
3 : 반사갓 4,4' : 소켓
5,5' : 형광램프 6 : 천정재
11 : 소켓 고정편 12 : 안치홈
13 : 걸림공 41 : 고정부
42 : 경사돌부 43 : 단자핀 결합부
51,51' : 단자핀 411 : 슬라이드형 삽입홈
412 : 탄성 걸림고리 431 : 핀 삽입홈
432 : 회전형 램프 고정구 433 : 지지구
434 : 코일 스프링
본 발명은 형광등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무실이나 일반 가정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T10(직경 32㎜, 40W) 또는 T8(직경 26㎜, 32W) 규격의 형광램프만 설치가 가능한 매입 개방형 형광등기구의 구성품들에 대한 어떠한 변경도 없이 고정부와 단자핀 결합부 사이에 경사돌부가 구비됨으로 인해 단자핀 결합부의 위치가 내측으로 이동된 형태를 갖는 소켓과 T5 규격 형광램프용 안정기의 교환만으로 초절전형이면서 휘도 및 조도가 T10 또는 T8의 규격의 형광램프 보다 좋고 발광효율도 좋으며 수명도 긴 T5(직경 16㎜, 28W)의 형광램프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시설 변경이 필요 없어 비용이 절감됨과 동시에 T5 규격의 형광램프 사용으로 인해 발광효율을 향상하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음은 물 론 절전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형광램프는 진공관 내에 수은증기 및 약간의 불활성 기체를 봉입한 것으로, 관 그 차체는 부도체이나, 관의 양단에 고압이 가해지면 절연파괴가 일어나 기체방전을 이용하여 발광을 일으킨다.
즉, 음극에서 방출된 전자가 고압에 의해 양극으로 비행하게 되며, 전자의 이 고속 운동으로 인해 전자는 큰 운동에너지를 얻게 되고, 비행도중 관내의 수은 및 불활성 기체와 충돌하게 되며, 이와 같이 충돌할 때 전자의 운동에너지가 관내의 기체에 전달되며 기체는 여기(ExciTaTion)되어 보다 높은 에너지 준위로 기체의 전자가 이동하게 되고, 이 여기된 전자는 라이프 타임(Life Time; 수 ns)만큼 머물다 하위 에너지 준위로 떨어지면서, 그 준위차(ΔE=E1-E2=hf)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방출한다.
이때의 방출파장은 자외선(UlTra-violeT ray)영역으로, 이를 관 내벽에 도포된 형광물질을 자극하여 가시광선을 발광하게 한다.
이와 같이 발광이 이루어지면 관은 부성저항 특성을 나타내며 큰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를 보호하기 위한 전류제한회로인 안정기가 필요하다.
통상, 형광등은 구경이 T10(32mm, 40W), T8(26mm, 32W), T5(16mm, 28W) 등의 종류가 있는데, 구경이 작을수록 적은 에너지로도 더 높은 효율을 나타낸다.
그러나 구경이 작을수록 램프의 임피던스는 높아지고, 그 양단전압도 높아지게 되는데, T10의 경우 관 양단전압이 약 100V 이나, T5의 경우 약 170V 정도로 높아지고 점등 전압도 올라감으로 안정기의 회로도 종전의 것과는 많이 달라 지게 된 다.
상기 형광램프용 전자식 안정기회로는 크게 정전류 푸쉬풀 방식, Half bridge 방식 및 플라이백 방식 등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T5 램프의 경우 관경은 32mm의 반으로 세관화되어 램프임피던스가 약 950ohm으로, T10, T8에 비해 시동전압이 높고 램프전류는 적고, T5 램프용 안정기의 성능은 안정기의 출력임피던스를 램프의 임피던스에 정합시켜, 정격램프전압과 전류를 최적화하여 램프의 광학적 특성과 정격수명을 유지할 수 있어야할 뿐만 아니라 높은 시동전압, 전류제한 및 재점호전압의 공급, 이상 전압보호, 무부하 검출 보호, 과전류보호 등의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한편, 지금까지 우리가 사용하여 왔던 대부분의 형광등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광램프(5')의 양단부에 단자핀(51)을 설치한 형태로써, 이와 같은 형광램프(5')는 단자핀(51')을 본체(1)와 반사갓(3), 안정기(2) 및 한 쌍의 소켓(4')을 구비한 등기구의 소켓(4')에 끼움 설치하여 조명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천정 매립 개방형 형광등기구는 주로 사무실 등에서 천정면에 매립되는 형태로 널리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T8규격(직경 26mm, 소비전력 32W, 단자핀을 포함한 전체 길이 1212mm) 또는 T10규격(직경 32mm, 소비전력 40W, 단자핀을 포함한 전체 길이 1212mm)을 사용하고, 상기 형광램프(5)을 설치하기 위한 소켓(4)도 T8규격 또는 T10규격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T8규격 또는 T10규격의 형광램프를 사용할 경우 전기의 소비가 많으며, 직경이 크기 때문에 휘도 및 조도가 저하되어 불필요한 전기의 소 모가 많으면서도 빛을 밝게 멀리 까지 조사할 수 없어서 결국 발광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초절전형이면서 휘도 및 조도가 증가되어 발광효율을 향상하며, 수명도 연장된 T5규격(직경 16mm, 28W이하) 형광램프의 사용이 증가추세에 있다.
그러나, 기존의 사무실 등에 설치된 T8규격 또는 T10규격의 형광등기구에는 직경 및 단자핀의 간격이 다른 T5규격의 형광램프를 설치할 수 없음은 물론 이와 같인 T5 규격의 형광램프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크기 및 규격이 다른 형태를 가지고 기설치된 형광등기구 전체를 교체해야 함과 동시에 이에 따라 천장재도 다시 보수작업을 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이 복잡하고 비용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일부에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형광등용 어뎁터를 개발하여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58877호(등록일자 2004. 08. 04.)와 제 20-0431610호(등록일자 2006. 11. 15.)로 제시된 바 있는데, 이들은 모두 형광램프와 별도로 그 길이와 직경이 상대적으로 짧고 작은 T5 규격의 형광램프를 기존의 T8 규격 또는 T10 규격 형광등기구에 설치된 소켓과 결합시킬 수 있는 원통 캡 형상의 어뎁터를 형성하여 T5 규격의 형광램프 양단부에 이들 어뎁터를 결합시킨 후 상기 어뎁터의 양측으로 돌출 형성된 단자핀을 T8 규격 또는 T10 규격 형광등기구에 설치된 소켓과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론, 이와 같은 구성의 어뎁터를 이용하여 기존의 T8 규격 또는 T10 규격 형광등기구에 설치된 소켓에 T5 규격의 형광램프를 결합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기존의 형광등기구 내에 설치되어 있는 안정기 역시 T5 규격용 형광램프에 맞게 설계 제조된 것으로 교체 설치해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은 어뎁터 자체가 형광조명기구 자체는 물론 형광램프들과 별개로 형성되어 소모품으로 유통되므로 이를 별개로 구입, 보관하다가 필요에 따라 T5 규격의 형광램프에 결합시킨 다음 T8 규격 또는 T10 규격의 형광등기구에 설치된 소켓에 결합시켜 사용해야 하므로 소비자에게 불필요하게 경제적인 부담을 주게 될 뿐만 아니라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일반 사무실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T10(직경 32㎜, 40W) 또는 T8(직경 26㎜, 32W) 규격의 형광램프만 설치가 가능한 매입 개방형 형광등기구의 구성품들에 대한 어떠한 변경도 없이 고정부와 단자핀 결합부 사이에 경사돌부가 구비됨으로 인해 단자핀 결합부의 위치가 내측으로 이동된 형태를 갖는 소켓과 T5 규격 형광램프용 안정기의 교환만으로 초절전형이면서 휘도 및 조도가 T10 또는 T8 규격의 형광램프 보다 좋고 발광효율도 좋으며 수명도 긴 T5(직경 16㎜, 28W, 단자핀을 포함한 전체 길이 1163mm)의 형광램프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형광등기구의 본체 및 반사갓을 포함하여 천정재 등과 같은 시설의 교체나 보수작업 등과 같은 별도의 시설 변경이 필요 없게 되어 형광램프의 규격 변화에 따른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자원의 재활용을 통한 불필요한 경제적 손실을 배제할 수 있고, 형광램프의 설치 및 교환에 따른 작업성이 매우 좋으며, 또 T5 규격의 형광램프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발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형광램프의 수명 연장과 더불어 절전효과를 크게 얻을 수 있는 형광등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광등기구는, 안정기를 구비하고 건물의 천정재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 또는 두 쌍의 소켓 고정편에 각각 결합되는 소켓들과;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형광램프의 빛을 반사시켜 주는 반사갓과; 상기 소켓들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형광램프;로 구성된 T10 또는 T8 규격의 천정 매입 개방형 형광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소켓을, 전,후면에는 상기 본체의 소켓 고정편에 형성된 안치홈의 전,후단부가 끼워져 걸려지는 슬라이드형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면 일측 중앙에는 상기 소켓 고정편의 걸림공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걸려짐과 동시에 소켓 자체가 외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 걸림고리가 돌출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면 저부에서 T10 또는 T8 규격의 형광램프와 T5 규격 형광램프들간 길이 차의 1/2 길이만큼 내측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어 단자핀 결합부가 T10 또는 T8 규격 형광램프용 소켓의 단자핀 결합부보다 내측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경사돌부와; 상기 경사돌부의 단부에서 직하방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T5 규격의 형광램프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단자핀 결합부;로 구성하여 상기 본체의 소켓 고정편에 각각 결합되는 각 쌍의 소켓들 사이의 거리가 직경 16㎜이고 소비전력이 28W인 T5 규격의 형광램프 길이와 같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소켓의 단자핀 결합부에는 T5 규격 형광램프의 단자핀이 저부로부터 끼워질 수 있는 핀 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핀 삽입홈을 통해 단자핀이 끼워진 상태에서 T5 규격의 형광램프가 어느 한 방향으로 90도 회전되면 상기 형광램프와 함께 지지구 내에서 회전되며 형광램프 자체가 핀 삽입홈에 끼워진 단자핀의 걸림 작용에 의해 소켓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회전형 램프 고정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소켓 중 어느 일측 소켓의 단자핀 결합부에 설치되는 지지구를 단자핀 결합부의 내부로 일정거리 이내에서 출입이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지지구의 배면과 단자핀 결합부의 내면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을 설치하여 상기 지지구가 단자핀 결합부에서 코일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외부로 돌출된 형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안정기는 T5 규격용 형광램프에 맞게 설계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형광등기구의 일부 전면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 형광등기구에서 사용된 소켓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도 3 소켓에 대한 설치 상태 측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 형광등기구에서 사용된 소켓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도 5 소켓에 대한 설치 상태 측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 형광등기구에 사용된 일 실시 예 소켓과 형광램프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 형광등기구에 사용된 다른 실시 예 소켓과 형광램프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 형광등기구의 횡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형광등기구는, 안정기(2)를 구비하고 건물의 천정재(6)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 또는 두 쌍의 소켓 고정편(11)에 각각 결합되는 소켓(4)들과; 상기 본체(1) 내에 설치되어 형광램프(5)의 빛을 반사시켜 주는 반사갓(3)과; 상기 소켓(4)들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형광램프(5);로 구성된 천정 매입 개방형 형광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소켓(4)을,
전,후면에는 상기 본체(1)의 소켓 고정편(11)에 형성된 안치홈(12)의 전,후단부 일부가 끼워져 걸려지는 슬라이드형 삽입홈(411)이 형성되고 상면 일측 중앙에는 상기 소켓 고정편(11)의 걸림공(13)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걸려짐과 동시에 소켓(4) 자체가 외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 걸림고리(412)가 돌출 형성된 고정부(41)와;
상기 고정부(41)의 일측면 저부에서 T10 또는 T8 규격의 형광램프와 T5 규격 형광램프(5)들간 길이 차의 1/2 길이만큼 내측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어 단자핀 결합부(43)가 T10 또는 T8 규격 형광램프용 소켓의 단자핀 결합부보다 내측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경사돌부(42)와;
상기 경사돌부(42)의 단부에서 직하방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T5 규격의 형광램프(5)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단자핀 결합부(43);로 구성하여 상기 본체(1)의 소켓 고정편(11)에 각각 결합되는 각 쌍의 소켓(4)들 사이의 거리가 직경 16㎜이고 소비전력이 28W인 T5 규격의 형광램프(5) 길이와 같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소켓(4)의 단자핀 결합부(43)에는 T5 규격 형광램프(5)의 단자핀(51)이 저부로부터 끼워질 수 있는 핀 삽입홈(431)을 구비하고, 상기 핀 삽입홈(431)을 통해 단자핀(51)이 끼워진 상태에서 T5 규격의 형광램프(5)가 어느 한 방향으로 90도 회전되면 상기 형광램프(5)와 함께 지지구(433) 내에서 회전되며 형광램프(5) 자체가 핀 삽입홈(431)에 끼워진 단자핀(51)의 걸림 작용에 의해 소켓(4)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회전형 램프 고정구(432)를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소켓(4) 중 어느 일측 소켓(4)의 단자핀 결합부(43)에 설치되는 지지구(433)를 단자핀 결합부(43)의 내부로부터 일정거리 이내에서 출입이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지지구(433)의 배면과 단자핀 결합부(43)의 내면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434)을 설치하여 상기 지지구(433)가 단자핀 결합부(43)에서 코일 스프링(434)의 탄발력에 의해 외부로 돌출되며 T5 규격의 형광램프(5)를 타측의 소켓(4) 측으로 밀어주는 형태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안정기(2)는 T5 규격용 형광램프에 맞게 설계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형광등기구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안정기(2)와 본체(1), 반사갓(3) 및 소켓(4)으로 구성되어 단자핀을 포함한 전체 길이 1212mm를 갖는 T10 또는 T8 규격의 형광램프 전용 천정 매입 개방형 형광등기구의 본체(1)와 반사갓(3)은 구조 변경 없이 그대로 사용하는 상태에서 형광램프(5)들의 소켓(4) 형상을 변경하고, 상기 안정기(2)는 T5 규격용 형광램프에 맞게 설계 제조된 것으로 교체 설치하는 방식을 통해 단자핀을 포함한 전체 길이 1163mm를 갖는 T5 규격의 형광램프(5)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안정기(2)를 고정한 채 건물의 천정재(6)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 내에 설치되어 형광램프(5)의 빛을 반사시켜 주는 반사갓(3)은 종래의 T10 또는 T8 규격 형광램프 전용 형광조명기구에서 사용되는 것과 그 크기 및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는 형태의 것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T10 또는 T8 규격 형광램프 전용 천정 매입 개방형 형광등기구가 설치된 실내의 조명을 T5 규격의 형광램프(5)를 이용한 조명으로 교체하고자 할 때 본체(1) 및 반사갓(3)을 별도로 설계 및 제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에 따른 불필요한 비용을 들일 필요가 없게 됨은 물론 자원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1)의 폭과 길이는 대부분 2장의 천정재(6) 폭과 길이에 맞게 제작되어 있으므로 비록 그 길이가 T10 또는 T8 규격의 형광램프 길이보 다 작은 T5 규격의 형광램프(5)로 교체 또는 새로이 설치한다 하더라도 천정재(6)의 일부를 막아줄 필요 없게 된다.
즉, T10 또는 T8 규격의 형광램프 길이는 단자핀을 포함하여 전체 길이가 1212mm를 갖고, T5 규격의 형광램프(5) 길이는 단자핀을 포함하여 전체 길이가 1163㎜를 가지므로 이들의 차만을 계산하더라도 49mm를 가지게 되어 만약 T5 규격 형광램프(5) 전용 천정 매립 개방형 형광등기구의 본체(1)를 새로이 제작한다면 T10 또는 T8 규격 형광램프 전용 천정 매립 개방형 형광등기구의 본체 길이보다 적어도 49mm가 작게 되어 기존의 T10 또는 T8 규격 형광램프 전용 천정 매립 개방형 형광등기구가 설치된 천정 부위에 새로이 제작한 T5 규격 형광램프(5) 전용 천정 매립 개방형 형광등기구의 본체(1)를 설치한다면 상기 본체(1)의 일측부와 천정재(6) 사이에서 적어도 49mm의 틈새가 발생되므로 이들 틈새를 해당 폭에 맞게 절단한 천정재나 별도로 형성한 마감재 등으로 막아주어야만 되어 그만큼 경제적 손실과 이들의 설치에 따른 인건비 등이 불필요하게 들게 될 뿐만 아니라 기존의 T10 또는 T8 규격 형광램프 전용 천정 매립 개방형 형광등기구의 본체를 제거하여 버림에 따른 자원낭비 요인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반사갓(3) 역시 T5 규격 형광램프(5)에 맞게 제작하여 교체할 필요가 없으므로 전술한 요인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T5 규격의 형광램프(5)는 전술한 바와 같이 T10 또는 T8 규격의 형광램프(5')와 그 길이 뿐만 아니라 단자핀들의 폭도 서로 상이하므로 상기 본체(1)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 또는 두 쌍의 소켓 고정편(11)에 각각 결합되는 소켓(4)들의 형상 역시 기존의 T10 또는 T8 규격 형광램프 전용 소켓(4')과 달라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T5 규격 형광램프(5) 전용 소켓(4)을 고정부와 단자핀 결합부 수직방향으로 일자 형상을 갖는 종래 T10 또는 T8 규격 형광램프 전용 소켓(4')과 달리 도 3과 같이 상기 고정부(41)와 단자핀 결합부(43) 사이에 T10 또는 T8 규격의 형광램프와 T5 규격 형광램프(5)들간의 길이 차에 대하여 각각 1/2 길이만큼 내측으로 더 돌출되는 경사돌부(42)를 더 형성하여 각각 본체(1)의 양측 소켓 고정부(41)에 결합되는 한 쌍의 소켓(4) 사이 거리 즉, 각각의 소켓(4)에 형성된 단자핀 결합부(43)들 사이의 거리가 직경은 16㎜이고 소비전력이 28W이며 단자핀(51)을 포함하여 전체 길이가 1163㎜인 T5 규격의 형광램프(5) 길이와 같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소켓(4)의 고정부(41) 전,후면에는 상기 본체(1)의 소켓 고정편(11)에 형성된 안치홈(12)의 전,후단부 일부가 끼워져 걸려지는 슬라이드형 삽입홈(411)이 형성된 형태를 가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부(41)의 상면 일측 중앙에는 상기 소켓 고정편(11)의 안치홈(12)으로부터 일정거리를 두고 천공된 걸림공(13)에 도 4 및 도 6과 같이 탄력적으로 끼워져 걸려지는 탄성 걸림고리(412)를 더 형성시켜 주었다.
따라서, 상기 본체(1)의 소켓 고정편(11)에 고정부(41)가 결합된 소켓(4)들이 걸림공(13)에 걸려진 탄성 걸림고리(412)의 걸림 작용에 의해 소켓 고정편(11)의 안치홈(12) 내에서 유동되지 않게 됨은 물론 형광램프(5)의 설치시 소켓(4)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각각의 소켓(4)이 형광램프(5)와 반대 측인 외측으로 회전하려는 모멘트를 상기 탄성 걸림고리(412)가 모멘트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탄력을 주어 상쇄시켜 주게 되므로 형광램프(5)의 단자핀(51)들이 도시 생략한 소켓(4) 내 전원단자들이 항상 정확히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의 소켓(4) 단자핀 결합부(43) 위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와 단자핀 결합부 수직방향으로 일자 형상을 갖는 종래 T10 또는 T8 규격 형광램프 전용 소켓과 달리 상기 고정부(41)와 단자핀 결합부(43) 사이에 T10 또는 T8 규격의 형광램프와 T5 규격 형광램프(5)들간의 길이 차에 대하여 각각 1/2 길이만큼 내측으로 더 돌출되는 경사돌부(42)를 더 형성시켜 줌으로써, 두 개의 소켓(4)을 서로 대향되게 하여 각각 본체(1)의 양측 소켓 고정부(41)에 결합하였을 때 각각의 소켓(4)에 형성된 단자핀 결합부(43)의 자유 단면이 상기 고정부(41)와 단자핀 결합부(43) 사이에 형성된 경사돌부(42)들에 의해 T10 또는 T8 규격의 형광램프와 T5 규격 형광램프(5)들간의 길이 차만큼 내측으로 이동된 형태를 가지게 된다.
즉, 상기 본체(1)의 양측부에 고정 설치된 한 쌍의 소켓(4)에 각각 형성된 단자핀 결합부(43)들 사이의 거리가 도 9와 같이 직경은 16㎜이고 소비전력이 28W이며 단자핀(51)을 포함하여 전체 길이가 1163㎜인 T5 규격의 형광램프(5) 길이와 같게 되므로 T10 또는 T8 규격의 형광램프 전용으로 제작된 본체(1)와 반사갓(3)을 갖는 형광등기구에 T5 규격의 형광램프(5)도 결합하여 조명기구로써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와 같은 구성의 소켓(4)을 본체(1)의 소켓 고정편(11)에 결합시키 고, 이들 소켓(4) 사이에 T5 규격의 형광램프(5)를 결합시켜 조명기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안정기(2) 역시 T5 규격용 형광램프에 맞게 설계 제조된 것을 사용하여야 만 한다.
한편, 상기 T5 규격의 형광램프(5)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소켓(4)의 단자핀 결합부(43)에는 종래 T10 또는 T8 규격의 형광램프 전용 소켓(4')과 마찬가지로 램프 결합부에 단자핀(51) 삽입용 구멍을 천공하여 결합해도 무방하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소켓(4)의 단자핀 결합부(43)에 지지구(433)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구(433) 내에는 T5 규격 형광램프(5)의 단자핀(51)이 저부로부터 끼워질 수 있는 핀 삽입홈(431)을 구비한 회전형 램프 고정구(432)를 설치하여 주었다.
따라서, 상기 소켓(4) 사이에 T5 규격의 형광램프(5)를 결합할 때 도 7과 같이 상기 회전형 램프 고정구(432)의 핀 삽입홈(431)을 통해 단자핀(51)을 끼워진 상태에서 T5 규격의 형광램프(5)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주면 상기 형광램프(5)와 함께 회전형 램프 고정구(432)가 지지구(433) 내에서 회전되므로 상기 형광램프(5)의 단자핀(51)이 회전형 램프 고정구(432)의 핀 삽입홈(431)에 끼워진 상태에서 저면부가 도 7과 같이 걸려진 형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형광램프(5)가 소켓(4)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단자핀 결합부(43)에 설치된 회전형 램프 고정구(432) 지지구(433)가 도 3 및 도 4와 같이 고정된 형태를 갖는 두 개의 소켓(4)을 본체(1)의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하고, 이들 소켓(4) 사이에 T5 규격의 형광램프(5)를 결합시킨다면 상기 소켓(4)들의 단자핀 결합부(43)에 설치된 지지구(433)의 회전형 램프 고정구(432)에 결합된 형광램프(5)의 단자핀(51)들은 단순히 회전형 램프 고정구(432)의 핀 삽입홈(431)에 끼워진 형태를 갖게 되므로 만약 한 쌍의 소켓(4) 중 어느 한 소켓이라도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외측으로 기울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어 단자핀 결합부(43) 사이의 거리가 T5 규격의 형광램프(5) 길이보다 넓게 형성될 경우 형광램프(5)의 단자핀(51)들과 도시 생략된 해당 소켓 내 전원단자 간의 접촉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형광램프에 전원전압이 공급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소켓(4) 중 어느 일측 소켓(4)의 단자핀 결합부(43)에 설치되는 지지구(433)를 도 5 및 도 6과 같이 단자핀 결합부(43)의 내부로부터 일정거리 이내에서 출입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지지구(433)의 배면과 단자핀 결합부(43)의 내면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434)을 설치하였다.
이와 같이 상기 소켓(4)의 단자핀 결합부(43)에 설치되는 지지구(433)를 코일 스프링(434)의 탄발력을 받으며 단자핀 결합부(43)의 내부로부터 일정거리 이내에서 출입이 가능하게 설치하게 되면 상기 지지구(433)가 도 6 및 도 8과 같이 단자핀 결합부(43)에서 코일 스프링(434)의 탄발력에 의해 외부로 돌출된 형태를 갖고 T5 규격의 형광램프(5)를 타측의 소켓(4) 측으로 밀어주는 형태를 갖게 되므로 비록 두 소켓(4)의 단자핀 결합부(43) 사이의 거리가 T5 규격의 형광램프(5) 길이보다 어느 정도 넓게 형성되었다 할지라도 코일 스프링(434)의 탄발력을 받으며 단자핀 결합부(43)의 내부로부터 일정거리만큼 돌출된 형태를 갖는 지지구(433)에 의해 그 거리가 상쇄됨은 물론 코일 스프링(434)의 탄발력을 받는 지지구(433)의 압지력에 의해 형광램프(5)의 단자핀(51)들과 도시 생략된 해당 소켓 내 전원단자 간 의 접촉이 정확히 이루어진 형태를 갖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두 소켓(4)의 단자핀 결합부(43) 사이의 거리가 T5 규격의 형광램프(5) 길이보다 약간 좁게 설치되었다 하더라도 T5 규격의 형광램프(5)를 이들 소겟(4) 사이에 결합할 때 일측 소켓(4)의 단자핀 결합부(43)에 설치되어 잇는 상기 지지구(433)가 도 8과 같이 탄성 스프링(434)의 탄발력을 받으며 단자핀 결합부(43) 내부로부터 일정거리만큼 삽입되므로 T5 규격의 형광램프(5)의 설치가 가능함은 물론 코일 스프링(434)의 탄발력을 받는 지지구(433)의 압지력에 의해 형광램프(5)의 단자핀(51)들과 도시 생략된 해당 소켓 내 전원단자 간의 접촉이 정확히 이루어진 형태를 갖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형광등기구에 의하면, 일반 사무실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T10(직경 32㎜, 40W) 또는 T8(직경 26㎜, 32W) 규격의 형광램프만 설치가 가능한 매입 개방형 형광등기구의 구성품들에 대한 어떠한 변경도 없이 고정부와 단자핀 결합부 사이에 경사돌부가 구비됨으로 인해 단자핀 결합부의 위치가 T5 규격의 형광램프에 맞게 내측으로 이동된 형태를 갖는 소켓 및 T5 규격 형광램프용 안정기의 교환만으로 초절전형이면서 휘도 및 조도가 T10 또는 T8 규격 의 형광램프 보다 좋고 발광효율도 좋으며 수명도 긴 T5(직경 16㎜, 28W, 단자핀을 포함한 전체 길이 1163mm)의 형광램프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첫째 형광등기구의 본체 및 반사갓을 포함하여 천정재 등과 같은 시설의 교체나 보수작업 등과 같은 별도의 시설 변경이 필요 없게 되어 형광램프의 규격 변화에 따른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둘째 기존 자원의 재활용을 통해 불필요한 경제적 손실과 환경오염을 배제 및 방지할 수 있으며, 셋째 형광램프의 설치 및 교환에 따른 작업성이 매우 좋고, 넷째 T5 규격의 형광램프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발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형광램프의 수명 연장과 더불어 절전효과를 크게 얻을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안정기와 본체, 소켓, 반사갓 및 형광램프로 구성되어 실내의 천정재 사이에 매립 설치되는 매입 개방형 형광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소켓을,
    전,후면에는 상기 본체의 소켓 고정편에 형성된 안치홈의 전,후단부 일부가 끼워져 걸려지는 슬라이드형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면 일측 중앙에는 상기 소켓 고정편의 걸림공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걸려짐과 동시에 소켓 자체가 외측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모멘트를 상쇄하여 주는 탄성 걸림고리가 돌출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면 저부에서 T10 또는 T8 규격의 형광램프와 T5 규격 형광램프들간 길이 차의 1/2 길이만큼 내측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어 단자핀 결합부가 T10 또는 T8 규격 형광램프용 소켓의 단자핀 결합부보다 내측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경사돌부와;
    상기 경사돌부의 단부에서 직하방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T5 규격의 형광램프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단자핀 결합부;로 구성하여,
    상기 본체의 소켓 고정편에 각각 결합되는 각 쌍의 소켓들 사이의 거리가 직경 16㎜이고 소비전력이 28W인 T5 규격의 형광램프 길이와 같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켓의 단자핀 결합부는 T5 규격 형광램프의 단자핀이 저부로부터 끼워질 수 있는 핀 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핀 삽입홈을 통해 단자핀이 끼워진 상태에서 T5 규격의 형광램프가 어느 한 방향으로 90도 회전되면 상기 형광램프와 함께 지지구 내에서 회전되며 형광램프 자체가 핀 삽입홈에 끼워진 단자핀의 걸림 작용에 의해 소켓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회전형 램프 고정구를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소켓의 단자핀 결합부에 설치되는 지지구는 단자핀 결합부의 내부로부터 일정거리 이내에서 출입이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지지구의 배면과 단자핀 결합부의 내면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을 설치하여 상기 지지구가 단자핀 결합부에서 코일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외부로 돌출되며 T5 규격의 형광램프를 타측의 소켓 측으로 밀어주는 형태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정기는 T5 규격의 형광램프용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기구.
KR1020070028147A 2007-03-22 2007-03-22 형광등기구 KR100734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147A KR100734510B1 (ko) 2007-03-22 2007-03-22 형광등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147A KR100734510B1 (ko) 2007-03-22 2007-03-22 형광등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4510B1 true KR100734510B1 (ko) 2007-07-03

Family

ID=38502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8147A KR100734510B1 (ko) 2007-03-22 2007-03-22 형광등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451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0849A2 (en) * 2007-08-03 2009-02-12 Michael Stenback Fluorescent light fixture
KR20160065422A (ko) 2014-11-29 2016-06-09 김민수 슬라이드 식 형광등 소켓
CN108204560A (zh) * 2017-11-17 2018-06-26 广州市双聚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安装便捷稳定的led灯具
CN108224282A (zh) * 2017-11-17 2018-06-29 广州市双聚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稳定安装的led灯具
KR101993840B1 (ko) * 2019-02-15 2019-06-28 (주)에이엠테크 바타입 led 램프용 소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8161A (ja) 2004-03-22 2005-09-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器具
KR200397428Y1 (ko) 2005-07-14 2005-10-04 방종현 슬림형 형광등기구의 소켓 장착구조
JP2005293872A (ja) 2004-03-31 2005-10-20 Mitsubishi Electric Corp ランプソケット及び照明器具
KR100654954B1 (ko) 2006-08-23 2006-12-06 금정엔지니어링(주) 공동주택 내 형광등형 조명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8161A (ja) 2004-03-22 2005-09-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器具
JP2005293872A (ja) 2004-03-31 2005-10-20 Mitsubishi Electric Corp ランプソケット及び照明器具
KR200397428Y1 (ko) 2005-07-14 2005-10-04 방종현 슬림형 형광등기구의 소켓 장착구조
KR100654954B1 (ko) 2006-08-23 2006-12-06 금정엔지니어링(주) 공동주택 내 형광등형 조명기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0849A2 (en) * 2007-08-03 2009-02-12 Michael Stenback Fluorescent light fixture
WO2009020849A3 (en) * 2007-08-03 2009-04-02 Michael Stenback Fluorescent light fixture
US7604379B2 (en) 2007-08-03 2009-10-20 Alumalight, L.L.C. Fluorescent light fixture
KR20160065422A (ko) 2014-11-29 2016-06-09 김민수 슬라이드 식 형광등 소켓
CN108204560A (zh) * 2017-11-17 2018-06-26 广州市双聚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安装便捷稳定的led灯具
CN108224282A (zh) * 2017-11-17 2018-06-29 广州市双聚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稳定安装的led灯具
KR101993840B1 (ko) * 2019-02-15 2019-06-28 (주)에이엠테크 바타입 led 램프용 소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2005B2 (en) Method and assembly for replacing fluorescent lights
KR100821975B1 (ko) 안정기를 갖는 형광등 소켓에 사용할 수 있는 led조명등
US7905626B2 (en) Modular lighting apparatus
KR100734510B1 (ko) 형광등기구
US8427060B2 (en) High lumen output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KR200449665Y1 (ko) 엘이디 조명등
RU240094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рматуры люминесцентных ламп
US20040090778A1 (en) Fluorescent lamp frame
US20090021940A1 (en) Retrofit with a fluorescent based lighting assembly
KR200484106Y1 (ko) 조명등기구 고정장치
KR200465183Y1 (ko) 형광등 소켓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형광등 기구
US6789919B2 (en) Circular fluorescent lamp unit and lighting apparatus
KR101004357B1 (ko) 무전극 가로등기구
KR200431610Y1 (ko) 형광등용 어댑터
JP2005108677A (ja) 照明器具
KR200264630Y1 (ko) 실내 조명장치
KR200216980Y1 (ko) 전구식 형광램프
KR101535969B1 (ko) 반사갓을 구비하는 무전극 램프 조립체
KR200201180Y1 (ko) 형광등의 스타터 소켓
KR200230781Y1 (ko) 매입형 삼파장 형광등용 조명장치
CN101635240B (zh) 无极灯的泡壳与泡壳座连接结构
KR100665477B1 (ko) 직관형 음이온 발생 형광등
CN202165870U (zh) 无极灯
KR200388036Y1 (ko) 직관형 음이온 발생 형광등
KR100721917B1 (ko) 열수축 튜브를 이용한 원통형 무전극 형광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