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4363B1 - Indoor Unit for Air-conditioner - Google Patents

Indoor Unit for Air-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4363B1
KR100734363B1 KR1020050124478A KR20050124478A KR100734363B1 KR 100734363 B1 KR100734363 B1 KR 100734363B1 KR 1020050124478 A KR1020050124478 A KR 1020050124478A KR 20050124478 A KR20050124478 A KR 20050124478A KR 100734363 B1 KR100734363 B1 KR 100734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
indoor
main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44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63993A (en
Inventor
천만호
조민철
김영훈
신수연
김범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4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4363B1/en
Publication of KR20070063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39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3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 시스템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공기조화 시스템의 실내기는, 외부의 공조장치와 연결된 덕트로부터 공조된 공기가 흡입되는 외기흡입구와,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실내토출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외기흡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댐퍼와; 상기 캐비닛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유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를 상기 송풍유닛을 포함하는 주송풍유로와, 상기 주송풍유로의 양측에 분리되게 구획되는 바이패스유로로 분할하는 유동분리판과; 상기 주송풍유로와 실내토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주송풍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는 토출측 필터와; 상기 주송풍유로와 각 바이패스유로의 토출측 끝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토출측 필터의 양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주송풍유로와 상기 바이패스유로의 토출측 끝단부의 일부가 상호 연통되도록 형상을 갖는 필터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wherei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door air intake port through which air conditioned air is sucked from a duct connected to an external air conditioning device, and an indoor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into the air is discharged. A cabinet formed therein; A dampe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outside air inlet; A blow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cabinet to forcibly blow air; A fluid separation plate for dividing the inside of the cabinet into a main flow path including the blower unit and a bypass flow path partitioned on both sides of the main flow path; A discharge-side filter installed between the main air supply passage and the indoor discharge port to filter foreign matter from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main air supply passage; A filter guide disposed between the main air supply passage and the discharge end of each of the bypass passages to support both ends of the discharge side filter, and a filter guide having a shape such that a part of the main end air passage and the discharge end of the bypass passag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바이패스유로를 통해 토출될 공기의 일부가 토출측 필터 쪽으로 유동하여 주송풍유로로 분산되어 토출되므로 캐비닛의 실내토출구의 중앙부 및 양측부를 통해 대체로 균일한 유속으로 공기가 토출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art of the air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bypass flow flows toward the discharge side filter and is dispersed and discharged into the main air flow passage, air is discharged at a substantially uniform flow rate through the center and both sides of the indoor discharge port of the cabinet. .

공기조화 시스템, 실내기, 필터, 필터가이드 Air Conditioning System, Indoor Unit, Filter, Filter Guide

Description

공기조화 시스템의 실내기{Indoor Unit for Air-conditioner}In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이 실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doors

도 2는 도 1의 공기조화 시스템에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의 일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mbodiment of an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the air conditioning system of FIG.

도 3은 도 2의 실내기에서 댐퍼 어셈블리가 분리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amper assembly separated from the indoor unit of FIG. 2;

도 4는 도 2의 실내기의 프론트그릴을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4 is a plan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front grill of the indoor unit of FIG. 2 is removed;

도 5는 도 2의 실내기의 요부 종단면도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main parts of the indoor unit of FIG. 2;

도 6은 도 2의 실내기에 적용된 필터가이드의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guide applied to the indoor unit of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실내 공조장치 200 : 실외기 100: indoor air conditioner 200: outdoor unit

300 : 덕트부 400 : 실내기300: duct 400: indoor unit

410 : 캐비닛 411 : 외기흡입구410: cabinet 411: outside air intake

415 : 가이드플레이트 417 : 체결홀415: guide plate 417: fastening hole

421 : 주송풍유로 422 : 바이패스유로421: Main transport wind flow path 422: Bypass flow path

430 : 송풍팬 435 : 팬모터430: blowing fan 435: fan motor

450 : 구획판 460 : 프론트그릴450: partition plate 460: front grill

461 : 실내흡입구 462 : 실내토출구461: indoor suction 462: indoor discharge

470 : 흡입측 필터 480 : 토출측 필터470: suction side filter 480: discharge side filter

490 : 보조 필터 500 : 댐퍼 어셈블리490: secondary filter 500: damper assembly

600 : 확장덕트 620 : 격벽600: expansion duct 620: bulkhead

700 : 필터가이드 710 : 가이드홈700: filter guide 710: guide groove

720 : 보조 가이드홈 720: auxiliary guide groove

본 발명은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의 냉, 난방 기능과 더불어 실내의 환기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공기조화 시스템에 있어서, 별도의 실내 공조장치에 의해 공조된 공기를 공급받아 실내로 송풍하는 기능을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ing system capable of selectively performing indoor cooling and heating functions as well as indoor ventilation function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that functions to blow air into a room.

일반적으로 공기조화 시스템은 주거공간, 식당, 도서관, 또는 사무실 등과 같은 실내 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 시키는 기능을 한다.In general, an air conditioning system functions to cool or heat an indoor space such as a living space, a restaurant, a library, or an office.

이를 위하여, 일반적인 공기조화 시스템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그리고 증발기를 구비하고, 상기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그리고 증발기를 지나는 냉매의 상변화에 의해 실내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한다.To this end, a general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es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device, and an evaporator, and cools or heats indoor air by a phase change of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compressor, the condenser, the expansion device, and the evaporator.

이러한 공기조화 시스템은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로 구성되는 일체형 공기조화 시스템과, 실외기와 실내기가 각각 별도로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 화 시스템으로 대별된다. Such an air conditioning system is roughly classified into an integrated air conditioning system in which an outdoor unit and an indoor unit are integrated, and a separate air conditioning system in which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are separately installed.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 시스템은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기와,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외기가 하나의 케이스 내부에 통합 설치되는 구조로서, 주로 창문에 설치된다. The integrated air conditioning system is a structure in which an indoor unit for heat exchange with indoor air and an outdoor unit for heat exchange with outdoor air are integrally installed in one case, and are mainly installed in a window.

그리고,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 시스템은,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기가 실내의 벽 또는 천장에 부착되고, 실외공기와 열교환하는 실외기는 상기 실내기와 별개로 구성되어 아파트의 베란다나 건물 외벽에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separate air conditioning system, the indoor unit heat exchange with the indoor air is attached to the wall or ceiling of the room, the outdoor unit heat exchanger with the outdoor air is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indoor unit is installed on the balcony of the apartment or building outer wall.

그런데, 상술한 일반적인 공기조화 시스템들은 단순히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구조로 구성되는데, 근래에는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기 위하여, 실내의 냉, 난방 기능과 더불어 환기기능을 겸비한 공기조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By the way, the above-mentioned general air conditioning systems are configured to simply cool or heat the room while circulating the indoor air. Recently, in order to maintain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air having both a cooling function and a heating function of the room and a ventilation function are provided. Development of a harmonized system is required.

이에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2005-9667호(2005년 2월 2일 출원)에 냉,난방 기능과 함께 환기 기능을 겸비한 '공기조화 시스템'을 출원한 바 있다. 상기 공기조화 시스템은 하나의 실내 공조장치(일명 하이브리드 실내기라 함)에서 환기 및 열교환을 수행하고, 이 실내 공조장치에 덕트를 매개로 연결된 여러개의 서브 실내기(일명 팬파워유닛이라 함)에 공급함으로써 실내 냉난방 및 환기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this regard, the present applicant has filed an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a cooling and heating function and a ventilation function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5-9667 (filed February 2, 2005). The air conditioning system performs ventilation and heat exchange in one indoor air conditioner (also called a hybrid indoor unit), and supplies the same to a plurality of sub indoor units (also called fan power units) connected to the indoor air conditioner via a duct. The indoor air conditioning and ventilation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그런데,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 시스템의 서브 실내기는 실내로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므로 공조되지 않은 공기가 실내기로 유입되어 공조된 공기와 혼합될 경우 공조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However, since the sub-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discharges air that is air-conditioned into the room, the air-conditioning efficiency may be deteriorated when air that is not air-conditioned enters the indoor unit and is mixed with the air-conditioned air.

또한, 상기 실내기의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이 토출구 전부분에 걸쳐 균일하지 못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공조된 공기의 공급량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없고, 심할 경우 사용자에게 불괘감을 유발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flow rate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of the indoor unit is not uniform over the entire discharge port, the user may not accurately recognize the supply amount of the air-conditioning, and if severe, it may cause annoyance to the user.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기를 통해 공기가 배출될 때 공조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실내기의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토출구 전부분에 걸쳐 균일하게 할 수 있는 공기조화 시스템의 실내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meet the above requirement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air conditioning efficiency is lowered when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indoor unit, and the flow rate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of the indoor uni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that can uniformize the entire discharge por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의 공조장치와 연결된 덕트로부터 공조된 공기가 흡입되는 외기흡입구와,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실내토출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유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상기 외기흡입구로부터 상기 송풍유닛 및 상기 실내토출구을 연결하도록 구획된 주송풍유로와; 상기 캐비닛 내부에 상기 주송풍유로와 분리되게 구획되는 적어도 1개의 바이패스유로와; 상기 주송풍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는 토출측 필터와; 상기 주송풍유로와 상기 바이패스유로의 토출측 끝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토출측 필터의 양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주송풍유로와 상기 바이패스유로의 토출측 끝단부의 일부가 상호 연통되도록 형상을 갖는 필터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outside air intake air intake air from the duct connected to the external air conditioning device is suction, and the cabinet is formed with an indoor discharge port for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A blow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cabinet to forcibly blow air; A main air supply flow passage partitioned to connect the air blowing unit and the indoor air outlet from the outside air inlet to the inside of the cabinet; At least one bypass flow passage divided into the main air supply passage within the cabinet; A discharge-side filter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main air supply passage; A filter guide disposed between the main air supply passage and the discharge end of the bypass passage to support both ends of the discharge side filter and having a shape such that a portion of the main end air passage and the discharge end of the bypass passag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t provides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본 발명의 다른 한 형태에 따르면, 외부의 공조장치와 연결된 덕트로부터 공조된 공기가 흡입되는 외기흡입구와,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실내토출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외기흡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댐퍼와; 상기 캐비닛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유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를 상기 송풍유닛을 포함하는 주송풍유로와, 상기 주송풍유로의 양측에 분리되게 구획되는 바이패스유로로 분할하는 유동분리판과; 상기 주송풍유로와 실내토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주송풍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는 토출측 필터와; 상기 주송풍유로와 각 바이패스유로의 토출측 끝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토출측 필터의 양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주송풍유로와 상기 바이패스유로의 토출측 끝단부의 일부가 상호 연통되도록 형상을 갖는 필터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binet is provided with an outside air suction port through which air that is air-conditioned from a duct connected to an external air conditioner, and an indoor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into the air is discharged; A dampe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outside air inlet; A blow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cabinet to forcibly blow air; A fluid separation plate for dividing the inside of the cabinet into a main flow path including the blower unit and a bypass flow path partitioned on both sides of the main flow path; A discharge-side filter installed between the main air supply passage and the indoor discharge port to filter foreign matter from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main air supply passage; A filter guide disposed between the main air supply passage and the discharge end of each of the bypass passages to support both ends of the discharge side filter, and a filter guide having a shape such that a part of the main end air passage and the discharge end of the bypass passag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t provides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바이패스유로를 통해 토출될 공기의 일부가 토출측 필터 쪽으로 유동하여 주송풍유로로 분산되어 토출되므로 캐비닛의 실내토출구의 중앙부 및 양측부를 통해 대체로 균일한 유속으로 공기가 토출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art of the air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bypass flow flows toward the discharge side filter and is dispersed and discharged into the main air flow passage, air is discharged at a substantially uniform flow rate through the center and both sides of the indoor discharge port of the cabinet.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실내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First, to assist in understanding the present invention, an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 1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은,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실 내 공조유닛(100)(hybrid unit)과, 실외 공기와 열교환 하는 실외기(200)와, 상기 실내 공조유닛(100)으로부터 제공되는 공기를 각 실내로 공급하는 복수개의 실내기(400)와, 상기 실내 공조유닛(100)에 연결되어 공기를 안내하는 덕트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Figure 1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oor air conditioning unit 100 (hybrid unit)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of the air supplied to the indoor and outdoor An outdoor unit 200 for heat exchange with air, a plurality of indoor units 400 for supplying air provided from the indoor air conditioning unit 100 to each room, and a duct connected to the indoor air conditioning unit 100 to guide the ai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ortion (300).

상기 실내 공조유닛(100)은 열교환 기능 및 환기 기능을 겸비한 실내기로서, 내부에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열교환기(미도시)와, 환기시 실내로 공급되는 실외공기와 실외로 배출되는 실내공기를 상호 열교환시켜 열손실을 최소화하는 재생열교환기(미도시), 실내 및/또는 실외 공기를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기(미도시) 등이 구비된다.The indoor air conditioning unit 100 is an indoor unit having a heat exchange function and a ventilation function, a heat exchanger (not shown) for cooling or heating the ai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room, and the outdoor air supplied to the interior during ventilation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Regeneration heat exchanger (not shown) for minimizing heat loss by mutual heat exchange between the indoor air, a blower (not shown) for forcibly blowing the indoor and / or outdoor air is provided.

이러한 기능을 하는 실내 공조유닛(100)은, 실내의 천장이나 벽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실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베란다의 천장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door air conditioning unit 100 having such a function may be installed on the ceiling or the wall of the room, but is preferably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veranda in order to effectively utilize the indoor space.

그리고, 상기 실외기(200)는 건물의 외벽 또는 베란다에 설치되며, 냉매를 압축시켜 토출하는 압축기와,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와, 실외 공기와 상기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송풍기 등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outdoor unit 200 is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r the veranda of the building, the compressor compresses and discharges the refrigerant, a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heat with the outdoor air, and the flow of air to increas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the outdoor air and the heat exchanger. A blower and the like forcing the same are provided.

다음으로, 상기 덕트부(300)는, 실내의 공기를 상기 실내 공조유닛(100)으로 안내하고, 상기 실내 공조유닛(100)으로부터 각 개별 실내기(400)로 공기를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Next, the duct unit 300 guides the indoor air to the indoor air conditioning unit 100 and functions to guide the air from the indoor air conditioning unit 100 to each individual indoor unit 400.

이를 위하여, 상기 덕트부(300)는, 상기 실내 공조유닛(100)으로부터 실내 기(400)로 공급되는 공기를 실내로 안내하는 제 1덕트(310)와, 실내의 공기를 상기 실내 공조유닛(100)으로 안내하는 제 2덕트(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o this end, the duct unit 300, the first duct 310 for guiding the air supplied from the indoor air conditioning unit 100 to the indoor unit 400 to the room, and indoor air to the indoor air conditioning unit ( And a second duct 320 leading to 100.

여기서, 상기 덕트부(300)를 구성하는 각 덕트(310, 320)는, 실내의 천장에 내설되며, 열손실을 최소화하는 이중관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each of the ducts 310 and 320 constituting the duct 300 is built in the ceiling of the room, it is preferable that the double pipe structure to minimize the heat loss.

상기 실내기(400)는 일명 팬파워유닛(fan power unit)으로 불리워지며, 열교환 및 환기 기능을 겸비한 실내 공조유닛(100)과 다르게 실질적으로 공기의 열교환 기능은 수행하지 않고 공기를 송풍시키는 기능만 갖도록 구성된다. The indoor unit 400 is called a fan power unit, and unlike the indoor air conditioning unit 100 having a heat exchange and a ventilation function, the indoor unit 400 does not substantially perform a heat exchange function of air so as to have only a function of blowing air. It is composed.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실내기(4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Figures 2 to 6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indoor unit 400 as follows.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실내기(400)는 천장이나 벽면 등 실내의 내벽에 매설되는 캐비닛(410)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송풍팬(430)과, 상기 송풍팬들을 구동하는 팬모터(4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송풍팬(430)들은 하나의 팬모터(435)에 의해 동기적으로 구동하나, 이와 다르게 각각이 개별 팬모터에 의해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도 있을 것이다. 2 to 5, the indoor unit 400 includes a cabinet 410 embedded in an inner wall of a room such as a ceiling or a wall, a pair of blowing fans 430 installed inside the cabinet, It comprises a fan motor 435 for driving the blowing fans. In this embodiment, the blower fans 430 are synchronously driven by one fan motor 435, but alternatively, each of the blower fans 430 may be independently driven by individual fan motors.

상기 캐비닛(410)은 저면이 개방된 사각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면부에는 상기 실내 공조유닛(100)에서 공기조화된 공기가 흡입되는 외기흡입구(411)가 형성되며, 타측부의 개방된 부분에 공기가 토출되는 실내토출구(412)가 형성된다.The cabinet 410 is form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box with an open bottom, and one side portion is formed with an outside air suction port 411 through which the air-conditioned air is sucked from the indoor air conditioning unit 100, and an open portion of the other side. An indoor discharge port 412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is formed.

상기 캐비닛 내부에는 상기 외기흡입구(411)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중앙의 송풍팬(430)과 양측면부로 분할하여 토출시키기 위한 유동분리판(413)이 구비된다.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유동분리판(413)에 의해 구획되는 송풍팬(430)이 설치된 영 역을 주송풍유로(421)로 명하고, 그 외측에 구획되는 캐비닛 양측의 영역을 바이패스유로(422)로 명하여 설명한다. Inside the cabinet, a flow separation plate 413 is provided for dividing and discharging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ir inlet 411 into a central blowing fan 430 and both side portions.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a region in which the blowing fan 430 partitioned by the flow separating plate 413 is installed is referred to as the main air blowing passage 421, and an area of both sides of the cabinet partitioned outside the bypass passage 422 is provided. Explain with command.

상기 유동분리판(413)의 일면에는 상기 각 송풍팬(43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토출되도록 토출공(414)이 형성된다. Discharge holes 414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low separating plate 413 to discharge the air blown by the blowing fans 430.

상기 주송풍유로(421)와 실내토출구(412) 사이 및, 바이패스유로(422)와 실내토출구(412) 사이에는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토출측 필터(480) 및 보조 필터(490)가 각각 설치된다. A discharge side filter 480 and an auxiliary filter 490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from the discharged air between the main air blowing passage 421 and the indoor discharge port 412 and between the bypass passage 422 and the indoor discharge port 412. Are respectively installed.

상기 토출측 필터(480) 및 보조 필터(490)는 상기 주송풍유로(421)와 바이패스유로(422)의 토출측 단부에 설치되는 필터가이드(700)에 의해 고정되게 지지된다. 상기 토출측 필터(480)는 상기 토출공(414)의 바로 전면부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The discharge side filter 480 and the auxiliary filter 490 are fixedly supported by the filter guide 700 provided at the discharge side ends of the main air flow passage 421 and the bypass passage 422. The discharge side filter 480 is install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charge hole 414.

상기 토출측 필터(480) 및 보조 필터(490)가 필터가이드(700)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는 도 6을 참조하여 아래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structure in which the discharge side filter 480 and the auxiliary filter 490 are supported by the filter guide 7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6.

한편, 상기 캐비닛(410)의 외기흡입구(411)에는 이 외기흡입구를 통한 공기량을 조절하는 댐퍼 어셈블리(50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댐퍼 어셈블리(500)의 후방에는 제 1덕트(310)(도 1참조)와 연결되는 확장덕트(600)가 설치된다. On the other hand, a damper assembly 500 for controlling the air amount through the outside air suction port 411 of the cabinet 410 is installed. In addition, an extension duct 600 connected to the first duct 310 (see FIG. 1)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damper assembly 500.

상기 확장덕트(600)의 내측에는 상기 캐비닛(410)의 주송풍유로(421)와 바이패스유로(422)로 공기의 유동을 분리하여 공급하기 위한 2개의 격벽(620)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 1덕트(31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확장덕트(620)를 지나면서 상기 주송풍유로(421)와 바이패스유로(422)로 분리되어 안내된다.Two barrier ribs 620 are formed inside the expansion duct 600 to separate and supply air flow into the main air supply passage 421 and the bypass passage 422 of the cabinet 410. Therefore, the air supplied from the first duct 310 is separated and guided into the main air supply passage 421 and the bypass passage 422 while passing through the expansion duct 620.

한편, 상기 캐비닛(410)의 개방된 저면부에는 상기 유동분리판(413)과 함께 상기 주송풍유로(421)와 바이패스유로(422)를 분리시키는 구획판(450)이 결합되며, 이 구획판(450)의 외측에 실내흡입구(461)와 실내토출구(462)가 형성된 프론트그릴(460)이 캐비닛(410)에 결합된다. On the other hand, the open bottom portion of the cabinet 410 is coupled to the partition plate 450 separating the main air flow passage 421 and the bypass passage 422 together with the flow separating plate 413, this compartment The front grill 460 formed with the indoor suction port 461 and the indoor discharge port 462 on the outside of the plate 450 is coupled to the cabinet 410.

상기 구획판(450)의 중앙부에는 상기 송풍팬(430)이 설치된 영역, 즉 주송풍유로(421)와 연통하는 개구부(451)가 형성되어 있다. An opening 451 is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partition plate 450 to communicate with a region in which the blowing fan 430 is installed, that is, the main air flow passage 421.

상기 프론트그릴(460)의 실내토출구(462)에는 토출측 루버(46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토출측 루버(463)는 프론트그릴(460)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스텝모터(미도시)에 의해 원하는 각도로 회전하면서 실내토출구(462)의 개도를 조절한다.The discharge side louver 463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indoor discharge port 462 of the front grill 460. The discharge side louver 463 adjusts the opening degree of the indoor discharge port 462 while rotating at a desired angle by a step motor (not shown)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ront grill 460.

그리고, 상기 프론트그릴(460)의 중앙부에는 상기 구획판(450)의 개구부(451)와 상응하여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에는 상기 실내흡입구(461)를 통해 상기 구획판(450)의 개구부(451)로 유입되는 실내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는 흡입측 필터(470)가 설치된다. In addition, an opening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grill 460 to correspond to the opening 451 of the partition plate 450, and the opening of the partition plate 450 is formed through the indoor suction port 461. A suction side filter 470 is installed to filter foreign matter from the indoor air flowing into the opening 451.

상기 흡입측 필터(470)는 상기 프론트그릴(460)의 개구부의 양측에 'ㄱ'자 형태로 형성된 가이드부(465)에 슬라이딩되면서 착탈된다. The suction side filter 470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guide part 465 formed in a '-' shape at both sides of the opening of the front grill 460.

또한, 상기 프론트그릴(460)에는 상기 흡입측 필터(470)를 개방 및 은폐하기 위한 커버(46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커버(464)는 프론트그릴(460)의 양측 테두리 부분에 결합되는 힌지축(미도시)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흡입측 필터(470)를 개방 및 은폐시킨다. In addition, the front grill 460 is rotatably provided with a cover 464 for opening and hiding the suction side filter 470. The cover 464 rotates around a hinge axis (not shown) coupled to both edge portions of the front grill 460 to open and hide the suction filter 470.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가이드(700)는 대략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토출측 필터(480)가 설치되어 있는 주송풍유로(421)의 토출측 단부와 상기 바이패스유로(422)의 토출측 단부를 상호 연통시킨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 6, the filter guide 70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triangular shape, the discharge side end of the main air supply passage 421, the discharge side filter 480 is installed and the discharge side of the bypass flow path 422 The end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그리고, 필터가이드(700)에는 상기 토출측 필터(480)의 양측 단부가 슬라이딩되면서 삽입되는 가이드홈(710)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guide 700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710 which is inserted while sliding both ends of the discharge side filter 480.

또한, 상기 유동분리판(413)과 접하는 필터가이드(700)의 일측 변부에는 상기 보조 필터(490)의 일측 변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보조 가이드홈(720)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 필터(490)의 다른 일측 변부는 캐비닛(410)의 내측면에 별도로 형성된 보조 필터가이드(750)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물론, 상기와 같이 보조 필터가이드(750)를 만들지 않고, 캐비닛(410)의 내측에 여러개의 리브를 절곡되게 형성시켜 보조 필터(490)의 다른 일측 변부를 고정되게 지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an auxiliary guide groove 72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ilter guide 700 in contact with the flow separating plate 413 so that one side of the auxiliary filter 490 is inserted and supported. The other side of the auxiliary filter 490 is inserted into and supported by the auxiliary filter guide 750 formed separately on the inner side of the cabinet 410. Of course, without forming the auxiliary filter guide 750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a plurality of ribs in the interior of the cabinet 410 may be fixed to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auxiliary filter 490.

상기 가이드홈(710)과 보조 가이드홈(720)은 필터가이드(700)의 반대편에도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필터가이드(700)를 좌우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guide groove 710 and the auxiliary guide groove 720 is preferably formed to be symmetrical to the opposite side of the filter guide 700, which is to enable the filter guide 700 to be used for both sides.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내기(4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4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사용자가 외부에서 유,무선 리모콘 등으로 공기조화 시스템의 운전을 개시하면, 실외기(200) 및 실내 공조유닛(100)이 동작하여 제 1덕트(310)를 통해 실내기(400) 쪽으로 열교환된 공기가 공급되기 시작한다. When the user starts to operate the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a wired or wireless remote controller from the outside, the outdoor unit 200 and the indoor air conditioning unit 100 is operated to heat the heat exchanged toward the indoor unit 400 through the first duct 310 It begins to be supplied.

이와 함께, 상기 실내기(400)의 댐퍼 어셈블리(500)의 스텝모터(550)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제 1,2베인(521, 522)이 소정 각도, 예컨대 90도로 회전하여 외기 흡입구(411)가 개방된다. 이와 동시에 토출측 루버(463)를 회동시키는 스텝모터(미도시)에도 전원이 인가되면서 토출측 루버(463)가 회전하여 실내토출구(462)가 개방된다. In addition, while power is applied to the step motor 550 of the damper assembly 500 of the indoor unit 400, the first and second vanes 521 and 522 rotate by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90 degrees, so that the outside air inlet 411 is rotated. Open. At the same time, power is also applied to the step motor (not shown) that rotates the discharge side louver 463, and the discharge side louver 463 rotates to open the indoor discharge port 462.

그리고, 송풍팬(430)이 동작하여 상기 제 1덕트(310)를 통해 공급되는 열교환된 공기가 확장덕트(600) 및 외기흡입구(411)를 통해 실내기(400) 내부로 유입된다. 이 때, 상기 제 1덕트(31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는 확장덕트(600)를 지나면서 격벽(620)에 의해 주송풍유로(421)와, 외측의 바이패스유로(422)로 분할되어 유동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blower fan 430 operates so that the heat-exchanged air supplied through the first duct 310 flows into the indoor unit 400 through the expansion duct 600 and the outside air intake 411. At this time,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first duct 310 is divided into the main air flow passage 421 and the outer bypass passage 422 by the partition wall 620 while passing through the expansion duct 600 flows. Done.

중앙의 주송풍유로(421)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는 각각의 송풍팬(430)을 통해 토출공(414)으로 배출된 다음, 토출측 필터(480)를 지나면서 미세먼지와 이물질이 걸러지고, 실내토출구(462)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이와 동시에, 바이패스유로(422)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도 보조 필터(462)를 지나면서 미세먼지 등이 걸러진 다음 실내토출구(462)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The air flowing through the main main air flow passage 421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hole 414 through each blowing fan 430, and then the fine dust and foreign substances are filtered through the discharge side filter 480, the indoor It is discharged to the room through the discharge port 462. At the same time, the air flowing through the bypass passage 422 is also filtered through the auxiliary filter 462, and then discharged to the room through the indoor discharge port 462.

이 때, 상기 주송풍유로(421)의 토출측 끝단부와 바이패스유로(422)의 토출측 끝단부가 필터가이드(700)에 의해 차폐되지 않고 상호 연통되어 있으므로, 바이패스유로(42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일부는 상기 토출측 필터(480) 쪽으로 유동하여 토출측 필터(480)를 통과한 공기가 만나면서 실내토출구(412)를 통해 배출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discharge side end portion of the main air flow passage 421 and the discharge side end portion of the bypass flow passage 422 are not shielded by the filter guide 700 and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A part of the air flows toward the discharge side filter 480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indoor discharge port 412 whil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side filter 480 meets.

즉, 바이패스유로(422)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는 실내토출구(412) 인근에서 중앙쪽으로 분산되어 주송풍유로(421)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와 혼합되어 토출된다. (도 4참조)That is, the air flowing through the bypass passage 422 is dispersed toward the center in the vicinity of the indoor discharge port 412 and mixed with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main air blowing passage 421 to be discharged. (See Fig. 4)

따라서, 상대적으로 좁은 유로 면적을 갖는 바이패스유로(422)와, 상대적으로 넓은 유로 면적을 갖는 주송풍유로(421)를 통해 비교적 균일한 유속으로 공기가 토출된다.Accordingly, air is discharged at a relatively uniform flow rate through the bypass flow passage 422 having a relatively narrow flow passage area and the main air supply flow passage 421 having a relatively wide flow passage area.

만약, 바이패스유로(422)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가 중앙의 주송풍유로(421) 쪽으로 분산되지 않는다면, 상대적으로 면적이 좁은 양측의 바이패스유로(422)를 통해서는 공기의 유속이 빠르고,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중앙의 주송풍유로(421)를 통해서는 공기의 유속이 느리게 될 것이다. 즉, 실내토출구(412)의 양측부에서는 공기가 강하게 토출되지만 중앙부에서는 공기가 약하게 토출될 것이다. If the air flowing through the bypass flow passage 422 is not dispersed toward the main main air flow passage 421, the flow velocity of the air is fast through the bypass flow passage 422 on both sides of a relatively narrow area, and the relative velocity is relatively high. As a result, the flow rate of air will be slow through the main main air blow passage 421 having a large area. That is, air is strongly discharged from both sides of the indoor discharge port 412 but air is weakly discharged from the center portion.

상기와 같이 실내기(400)로 유입되는 공기를 주송풍유로(421)와 바이패스유로(422)로 분할하여 배출시키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송풍팬(430)의 작동시 프론트그릴(460)의 실내흡입구(461)를 통해서도 소량의 공기가 유입되어 외기흡입구(411)를 통해 유입된 공기와 혼합되는데, 이와 같이 실내 공기와 제 1덕트(310)를 통해 유입되는 혼합 공기의 양이 많으면 공조 효율이 저하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air flowing into the indoor unit 400 is divided into the main air supply passage 421 and the bypass passage 422 for discharge as follows. When the blower fan 430 is operated, a small amount of air is also introduced through the indoor suction port 461 of the front grill 460 and mixed with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external air suction port 411. Thus, the indoor air and the first duct ( If the amount of mixed air introduced through 310 is large, the air conditioning efficiency is lowered.

따라서, 전술한 것과 같이 바이패스유로(422)를 두게 되면, 적어도 바이패스유로(422)를 지나는 공기는 실내 공기와 혼합되지 않기 때문에 공조 효율의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bypass passage 422 is provided as described above, at leas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bypass passage 422 is not mixed with the indoor air, thereby minimizing the decrease in the air conditioning efficiency.

한편, 본 발명의 공기조화 시스템은 제 1덕트(310)를 통한 공기의 공급을 완전히 차단한 상태에서 오직 실내기(400)를 통해서만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는 실내공기 순환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ir conditio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the indoor air circulation mode to circulate the indoor air only through the indoor unit 400 in a state of completely blocking the supply of air through the first duct 310.

이러한 실내공기 순환모드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indoor air circulation mod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사용자가 실내공기 순환모드를 선택하면, 댐퍼 어셈블리(500)의 제 1,2베인(521, 522)이 외기흡입구(411)를 완전히 차단한 상태에서 토출측 루버(463)만 회동하여 실내토출구(462)를 개방시킨다. 이어서, 송풍팬(430)이 동작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프론트그릴(460)의 실내흡입구(461)를 통해 실내의 공기가 유입된다. 유입된 공기는 흡입측 필터(470)를 지나면서 미세먼지와 이물질이 걸러진 다음 주송풍유로(421) 내측으로 유입된 후, 송풍팬(430)을 지나 실내토출구(462)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면서 실내 공기가 순환된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indoor air circulation mode, only the discharge side louver 463 rotates while the first and second vanes 521 and 522 of the damper assembly 500 completely block the outside air intake port 411 to discharge the indoor air outlet 462. Open). Subsequently, the blowing fan 430 is operated, and thus indoor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indoor suction port 461 of the front grill 460. As the introduced air passes through the suction side filter 470, fine dust and foreign matter are filtered out, and then flows into the main air blowing passage 421, and then is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the blowing fan 430 through the indoor discharge port 462. Indoor air circulates.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와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된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but may vary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덕트를 통해 실내기로 공급되는 공기는 캐비닛의 주송풍유로와 바이패스유로로 분할되어 유동하게 되는데, 이 때 바이패스유로를 통해 토출될 공기의 일부가 토출측 필터 쪽으로 유동하여 주송풍유로로 분산되어 토출되므로 캐비닛의 실내토출구의 중앙부 및 양측부를 통해 대체로 균일한 유속으로 공기가 토출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supplied to the indoor unit through the duct is divided into the main air supply flow passage and the bypass flow passage of the cabinet, and flows, wherein a part of the air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bypass flow passage toward the discharge side filter Since it flows and is distributed to the main air flow path, the air is discharged at a substantially uniform flow rate through the center and both sides of the indoor discharge port of the cabinet.

따라서, 사용자가 어느 위치에 있던지 공기의 토출 정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내기의 양측단부에서만 강한 공기 토출이 이루어짐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불쾌감 등을 없앨 수도 있는 이점이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ct the degree of discharge of the air at any position the user.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discomfort caused by the strong air discharge is made only at both ends of the indoor unit.

Claims (7)

외부의 공조장치와 연결된 덕트로부터 공조된 공기가 흡입되는 외기흡입구와,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실내토출구가 형성된 캐비닛과;An outdoor air intake port through which air conditioned is sucked from a duct connected to an external air conditioner, and a cabinet having an indoor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into the air is discharged; 상기 캐비닛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유닛과;A blow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cabinet to forcibly blow air; 상기 캐비닛 내부에 상기 외기흡입구로부터 상기 송풍유닛 및 상기 실내토출구를 연결하도록 구획된 주송풍유로와;A main air supply flow passage partitioned to connect the air blowing unit and the indoor air outlet from the outside air inlet to the inside of the cabinet; 상기 캐비닛 내부에 상기 주송풍유로와 분리되게 구획되는 적어도 1개의 바이패스유로와;At least one bypass flow passage divided into the main air supply passage within the cabinet; 상기 주송풍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는 토출측 필터와;A discharge-side filter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main air supply passage; 상기 주송풍유로와 상기 바이패스유로의 토출측 끝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토출측 필터의 양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일부가 상기 주송풍유로의 토출측 단부로 유동되도록 하는 필터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A filter disposed between the main end wind flow path and the discharge end of the bypass flow path to support both ends of the discharge side filter, and a portion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bypass flow path to the discharge side end of the main air flow flow path;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a gui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측 필터는 상기 필터가이드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 The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charge side filter is installed at an angle to the filter guid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가이드에 상기 토출측 필터의 양단 부가 슬라이딩되면서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The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system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filter guide to be inserted while sliding both ends of the discharge side filt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유로에 설치되어 바이패스유로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는 보조 필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 The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filter installed in the bypass passage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from air flowing through the bypass passag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필터는 일측부가 상기 필터가이드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타단이 캐비닛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것을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 The indoor unit of claim 4, wherein one side of the auxiliary filter is coupled to and supported by the filter guide, and the other end of the auxiliary filter is coupled to and supported by an inner surface of the cabinet.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가이드에 상기 보조 필터의 일측 변부가 슬라이딩되면서 삽입되는 보조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 The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system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an auxiliary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filter guide while sliding at one side of the auxiliary filter. 외부의 공조장치와 연결된 덕트로부터 공조된 공기가 흡입되는 외기흡입구와,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실내토출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An outdoor air intake port through which air conditioned is sucked from a duct connected to an external air conditioner, and a cabinet having an indoor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into the air is discharged; 상기 캐비닛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유닛과;A blow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cabinet to forcibly blow air; 상기 캐비닛 내부를 상기 송풍유닛을 포함하는 주송풍유로와, 상기 주송풍유로의 양측에 분리되게 구획되는 바이패스유로로 분할하는 유동분리판과;A fluid separation plate for dividing the inside of the cabinet into a main flow path including the blower unit and a bypass flow path partitioned on both sides of the main flow path; 상기 주송풍유로와 실내토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주송풍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는 토출측 필터와;A discharge-side filter installed between the main air supply passage and the indoor discharge port to filter foreign matter from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main air supply passage; 상기 주송풍유로와 각 바이패스유로의 토출측 끝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토출측 필터의 양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일부가 상기 주송풍유로의 토출측 단부로 유동되도록 하는 필터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A filter disposed between the main air flow passage and the discharge end of each bypass flow passage to support both ends of the discharge side filter, and a portion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bypass flow passage to the discharge side end of the main air flow passag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a guide.
KR1020050124478A 2005-12-16 2005-12-16 Indoor Unit for Air-conditioner KR1007343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4478A KR100734363B1 (en) 2005-12-16 2005-12-16 Indoor Unit for Air-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4478A KR100734363B1 (en) 2005-12-16 2005-12-16 Indoor Unit for Air-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3993A KR20070063993A (en) 2007-06-20
KR100734363B1 true KR100734363B1 (en) 2007-07-03

Family

ID=38363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4478A KR100734363B1 (en) 2005-12-16 2005-12-16 Indoor Unit for Air-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436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5624A (en) 1999-07-14 2001-01-30 Nec Corp Fan filter unit
KR200211713Y1 (en) 1998-07-03 2001-11-22 윤종용 Indoor Room for Air Conditioning Equipment
KR200211343Y1 (en) 1998-05-26 2001-11-22 이완근 Ceiling Mixer
KR100481689B1 (en) 2005-01-18 2005-04-11 수공아이엔씨(주) Air duct connection type wind-control device mounted on the roof of clean room
KR20060075197A (en) * 2004-12-28 2006-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1343Y1 (en) 1998-05-26 2001-11-22 이완근 Ceiling Mixer
KR200211713Y1 (en) 1998-07-03 2001-11-22 윤종용 Indoor Room for Air Conditioning Equipment
JP2001025624A (en) 1999-07-14 2001-01-30 Nec Corp Fan filter unit
KR20060075197A (en) * 2004-12-28 2006-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KR100481689B1 (en) 2005-01-18 2005-04-11 수공아이엔씨(주) Air duct connection type wind-control device mounted on the roof of clean ro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3993A (en) 200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8842B1 (en) Air Conditio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65999B1 (en) Duct type air conditioner combined with ventilation
KR100755321B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EP3631307B1 (en) Air conditioner
JP2004012060A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JP6038328B2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KR100722276B1 (en) Air conditioner and Noise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2362390B1 (en) Air conditioner
KR20040017497A (en) Air Conditioner
KR100617103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20170009808A (en) Air Conditio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87066B1 (en)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having it
KR20190079185A (en) Air Conditioner
KR100662384B1 (en) Damper assembly for air-conditioner
KR100672602B1 (en) Indoor heat exchanging unit for air-conditioner
KR101778544B1 (en) Air Conditio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710219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0734363B1 (en) Indoor Unit for Air-conditioner
KR101270610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0617102B1 (en) Heat exchange unit with vent
KR20190012841A (en) Air conditioner
KR101085896B1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734359B1 (en) indoor unit for air-conditioner
KR20070078253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767667B1 (en) Indoor Unit for Air-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