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4312B1 - 다중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4312B1
KR100734312B1 KR1020060012043A KR20060012043A KR100734312B1 KR 100734312 B1 KR100734312 B1 KR 100734312B1 KR 1020060012043 A KR1020060012043 A KR 1020060012043A KR 20060012043 A KR20060012043 A KR 20060012043A KR 100734312 B1 KR100734312 B1 KR 100734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ace
interfaces
sdio
usb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2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덕
김우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2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43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14Protection against unauthorised use of memory or access to memory
    • G06F12/1458Protection against unauthorised use of memory or access to memory by checking the subject access rights
    • G06F12/1483Protection against unauthorised use of memory or access to memory by checking the subject access rights using an access-table, e.g. matrix or li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1Employing a record carrier using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06F2212/214Solid state disk
    • G06F2212/2146Solid state disk being detachable, e.g.. USB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72Details relating to flash memory management
    • G06F2212/7208Multiple device management, e.g. distributing data over multiple flash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 규격을 갖는 복수의 호스트 기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실행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 서로 다른 규격을 갖는 복수개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선택된 단일의 송/수신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실행하는 다중 인터페이스 회로; 및 상기 다중 인터페이스 회로에서 상기 호스트 기기가 접속되는 인터페이스를 검출하여 송/수신용 인터페이스로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송/수신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시키거나 상기 저장 매체에서 읽어낸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호스트 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중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Data storage device for supporting multiple interfa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헤드 디스크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저장 장치인 디스크 드라이브의 전기적인 회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다중 인터페이스 회로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 규격을 갖는 복수의 호스트 기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실행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저장 장치의 하나인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는 변환기(일명 헤드라고도 칭함)에 의해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거나, 디스크에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함으로써 컴퓨터 시스템 운영에 기여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는 점차 고용량화, 고밀도화 및 소형화되면서 퍼스널 컴퓨터의 저장 장치로 이용될 뿐만 아니라 모바일 기기용 저장 장치로도 이용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는 다른 기기와의 접속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 인터페이스 회로를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퍼스널 컴퓨터의 저장 장치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USB I/F(Universal Serial Bus Interface)를 지원하여야 하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모바일 기기의 저장 장치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모바일 기기 전용 인터페이스인 SDIO I/F(Secure Digital I/O Interface)를 지원하여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서 지원하는 인터페이스가 1개이기 때문에 USB I/F만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PC에는 사용할 수 있으나 모바일 기기에는 접속할 수 없으며, 또한 모바일 기기용 I/F(SDIO I/F)를 지원하는 경우에는 모바일 기기에는 접속이 가능하나 PC에는 별도의 컨버터를 사용하지 않고는 접속할 수 없었다.
즉,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단일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외장형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단독으로 모바일 기기 및 PC에 호환성 있게 접속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데이터 저장 장치 자체에 모바일 기기용 인터페이스 및 PC용 인터페이스를 복수로 지원하고, 접속된 기기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를 자동적으로 선택하여 동작시키도록 제어하는 다중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 서로 다른 규격을 갖는 복수개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선택된 단일의 송/수신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실행하는 다중 인터페이스 회로; 및 상기 다중 인터페이스 회로에서 상기 호스트 기기가 접속되는 인터페이스를 검출하여 송/수신용 인터페이스로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송/수신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시키거나 상기 저장 매체에서 읽어낸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호스트 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위의 다중 인터페이스 회로는 USB 단자; SDIO 단자; 상기 USB 단자와 접속되어 USB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에 따라서 상기 USB 단자에 접속된 퍼스널 컴퓨터와의 초기화 프로세스 및 데이터 송/수신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USB 인터페이스; 상기 SDIO 단자와 접속되어 SDIO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에 따라서 상기 SDIO 단자에 접속된 모바일 기기와의 초기화 프로세스 및 데이터 송/수신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SDIO 인터페이스; 및 상기 USB 인터페이스 및 상기 SDIO 인터페이스 중에서 인에이블된 인터페이스를 선택하여, 상기 저장 매체에 기록할 데이터를 전달하거나 상기 저장 매체로부터 읽어낸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인터페이스에 전달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제어 방법은 복수개의 인터페이스를 내장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복수개의 인터페이스 중에서 순차적으로 하나의 인터페이스만을 인에이블시키고, 나머지 인터페이스들은 디스에이블시키는 단계; (b) 상기 단계(a)에서 인에이블된 인터페이스가 호스트 기기와의 초기화 시퀀스를 성공적으로 완료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b)의 판단 결과 상기 초기화 시퀀스를 성공적으로 완료하지 못한 경우에는 단계(a)로 피드백되고, 상기 초기화 시퀀스를 성공적으로 완료한 경우에는 현재 인에이블된 인터페이스를 송/수신용 인터페이스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인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는 기구적인 부품들로 구성된 HDA(Head Disk Assembly)와 전기 회로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HDA(Head Disk Assembly; 10)의 구성을 보여준다.
헤드 디스크 어셈블리(10)는 스핀들 모터(14)에 의하여 회전되는 적어도 하 나의 자기 디스크(12)를 포함하고 있다. 디스크 드라이브는 디스크(12) 표면에 인접되게 위치한 변환기(16)를 또한 포함하고 있다.
변환기(16)는 각각의 디스크(12)의 자계를 감지하고 자화시킴으로써 회전하는 디스크(12)에서 정보를 읽거나 기록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변환기(16)는 각 디스크(12) 표면에 대면되어 있다. 비록 단일의 변환기(16)로 도시되어 설명되어 있지만, 이는 디스크(12)를 자화시키기 위한 기록용 변환기와 디스크(12)의 자계를 감지하기 위한 분리된 읽기용 변환기로 이루어져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읽기용 변환기는 자기 저항(MR : Magneto-Resistive) 소자로부터 구성되어 진다. 변환기(16)는 통상적으로 헤드(Head)라 칭해지기도 한다.
변환기(16)는 슬라이더(20)에 통합되어 질 수 있다. 슬라이더(20)는 변환기(16)와 디스크(12) 표면사이에 공기 베어링(air bearing)을 생성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슬라이더(20)는 헤드 짐벌 어셈블리(22)에 결합되어 있다. 헤드 짐벌 어셈블리(22)는 보이스 코일(26)을 갖는 액츄에이터 암(24)에 부착되어 있다. 보이스 코일(26)은 보이스 코일 모터(VCM : Voice Coil Motor 30)를 특정하는 마그네틱 어셈블리(28)에 인접되게 위치하고 있다. 보이스 코일(26)에 공급되는 전류는 베어링 어셈블리(32)에 대하여 액츄에이터 암(24)을 회전시키는 토오크를 발생시킨다. 액츄에이터 암(24)의 회전은 디스크(12) 표면을 가로질러 변환기(16)를 이동시킬 것이다.
정보는 전형적으로 디스크(12)의 데이터 존의 환상 트랙 내에 저장된다. 각 트랙(34)은 일반적으로 복수의 섹터를 포함하고 있다. 각 섹터는 데이터 필드(data field)와 식별 필드(identification field)를 포함하고 있다. 식별 필드는 섹터 및 트랙(실린더)을 식별하는 그레이 코드(Gray code)로 구성되어 있다. 변환기(16)는 다른 트랙에 있는 정보를 읽거나 기록하기 위하여 디스크(12) 표면을 가로질러 이동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인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제어할 수 있는 전기 시스템(40)을 보여준다. 전기 시스템(40)은 프리 앰프(46), 리드/라이트(R/W) 채널 회로(44), 컨트롤러(42), VCM 구동부(48), ROM(50), RAM(52) 및 다중 인터페이스 회로(54)를 포함하고 있다.
컨트롤러(42)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 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등이 될 수 있다. 컨트롤러(42)는 다중 인터페이스 회로(54)를 통하여 호스트 기기(PC 또는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커맨드(command)에 따라서 디스크(12)로부터 정보를 읽거나 또는 디스크(12)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하여 리드/라이트 채널 회로(44)를 제어한다.
그리고, 컨트롤러(42)는 보이스 코일(26)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VCM(Voice Coil Motor) 구동부(48)에 또한 결합되어 있다. 컨트롤러(42)는 변환기(16)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하여 VCM 구동부(48)로 제어신호를 공급한다.
ROM(50)에는 디스크 드라이브를 제어하는 펌웨어 및 각종 제어 데이터들이 저장되어 있다. 물론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들도 저장되어 있다.
RAM(52)에는 디스크 드라이브에 전원이 공급되면 디스크(12)의 메인터넌스 실린더(Maintenance Cylinder) 위치에서 읽어낸 디스크 드라이브 정보들이 로딩된다.
우선, 일반적인 디스크 드라이브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데이터 읽기(Read) 모드에서, 디스크 드라이브는 디스크(12)로부터 변환기(16)에 의하여 감지된 전기적인 신호를 프리 앰프(46)에서 고정된 이득 값에 의하여 증폭시킨다. 그리고 나서, 리드/라이트 채널 회로(44)에서는 컨트롤러(42)에서 생성되는 섹터 펄스에 따라서 디스크(12)로부터 읽어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 후에 RLL 복호 처리한다. RLL 복호 처리된 데이터는 컨트롤러(42)에서 일 예로서 에러 정정 처리를 실행한 후에, 스트림 데이터로 변환하여 다중 인터페이스 회로(54)에서 선택된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호스트 기기로 전송된다.
다음으로 쓰기(Write) 모드에서, 디스크 드라이브는 다중 인터페이스 회로(54)에서 선택된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호스트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컨트롤러(42)에서 에러 정정용 패리티 심볼을 부가하고, 리드/라이트 채널 회로(44)에 의하여 기록 채널에 적합하도록 RLL 부호화 처리한 후에 섹터 펄스가 발생되는 시점에 프리 앰프(46)에 의하여 증폭된 기록 전류로 변환기(16)를 통하여 디스크(12)에 기록시킨다.
그러면, 다중 인터페이스 회로(54)의 동작에 대하여 도 3의 상세 구성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다중 인터페이스 회로(54)를 구성하는 서로 다른 규격을 갖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로 USB 인터페이스(Universal Serial Bus Interface)와 SDIO 인터페이스(Secure Digital Input/Output Interface)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규격의 다른 인터페이스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인터페이스 회로(54)는 USB 단자(54-1), USB 인터페이스(54-2), SDIO 단자(54-3), SDIO 인터페이스(54-4) 및 스위칭부(54-5)로 구성된다.
USB 단자(54-1) 및 SDIO 단자(54-3)의 핀(PIN) 사양은 각각의 인터페이스 규격에 따라 설정되어 있으며, USB 단자(54-1)와 SDIO 단자(54-3)는 서로 호환성이 없으며, 각각 상이한 규격의 핀 사양을 갖는다.
USB 인터페이스(54-2)는 퍼스널 컴퓨터 접속용 인터페이스로서, USB 단자(54-1)와 접속되며 USB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에 따라서 USB 단자(54-1)에 접속된 퍼스널 컴퓨터와의 초기화 프로세스 및 데이터 송/수신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SDIO 인터페이스(54-4)는 모바일 기기 접속용 인터페이스로서, SDIO 단자(54-3)와 접속되어 SDIO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에 따라서 SDIO 단자(54-3)에 접속된 모바일 기기와의 초기화 프로세스 및 데이터 송/수신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스위칭부(54-5)는 USB 인터페이스(54-2) 및 SDIO 인터페이스(54-4) 중에서 인에이블된 인터페이스를 선택하여 리드/라이트 채널 회로(44)로 디스크(12)에 기록할 데이터를 전달하거나 또는 디스크(12)로부터 읽어낸 데이터를 선택된 인터페이스에 전달하도록 컨트롤러(42)에서 생성되는 제어신호(S/W CTL)에 의하여 스위칭 된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컨트롤러(42)에 의하여 다중 인터페이스 회로(54)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컨트롤러(42)는 디스크 드라이브에 전원이 공급되어 POWER ON 상태로 천이되는지를 판단한다(S401). 디스크 드라이브가 POWER ON 상태가 되면 디스크 드라이브가 초기화되고, 호스트 기기로부터 커맨드를 받을 준비를 완료한다.
단계401(S401)의 판단 결과 POWER ON 상태로 천이되면, 컨트롤러(42)는 SDIO 인터페이스(54-4)를 인에이블(enable)시키고, USB 인터페이스(54-2)는 디스에이블(disable)시킨다(S402). 물론 이 경우에 컨트롤러(42)는 인에이블된 SDIO 인터페이스(54-4)와 리드/라이트 채널 회로(44)가 연결되도록 스위칭부(54-5)로 제어신호(S/W CTL)를 출력한다.
그리고 나서, 컨트롤러(42)는 모바일 기기가 SDIO 단자(54-3)를 통해서 SDIO 인터페이스(54-4)에 접속되어 있는지를 일정 시간(T1) 동안 모니터링한다(S403). 여기서, 일정 시간(T1)은 SDIO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에 따른 초기화 프로세스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시간보다 길게 설정한다. 일 예로서, T1=200 msec로 설정할 수 있다.
SDIO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에 따른 초기화 프로세스 실행 과정에서 호스트 기기(모바일 기기)는 SDIO 인터페이스(54-4)로 초기화 명령 CMD5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서, 컨트롤러(42)는 SDIO 인터페이스(54-4)에서 초기화 명령 CMD5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한다(S404).
단계404(S404)의 판단 결과 초기화 명령 CMD5가 검출되는 경우에는 SDIO 인터페이스(54-4)에 모바일 기기가 성공적으로 접속된 것을 의미함으로, 컨트롤러(42)는 SDIO 인터페이스(54-4)를 디스크 드라이브의 송/수신용 인터페이스로 결정한다(S405). 이에 따라서, 디스크 드라이브는 인에이블된 SDIO 인터페이스(54-4)를 통하여 모바일 기기와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게 된다.
만일, 단계404(S404)의 판단 결과 T1 시간 동안에 초기화 명령 CMD5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컨트롤러(42)는 SDIO 인터페이스(54-4)를 디스에이블(disable)시키고, USB 인터페이스(54-2)는 인에이블(enable)시킨다(S406). 물론 이 경우에 컨트롤러(42)는 인에이블된 USB 인터페이스(54-2)와 리드/라이트 채널 회로(44)가 연결되도록 스위칭부(54-5)로 제어신호(S/W CTL)를 출력한다.
그리고 나서, 컨트롤러(42)는 호스트 기기(퍼스널 컴퓨터)가 USB 단자(54-1)를 통해서 USB 인터페이스(54-2)에 접속되어 있는지를 일정 시간(T2) 동안 모니터링한다(S407). 여기서, 일정 시간(T2)은 USB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에 따른 초기화 프로세스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시간보다 길게 설정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T1과 T2를 동일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USB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에 따른 초기화 프로세스 실행 과정에서 호스트 기기(퍼스널 컴퓨터)는 USB 인터페이스(54-2)로 RESET 신호와 JK 시퀀스(sequence)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서, 컨트롤러(42)는 USB 인터페이스(54-2)에서 RESET 신호와 JK 시퀀스(sequence)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한다(S408).
만일, 단계408(S408)의 판단 결과 USB 인터페이스(54-2)에서 RESET 신호와 JK 시퀀스(sequence)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402(S402)로 피드백(feedback)된다.
그리고, 단계408(S408)의 판단 결과 USB 인터페이스(54-2)에서 RESET 신호와 JK 시퀀스(sequence)가 검출되는 경우에는 USB 인터페이스(54-2)에 퍼스널 컴퓨터가 성공적으로 접속된 것을 의미함으로, 컨트롤러(42)는 USB 인터페이스(54-2)를 디스크 드라이브의 송/수신용 인터페이스로 결정한다(S409). 이에 따라서, 디스크 드라이브는 인에이블된 USB 인터페이스(54-2)를 통하여 호스트 기기(퍼스널 컴퓨터)와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디스크 드라이브는 POWER ON 시에 다중 인터페이스 회로(54)에 내장된 복수의 인터페이스 중에서 디스크 드라이브에 접속된 호스트 기기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를 자동으로 검출하여 송/수신용 인터페이스로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인터페이스 회로를 내장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는 인터페이스 호환을 위한 별도의 컨버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퍼스널 컴퓨터 및 모바일 기기의 저장 장치로 이용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방법, 장치, 시스템 등으로서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연적으로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질 수 있으며 또는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 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는 정보를 저장 또는 전송할 수 있는 어떠한 매체도 포함한다.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의 예로는 전자 회로, 반도체 메모리 소자, ROM, 플레쉬 메모리, 이레이져블 ROM(EROM : Erasable ROM), 플로피 디스크, 광 디스크, 하드디스크, 광 섬유 매체, 무선 주파수(RF) 망, 등이 있다. 컴퓨터 데이터 신호는 전자 망 채널, 광 섬유, 공기, 전자계, RF 망, 등과 같은 전송 매체 위로 전파될 수 있는 어떠한 신호도 포함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어 설명된 특정의 실시 예들은 단지 본 발명의 예로서 이해되어 지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본 발명에 기술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도 다양한 다른 변경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보여지거나 기술된 특정의 구성 및 배열로 제한되지 않는 것은 자명하다. 즉, 본 발명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포함하는 각종 디스크 드라이브에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저장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한 사실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저장 장치에 규격이 상이한 복수개의 인터페이스를 내장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인터페이스 호환을 위한 별도의 컨버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퍼스널 컴퓨터 및 모바일 기기의 저장 장치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뿐만 아니라 접속되는 호스트 기기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를 자동으로 검출함으로써, 인터페이스 선택을 위하여 점퍼(jumper) 등을 이용한 사용자 설정이 필 요 없게 되어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발생된다.

Claims (7)

  1.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
    서로 다른 규격을 갖는 복수개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선택된 단일의 송/수신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실행하는 다중 인터페이스 회로; 및
    상기 다중 인터페이스 회로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인터페이스 중에서 초기 설정된 순서에 근거하여 순차적으로 하나의 인터페이스만을 인에이블시키고 나머지 인터페이스들을 디스에이블시킨 후에, 인에이블된 인터페이스에서 소정의 시간 내에 초기화 시퀀스에 상응하는 신호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초기화 시퀀스에 상응하는 신호가 검출되는 인터페이스를 송/수신용 인터페이스로 결정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SDIO(Secure Digital Input/Output) 인터페이스 및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인터페이스 회로는
    USB 단자;
    SDIO 단자;
    상기 USB 단자와 접속되어 USB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에 따라서 상기 USB 단자에 접속된 퍼스널 컴퓨터와의 초기화 프로세스 및 데이터 송/수신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USB 인터페이스;
    상기 SDIO 단자와 접속되어 SDIO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에 따라서 상기 SDIO 단자에 접속된 모바일 기기와의 초기화 프로세스 및 데이터 송/수신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SDIO 인터페이스; 및
    상기 USB 인터페이스 및 상기 SDIO 인터페이스 중에서 인에이블된 인터페이스를 선택하여, 상기 저장 매체에 기록할 데이터를 전달하거나 상기 저장 매체로부터 읽어낸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인터페이스에 전달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5. 복수개의 인터페이스를 내장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복수개의 인터페이스 중에서 순차적으로 하나의 인터페이스만을 인에이블시키고, 나머지 인터페이스들은 디스에이블시키는 단계;
    (b) 상기 단계(a)에서 인에이블된 인터페이스가 호스트 기기와의 초기화 시 퀀스를 성공적으로 완료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b)의 판단 결과 상기 초기화 시퀀스를 성공적으로 완료하지 못한 경우에는 단계(a)로 피드백되고, 상기 초기화 시퀀스를 성공적으로 완료한 경우에는 현재 인에이블된 인터페이스를 송/수신용 인터페이스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는 상기 인에이블된 인터페이스에서 초기화 시퀀스에 관련된 정보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하여 호스트 기기와의 초기화 시퀀스 성공 여부를 판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제어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SDIO(Secure Digital Input/Output) 인터페이스 및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제어 방법.
KR1020060012043A 2006-02-08 2006-02-08 다중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34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043A KR100734312B1 (ko) 2006-02-08 2006-02-08 다중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043A KR100734312B1 (ko) 2006-02-08 2006-02-08 다중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4312B1 true KR100734312B1 (ko) 2007-07-02

Family

ID=38502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2043A KR100734312B1 (ko) 2006-02-08 2006-02-08 다중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431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770Y1 (ko) 2001-02-21 2001-07-19 주식회사 새로텍 다수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외장형 저장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770Y1 (ko) 2001-02-21 2001-07-19 주식회사 새로텍 다수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외장형 저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8421B1 (en) Multi-cell disk drive test system providing a power recovery mode
US7200698B1 (en) Disk drive and method for data transfer initiated by optional disk-drive commands on a serial interface that only supports standard disk-drive commands
JP2007066126A (ja) データ記憶装置のテスト方法及びデータ記憶装置の製造方法
US7058759B1 (en) Configuring a disk drive to support a targeted storage format
KR100532501B1 (ko)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서의 자동 데이터 업데이트 방법 및이를 이용한 디스크 드라이브
KR100265283B1 (ko) 무선 단말기의 핸즈프리 장치 및 방법
US8289015B2 (en) Apparatus and test method for a head assembly in a depopulated configuration
KR100564573B1 (ko)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보호 방법 및 이를이용한 디스크 드라이브
US20110113284A1 (en) Read retry method and apparatuses capable of performing the read retry method
KR100734312B1 (ko) 다중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335048B2 (en) Method of managing defect and apparatuses using the same
KR20110083352A (ko)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과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들
US11455225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infrared light-emitting diode for data transmission
US8279547B2 (en) Method of setting zone layout of recording medium, and apparatus using method
KR100524989B1 (ko)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서의 리트라이 개선 방법 및 이를이용한 디스크 드라이브
KR100585098B1 (ko) 적응적 리트라이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크 드라이브
KR20080083526A (ko) 인터페이스 변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 장치
KR100594264B1 (ko)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서의 리트라이 제어 방법 및 이를이용한 디스크 드라이브
KR100604832B1 (ko) 데이터 저장 장치에서의 마스터/슬레이브 설정 방법 및이를 이용한 디스크 드라이브
KR20110111607A (ko) 하드디스크 컨트롤러, 이를 포함하는 장치들, 및 상기 하드디스크 컨트롤러의 언로드 대기시간 제어방법
US76638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pying data from one disc drive to another disc drive
JP2005116159A (ja) ディスクドライブのトラックゼロ決定/適用方法及びそれを利用したディスクドライブ
KR100660896B1 (ko) 벤더 특정 명령 실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크 드라이브
KR100652392B1 (ko) 시리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전원 장치
KR100660842B1 (ko)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채널 파라메터 최적화 방법 및이에 적합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