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4070B1 - 식용 색소를 함유하는 나노 혼성 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식용 색소를 함유하는 나노 혼성 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4070B1
KR100734070B1 KR1020020084934A KR20020084934A KR100734070B1 KR 100734070 B1 KR100734070 B1 KR 100734070B1 KR 1020020084934 A KR1020020084934 A KR 1020020084934A KR 20020084934 A KR20020084934 A KR 20020084934A KR 100734070 B1 KR100734070 B1 KR 100734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yellow
blue
food coloring
lay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4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8599A (ko
Inventor
최진호
김윤경
오제민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to KR1020020084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4070B1/ko
Publication of KR20040058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8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3/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B82B3/0095Manufacture or treatments or nanostructur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82B3/0009 - B82B3/00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ounds Of Alkaline-Earth Elements, Aluminum Or Rare-Earth Metals (AREA)

Abstract

적색40호, 황색5호 또는 청색1호와 같은 식용 색소와 층상 금속 수산화물(예: 금속 이중층 수산화물)의 나노 혼성 물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용 색소를 함유하는 나노 혼성 물질은 인체에 무해하고, 150℃ 이상의 고온에서도 안전하게 색소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식용 색소와 층상 금속 수산화물의 나노 혼성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층상 금속 수산화물의 금속 출발 물질과 식용 색소 사이의 침전 반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용 색소, 금속 이중층 수산화물, 나노 혼성 물질

Description

식용 색소를 함유하는 나노 혼성 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Nanohybrid Materials Containing Food Dyes, And Processes For Prepar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용 색소와 금속 이중층 수산화물(LDH)의 나노 혼성 물질에 대한 X-선 회절도로서, (a)는 NO3-LDH, (b)는 적색 40호-LDH, (c)는 황색 5호-LDH, (d)는 청색 1호-LDH를 나타낸다.
도 2는 식용 색소 및 본 발명에 따른 나노 혼성 물질의 적외선 분광 스펙트럼으로서, (a-1)은 적색 40호-LDH, (a-2)는 적색 40호, (b-1)은 황색 5호-LDH, (b-2)는 황색 5호, (c-1)은 청색 1호-LDH, (c-2)는 청색 1호를 나타낸다.
도 3은 식용 색소 및 본 발명에 따른 나노 혼성 물질의 자외선-가시광선 흡수 스펙트럼으로서, (a-1)은 적색 40호-LDH, (a-2)는 적색 40호, (b-1)은 황색 5호-LDH, (b-2)는 황색 5호, (c-1)은 청색 1호-LDH, (c-2)는 청색 1호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나노 혼성 물질의 열분석 결과로서, (a)는 적색 40호-LDH, (b)는 황색 5호-LDH, (c)는 청색 1호-LDH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나노 혼성 물질의 개략적인 모식도로서, (a)는 적색 40호-LDH, (b)는 황색 5호-LDH, (c)는 청색 1호-LDH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식용 색소를 함유하는 나노 혼성 물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열적 안정성 및 색상 선명도가 우수한 식용 색소와 층상 무기 물질의 나노 혼성 물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색에 대한 감각은 의식주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식품을 가공하거나 조리하는데 있어서는 원료가 원래 지니고 있는 색깔의 유지가 매우 중요하지만 이것이 유지 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뒤따를 경우가 있다. 이런 때에는 색소를 약간 첨가하여 식품에 대한 시각을 끌게 하고 식욕을 돋구게 하므로서 제품에 대한 가치와 질을 높여 줄 수 있다. 식품 뿐만 아니라 우리의 인체에 직접 적용되는 많은 일용품과 의약품에도 식용 색소의 필요성이 인식되면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제품들을 제조 가공하는 과정에서는 150℃ 이상의 고온 처리가 필요한 경우가 많지만, 일반적으로 유기물 색소의 경우, 고온에서 색이 옅어지거나 변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온에서도 식용 색소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식용 색소 함유 나노 혼성 물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식용 색소 함유 나노 혼성 물질을 경제적이고 효과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의 달성을 위해 연구 노력한 결과, 본 발명자들은 식용 색소와 층상 금속 수산화물의 나노 혼성 물질이 고온에서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층상 금속 수산화물"은 약염기성 또는 중성의 무기 화합물로서 인체에는 무해한 물질이다. 또한, 층상 금속 수산화물은 결정 구조가 층상형이며 특이한 층간 반응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음이온 교환능(anion exchange capacity)이 있어 식용 색소 중에서도 음이온성 성분의 안정화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층상 금속 수산화물은 바람직하게는 금속 이중 수산염 (Hydroxy double salts; HDS) 또는 금속 이중층 수산화물(Layered double hydroxides; LDHs)이다. 금속 이중 수산염 중에는 히드로진사이트 (Zn5(OH)6(CO3)2 .nH2O) 또는 아연 염기성 염(Zinc basic salts; Zn5(OH)8Cl2 .nH2O) 형태의 결정 구조를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금속 이중층 수산화물은 [M(II)1-xM(III)x(OH)2]x+(An- x/n).mH 2O(여기서, M(II)는 Zn(II), Mg(II), Ca(II), Fe(II) 등 2가 금속 양이온을 나타내고, M(III)은 Al(III), Fe(III), Cr(III), Co(III) 등 3가 금속 양이온을 나타내며, A는 음이온을 나타낸다)의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로서, 예 를 들면 히드로탈사이트가 있다. 이들 화합물의 경우 그 원인은 다르나 공통적으로 수산화물층이 양전하를 띠고 있어 이를 보상하기 위해 층간 음이온이 존재하며 이 층간 음이온은 다른 음이온종으로 치환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이들 화합물은 음으로 하전된 무기 이온, 유기 이온 또는 생분자들을 층간에 안정화 시킬 수 있는 특징을 나타낸다.
임의의 식용 색소를 본 발명에 따른 나노 혼성 물질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특히 바람직한 식용 색소는 적색40호, 황색5호, 청색1호, 적색2호, 적색102호, 적색106호, 녹색3호, 황색4호, 청색2호 등과 같이 음이온을 갖는 식용 색소들이다. 이 중, 더욱 바람직한 것은 적색40호, 황색5호 또는 청색1호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식용 색소와 층상 금속 수산화물의 나노 혼성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 혼성 물질을 제조하는 한가지 방법은 공침법 (coprecipitation)으로서, 이 방법은 층상 무기 물질의 금속 출발 물질과 식용 색소 사이의 침전 반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층상 금속 수산화물의 경우, 금속 출발 물질로는 사용 용매에서의 용해도가 높고, 염기를 첨가하는 경우 층상 금속 수산화물 형태의 침전을 효과적으로 생성시킬 수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금속 탄산화물, 금속 염화물, 금속 질산화물, 유기 금속염(예: 초산염, 옥살산염, 구연산염) 등의 금속염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금속염의 예를 들면 ZnCl2, Zn(NO3)3, Zn(CH3 COO)2, MgCl2, AlCl3, CaCl2 또는 이들의 수화물이 있다.
공침법에서 사용하는 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알코올로는 에탄올이 바람직하다. 공침법에서 금속 이온의 농도는 예를 들면 0.01 몰 내지 5 몰이고, 식용 색소 성분의 양은 금속 성분의 전체 몰수를 기준으로 예를 들면 0.1 배 내지 10 배의 몰비를 사용한다. 침전 반응시, 필요에 따라 염기를 가하여 침전을 유도할 수 있다. 적합한 염기로는 예를 들면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아민을 들 수 있다. 반응 용액의 pH는 4 내지 11, 바람직하게는 6 내지 8 정도이고, 반응 온도는 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이다. 반응 시간은 30분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응 중에는 질소 및 기타 불활성 기체를 연속 투입하고 차광하여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식용 색소와 층상 무기 물질의 나노 혼성 물질을 제조하는 또다른 방법은 이온교환법으로서, 이 방법은 미리 입수 또는 제조된 층상 무기 물질과 식용 색소 사이의 이온교환 반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침법에서는 출발 무기 물질로부터 식용 색소와의 침전 반응을 통해 층상형 나노 혼성 물질을 얻는 반면, 이온교환법은 층상 무기 물질을 미리 입수 또는 제조한 후, 이 층상 무기 물질과 식용 색소의 이온교환 반응을 통해 나노 혼성 물질을 얻는다는 데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온교환법은 공침법에 비해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으나 상기한 공침법으로 나노 혼성 물질의 제조가 불가능한 경우나 공침 반응시 사용되는 화학 물질에 의한 식용 색소의 파괴 등의 문제가 발생하 는 경우의 대안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제조 방법이다.
층상 금속 수산화물의 경우, 상기한 층상 금속 수산화물의 출발 물질을 염기성 용액 중에서 반응시켜 이온교환 반응에 사용되는 층상 무기 물질을 제조할 수 있다. 층상 무기 물질과 식용 색소의 이온교환 반응의 조건은 상기한 공침 반응의 조건과 거의 유사하나 불순물이 없는 생성물을 얻기 위해서는 반복적인 반응이 요구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용 색소와 층상 금속 수산화물의 나노 혼성 물질을 제조하는 또다른 방법은 흡착법으로서, 이 방법은 층상 금속 수산화물의 출발 물질을 유기산 또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공침 반응시켜 유기-무기 층상 혼성 물질을 제조한 후, 식용 색소를 가하여 흡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흡착법의 경우, 유기-무기 층상 혼성 물질을 제조할 때는 층상 금속 수산화물의 표면에 소수 특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유기산 또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같은 적절한 유기 물질이 도입되도록 해야 한다. 유기산의 예를 들면 시트르산, 스테아르산, 숙신산, 토코페롤 산 숙시네이트 등이 있고,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에는 도데실술페이트 등이 포함된다. 그 외 조건들은 이온교환법과 유사하다.
본 발명에서 "나노 혼성 물질"이란 단순한 혼합물(mixture)이 아니라 구성 성분 사이의 화학적 결합력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물질을 말한다. 예를 들면, 양이온성 층상 금속 수산화물과 음이온성 식용 색소의 경우, 서로 반대 전하를 갖는 성분 사이의 정전기적 상호 작용이 주된 화학적 결합력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이상은 설명을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실제로는 구성 성분이나 제조 조건에 따라 부분적으로 반데르발스 힘과 같은 화학적 결합력이 공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지만, 하기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Zn2+의 질산염 Zn(NO3)2·6H2O 10.3 g 및 Al3+의 질산염 Al(NO3)3·9H2O 6 g을 혼합한 수용액 200 ㎖에 0.5 M NaOH 150 ml와 적색 40호(C18H14N2O8 S2) 23 g을 혼합한 수용액 300 ml를 적가하여 공침시킴으로써 침전을 얻고, 이를 원심분리한 후 세척하여 적색 40호를 함유하는 나노 혼성 물질 15 g을 얻었다. 전 과정은 공기 중의 CO2에 의한 오염을 막기 위해 질소 분위기 하에서 수행하였다.
생성된 나노 혼성 물질을 X-선 회절분석 및 적외선 분광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X-선 회절 분석은 필립스 PW 3710 분말 회절 분석기를 이용하여 20 mA/40 kV에서 Ni-필터를 거친 Cu Kα선을 조사함으로써 수행하였다. 적외선 분광 스펙트럼 측정을 위해 시료를 KBr과 혼합시켜 디스크 형태로 압축하였다. 측정 기기는 브루커(Bruker) IFS 48이며, 측정 주파수 범위는 400~4000 cm-1이었다. X-선 회절분석 결과는 도 1의 (b)에, 적외선 분광 스펙트럼은 도 2의 (b)에 나타내었다.
도 1의 (a)는 NO3-LDH의 X-선 회절 분석 결과이며, 층간 거리는 NO3 -의 크기 에 상응한다. NO3-LDH를 적색 40호로 이온 교환 반응시키면 도 1의 (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층간의 거리가 적색 40호의 크기에 상응하게 늘어나게 된다. 합성된 적색 40호 함유 나노 혼성 물질의 층간 거리가 적색 40호의 크기에 상응하고 적외선 스펙트럼의 흡수 피크가 적색 40호의 특징적인 작용기와 일치하는 것으로 보아 적색 40호가 금속 수산화물의 층간에 수직하게 단일층으로 안정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격자층 간에 예상되는 적색 40호의 가능한 배열을 도 5의 (a)에 도시하였다.
실시예 2
Zn2+의 질산염 Zn(NO3)2·6H2O 10 g 및 Al3+의 질산염 Al(NO3)3·9H2O 6 g을 혼합한 수용액 200 ㎖에 0.5 M NaOH 150 ml와 황색 5호(C16H10N2O7S 2) 22 g을 혼합한 수용액 300 ml을 적가하여 공침시킴으로써 침전을 얻고, 이를 원심분리한 후 세척하여 황색 5호를 함유하는 나노 혼성 물질 15 g을 얻었다. 전 과정은 공기 중의 CO2에 의한 오염을 막기 위해 질소 분위기 하에서 수행하였다.
생성된 나노 혼성 물질을 실시예 1에서와 같이 X-선 회절분석 및 적외선 분광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X-선 회절분석 결과는 도 1의 (c)에, 적외선 분광 스펙트럼은 도 2의 (c)에 나타내었다. 도 1의 (c)에서 층간 거리는 NO3 -의 크기에 상응하며, 도 2의 (c)로부터 층간의 거리가 황색 5호의 크기에 상응하게 늘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합성된 황색 5호 함유 나노 혼성 물질의 층간 거리가 황색 5호의 크기에 상응하고 적외선 스펙트럼의 흡수 피크가 황색 5호의 특징적인 작용기와 일치하는 것으로 보아 황색 5호가 금속 수산화물의 층간에 수직하게 단일층으로 안정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격자층 간에 예상되는 황색 5호의 가능한 배열을 도 5의 (b)에 도시하였다.
실시예 3
Zn2+의 질산염 Zn(NO3)2·6H2O 6 g 및 Al3+의 질산염 Al(NO3)3·9H2O 4 g을 혼합한 수용액 200 ㎖에 0.5 M NaOH 150 ml와 청색 1호(C37H34N2O9S 3) 24 g을 혼합한 수용액 300 ㎖를 적가하여 공침시킴으로써 침전을 얻고, 이를 원심분리한 후 세척하여 청색 1호를 함유하는 나노 혼성 물질 15 g을 얻었다. 전 과정은 공기 중의 CO2에 의한 오염을 막기 위해 질소 분위기 하에서 수행하였다.
생성된 나노 혼성 물질을 실시예 1에서와 같이 X-선 회절분석 및 적외선 분광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X-선 회절분석 결과는 도 1의 (d)에, 적외선 분광 스펙트럼은 도 2의 (d)에 나타내었다. 도 1의 (d)에서 층간 거리는 NO3 -의 크기에 상응하며, 도 2의 (d)로부터 층간의 거리가 청색 1호의 크기에 상응하게 늘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합성된 청색 1호 함유 나노 혼성 물질의 층간 거리가 청색 1호의 크기에 상응하고 적외선 스펙트럼의 흡수 피크가 청색 1호의 특징적인 작용기와 일치하는 것으로 보아 청색 1호가 금속 수산화물의 층간에 수직하게 단일층으로 안정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격자층 간에 예상되는 청색 1 호의 가능한 배열을 도 5의 (c)에 도시하였다.
실시예 4
알루미나 400 mg에 적색 40호-LDH 40 mg을 고르게 섞은 후, 퍼킨-엘머 람다 12 스펙트로미터(Perkin-Elmer Lambda 12 Spectrometer) 자외선-가시광선 흡수 스펙트럼을 200-800 nm의 파장 범위에서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3의 (a-1)에 도시하였다. 또한, 적색 40호의 자외선-가시광선 흡수 스펙트럼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3의 (a-2)에 도시하였다. 적색 40호-LDH의 자외선-가시광선 흡수 스펙트럼의 흡수 피크 위치가 적색 40호의 것과 일치하는 점으로 보아, 적색 40호가 금속 수산화물의 층간에 삽입된 후에도 색소로서의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적색 40호가 금속 수산화물의 층간에 삽입된 경우, 자외선-가시광선 스펙트럼의 흡수 피크 강도가 더욱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색의 선명도가 향상되고, 색소의 색깔을 보다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실시예 5
알루미나 400 mg에 황색 5호-LDH 40 mg을 고르게 섞은 후, 퍼킨-엘머 람다 12 스펙트로미터(Perkin-Elmer Lambda 12 Spectrometer) 자외선-가시광선 흡수 스펙트럼을 200-800 nm의 파장 범위에서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3의 (b-1)에 도시하였다. 또한, 황색 5호의 자외선-가시광선 흡수 스펙트럼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3의 (b-2)에 도시하였다. 황색 5호-LDH의 자외선-가시광선 흡수 스펙트럼의 흡수 피크 위치가 황색 5호의 것과 일치하는 점으로 보아, 황색 5호가 금속 수산화물의 층간에 삽입된 후에도 색소로서의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한, 황색 5호가 금속 수산화물의 층간에 삽입된 경우, 자외선-가시광선 스펙트럼의 흡수 피크 강도가 더욱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색의 선명도가 향상되고, 색소의 색깔을 보다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실시예 6
알루미나 400 mg에 청색 1호-LDH 40 mg을 고르게 섞은 후, 퍼킨-엘머 람다 12 스펙트로미터(Perkin-Elmer Lambda 12 Spectrometer) 자외선-가시광선 흡수 스펙트럼을 200-800 nm의 파장 범위에서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3의 (c-1)에 도시하였다. 또한, 청색 1호의 자외선-가시광선 흡수 스펙트럼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3의 (c-2)에 도시하였다. 청색 1호-LDH의 자외선-가시광선 흡수 스펙트럼의 흡수 피크 위치가 청색 1호의 것과 일치하는 점으로 보아, 청색 1호가 금속 수산화물의 층간에 삽입된 후에도 색소로서의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청색 1호가 금속 수산화물의 층간에 삽입된 경우, 자외선-가시광선 스펙트럼의 흡수 피크 강도가 더욱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색의 선명도가 향상되고, 색소의 색깔을 보다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실시예 7
적색 40호-LDH 32.94 mg을 리가쿠(Rigaku) TAS-100을 이용하여 상온에서 800℃까지 5 ℃/분의 속도로 온도를 높여 가면서 질량 변화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4의 (a-1)에 도시하였다. 상기 과정 동안의 열 출입은 도 4의 (a-2)에 도시하였다. I 단계(상온~170℃)는 흡열 단계이며, 흡착된 물과 층간에 삽입된 물이 빠져 나오게 된다. II 단계(170~350℃)도 흡열 단계이며, 무기층의 산기가 떨어져 나온 다. III 단계(350~800℃)는 발열 단계이며, 유기물인 적색 40호가 분해되고, 남아 있는 무기층의 수산기가 떨어져 나오게 된다. 이 결과로부터 적색 40호가 금속 수산화물의 층간에 삽입됨으로써 350℃ 이하의 온도에서 열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8
황색 5호-LDH 20.7 mg을 리가쿠(Rigaku) TAS-100을 이용하여 상온에서 800℃까지 5 ℃/분의 속도로 상온에서 800℃까지 온도를 높여 가면서 질량 변화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4의 (b-1)에 도시하였다. 상기 과정 동안의 열 출입은 도 4의 (b-2)에 도시하였다. I 단계(상온~160℃)는 흡열 단계이며, 흡착된 물과 층간에 삽입된 물이 빠져 나오게 된다. II 단계(160~330℃)도 흡열 단계이며, 무기층의 산기가 떨어져 나온다. III 단계(330~800℃)는 발열 단계이며, 유기물인 황색 5호가 분해되고, 남아 있는 무기층의 수산기가 떨어져 나오게 된다. 이 결과로부터 황색 5호가 금속 수산화물의 층간에 삽입됨으로써 330℃ 이하의 온도에서 열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9
청색 1호-LDH 17.63 mg을 리가쿠(Rigaku) TAS-100을 이용하여 상온에서 800℃까지 5 ℃/분의 속도로 상온에서 800℃까지 온도를 높여 가면서 질량 변화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4의 (c-1)에 도시하였다. 상기 과정 동안의 열 출입은 도 4의 (c-2)에 도시하였다. I 단계(상온~180℃)는 흡열 단계이며, 흡착된 물과 층간에 삽입된 물이 빠져 나오게 된다. II 단계(180~320℃)도 흡열 단계이며, 무기층 의 산기가 떨어져 나온다. III 단계(320~800℃)는 발열 단계이며, 유기물인 청색 1호가 분해되고, 남아 있는 무기층의 수산기가 떨어져 나오게 된다. 이 결과로부터 청색 1호가 금속 수산화물의 층간에 삽입됨으로써 320℃ 이하의 온도에서 열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용 색소를 함유하는 나노 혼성 물질은 인체에 무해하고, 150℃ 이상의 고온에서도 안전하게 색소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색소가 무기층 안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색소만 첨가하는 경우에 비해 색이 잘 묻어 나오지 않으며, 색이 오랫동안 보존될 수 있다. 또한, 층상 금속 수산화물은 중합체 내에 잘 분산되므로, PVC와 같은 플라스틱이나 페인트 등의 가공시에 유용하다.

Claims (10)

  1. 양이온성 층상 금속 수산화물과 음이온성 식용 색소를 포함하고, 이들간의 정전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층상 구조 수산화물의 층간에 식용 색소가 위치하여 150 내지 350℃의 온도에서 열 안정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혼성 물질.
  2. 양이온성 층상 금속 수산화물과 음이온성 식용 색소를 혼합하여 pH 4 내지 11, 0 내지 50℃의 온도 및 질소 분위기 하에서 침전반응을 수행하고; 이로부터 얻어진 침전물을 원심분리로 회수하여 세척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나노 혼성 물질의 제조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식용 색소가 적색40호, 황색5호, 청색1호, 적색2호, 적색102호, 적색106호, 녹색3호, 황색4호 및 청색2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나노 혼성 물질.
  5. 제 4 항에 있어서, 식용 색소가 적색40호, 황색5호 및 청색1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나노 혼성 물질.
  6. 제 2 항에 있어서, 층상 금속 수산화물이 금속 이중층 수산화물인 방법.
  7. 삭제
  8. 제 2 항에 있어서, 식용 색소가 적색40호, 황색5호, 청색1호, 적색2호, 적색102호, 적색106호, 녹색3호, 황색4호 및 청색2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식용 색소가 적색40호, 황색5호 및 청색1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층상 금속 수산화물이 금속 이중층 수산화물인 나노 혼성 물질.
KR1020020084934A 2002-12-27 2002-12-27 식용 색소를 함유하는 나노 혼성 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734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934A KR100734070B1 (ko) 2002-12-27 2002-12-27 식용 색소를 함유하는 나노 혼성 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934A KR100734070B1 (ko) 2002-12-27 2002-12-27 식용 색소를 함유하는 나노 혼성 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8599A KR20040058599A (ko) 2004-07-05
KR100734070B1 true KR100734070B1 (ko) 2007-07-02

Family

ID=37350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4934A KR100734070B1 (ko) 2002-12-27 2002-12-27 식용 색소를 함유하는 나노 혼성 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407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408A (ko) * 1998-09-11 2000-04-06 최진호 유전자의 보관 및 전달이 가능한 생-무기 하이브리드 복합체 및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408A (ko) * 1998-09-11 2000-04-06 최진호 유전자의 보관 및 전달이 가능한 생-무기 하이브리드 복합체 및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8599A (ko) 2004-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uer et al. Composites of perylene chromophores and layered double hydroxides: direct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photo‐and chemical stability
Zinatloo-Ajabshir et al. Praseodymium oxide nanostructures: novel solvent-less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investigation of their optical and photocatalytic properties
Mortazavi-Derazkola et al. New sodium dodecyl sulfate-assisted preparation of Nd 2 O 3 nanostructures via a simple route
Feng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a UV absorbent-intercalated Zn–Al layered double hydroxide
Soren et al. A rapid microwave initiated polyol synthesis of cerium oxide nanoparticle using different cerium precursors
JP5162742B2 (ja) 半導体ナノ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5035767B2 (ja) プルシアンブルー型金属錯体超微粒子、その分散液、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Guo et al. Preparation of an anionic azo pigment-pillared layered double hydroxide and the thermo-and photostability of the resulting intercalated material
Lassoued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Ni-doped α-Fe2O3 nanoparticles through co-precipitation method with enhanced photocatalytic activities
JP2012006834A (ja) プルシアンブルー型金属錯体超微粒子、その分散液、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Grazenaite et al. Sol–gel and sonochemically derived transition metal (Co, Ni, Cu, and Zn) chromites as pigments: A comparative study
Bette et al. On verdigris, part I: synthesis, crystal structure solution and characterisation of the 1–2–0 phase (Cu 3 (CH 3 COO) 2 (OH) 4)
Li et al. Preparation of 5-benzotriazolyl-4-hydroxy-3-sec-butylbenzenesulfonate anion-intercalated layered double hydroxide and its photostabilizing effect on polypropylene
Wang et al. Enhanced thermal-and photo-stability of acid yellow 17 by incorporation into layered double hydroxides
Kovalenko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sation of dye-intercalated nickel-aluminium layered-double hydroxide as a cosmetic pigment
de Oliveira et al. Yellow ZnxNi1− xWO4 pigments obtained using a polymeric precursor method
Kovalenko et al. Tartrazine-intercalated Zn-Al layered double hydroxide as a pigment for gel nail polish: synthesis and characterisation
Gancheva et al. Influence of the preparation method on the structure, optical and photocatalytic properties of nanosized ZnO
Goudarzi et al. Controlled synthesis of Tl 2 O 3 nanostructures via microwave route by a novel pH adjuster and investigation of its photocatalytic activity
KR100734070B1 (ko) 식용 색소를 함유하는 나노 혼성 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Kovalenko et al. Determin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Zn-Al layered double hydroxide, intercalated by food dye Orange Yellow S, as a cosmetic pigment
Yufeng et al. Synthesis of new Tb-doped Zn-Al LDH/tryptophan hybrids and their fluorescent property
Kovalenko et al. The determination of synthesis conditions and color properties of pigments based on layered double hydroxides with Co as a guest cation
Tessier et al. Powder preparation and UV absorption properties of selected compositions in the CeO2–Y2O3 system
WO2008097837A2 (en) Organic/inorganic complexes as color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