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4027B1 -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수직 착륙장치 및 이를 이용한착륙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수직 착륙장치 및 이를 이용한착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4027B1
KR100734027B1 KR1020050118972A KR20050118972A KR100734027B1 KR 100734027 B1 KR100734027 B1 KR 100734027B1 KR 1020050118972 A KR1020050118972 A KR 1020050118972A KR 20050118972 A KR20050118972 A KR 20050118972A KR 100734027 B1 KR100734027 B1 KR 100734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achute
cover
aircraft
landing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8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9748A (ko
Inventor
김주은
문상도
노항배
Original Assignee
김주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은 filed Critical 김주은
Priority to KR1020050118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4027B1/ko
Priority to PCT/KR2006/004446 priority patent/WO2007066895A1/en
Publication of KR20070059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9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25Fixed-wing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9/00Aircraft capable of landing or taking-off vertically, e.g.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aircraf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02Model aircraf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63H30/02Electrical arrangements
    • A63H30/04Electrical arrange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0Toys with parachutes; Toy para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70/00Launching, take-off or landing arrangements
    • B64U70/80Vertical take-off or landing, e.g. using rockets
    • B64U70/83Vertical take-off or landing, e.g. using rockets using parachutes, balloo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선, 교량 또는 케이블카 등의 가선 공사에서의 와이어 연선공법에 적용되는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착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륙지점의 지상조건에 관계없이 공중에서 수직 하강하여, 항공기의 손상 없이 목표지점에 안전하게 착륙을 수행하는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수직 착륙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수직 착륙장치는 몸체부, 날개부, 및 착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무선조정 항공기에 있어서, 상기 착륙장치는 낙하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한 쌍의 고신축성 가이드코드가 하나 이상 구비되고, 한 쌍의 비신축성 가이드코드가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낙하산과 몸체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신축성 가이드코드는 제1가이드코드와 제2가이드코드로 이루어지고, 이들 각각은 엔진덮개와 앞쪽 주익연결봉에 연결되며, 상기 비신축성 가이드코드는 뒤쪽 주익연결봉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번지코드, 착륙장치, 낙하산, 고정익기, 가선공사, 철탑, 송전선로

Description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수직 착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착륙방법{Vertical Landing Equipment for Radio Control Multi-aid Aircraft and a Method thereof}
도1 내지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1과 도2는 전체 사시도.
도3은 착륙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4는 전체 측면 단면도.
도5와 도6은 착륙장치가 몸체에 고정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7은 착륙장치의 동작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8은 착륙장치가 동작하여 낙하산이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9내지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착륙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몸체부 110 : 동체
120 : 엔진덮개 130 : 프로펠러
140 : 방향키 200 : 날개부
210 : 주익 220 : 보조익
230 : 보조익연동부 240, 250 : 주익연결봉
300 : 착륙장치 310 : 덮개
320 : 서보모터 321 : 회전날개
330 : 낙하산 331 : 낙하산 로프
340 : 덮개 홈 350 : 동체 홈
360 : 탄성수단 370 : 돌기
380 : 연결고리 400 : 연결코드
410 : 제1가이드코드 420 : 제2가이드코드
430 : 제3가이드코드 440 : 연결코드링
본 발명은 송전선, 교량 또는 케이블카 등의 가선 공사에서의 와이어 연선공법에 적용되는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착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륙지점의 지상조건에 관계없이 공중에서 수직 하강하여, 항공기의 손상 없이 목표지점에 안전하게 착륙을 수행하는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수직 착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선로공사의 전력선 가선을 위해서는 선행 작업으로 예정된 연선구간에 메신저(messenger) 와이어를 먼저 연결하고, 이 연결된 와이어를 이용해 전력선을 견인하는 방식으로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먼저, 와이어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철탑과 철탑 사이의 경과지위에 인력으로 와이어를 펴고 와이어를 연결한 후에 와이어를 당기는 장치(puller)를 이용하여 철탑 상부로 올리는 인력연선 공법과, 헬기(helicopter)를 이용하여 철탑과 철탑 위의 공중에서 로프(rope)를 이용하여 연결하거나 또는 와이어를 직접 연결하는 연선공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송전선로 공사의 경과지가 대부분 울창한 수목이 있는 산악지에 위치함에 따라 인력연선 공법은 지표면으로 장애물을 피해 구불구불 연결된 와이어를 공중으로 띄우기 위해 막대한 벌채 및 환경훼손이 불가피하므로, 대부분의 현장에서 헬기를 이용한 연선공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헬기를 이용한 연선공법은 헬기의 이착륙을 위한 주기장을 설치해야 하고, 헬기 운항에 따른 오일 탱커 등 보조 장비의 이동이 필요하며, 헬기의 계류지역에서 현장의 주기장까지 이동하여야 하므로 공사비용이 상승하는 원인이 되고, 헬기 운항에 따른 소음 및 프로펠러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에 의한 공사현장에서의 민원발생이 염려된다.
또한, 와이어나 로프를 매달고 운항 시 헬기의 추락위험이 있으며 기상상태에 따라 그 위험도는 증가하여 운항이 제한적이고, 헬기의 경우 비행금지구역에서의 운항이 제한되므로 작업효율이 저하되고 공사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특허 출원번호 제10-2003-0060003호에서 철탑공사 현장의 작업요건을 고려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이착륙이 가능한 연선 공법에 적용되는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고정익기)를 제안한 바 있다.
위와 같은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는 이륙 및 착륙을 위해 별도의 지상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헬기(가변익기)에 비해 그 활용도가 낮은 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륙을 위해서는 해당 항공기에 적합한 소형의 발진장치를 이용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이륙이 가능하도록 하고, 착륙을 위해서는 착륙지점에 그물을 설치하여 그 그물에 비행기를 충돌시켜 착륙시키거나 항공기에 구난용 낙하산을 탑재시켜 공중에서 낙하산을 펴고 착륙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 그물에 충돌시키는 착륙 방법은 돌풍등과 같은 예상치 못한 기상상태에 민감하여 정밀한 목표점 설정이 곤란하므로 항공기가 그물에 부정확하게 도입될 때 손상의 위험이 높고, 그물로의 진입이 정확한 경우에도 항공기 손상의 위험이 있으며, 그물 설치에 따른 연계 장치들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설치가 복잡하고 추가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낙하산을 탑재시키는 방법은 하강 도중 낙하산이 펴지면서 항공기의 하강속도가 급격하게 감소하게 되므로, 이 때 발생하는 에너지가 흡수되지 못하고 항공기로 전달되면서 항공기가 안정적으로 착륙되지 못하고 뒤집어지거나 낙하산 및 로프와 엉키는 등의 자세가 유지되지 못하면서 항공기의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항공기의 착륙장치로 낙하산을 탑재하되, 하강 시 발생하는 에너지를 낙하산 자체에서 흡수하도록 완충장치를 구성하여 착지 순간까지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여 착륙 시 발생할 수 있는 항공기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수직 착륙장치는 몸체부, 날개부, 및 착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무선조정 항공기에 있어서, 상기 착륙장치는 낙하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한 쌍의 고신축성 가이드코드가 하나 이상 구비되고, 한 쌍의 비신축성 가이드코드가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낙하산과 몸체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신축성 가이드코드는 제1가이드코드와 제2가이드코드로 이루어지고, 이들 각각은 엔진덮개와 앞쪽 주익연결봉에 연결되며, 상기 비신축성 가이드코드는 뒤쪽 주익연결봉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착륙장치는 몸체부의 상부면에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덮개, 상기 덮개를 몸체부에 장착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작용하여 덮개를 몸체부로부터 분리시키는 작용을 하는 서보모터, 및 상기 덮개의 내부에 수납되는 낙하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부는 서보모터의 회전날개가 덮개의 전면부에 구성된 홈에 삽입 고정되며, 덮개의 후면에 형성된 돌기가 힌지 역할을 수행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의 하부에는 덮개가 몸체부로부터 분리될 때, 덮개를 몸체부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탄성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착륙방법은 내부에 수납된 낙하산을 이용하여 착륙동작을 수행하는 무선조정 항공기의 착륙방법에 있어서, 무선원격조정에 의해 낙하산이 내재된 덮개가 몸체부로부터 분리되어 항공기 후면으로 사출되면서 내재된 낙하산이 빠져나오는 단계, 낙하산 안쪽으로 공기압이 채워지면서 낙하산과 몸체부를 연결하는 고신축성 로프가 최대로 확장되고, 항공기의 하강속도가 급감하는 단계, 하강속도의 변화로 발생하는 충격량이 낙하산으로 이전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는 일반적인 고정익기의 구성을 포함한다.
도1 내지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1과 도2는 전체 사시도이고, 도3은 착륙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4는 전체 측면 단면도이고, 도5와 도6은 착륙장치가 몸체에 고정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7은 착륙장치의 동작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8은 착륙장치가 동작하여 낙하산이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는 몸체부 (100)의 양측으로 날개부(200)가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100)의 상부면에는 작업자의 무선원격 조정에 의해 동작하는 착륙장치(300)가 구성된다.
몸체부(100)는 중앙부에 위치하며 항공기의 각 부분이 접합되고 장비 등이 탑재되는 동체(110)와, 동체(110)의 전면에 구성되며 엔진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130)와, 동체(110)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엔진덮개(또는, 엔진커버)(120), 동체(110)의 후방부에 위치하며 키면에 닿는 바람의 방향으로 양력을 발생시켜 항공기의 옆미끄럼이나 선회운동, 또는 이것을 정지시키는 작용을 하는 방향키(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몸체부(100)는 내부에 항공기를 운행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엔진장치와 연료탱크, 항공기내의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작업자의 무선원격 조정기로부터 송출된 원격조종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따라 항공기 운항에 필요한 제어 및 파일럿 라인의 투하를 위한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원격신호수신제어부, 상기 원격신호수신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방향키(140)를 제어하는 방향키제어장치 등을 포함하여 이루지고, 몸체부(100)의 후미로는 파일럿 라인을 투하시키기 위한 라인투하장치가 구성된다.
날개부(200)는 동체(110)의 중앙부에서 좌우로 뻗어있는 주익(210)과, 주익(210)의 후연부 바깥쪽에 좌측 또는 우측으로 선회 시 주로 사용되는 보조익(220)이 부착되고, 내부에 원격신호수신제어부와 연동하여 상기 보조익(220)을 동작시켜 주익(210)과의 각도를 조절하는 보조익연동부(230), 동체(110)의 양측면으로 주익 (210)의 위치가 고정 지지되는 1쌍으로 이루어진 주익연결봉(240, 250) 등이 구성된다.
착륙장치(300)는 몸체부(100)의 상부면에 구성되며 몸체부(100)로부터 분리 가능한 덮개(310)와, 덮개(310)를 몸체부(100)에 장착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와, 고정부에 작용하여 덮개(310)를 몸체부(100)로부터 분리시키는 작용을 하며 몸체부(100) 내부에 구성된 서보모터(320)와, 몸체부(100) 및 덮개(310)와 연결되며 덮개(31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이루어진 낙하산(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310)의 전면부에 덮개 홈(340)이 구성되어, 상기 덮개 홈(340)에 서보모터(320)의 회전날개(321)가 삽입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덮개(310)의 하부에 번지코드 등으로 이루어진 탄성수단(360)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날개(321)와 덮개 홈(340)의 결합구조에 의해 탄성수단(360)이 눌려져서 고정된다.
즉,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번지코드 등으로 이루어진 탄성수단(360)은 몸체부(100)의 내부에 좌우 양 단부가 고정되어 있어, 덮개(310)가 고정 장착되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수단(360)이 눌려지게 되므로, 고정 수단만 제거되면 언제든지 분리될 수 있는 구조가 된다.
상기 탄성수단(360)은 번지코드 뿐만 아니라 스프링, 고무줄 등 탄성을 가진 물질이라면 어떤 것이든 적용 가능하며, 착륙 동작을 위해 덮개(310)가 손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몸체부(100)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고정된 착륙장치(300)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보모터(320)의 회전날개(321)가 원격조정에 의해 회전하면, 낙하산(330)을 포함한 덮개(310)가 몸체부(100)로부터 이탈하면서 착륙장치(300)가 동작하게 된다. 여기서, 덮개(310)의 후면에는 돌기(370)가 형성되어 힌지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덮개(310)가 힌지구조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분리되도록 구성되고, 내부에는 수납된 낙하산(330)이 연결되는 연결고리(38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덮개(310)는 경량의 F.R.P(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제품으로 이루어지고, 착륙 동작 수행을 위해 몸체부(100)로부터 이탈 시 수납된 낙하산(330)이 쉽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저면의 대략 1/3은 막히고 2/3는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서보모터(320)는 몸체부(100) 내부의 원격신호수신제어부와 연동되며, 상기 원격신호수신제어부가 무선원격조정기로부터 착륙신호를 수신 받으면 서보모터(320)의 회전날개(321)가 90°회전하여 덮개(310)를 몸체부(100)로부터 이탈시켜 착륙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날개(321)는 본 발명 실시예와 같이 90°의 반복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거나, 180° 또는 360°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보모터(320)가 동체(110) 내부에 수납되는 경우, 회전날개(321)가 회전 가능하도록 서보모터(320) 작용 부위에 동체 홈(350)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착륙장치가 동작하여 내부에 수납된 낙하산이 분리되면, 상기 낙하산은 항공기 쪽으로 복수의 가이드코드와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코드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 낙하산(330)과 몸체부(100)를 연결하며, 고신축성 가이드코드와 비신축성 가이드코드가 각각 하나 이상 구비되어 이루어지는데,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가이드코드가 제1가이드코드(410), 제2가이드코드(420), 및 제3가이드코드(430)와 같이 3개로 구성되는 경우 항공기 전면부터 순차적으로 제1가이드코드(410)는 엔진덮개(120)에 장착되고, 제2가이드코드(420)는 앞쪽 주익연결봉(240)에, 제3가이드코드(430)는 뒤쪽 주익연결봉(250)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코드(410), 제2가이드코드(420), 및 제3가이드코드(430)의 상부쪽으로는 연결코드(400)가 구성되고, 상기 연결코드(400)는 연결코드링(440)에 의해 낙하산(330)의 낙하산로프(331)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1가이드코드(410) 및 제2가이드코드(420)는 신축성이 뛰어난 고신축성 가이드코드로 이루어지는데, 일반적으로 500% 신장 가능한 번지코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가이드코드(430)는 고신축성 가이드코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신축성이 떨어지는 비신축성 가이드코드로 이루어지고, 나일론로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구성된 항공기의 추락과 같은 비상상황에 대비하여 안전착륙을 보장하고 항공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착륙 동작을 도9 내지 도1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가 무선원격조정기를 이용하여 라인투하장치를 실행시켜 가선작업을 수행하고 난 후, 무선조정에 의해 예상 착륙지점의 상공에서 항공기의 속도를 줄이고 비행자세를 수직하강 자세로 조정 후 서보모터(320)를 동작시키면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310)가 몸체부(100)로부터 분리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착륙장치(300)의 덮개(310)를 고정하는 서보모터(320)의 회전날개(321)가 덮개(310)의 전면에 구성된 덮개 홈(340)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고, 이에 따라 덮개(310)가 자유스러운 상태가 되어 몸체부(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즉, 덮개(310) 내부에 낙하산(330)이 내재된 상태로 회전날개(321)가 덮개 홈(340)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면 덮개(310) 하부의 탄성수단(360)에 의해 상기 덮개(310)는 상측으로 약간 돌출된 상태로 튀어 오르게 되고, 후면의 돌기(370)가 힌지 역할을 수행하면서 덮개(310)는 뒤집혀 지면서 몸체부(100)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된다.
이후, 항공기의 전면으로부터 맞바람이 돌출된 덮개(310)에 부딪히면서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310)가 수직하강에 의한 바람 및 프로펠러(130) 바람에 밀려서 비행기 후면으로 사출되면서 항공기의 전면으로부터 제1가이드코드(410), 제2가이드코드(420), 제3가이드코드(430)에 순차적으로 장력이 걸리면서 덮개(310)에서 낙하산(330)이 빠져나온다.
따라서, 상기 낙하산(330)은 항공기 쪽으로 위와 같은 3개의 가이드코드와 연결된다. 즉, 항공기 전면부터 순차적으로 고신축성 가이드코드로 이루어진 제1가이드코드(410) 및 제2가이드코드(420)는 엔진덮개(120) 및 앞쪽 주익연결봉(240)에, 비신축성 로프로 이루어진 제3가이드코드(430)는 뒤쪽 주익연결봉(250)에 결합된다.
또한, 낙하산(330)이 빠져나옴으로써 분리된 덮개(310)는 내부에 구비된 연결고리(380)를 통해 낙하산(330) 일측과 연결된 상태로 이하의 착륙 동작이 수행된다.
위와 같이 제1가이드코드(410)의 장력에 의해 덮개(310)로부터 빠져나온 낙하산(330)이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에 의해 펼쳐지면서 공기압이 낙하산(330) 안쪽으로 채워지고, 제1가이드코드(410), 제2가이드코드(420), 제3가이드코드(430) 순으로 장력이 걸리면서, 상기 제1가이드코드(410), 제2가이드코드(420)를 구성하는 고신축성 가이드코드가 최대로 확장된다. 따라서, 항공기의 하강 에너지가 제1가이드코드(410), 제2가이드코드(420), 제3가이드코드(430)를 통해 순차적으로 낙하산(330)으로 흡수되면서 하강속도가 급격하게 감소하게 된다.
이처럼 항공기의 하강속도의 변화로 발생하는 충격량이 제3가이드코드(430)를 통해 낙하산(330)으로 완전하게 이전되면서,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너지가 낙하산에 100% 이전되는 순간, 일시적으로 항공기의 하강이 멈추면서 항공기의 기수 부분이 들리게 되고, 비행자세가 상승자세로 변화하게 된다.
다음으로, 일시적으로 하강이 멈추었던 항공기가 자체의 중량으로 인하여 다 시 하강운동이 수행된다. 이 때,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하산(330)은 항공기의 상부에 정상적으로 위치하고, 낙하산에 작용하는 공기압은 항공기의 중량을 충분하게 부담하면서, 항공기는 착륙지점으로 서서히 하강하게 된다.
계속해서 하강운동을 수행한 항공기는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륙지점에 충격 없이 착지하게 되고, 착지 동작을 수행하면서 낙하산(330)의 공기압 또한 자연스럽게 소멸되어 항공기의 후면에 낙하산이 펼쳐진다. 이로써 항공기의 손상 없이 착륙동작이 마무리된다.
이러한 착륙동작은 착륙을 위해 별도의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항공기의 하강속도를 번지코드의 신장력을 이용하여 낙하산으로 흡수시키기 때문에 하강운동 시 항공기의 자세가 유지되므로, 착륙 시 일어날 수 있는 항공기의 손상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누구나 수정 및 변환 실시가 가능한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항공기의 착륙장치로 낙하산을 탑재하므로 착륙을 위한 별도의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착륙장비 설치 가 복잡하지 않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낙하산과 연결되는 가이드코드로 신장력이 있는 번지코드를 구성하여 하강 에너지를 낙하산에서 흡수하도록 하여, 착지 순간까지 항공기가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여 착륙 시 발생할 수 있는 항공기의 안전사고 및 손상이 방지된다.

Claims (4)

  1. 몸체부(100), 날개부(200), 및 착륙장치(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무선조정 항공기에 있어서,
    상기 착륙장치(300)는 낙하산(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몸체부(100)의 앞쪽에 연결되는 한 쌍의 고신축성 가이드코드가 하나 이상 구비되고, 몸체부(100)의 뒤쪽에 연결되는 한 쌍의 비신축성 가이드코드가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낙하산(330)과 몸체부(100)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수직 착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신축성 가이드코드는 제1가이드코드(410)와 제2가이드코드(420)로 이루어지고, 이들 각각은 엔진덮개(120)와 앞쪽 주익연결봉(240)에 연결되며,
    상기 비신축성 가이드코드는 뒤쪽 주익연결봉(25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수직 착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륙장치(300)는 몸체부(100)의 상부면에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덮개(310),
    상기 덮개(310)를 몸체부(100)에 장착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작용하여 덮개(310)를 몸체부(100)로부터 분리시키는 작용을 하는 서보모터(320), 및
    상기 덮개(310)의 내부에 수납되는 낙하산(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부는 서보모터(320)의 회전날개(321)가 덮개(310)의 전면부에 구성된 홈(340)에 삽입 고정되며, 덮개(310)의 후면에 형성된 돌기(370)가 힌지 역할을 수행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310)의 하부에는 덮개(310)가 몸체부(100)로부터 분리될 때, 덮개(310)를 몸체부(100)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탄성수단(36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수직 착륙장치.
  4. 내부에 수납된 낙하산(330)을 이용하여 착륙동작을 수행하는 무선조정 항공기의 착륙방법에 있어서,
    (a) 무선원격조정에 의해 낙하산(330)이 내재된 덮개(310)가 몸체부(100)로부터 분리되어 항공기 후면으로 사출되면서 내재된 낙하산(330)이 빠져나오는 단계,
    (b) 낙하산(330) 안쪽으로 공기압이 채워지면서 낙하산(330)과 몸체부(100)를 연결하는 고신축성 가이드코드가 최대로 확장되고, 항공기의 하강속도가 급감하는 단계,
    (c) 하강속도의 변화로 발생하는 충격량이 낙하산(330)으로 이전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착륙방법.
KR1020050118972A 2005-12-07 2005-12-07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수직 착륙장치 및 이를 이용한착륙방법 KR100734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8972A KR100734027B1 (ko) 2005-12-07 2005-12-07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수직 착륙장치 및 이를 이용한착륙방법
PCT/KR2006/004446 WO2007066895A1 (en) 2005-12-07 2006-10-30 Vertical landing equipment for radio control multi-aid aircraft and a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8972A KR100734027B1 (ko) 2005-12-07 2005-12-07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수직 착륙장치 및 이를 이용한착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9748A KR20070059748A (ko) 2007-06-12
KR100734027B1 true KR100734027B1 (ko) 2007-06-29

Family

ID=38123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8972A KR100734027B1 (ko) 2005-12-07 2005-12-07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수직 착륙장치 및 이를 이용한착륙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34027B1 (ko)
WO (1) WO20070668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985A (ko) * 2017-01-03 2018-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인 비행 장치 키트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8510A2 (en) 2012-08-01 2014-04-17 Bye Uas, Inc. Unmanned aerial systems
EP3590834A1 (en) * 2012-08-01 2020-01-08 Bye UAS Inc. Unmanned aerial systems
WO2016025444A1 (en) * 2014-08-13 2016-02-18 Dronetech Studio, Llc Parachute deployment system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EP3050805B1 (en) * 2015-01-30 2017-08-02 Vysoké Ucení Technické V Brne Emergency equipment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CN106184701A (zh) * 2016-08-31 2016-12-07 河南翱翔航空科技有限公司 无人机降落伞自动开启装置
CN111344223A (zh) * 2017-08-01 2020-06-26 兹普澜国际股份有限公司 具有可交换部件的无人驾驶飞机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533Y1 (ko) * 1999-08-31 2000-02-15 이향제 보조착륙장치를 갖춘 경비행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4595A (en) * 1999-04-29 2000-12-26 Williams; Charles Helium actuated airplane parachute
US6416019B1 (en) * 2000-12-12 2002-07-0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Precision parachute recovery system
US6565041B1 (en) * 2001-12-27 2003-05-20 Lockheed Martin Corporation Parachute assembly for a miniature aircraf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533Y1 (ko) * 1999-08-31 2000-02-15 이향제 보조착륙장치를 갖춘 경비행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985A (ko) * 2017-01-03 2018-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인 비행 장치 키트 및 시스템
WO2018128287A1 (ko) * 2017-01-03 2018-07-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인 비행 장치 키트 및 시스템
KR102612029B1 (ko) * 2017-01-03 2023-12-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인 비행 장치 키트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66895A1 (en) 2007-06-14
KR20070059748A (ko) 2007-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4027B1 (ko)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수직 착륙장치 및 이를 이용한착륙방법
US10899441B1 (en) Multicopter-assisted system and method for launching and retrieving a fixed-wing aircraft
US11299264B2 (en) Multicopter-assisted system and method for launching and retrieving a fixed-wing aircraft
EP3446985B1 (en) Rail recovery system for aircraft
US20120226394A1 (en) Uav- or personal flying device-delivered deployable descent device
CN104276281A (zh) 一种单人飞行器
KR101276168B1 (ko) 활주로가 필요 없는 비행기 이륙과 상승장치
US20140158819A1 (en) Airship, anchoring device, and landing and mooring method
US3117744A (en) Rotary wing alighting devices
CN102030107A (zh) 坠机自救式螺旋翼、固定翼飞机
KR100505412B1 (ko) 무선조종 소형항공장치
US9821907B2 (en) Inflatable wing for rotary-wing aircraft
CN208119425U (zh) 一种触发装置及高空救援无人机
US11427311B1 (en) Castering wheel landing system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CN108725743B (zh) 一种仰首式手抛小型固定翼无人机机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