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3160B1 -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3160B1
KR100733160B1 KR1020050095807A KR20050095807A KR100733160B1 KR 100733160 B1 KR100733160 B1 KR 100733160B1 KR 1020050095807 A KR1020050095807 A KR 1020050095807A KR 20050095807 A KR20050095807 A KR 20050095807A KR 100733160 B1 KR100733160 B1 KR 100733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handset
charging device
wireless
computer system
hand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5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0444A (ko
Inventor
이의택
이종형
Original Assignee
넷코덱(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넷코덱(주) filed Critical 넷코덱(주)
Priority to KR1020050095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3160B1/ko
Publication of KR20070040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0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3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3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1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a wired telecommunication network or a data transmission bus
    • H02J13/00018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a wired telecommunication network or a data transmission bus using phone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30Charge provided using DC bus or data bus of a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는 무선 핸드셋과 데이터를 교환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함으로써, 무선 핸드셋 충전뿐만 아니라 컴퓨터 시스템과 무선 핸드셋 간의 무선 신호를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무선 핸드셋, 충전장치, 컴퓨터, 근거리 무선 통신, 인터넷

Description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Charging equipment for cordless handset}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적인 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20 :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
21 : 무선 핸드셋 충전부 23 : 근거리 무선 통신부
25 : 데이터 송수신부 27 : 전원공급부
29 : 전원라인 연결부
본 발명은 무선 핸드셋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핸드셋과 컴퓨터 시스템 간의 인터넷 통신을 중계하는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핸드셋은 예컨대, 가정,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며, 외부 PSTN 라인과 연결되며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는 전화기 본체와 안테나를 통해 무선 연결된다. 이러한 무선 핸드셋은 사용자로 하여금 고정된 전화기 본체를 떠나 비교적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는 통상적으로 무선 핸드셋을 충전하기 위한 것으로, 전화기 본체와 일체로 또는 독립적으로 설치된다.
한편, 점차 인터넷 통신 기술이 발달하면서 컴퓨터를 이용한 이-메일, 미디어 전송, 나아가 주문, 판매, 인터넷 전화 등 다양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무선 인터넷망이 설치되어 각 개인이 항시 소지하고 다닐만큼 널리 보급된 이동통신 단말기 등을 통해 누구나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무선 인터넷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 같은 추세에 따라 무선 핸드셋은 일반 전화 통화뿐만 아니라 인터넷 통신도 지원하는 단말기로 변모해 갈 것으로 예측된다. 그런데, 무선 핸드셋이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컴퓨터 시스템에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이 탑재되어야 한다. 또한 무선 핸드셋과 컴퓨터 시스템 간의 무선 신호가 끊어지거나 불안정해지는 문제를 해소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이 같은 배경에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핸드셋 충전뿐만 아니라 컴퓨터 시스템과 무선 핸드셋 간의 무선 신호를 중계할 수 있는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은 무선 핸드셋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컴퓨터 시스템과 USB 직렬 통신을 수행하여 컴퓨터 시스템과 무선 핸드셋 간의 인터 넷 통신을 중계할 수 있는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무선 핸드셋과 컴퓨터 및 유선 전화기를 모두 연결할 수 있는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는, 무선 핸드셋과 데이터를 교환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같은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의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는 무선 핸드셋 충전외에 컴퓨터 시스템과 무선 핸드셋 간의 무선 신호를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데이터 송수신부가 USB 통신 케이블의 플러그와 접속되는 USB 커넥터를 포함하는 USB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가 USB 커넥터에 접속된 USB 통신 케이블을 통해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근거리 무선 통신부로 출력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는, 별도의 전원장치 없이도 컴퓨터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는 무선 핸드셋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 행하고, 컴퓨터 시스템과 USB 직렬 통신을 수행하여 컴퓨터 시스템과 무선 핸드셋 간의 인터넷 통신을 중계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른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는, PSTN 라인과 유선 전화 라인을 연결하는 전화라인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는, 무선 핸드셋과 컴퓨터 및 유선 전화기와 모두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후술하는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적인 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체적인 통신 시스템은 무선 핸드셋(10)과,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20)와, 전화기(70) 및 컴퓨터 시스템(100)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핸드셋(10)은 PSTN 라인 또는 인터넷망에 연결된 전화기(70)와 무선링크로 신호를 송수신한다. 나아가 무선 핸드셋(10)은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2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IEEE 802.11 a/b/g 표준을 따르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초광대역(Ultra Wide Band, UWB) 통신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핸드셋(10)은 하드웨어(H/W)의 경우, 블루투스(Bluetooth) 모듈과, 키패드와, 액정 표시장치와, 음성 송수화기와, 알람부와, 전원공급부 및 각 구성을 제어하며 롬과 램과 주변장치가 집적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핸드셋(10)은 소프트웨어(S/W)의 경우, 일반 전화 통화와, 인터넷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프로그램 등이 탑재될 수 있다. 이 같은 무선 핸드셋(10)은 인터넷 전화 호출 및 통화, 메일 전송, 단문 메시지 송신 등이 가능하며, 컴퓨터 시스템(100)으로부터 메일도착 메시지가 수신되면, 알람 또는 화면 표시도 가능하다.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20)는 무선 핸드셋(10)을 충전하는 기본적인 기능외에 컴퓨터 시스템(100)과 무선 핸드셋(10) 간의 인터넷 통신을 중계하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서,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20)는 무선 핸드셋(10)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한편,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20)와 컴퓨터 시스템(100)은 RS-232, USB 등과 같은 유선 통신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IEEE 802.11 a/b/g 표준을 따르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초광대역(Ultra Wide Band, UWB) 통신 등과 같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20)는 PSTN 라인과 유선 전화 라인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는, 무선 핸드셋(10)과 컴퓨터 시스템(100) 및 전화기(70)와 모두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20)의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 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전화기(70)는 유선 전화 교환망을 통해 다른 전화기와 호를 연결하는 일반 전화 통화모듈이 탑재된다. 이러한 전화기의 구성은 이 건 출원 이전에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컴퓨터 시스템(100)은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20)와 데이터를 교환하며, 나아가 인터넷망에 연결된 각종 웹 서버와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20) 간의 데이터를 중계한다. 컴퓨터 시스템(100)은 하드웨어(H/W)의 경우, RS-232, USB 등과 같은 유선 통신모듈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IEEE 802.11 a/b/g 표준을 따르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초광대역(Ultra Wide Band, UWB) 통신 등과 같은 무선 통신모듈과, 상대적으로 대용량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플래시 메모리와, 액정 표시장치와, 전원공급부 및 각 구성을 제어하며 롬과 램과 주변장치가 집적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100)은 소프트웨어(S/W)의 경우,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20)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응용 프로그램, 각종 인터넷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프로그램 등이 탑재될 수 있다. 이 소프트웨어는 유/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무선 핸드셋(10)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IP 패킷으로 변환하여 인터넷망으로 전송한다.
이하,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20)의 구성에 대하여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20)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상용전원을 입력받아 무선 핸드셋(10)을 충전하는 통상적으로 주지된 무선 핸드셋 충전 부(21)와, 무선 핸드셋(10)과 데이터를 교환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23) 및 데이터 송수신부(25)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23)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IEEE 802.11 a/b/g 표준을 따르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초광대역(Ultra Wide Band, UWB) 통신 등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부(23)는 예컨대, 전지를 통해 구동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부(25)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23)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컴퓨터 시스템(100)으로 전송하고, 컴퓨터 시스템(100)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부(23)로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송수신부(25)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23)와 동일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송수신부(25)는 USB 통신 케이블의 플러그와 접속되는 USB 커넥터를 포함하는 USB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상적으로, USB 통신 케이블은 컴퓨터 시스템(100)으로부터의 출력전원을 전송하는 두 개의 전원(Vcc, GND) 라인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두개의 데이터 라인(D+, D-)을 갖는다.
이 같은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20)는 USB 커넥터에 접속된 USB 통신 케이블을 통해 컴퓨터 시스템(100)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근거리 무선 통신부(23)로 출력하는 전원공급부(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23)와 데이터 송수신부(25)는 서로 상이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부(23)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231)와, 안테나(231)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컴퓨터 시스템(100)의 통신모듈에 맞게 변환하여 출력하고, 컴퓨터 시스템(100)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무선 핸드셋(10)의 통신모듈에 맞게 변환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변환부(232)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부(23)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다른 블루투스 응용단말간 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 유.에스.비 동글(Bluetooth USB dongle)로 구현될 수 있다. 블루투스 유.에스.비 동글(Bluetooth USB dongle)은 일반적으로 노트북이나 PC의 USB 단자에 연결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가능케하는 외장형 장치로서, 안테나와 블루투스 칩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20)는, PSTN 라인과 유선 전화 라인을 연결하는 전화라인 연결부(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20)는, 무선 핸드셋(10)과 컴퓨터 시스템(100)및 전화기(70)와 모두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는, 무선 핸드셋 충전뿐만 아니라 컴퓨터 시스템과 무선 핸드셋 간의 무선 신호를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는, 무선 핸드셋과 근거리 무 선 통신을 수행하고, 컴퓨터 시스템과 USB 직렬 통신을 수행하여 컴퓨터 시스템과 무선 핸드셋 간의 인터넷 통신을 중계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는, 무선 핸드셋과 컴퓨터 및 전화기와 모두 연결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라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삭제
  2.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에 있어서,
    무선 핸드셋과 데이터를 교환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되, USB 통신 케이블의 플러그와 접속되는 USB 커넥터가 구비된 USB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부;및
    상기 USB 커넥터에 접속된 USB 통신 케이블을 통해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로 출력하는 전원공급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가 :
    근거리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컴퓨터 시스템의 통신모듈에 맞게 변환하여 출력하고,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무선 핸드셋의 통신모듈에 맞게 변환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변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가 블루투스 유.에스.비 동글(Bluetooth USB dong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가 :
    PSTN 라인과 유선 전화 라인을 연결하는 전화라인 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
KR1020050095807A 2005-10-12 2005-10-12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 KR100733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807A KR100733160B1 (ko) 2005-10-12 2005-10-12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807A KR100733160B1 (ko) 2005-10-12 2005-10-12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0444A KR20070040444A (ko) 2007-04-17
KR100733160B1 true KR100733160B1 (ko) 2007-07-03

Family

ID=38176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5807A KR100733160B1 (ko) 2005-10-12 2005-10-12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31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09789A1 (en) * 2010-06-21 2011-12-22 Kyocera Wireless Corp Charger with data storage
KR20160116773A (ko) * 2015-03-31 2016-10-10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통신형 무선 충전기를 이용한 업소용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CN110428524B (zh) * 2019-07-30 2024-03-05 苏州星航综测科技有限公司 无电源无线充电供能式终端及其手持机远程加密管理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5067A (ko) * 2004-10-20 2006-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무선 전화기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합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5067A (ko) * 2004-10-20 2006-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무선 전화기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0444A (ko) 2007-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304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changing data and audio between cellular telephones and landline telephones
CN101110624A (zh) 一种蓝牙中继装置及其中继实现方法
CN102833432B (zh) 一种来电转发方法、装置及系统
JP2013229931A (ja) 通信システム
CN102523021A (zh) 一种蓝牙耳机与移动终端的通信方法和装置
KR100733160B1 (ko) 무선 핸드셋용 충전장치
CN1852460B (zh) 无线电话系统
CN101997944A (zh) 便携式电子装置
KR20090041761A (ko)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특정 환경을 측정하는방법 및 장치
CN102271185B (zh) 与通信基座无线连接的耳机基座
JP4188830B2 (ja) モジュール式データ装置
CN101536473A (zh) 用于延迟一键连接信道建立的方法和系统
KR200434157Y1 (ko) 무선 스테레오 헤드셋 및 무선데이터통신 어댑터 겸용 장치
CN201414155Y (zh) 一种具有蓝牙功能的多功能电话
CN106681437B (zh) 承载设备及电子设备附件
WO2009099216A1 (ja) 接続機器、コードレス電話親機及び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
JP2001077893A (ja) 携帯端末アダプター
KR20020057386A (ko) 인터넷망 이용 무선통신장치 및 그 방법
KR200205570Y1 (ko) 노트북 컴퓨터와 휴대전화기의 연결구조
KR20060035067A (ko) 유/무선 전화기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합 장치
JP2006279949A (ja) ネットワーク通信設備及びこれを使用したネットワーク通信システム
KR100343157B1 (ko) 스피커폰기능을제공하는크래들
KR20070112581A (ko) 블루투스 오디오 게이트웨이
KR100831362B1 (ko) 듀얼 폰 지원을 위한 착탈형 휴대 단말기 케이스.
KR20040022321A (ko) 디지털 신호처리 모듈들을 선택적으로 구비하는 무선 랜전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