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3025B1 - 안전 병마개의 구조 - Google Patents

안전 병마개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3025B1
KR100733025B1 KR1020060046636A KR20060046636A KR100733025B1 KR 100733025 B1 KR100733025 B1 KR 100733025B1 KR 1020060046636 A KR1020060046636 A KR 1020060046636A KR 20060046636 A KR20060046636 A KR 20060046636A KR 100733025 B1 KR100733025 B1 KR 100733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ap
tooth
rotating plate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6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인석
Original Assignee
윤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인석 filed Critical 윤인석
Priority to KR1020060046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30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3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3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0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 B65D50/02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65D55/14Applications of locks, e.g. of permutation or key-controlled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7/00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 E05B37/02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with tumbler discs or rings arranged on a single axis, each disc being adjustable independently of the o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15/00Child-proof means
    • B65D2215/02Child-proof mea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simultaneous a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병마개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밀번호 설정이 가능하며, 설정된 비밀번호에 의해서 회전판의 키와 작동판의 키홈이 일치하여 질 때에만 병마개를 열 수 있으므로 귀중품을 보관하는 연구실이나 회사 및 가정에서 더욱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비밀번호 또한 재사용 가능한 안전 병마개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안전 병마개의 구조에 의하면, 숫자가 새겨진 회전판에 의해서 비밀번호 설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비밀번호가 맞아 회전판의 키와 작동판의 키홈이 일치되었을 때에만 열림 작동을 하는 제 1걸림판의 내치 톱니와 내캡의 상부 외치 톱니의 치합이 일어남으로써 병에 체결된 내캡을 회전시켜 열 수 있으므로 각 회사나 가정에서는 병을 보다 안전하게 보관하거나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회전판과 작동판을 동시에 회전시켜 노출된 비밀번호를 새로운 비밀번호로 쉽게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병마개, 톱니, 회전판, 작동판, 외캡

Description

안전 병마개의 구조{A structure of bottle cap with safet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병마개의 구조를 전체 도시한 분리 사시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병마개의 구조를 전체 도시한 분리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외캡과 작동판을 도시한 절개 사시도.
도 4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병마개의 구조를 일부 결합한 단면도이고, "나"는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외캡과 작동판의 치합을 도시한 개략적 확대 평면도.
도 6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 1걸림판과 내캡의 상부 외치 톱니와의 개략적 작동도이고, "나"는 제 2걸림판과 내캡의 하부 외치 톱니와의 개략적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병마개의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개략적 작동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병마개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결합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 발명의 안전 병마개의 구조 110 : 회전판
112 : 숫자 114 : 키
116 : 체결공 120 : 외캡
122 : 투시구 123 : 조작구
124 : 중심축 126 : 걸림턱
127 : 내치 기어 128 : 삽입부
129 : 안치턱 130 : 제 1걸림판
132 : 내치 톱니 140 : 제 2걸림판
142 : 내치 톱니 150 : 작동판
152 : 돌기부 153 : 피니언
154 : 키홈 156 : 걸림턱
158 : 삽입부 160 : 내캡
162 : 돌기부 164 : 개구부
166 : 상단부 외치 톱니 168 : 하단부 외치 톱니
170a : 제 1회전판 170b : 제 2회전판
180a : 제 1작동판 180b : 제 2작동판
182 : 안치부 200 : 병
본 발명은 안전 병마개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밀번호 설정이 가능하며, 설정된 비밀번호에 의해서회전판의 키와 작동판의 키홈이 일치하여 질 때에만 병마개를 열 수 있으므로 귀중품을 보관하는 연구실이나 회사 및 가정에서 더욱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비밀번호 또한 변경이 용이하여 재사용 가능한 안전 병마개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마개는 병의 출구에 구비되는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열거나 잠글 수 있도록 형성된다. 통상 종래의 병마개는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하부로 개방되되 그 내부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병 출구에 형성된 숫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종래의 병마개는 누구나 열 수 있는데, 이러한 이유로 귀중한 시약을 보관하는 연구실이나 회사에서는 여러 피해가 발생되었음은 당연하고 특히, 가정에서는 어린이들의 손에 닿으면 곤란한 약병을 어떻게 할 방법이 없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밀번호를 통해 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구실이나 회사 및 가정에서는 병을 더욱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비밀번호의 변경 또한 가능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안전 병마개의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면에는 숫자가 새겨지고, 하면에는 키가 돌출되며, 중심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회전판;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회전판과 결합되며, 중심부에 상기 회전판이 결합되도록 중심축이 형성되되 상기 중심축의 내부에는 걸림턱과 내치기어가 형성된 삽입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회전판이 안치되는 안치턱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회전판을 돌리거나 새겨진 숫자를 맞출 수 있는 투시구가 형성된 외캡; 상기 외캡의 하부로 삽입되어 내주면에 형성된 상기 안치턱의 하면에 부착되며, 내치 톱니가 형성된 제 1걸림판; 상기 외캡의 하부로 삽입되어 제 1걸림판의 하부에 부착되며, 상기 제 1걸림판의 내치 톱니와 반대되는 방향의 기울기를 가지는 내치 톱니가 형성된 제 2걸림판; 상기 외캡의 중심축 삽입부로 삽입되어 내치기어와 치합되도록 상면에는 피니언이 구비된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판의 키가 삽입되는 키홈이 형성되며, 하면에는 내부에 걸림턱이 구비된 삽입부가 형성되는 작동판 및 상기 작동판의 삽입부로 삽입되도록 상면에 돌기부가 돌출 형성되며, 하부는 병을 체결하는 암나사부를 가지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상기 제 1걸림판과 제 2걸림판의 내치 톱니와 치합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내치 톱니에 대응하여 각각 반대 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는 두개의 외치 톱니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내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판은 제 1회전판 및 상기 제 1회전판의 내측으로 회전가능토록 구비되는 제 2회전판으로 구성되어, 일 및 십의 자리 숫자를 각각 나타내고, 상기 작동판은 제 1작동판 및 상기 제 1작동판의 안치부에 안치되며, 상기 제 2회전판의 키가 삽입되는 키홈이 형성되는 제 2작동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두 자리 숫자가 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안전 병마개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병마개의 구조를 전체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병마개의 구조를 전체 도시한 분리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외캡과 작동판을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안전 병마개의 구조(100)는 크게 회전판(110), 상기 회전판(110)을 내측에 결합하는 외캡(120), 상기 외캡(120)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제 1걸림판(130), 상기 외캡(1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 1걸림판(130) 하부에 부착되는 제 2걸림판(140), 상기 외캡(120)의 내부로 치합되는 작동판(150) 및 상기 작동판(150)에 다시 결합되는 내캡(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판(110)은 상면에 숫자(112)가 새겨지고, 하면에는 키(114)가 돌출되며, 중심에는 체결공(11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판(110)의 상면에는 숫 자(112) 대신에 일반문자 내지 각종 특수문자 등을 다양하게 새길 수 있음은 명백하다.
상기 외캡(120)은 원통형 형상으로 하부가 개방되고, 중심부에 상기 회전판(110)이 끼움되도록 내부에 중심축(124)이 형성되는데, 상기 중심축(124)의 내부에는 걸림턱(126)과 내치기어(127)가 구비된 삽입부(128)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회전판(110)이 안치된 후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안치턱(129)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회전판(110)을 돌리거나 새겨진 숫자(112)를 맞출 수 있는 투시구(122)가 형성된다.(도 3참조)
아울러, 상기 안치턱(129)은 외캡(120)의 내주면 내벽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안치턱(129)은 회전판(110)을 안치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이므로 그 위치를 한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또한, 상기 외캡(120)의 상면에는 투시구(122)의 타측으로 별도의 조작구(123)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투시구(122)의 역할을 분할할 수 있도록 구현된 것임을 인지하여야 될 것이다. 즉, 조작구(123)를 통해서는 회전판(110)을 회전시키고, 투시구(122)를 통해서는 숫자(112)를 확인하는 것이다.
상기 제 1걸림판(130)은 상기 외캡(120)의 하부로 삽입되어 내주면 하면에 부착되며, 내치 톱니(132)가 형성된다. 상기 내치 톱니(132)는 왼쪽으로 기울기를 가지도록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걸림판(140)은 상기 외캡(120)의 하부로 삽입되어 제 1걸림판(130)의 하부에 부착되며, 상기 제 1걸림판(130)의 내치 톱니(132)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는 내치 톱니(142)가 형성되는데 즉, 오른쪽으로 기울기를 가지는 내치 톱니(142)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 2걸림판(140)의 두께(t)는 상기 제 1걸림판(130)의 두께(t')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는데, 즉 두께(t)에 의해서 하부로 치합될 내캡(160)의 하단부 외치기어(168)와 상시 치합될 수 있도록 구현된 것으로써, 하기에서 더욱 상술하겠다.
상기 작동판(150)의 상면에는 상기 외캡(120)의 중심축(124) 삽입부(128)로 삽입되어 내치기어(127)와 치합되도록 피니언(153)이 구비된 돌기부(152)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152)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판(110)의 키(114)가 삽입되는 키홈(154)이 형성되며, 하면에는 내부에 걸림턱(156)이 형성된 삽입부(158)가 형성된다.(도 3참조)
상기 내캡(160)은 상기 작동판(150)의 삽입부(158) 내부로 삽입되는 돌기부(162)가 상면에 돌출 형성되며, 하부는 병(200)을 체결하는 암나사부를 가지는 개구부(164)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상기 제 1걸림판(130)과 제 2걸림판(140)의 내치 톱니(132)(142)와 치합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내치 톱니(132)(142)에 대응하여 각각 반대 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는 두개의 외치 톱니(166)(168)가 순차적으 로 형성된다.
결국, 상기 두개의 외치 톱니(166)(168) 중 상단부에 형성된 외치 톱니(166)는 상기 제 1걸림판(130)의 내치 톱니(132) 기울기와 반대되도록 오른쪽으로 기울기를 가지며, 하단부에 형성된 외치 톱니(168)는 제 2걸림판(140)의 내치 톱니(142) 기울기와 반대되도록 왼쪽으로 기울기를 가지도록 구현된 것이다.
도 4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병마개의 구조를 일부 결합한 단면도이고, "나"는 결합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로 하여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외캡(120)의 내측 최상단에는 회전판(110)이 체결공을 매개로 회전가능토록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회전판(110)은 외캡(120)의 내부로 삽입된 후 그 내벽에 형성된 안치턱(129)에 의해서 지지된다.
또한, 상기 회전판(110)의 아래로 제 1걸림판(130)과 제 2걸림판(140)이 순차적으로 삽입되는데, 이들은 고정 부착된다. 이때, 상기 외캡(120)의 상면에 형성된 투시구(122) 및 조작구(123)를 통해 회전판(110)을 회전시킬 수 있음은 너무나 당연하다.
아울러, 작동판(150)의 삽입부(158)에는 내캡(160)의 돌기부(162)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내캡(160)의 돌기부(162)는 상기 작동판(150)의 삽입부 내의 걸림 턱(156)에 안치 결합되어 회전 가능토록 지지된다.
계속해서, "나"를 참조로 하면, 외캡(120)의 중심축(124) 삽입부(128)로 작동판(150)의 돌기부(152)가 결합됨으로써 본 발명의 안전 병마개의 구조(100)가 완전 결합된다. 즉, 상기 작동판(150)의 돌기부(152) 상단에 구비된 피니언(153)이 외캡(120)의 삽입부(128) 내치기어(127)와 치합됨과 동시에 걸림턱(126)에 지지되는 것으로써, 외캡(120)을 회전시키면 치합된 작동판(150)이 같이 회전토록 구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작동판(150)의 돌기부(152)가 결합된 삽입부(128)에는 상측 방향으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외캡(120)이 상하 슬라이딩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것이다.
아울러, 안전 병마개의 구조(100)를 좀더 상세히 살피면, 상기 외캡(120)의 내부에 부착된 제 1걸림판(130)의 내치 톱니(132)가 최상단에 위치되고, 그 아래로 내캡(160)의 상단부 외치 톱니(166)가 위치되며, 그 아래로 제 2걸림판(140)의 내치 톱니(142)가 위치되고, 그 아래로 내캡(160)의 하단부 외치 톱니(168)가 위치되되 상기 제 2걸림판(140)의 내치 톱니(142) 하부에서 치합됨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외캡과 작동판의 치합을 도시한 개략적 확대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작동판(150)의 돌기부(152) 상부에 구비된 피니언(153)과 외캡(120)에 형성된 중심축(124)의 삽입부(128) 내치기어(127)와의 치합 상태를 알 수 있다.
즉, 상기 외캡(120)과 작동판(150)은 피니언(153)과 내치기어(127)의 치합으로 인해 동시에 회전됨은 당연하지만 둘 중 하나를 강제로 회전시키고자 할 때 약간 빡빡하지만 그래도 하나만 회전될 수 있도록 피니언(153)과 내치기어(127)의 치합력이 그다지 우수하지 않도록 구현됨을 알 수 있다.
도 6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 1걸림판과 내캡의 상부 외치 톱니와의 개략적 작동도이고, "나"는 제 2걸림판과 내캡의 하부 외치 톱니와의 개략적 작동도이다.
먼저 "가"는 외캡(120)의 내부에 부착되되, 왼쪽으로 기울기를 가지는 제 1걸림판(130)의 내치 톱니(132)와 오른쪽으로 기울기를 가지는 내캡(160)의 상단부 외치 톱니(166)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면을 참조로 하면, 제 1걸림판(130)을 왼쪽으로 회전시킬 때에만 내캡(160)의 상단부 외치 톱니(166)와 치합됨을 알 수 있고, 오른쪽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 1걸림판(130)의 내치 톱니(132)가 가지는 기울기에 의해서 내캡(160)의 외치 톱니(166)를 겉돌도록 구현됨을 알 수 있다. 결국, 병(200)에 체결되는 내캡(160)을 왼쪽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반면 오른쪽으론 회전시키지 못하도록 치합되는 것으로써, 열림 전용 치합인 것이다.
또한, "나"는 외캡(120)의 내부에 부착되되, 오른쪽으로 기울기를 가지는 제 2걸림판(140)의 내치 톱니(142)와 왼쪽으로 기울기를 가지는 내캡(160)의 하부 외치 톱니(168)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면을 참조로 하면, 제 2걸림판(140)을 오른쪽으로 회전시킬 때에만 내캡(160)의 하부 외치 톱니(168)와 치합됨을 알 수 있고, 왼쪽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 2걸림판(140)의 내치 톱니(142)가 기울기에 의해서 내캡(160)의 외치 톱니(168)를 겉돌도록 구현됨을 알 수 있다. 결국, 병(200)에 체결되는 내캡(160)을 오른쪽으론 회전시킬 수 있는 반면 왼쪽으론 회전시키지 못하도록 치합되는 것으로써, 잠금 전용 치합인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제 1걸림판(130)의 내치 톱니(132)와 내캡(160)의 상단부 외치 톱니(166)가 치합되면 병(200)에 체결되는 내캡(160)을 왼쪽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열 수 있고, 상기 제 2걸림판(140)의 내치 톱니(142)와 내캡(160)의 하단부 외치 톱니(168)가 치합되면 내캡(160)을 오른쪽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잠글 수 있도록 구현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병마개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개략적 작동도이다.
도 7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안전 병마개(100)는 통상의 병마개와 마찬가지로 병(200)에 체결되어 사용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도 8을 참조로 하여 먼저 "가"의 종단면도와 우측 평면도를 동시에 참조하면, 외캡(120)의 내부에 구비된 회전판(110)의 키(114)와 하부 작동판(150)의 키홈(154)이 상호 엇갈려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걸림판(130)의 내치 톱니(132)와 내캡(160)의 상단부 외치 톱니(166)는 상호 치합되지 않으며, 다만 제 2걸림판(140)의 내치 톱니(142)와 내캡(160)의 하단부 외치 톱니(168)만이 치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제 2걸림판(140)의 내치 톱니(142)와 내캡(160)의 하단부 외치 톱니(168)만이 치합되어 있어 상기 도6의 "나"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외캡(120)을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면 병(200)에 체결된 내캡(160)을 회전시킬 수 있지만 이와 반대로 외캡(120)을 왼쪽으로 회전시키면 외캡(120)만이 헛돌게 된다. 그러므로, 병(200)을 상시 잠글 수는 있지만 열수는 없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아울러, 회전판(110)의 키(114)와 하부 작동판(150)의 키홈(154)이 일치될 때 투시구(122)를 통해 보여 지는 회전판(110)의 숫자(112)가 7이 되도록 최초 셋팅되어 있다 가정하면, 이 안전 병마개(100)의 비밀번호가 7이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나"를 참조로 하면, 투시구(122)나 조작구(123)를 통해 투시구(122)에 숫자(112) 7이 보여 지도록 회전판(110)을 돌리게 되면, 회전판(110)의 키(114)와 작동판(150)의 키홈(154)이 수직선상으로 일치된다.
이때, "다"를 참조로 하면, 회전판(110)의 키(114)와 키홈(154)이 일치됨으 로 외캡(120)의 하향이 가능하다. 즉, 외캡(120)을 하향시키면 회전판(110)의 키(114)는 키홈(154)으로 내입될 것이고, 동시에 제 1걸림판(130)의 내치 톱니(132)와 내캡(160)의 상단부 외치 톱니(166)가 치합됨을 알 수 있다. 더불어, 외캡(120)이 비록 하향되지만 비교적 두꺼운 두께(t)로 형성된 제 2걸림판(140)의 내치 톱니(142)와 내캡(160)의 하부 외치 톱니(168)는 상시 치합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결국, 외캡(120)의 하향으로 인해 내캡(160)의 상 하단부 외치 톱니(166)(168)와 외캡(120)에 고정 부착된 제 1,2걸림판(130)(140)의 내치 톱니(132)(142)가 전부 치합되고, 회전판(110)은 작동판(150)과 키(114) 결합된다. 또한, 상기 작동판(150)은 외캡(120)과 기어 결합되어 있으므로 전체가 한 덩어리로 결합되는 것이다.
하향된 외캡(120)을 왼쪽으로 회전시키면 제 1걸림턱(130)의 내치 톱니(132)와 내캡(160)의 상단부 외치 톱니(166)의 치합으로 병을 열 수 있을 것이고, 반대로 회전시키면 상시 치합되어 있는 제 2걸림턱(140)의 내치 톱니(142)와 내캡(160)의 하단부 외치 톱니(168)의 치합으로 병(200)을 막음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병(200)을 열어 사용한 후 이를 초기 잠금 상태로 복원시키기 위해서, 외캡(120)을 상승시키면 회전판(110)의 키(114)가 작동판(150)의 키홈(154)에서 분리될 것이며, 그런 후 상승된 회전판(110)을 회전시켜 키(114)와 작동판(150)의 키홈(154)이 서로 엇갈리도록 하면 잠금 상태로 복원되는 것이다.
한편 "라"를 참조로 하면, 회전판(110)의 키(114)가 작동판(150)의 키홈(154)으로 내입된 상기 "다"의 상태에서, 외캡(120)의 회전으로 전체가 회전됨은 물론이고 내캡(160)을 회전시켜 잠그거나 여는 작동과는 달리, 외캡(120)은 그대로 두고 외캡(120)의 상면에 형성된 투시구(122)나 조작구(123)를 통해 회전판(110)을 회전시키면 이에 키(114) 결합되어 있는 작동판(150)이 같이 회전될 것인데, 이때 비밀번호를 변경시킬 수 있음을 예시한 것이다.
비록, 상기 작동판(150)은 외캡(120)의 삽입부(128) 내치 기어(127)와 피니언(153)으로 기어 결합되어 있지만 그 치합력이 그다지 우수하지 않으므로 강제로 회전시키면 약간 빡빡하지만 그래도 회전될 것이다.
계속해서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외캡(120)의 투시구(122)에는 최초 셋팅된 비밀번호 7이 보여 지고 있다. 이때, 외캡(120)의 투시구(122)나 조작구(123)를 통해 회전판(110)을 오른쪽으로 두 칸 회전시키면 투시구(122)에는 5가 보여 지게 될 것이고, 회전판(110)의 키(114)와 작동판(150)의 키홈(154) 또한 오른쪽으로 두 칸 이동될 것이다. 이 다음부터는 투시구(122)에 5라는 숫자를 맞추게 되면 키(114)와 키홈(154)이 일치될 것이므로 비밀번호가 7에서 5로 변경된 것이다.
그러므로, 비밀번호의 노출시에도 다른 비밀번호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재사용이 가능한 큰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병마개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상기한 본 발명의 안전 병마개의 구조(100)와 동일하지만 두 자리의 비밀번호를 가질 수 있도록 회전판(110)이 제 1,2회전판(170a)(170b)으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제 1,2회전판(170a)(170b)에 키(114) 결합되는 작동판(150)이 제 1,2작동판(180a)(180b)으로 분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상기 제 1회전판(170a)의 상면에는 숫자(112)가 새겨지고, 하면에는 키(114)가 돌출되며, 중심에는 체결공(11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회전판(170b)은 상기 제 1회전판(170a)의 체결공(116)으로 회전가능토록 끼움되되 그 상면에도 숫자(112)가 새겨짐은 당연하고 하면에는 키(114)가 돌출된다.
상기 제 1작동판(180a)의 상면에는 외캡(120)의 중심축(124) 내부로 삽입되어 기어 결합토록 피니언(153)이 구비된 돌기부(152)가 형성됨과 동시에 안치부(182)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152)의 일측에는 상기 제 1회전판(170a)의 키(114)가 삽입되는 키홈(154)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내부에 걸림턱(156)이 형성된 삽입부(158)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 2작동판(180b)은 상기 제 1작동판(180a)의 안치부(182)에 안치되며, 상면에는 상기 제 2회전판(170b)의 키(114)가 삽입되는 키홈(15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8을 참조로 하면, 외캡(120)의 내부 최상단에는 제 1회전판(170a) 및 그 내부에 끼움된 제 2회전판(170b)이 중심축(124)을 매개로 삽입되어 외캡(120)의 내부에 형성된 두 개의 안치턱(129)에 각각 지지됨을 알 수 있고, 그 하부로 제 1걸림판(130) 및 제 2걸림판(140)이 고정 부착되며, 또한 제 1작동판(180a) 및 제 2작동판(180b)이 위치됨과 아울러 내캡(160)이 위치된다.
이렇게 제 1회전판(170a) 및 제 2회전판(170b)과 제 1작동판(180a) 및 제 2작동판(180b)으로 구성되면, 두 자리의 비밀번호를 맞춰야만 외캡(120)이 하향되어 내캡(160)을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경우의 수를 더욱 넓게 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병마개(100)를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방법을 응용하면 세 자리 비밀번호도 가능함을 인지하여야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안전 병마개의 구조(100)에 의하면, 숫자(112)가 새겨진 회전판(110)의 비밀번호가 맞아 회전판(110)의 키(114)와 작동판(150)의 키홈(154)이 일치되었을 때에만 외캡(120)이 하향되어 열림 작동을 하는 제 1걸림판(130)의 내치 톱니(132)와 내캡(160)의 상부 외치 톱니(166)가 상호 치합됨으로써 내캡(160)을 돌려 열 수 있으므로 각 회사나 가정에서는 병(200)을 보다 안전하게 보관하거나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회전판(110)과 작동판(150)을 동시에 회전시켜 노출된 비밀번호를 새로운 비밀번호로 쉽게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재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 병마개의 구조에 의하면, 숫자가 새겨진 회전판의 비밀번호가 맞아 회전판의 키와 작동판의 키홈이 일치되었을 때에만 외캡이 하향되어 열림 작동을 하는 제 1걸림판의 내치 톱니와 내캡의 상부 외치 톱니가 상호 치합됨으로써 내캡을 돌려 열 수 있으므로 각 회사나 가정에서는 병을 보다 안전하게 보관하거나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회전판과 작동판 만을 동시에 회전시키면 노출된 비밀번호를 새로운 비밀번호로 쉽게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2)

  1. 안전 병마개의 구조에 있어서,
    상면에는 숫자가 새겨지고, 하면에는 키가 돌출되며, 중심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회전판;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회전판과 결합되며, 중심부에 상기 회전판이 결합되도록 중심축이 형성되되 상기 중심축의 내부에는 걸림턱과 내치기어가 형성된 삽입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회전판이 안치되는 안치턱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회전판을 돌리거나 새겨진 숫자를 맞출 수 있는 투시구가 형성된 외캡;
    상기 외캡의 하부로 삽입되어 내주면에 형성된 상기 안치턱의 하면에 부착되며, 내치 톱니가 형성된 제 1걸림판;
    상기 외캡의 하부로 삽입되어 제 1걸림판의 하부에 부착되며, 상기 제 1걸림판의 내치 톱니와 반대되는 방향의 기울기를 가지는 내치 톱니가 형성된 제 2걸림판;
    상기 외캡의 중심축 삽입부로 삽입되어 내치기어와 치합되도록 상면에는 피니언이 구비된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판의 키가 삽입되는 키홈이 형성되며, 하면에는 내부에 걸림턱이 구비된 삽입부가 형성되는 작동판; 및
    상기 작동판의 삽입부로 삽입되도록 상면에 돌기부가 돌출 형성되며, 하부는 병을 체결하는 암나사부를 가지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상기 제 1걸림판과 제 2걸림판의 내치 톱니와 치합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내치 톱니에 대응하여 각각 반대 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는 두개의 외치 톱니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내캡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병마개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제 1회전판 및 상기 제 1회전판의 내측으로 회전가능토록 구비되는 제 2회전판으로 구성되어, 일 및 십의 자리 숫자를 각각 나타내고,
    상기 작동판은 제 1작동판 및 상기 제 1작동판의 안치부에 안치되며, 상기 제 2회전판의 키가 삽입되는 키홈이 형성되는 제 2작동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두 자리 숫자가 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병마개의 구조.
KR1020060046636A 2006-05-24 2006-05-24 안전 병마개의 구조 KR100733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636A KR100733025B1 (ko) 2006-05-24 2006-05-24 안전 병마개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636A KR100733025B1 (ko) 2006-05-24 2006-05-24 안전 병마개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3025B1 true KR100733025B1 (ko) 2007-06-28

Family

ID=38373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6636A KR100733025B1 (ko) 2006-05-24 2006-05-24 안전 병마개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302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691A (ko) * 1990-04-02 1992-04-03 원본미기재 인터루킨-1 매개병의 치료방법
JPH06100011A (ja) * 1992-09-10 1994-04-12 Osada Noriharu ロック付容器
JPH07172455A (ja) * 1993-12-15 1995-07-11 Tatsumi Kogyo Kk 開放確認標示付きネジコミビン栓
JP2004149197A (ja) * 2002-10-31 2004-05-27 Yoshino Kogyosho Co Ltd 中空容器の安全蓋体と該蓋体を装着した液体容器
KR20050080069A (ko) * 2005-07-08 2005-08-11 백승태 안전캡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691A (ko) * 1990-04-02 1992-04-03 원본미기재 인터루킨-1 매개병의 치료방법
JPH06100011A (ja) * 1992-09-10 1994-04-12 Osada Noriharu ロック付容器
JPH07172455A (ja) * 1993-12-15 1995-07-11 Tatsumi Kogyo Kk 開放確認標示付きネジコミビン栓
JP2004149197A (ja) * 2002-10-31 2004-05-27 Yoshino Kogyosho Co Ltd 中空容器の安全蓋体と該蓋体を装着した液体容器
KR20050080069A (ko) * 2005-07-08 2005-08-11 백승태 안전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4882B2 (en) Lockable cap for a bottle
US4512484A (en) Locking screw cap
US6848283B1 (en) Combination lock capable of being opened by a key or inhibited the same
US10378192B2 (en) Double-acting tamper-resistant aerator and aerator system
US20130043204A1 (en) Lockable cap for a bottle
US8341986B2 (en) Key box construction
NO780929L (no) Lukkeanordning for flaske eller beholder og noekkel for bruk i forbindelse med samme
KR100675143B1 (ko) 안전 병마개의 구조
KR100733025B1 (ko) 안전 병마개의 구조
MX2008002223A (es) Recipiente de extremo abierto que tiene tapa de seguridad.
US20110079054A1 (en) Dual Custody Privacy Padlock
US10876322B2 (en) Locking device
US8091719B2 (en) Container cap
US7413095B2 (en) Vandal resistant locking cap with limited tightening torque
US3472409A (en) Safety closure for containers
US6032811A (en) Child resistant cap assembly
US2018745A (en) Combination lock
US5839301A (en) Combination lock
KR101257718B1 (ko) 맨홀 뚜껑의 열쇠구멍용 폐색마개 잠금장치
CA2929801C (en) Secured storage apparatus
US20130341298A1 (en) Bottle lock
JP2018039568A (ja) 広口容器
CN102614008B (zh) 一次性包皮环切吻合器
JP5785060B2 (ja) 混合容器
JPS635872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