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950B1 - 스프레이 건 - Google Patents

스프레이 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950B1
KR100732950B1 KR1020067005497A KR20067005497A KR100732950B1 KR 100732950 B1 KR100732950 B1 KR 100732950B1 KR 1020067005497 A KR1020067005497 A KR 1020067005497A KR 20067005497 A KR20067005497 A KR 20067005497A KR 100732950 B1 KR100732950 B1 KR 100732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aint
hole
injection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5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0042A (ko
Inventor
히로오미 쿠와하라
Original Assignee
카코오조오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코오조오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코오조오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05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2950B1/ko
Publication of KR20060060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0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8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integral means for shielding the discharged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limit area of spray; with integral means for catching drips or collecting surplu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Landscapes

  • Nozzles (AREA)

Abstract

조작부재(6)의 조작에 의해 본체 프레임(5)에 설치된 도료 분사부(3)로부터 도료가 분무형상으로 분사되는 스프레이 건에 있어서, 도료 분사부(3)로부터 분사된 분무형상의 도료의 주위를 포위하는 커버링 에어 플로우를 형성하기 위한 공기분사수단(4A,4B)을 본체 프레임(5)의 두께부나 내부공간 내에 형성함과 아울러, 조작부재(6)의 조작에 관련하여 공기분사수단(4A,4B)에 의한 커버링 에어 플로우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프레이 건{SPRAY GUN}
본 발명은, 압력도료액을 분무형상으로 분사시키도록 이루어진 스프레이 건에 관한 것이다.
조작부재의 조작에 의해 본체 프레임에 설치한 도료 분사부로부터 도료를 분무형상으로 분사시키도록 이루어진 스프레이 건은 존재하고 있고, 또한 스프레이 건에 부속적으로 장착되는 것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도록 이루어진 환상 공기분사장치는 존재하고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공보 제2917019호 공보 및 일본 특허 제2990604호 공보 참조).
상기 환상 공기분사장치를 상기 스프레이 건에 장착하여 사용하면, 상기 환상 공기분사장치로부터 분사되어 형성된 커버링 에어 플로우(covering air flow)가, 상기 스프레이 건의 도료 분사부로부터 분사되어 형성된 분무형상 도료액류의 주위를 포위하여, 공해의 요인이 되는 도료액의 쓸데 없는 비산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게 된다.
상기 종래의 환상 공기분사장치는 사용에 있어서, 스프레이 건의 본체 프레임에 장착하는 것이 필요한 것 이외에, 압축공기를 분사시킬 때에는 스프레이 건의 도료분사를 위한 조작부재와는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조작부재를 조작하는 것이 필 요하게 되어, 사용상 불편한 것 외에, 사용 후에는 환상 공기분사장치나 스프레이 건의 세부에 도료가 부착되는 경우가 있어서, 이 부착된 도료의 제거에 수고가 든다는 것 등의 불편이 있다.
본 발명은, 이들 실정에 대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스프레이 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작부재의 조작에 의해 본체 프레임에 설치된 도료 분사부로부터 도료가 분무형상으로 분사되는 스프레이 건에 있어서, 상기 도료 분사부를 압력 도료 분사부로 하고, 상기 압력 도료 분사부는 내측구멍과 분사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내측구멍 내로 유입된 압력 도료액을 상기 분사구멍으로 분출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압력 도료 분사부로부터 분사된 도료의 주위를 포위하는 커버링 에어 플로우를 형성하기 위한 공기분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공기분사수단은 공기분사부 및 압축공기 공급부를 구비하며, 상기 공기분사부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전후방향부의 앞끝부에 나사 결합된 환상 분사구멍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환상 분사구멍부재의 환상 앞면의 둘레방향의 특정 피치 개소에 전후방향의 분사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분사구멍의 각각의 중심선을 이것의 대응하는 상기 환상 분사구멍부재의 반경선 주위로 경사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는 본체 프레임 및 이것과 동 체상(同體狀)으로 고정되는 부재의 안쪽에 형성된 공기밸브를 구비한 것으로 이루어져 있고, 또한 상기 공기밸브의 공기 출구측과 상기 환상 분사구멍부재의 상기 분사구멍과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두께부에 형성되는 공기 유통로로 연통되어 있고,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에 관련하여 상기 공기밸브가 개방되는 것에 의해 상기 공기 분사부의 상기 분사구멍으로부터 공기가 분사되어 상기 커버링 에어 플로우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것에 의하면, 상기 공기분사수단으로부터 분출되어 형성된 커버링 에어 플로우가 상기 압력 도료 분사부로부터 분출된 분무형상 도료액류의 주위를 포위하여, 도료액의 바람에 의한 쓸데 없는 비산이나 이것에 기인한 공해를 억제하게 된다. 그리고, 종래의 환상 공기분사장치를 대신하는 상기 공기분사수단이 상기 본체 프레임 및 이것에 동 체상(同體狀)으로 고정되는 부재에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환상 공기분사장치와 같이 스프레이 건에 별도로 부착한다는 수고가 불필요하게 되는 것이고, 또한 단일의 조작부재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공기분사수단에 의한 커버링 에어 플로우가 형성되게 되고, 또한 압력도료가 분사되는 것이고, 또한 종래의 환상 공기분사장치가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환상 공기분사장치 자체나, 이 환상 공기분사장치와 스프레이 건의 본체 프레임의 간극 개소 등에 도료액이 부착되는 등의 사태는 생기지 않게 된다.
상기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체화하는 것으로서, 즉, 조작부재의 조작에 의해 본체 프레임에 설치된 도료 분사부로부터 도료가 분무형상으로 분사되는 스프레이 건에 있어서, 상기 도료 분사부를 압력 도료 분사부로 하고, 상기 압력 도료 분사부는 내측구멍과 분사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내측구멍 내로 유입된 압력 도료액을 상기 분사구멍으로 분출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압력 도료 분사부로부터 분사된 도료의 주위를 포위하는 커버링 에어 플로우를 형성하기 위한 압축공기를 분사하도록 이루어진 공기분사부를 설치하고, 상기 공기분사부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전후방향부의 앞끝부에 나사 결합된 환상 분사구멍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환상분사구멍부재의 환상 앞면의 둘레방향의 특정 피치 개소에 전후방향의 분사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분사구멍의 각각의 중심선을 이것의 대응하는 상기 환상 분사구멍부재의 반경선 주위로 경사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고, 또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받아들이기 위한 공기도입구를 설치하고, 이 공기도입부로부터 받아들인 압축공기를 상기 공기분사부까지 유통시키기 위한 공기유통로를 본체 프레임의 두께부에 형성하고, 이 공기유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공기밸브를 본체 프레임 및 이것에 동 체상(同體狀)으로 고정되는 부재의 안쪽에 설치하고, 또한 상기 공기밸브로부터 상기 공기유통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유통구멍의 도중에 공기유량조정부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환상 분사구멍부재의 중앙개소의 전방측에 상기 압력도료분사부의 압력도료밸브부 및 분사구멍부재를 배치하고, 또한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에 관련하여 상기 공기 밸브 및 상기 압력도료밸브부를 개폐작동시키기 위한 연동수단을 설치하고, 이때, 상기 공기밸브가 상기 압력도료밸브부보다 먼저 개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것에 의하면, 상기 발명과 마찬가지의 작용이 얻어지는 것이고, 또한 상기 공기 도입구로부터 받아들여진 압축공기가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에 더 확실하게 상기 압력도료 분사부로부터 분사되게 된다.
이 때, 예컨대, 상기 본체 프레임의 전후방향부의 최전방부에 상기 압력 도료 분사부를 설치하고, 이것의 후방측에 상기 압력도료 분사부의 압력도료밸브부를 개폐 작동시키기 위한 전후방향 입력 봉부재를 설치하고, 이 입력 봉부재의 후방부에 상기 공기밸브의 일부를 이루는 공기밸브체를 설치하고, 상기 조작부재와 상기 입력 봉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본체 프레임에 안내되고 전후방향 변위되는 소경 축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소경축부재가 전후 변위되고 상기 전후 변위에 연동하여 상기 입력 봉부재가 전후 변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것에 의하면, 상기 압력도료밸브부의 개방에 의한 상기 압력 도료 분사부로부터의 압력 도료 분사와, 상기 공기밸브의 개방에 의한 상기 공기분사부로부터의 공기분사를 단일의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에 의해 개시시키기 위한 구성이 콤팩트한 건 형상으로 형성되게 되고, 또한 상기 조작부재가 요동되는 것이어도 상기 전후방향 입력 봉부재는 상기 소경 축부재를 이용하여 전후방향의 조작력을 부여받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스프레이 건의 요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요부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요부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서술하기 위해서,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이것을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1은 비교적 전후방향으로 길게 이루어진 주요구조부이고, 2는 주요구조부(1)의 전후방향 도중 하측 개소로부터 하향으로 연장시킨 봉형상 파지부이다.
주요구조부(1)는, 중앙 본체부(1a)를 구비함과 아울러, 이 중앙 본체부(1a)의 전방부에 압력 도료 분사부(3) 및 압축공기 분사부(4A)를, 그리고 후방부에 압축공기 공급부(4B)가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중앙 본체부(1a)는, 전후방향부(5a) 및 압력 도료공급부(5b)를 구비한 본체 프레임(5)을 구비함과 아울러, 본체 프레임(5)의 전후방향 중앙의 상부에 가로방향 지지축(6a)을 통해서 레버 조작부재(6)가 장착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전후방향부(5a)는, 이것의 중앙부에 높이가 다른 형상의 복수의 내측 구멍(7a,7b,7c,7d,7e)이 연통상태로 형성하고, 이들 내측 구멍(7a,7b,7c,7d,7e)에 직선상의 전후방향 입력 봉부재(8)를 전후이동 가능하게 삽입통과시키고, 또한 내측 구멍(7c)의 안쪽에 스프링받이판(9a)과 압축 코일 스프링(9)과 밀봉재(10)가 수용되는 통형상 슬라이딩부재(11)를 내장하고, 또한 내측 구멍(7d)의 내주면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이 암나사에 시일 수납 부재(12)를 나사 결합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전후방향부(5a)의 후방부의 좌우 각 측부에는 가로 돌출부(13)가 형성되고 있고, 각 가로 돌출부(13)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앞끝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향해 작은 지름의 안내구멍(13a)이 형성됨과 아울러, 각 안내구멍(13a)에 소경(小徑) 축부재(14)가 전후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각 소경 축부재(14)의 앞끝이 레버 조작부재(6)의 측면부의 상부 뒤끝면에 접촉되어 있다. 또한 전후방향부(5a)의 상부에는 전후방향부(5a)의 대략 전체 길이에 미치는 직선상의 공기 유통로(15)가 형성되어 있다.
압력도료공급부(5b)는, 암나사가 형성된 내측 구멍(16a)을 갖고 있고, 이 내측 구멍(16a)은 전후방향부(5a)에 형성된 경사진 비교적 가느다란 내측 구멍(16b)을 통해서 상기 내측 구멍(7a)에 연통되어 있다.
압력도료 분사부(3)는, 밸브시트부재(17)와 밸브체 부재(18)로 이루어지는 압력도료밸브부(19)와, 밸브시트부재(17)의 앞면측에 링형상 패킹(20)을 통해서 대향 배치되어 있고 오목 구멍(21a) 및 비교적 작은 지름의 분사구멍(21b)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분사구멍부재(21)와, 밸브시트부재(17)의 전방 나사부(17a)에 나사결합되어 있고 분사구멍부재(21)를 밸브시트부재(17)의 앞면측을 향해 압압하도록 이루어진 너트부재(22)와, 밸브시트부재(17)의 내측 구멍(17b) 내에 배치되어 있고 밸브체 부재(18)를 밸브시트부재(17)의 분사구멍(17c) 주위 개소의 환상 접촉면(17d)을 향해서 압압하기 위한 압축 스프링(23)을 구비하고 있고, 이 때, 밸브시트부재(17)의 후방 나사부(17e)는 본체 프레임(5)의 전후방향부(5a)의 내측 구멍(7a)의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되어 있고, 또한 밸브체 부재(18)는 선단면을 반구형상의 구면으로 되어 있고, 또한 압축 스프링(23)의 뒤끝은 상기 내측 구멍(7a)의 암나사부의 가장 안쪽부에 위치한 세로면(7f)에 지지되어 있다.
공기분사부(4A)는, 전후방향부(5a)의 앞끝부에 형성된 수나사부(24)에 환상 분사구멍부재(25)를 나사 결합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 때, 환상 분사구멍부재(25)는 중심부에 상기 수나사부(24)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됨과 아울러 환상 앞면의 둘레방향의 특정 피치 개소에 전후방향의 분사구멍(25a)이 형성되는 것 이외에, 후면에 형성된 환상 홈(26)을 통해서 각 분사구멍(25a)의 뒤끝부가 연통 접속되도록 되어 있고, 이 때, 각 분사구멍(25a)은 전방을 향해 축경되는 원추면(a1)과 전방을 향해 확경되는 원추면(a2)을 전후배치상태로 연통시키도록 이루어짐과 아울러 각 분사구멍(25a)의 중심선(b1)은 일본 특허 제2917019호에 준해서 환상 분사구멍부재(25)의 전후방향 중심선(c)의 평행선에 대응하는 반경선(半徑線)(b2)의 주위로 어느 정도 회전 변위시켜 경사지게 하는 것이 좋고, 또한 환상 홈(26)은 수나사부(24)의 뒤끝에 위치한 전후방향부(5a) 앞끝면(27)에서 기밀상태로 덮여진 상태로 되고 또한 상기 공기 유통로(15)와 연통되어 있다.
압축공기 공급부(4B)는, 전후방향부(5a)의 뒤끝면에 고정되는 뒤끝 프레임(28)과, 이 뒤끝 프레임(28)의 후방 돌출부(28a)의 내측 구멍(28b)에 형성된 암나사에 나사 결합된 통형상 케이스(29)와, 뒤끝 프레임(28) 및 통형상 케이스(29) 및 전후방향부(5a) 뒤끝부의 안쪽에 형성된 공기밸브(30)와, 뒤끝 프레임(28) 상부에 형성된 공기유량 조정부(31)로 되어 있다.
이 때, 뒤끝 프레임(28)은, 전후방향부(5a)의 내측 구멍(7e) 내로부터 내측 구멍(28b) 내로 통하는 전후방향 중심구멍(28c), 하면 개소에 형성된 공기 도입구(28d)로부터 내측 구멍(28b) 내로 통하는 90도 굽혀진 공기유입구멍(28e), 전후방향 중심구멍(28c) 내로부터 상부 돌출부(28f)의 앞면 개구(28g)를 경유하여 공기 유통로(15)에 통하는 90도 굽혀진 공기 유통구멍(28h)을 구비하고 있다.
공기밸브(30)는, 전후방향 중심구멍(28c)에 내부삽입된 통형상의 공기밸브체(32)와, 전후방향 중심구멍(28c)의 후단에 형성된 밸브시트부위(28j)와, 공기밸브체(32)를 전방으로 밀기 위한 밸브체 가압수단(33)을 구비하고 있고, 여기서, 공기밸브체(32)는 외주면 상에 전방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수나사부(32a)와, 전후방향 중심구멍(28c)에 내부 삽입되는 슬라이딩 둘레면부(32b)와, 이 슬라이딩 둘레면부(32b)보다 작은 지름으로 된 통로 둘레면부(32c)와, 후방으로 넓어지는 테이퍼면부(32d)를 가지고서 이루어지고, 또한 밸브체 가압수단(33)은 수나사부(32a)에 나사 결합된 원판부재(34)와, 뒤끝 프레임(28)의 앞면에서 전후방향 중심구멍(28c)의 주위 근방의 적당 간격 개소에 형성된 스프링 지지구멍(28k)과, 원판부재(34)의 후면과 스프링 지지구멍(28k)의 저면 사이에 장착된 압축 스프링(35)으로 이루어져 있 다. 이 때, 원판부재(34)의 앞면은 상기 소경 축부재(14)의 뒤끝에 수용 고정되어 공기밸브체(32)의 전방 변위를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공기밸브체(32)는 전후방향 중심구멍(32e)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전후방향 중심구멍(32e)에 전후방향 입력 봉부재(8)가 삽입통과됨과 아울러, 공기밸브체(32)의 후방측에서 전후방향 입력 봉부재(8)의 뒤끝 나사부에 수용 고정 너트(36)가 나사결합되는 것 이외에, 수용 고정 너트(36)의 나사구멍의 후방부에는 전후방향 입력 봉부재(8)와 수용 고정 너트(36)를 연결하기 위한 록 볼트(37)가 나사 결합되어 있고, 또한 수용 고정 너트(36)의 플랜지부와 통형상 케이스(29)의 뒤끝 내면 사이에 전후방향 입력 봉부재(8)를 전방으로 밀기 위한 압축 스프링(38)이 장착되어 있다. 이 압축 스프링(38)은 레버 조작부재(6)의 조작시 필요한 힘의 변경 조정 등에 기여하는 것이다.
공기유량 조정부(31)는, 상부 돌출부(28f)에 형성된 세로방향 암나사부(28m)에 체결상태로 나사 결합된 수용 볼트(39)와, 이 수용 볼트(39)의 중심에 형성된 암나사에 나사결합되어 선단이 원추면(40a)으로 된 조정 볼트(40)와, 이 조정 볼트(40)를 수용 볼트(39) 상에 체결 고정시키기 위한 록 너트(41)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부 돌출부(28f)에는 수용 볼트(39)를 통해서 훅 부재(42)가 고정되어 있다.
봉형상 파지부(2)는, 압력도료공급부(5b)의 내측 구멍(16a)에 나사 결합되는 통부재(43)를 구비함과 아울러, 통부재(43)의 중심구멍(43a)의 하단에 도시하지 않은 압력도료 공급 호스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재(44)가 고정되어 있고, 또한 중심구멍(44a) 내에 여기를 통과하는 압력도료액에 포함되는 협잡물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45)를 내장시킨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46은 L자 형상으로 굴곡된 보호 프레임으로, 전후방향부(5a)의 전방 하부와 접속부재(44) 사이에 가교상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47 및 48은 밀봉부재이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품의 사용예 및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에 앞서서, 접속부재(44)에 압력도료 공급 호스를 접속함과 아울러 공기 도입구(28d)에 압축공기 공급호스를 접속한다.
그리고, 봉형상 파지부(2)를 파악해서 레버 조작부재(6)에 손가락을 걸고, 도장면으로의 도료의 도포를 개시할 때에, 레버 조작부재(6)를 손가락으로 봉형상 파지부(2)에 가깝게 되도록 조작한다.
이것에 의해, 레버 조작부재(6)는, 가로방향 지지축(6a) 둘레의 후방측으로 요동 변위하고, 이 변위가 좌우의 소경 축부재(14)의 앞끝을 후방으로 밀어 변위시킨다. 이것에 관련하여, 좌우의 소경 축부재(14)의 뒤끝은 원판부재(34)를 통해서 공기밸브체(32) 및 전후방향 입력 봉부재(8)를 압축 스프링(35,38)의 탄력에 저항해서 후방으로 밀어 변위시킨다.
공기밸브체(32)의 후방 변위는, 테이퍼면부(32d)와 밸브시트부위(28j)를 이간시켜서 공기밸브(30)를 개방시키는 것이고, 이 공기밸브(30)의 개방은, 공기 도입구(28d) 및 공기유입구멍(28e) 내에 도달하고 있는 압축공기를 전후방향 중심구멍(28c) 내에 유입시킨다. 전후방향 중심구멍(28c) 내에 도달한 압축공기는 또한 공기 유통구멍(28h), 조정 볼트(40)의 앞부 주위의 스로틀 간극, 공기 유통로(15) 및 환상 홈(26)을 경유한 후, 각 분사구멍(25a)으로부터 전방으로 기세 좋게 분출된다.
공기밸브체(32)의 후방 변위는, 또한 전후방향 입력 봉부재(8)를 후방으로 연동 변위시키는 것이고, 이 전후방향 입력 봉부재(8)의 변위는 밸브체 부재(18)와 환상 접촉면(17d)을 이간시켜서 압력도료 밸브부(19)를 개방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압력 도료액이 내측 구멍(16a,16b,17b) 내까지 유입된 후, 분사구멍(17c,21b) 및 오목 구멍(21a)을 통해서 전방으로 분출되고, 분출 후에는, 외계공기와의 마찰에 의해 분무형상으로 되어 전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확경되면서 원추형상으로 유동하는 것으로 된다.
이러한 압력도료 분출부(3)로부터의 압력도료 분사는, 앞의 공기분사부(4)로부터의 압축공기분사가 개시된 후에 행해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좋은 것이고, 분사된 분무형상 도료액의 유동은, 일본 특허 제2917019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주위가 압축공기분사에 의한 특정 방향의 공기 유동으로 둘러싸여진 상태로 되어, 주위 환경의 바람에 의해 흐르기 어려워짐과 아울러, 압축공기분사에 의한 분무형상 도료액의 교반작용에 의해 도료액 밀도의 균일화가 촉진되어 도장면의 도포 얼룩을 억제함에 있어서 기여하게 된다.
삭제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분사부(4A)로부터 분출되어 형성된 커버링 에어 플로우가 압력도료분사부(3)으로부터 분출되어 형성된 분무형상 도료액류의 주위를 포위하여, 도료액의 바람에 의한 쓸데 없는 비산이나 이것에 기인한 공해를 억제하게 된다. 이때, 압력도료분사부(3)의 분사구멍으로부터 압력도료가 자체의 압력으로 분사되므로, 커버링 에어 플로우의 도료 포위작용이 적확(的確)하게 되고, 또한 공기분사부(4A)의 분사구멍(25a)의 중심선(b1)이 특정방향으로 경사지어지기 때문에 이로 인한 이익이 얻어진다. 또한 공기분사수단(4A, 4B, 30, 31)이 본체 프레임(5) 및 이것에 동 체상(同體狀)으로 고정되는 부재(뒤끝 프레임(28) 또는 통형상 케이스(29))에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환상 공기분사장치와 같이 스프레이 건에 별도로 부착한다는 수고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는 것이고, 또한 압축공기를 분사시킬 때에는 스프레이 건의 도료분사를 위한 조작부재(6)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충분하고, 또한 사용에 의해 부착된 도료의 제거에 시간이 걸리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공기도입구(28d)로부터 받아들여진 압축공기를 조작부재(6)의 조작에 의해 확실하게 압력도료 분사부(4A)로부터 분사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공기밸브(30)로부터 공기유통로(15)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유통구멍(28h)의 도중에 공기유량조정부(31)를 설치하므로, 압력도료분사부(3)로부터 분사되는 도료에 대하여 공기분사부(4A)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량을 최적화시키고 효과적인 커버링 에어 플로우를 생성할 수 있고, 또한 환상 분사구멍부재(25)의 중앙개소의 전방측에 압력도료분사부(3)의 압력도료밸브부(19) 및 분사구멍부재(21)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공기분사부(4A)로부터 분출되는 공기가 압력도료밸브부(19) 및 분사구멍부재(21)의 외주면으로 안내되고 효과적인 커버링 에러 플로우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기밸브(30)가 압력도료밸브부(19)보다 먼저 개방되므로 압력도료분사개시시에 커버링 에어 플로우을 압력도료분사에 선행하여 행할 수 있고 압력도료분사개시시의 도료액의 바람에 의한 쓸데없는 비산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압력도료 분사부(3)로부터의 압력도료분사와 공기분사부(4A)로부터의 공기분사를 단일의 조작부재(6)의 조작에 의해 개시시키는 구성을 콤팩트한 건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재(6)가 요동되는 것이어도 상기 전후방향 입력 봉부재(8)는 소경 축부재(14)를 이용하여 전후방향의 조작력을 부여받게 되고, 압력도료밸브부(19) 또는 공기밸브(30)의 개폐작동이 적확(的確)하게 행해지게 된다. 또한, 전후방향입력봉부재(8)는 그 전체가 본체프레임 등으로 포위되는 것으로 되므로 다른 물건과의 충돌에 의한 손상을 받기가 어려워진다.

Claims (3)

  1. 조작부재의 조작에 의해 본체 프레임에 설치된 도료 분사부로부터 도료가 분무형상으로 분사되는 스프레이 건에 있어서,
    상기 도료 분사부를 압력 도료 분사부로 하고, 상기 압력 도료 분사부는 내측구멍과 분사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내측구멍 내로 유입된 압력 도료액을 상기 분사구멍으로 분출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압력 도료 분사부로부터 분사된 도료의 주위를 포위하는 커버링 에어 플로우를 형성하기 위한 공기분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공기분사수단은 공기분사부 및 압축공기 공급부를 구비하며,
    상기 공기분사부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전후방향부의 앞끝부에 나사 결합된 환상 분사구멍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환상 분사구멍부재의 환상 앞면의 둘레방향의 특정 피치 개소에 전후방향의 분사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분사구멍의 각각의 중심선을 이것의 대응하는 상기 환상 분사구멍부재의 반경선 주위로 경사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는 본체 프레임 및 이것과 동 체상(同體狀)으로 고정되는 부재의 안쪽에 형성된 공기밸브를 구비한 것으로 이루어져 있고,
    또한 상기 공기밸브의 공기 출구측과 상기 환상 분사구멍부재의 상기 분사구멍과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두께부에 형성되는 공기 유통로로 연통되어 있고,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에 관련하여 상기 공기밸브가 개방되는 것에 의해 상기 공기 분사부의 상기 분사구멍으로부터 공기가 분사되어 상기 커버링 에어 플로우가 형성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건.
  2. 조작부재의 조작에 의해 본체 프레임에 설치된 도료 분사부로부터 도료가 분무형상으로 분사되는 스프레이 건에 있어서,
    상기 도료 분사부를 압력 도료 분사부로 하고, 상기 압력 도료 분사부는 내측구멍과 분사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내측구멍 내로 유입된 압력 도료액을 상기 분사구멍으로 분출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압력 도료 분사부로부터 분사된 도료의 주위를 포위하는 커버링 에어 플로우를 형성하기 위한 압축공기를 분사하도록 이루어진 공기분사부를 설치하고,
    상기 공기분사부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전후방향부의 앞끝부에 나사 결합된 환상 분사구멍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환상분사구멍부재의 환상 앞면의 둘레방향의 특정 피치 개소에 전후방향의 분사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분사구멍의 각각의 중심선을 이것의 대응하는 상기 환상 분사구멍부재의 반경선 주위로 경사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고,
    또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받아들이기 위한 공기도입구를 설치하고, 이 공기도입부로부터 받아들인 압축공기를 상기 공기분사부까지 유통시키기 위한 공기유통로를 본체 프레임의 두께부에 형성하고,
    이 공기유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공기밸브를 본체 프레임 및 이것에 동 체상(同體狀)으로 고정되는 부재의 안쪽에 설치하고,
    또한 상기 공기밸브로부터 상기 공기유통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유통구멍의 도중에 공기유량조정부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환상 분사구멍부재의 중앙개소의 전방측에 상기 압력도료분사부의 압력도료밸브부 및 분사구멍부재를 배치하고,
    또한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에 관련하여 상기 공기 밸브 및 상기 압력도료밸브부를 개폐작동시키기 위한 연동수단을 설치하고, 이때, 상기 공기밸브가 상기 압력도료밸브부보다 먼저 개방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의 전후방향부의 최전방부에 상기 압력 도료 분사부를 설치하고,
    이것의 후방측에 상기 압력도료 분사부의 압력도료밸브부를 개폐 작동시키기 위한 전후방향 입력 봉부재를 설치하고,
    이 입력 봉부재의 후방부에 상기 공기밸브의 일부를 이루는 공기밸브체를 설치하고,
    상기 조작부재와 상기 입력 봉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본체 프레임에 안내되고 전후방향 변위되는 소경 축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소경축부재가 전후 변위되고 상기 전후 변위에 연동하여 상기 입력 봉부재가 전후 변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건.
KR1020067005497A 2006-03-20 2003-10-29 스프레이 건 KR100732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5497A KR100732950B1 (ko) 2006-03-20 2003-10-29 스프레이 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5497A KR100732950B1 (ko) 2006-03-20 2003-10-29 스프레이 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0042A KR20060060042A (ko) 2006-06-02
KR100732950B1 true KR100732950B1 (ko) 2007-06-28

Family

ID=37156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5497A KR100732950B1 (ko) 2006-03-20 2003-10-29 스프레이 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29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98214B (zh) * 2022-03-28 2023-09-08 李秋方 一种提高金属型铸造中模具涂料使用寿命的喷枪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4735A (ja) * 1997-12-30 1999-09-14 Beishin Kogyo Kk 塗料、モルタル等の吹付装置
JP2002282745A (ja) * 2001-03-28 2002-10-02 Auto Kagaku Kogyo Kk 水分硬化性一液型塗料の塗布方法及びその塗布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4735A (ja) * 1997-12-30 1999-09-14 Beishin Kogyo Kk 塗料、モルタル等の吹付装置
JP2002282745A (ja) * 2001-03-28 2002-10-02 Auto Kagaku Kogyo Kk 水分硬化性一液型塗料の塗布方法及びその塗布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0042A (ko) 2006-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42645B1 (en) Fluid needle loading assembly for an airless spray paint gun
US7971806B2 (en) Poppet check valve for air-assisted spray gun
CN103338870B (zh) 具有可更换盒的液体喷枪及其可更换盒
US20070095942A1 (en) Application and method to disperse substance contained in a replaceable cartridge
WO2009134356A1 (en) A spraying device apparatus
KR101229696B1 (ko) 스프레이 건
JP5108186B2 (ja) スプレーガン
KR101634243B1 (ko) 약액 분사장치
KR100732950B1 (ko) 스프레이 건
KR101455651B1 (ko) 이물질 배출수단을 갖는 농업용 분사장치
US6854672B2 (en) Air-assisted air valve for air atomized spray guns
US4799624A (en) Spray head having fluid metering screws
KR101363553B1 (ko) 수용성 스프레이 건
WO2005039781A1 (ja) スプレーガン
CN111841922B (zh) 一种气动冷胶喷枪
JP3635431B2 (ja) スプレーガン
US20080116296A1 (en) Spray gun
JP2004337849A (ja) スプレーヘッド用スプレー要素
JP2007061810A (ja) スプレー装置及びそのためのキット
KR100960658B1 (ko) 브레이크 디스크 코팅용 스프레이
JP2000005647A (ja) スプレーガン
SU887018A1 (ru) Распылительна головка
JP4959075B2 (ja) 塗装ガン
JP2006150285A (ja) スプレーガン
JPH1147645A (ja) エアー併用型エアレスガ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