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502B1 - 수온상승방지형 수질살균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수온상승방지형 수질살균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502B1
KR100732502B1 KR1020050024767A KR20050024767A KR100732502B1 KR 100732502 B1 KR100732502 B1 KR 100732502B1 KR 1020050024767 A KR1020050024767 A KR 1020050024767A KR 20050024767 A KR20050024767 A KR 20050024767A KR 100732502 B1 KR100732502 B1 KR 100732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ube
ultraviolet
heat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4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2808A (ko
Inventor
김태형
Original Assignee
김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형 filed Critical 김태형
Priority to KR1020050024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2502B1/ko
Publication of KR20060102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2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온상승방지형 수질살균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냉수가 유입되는 제1수로연결부(50) 및 처리수가 토출되는 토출구(13)를 구비하는 몸체(10); 상기 몸체(10) 내부에 위치되어 자외선을 발생하는 자외선램프(23)와, 상기 자외선램프(23)를 밀봉하는 제1관(24)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외선발생유니트(20); 상기 몸체의 측벽으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상기 측벽의 반대방향으로 열을 전달하는 펠티어 소자층(130); 및 상기 펠티어 소자층(130)에 부착되어 상기 열을 상기 몸체의 외부로 원활하게 방출시키는 방열판(130a)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온상승방지형 수질살균정화장치는 냉수의 수온이 외기온도로 인하여 상승하는 현상을 방지하고, 몸체 및 토출구의 재질이 유리로 이루어짐으로써, 항상 쾌적한 온도의 냉수를 제공할 수 있다.
몸체, 유리, 자외선램프, 펠티어소자, 수로연결부

Description

수온상승방지형 수질살균정화장치{WATER-PURIFIER PREVENTING A RISE IN TEMPERATURE OF WA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온상승방지형 수질살균정화장치의 개략적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온상승방지형 수질살균정화장치에 채용되는 펠티어 소자층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펠티어 소자층에 결합되는 방열판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온상승방지형 수질살균정화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I-I선에서 바라본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온상승방지형 수질살균정화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몸체
12: 결합공
13: 토출구
20: 자외선발생유니트
24: 제1관
30: 실링부
50: 제1수로연결부
60: 제2수로연결부
130: 펠티어소자
130a: 방열판
731: 제2관
740: 관통홀
P: 유로
P1: 제1유로
P2: 제2유로
본 발명은 수온상승방지형 수질살균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수의 수온이 외기온도로 인하여 상승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항상 쾌적한 온도의 냉수를 제공할 수 있는 수온상승방지형 수질살균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에서 깨끗한 식수를 공급받기 위하여 종래에 필터 또는 멤브레인 등을 이용한 정수기가 주로 이용되어 왔다. 미리 정수한 물을 저장고에 저장해 둔 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저장고에서 세균서식과 같은 2차적인 오염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고자 자외선 등의 살균광을 통하여 식수를 살균 및 정화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자에 의하여 출원된 특허출원 제2003-0009418호(2003.02.14 출원)는 '단파살균램프가 장착된 생수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자외선 등의 살균광을 통하여 살균되는 냉수는 몸체 외부의 외벽을 통하여 전달되는 외열(상온)로 인하여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냉수를 마시고자 하는 사용자가 냉수를 토출시킬 경우 초기에 미지근한 물이 나오게 되며, 이와 같이 냉수가 미지근한 물로 변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쾌적한 온도의 냉수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또한, 종래의 몸체 및 출수구는 플라스틱 합성수지나 금속으로 형성되었는데, 합성수지는 자외선 광에 의해 변질되고 정전기에 의해 먼지가 흡착되기 쉬우 며, 금속은 물의 맛을 변질시키고 부식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지적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기타 이와 관련된 제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냉수의 온도가 외부 온도로 인하여 상승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항상 쾌적한 온도의 냉수를 제공할 수 있는 수온방지형 수질살균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플라스틱 합성수지나 금속으로 이루어짐으로 인하여 야기되었던 몸체 및 출수구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청결하고 부식에 강한 수질살균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반 수도관이나 음용수 기기(정수기, 냉온수기, 음료 자동판매기, 샤워기등)등의 최종 출수구에 직접 결합시킴으로써 좀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수온방지형 수질살균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온상승방지형 수질살균정화장치는,
냉수가 유입되는 제1수로연결부(50) 및 처리수가 토출되는 토출구(13)를 구비하는 몸체(10);
상기 몸체(10) 내부에 위치되어 자외선을 발생하는 자외선램프(23)와, 상기 자외선램프(23)를 밀봉하는 제1관(24)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외선발생유니트(20);
상기 몸체의 측벽으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상기 측벽의 반대방향으로 열을 전달하는 펠티어 소자층(130); 및
상기 펠티어 소자층(130)에 부착되어 상기 열을 상기 몸체의 외부로 원활하게 방출시키는 방열판(130a)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10)는 상기 냉수가 유입되는 제1수로연결부(50)를 일단측에 구비하고, 온수가 유입되는 제2수로연결부(60)를 타단측에 구비하며,
상기 토출구(13)는 상기 제2수로연결부(60)에 결합되어 상기 온수를 그대로 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몸체는 유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관(24)은 석영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몸체(10)의 측벽 및 상기 제1관(24)의 사이에는, 상기 제1수로연결부(50)로 유입된 냉수가 상기 자외선램프(23)의 자외선에 조사되어 살균정화되면서 상기 토출구를 향하여 흐르게 하는 유로(P)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몸체(10)의 측벽 및 상기 제1관(24)의 사이에는, 관통홀(740)을 구비한 제2관(731)이 구비되어, 상기 제1수로연결부(50)로 유입된 냉수가 상기 몸체(10)의 측벽과 상기 제2관(731) 사이의 유로(P1)를 통해 상기 자외선램프(23)의 자외선에 조사되어 살균정화되면서 제1회 흐른 후, 상기 관통홀(740)을 통해 상기 제2관(731)과 상기 제1관(24) 사이의 유로에 유입되어 상 기 자외선램프(23)의 자외선에 조사되어 살균정화되면서 제2회 흐르게 하는 유로(P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질살균정화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및 구성상의 특징은 첨부된 도면 및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상세하고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또한, 도면들에서 서로 동일 내지 유사한 부분들은 설명 및 이해의 편의상 동일 내지 유사한 참조 부호들로 기재되어 있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온상승방지형 수질살균정화장치의 개략적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온상승방지형 수질살균정화장치(100)는, 상단에 밀봉용 마개부(30)가 구비되고, 측부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수로연결부(50,60)가 구비된 몸체(10)와, 몸체(10)의 측부에 부착된 펠티어 소자층(130) 및 방열판(130a)을 포함한다.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몸체(10)의 내부에는 물을 살균정화 처리하기 위한 자외선발생유니트(20)가 구비된다. 자외선발생유니트(20)에서 발광되는 자외선에 의하여 살균정화 처리되는 피처리수는 토출구(13)를 통하여 배출된다.
통상적으로, 식수로 공급되는 냉수는 몸체(10)가 외기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내부에 침입해 옴으로 인하여 물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냉수가 흐르지 않은 채로 오래 지나면 냉수의 온도가 외기의 상온에 거의 유사하게 됨으로 인해 냉수는 미지근한 물로 변하게 되어 물을 마시는 사용자가 쾌적한 냉수를 마실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온상승방지형 수질살균정화장치(100)는 몸체(10)의 측벽에 온도를 낮추기 위한 펠티어소자층(130)을 구비한다. 펠티어소자층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회로는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하므로 생략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온상승방지형 수질살균정화장치에 채용되는 펠티어 소자층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펠티어 소자층(130)은, 몸체(10)의 측벽에 부착되어 몸체(10)의 내부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외부를 향하여 열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2의 펠티어 소자층(130)은 이해의 편의상 본 발명의 수질살균정화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며, 도 2와 다른 구조의 펠티어 소자층도 당연히 본 발명의 수질살균정화장치에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펠티어 소자층(130)의 중앙부에는 SiO2 및/또는 SiNx 등으로 이루어진 제1절연층(131)내에 P형 반도체(132) 및 N형 반도체(133)가 교번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교번적으로 배열된 P형 반도체(132) 및 N형 반도체(133)는, 배선전극층(134a)에 의하여 전기적으로는 직렬로, 열적으로는 병렬로 되도록 π형으로 연결한 모듈의 형태를 이룬다. P형 반도체(132) 및 N형 반도체(133)의 재료는 통상적으로 Bismuth-Telluride, Antimony-Telluride, 또는 이들의 고용체로 형성될 수 있다.
중앙부의 제1절연층(131)의 좌측과 우측에는 제2절연층(134)이 적층되어 있다. 제1절연층(131)과 제2절연층(134)의 사이에는, 교번적으로 배열된 P형 반도체 (132) 및 N형 반도체(133)를, 전기적으로는 직렬로 열적으로는 병렬로 되도록 π형으로 연결한 배선전극층(134a)가 개재되어 있다. 배선전극층(134a)는 구리 또는 은 등의 도전성이 우수한 재료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절연층(134)상에서 반도체(132,133)의 반대편측에는, Al2O3, ALN, BeO, SiO2, SiNx 등의 재료로 형성되는 보호기판(135)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배선전극층(134a)에서 P형 반도체(132) 측에는 (-)전압이 인가되고, 그와 대향하는 π형 배선전극층(134a)의 N형 반도체(133) 측에는 (+)전압이 인가된다. 이로써, 도 2의 화살표와 같이, 좌측의 보호기판(135)으로부터는 열이 흡수되고, 우측의 보호기판(135)을 향하여는 열이 방출된다. 만약, 배선전극층(134a)이 도 2의 배열과 영상반전된 모습인 경우에는 열의 이동방향이 도 2의 화살표와는 반대로 된다.
이와 같이 펠티어 소자층(130)에 +전압 전원 및 -전압 전원이 공급되면 P형 반도체(132)와 N형 반도체(133)의 일단측과 타단측 사이에 온도차가 발생한다.
펠티어 소자층(130)은 직류전원의 공급으로 냉각, 가열, 항온 및 발전을 동시에 이룰 수 있어 열과 전기의 간편한 교환이 가능하다. 펠티어 소자는 펠티어 효과(Peltier Effect; 이종 재료의 양단에 직류 전류를 흘려주면 일측은 흡열작용을 하고 타측은 발열작용을 함으로써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하여 열이 이동되는 열 전달효과)를 이용하는 소자로서, 동적인 부분이 없는 소형 고체식 히트펌프(Solid State Heat Pump)이다.
펠티어 소자는 냉매순환식 냉각방식과 달리 기계적인 작동 부분이 필요 없으며, 서로 다른 P형 반도체 소자와 N형 반도체 소자를 이용하여 모듈을 구성한 후 여기에 직류전류를 흘려주면 펠티어 효과(Peltier Effect)에 의한 펠티어 소자 양잔의 흡열 및 발혈 현상에 의해 온도 제어가 가능한 고체 냉각/가열 방식을 가능케 하는 소자이다. 따라서, 펠티어 소자는 공간적으로 제한이 있어 슬림형의 온도 조절제품을 제조할 필요가 있을 경우, 또는 프레온 냉매(CFC) 등의 많은 부피를 차지하는 냉매를 쓰지 않고 온도 조절제품을 제조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펠티어 소자는 일측과 타측의 온도를 -75℃ ~ +300℃까지 조절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화석연료 및 냉매를 이용한 장치에 비하여 열교환성능이 뒤떨어지지 않는다.
도 3은 펠티어 소자층에 결합되는 방열판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방열판(130a)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번적으로 형성된 가장 일반적인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방열판(130a)은 펠티어 소자층(130)의 보호기판(135)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열판(130a)은 도 2의 보호기판(135)에 부착되어 열을 흡수하여 우측을 향하여 내보내는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은, 도 3의 방열판(130a)은 이해의 편의상 상기 펠티어 소자층(130)에 결합될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인 형상을 나타낸 것이며, 도 3과 다른 구조의 방열판도 당연히 본 발명의 수질살균정화장치에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온상승방지형 수질살균정화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 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I-I선에서 바라본 횡단면도이다.
수온상승방지형 수질살균정화장치(100)는 몸체(10), 자외선발생유니트(20), 펠티어 소자층(130) 및 방열판(130a)을 구비한다.
몸체(10)는 냉수가 유입되는 제1수로연결부(50) 및 처리수가 토출되는 토출구(13)를 구비한다. 몸체(10)의 상단에는 결합공(12)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정수된 물이 토출되는 토출구(1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자외선발생유니트(20)는 몸체(10) 내부에 위치되어 자외선을 발생하는 자외선램프(23)와, 상기 자외선램프(23)를 밀봉하는 제1관(24)을 포함한다. 자외선발생유니트(20)는, 결합공(12)에 결합되는 결합부재(22)와, 결합부재(22)가 결합공(12)에 결합되었을 때 몸체(10) 내부에 위치되어 자외선을 발생하는 자외선램프(23)와, 자외선램프(23)를 완전히 감싸도록 결합부재(22)에 밀봉 결합되는 제1관(24)을 가진다. 이때, 결합부재(22)에는 결합공(12)에 결합되었을 때 밀봉이 확실히 이루어지도록 실링(미도시)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자외선발생유니트(20)는, 몸체(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자외선발생유니트(20)의 수명이 다했을 때 쉽게 교환 가능하다. 또, 몸체(10)의 토출구(13) 부분이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자외선램프(23)로부터 발생된 자외선이 토출구(13)를 관통하여 그 토출구(13) 주변도 살균할 수 있으므로 살균효과가 증대된다.
자외선발생유니트(20)의 제1관(24)은 자외선이 투과될 수 있어야 하며, 재질은 석영, 유리, 또는 불소수지(PFA)관 기타 투명 플라스틱인 것이 바람직하나, 그 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이 투과될 수 있도록 적절하게 구멍이 뚫린 스테인레스 망일 수도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자외선발생유니트(20)의 제1관(24)은 자외선이 적절하게 투과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석영관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몸체(10)는 열전달을 최소로 줄이고, 미관상 심미감을 불러일으키며, 자외선의 투과를 줄이기 위하여 유리관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몸체 및 출수구는 플라스틱 합성수지나 금속으로 형성되었는데, 합성수지는 정전기에 의해 먼지가 흡착되기 쉬우며, 금속은 물의 맛을 변질시키고 부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수온상승방지형 수질살균정화장치는 그 몸체 및 출수구가 유리로 제조되므로, 청결함과 내부식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여, 수로연결부(11)를 통하여 유입되는 물은 몸체(10) 내부를 경유하는데, 이 과정에서 자외선발생유니트(20)에서 발생되는 자외선 반응에 의하여, 물 내부의 각종 세균이나 박테리아, 바이러스등이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그리고, 펠티어 소자층(130)은 몸체의 측벽으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상기 측벽의 반대방향으로 열을 전달하며, 펠티어 소자층(130)에 부착되어 열을 몸체의 외부로 원활하게 방출시키는 방열판(130a)과 접한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는 냉수가 유입되는 제1수로연결부(50)를 일단측에 구비하는 것 이외에, 타단측에는 온수가 유입되는 제2수로연결부(6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토출구(13)는 제2수로연결부(60)에 결합되어 온수를 그대로 토출시킬 수 있다. 냉수는 통상적으로 5℃ 내외의 온도를 유지하므로 살균작용이 필요한 반면에, 온수는 통상적으로 80~90℃의 고온을 유지하므 로 살균작용이 필요없으므로 자외선을 조사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몸체(10)의 측벽 및 제1관(24)의 사이에는, 제1수로연결부(50)로 유입된 냉수가 자외선램프(23)의 자외선에 조사되어 살균정화되면서 토출구(13)를 향하여 흐르게 하는 유로(P)가 형성된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제1실시예를 참조하면, 몸체(10)의 측벽 및 제1관(24)의 사이에는, 관통홀(740)을 구비한 제2관(731)이 구비되어, 상기 제1수로연결부(50)로 유입된 냉수가 몸체(10)의 측벽과 제2관(731) 사이의 유로(P1)를 통해 자외선램프(23)의 자외선에 조사되어 살균정화되면서 제1회 흐른 후, 관통홀(740)을 통해 제2관(731)과 제1관(24) 사이의 유로에 유입되어 자외선램프(23)의 자외선에 조사되어 살균정화되면서 제2회 흐르게 하는 유로(P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의하면, 냉수는 제1회 및 제2회의 두번에 걸친 살균정화 처리를 거치므로 살균효과가 배가될 수 있다. 제2관(731)은 자외선이 투과될 수 있어야 하며, 재질은 석영, 유리, 또는 불소수지(PFA)관 기타 투명 플라스틱인 것이 바람직하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이 투과될 수 있도록 적절하게 구멍이 뚫린 스테인레스 망일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온상승방지형 수질살균정화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수온상승방지형 수질살균정화장치(100)도 제1실시예와 같이, 몸체(10), 자외선발생유니트(20), 펠티어 소자층(130) 및 방열판(130a)을 구비한다.
몸체(10)는 냉수가 유입되는 제1수로연결부(50) 및 처리수가 토출되는 토출구(13)를 구비한다. 몸체(10)의 상단에는 결합공(12)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정수된 물이 토출되는 토출구(1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자외선발생유니트(20)는 몸체(10) 내부에 위치되어 자외선을 발생하는 자외선램프(23)와, 상기 자외선램프(23)를 밀봉하는 제1관(24)을 포함한다. 자외선발생유니트(20)는, 결합공(12)에 결합되는 결합부재(22)와, 결합부재(22)가 결합공(12)에 결합되었을 때 몸체(10) 내부에 위치되어 자외선을 발생하는 자외선램프(23)와, 자외선램프(23)를 완전히 감싸도록 결합부재(22)에 밀봉 결합되는 제1관(24)을 가진다. 이때, 결합부재(22)에는 결합공(12)에 결합되었을 때 밀봉이 확실히 이루어지도록 실링(미도시)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자외선발생유니트(20)는, 몸체(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자외선발생유니트(20)의 수명이 다했을 때 쉽게 교환 가능하다. 또, 몸체(10)의 토출구(13) 부분이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자외선램프(23)로부터 발생된 자외선이 토출구(13)를 관통하여 그 토출구(13) 주변도 살균할 수 있으므로 살균효과가 증대된다.
자외선발생유니트(20)의 제1관(24)은 자외선이 투과될 수 있어야 하며, 재질은 석영, 유리, 또는 불소수지(PFA)관 기타 투명 플라스틱인 것이 바람직하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이 투과될 수 있도록 적절하게 구멍이 뚫린 스테인레스 망일 수도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자외선발생유니트(20)의 제1관(24)은 자외선이 적절하게 투과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석영관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몸체(10)는 열전달을 최소로 줄이고, 미관상 심미감을 불러일으키며, 자외선의 투과를 줄이기 위하여 유리관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몸체 및 출수구는 플라스틱 합성수지나 금속으로 형성되었는데, 합성수지는 정전기에 의해 먼지가 흡착되기 쉬우며, 금속은 물의 맛을 변질시키고 부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수온상승방지형 수질살균정화장치는 그 몸체 및 출수구가 유리로 제조되므로, 청결함과 내부식성을 구비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여, 수로연결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물은 몸체(10) 내부를 경유하는데, 이 과정에서 자외선발생유니트(20)에서 발생되는 자외선 반응에 의하여, 물 내부의 각종 세균이나 박테리아, 바이러스등이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그리고, 펠티어 소자층(130)은 몸체의 측벽으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상기 측벽의 반대방향으로 열을 전달하며, 펠티어 소자층(130)에 부착되어 열을 몸체의 외부로 원활하게 방출시키는 방열판(130a)과 접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몸체(10)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몸체(10)의 우측에는 냉수가 유입되는 제1수로연결부를 구비하고, 좌측에는 온수가 유입되는 제2수로연결부(6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토출구(13)는 제2수로연결부(60)에 결합되어 온수를 그대로 토출시킬 수 있다. 냉수는 통상적으로 5℃ 내외의 온도를 유지하므로 살균작용이 필요한 반면에, 온수는 통상적으로 80~90℃의 고온을 유지하므로 살균작용이 필요없으므로 자외선을 조사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몸체(10)의 측벽 및 제1관(24)의 사이에는, 제1수로연결부(50)로 유입된 냉 수가 자외선램프(23)의 자외선에 조사되어 살균정화되면서 토출구(13)를 향하여 흐르게 하는 유로(P)가 형성된다.
여기서, 몸체(10) 및 자외선발생유니트(20)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한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또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온방지형 수질살균정화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냉수의 온도가 외부 온도로 인하여 상승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항상 쾌적한 온도의 냉수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일반 수도관이나 음용수 기기(정수기, 냉온수기, 음료 자동판매기)등의 최종 출수구에 직접 결합시킴으로써 좀더 편리하게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수온방지형 수질살균정화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수도관이나 생수기에 직접 설치하는 정수꼭지로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그 외에도 대형 배수관에 설치되어 다량의 물을 정수하는 대형 정수장치로도 활용될 수 있다.
셋째, 종래의 몸체 및 출수구는 플라스틱 합성수지나 금속으로 형성되었는 데, 합성수지는 자외선 광에 의해 변질되고 정전기에 의해 먼지가 흡착되기 쉬우며, 금속은 물의 맛을 변질시키고 부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수온상승방지형 수질살균정화장치는 그 몸체 및 출수구가 유리로 제조되므로, 청결함과 내부식성을 구비한다.
넷째, 자외선발생유니트에서 발생된 자외선에 의하여, 물속에 포함된 박테리아, 세균, 바이러스 및 곰팡이균, 더 나아가 미세 이물질까지 제거할 수 있으므로 더욱 깨끗한 물로의 정수가 가능하다.

Claims (5)

  1. 냉수가 유입되는 제1수로연결부(50) 및 처리수가 토출되는 토출구(13)를 구비하는 몸체(10);
    상기 몸체(10) 내부에 위치되어 자외선을 발생하는 자외선램프(23)와, 상기 자외선램프(23)를 밀봉하는 제1관(24)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외선발생유니트(20);
    상기 몸체의 측벽으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상기 측벽의 반대방향으로 열을 전달하는 펠티어 소자층(130); 및
    상기 펠티어 소자층(130)에 부착되어 상기 열을 상기 몸체의 외부로 원활하게 방출시키는 방열판(130a)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10)는 상기 냉수가 유입되는 제1수로연결부(50)를 일단측에 구비하고, 온수가 유입되는 제2수로연결부(60)를 타단측에 구비하며,
    상기 토출구(13)는 상기 제2수로연결부(60)에 결합되어 상기 온수를 그대로 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온상승방지형 수질살균정화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유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관(24)은 석영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온상승방지형 수질살균정화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측벽 및 상기 제1관(24)의 사이에는, 상기 제1수로연결부(50)로 유입된 냉수가 상기 자외선램프(23)의 자외선에 조사되어 살균정화되면서 상기 토출구를 향하여 흐르게 하는 유로(P)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온상승방지형 수질살균정화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측벽 및 상기 제1관(24)의 사이에는, 관통홀(740)을 구비한 제2관(731)이 구비되어, 상기 제1수로연결부(50)로 유입된 냉수가 상기 몸체(10)의 측벽과 상기 제2관(731) 사이의 유로(P1)를 통해 상기 자외선램프(23)의 자외선에 조사되어 살균정화되면서 제1회 흐른 후, 상기 관통홀(740)을 통해 상기 제2관(731)과 상기 제1관(24) 사이의 유로에 유입되어 상기 자외선램프(23)의 자외선에 조사되어 살균정화되면서 제2회 흐르게 하는 유로(P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온상승방지형 수질살균정화장치.
KR1020050024767A 2005-03-25 2005-03-25 수온상승방지형 수질살균정화장치 KR100732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767A KR100732502B1 (ko) 2005-03-25 2005-03-25 수온상승방지형 수질살균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767A KR100732502B1 (ko) 2005-03-25 2005-03-25 수온상승방지형 수질살균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808A KR20060102808A (ko) 2006-09-28
KR100732502B1 true KR100732502B1 (ko) 2007-06-29

Family

ID=37623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767A KR100732502B1 (ko) 2005-03-25 2005-03-25 수온상승방지형 수질살균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25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516Y1 (ko) 2008-04-04 2010-01-28 주식회사 영우워터라인 정수기 살균관 설치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644B1 (ko) * 2007-08-25 2009-10-28 김영득 정수기의 살균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301Y1 (ko) * 1993-03-29 1995-10-06 구자윤 온, 냉수 겸용 정수기
KR0122230Y1 (ko) * 1995-04-15 1998-07-15 신용길 자외선 살균장치
KR19980069541A (ko) 1997-02-28 1998-10-26 김광호 물분배기의 살균장치
KR20040053818A (ko) 2004-05-14 2004-06-24 안보규 이온수 겸용 냉온정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301Y1 (ko) * 1993-03-29 1995-10-06 구자윤 온, 냉수 겸용 정수기
KR0122230Y1 (ko) * 1995-04-15 1998-07-15 신용길 자외선 살균장치
KR19980069541A (ko) 1997-02-28 1998-10-26 김광호 물분배기의 살균장치
KR20040053818A (ko) 2004-05-14 2004-06-24 안보규 이온수 겸용 냉온정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516Y1 (ko) 2008-04-04 2010-01-28 주식회사 영우워터라인 정수기 살균관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808A (ko) 200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9175B2 (en) Heat dissip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UV-LED photoreactors
US20070163934A1 (en) Sterilize valve and a water-purifying device using the same
CN111201201B (zh) 辐照装置和方法
CN106629989B (zh) 过流式轴向翻转出水杀菌消毒装置及净水设备
US20180140728A1 (en) Sterilization device
US20190142986A1 (en) Flowing fluid disinfectors and submersible uv light devices
KR100732502B1 (ko) 수온상승방지형 수질살균정화장치
KR20150141038A (ko) 순간 냉각 및 순간 가열 방식을 적용한 정수기
KR101811120B1 (ko) 양방향 살균시스템
KR101816864B1 (ko) 정수기 배관용 살균모듈
KR20190119953A (ko) 자외선 살균 장치
CN216512979U (zh) 水输出装置和净水装置
KR102417631B1 (ko) 이온수 정수기
KR101213436B1 (ko) 자외선 살균 정수기 꼭지
US2023007189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rradiation
CN220351788U (zh) 防水垢的杀菌模组及具有该杀菌模组的气/液道装置
JP3353148B2 (ja) 浴槽湯循環浄化装置
CN213803017U (zh) 一种杀菌装置
KR20090025014A (ko) 정수기
JPH0278483A (ja) 液体殺菌装置
KR101853759B1 (ko) 이중 살균 기능을 갖는 식기세척기의 급수시스템
KR101141180B1 (ko) 음용수용 광촉매 살균장치
KR20100120440A (ko) 자외선 살균 정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