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162B1 - 방송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수행할 수 있는 방송수신용단말기 - Google Patents

방송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수행할 수 있는 방송수신용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162B1
KR100732162B1 KR1020050105370A KR20050105370A KR100732162B1 KR 100732162 B1 KR100732162 B1 KR 100732162B1 KR 1020050105370 A KR1020050105370 A KR 1020050105370A KR 20050105370 A KR20050105370 A KR 20050105370A KR 100732162 B1 KR100732162 B1 KR 100732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roadcast
audio
video
time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5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8368A (ko
Inventor
송국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5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2162B1/ko
Publication of KR20070048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8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4Content or additional data filtering, e.g. blocking advertisem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mobil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2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electronic programme guides [EP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55Demodulation-circuit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등과 같이 배터리 충전량이 한정적인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하기에 적합한 방송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수행할 수 있는 방송수신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신호를 AV신호 및 부가데이터신호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부가데이터신호로부터 방송프로그램의 본방송 시간대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본방송 시간대 이외 시간대에서는 상기 AV신호의 비디오 및 오디오를 출력하지 않거나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디스플레이 방법 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청자의 취향에 따라 방송프로그램 중 광고 등은 보지 않고 본방송만을 시청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디지털 TV, DMB, 광고

Description

방송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수행할 수 있는 방송수신용 단말기{Method for displaying broadcast and broadcast receiver capable of implement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송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위해 요구되는 비디오 다중화기(multiplexer)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비디오 다중화기의 PES 패킷화기에서 출력되는 PES 패킷의 데이터스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송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300: 방송수신용 단말기 110, 310: 튜너부
120, 320: A/D 변환부 130, 330: 복조부
140, 340: 디코딩부 150, 350: 디먹스(demux)부
160, 360: 부가데이터처리부 170, 370: A/V처리부
200: 비디오 다중화기 220: SL 패킷화기
223: 비디오 부호화기 225: 오디오 부호화기
230: PES 패킷화기 240: TS 다중화기
250: 외부부호화기 260: 외부인터리버
본 발명은 DTV(Digital TV),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등의 방송을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폰 등과 같이 배터리 충전량이 한정적인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하기에 적합한 방송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수행할 수 있는 방송수신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TV방송기술에서는 방송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이 나날이 발전하고 있고 그에 따라 디지털 전송방식을 적용한 디지털 TV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디지털 방송은 고화질 고음질 다채널을 가장 큰 장점으로 하여 위성, 지상파, 또는 케이블 등을 통해 방송되고 있다. 앞으로 디지털 방송은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을 대체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고, 따라서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보급은 더욱 활발해질 것이다.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는 단말기 사용자가 소지하고 다니기에 불편함이 없을 정도로 점점 소형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핸드폰과 같은 이동단말기에 방송수신 기능이 부가되어 단말기 사용자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방송 시청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방송 시청을 즐기는 시청자들은 원치 않는 광고를 보지 않고 방송프로그램의 본방송(방송프로그램 중에 프로그램 광고, 스폿(spot)광고, 이어서, 스테이션 브레이크(station break) 등을 제외한 실제 방송 콘텐츠를 의미한다. 이하 같다)만을 볼 수 있기를 원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방송 시스템에서는 광고를 보지 않고 본방송만을 보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광고를 보지 않기 위해 단말기 전원을 꺼두거나 다른 채널을 보고 있으면 언제 광고가 끝나는지 모르기 때문에 실제 본방송의 시작시간을 놓쳐서 본방송의 처음 부분을 보지 못하는 경우가 왕왕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이동단말기에서 방송을 시청하는 경우에 더욱 부각된다. 이동단말기는 한정된 충전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방송을 시청하나, 시청자들이 원치않은 광고의 방영으로 인해 쓸데없는 배터리 소모만 늘어나기 때문이다. 이와같은 시청자가 원치 않는 광고의 방영은 배터리의 소모를 재촉하고, 이는 결국에는 배터리 고갈로 인해 정작 중요한 본방송을 시청하는데 지장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시청자가 원하는 본방송만을 시청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시청자의 편익을 더욱 도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쓸데없는 단말기 배터리 소모를 방지하여 단말기의 한번 충 전으로 장시간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방송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신호를 AV신호 및 부가데이터신호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부가데이터신호로부터 방송프로그램의 본방송 시간대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본방송 시간대 이외 시간대에서는 상기 AV신호의 비디오 및 오디오를 출력하지 않거나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튜너부, 상기 튜너부에서 수신된 방송신호의 디지털 변환을 위한 A/D변환부, 상기 A/D변환부의 출력을 복조하기 위한 복조부, 상기 복조부의 출력을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부, 상기 디코딩부의 출력을 부가데이터신호 및 AV신호로 분리하기 위한 디먹스부, 상기 분리된 부가데이터신호를 처리하여 본방송 시간대를 파악하기 위한 부가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부가데이터처리부로부터 파악된 본방송 시간대를 근거로, 본방송 시간대 이외 시간대에서는 상기 분리된 AV신호의 비디오 및 오디오를 출력하지 않거나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AV처리부를 포함하는 방송수신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신호로부터 AV신호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AV신호의 특정 데이터필드의 플래그값을 읽는 단계, 상기 플래그값으로부터 상기 AV신호가 방송프로그램의 본방송 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본방송이 아닌 상기 AV신호의 비디오 및 오디오는 출력하지 않거나 비디오 및 오디오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튜너부, 상기 튜너부에서 수신된 방송신호의 디지털 변환을 위한 A/D변환부, 상기 A/D변환부의 출력을 복조하기 위한 복조부, 상기 복조부의 출력을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부, 상기 디코딩부의 출력을 부가데이터신호 및 AV신호로 분리하기 위한 디먹스부, 및 상기 분리된 AV신호의 특정 데이터필드의 플래그값을 읽고, 상기 플래그값으로부터 상기 AV신호가 방송프로그램의 본방송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본방송이 아닌 상기 AV신호의 비디오 및 오디오는 출력하지 않거나 비디오 및 오디오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기 위한 AV처리부를 포함하는 방송수신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방송신호로서 송출하기 위한 비디오신호 및 오디오신호를 부호화하는 비디오 부호화기 및 오디오 부호화기,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ES(Elementary Stream) 및 오디오 ES로부터 동기화 패킷인 SL(Synchronization Layer) 패킷을 발생하는 SL 패킷화기, 상기 SL 패킷화기에서 출력되는 SL 패킷을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 패킷화하고, 상기 패킷화된 PES 패킷 헤더에 상기 방송신호가 본방송인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설정하는 PES 패킷화기, 상기 PES패킷을 TS(Transport Stream)로 다중화하기 위한 TS 다중화기, 상기 다중화된 TS에 오류정정을 위한 부가 데이터를 첨가하는 외부부호화기, 및 상기 부가 데이터가 첨가된 TS를 비디오 서비스 스트림으로 출력하기 위한 외부 인터리버를 포함하는 비디오 다중화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신호를 오디오신호 및 부가데이터신호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부가데이터신호로부터 방송프로그램의 본방송 시간대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본방송 시간대 이외 시간대에서는 상기 오디오신호의 오디오를 청취자의 사전 설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신호로부터 오디오신호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신호의 특정 데이터필드의 플래그값을 읽는 단계, 상기 플래그값으로부터 상기 오디오신호가 방송프로그램의 본방송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본방송이 아닌 상기 오디오신호의 오디오는 청취자의 사전 설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TV수신전용 단말기뿐만 아니라, PDA, 휴대폰, 스마트폰과 같은 방송수신이 가능한 이동단말기에도 적용될 수 있고, 디지털 TV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단말기뿐만 아니라 DMB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략함을 위해 본 발명이 DMB를 수신하기 위한 단말기에 적용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본질적 개념은 아래의 설명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디지털 TV방송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명심하여야 한다.
제 1 실시예
제 1 실시예에서는 방송국에서 제공하고 있는 EPG데이터의 본방송시간대 정보를 이용하여 전술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개략적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송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는 튜너부(110), A/D 변환부(120), 복조부(130), 디코딩부(140), 디먹스(demux)부(150), 부가데이터처리부(160), 및 A/V처리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튜너(110)는 여러 방송국에서 송신하는 DMB 방송신호들 중 단말기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신호를 선국하여 수신한다[S21].
그러면,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는 상기 A/D 변환부(120)를 거쳐 디지털 변환되고, 상기 복조부(130)를 통해 복조된 다음, 상기 디코딩부(140)를 통해 디코딩된다.
상기 디코딩된 방송신호는 상기 디먹스부(150)를 통해 부가데이터신호와 A/V 신호로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부가데이터신호는 부가데이터처리부(160)로 입력되는 한편 상기 분리된 A/V신호는 A/V처리부(170)로 입력된다[S22].
상기 부가데이터처리부(160)는 상기 부가데이터 내에 포함되어 있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데이터로부터 본방송시간대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본방송시간대정보를 상기 A/V처리부(170)으로 제공한다[S23].
상기 A/V처리부(170)는 상기 본방송시간대정보를 이용하여, 본방송 시간대에 는 비디오 및 오디오 모두를 정상적으로 처리하여 출력한다. 그러나, 상기 A/V처리부(170)는 본방송 이외의 시간대에서는 단말기 사용자의 사전선택에 의해 다음과 같은 4가지의 옵션 중 하나로 비디오 및 오디오를 처리하여 출력한다[S24, S25, S26].
1) 비디오 및 오디오 모두 출력함(비디오 ON, 오디오 ON).
2) 비디오만 출력함(비디오 ON, 오디오 OFF).
3) 오디오만 출력함(비디오 OFF, 오디오 ON).
4) 비디오 및 오디오 모두를 출력하지 않음(비디오, 오디오).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는 본방송 이외의 시간대에는 비디오 및 오디오를 자신의 취향에 따라 상기 4가지 옵션 중 한가지로 선택하여 볼 수 있다.
제 2 실시예
제 2 실시예에서는 A/V 데이터의 필드 중 예비 필드(reserved)에 본방송임을 나타내기 위한 플래그(flag)를 설정하는 것을 제안함으로써 전술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구현을 위해 요구되는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비디오 다중화기에 대해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위해 요구되는 비디오 다중화기(multiplexer)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상기 비디오 다중화기(200)에 있어서, SL(Synchronization Layer, 동기 계층) 패킷화기(220)는 AVC(Advanced Video Coding) 비디오 부호화기(223), BSAC(Bit Sliced Arithmetic Coding) 오디오 부호화기(225)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ES(Elementary Stream) 및 오디오 ES로부터 동기화 패킷인 SL 패킷을 발생한다. 상기 SL 패킷화기(220)는 선택적으로 보조데이터 ES도 SL 패킷화할 수 있다.
그 다음,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 패킷화기(230)는 상기 입력되는 SL 패킷을 PES 패킷화한다. 상기 PES 패킷화기(230)는 상기 SL 패킷의 PES 패킷화를 위한 PES 헤더에 방송신호가 본방송임을 나타내기 위한 플래그(flag)가 설정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4와 관련되어 다시 후술된다.
상기 PES 패킷은 TS(Transport Stream) 다중화기(240)로 입력되어 MPEG-2 TS로 다중화되고, 상기 다중화된 TS는 외부부호화기(250)에서 오류정정을 위한 리드 솔로몬 부호의 부가 데이터가 첨가된 다음, 외부 인터리버(260)인 길쌈 인터리버(Convolutional Interleaver)에서 혼화되어 비디오 서비스 스트림으로 출력된다.
이와 같은 상기 비디오 다중화기에 의해 구성되는 PES 패킷의 헤더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4는 도 3의 비디오 다중화기의 PES 패킷화기에서 출력되는 PES 패킷의 데이터스트림이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PES의 헤더는 "optional PES Header"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optional PES Header" 필드는 "Stuffing Byte" 필드를 포함한다. 상기 "Stuffing Byte" 필드는 다시 "PES extension"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PES extension" 필드는 "5 flags" 필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상기 "5 flags" 필드의 5개의 플래그들 중 현재 사용되고 있지 않은 한 플래그를 1 또는 0으로 설정함으로써 방송신호가 본방송임을 나타내도록 제안한다.
이하, 이와 같은 PES 패킷으로 구성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방송을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송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에 대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개략적 블록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송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300)는 튜너부(310), A/D 변환부(320), 복조부(330), 디코딩부(340), 디먹스(demux)부(350), 부가데이터처리부(360), 및 A/V처리부(3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튜너(310)는 전술한 PES 패킷으로 구성된 방송신호를 수신한다[S61].
그러면,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는 상기 A/D 변환부(320)를 거쳐 디지털 변환되고, 상기 복조부(330)를 통해 복조된 다음, 상기 디코딩부(340)를 통해 디코딩된다.
상기 디코딩된 방송신호는 상기 디먹스부(350)를 통해 부가데이터신호와 A/V 신호로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부가데이터신호는 부가데이터처리부(360)로 입력되는 한편 상기 분리된 A/V신호는 A/V처리부(370)로 입력된다[S62].
상기 부가데이터처리부(360)는 상기 부가데이터신호를 처리하여 부가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A/V처리부(370)는 상기 A/V신호로부터 상기 전술한 PES 패킷을 추출하고[S63], 상기 PES 패킷의 헤더에 본방송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읽는다[S64].
상기 플래그가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가 본방송임을 나타내면, 상기 A/V처리부(370)는 비디오 및 오디오 모두를 정상적으로 처리하여 출력한다[S65]. 그러나, 상기 플래그가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가 본방송이 아닌 것으로 나타내면, 상기 A/V처리부(370)는 단말기 사용자의 사전선택에 의해 제 1 실시예에서 전술한 4가지의 옵션 중 하나로 비디오 및 오디오를 처리하여 출력한다[S66].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는 본방송 이외의 시간대에는 비디오 및 오디오를 자신의 취향에 따라 상기 4가지 옵션 중 한가지로 선택하여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개념은 디지털 오디오 전용 방송(예컨대, 디지털 라디오 방송)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오디오신호와 부가데이터신호로 구성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부가데이터신호로부터 본방송시간대를 파악한 후 본방송시간대에서는 오디오신호의 오디오를 정상적으로 출력하고 본방송시간대 이외의 시간대(예컨대, 광고시간대)에는 청취자의 사전설정에 따라 오디오를 온 또는 오프 시킬 수 있도록(즉, 오디오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오디오신호의 특정 데이터필드에 상기 오디오 방송이 본방송인지를 나타내는 방송송출시 설정된 플래그를 판독함으로써 오디오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 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수행할 수 있는 방송수신용 단말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시청자의 취향에 따라 방송프로그램 중 광고 등은 보지 않고 본방송만을 시청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방송수신용 단말기가 방송프로그램 중 광고 등은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본방송만을 디스플레이하므로 특히 상기 단말기가 이동 단말기인 경우에는 배터리 절약에 도움이 되어 한번 충전으로 더 오랫동안 본방송을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5)

  1. a)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방송신호를 AV신호 및 부가데이터신호로 분리하는 단계;
    c) 상기 부가데이터신호로부터 방송프로그램의 본방송 시간대를 파악하는 단계; 및
    d) 상기 본방송 시간대 이외 시간대에서는 상기 AV신호의 비디오 및 오디오를 출력하지 않거나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본방송 시간대 이외 시간대에서의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의 선택적 출력은 시청자에 의해 사전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디스플레이 방법.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부가데이터신호로부터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EPG 데이터로부터 방송프로그램의 본방송 시간대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디스플레이 방법.
  3. 삭제
  4.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튜너부;
    상기 튜너부에서 수신된 방송신호의 디지털 변환을 위한 A/D변환부;
    상기 A/D변환부의 출력을 복조하기 위한 복조부;
    상기 복조부의 출력을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부;
    상기 디코딩부의 출력을 부가데이터신호 및 AV신호로 분리하기 위한 디먹스부;
    상기 분리된 부가데이터신호를 처리하여 본방송 시간대를 파악하기 위한 부가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부가데이터처리부로부터 파악된 본방송 시간대를 근거로, 본방송 시간대 이외 시간대에서는 상기 분리된 AV신호의 비디오 및 오디오를 출력하지 않거나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AV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AV처리부는 상기 본방송 시간대 이외 시간대에서의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의 선택적 출력이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사전 설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용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데이터처리부는 상기 부가데이터신호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데이터를 추출하여 본방송 시간대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용 단말기.
  6. 삭제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a)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방송신호로부터 AV신호를 분리하는 단계;
    c) 상기 AV신호의 특정 데이터필드의 플래그값을 읽는 단계;
    d) 상기 플래그값으로부터 상기 AV신호가 방송프로그램의 본방송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e) 본방송이 아닌 상기 AV신호의 비디오 및 오디오는 출력하지 않거나 비디오 및 오디오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디스플레이 방법.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AV 신호의 PES 패킷헤더의 특정 데이터필드에서 상기 플래그값을 읽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디스플레이 방법.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본방송이 아닌 상기 AV신호의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의 선택적 출력은 시청자에 의해 사전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디스플레이 방법.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튜너부;
    상기 튜너부에서 수신된 방송신호의 디지털 변환을 위한 A/D변환부;
    상기 A/D변환부의 출력을 복조하기 위한 복조부;
    상기 복조부의 출력을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부;
    상기 디코딩부의 출력을 부가데이터신호 및 AV신호로 분리하기 위한 디먹스부; 및
    상기 분리된 AV신호의 특정 데이터필드의 플래그값을 읽고, 상기 플래그값으로부터 상기 AV신호가 방송프로그램의 본방송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본방송이 아닌 상기 AV신호의 비디오 및 오디오는 출력하지 않거나 비디오 및 오디오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기 위한 AV처리부;를 포함하는 방송수신용 단말기.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AV처리부는 상기 AV 신호의 PES 패킷헤더의 특정 데이터필드에서 상기 플래그값을 읽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용 단말기.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AV처리부는 상기 본방송 시간대 이외 시간대에서의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의 선택적 출력이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사전 설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용 단말기.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방송신호로서 송출하기 위한 비디오신호 및 오디오신호를 부호화하는 비디오 부호화기 및 오디오 부호화기;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ES(Elementary Stream) 및 오디오 ES로부터 동기화 패킷인 SL(Synchronization Layer) 패킷을 발생하는 SL 패킷화기;
    상기 SL 패킷화기에서 출력되는 SL 패킷을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 패킷화하고, 상기 패킷화된 PES 패킷 헤더에 상기 방송신호가 본방송인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설정하는 PES 패킷화기;
    상기 PES패킷을 TS(Transport Stream)로 다중화하기 위한 TS 다중화기;
    상기 다중화된 TS에 오류정정을 위한 부가 데이터를 첨가하는 외부부호화기; 및
    상기 부가 데이터가 첨가된 TS를 비디오 서비스 스트림으로 출력하기 위한 외부 인터리버를 포함하는 비디오 다중화기.
  14. a)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방송신호를 오디오신호 및 부가데이터신호로 분리하는 단계;
    c) 상기 부가데이터신호로부터 방송프로그램의 본방송 시간대를 파악하는 단계; 및
    d) 상기 본방송 시간대 이외 시간대에서는 상기 오디오신호의 오디오를 청취자의 사전 설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디스플레이 방 법.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a)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방송신호로부터 오디오신호를 분리하는 단계;
    c) 상기 오디오신호의 특정 데이터필드의 플래그값을 읽는 단계;
    d) 상기 플래그값으로부터 상기 오디오신호가 방송프로그램의 본방송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e) 본방송이 아닌 상기 오디오신호의 오디오는 청취자의 사전 설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050105370A 2005-11-04 2005-11-04 방송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수행할 수 있는 방송수신용단말기 KR100732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370A KR100732162B1 (ko) 2005-11-04 2005-11-04 방송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수행할 수 있는 방송수신용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370A KR100732162B1 (ko) 2005-11-04 2005-11-04 방송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수행할 수 있는 방송수신용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368A KR20070048368A (ko) 2007-05-09
KR100732162B1 true KR100732162B1 (ko) 2007-06-27

Family

ID=38272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5370A KR100732162B1 (ko) 2005-11-04 2005-11-04 방송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수행할 수 있는 방송수신용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216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782A (ko) * 2001-12-28 200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능형 뉴스 비디오 브라우징 시스템
KR20040072145A (ko) * 2003-02-10 2004-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Pvr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그를 이용한 예약 녹화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782A (ko) * 2001-12-28 200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능형 뉴스 비디오 브라우징 시스템
KR20040072145A (ko) * 2003-02-10 2004-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Pvr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그를 이용한 예약 녹화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368A (ko) 2007-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4210B1 (ko) 방송송신장치와, 이의 방송신호 송신방법 및방송수신장치와, 이의 예약녹화방법
EP2012448A2 (en) Broadcast System and Broadcast 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US20090276819A1 (en) Method of 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and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US7668520B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20020044222A1 (en) Language dispalying apparatus for digital TV and method for the same
US7711011B2 (en) Play-out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a channel in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CA27951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non-real-time broadcast service and content transmitted by broadcast signal
JP4186705B2 (ja) デジタル放送の補完視聴サービスサーバ、携帯受信機、及びデジタル放送補完視聴サービス方式
WO2007069837A1 (en) Broadcast receiver for and method of providing broadcast channel information
KR100617128B1 (ko) 디지털 방송 방법 및 장치
KR100732162B1 (ko) 방송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수행할 수 있는 방송수신용단말기
KR100698753B1 (ko) Dmb 단말기에서의 방송 프로그램 자동 실행 방법 및 예약 저장 방법
You et al. Integrated mobile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layer compliant with the T-DMB, CMMB, and ISDB-T standards
KR100713448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그에 따른 디지털 방송 출력 방법
JP2007166628A (ja) デジタル放送方法及びその放送受信端末機
KR100672393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변경시 정보 출력 방법
KR100745252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프로그램의 선택 수신 방법
JP4603058B2 (ja) デジタルブロードキャストシステムにおけるブロードキャスト受信装置及び方法
KR100790626B1 (ko) 방송 수신기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제공 방법
KR100609151B1 (ko) 디지털위성방송수신기 및 그 정보처리방법
JPWO2009057639A1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7266778A (ja) 復調回路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0739738B1 (ko) 듀얼 디스플레이를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수신 장치에서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그 수신장치
JP2004064463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1073666B1 (ko) 다종의 방송신호 자동 처리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방송신호 자동 결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