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0662B1 - 홍채인식시스템 - Google Patents

홍채인식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0662B1
KR100730662B1 KR1020050005613A KR20050005613A KR100730662B1 KR 100730662 B1 KR100730662 B1 KR 100730662B1 KR 1020050005613 A KR1020050005613 A KR 1020050005613A KR 20050005613 A KR20050005613 A KR 20050005613A KR 100730662 B1 KR100730662 B1 KR 100730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red
camera
case
color camera
ir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5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4881A (ko
Inventor
노성렬
채수현
Original Assignee
(주) 시리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시리우스 filed Critical (주) 시리우스
Priority to KR1020050005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0662B1/ko
Publication of KR20060084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4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0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0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29Chlorine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자의 홍채로부터 신상을 알아내는 홍채인식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 양측에 제1구멍(11)과 제2구멍(12)이 형성된 케이스(10); 케이스(10)의 전면 중앙에 설치되는 미러(20);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되 그 광축이 모아지도록 배치되는 칼라카메라(30) 및 적외선카메라(40); 케이스(10)의 전방으로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발생부(50); 케이스(10)의 전방 상하부에 설치되어 칼라카메라(30)와 적외선카메라(40)의 광축의 교차점으로 출입자 눈의 위치를 가변시키도록 지시하기 위한 상,하부지시등(61)(62); 칼라카메라(30)와 적외선카메라(40)에서 각각 촬영된 영상이 일치되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상,하부지시등(61)(62)을 선택적으로 점등시킴과 함께 상기한 칼라카메라(30), 적외선카메라(40), 적외선발생부(5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홍채인식시스템{SYSTEM FOR IDENTIFYING IRIS}
도 1은 종래의 홍채인식시스템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홍채인식시스템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칼라카메라와 적외선카메라에 각각 촬영되는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홍채인식시스템의 제2실시예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홍채인식시스템의 제3실시예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케이스 20 ... 미러
30 ... 칼라카메라 40 ... 적외선카메라
50 ... 적외선발생부 61, 62 ... 상,하부지시등
80 ... 이송구동부 81 ... 베이스
82 ... 레일 90 ... 회동구동부
91 ... 축부 92 ... 모터
본 발명은 출입하는 사람의 홍채를 인식함으로써 그 사람의 신원을 파악하는 홍채인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홍채인식시스템이란, 출입하는 사람의 홍채를 인식함으로써 그 사람의 신원을 파악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홍채인식시스템은, 홍채의 복제나 위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새로운 보안시스템으로서 각광받고 있다. 홍채인식시스템은 출입문이나 벽 내부, 또는 독립적으로 설치됨으로서 출입자의 신원을 파악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홍채인식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홍채인식시스템은 스탠드(1)의 상부에 홍채를 인식할 수 있는 홍채인식부(2)가 설치됨으로써 구현된다. 홍채인식부(2)는 구동부에 의하여 구동되는 여러개의 렌즈와, 렌즈를 투과한 홍채이미지가 투영되는 이미지센서로 구성되며, 오토포커스 기능을 가짐으로써 렌즈가 홍채에 대하여 정확한 초점을 맞출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홍채인식시스템에 있어서, 출입자의 신원을 파악하기 위하여 얼굴을 홍채인식부(2)에 근접시키면, 구동부는 렌즈를 앞뒤로 구동하여 홍채에 대하여 정확한 초점이 맞추어지도록 하고, 이렇게 함으로써 이미지센서는 홍채의 패턴을 정확히 인식하여 출입자의 신원을 파악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의 홍채인식시스템에 있어서, 출입자의 홍채를 정확히 인식하기 위하여 구동부가 렌즈를 오토 포커싱하여야 하는데, 포커싱을 위하 여 렌즈가 앞뒤로 움직이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홍채인식 시간이 길어졌다.
또한, 조명에 따라 정확한 오토 포커싱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더 나아가 출입하는 사람이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를 착용할 경우 오토 포커싱이 더더욱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홍채 인식률의 저하로 이어져 정확한 신원 파악에 장애가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출입자의 홍채를 빠른 시간내에 정확히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안경이나 렌즈를 착용하더라도 정확한 홍채 인식이 가능한 홍채인식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홍채인식시스템은,
전면 양측에 제1구멍(11)과 제2구멍(12)이 형성된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의 전면 중앙에 설치되는 미러(20);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되 그 광축이 모아지도록 배치되는 칼라카메라(30) 및 적외선카메라(40); 상기 케이스(10)의 전방으로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발생부(50); 상기 케이스(10)의 전방 상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칼라카메라(30)와 적외선카메라(40)의 광축의 교차점으로 출입자 눈의 위치를 가변시키도록 지시하기 위한 상,하부지시등(61)(62); 상기 칼라카메라(30)와 적외선카메라(40)에서 각각 촬영된 영상이 일치되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상기 상,하부지시등(61)(62)을 선택적으로 점등시킴과 함께 상기한 칼라카메라(30), 적외선카메라(40), 적외선발생부(5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칼라카메라(30)와 적외선카메라(40)를 동시에 전후진시키는 이송구동부(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구동부(80)는, 상기 칼라카메라(30)와 적외선카메라(40)가 고정되는 베이스(81)와, 상기 베이스(81)가 지지되는 레일(82)과, 상기 베이스(81)를 레일(82)에 대하여 이송시키는 모터(9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칼라카메라(30)와 적외선카메라(40)를 소정각도 회동시키는 회동구동부(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동구동부(90)는, 상기 칼라카메라(30) 및 적외선카메라(40) 각각의 소정부에 축결합되는 축부(91)와, 상기 축부(91)를 소정 각도 회동시키는 모터(92)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홍채인식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홍채인식시스템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칼라카메라와 적외선카메라에 각각 촬영되는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홍채인식시스템은, 전면 양측에 제1구멍(11)과 제2구멍(12)이 형성된 케이스(10)와, 케이스(10)의 전면 중앙에 설치되는 미러(20)와,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되 그 광축이 모아지도록 배치되는 칼라카메라(30) 및 적외선카메라(40)와, 케이스(10)의 전방으로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발생부(50)와, 케이스(10)의 전방 상하부에 설치되어 칼라카메라(30)와 적외선카메라(40)의 광축의 교차점으로 출입자 눈의 위치를 가변시키도록 지시하기 위한 상,하부지시등(61)(62)과, 칼라카메라(30)와 적외선카메라(40)에서 각각 촬영된 영상이 일치되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상,하부지시등(61)(62)을 선택적으로 점등시킴과 함께 상기한 칼라카메라(30), 적외선카메라(40), 적외선발생부(5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칼라카메라(30)는 홍채에서 반사되는 300nm ~ 700nm 사이의 가시광선을 촬영하는 것으로서, 가시광선 파장영역을 효과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최적화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칼라카메라(30)의 렌즈에는 300nm 이하의 자외선 파장영역을 차단하는 자외선차단필터(UV-cut filter)와, 700nm 이상의 적외선 파장영역을 차단하는 적외선차단필터(IR-cut filter)가 설치되어 있다.
적외선카메라(40)는 홍채에서 반사되는 적외선을 촬영하는 것으로서, 적외선 영역을 효과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최적화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적외선카메라(40)의 렌즈에는 가시광선 파장영역을 차단하는 가시광선차단필터가 설치된다.
적외선발생부(50)는 출입자의 홍채로 적외선을 조사하는데, 적외선카메라(40)는 적외선이 조사되는 홍채를 촬영하게 된다. 적외선은 유리에도 잘 반사되지 않는 특성이 있어, 출입자가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를 착용할 경우에도, 적외선카메라(40)는 정확한 홍채패턴을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적외선발생부(50)는 공지의 적외선 다이오드를 사용한다.
상,하부지시등(61)(62)은, 출입자에게 자신의 홍채가 칼라카메라(30)와 적외선카메라(40)의 광축에 교차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예를 들면, 상부지시등(61)이 점등되었을 때 출입자의 홍채를 양 카메라(30)(40)로부터 멀어지게 하라는 것을 의미하고, 하부지시등(62)이 점등되었을 때 출입자의 홍채를 양 카메라(30)(40)로 접근하라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는, 칼라카메라(30)에서 촬영된 이미지 영상과 적외선카메라(40)에서 촬영된 이미지 영상을 합성하는데, 만약 2 개의 이미지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부지시등(61) 또는 하부지시등(62)을 점등시켜 출입자가 양 카메라(30)(40)에서 멀어지게 하거나 접근하도록 지시함으로써, 양 카메라(30)(40)의 광축의 교차점으로 출입자의 홍채가 도달하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교차점에 도달하게 되어 2 개의 이미지가 일치하게 되면, 적외선발생부(50)가 적외선을 조사하도록 하여 적외선카메라(40)가 홍채를 정확히 촬영하도록 한다.
다음, 상기와 같은 구조에 홍채인식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출입자가 홍채인식시스템에 접근하여 자신의 눈이 미러(2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후, 칼라카메라(30)와 적외선카메라(40)가 출입자의 홍채를 촬영하는데, 제어부가 칼라카메라(30)에 의하여 촬영된 홍채(e1)의 이미지영상과 적외선카메라(40)에 의하여 촬영된 홍채(e2)의 이미지영상을 합성하여 상호 일치하지 않게 되면, 제어부는 상부지시등(61) 또는 하부지시등(62)을 선택적으로 점등하여 출입자가 양 카메라(30)(40)에서 멀어지게 하거나 접근하도록 지시함으로써, 양 카메라(30)(40)의 광축의 교차점으로 출입자의 홍채가 도달하도록 유도한다.
광축의 교차점으로 출입자의 홍채가 도달하면, 제어부는 적외선발생부(50)를 구동하여 적외선을 조사하도록 함으로써 적외선카메라(40)가 홍채를 촬영하도록 하고, 동시에 칼라카메라(30)를 구동하여 홍채를 촬영한다. 이때, 출입자가 콘택트렌즈나 안경을 착용하고 있더라도, 적외선은 콘택트렌즈나 안경에 의하여 잘 반사되지 않으므로, 홍채를 정확히 촬영한다.
각각의 칼라카메라(30)와 적외선카메라(40)에 의하여 각각 촬영된 홍채(e1)(e2)는 상호 일치되어 2.5 D(dimension)의 합성영상(칼라영상과 흑백영상(적외선영상)의 합성영상)(e3)이 형성됨으로써, 출입자의 신원을 확실히 파악하는 데이터로 활용된다.
이와 같이, 홍채를 칼라카메라(30)와 적외선카메라(40)를 이용하여 각각 촬영하므로, 더욱 상세하게 홍채를 인식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콘택트렌즈나 안경을 착용하더라도 정확한 홍채인식이 가능하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홍채인식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홍채인식시스템의 제2실시예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 기능을 하는 동일 부호이다.
제2실시예는, 출입자가 자신의 홍채의 위치를 가변시켜 광축의 교차점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실시예와는 달리, 출입자는 움직이지 않고 칼라카메라(30)와 적외선카메라(40)를 움직임으로써의 광축의 교차점을 출입자의 홍채에 맞추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케이스(10) 내부에서 칼라카메라(30)와 적외선카메라(40)를 동시에 전후진시키는 이송구동부(80)를 채용하여야 한다. 이송구동부(80)는, 칼라카메라(30)와 적외선카메라(40)가 고정되는 베이스(81)와, 베이스(81)가 지지되는 레일(82)과, 베이스(81)를 레일(82)에 대하여 이송시키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이송구동부(80)를 채용할 경우, 출입자는 움직이지 않고, 이송구동부(80)가 칼라카메라(30)와 적외선카메라(40)를 동시에 전후진시켜 광축의 초점을 홍채에 맞추게 된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홍채인식시스템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홍채인식시스템의 제3실시예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제1,2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 기능을 하는 동일 부재이다.
제3실시예는, 케이스(10) 내부에서 칼라카메라(30)와 적외선카메라(40)를 소정각도 회동시키는 회동구동부(90)를 채용한다라는 점에서, 제1,2실시예와 대비된다.
즉, 회동구동부(90)는, 칼라카메라(30) 및 적외선카메라(40) 각각의 소정부에 축결합되는 축부(91)와, 축부(91)를 소정 각도 회동시키는 모터(92)를 포함한다. 이러한 회동구동부(90)를 채용할 경우, 출입자는 움직이지 않고 회동구동부(90)가 칼라카메라(30)와 적외선카메라(40)를 회동시킴으로써 광축의 초점을 홍채에 맞추게 된다.
상기한 제2,3실시예의 동작은 실질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하 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홍채인식시스템에 따르면, 칼라카메라와 적외선카메라를 채용하여 가시광선 파장영역에서의 홍채인식과, 적외선 파장영역에서의 홍채인식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홍채인식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출입자가 콘택트렌즈나 안경을 착용할 경우에도 정확한 홍채 인식이 가능하다.

Claims (3)

  1. 전면 양측에 제1구멍(11)과 제2구멍(12)이 형성된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의 전면 중앙에 설치되는 미러(20);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되 그 광축이 모아지도록 배치되는 칼라카메라(30) 및 적외선카메라(40);
    상기 케이스(10)의 전방으로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발생부(50);
    상기 케이스(10)의 전방 상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칼라카메라(30)와 적외선카메라(40)의 광축의 교차점으로 출입자 눈의 위치를 가변시키도록 지시하기 위한 상,하부지시등(61)(62);
    상기 칼라카메라(30)와 적외선카메라(40)에서 각각 촬영된 영상이 일치되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상기 상,하부지시등(61)(62)을 선택적으로 점등시킴과 함께 상기한 칼라카메라(30), 적외선카메라(40), 적외선발생부(5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칼라카메라(30)와 적외선카메라(40)를 동시에 전후진시키는 이송구동부(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구동부(80)는, 상기 칼라카메라(30)와 적외선카메라(40)가 고정되는 베이스(81)와, 상기 베이스(81)가 지지되는 레일(82)과, 상기 베이스(81)를 레일(82)에 대하여 이송시키는 모터(9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칼라카메라(30)와 적외선카메라(40)를 소정각도 회동시키는 회동구동부(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동구동부(90)는, 상기 칼라카메라(30) 및 적외선카메라(40) 각각의 소정부에 축결합되는 축부(91)와, 상기 축부(91)를 소정 각도 회동시키는 모터(9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시스템.
KR1020050005613A 2005-01-21 2005-01-21 홍채인식시스템 KR100730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613A KR100730662B1 (ko) 2005-01-21 2005-01-21 홍채인식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613A KR100730662B1 (ko) 2005-01-21 2005-01-21 홍채인식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881A KR20060084881A (ko) 2006-07-26
KR100730662B1 true KR100730662B1 (ko) 2007-06-21

Family

ID=37174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5613A KR100730662B1 (ko) 2005-01-21 2005-01-21 홍채인식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066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1001B1 (en) 1998-10-26 2003-07-08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Image-input device
JP2004086412A (ja) * 2002-08-26 2004-03-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撮像素子および画像撮像装置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認証装置
WO2004100052A1 (en) * 2003-05-07 2004-11-18 Qritek Co., Ltd. Iris identification camer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1001B1 (en) 1998-10-26 2003-07-08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Image-input device
JP2004086412A (ja) * 2002-08-26 2004-03-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撮像素子および画像撮像装置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認証装置
WO2004100052A1 (en) * 2003-05-07 2004-11-18 Qritek Co., Ltd. Iris identification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881A (ko) 2006-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80589B (zh) 红外光源组件及电子装置
US20030152251A1 (en) Method and apparartus for picking up object being authenticated
CN100350420C (zh) 利用立体人脸识别的虹膜识别系统和方法
US771559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ris identification using stereoscopic face recognition
JP4529263B2 (ja) アイリス認識装置
EP1341119B1 (en) Iris recognition system
US7068820B2 (en) Iris image pickup apparatus and iris authentication apparatus
CN106458083A (zh) 车辆前照灯控制装置
JP2007319174A (ja) 撮影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認証装置
JP2006338236A (ja) 眼画像撮影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認証装置
CN202632316U (zh) 远距离非侵入式虹膜图像获取系统
CN103688218B (zh) 获取生物统计特征的设备和方法
JP2007319175A (ja) 撮影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認証装置
KR100730662B1 (ko) 홍채인식시스템
KR200340273Y1 (ko) 홍채 유도 장치
KR200321670Y1 (ko) 홍채 인식용 카메라
KR100447403B1 (ko) 홍채 인식 시스템의 초점 각도 및 거리 표시장치
KR200355279Y1 (ko) 홍채 및 일반 촬영 겸용 카메라
JP4622541B2 (ja) 虹彩撮影装置
KR20000002734A (ko) 광학 이미저
KR100430268B1 (ko) 홍채 인식 시스템의 촛점 각도 표시장치
KR100411344B1 (ko) 홍채 인식 시스템의 촛점 자동 조절방법
KR100366723B1 (ko) 홍채인식 시스템의 조명장치
KR100410972B1 (ko) 홍채 인식 시스템의 촛점 거리 지시 장치
KR101433788B1 (ko) 휴대용 단안 홍채 이미지 캡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