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0383B1 -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 오류 전파 방지를 위한 공간 예측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 오류 전파 방지를 위한 공간 예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0383B1
KR100730383B1 KR1020010043532A KR20010043532A KR100730383B1 KR 100730383 B1 KR100730383 B1 KR 100730383B1 KR 1020010043532 A KR1020010043532 A KR 1020010043532A KR 20010043532 A KR20010043532 A KR 20010043532A KR 100730383 B1 KR100730383 B1 KR 100730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image
error
intra
imag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3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8685A (ko
Inventor
이상우
김철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3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0383B1/ko
Publication of KR20030008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8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0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0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methods or arrangements for detection of transmission errors at the decod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9/00Image coding
    • G06T9/004Predictors, e.g. intraframe, interfram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spatial prediction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 오류 전파 방지를 위한 공간 예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H.26L 등과 같은 영상 압축시에 오류가 발생한 영상으로부터의 예측 부호화를 방지하여 오류의 전파를 막아, 오류 전파로 인한 연속적인 화질의 열화와 화질 열화의 누적을 막기 위한 공간 예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 영상 부호화시의 공간 예측 방법에 있어서, 한 장의 영상내에서 인트라 부호화하고자 하는 영상 블록의 주변 영상 블록의 압축 모드를 검사하고, 주변 영상 블록이 인터 모드인 경우에 주변 영상 블록의 오류 전파 여부를 확인하는 제 1 단계; 상기 영상 블록을 주변 인트라 영상 블록이나 오류 전파되지 않은 주변 인터 영상 블록으로부터 공간 예측하여 인트라 부호화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영상 블록에 대해, 오류 전파된 주변 인터 영상 블록으로부터의 공간 예측을 차단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동영상 압축시의 공간 예측 등에 이용됨.
H.26L, 인터 모드, 인트라 모드, 동영상 압축, 공간 예측

Description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 오류 전파 방지를 위한 공간 예측 방법{Method of predicting space for preventing error from propagation in image compression system}
도 1 은 일반적인 영상 압축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도 2a 및 도 2b 는 종래의 공간 예측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오류 전파 방지를 위한 공간 예측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모드 결정부 21 : 비트맵 변환부
22 : 런랭쓰 부호화기 23 : 가변장 부호화기(VLC)
본 발명은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 오류 전파 방지를 위한 공간 예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공간 예측 방법을 개선하여 오류가 발생한 영상으로부터의 예측 부호화를 방지함으로써, 오류의 전파를 막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우선, 종래의 기술 및 본 발명의 기술요지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영상에 대한 권고안(H.261)을 바탕으로 영상 압축의 개략적인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화면의 압축방법에는 화면내 압축 방법과 화면간 압축방법이 있다.
화면내 압축을 위해서는 먼저 8×8화소 단위의 이산여현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을 한다. 이 변환은 8×8 블록의 에너지를 저주파 성분에 집중을 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런데, 인간의 시각 특성은 고주파 성분의 양자화 잡음을 상대적으로 덜 느끼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DCT 변환을 한 계수가 고주파일수록 양자화 간격을 크게 한다.
따라서, 고주파 성분은 크기도 작은데 양자화 간격도 커서 대부분이 0이 된다. 이렇게 양자화된 DCT 계수는 0이 많은데 이를 효율적으로 압축하기 위해 런 랭쓰(Run-Length) 부호화와 지그재그 탐색(Zig-Zag Scan)이란 방법을 쓰고 있다. 즉, 지그재그 방향으로 데이터를 기록하면서 0이 연속될 경우 0을 그냥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0이 몇 번 연속되는지만을 기록한다. 그리고, 0이 아닌 경우는 그냥 데이터를 기록한다. 이렇게 하면 연속되는 많은 0들을 한꺼번에 적은 비트수로 표현할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데이터를 압축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러한 방식을 사용해서 만든 화면을 H.261에서는 "인트라 프레임(Intra-Frame)"이라고 한다.
한편, 화면간 압축방법은 화면간의 상관성을 이용하여 압축률을 높이기 위해서 화면을 매크로블록(4개의 휘도 블록과 두개의 색 블록)이란 일정한 크기의 단위로 나누어 각 매크로블록마다 이전 화면의 어느 위치에서 움직여 왔는지를 나타내는 움직임 벡터를 구하는 움직임보상과 전 영상에서 차이만을 부호화하여 보내주는 DPCM(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이란 방법을 이용한다.
여기서, 움직임보상방법은 움직임 추정방법으로 이전화면의 각 화소 위치마다 현 매크로블록과의 에러를 구하여 이것이 최소가 되는 위치를 찾는 블록 정합 알고리즘이 널리 쓰인다.
움직임 벡터는 화면 재구성을 위해 수신측에 전송되고, 수신측에서는 이전 영상에서 어느 위치에 있었던 데이터인지를 판단하여 복호하게 된다. 만약, 움직임보상으로 해결할 수 없는 데이터는 비트를 절약하기 위해 전영상에서 차이만을 보내는 DPCM이란 방법을 이용하여 원래 전달하고자 했던 영상을 만들어 낸다.
이렇게 화면간 압축방법으로 만들어진 화면을 "인터 프레임(Inter-Frame)"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H.261은 인트라 프레임(Intra-Frame)과 인터 프레임(Inter-Frame)으로 이루어져 있고, 두 가지 모두를 함께 사용한다. 즉, 먼저 인트라 프레임(Intra-Frame)을 수신측에 전송하고 훨씬 적은 크기의 인터 프레임(Inter-Frame)을 보내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는 만약 전송되는 영상에 장면이 바뀌거 나 움직임이 클 경우에는 인트라 프레임(Intra-Frame)을 보내는 것이 효과적이고, 움직임이 적을 경우에는 인터 프레임(Inter-Frame)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현재, 영상 및 음향을 송수신하는 시스템에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부호화하여 전송하거나 저장부에 저장하고, 이를 다시 복호화하여 재생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영상신호의 부호화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방식에는 변환 부호화 방식, DPCM(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방식, 벡터 양자화 방식 및 가변장 부호화(VLC : Variable Length Coding) 방식 등이 있다. 이 부호화 방식들은 디지털 영상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용장성 데이터(Redundancy Data)를 제거하여 전체 데이터량을 압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부호화 방식을 수행하기 위해 화면을 소정 크기의 블록들로 구분하고, 각 블록 또는 블록간의 차신호에 대해 소정의 변환을 수행하여 영상 데이터를 주파수 영역의 변환계수로 변환한다.
각 블록에 대한 데이터 변환방식에는,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WHT(Walsh-Hadamard Transform),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 및 DST(Discrete Sine Transform)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변환계수들을 데이터 특성에 따라 적절히 부호화함으로써 전송 데이터를 압축한다. 이렇게 부호화하고 전송한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부에서 원래의 영상신호로 복원하기 위해서는 영상 데이터의 전송과 함께 영상신호의 부호화된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헤드 데이터의 전송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동화상의 가변장 부호화 방식에서는 화상간의 변화가 많은 경우에는 인트라 모드(Intra Mode)로, 화상간의 변화가 적은 경우에는 인터 모드(Inter Mode)로 부호화를 하는데 어떠한 모드를 사용하여 부호화 했는지에 대한 정보도 오버헤드 데이터에 포함된다.
도 1 은 일반적인 영상 압축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로서, 인터/인트라 모드 부호화 장치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1에서, 영상 데이터(VS)가 제1 가산기(A1)를 통해 N×N 변환부(11)로 입력되고, N×N 변환부(11)의 출력단은 양자화부(12)의 입력단과 연결되며, 양자화부(12)의 출력단은 가변장 부호화부(13)와 연결된다. 한편, 영상 데이터(VS)는 모드 결정부(20)에도 공급되어, 모드 결정부(20)는 화상의 변화 정도에 따라 인터 모드 또는 인트라 모드를 결정하여 인터 모드/인트라 모드 정보를 다음단의 비트맵 변환부(21) 및 두 개의 스위치(RSW1,RSW2)로 공급한다.
비트맵 변환부(21)의 출력단은 런 랭쓰(Run-length) 부호화기(22)와 연결되며, 런 랭쓰 부호화기(22)의 출력은 가변장 부호화기(23)로 공급되어 가변장 부호화된 모드 정보가 버퍼(14)로 인가된다. 이때, 가변장 부호화된 신호는 버퍼(14)에서 잠시 지연된 후 전송되는데, 버퍼(14) 상태에 따라 양자화 레벨(QS)을 결정하는 신호가 양자화부(12) 및 역양자화부(15)로 공급된다.
한편, 양자화부(12)는 역양자화부(15)로 양자화된 신호를 출력하고, 역양자화부(15)는 N×N 역변환부(16)의 입력단과 연결되어 있다. 이때, N×N 역변환부(16)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제2 가산기(A2)를 통해 프레임 메모리(17)로 인가되고, 프레임 메모리(17)는 동 추정부(18) 및 동 보상부(19)로 각 출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동 보상부(19)의 출력은 제1 가산기(A1) 및 제2 가산기(A2)로 각각 인가되고, 동 추정부(18)는 영상 데이터(VS)를 인가받아 동 보상부(19)로 동 벡터(MV)를 출력하는 동시에 부호화된 영상신호(VC)와 함께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인터/인트라 모드 부호화 장치의 동작을 간략히 살펴보면, N×N 블록의 영상 데이터(VS)(일반적으로. N1×N2 블록)가 모드 결정부(20)와 제1 가산기(A1) 및 동 추정부(18)로 인가된다. 이때, 모드 결정부(20)에서는 이전 화상과 현재 화상간의 유사한 부분이 많은 경우에는 인터 모드(Inter Mode)로, 이전 화상과 현재 화상과의 변화가 많은 경우에는 인트라 모드(Intra Mode)로 각 부호화 방법을 결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결정된 인터 모드/인트라 모드는 2개의 스위치(RSW1,RSW2)를 제어함으로써 부호화 장치의 인터 모드/인트라 모드를 결정한다.
그런데, 차세대 동영상 압축 알고리즘을 목적으로 현재 표준화 작업중인 H.26L은 압축 효율을 높이기 위해 공간 예측 방법을 사용한다. 이 방법은 한 장의 영상내에서 주변 공간의 영상을 기준으로 삼아 예측 및 차분 부호화하는 것이다. 이 경우 하나의 블록(Block)에서 오류가 발생했을 때 이를 기준으로 삼아 예측하는 블록에 오류가 전파되어 화질의 열화를 야기한다.
만약, 영상 전송에 오류가 발생할 경우, 이 오류의 전파를 방지하기 위해서 매크로블록(Macroblock) 단위로 인트라(Intra) 부호화하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종 래의 공간 예측 방법을 사용할 경우에는 주변 블록으로 오류가 전파될 경우에 인트라(Intra) 부호화한 블록에 까지 오류가 전파되어 인트라(Intra) 부호화의 효과가 적다.
즉, H.26L 등과 같은 영상 압축시에, 종래의 공간 예측 방법을 사용하면 오류가 발생한 영상으로부터의 예측 부호화를 통해 오류의 전파로 인한 연속적인 화질의 열화와 화질 열화가 누적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H.26L 등과 같은 영상 압축시에 오류가 발생한 영상으로부터의 예측 부호화를 방지하여 오류의 전파를 막아, 오류 전파로 인한 연속적인 화질의 열화와 화질 열화의 누적을 막기 위한 공간 예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류가 발생된 블록에 대해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지 않고, 인트라 부호화를 수행하는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의 공간 예측 방법에 있어서, 인트라 부호화를 하고자 하는 영상 블록의 주변 영상 블록의 압축 모드를 검사하는 제1 단계; 상기 주변 영상 블록의 압축 모드가 인터 모드인 경우에 상기 주변 영상 블록이 이전 영상에서 오류 전파된 블록인지 확인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주변 영상 블록이 오류 전파된 블록인 경우, 상기 인트라 부호화를 하고자 하는 영상 블록의 부호화 시 공간 예측에 의한 부호화를 차단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주변 영상 블록이 오류 전파된 블록이 아니거나,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주변 영상 블록의 압축 모드가 인트라 모드인 경우, 상기 인트라 부호화를 하고자 하는 영상 블록에 대해 상기 주변 영상 블록을 이용해 공간 예측하여 인트라 부호화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오류가 발생된 블록에 대해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지 않고, 인트라 부호화를 수행하는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 공간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는 프로세서에서, 인트라 부호화를 하고자 하는 영상 블록의 주변 영상 블록의 압축 모드를 검사하는 제1 단계; 상기 주변 영상 블록의 압축 모드가 인터 모드인 경우에 상기 주변 영상 블록이 이전 영상에서 오류 전파된 블록인지 확인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주변 영상 블록이 오류 전파된 블록인 경우, 상기 인트라 부호화를 하고자 하는 영상 블록의 부호화 시 공간 예측에 의한 부호화를 차단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주변 영상 블록이 오류 전파된 블록이 아니거나,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주변 영상 블록의 압축 모드가 인트라 모드인 경우, 상기 인트라 부호화를 하고자 하는 영상 블록에 대해 상기 주변 영상 블록을 이용해 공간 예측하여 인트라 부호화하는 제4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H.26L로 부호화된 동영상 전송시 발생하는 오류가 다음 영상으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간 예측 방법의 개선 방안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공간 예측 방법을 개선하여 오류가 발생한 영상으로부터의 예측 부호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되면, 오류의 전파를 막을 수 있다. 이로써, 오류 전파로 인한 연속적인 화질의 열화와 화질 열화의 누적을 막을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대부분의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는 영상을 부호화할 경우에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 프레임인 C'블록을 이용해 현재 프레임인 C 블록(Block)을 부호화하는데, 이전 영상의 C' 블록에 오류가 발생하면 오류가 C 블록으로 전파되어 C 블록은 원래의 영상을 복원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C 블록을 인트라(Intra) 부호화하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이때는 C 블록을 예측 부호화하지 않아 오류의 전파를 막을 수 있다. 이를 "인트라 리프레쉬(Intra Refresh)"라 한다.
그러나, H.26L에서 인트라(Intra) 부호화할 경우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쪽의 A 블록이나 왼쪽의 B 블록으로부터 공간 예측 방법을 이용한다. 이 경우 A나 B 블록이 인터(Inter) 부호화되어 있어 이전 영상에서 오류가 전파되었을 때에는 C 블록에도 이전 영상의 오류가 전파되는 효과가 발생하여 인트라 리프레쉬(Intra Refresh)의 효과를 볼 수 없게 되어, 비트열의 소모만 커지게 된다.
따라서, A나 B 블록의 블록 부호화 모드를 확인하여, 인터 블록(Inter Block)일 경우에는 그 블록으로부터 공간 예측을 차단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인트라 블록(Intra Block) C로의 오류 전파를 막을 수 있어 영상의 오류 전파로 인한 화질 열화를 막을 수 있고, 오류 전파 및 누적으로 인한 화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오류 전파 방지를 위한 공간 예측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류 전파 방지를 위한 공간 예측 방법은, 먼저 인트라 모드로 영상 압축시에(301), 주변 영상 블록이 인트라 블록(Intra Block)인지 인터 블록(Inter Block)인지를 확인한다(302). 즉, 도 2b에서, C 블록을 인트라 모드로 압축할 때, 그 주변 영상 블록인 A나 B 블록의 블록 부호화 모드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주변 영상 블록이 인터 블록(Inter Block)인 경우(즉, 인터 부호화된 경우)에, 주변 영상 블록이 이전 영상에서 오류가 전파된 것인지를 검사하여(303), 오류가 전파된 영상 블록에 대해서는 해당 블록으로부터의 공간 예측을 차단한다(304). 한편, 주변 영상 블록이 오류가 전파된 인터 블록이 아니거나, 인트라 블록인 경우(즉, 인트라 부호화된 경우)에는 해당 블록으로부터 공간 예측을 한다(305). 즉, 도 2b에서, C 블록을 인트라 모드로 압축할 때, 그 주변 영상 블록인 A나 B 블록이 인터 블록(Inter Block)인 경우, A나 B 블록의 오류 전파를 검사하여, 오류가 전파된 블록에 대해서는 공간 예측을 차단한다. 그러나, A나 B 블록이 오류 전파된 인터 블록(Inter Block)이 아니거나, A나 B 블록이 인트라 블록(Intra Block)이면 A나 B 블록으로부터 공간 예측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기존의 공간 예측 방법을 개선하여 오류가 발생한 영상으로부터의 예측 부호화를 방지할 수 있어, 오류의 전파를 막을 수 있으며, 오류 전파로 인한 연속적인 화질의 열화와 화질 열화의 누적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오류가 발생된 블록에 대해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지 않고, 인트라 부호화를 수행하는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의 공간 예측 방법에 있어서,
    인트라 부호화를 하고자 하는 영상 블록의 주변 영상 블록의 압축 모드를 검사하는 제1 단계;
    상기 주변 영상 블록의 압축 모드가 인터 모드인 경우에 상기 주변 영상 블록이 이전 영상에서 오류 전파된 블록인지 확인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주변 영상 블록이 오류 전파된 블록인 경우, 상기 인트라 부호화를 하고자 하는 영상 블록의 부호화 시 공간 예측에 의한 부호화를 차단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주변 영상 블록이 오류 전파된 블록이 아니거나,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주변 영상 블록의 압축 모드가 인트라 모드인 경우, 상기 인트라 부호화를 하고자 하는 영상 블록에 대해 상기 주변 영상 블록을 이용해 공간 예측하여 인트라 부호화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 오류 전파 방지를 위한 공간 예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은,
    실질적으로, H.26L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 오류 전파 방지를 위한 공간 예측 방법.
  3. 삭제
  4. 오류가 발생된 블록에 대해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지 않고, 인트라 부호화를 수행하는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 공간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는 프로세서에서,
    인트라 부호화를 하고자 하는 영상 블록의 주변 영상 블록의 압축 모드를 검사하는 제1 단계;
    상기 주변 영상 블록의 압축 모드가 인터 모드인 경우에 상기 주변 영상 블록이 이전 영상에서 오류 전파된 블록인지 확인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주변 영상 블록이 오류 전파된 블록인 경우, 상기 인트라 부호화를 하고자 하는 영상 블록의 부호화 시 공간 예측에 의한 부호화를 차단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주변 영상 블록이 오류 전파된 블록이 아니거나,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주변 영상 블록의 압축 모드가 인트라 모드인 경우, 상기 인트라 부호화를 하고자 하는 영상 블록에 대해 상기 주변 영상 블록을 이용해 공간 예측하여 인트라 부호화하는 제4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10043532A 2001-07-19 2001-07-19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 오류 전파 방지를 위한 공간 예측방법 KR100730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532A KR100730383B1 (ko) 2001-07-19 2001-07-19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 오류 전파 방지를 위한 공간 예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532A KR100730383B1 (ko) 2001-07-19 2001-07-19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 오류 전파 방지를 위한 공간 예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685A KR20030008685A (ko) 2003-01-29
KR100730383B1 true KR100730383B1 (ko) 2007-06-19

Family

ID=27715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3532A KR100730383B1 (ko) 2001-07-19 2001-07-19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 오류 전파 방지를 위한 공간 예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03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011B1 (ko) * 2005-11-09 2007-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와, 그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1125846B1 (ko) * 2007-03-23 2012-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킷 기반의 영상 프레임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0482762Y1 (ko) 2016-10-25 2017-03-13 김영신 미술용 팔레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2140A (ko) * 1999-12-24 2001-07-07 오길록 블록별 생성 비트스트림 크기에 따른 채널 오류발생가능성 예측에 의한 인트라 갱신 블록 결정 기법을이용한 영상 부호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2140A (ko) * 1999-12-24 2001-07-07 오길록 블록별 생성 비트스트림 크기에 따른 채널 오류발생가능성 예측에 의한 인트라 갱신 블록 결정 기법을이용한 영상 부호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685A (ko) 2003-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4610B1 (ko) 화상예측 복호화장치 및 방법
KR100813963B1 (ko) 동영상의 무손실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0155784B1 (ko) 영상데이타의 적응형 가변장 부호화/복호화방법
JP5269593B2 (ja) 符号化装置、符号化方法、復号装置、復号方法およびそれらのプログラム
US8948243B2 (en) Image encoding device, image decoding device, image encoding method, and image decoding method
KR101356207B1 (ko) 데이터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KR20090095317A (ko)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030081469A (ko) 동화상 부호화 장치 및 동화상 복호 장치
JP2005510983A (ja) ビデオ画像のグローバル動き補償
US200501291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itcure compression using variable block of arbitrary size
JPH07288820A (ja) 符号化装置及び復号化装置
KR20090087767A (ko)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CN1938728A (zh) 使用包括多个宏块的预测和非预测画面对画面序列编码的方法和装置
JP2004527981A (ja) 予測タイプの選択によるビデオデータブロックのイントラ符号化
JP3857298B2 (ja) 画像予測符号化装置及び方法、並びに画像予測復号化装置及び方法
KR100730383B1 (ko)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 오류 전파 방지를 위한 공간 예측방법
JP3599942B2 (ja) 動画像符号化方法、及び動画像符号化装置
KR100982514B1 (ko)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77621A (ko) 영상 압축에서의 플리커링 현상 제거 방법 및 그 장치
KR100358159B1 (ko)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 매크로블록 압축모드 선택 방법
JPH10164594A (ja) 動画像の圧縮符号化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157144B1 (ja) 画像予測復号化方法
JP3851317B2 (ja) 画像予測符号化方法及び装置
KR200309401Y1 (ko) 디지털 영상압축 시스템
KR20040066397A (ko) 디지털 영상압축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