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8676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8676B1
KR100728676B1 KR1020050109200A KR20050109200A KR100728676B1 KR 100728676 B1 KR100728676 B1 KR 100728676B1 KR 1020050109200 A KR1020050109200 A KR 1020050109200A KR 20050109200 A KR20050109200 A KR 20050109200A KR 100728676 B1 KR100728676 B1 KR 100728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curtain
curtain unit
door
storage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9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1529A (ko
Inventor
윤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9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8676B1/ko
Publication of KR20070051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1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8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8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3Air curtain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저장실의 개구면에 설치되고, 일측이 저장실 외부를 향하고 타측이 저장실의 개구부를 향하도록 구성된 유로를 구비하여, 저장실의 냉기 유출이 차단되도록 저장실 외부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에어커튼 유니트와;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에어커튼 유니트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유니트를 포함함으로써, 외부 공기를 하부에서 상방으로 토출 유동시켜 공기 유막을 생성시키므로, 냉기 누출 및 손실을 효과적으로 방지시키는 이점이 있다.
냉장고, 에어커튼, 도어, 공기 유막, 냉기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실시예가 도시된 도로서,
도 1은 냉장고의 전면 절개도,
도 2는 냉장고의 측면 절개도,
도 3은 냉장고의 에어커튼 유니트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냉장고 52: 저장실
54: 도어 56: 블럭
60: 에어커튼 유니트 62: 하우징
64: 흡입구 66: 횡류팬
68: 스프링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저장실의 냉기 유출이 차단되도록 에어커튼 유니트가 구비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저장실의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시켜 저장물을 보관하는 장치이고, 에어커튼 유니트는 내외가 개방되는 지점에 공기유막이 생성되도록 압축공기를 분출 및 흡입시켜 내외를 차단하는 장치이다.
저장실의 온도는 저온으로 유지되어야 하는데,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시키는 경우 저장실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고 외부의 온기가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실의 온도가 저온으로 유지되지 못하게 되며, 특히 가정용 냉장고의 경우 도어의 개방이 잦으므로 저장실의 저온 유지가 더욱 어려워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도어 개방으로 인한 냉기 유출은 저장실의 온도를 상승시켜 저장물의 변질을 가져올 뿐 아니라, 저온 회복을 위한 에너지의 손실도 가져오게 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는 도어 개방시 냉기 유출을 차단할 수 있는 효율적인 기술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 냉기 유출을 차단시키기 위하여 저장실의 개구부에 공기유막을 생성시키는 에어커튼 유니트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구성된 도어와; 저장실의 개구면에 설치되고, 일측이 저장실 외부를 향하고 타측이 저장실의 개구부를 향하도록 구성된 유로를 구비하여, 저장실의 냉기 유출이 차단되도록 저장실 외부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에어커튼 유니트와;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에어커튼 유니트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커튼 유니트는 저장실의 개구면 하부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커튼 유니트는 상기 도어가 개방될 때 탄성부재에 의하여 전방으로 밀려 나오도록 설치되고, 상기 도어가 폐쇄될 때 상기 도어의 하부에 의하여 밀려 들어가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 유니트는 상기 에어커튼 유니트가 전방으로 밀려 나왔을 때 상기 에어커튼 유니트가 작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에어커튼 유니트가 후방으로 밀려 들어갔을 때 상기 에어커튼 유니트가 작동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커튼 유니트의 흡입구 및 토출구는 상기 저장실의 개구부 좌우 폭을 따라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실시예가 도시된 도로서, 도 1은 냉장고의 전면 절개도, 도 2는 냉장고의 측면 절개도, 도 3은 냉장고의 에어커튼 유니트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50)과; 개구부를 갖는 밀폐 구조로 상기 캐비닛(50)의 내부에 형성되어, 저온 유지가 요구되는 저장물이 보존되는 저장실(52)과; 상기 저장실(52)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52)을 개폐하는 도어(54)와; 상기 저장실(52)이 저온으로 유지되도록 작동되는 냉동 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냉동 장치는 압축기, 응축기, 밸브, 증발기와 이들 장치들을 순환 연결시키는 냉동 유로를 구비하여, 상기 냉동 유로에 냉매를 순환시켜 상기 저장실(52)을 저온으로 유지시키는 증기압축식 냉동 장치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냉동 장치는 상기한 증기압축식 냉동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흡수식 냉동 장치 또는 열전 냉동 장치 등 상기 저장실(52)을 저온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모든 기술 수단을 채택하여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캐비닛(50) 및 상기 저장실(52)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저장실(52)의 일면에 구비된다.
상기 개구부와 상기 도어(54) 사이에는 상기 도어(54)가 폐쇄되었을 때 상기 저장실(52)이 완전 밀폐되도록 개스킷 등의 패킹 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52)의 냉기 유출이 차단되도록 저장실(52) 외부의 공기를 유동시켜 공기 유막을 생성시키는 에어커튼 유니트(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에어커튼 유니트(60)는 상기 저장실(52)의 개구면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캐비닛(50)과 상기 저장실(52)의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에어커튼 유니트(60)는 흡입구(64)가 저장실(52) 외부를 향하고 토출구가 저장실(52)의 개구부를 향하는 유로를 구비한 하우징(62)과; 상기 하우징(62)에 내장되는 횡류팬(6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저장실(52)은 저장 온도, 저장물의 종류 등에 따라 둘 이상의 저장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에어커튼 유니트(60)는 상기 저장실(52)이 구획되는 저장 공간의 수만큼 구비되거나, 상기 저장실(52)의 구획된 모든 저장 공간의 개구부에 공기 유막을 형성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커튼 유니트(60)는 상기 도어(54)가 개방될 때 탄성 부재(68)에 의하여 전방으로 밀려 나오도록 설치되고, 상기 도어(54)가 폐쇄될 때 상기 도어(54)의 하부에 의하여 밀려 들어가도록 설치된다.
상기 도어(54)가 개방될 때 상기 에어커튼 유니트(60)가 지나치게 돌출되어 냉장고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바, 상기 에어커튼 유니트(6)의 밀려 나오는 거리를 제한하는 걸림턱을 상기 에어커튼 유니트(60) 또는 상기 캐비닛(50) 중 어느 일측에 설치하여 상기 에어커튼 유니트(60)가 냉장고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도어(54)는 그 도어(54)가 폐쇄될 때 상기 에어커튼 유니트(60)를 압입시키도록 하부에 압입 블록(56)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상기 탄성 부재(68)는 상기 도어(54)가 폐쇄될 때 상기 에어커튼 유니트(60)가 압입되면서 함께 수축되고, 상기 도어(54)가 개방될 때 상기 에어커튼 유니트(60)를 전방으로 밀어내도록 탄성 계수가 구비된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등의 부재가 사용된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도어(54)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에어커튼 유니트(60)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유니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 유니트는 상기 도어(54)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에어커튼 유니트(60)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 수단을 구비하는 바, 상기 감지 수단은 상기 에어커튼 유니트(60)가 전방으로 밀려 나왔는지 혹은 후방으로 밀려 들어갔는지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제어 유니트는 상기 감지 수단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에어커튼 유니트(6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에어커튼 유니트(60)로의 동력 전달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어(54)가 개방되면서 상기 도어(54) 하부에 구비된 상기 압입 블럭(56)이 상기 개구부로부터 멀어지면 상기 에어커튼 유니트(60)가 상기 탄성 부재 (68)에 의하여 전방으로 밀려 나온다.
상기 감지 수단으로 상기 에어커튼 유니트(60)의 위치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 유니트는 상기 에어커튼 유니트(60)의 횡류팬(66)에 동력을 공급한다.
상기 횡류팬(66)이 구동되면 상기 저장실(52) 외부의 공기가 상기 에어커튼 유니트(60)의 흡입구(64)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상기 에어커튼 유니트(60)의 토출구에서 상기 저장실(52)의 개구부를 향하여 배출되어, 상기 개구부에 공기 유막이 생성된다.
밀도차로 인하여 온기는 상승하고 냉기는 하부에 축적되는 점을 감안하면 하부에 축적된 냉기 누출을 막는 것이 보다 효과적인 바, 상기 공기 유막은 공기가 상방으로 토출되어 형성된 것이어서, 상기 개구부의 상부보다 상기 개구부의 하부의 냉기를 보다 확실하게 차단시킨다.
또한 상기 저장실(52) 내부 공기를 유동시켜 공기 유막을 생성시키는 경우에는 내부 공기가 유동되면서 외부로 배출될 뿐만 아니라 마찰되어 온도가 상승되는 악효과가 발생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유막은 외부 공기로부터 생성된 것이므로 상기 저장실(52)의 공기 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고, 공기 유막이 생성될 때 마찰로 인한 냉기 손실이 줄어든다.
상기 도어(54)가 폐쇄되면 상기 압입 블럭(56)이 상기 에어커튼 유니트(60)를 후방으로 밀어 넣으며, 이때 상기 탄성 부재(68)는 수축된다.
에어커튼 유니트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저장실 개구부 중 어느 일측면에 고착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며, 이때 제어 유니트는 상기 에어커튼 유니트의 위치로부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도어 개폐 감지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에어커튼 유니트를 구비하여, 도어가 개방될 때 냉기 누출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외부 공기를 유동시켜 공기 유막을 생성시키므로, 내부 공기를 유동시켜 공기 유막을 생성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냉기 손실이 최소화되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공기가 상방으로 토출되어 공기 유막이 생성되므로, 저장실의 하부에 축적된 냉기가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키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구성된 도어와;
    저장실의 개구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일측이 저장실 외부를 향하고 타측이 저장실의 개구부를 향하도록 구성된 유로를 구비하여, 저장실의 냉기 유출이 차단되도록 저장실 외부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에어커튼 유니트와;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에어커튼 유니트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커튼 유니트는 상기 도어가 개방될 때 탄성부재에 의하여 전방으로 밀려 나오도록 설치되고, 상기 도어가 폐쇄될 때 상기 도어의 하부에 의하여 밀려 들어가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니트는 상기 에어커튼 유니트가 전방으로 밀려 나왔을 때 상기 에어커튼 유니트가 작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에어커튼 유니트가 후방으로 밀려 들어갔을 때 상기 에어커튼 유니트가 작동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에어커튼 유니트에 구비된 유로의 일측에는 상기 저장실의 외부를 향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저장실의 개구부를 향하는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 및 토출구는 상기 저장실의 개구부 좌우 폭을 따라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50109200A 2005-11-15 2005-11-15 냉장고 KR100728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200A KR100728676B1 (ko) 2005-11-15 2005-11-15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200A KR100728676B1 (ko) 2005-11-15 2005-11-15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1529A KR20070051529A (ko) 2007-05-18
KR100728676B1 true KR100728676B1 (ko) 2007-06-15

Family

ID=38274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9200A KR100728676B1 (ko) 2005-11-15 2005-11-15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867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44119A (en) 1976-05-25 1977-12-0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Connection device of partition panel
KR970070872A (ko) * 1996-04-23 1997-11-07 김광호 에어커튼 구조를 갖는 냉장고
KR980003368A (ko) * 1996-06-25 1998-03-30 김광호 냉장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44119A (en) 1976-05-25 1977-12-0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Connection device of partition panel
KR970070872A (ko) * 1996-04-23 1997-11-07 김광호 에어커튼 구조를 갖는 냉장고
KR980003368A (ko) * 1996-06-25 1998-03-30 김광호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1529A (ko) 2007-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5368B2 (en) Refrigerator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KR102627719B1 (ko) 냉장고
JP5903552B2 (ja) 冷蔵庫
KR101858237B1 (ko) 홈바를 구비한 냉장고 및 냉장고용 열풍유닛
JP4833337B2 (ja) 温度制御室を有する冷蔵庫
KR101872607B1 (ko) 냉장고
KR101869165B1 (ko) 냉장고
KR100728676B1 (ko) 냉장고
JP6861336B2 (ja) 冷蔵庫
KR20140058164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JP6846599B2 (ja) 冷蔵庫
KR101660719B1 (ko) 냉장고
KR100578403B1 (ko) 냉장고의 기계실 냉각장치
KR20050023788A (ko) 냉장고의 온도제어장치
KR20180121139A (ko) 쇼케이스
KR20190087020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KR0168267B1 (ko) 냉장고의 에어커튼장치
KR0159623B1 (ko) 냉장고의 야채실
KR20060006535A (ko) 냉장고
KR100218926B1 (ko) 냉장고
KR0168269B1 (ko) 냉장고의 에어커튼장치
KR100430000B1 (ko) 듀얼 콘덴서를 구비한 냉장고
KR100589906B1 (ko) 공기조화기
KR101257516B1 (ko) 냉장고
KR101483591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