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7634B1 - 오리발 - Google Patents
오리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27634B1 KR100727634B1 KR1020050131948A KR20050131948A KR100727634B1 KR 100727634 B1 KR100727634 B1 KR 100727634B1 KR 1020050131948 A KR1020050131948 A KR 1020050131948A KR 20050131948 A KR20050131948 A KR 20050131948A KR 100727634 B1 KR100727634 B1 KR 1007276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trusion
- flippers
- longitudinal direction
- shoe
- p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1/00—Swimming aids
- A63B31/08—Swim fins, flippers or other swimming aid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arms, feet or legs
- A63B31/10—Swim fins, flippers or other swimming aid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arms, feet or leg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or feet
- A63B31/11—Swim fins, flippers or other swimming aid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arms, feet or leg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or feet attachable only to the 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발이 끼워지는 신발부와 그 신발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수중에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핀부를 구비하는 오리발에 있어서, 상기 핀부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한 면에는 그 핀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돌출부가 상기 핀부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오리발, 핀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오리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리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오리발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오리발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오리발 10.......신발부
20.........핀부 21.......제1돌출부
221, 222...제2돌출부 13.......제3돌출부
본 발명은 오리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리발이 물의 저항을 적게 받고 양력을 잘 받도록 함으로써, 오리발 사용자의 피로를 줄이고 오리발로 인한 추진력을 향상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오리발에 관한 것이다.
오리발은 스킨스쿠버다이빙과 같은 해양레저 활동이나 수영 시 발에 착용하는 장비로서, 사용자가 다리와 발을 이용해서 오리발을 저어 물속에서 추진력을 얻 는다.
오리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발을 끼워서 몸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신발 형태로 생긴 신발부(2)와, 그 신발부(2)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발끝 방향으로 연장된 평판형태인 핀(3; fin)부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추진력을 얻기 위해 다리와 발을 이용해서 오리발(1)을 저으면, 평판형태로 되어 있는 핀부(3)로 인해 오리발(1)은 물에 의한 항력을 받게 되고, 그 항력이 사용자의 발목과 다리에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오리발(1)을 젓는 동작에 의해 사용자는 발목과 다리에 큰 부담을 갖게 되고 장시간 사용 시에는 고통을 느끼거나 부상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오리발(1)의 핀부(3) 끝부분으로 갈수록 상하운동의 폭이 크고 그로 인해 강한 저항력을 받게 되는데 이러한 저항력은 사용자의 발목에 모멘트로 작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피로감을 느끼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물속에서 추진력을 얻기 위한 방법은 항력을 이용하는 방법과 양력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항력을 이용하는 방법의 예로는 노젓기가 있으며, 양력을 이용하는 방법은 수영할 때의 발차기나 물고기의 꼬리지느러미 운동을 예로 들 수 있다. 오리발을 이용하여 물속에서 추진력은 얻는 것은 양력을 주로 이용하는 방법에 해당한다. 따라서, 오리발을 저을 때 오리발이 받게 되는 항력을 줄이면서 양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추진력 측면에서 중요하다. 그러나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오리발(1)은 핀부(3)가 판형태로 되어 있어서 항력을 크게 받기 때문에 추진력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발에 착용하고 다리와 발을 이용하여 저음으로써 추진력을 얻는 오리발에 있어서, 오리발이 물로 인해 받게 되는 항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피로감을 줄이면서 오리발이 물로부터 받는 양력을 증가시켜 더 강한 추진력을 얻을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오리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리발은, 사용자의 발이 끼워지는 신발부와 그 신발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수중에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핀부를 구비하는 오리발에 있어서, 상기 핀부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한 면에는 그 핀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돌출부가 상기 핀부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리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오리발의 Ⅲ-Ⅲ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오리발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오리발(100)은 신발부(10)와 핀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신발부(10)는 신발형태로 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그 신발부(10)에 발을 끼워 본 발명에 따른 오리발(100)을 착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핀부(20)는 상기 신발부(10)로부터 연장된 평판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핀부(20)의 상면에는 그 핀부(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돌출부(21)가 상기 핀부(20)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돌출부(21)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은 돌출방향으로 진행할수록 그 폭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그 단면의 형상이 삼각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돌출부(21)의 단면에 있어서 밑변의 길이(w1)는 20㎜ 내지 50㎜이고, 높이(h1)는 30㎜ 내지 60㎜인 것이 좋다. 상기 제1돌출부(21)의 밑변의 길이(w1)가 20㎜보다 작고 높이(h1)가 30㎜보다 작으면 원하는 효과를 얻기 힘들고, 밑변의 길이(w1)가 50㎜보다 크고 높이(h1)가 60㎜보다 크면 상기 핀부(20)가 받게 될 항력이 커질 가능성이 높다.
상기 핀부(20)의 상면에는 상기 제1돌출부(21)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며, 상기 핀부(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돌출부(221, 22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각각의 상기 제2돌출부(221, 222)들은 상기 제1돌출부(21)와 상기 각 제2돌출부(221, 222) 사이의 간격(L1, L2)이 상기 신발부(10)로부터 멀어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돌출부(221, 222)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은 돌출방향으로 진행할수록 그 폭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그 단면의 형상이 삼각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돌출부(221, 222)의 돌출높이(h2)는 상기 제1돌출부(21)의 돌출높이(h1)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제2돌출부(221, 222)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밑변의 길이(w2)는 10㎜ 내 지 30㎜이고, 높이(h2)는 20㎜ 내지 40㎜인 것이 좋다. 상기 제2돌출부(221, 222)의 밑변의 길이(w2)가 10㎜보다 작고 높이(h2)가 20㎜보다 작으면 원하는 효과를 얻기 힘들고, 밑변의 길이(w2)가 30㎜보다 크고 높이(h2)가 40㎜보다 크면 상기 핀부(20)가 받게 될 항력이 커질 가능성이 높다.
상기 신발부(10)의 상면 중앙부에는 그 신발부(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돌출부(13)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신발부(10)의 상면을 유선형으로 근사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오리발(100)의 기능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본 실시예에 따른 오리발(100)을 저으면, 상기 핀부(20)에 형성된 제1돌출부(21)는 상기 핀부(20)와 마주하는 유동을 상기 양 측면 쪽으로 흐르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핀부(20)에 상기 제1돌출부(21)가 형성됨으로 인해, 상기 핀부(20)의 단면은 유선형에 가까운 모양이 되어 그 핀부(20)가 받게 되는 항력의 크기가 감소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핀부(20)의 중앙부 근처의 유동은 상기 핀부(20)에 강한 항력으로 작용하는데, 상기 제1돌출부(21)가 상기 중앙부의 물을 용이하게 분리시켜 상기 핀부(20)의 양 측면 쪽으로 흐르도록 가이드함으로써 상기 핀부(20)가 받게 되는 항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발목과 다리에 받게 될 부담이 감소하고 피로와 부상의 위험이 줄어들게 된다.
상기 신발부(10)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제3돌출부(13)도, 상기 핀부(20)에 형성된 제1돌출부(21)와 같은 원리에 의해, 상기 신발부(10)가 받게 될 항력을 감 소시켜 사용자의 피로와 부상의 위험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제1돌출부(21)의 양 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제2돌출부(221, 222)로 인해, 상기 제1돌출부(21)와 상기 제2돌출부(221, 222) 사이에는 골이 형성된다.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오리발(100)을 저으면, 상기 핀부(20) 주위의 유동중 일부는 이 골을 따라 흐르게 된다. 즉, 상기 제1돌출부(21)와 상기 제2돌출부(221, 222)는 유동이 상기 핀부(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신발부(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흐르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돌출부(21)와 상기 제2돌출부(221, 222) 사이의 간격(L1, L2)이 상기 신발부(10)로부터 멀어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있으면, 상기 제1돌출부(21)와 상기 제2돌출부(221, 222) 사이의 골을 따라 흐르는 유동은 그 골의 폭(L1, L2)이 좁아짐에 따라 더욱 빠른 유속으로 흐를 수밖에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돌출부(21)와 상기 제2돌출부(221, 222)의 구조로 인해 증가된 유속은 본 발명에 따른 오리발(100)이 더욱 큰 양력을 갖게 하고,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더욱 강한 추진력을 얻게 된다.
상기 제1돌출부(21)의 돌출높이(h1)보다 상기 제2돌출부(221, 222)의 돌출높이(h2)를 작게 구성하면, 상기 제1돌출부(21)에 부딪히는 유동이 상기 핀부(20)의 측면으로 가이드되면서 상기 제2돌출부(221, 222)에 부딪히더라도 항력을 감소시키는 효과는 크게 줄어들지 않게 되고, 상기 제1돌출부(21)와 상기 제2돌출부(221, 222) 사이의 유동의 유속을 증가시킴으로써 더욱 강한 추진력을 얻게 하는 효과는 그대로 유지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오리발이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형태의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앞에서 상기 제1돌출부(21)와 상기 제2돌출부(221, 222)는 상기 핀부(2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는 핀부의 하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핀부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돌출부(21)와 상기 제2돌출부(221, 222)는 그 단면이 삼각형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단면의 폭이 돌출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형상이면 어느 형상이나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돌출부(221, 222)가 없는 오리발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3돌출부(13)가 없는 오리발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앞에서 상기 핀부(20)에는 한 쌍의 제2돌출부(221, 2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두 쌍 이상의 돌출부를 가지는 핀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앞에서 상기 제1돌출부(21)와 상기 제2돌출부(221, 222)의 단면의 폭(w1, w2)과 높이(h1, h2)의 치수를 수치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효과를 얻기 위한 바람직한 범위를 제시한 것이며, 이와 같은 범위를 벗어나는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를 갖는 오리발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오리발의 구조를 개선하 여, 오리발이 물로부터 받게 되는 항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피로감과 부상의 위험을 감소시키고, 오리발이 받게 되는 항력은 감소시키고 양력은 증가시켜 강한 추진력을 얻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 사용자의 발이 끼워지는 신발부와 그 신발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수중에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핀부를 구비하는 오리발에 있어서,상기 핀부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한 면에는 그 핀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돌출부가 상기 핀부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으며,상기 핀부에 제1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면에는 상기 제1돌출부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며, 상기 핀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제2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의 간격은 상기 신발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리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2돌출부의 돌출높이는 상기 제1돌출부의 돌출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리발.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신발부의 상면 중앙부에는 그 신발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리발.
-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제1돌출부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은 돌출방향으로 진행할수록 그 폭이 감소하며,상기 제2돌출부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은 돌출방향으로 진행할수록 그 폭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리발.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제1돌출부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밑변의 길이는 20㎜ 내지 50㎜이고, 높이는 30㎜ 내지 60㎜이며,상기 제2돌출부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밑변의 길이는 10㎜ 내지 30㎜이고, 높이는 20㎜ 내지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리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31948A KR100727634B1 (ko) | 2005-12-28 | 2005-12-28 | 오리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31948A KR100727634B1 (ko) | 2005-12-28 | 2005-12-28 | 오리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27634B1 true KR100727634B1 (ko) | 2007-06-13 |
Family
ID=38359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31948A KR100727634B1 (ko) | 2005-12-28 | 2005-12-28 | 오리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27634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4848B1 (ko) | 2017-12-28 | 2019-03-06 | 하동진 | 추진력 조절이 가능한 수중용 오리발 |
KR102007892B1 (ko) | 2018-09-06 | 2019-08-06 | 조국 | 오리발 겸용 신발 |
KR102266486B1 (ko) | 2020-07-02 | 2021-06-17 | 조국 | 오리발 겸용 신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978537A (en) * | 1975-01-14 | 1976-09-07 | Farallon Industries, Inc. | Swim fin including means for maintaining foot and leg in fixed relationship |
KR19990037092U (ko) * | 1999-06-23 | 1999-10-05 | 박근성 | 수영용물갈퀴 |
KR100293165B1 (ko) * | 1998-09-09 | 2001-06-15 | 하흥섭 | 수영 연습용 물갈퀴 |
-
2005
- 2005-12-28 KR KR1020050131948A patent/KR10072763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978537A (en) * | 1975-01-14 | 1976-09-07 | Farallon Industries, Inc. | Swim fin including means for maintaining foot and leg in fixed relationship |
KR100293165B1 (ko) * | 1998-09-09 | 2001-06-15 | 하흥섭 | 수영 연습용 물갈퀴 |
KR19990037092U (ko) * | 1999-06-23 | 1999-10-05 | 박근성 | 수영용물갈퀴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4848B1 (ko) | 2017-12-28 | 2019-03-06 | 하동진 | 추진력 조절이 가능한 수중용 오리발 |
KR102007892B1 (ko) | 2018-09-06 | 2019-08-06 | 조국 | 오리발 겸용 신발 |
KR102266486B1 (ko) | 2020-07-02 | 2021-06-17 | 조국 | 오리발 겸용 신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146224A (en) | High efficiency hydrofoil and swim fin designs | |
US20070173143A1 (en) | High efficiency hydrofoil and swim fin designs | |
KR102007892B1 (ko) | 오리발 겸용 신발 | |
US6371821B1 (en) | High efficiency hydrofoil and swim fin designs | |
US7527540B2 (en) | Relief jet aperture swim fins with living-hinge blade | |
KR100727634B1 (ko) | 오리발 | |
US6183327B1 (en) | Swim fin structure | |
US7753749B2 (en) | Swim fin | |
JP2004065990A (ja) | 改良型水泳用トレーニングフィン | |
EP2062491A1 (en) | A shoe and a flipper set-up | |
CN110548263A (zh) | 具有次叶片组的蛙鞋 | |
US5975973A (en) | Swim fin | |
KR200342248Y1 (ko) | 수중레저용 오리발 | |
CA2615635C (en) | High efficiency hydrofoil and swim fin designs | |
KR20140040355A (ko) | 물용 레저장치 | |
US20190366159A1 (en) | Fin with secondary blade set | |
JP2000005340A (ja) | 水泳用ひれ足 | |
PL235654B1 (pl) | Płetwa do pływania z wyprofilowanym wzdłużnie piórem | |
PL235657B1 (pl) | Ultralekka płetwa do pływania z wyprofilowanym wzdłużnie piórem | |
AU2004202116B2 (en) | High efficiency hydrofoil and swim fin designs | |
JPH0513471U (ja) | フイン | |
KR20050034277A (ko) | 수중레저용 오리발 | |
WO2006060861A1 (en) | A swim fi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29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