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0355A - 물용 레저장치 - Google Patents

물용 레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0355A
KR20140040355A KR1020120106840A KR20120106840A KR20140040355A KR 20140040355 A KR20140040355 A KR 20140040355A KR 1020120106840 A KR1020120106840 A KR 1020120106840A KR 20120106840 A KR20120106840 A KR 20120106840A KR 20140040355 A KR20140040355 A KR 20140040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water
foot
grooves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규
Original Assignee
한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규 filed Critical 한성규
Priority to KR1020120106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0355A/ko
Publication of KR20140040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3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9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surfing, i.e. without a sail; for skate or snow boar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용 레저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선형의 수상용 보드판; 및 상기 보드판의 좌우측에 상기 보드판의 내부를 향해 각각 요입 형성되며, 발을 저을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제1 및 제2 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및 제2 홈들과 상기 보드판의 선두와의 사이에서 상기 보드판을 회전되게 관통하는 로드부재와, 상기 보드판의 하표면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로드부재의 하단에 설치되는 방향전환판과, 상기 보드판의 상표면 위에 위치하는 상기 로드부재의 상단에 설치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진 조향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용 레저장치{LEISURE DEVICE FOR WATER}
본 발명은 물용 레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이 쉽고 편리하게 레저를 즐길 수 있도록 한 물용 레저장치에 관한 것이다.
강이나 바다, 호수 등에서 레저 생활을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물용 레저수단이 알려져 있다. 물에서 사용되는 레저수단은 주로 부력을 이용한 레저수단과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추진력을 얻는 레저수단 및 발에 착용되어 추진력을 얻는 레저수단이 있다.
부력을 이용한 레저수단은 수상보드, 물놀이용 튜브, 레프팅용 보트나 카누 등이 있고,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추진력을 얻는 레저수단은 모터보트와 이를 이용한 수상 스키 등이 있고, 발에 착용되어 추진력을 얻는 레저수단은 오리발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물용 레저수단들 중 부력을 이용한 레저수단에서 수상보드는 레저를 즐기는데 장소의 제약이 많고,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이 대중적으로 이용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또한,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추진력을 얻는 레저수단은 구입 및 사용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모되고, 장소적인 제약과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이 이용하기에는 많은 제한적인 요소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이 쉽고 편리하게 레저를 즐길 수 있는 물용 레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물용 레저장치는 유선형의 수상용 보드판; 및 상기 보드판의 좌우측에 상기 보드판의 내부를 향해 각각 요입 형성되며, 발을 저을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제1 및 제2 홈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홈들과 상기 보드판의 선두와의 사이에서 상기 보드판을 회전되게 관통하는 로드부재와, 상기 보드판의 하표면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로드부재의 하단에 설치되는 방향전환판과, 상기 보드판의 상표면 위에 위치하는 상기 로드부재의 상단에 설치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진 조향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드판의 선미와 대향하는 상기 제1 및 제2 홈들의 벽부는 물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 곡선을 이루며, 상기 보드판의 상표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홈들의 형태를 따라 제1 및 제2 돌부가 각각 더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홈들 사이의 상기 보드판의 상표면에 놓인 발이 상기 제1 및 제2 돌부들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발에 착용되어 물을 젓는 노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노수단은 내부가 빈 구조를 이루어 발을 수용하는 신발부와, 탄력성을 갖고 상기 신발부의 바닥 전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물을 저어 추진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신발부를 향해 중앙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절개부에 의해 2개의 부위로 분할되는 물갈퀴부와, 상기 물갈퀴부의 절개부에 설치되어 상기 분할된 2개의 부위를 벌렸다 오므리는 지퍼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물갈퀴부의 분할된 2개의 부위에는 벨크로 파스너, 똑딱단추 중 어느 하나의 암수가 각각 설치되거나, 서로 대응하는 단추와 구멍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물용 레저장치는 내부가 빈 구조를 이루어 발을 수용하는 신발부; 탄력성을 갖고 상기 신발부의 바닥 전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물을 저어 추진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신발부를 향해 중앙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절개부에 의해 2개의 부위로 분할되는 물갈퀴부; 및 상기 물갈퀴부의 절개부에 설치되어 분할된 상기 2개의 부위를 벌렸다 오므리는 지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물갈퀴부의 분할된 2개의 부위에는 벨크로 파스너, 똑딱단추 중 어느 하나의 암수가 각각 설치되거나, 서로 대응하는 단추와 구멍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이 쉽고 편리하게 수상 레저를 즐길 수 있다. 특히 기존의 수상 보도와는 달리 손잡이를 갖는 조향수단이 설치되어 균형을 유지하는데 쉽고 방향전환이 용이하기 때문에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이 이용하는데 매우 편리하다. 또한, 쉽게 발로 저어 추진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잔잔한 수면에서도 충분히 속도감을 즐길 수 있다. 또한, 발에 착용되어 추진력을 얻도록 한 노수단은 지면에서 보행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활동성이 뛰어나고, 물을 차는 동안 바가지 형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물을 차고 나갈 수 있어 큰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물용 레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물용 레저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노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노수단이 물을 저을 수 있도록 바가지 모양으로 변형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노수단이 보행성을 위해 위로 접힌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물용 레저장치의 변형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물용 레저장치는 보드판(10)과, 제1 및 제2 홈들(20)(30)을 포함한다.
보드판(10)은 부력을 효과적으로 받아 물에 뜰 수 있도록 판상형으로 이루어지며, 물의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유선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보드판(10)은 플라스틱과 같은 수지재질이나 나무재질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며, 금속이나 합금종류도 복합하여 제작에 이용할 수 있으며, 운반이 용이하도록 너무 무겁지 않게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홈들(20)(30)은 보드판(10)의 좌우측에 보드판(10)의 내부를 향해 각각 요입 형성된다. 제1 및 제2 홈들(20)(30)은 사람이 중심을 잡고 서 있는 곳의 보드판(10)의 좌우측에 요입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 홈들(20)(30)은 발을 노처럼 저을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여 보드판(10)을 밀고 나갈 수 있는 추진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발을 저을 수 있도록 보드판(10)의 폭을 좁게 만들 수 있으나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은 쉽게 중심을 잃고 넘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보드판(10)의 폭은 다소 크게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일반인들이 이용하기 쉽게 보드판(10)의 폭이 크면 발로 물을 젓기가 어렵다. 그러나 보드판(10)에 형성된 제1 및 제2 홈들(20)(30)은 물과의 거리를 좁혀 발로 물을 저을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보드판(10)을 밀고 나갈 수 있는 추진력을 얻을 수 있고, 이로 인해 물결이 잔잔한 곳에서도 충분히 속도감을 얻을 수 있다.
보드판(10)의 선미(11)와 대향하는 제1 및 제2 홈들(20)(30)의 벽부(21)(31)는 곡선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홈들(20)(30)의 내부에서 발을 저어 밀어낸 물이 제1 및 제2 홈들(20)(30)의 벽부(21)(31)와 부딪히면 저항이 발생하기 때문에 속도가 줄어들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제1 및 제2 홈들(20)(30)의 벽부(21)(31)가 곡선으로 이루어지면, 발을 저어 밀어낸 물이 곡선을 타고 자연스럽게 흘러나갈 수 있기 때문에 저항이 크게 줄어 상당한 속도감을 얻을 수 있다.
보드판(10)의 상표면(13)에는 제1 및 제2 홈들(20)(30)의 형태를 따라 제1 및 제2 돌부(41)(43)가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돌부(41)(43)는 제1 및 제2 홈들(20)(30)의 테두리를 따라 보드판(10)의 상표면(13)에 돌출 형성된다.
제1 및 제2 돌부(41)(43)는 물이 보드판(10)의 상표면(13)으로 넘어오는 것을 막아 가능한 최소화 하고, 제1 및 제2 홈들(20)(30) 사이의 보드판(10)의 상표면에 놓인 발이나 아래에서 설명되는 노수단(70)을 끼워 고정한다.
발이나 노수단(70)이 위치하는 제1 및 제2 돌부(41)(43) 사이의 보드판(10)의 상표면에는 미끄럼방지수단(미도시)이 형성되거나 설치되어 제1 및 제2 돌부(41)(43) 사이에 끼워진 발이나 노수단(70)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미끄럼방지수단은 엠보싱이나 핀돌기와 같은 요철일 수 있고, 다수개의 홈일 수 있고, 패드나 테이프 등일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물용 레저장치는 조향수단(60)과 위에서 설명한 노수단(70)을 포함할 수 있다.
조향수단(60)은 손잡이(65)를 포함하기 때문에 발을 젓는 동안 또는 보드판(10) 위에 서 있는 동안 균형을 유지하는데 쉽고, 방향전환판(63)을 포함하기 때문에 보드판(10)의 방향전환이 용이하여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이 보드판(10)을 매우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조향수단(60)은 제1 및 제2 홈들(20)(30)과 보드판(10)의 선두(15)와의 사이에서 보드판(10)을 상하로 회전되게 관통하는 로드부재(61)와, 보드판(10)의 하표면(17) 아래에 위치하는 로드부재(61)의 하단에 설치되는 방향전환판(63)과, 보드판(10)의 상표면(13) 위에 위치하는 로드부재(61)의 상단에 설치되는 손잡이(65)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드판(10)은 로드부재(61)가 관통하는 부위에 구멍(18)을 형성하여 로드부재(61)가 회전되게 관통할 수 있도록 하고, 로드부재(61)는 중간에 구멍(18)에 걸릴 수 있는 돌기나 단차를 주어 보드판(10)에 대한 설치 상태 및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방향전환판(63)은 판상형을 이루어 로드부재(61)의 하단에 가로로 설치되어 로드부재(61)의 하단이 ㄴ자 모양을 이루도록 하고, 사용자가 손잡이(65)를 잡고 좌우로 방향을 전환할 때에 방향전환판(63)도 회전하여 물살을 막아 보드판(10)이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수단(70)은 발에 착용되어 발로 물을 젓을 때보다 더 큰 추진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달리, 노수단(70)은 수영할 때에도 이용되어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노수단(70)은 보드판(10)에 이용될 경우에는 노의 기능을 수행하지만 수영에 이용될 경우에는 오리발의 기능을 수행하여 큰 추진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노수단(70)은 별도의 제품으로 생산되어 시중에 판매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노수단(70)은 신발부(71), 물갈퀴부(73) 및 지퍼부(7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신발부(71)는 발에 착용되는 구조부이다. 신발부(71)는 발의 모양을 따라 형성되고, 내부가 빈 구조를 이루어 발을 수용하며, 상부에 형성된 개구(71a)을 통해 삽입되는 발을 수용하여 발에 착용된다. 신발부(71)는 발가락 부위가 개구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물이 곧바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물갈퀴부(73)는 물을 저어 추진력을 얻는 구조부이다. 물갈퀴부(73)는 신발부(71)의 바닥으로부터 전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물을 저어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물갈퀴부(73)는 신발부(71)를 향해 중앙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절개부(73a)에 의해 2개의 부위(73c)(73d)로 분할되며, 탄력적으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고무나 플라스틱 같은 탄력성을 갖는 수지재질로 이루어진다.
지퍼부(75)는 물갈퀴부(73)의 절개부(73a)에 설치되어 상기 분할된 2개의 부위(73c)(73d)를 벌렸다 오므리며, 물갈퀴부(73)의 분할된 2개의 부위(73c)(73d)의 상면에는 고정수단(79)이 설치될 수 있다. 고정수단(79)은 분할된 2개의 부위(73c)(73d)에 암수가 각각 설치되는 벨크로 파스너, 똑딱단추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분할된 2개의 부위(73c)(73d)에 서로 대응하게 각각 설치되는 단추와 구멍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갈퀴부(73)는 분할된 2개의 부위(73c)(73d)를 아래로 구부린 상태에서 지퍼부(75)를 닫아 오므리면, 마치 물을 퍼 낼 수 있는 바가지 모양처럼 아래로 오목한 형태가 된다. 이와 같이 물갈퀴부(73)가 아래로 오목한 형태가 되면, 신발부(71)에 수용된 발이 물을 젓을 때에 많은 양의 물을 차고 나갈 수 있기 때문에, 보드판(10)은 상당한 속도로 질주할 수 있다. 지퍼부(75)가 물갈퀴부(73)를 지지하기 때문에, 물갈퀴부(73)가 물을 차고 나가는 동안 아래로 오목한 형태가 변형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뒤집어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반대로, 물갈퀴부(73)는 분할된 2개의 부위(73c)(73d)를 위로 구부린 상태에서 지퍼부(75)를 닫아 오므리면 위로 오목한 형태가 된다(도 8a). 이 상태에서 고정수단(79)을 이루는 구성요소의 암수를 서로 결합시키면, 분할된 2개의 부위(73c)(73d)의 끝단이 모아져 위로 바짝 세워진 상태가 된다(도 8b).
그러면 신발부(71)에 수용된 발이 지면을 보행할 때에 물갈퀴부가(73)가 지면에 끌리거나 걸리지 않기 때문에 통상의 신발을 신고 걷는 것처럼 자연스럽게 지면을 보행할 수 있다. 뛰는데도 큰 불편이 없다. 결국, 노수단(70)을 신고 활동적으로 지면을 이동할 수 있다.
한편, 고정수단(79)에서 벨크로 파스너, 똑딱단추 중 어느 하나의 암부재가 신발부(71)의 발등에 설치되고, 그 수부재가 분할된 2개의 부위(73c)(73d)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수부재가 신발부(71)의 발등에 설치되고, 암부재가 분할된 2개의 부위(73c)(73d)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79)을 이루는 암수가 서로 결합되면, 분할된 2개의 부위(73c)(73d)가 구부러져 끝단이 신발부(71)의 발등에 고정되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노수단(70)을 신고 불편함 없이 지면을 활동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이 쉽고 편리하게 수상 레저를 즐길 수 있다. 특히 기존의 수상 보도와 달리 손잡이(65)를 갖는 조향수단(60)이 설치되어 균형을 유지하는데 쉽고 방향전환이 용이하기 때문에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이 이용하는데 매우 편리하다. 또한, 쉽게 발로 저어 추진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잔잔한 수면에서도 충분히 속도감을 즐길 수 있다. 또한, 발에 착용되어 추진력을 얻도록 한 노수단(70)은 지면에서 보행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활동성이 뛰어나고, 물을 차는 동안 바가지 형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많은 물을 차고 나갈 수 있어 큰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보드판 11: 선미
13: 상표면 15: 선두
17: 하표면 18; 구멍
20: 제1 홈 21,31: 벽부
30: 제2홈 41: 제1 돌부
43: 제2 돌부 60: 조향수단
61: 로드부재 63: 방향전환판
65: 손잡이 70: 노수단
71: 신발부 71a: 개구
73: 물갈퀴부 73a: 절개부
73c,73d: 분할된 2개의 부위 75: 지퍼부
79: 고정수단

Claims (7)

  1. 유선형의 수상용 보드판; 및
    상기 보드판의 좌우측에 상기 보드판의 내부를 향해 각각 요입 형성되며, 발을 저을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제1 및 제2 홈들을 포함하는 물용 레저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홈들과 상기 보드판의 선두와의 사이에서 상기 보드판을 회전되게 관통하는 로드부재와, 상기 보드판의 하표면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로드부재의 하단에 설치되는 방향전환판과, 상기 보드판의 상표면 위에 위치하는 상기 로드부재의 상단에 설치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진 조향수단을 더 포함하는 물용 레저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판의 선미와 대향하는 상기 제1 및 제2 홈들의 벽부는 물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 곡선을 이루며, 상기 보드판의 상표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홈들의 형태를 따라 제1 및 제2 돌부가 각각 더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홈들 사이의 상기 보드판의 상표면에 놓인 발이 상기 제1 및 제2 돌부들에 의해 고정되는 물용 레저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발에 착용되어 물을 젓는 노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노수단은 내부가 빈 구조를 이루어 발을 수용하는 신발부와, 탄력성을 갖고 상기 신발부의 바닥 전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물을 저어 추진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신발부를 향해 중앙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절개부에 의해 2개의 부위로 분할되는 물갈퀴부와, 상기 물갈퀴부의 절개부에 설치되어 상기 분할된 2개의 부위를 벌렸다 오므리는 지퍼부로 이루어진 물용 레저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물갈퀴부의 분할된 2개의 부위에는 벨크로 파스너, 똑딱단추 중 어느 하나의 암수가 각각 설치되거나, 서로 대응하는 단추와 구멍이 각각 설치되는 물용 레저장치.
  6. 내부가 빈 구조를 이루어 발을 수용하는 신발부;
    탄력성을 갖고 상기 신발부의 바닥 전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물을 저어 추진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신발부를 향해 중앙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절개부에 의해 2개의 부위로 분할되는 물갈퀴부; 및
    상기 물갈퀴부의 절개부에 설치되어 분할된 상기 2개의 부위를 벌렸다 오므리는 지퍼부를 포함하는 물용 레저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물갈퀴부의 분할된 2개의 부위에는 벨크로 파스너, 똑딱단추 중 어느 하나의 암수가 각각 설치되거나, 서로 대응하는 단추와 구멍이 각각 설치되는 물용 레저장치.
KR1020120106840A 2012-09-26 2012-09-26 물용 레저장치 KR201400403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840A KR20140040355A (ko) 2012-09-26 2012-09-26 물용 레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840A KR20140040355A (ko) 2012-09-26 2012-09-26 물용 레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355A true KR20140040355A (ko) 2014-04-03

Family

ID=50650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840A KR20140040355A (ko) 2012-09-26 2012-09-26 물용 레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03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3566A1 (en) * 2018-04-06 2019-10-10 Flo'sail Srl Multifunctional board and sailboat for helming lying down compri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3566A1 (en) * 2018-04-06 2019-10-10 Flo'sail Srl Multifunctional board and sailboat for helming lying down compri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321009A (en) Swim fin
US6227923B1 (en) Foot propulsion device for float tube users
US9364717B2 (en) Swimming fin
KR20140040355A (ko) 물용 레저장치
US20120184162A1 (en) Human/Water Propelled Buoyant Skis
KR101268567B1 (ko) 수상 스키
US20090176421A1 (en) Shoe and a flipper set-up
WO2018233091A1 (zh) 一种可拆卸的蛙鞋
US6213830B1 (en) Stand-up aquatic device
US4985006A (en) Aquatic recreational equipment
WO2009155672A2 (en) Floating shoes
KR100727634B1 (ko) 오리발
WO2007000394A1 (en) Swim fin
US11014636B1 (en) User propelled flotation and transportation system
KR20040024647A (ko) 수상이동기구
CN220778965U (zh) 一种蛙鞋结构
CN110548263A (zh) 具有次叶片组的蛙鞋
KR101141661B1 (ko) 수중화 기능을 갖는 수영용 물갈퀴
KR200217237Y1 (ko) 접철식 부력작용을 행하는 수영용 물갈퀴
CN201235180Y (zh) 新型蛙鞋
US7083485B2 (en) Multiple-serial-hydrofoil swim fins
CN213192382U (zh) 可提高推进力的潜水蛙鞋
US20020115364A1 (en) Self propelled water ski
FI122224B (fi) Vesiurheilussa käytettävä jalkine, alusta vesiurheilua varten sekä järjestely vesiurheilua varten
KR200374506Y1 (ko) 무동력 수상스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