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6550B1 -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화분 상태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화분 상태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6550B1
KR100726550B1 KR1020050123124A KR20050123124A KR100726550B1 KR 100726550 B1 KR100726550 B1 KR 100726550B1 KR 1020050123124 A KR1020050123124 A KR 1020050123124A KR 20050123124 A KR20050123124 A KR 20050123124A KR 100726550 B1 KR100726550 B1 KR 100726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lowerpot
pollen
state
enviro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3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50123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65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6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6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Mi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6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 G06K7/103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being moveable
    • G06K7/10405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being moveable the interrogation device including an arrangement for sensing environmental parameters, such as a temperature or acceleration sensor, e.g. used as an on/off trigger or as a warn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화분 상태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각 화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경 상태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되는 다수의 환경 상태 정보를 취합하며, 취합되는 환경 상태 정보를 각각의 기준값과 비교하고, 취합되는 환경 상태 정보가 각각의 기준값과 일치하지 않으면 각 환경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관리 제안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화분 내에 온도, 습도, 조도, 먼지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한 지그비 통신 모듈을 장착하여, 화분의 상태를 수시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많은 수의 화분을 관리하는 사용자에게 편의성과 신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홈 네트워크, 지그비 모듈(ZigBee module)

Description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화분 상태 관리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FLOWERPOT ENVIRONMENT USING OF HOME NETWORK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화분 상태 관리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화분환경 상태 감지부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도 1의 화분환경 상태 감지부가 화분 내에 장착된 모습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화분환경 모니터링부의 상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화분 상태 관리 과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화분환경 상태 감지부 102 : 무선 홈게이트웨이
104 : 화분환경 모니터링부 10a : 온도센서
10b : 습도센서 10c : 조도센서
10d : 먼지센서 12 : 송신 제어부
14 : 무선 송신부 16 : 전원부
18 : 송신 안테나 20 : 수신 안테나
22 : 무선 수신부 24 : 수신 제어부
26 : 화분환경정보 DB 27 : 화분관리정보 DB
28 : 표시부
본 발명은 가정 내에 구비되는 화분들을 관리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특히 홈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가정 내에 구비되는 화분들의 상태를 파악하고 관리하는데 적합한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화분 상태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가정'을 시장 중심에 두는 홈 네트워크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홈 네트워크란 가정의 모든 통신과 전자기기를 연결해 집안과 외부에서 모두 통제하는 것을 뜻한다. 연결 대상은 TV, PC, 오디오, 전화, 팩스, 프린터 등 영상·음향·정보가전 뿐만 아니라 냉장고 세탁기 도어-록 냉난방장치 등 생활가전까지 다양하다.
홈 네트워크 산업은 통신 건설 가전 등 3개 산업이 융합돼야 한다.
네트워크 구축을 담당하는 통신업계의 경우 초고속 인터넷 시장의 포화 상태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비즈니스로 홈 네트워크를 육성하고 있으며 가전업계 역시 기존의 백색 가전에서 디지털 정보가전, 디지털 컨버전스(conversions) 가전으로 패러다임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건설업체도 차별화와 고급화를 위해 홈 네트워크 도입이 필수다.
IT 벤처업계에서는 음성인식 기술, 로봇 개발 기술, 임베디드(embeded) 소프트웨어, 디지털 콘텐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홈 네트워크 사업을 준비 중이다.
특히, 한 가정에 복수의 PC(Personal Computer)를 두는 추세인데다 네트워크 게임이 활성화되고, 전국의 대부분 가구에서 초고속 통신을 가입하는 등 홈 네트워크 산업의 기반은 이미 갖춰진 상태다.
PC나 특정 관련 장비들이 인터넷에 접속하던 환경과는 달리 지금의 인터넷 환경은 모든 장치들이 서로 연결되고 접속되는 환경으로 급속하게 변하고 있다. 특히,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이동 중에 원하는 서비스에 접속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인터넷 환경이다.
이러한 변화와 함께 가정 내의 환경도 기존과는 크게 변화하고 있다. 단순히 가전제품들이 고유한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제품들 간에 서로 네트워킹 하고자 하고 상호 원하는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또한, 사용자들도 기존의 TV나 에어컨을 제어하던 단순한 기능의 리모컨이 아닌 더 지능적으로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요구하고 있다. TV나 오디오 등을 서로 연결하고 가정 내에서 제품들 간에 연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홈 네트워크 기술들은 계속하여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홈 네트워크 기술은 정보 가전을 제어하기 위한 가전 제어 프로토콜을 구현하여 홈 게이트웨이에서 각 가전을 제어 및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한편, 각 가정에서는 몇 가지 종류의 화분을 키우는 경우가 많은데, 건강한 삶은 영위하기 위해, 보람을 느끼기 위해, 또는 관상용을 목적으로 향후 더 많은 사람들이 화분을 키울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집안 곳곳에 있는 화분들을 사람이 일일이 관리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며, 설령 모든 화분들을 관리한다 하더라도 그동안의 학습과 사람이 육안으로 화분들의 상태를 판단하기 때문에, 정확한 관리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점을 감안한 것으로, 가정 내에 구비되는 각 화분 내에 화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삽입하여 화분환경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되는 결과를 무선으로 사용자에게 송출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화분 상태를 관리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화분 상태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정 내에 구비되는 다수의 화분 내에 각각 일체형으로 장착되며, 상기 각각의 화분의 주변 환경 상태를 감지하여 무선 송출하는 화분환경 상태 감지 수단과, 상기 화분환경 상태 감지 수단으로부터 송출되는 각 화분의 주변 환경 상태 정보를 전달하는 네트워크 포인트 역할을 하는 무선 홈 게이트웨이와, 상기 무선 홈 게이트웨이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각 화분의 주변 환경 상태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화분 관리 제안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화분환경 모니터링 수단을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화분 상태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정 내에 구비되는 다수의 화분의 주변 환경 상태를 적어도 하나 이상 감지하여 상기 각 화분을 모니 터링 및 관리하는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화분 상태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각 화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경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되는 다수의 환경 상태 정보를 취합하는 단계와, 상기 취합되는 환경 상태 정보를 각각의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취합되는 환경 상태 정보가 각각의 기준값과 일치하지 않으면 각 환경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관리 제안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화분 상태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화분 상태 관리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로서, 화분환경 상태 감지부(100), 무선 홈 게이트웨이(102), 화분환경 모니터링부(104)를 포함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화분환경 상태 감지부(100)는 가정 내에 구비되는 다수의 화분 내에 각각 일체형으로 장착되며, 상기 각각의 화분의 주변 환경 상태를 감지하여 무선 송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는 이러한 화분환경 상태 감지부(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분환경 상태 감지부(100)는, 각 화분 주위 및 화분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0a)와, 각 화분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10b)와, 각 화분 주위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10c)와, 각 화분 주위 의 먼지량을 감지하는 먼지센서(10d)를 포함한다.
그리고 화분환경 상태 감지부(100) 내에는, 상기 각각의 센서(10a, 10b, 10c, 10d)에서 감지되는 데이터를 취합하여 측정 데이터로서 변환하는 제어부(12)가 마련된다.
무선 송신부(14)는 제어부(12)를 통해 변환된 측정 데이터를 무선 안테나(18)를 통해 무선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무선 송신부(14)는, 예를 들면 지그비(ZigBee) 모듈이 적용될 수 있다. 지그비 모듈은 센서 네트워크에 가장 적합한 무선 통신 수단으로써, 저전력을 소모하고 노드 확장이 매우 간판하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은 화분환경 관리 시스템에 최적이라 할 수 있다. 각 센서(10a, 10b, 10c, 10d)로부터 시리얼이나 I2C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받은 정보를 지그비 모듈인 무선 송신부(14)를 통해 전송한다.
이와 같은 화분환경 상태 감지부(100)는 각 구성들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화분에 장착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 도 3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화분(30) 내에 장착되는 화분환경 상태 감지부(100)는,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화분(30) 내에 일정 부분 삽입되어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화분환경 상태 감지부(100)의 습도센서(10b)가 위치한 부분은 화분 내에 삽입되도록 하고, 온도센서(10a)가 위치한 부분은 화분 내부 및 화분 주변에 접할 수 있도록 한다. 나머지 조도센서(10c)와 먼지센서(10d)가 위치한 부분은 모두 화분 주변, 즉 대기 중에 접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화분환경 상태 감지부(100)를 화분(30) 내에 일정 부분 삽입하는 이유는, 각각의 센서(10a, 10b, 10c, 10d)의 역할을 보다 부각시키고 각 센서(10a, 10b, 10c, 10d)의 감지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온도의 경우는 화분(30) 내부와 외부에서 모두 측정할 필요성이 있으며, 조도 및 먼지의 경우는 굳이 화분(30) 내부의 조도나 먼지량을 측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한편, 도 1의 무선 홈 게이트 웨이(102)는 화분환경 상태 감지부(100)로부터 송출되는 각 화분의 주변 환경 상태 정보를 전달하는 네트워크 포인트 역할을 수행한다.
화분환경 모니터링부(104)는 상기 무선 홈 게이트웨이(102)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각 화분의 주변 환경 상태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화분 관리 제안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화분환경 모니터링부(104)는, 예를 들면 데스크-탑(desktop), 랩-탑(laptop) 등의 PC 환경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이와 같은 화분환경 모니터링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분환경 모니터링부(104)는, 수신 안테나(20), 무선 수신부(22), 제어부(24), 화분환경정보 DB(26), 화분관리정보 DB(27), 표시부(28)를 포함한다.
무선 수신부(22)는 무선 홈 게이트웨이(102)를 통해 제공되는 화분환경 상태 감지부(100)로부터의 각 화분의 주변 환경 상태 정보를 무선 안테나(20)로 무선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무선 수신부(22)는, 상술한 무선 송신부(14) 와 호환될 수 있도록 지그비 코디네이터(coordinator)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분환경정보 DB(26)에는 각 화분의 주변 환경 상태 정보의 참조값이 테이블화되어 있으며, 화분관리정보 DB(27)에는 각 화분의 주변 환경 상태 정보별로 각 화분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제안 정보가 테이블화되어 있다.
예를 들어, 화분환경정보 DB(26)에는 온도 기준값, 습도 기준값, 조도 기준값, 먼지 기준값이 각각 테이블화되며, 화분관리정보 DB(27)에는 각각의 주변 환경 상태 정보가 기준값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사용자에게 화분 관리를 유도하는 온도 제안 정보, 습도 제안 정보, 조도 제안 정보, 먼지 제안 정보가 각각 테이블화될 수 있다.
제어부(24)는 무선 수신부(22)를 통해 제공되는 각 화분의 주변 환경 상태 정보와 화분환경정보 DB(26)의 기준값을 비교하여, 각 화분의 주변 환경 상태 정보와 기준값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화분관리정보 DB(27)에서 해당 주변 환경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관리 제안 정보를 독출하여 외부로 출력할 수 있도록 표시부(28)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표시부(28)는 제어부(24)의 제어하에 상기 관리 제안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으로서, 예컨대 TV 화면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과 함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화분 상태 관리 과정을 첨부한 도 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단계(S500) 및 단계(S502)에서 제어부(24)는 화분환경 상태 감지부(100)를 통해 측정되는 화분 환경 상태 정보들을 지그비 통신을 이용하여 수집한다. 화분 환경 상태 정보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온도, 습도, 조도, 먼지 등의 상태 정보 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제어부(24)에서는 이들 정보들을 취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후 제어부(24)는 단계(S504)로 진행하여 화분환경정보 DB(26) 내에서 온도 기준값, 습도 기준값, 조도 기준값, 먼지 기준값을 각각 검색하고, 검색 결과에 따라 상기 취합되는 환경 상태 정보와 각각의 기준값을 비교한다.
단계(S506)에서 제어부(24)는 취합된 환경 상태 정보가 상기 기준값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단계(S508)로 진행한다.
단계(S508)에서 제어부(24)는 화분관리정보 DB(27)에서 각 환경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관리 제안 정보를 독출한다. 이와 같은 관리 제안 정보는, 예컨대 온도 조절을 유도하는 온도 제안 정보, 물 보충을 유도하는 습도 제안 정보, 햇빛이 부족하여 화분의 위치를 바꿀 것을 유도하는 조도 제안 정보, 실내에 먼지가 너무 많아 실내 환기를 유도하는 먼지 제안 정보들이 선택적으로 독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독출되는 관리 제안 정보들은 표시부(28)를 통해 최종 디스플레이된다(S51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화분 내에 온도, 습도, 조도, 먼지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한 지그비 통신 모듈을 장착하여, 화분의 상태를 수시로 모니터링하고 효율적인 관리를 유도하도록 구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화분 내에 온도, 습도, 조도, 먼지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한 지그비 통신 모듈을 장착하여, 화분의 상태를 수시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많은 수의 화분을 관리하는 사용자에게 편의성과 신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범주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9)

  1. 가정 내에 구비되는 다수의 화분 내에 각각 일체형으로 장착되며, 상기 각각의 화분의 주변 환경 상태를 감지하여 무선 송출하는 화분환경 상태 감지 수단과,
    상기 화분환경 상태 감지 수단으로부터 송출되는 각 화분의 주변 환경 상태 정보를 전달하는 네트워크 포인트 역할을 하는 무선 홈 게이트웨이와,
    상기 무선 홈 게이트웨이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각 화분의 주변 환경 상태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화분 관리 제안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화분환경 모니터링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환경 모니터링 수단은,
    상기 각 화분의 주변 환경 상태 정보를 무선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각 화분의 주변 환경 상태 정보의 기준값이 테이블화되어 있는 화분환경 정보 DB와,
    상기 각 화분의 주변 환경 상태 정보별로 각 화분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제안 정보가 테이블화되어 있는 화분관리 정보 DB와,
    상기 무선 수신 수단을 통해 제공되는 상기 각 화분의 주변 환경 상태 정보와 상기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각 화분의 주변 환경 상태 정보와 상기 기준값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화분관리 정보 DB에서 해당 주변 환경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관리 제안 정보를 독출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화분 상태 관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환경 상태 감지 수단은,
    상기 각 화분 주위 및 화분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 1 센서와,
    상기 각 화분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제 2 센서와,
    상기 각 화분 주위의 조도를 감지하는 제 3 센서와,
    상기 각 화분 주위의 먼지량을 감지하는 제 4 센서와,
    상기 제 1, 제 2, 제 3, 제 4 센서에서 감지되는 데이터를 취합하여 측정 데이터로서 변환하는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을 통해 변환된 측정 데이터를 무선 송신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화분 상태 관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 수단은,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화분 상태 관리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수신 수단은, 지그비 코디네이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화분 상태 관리 장치.
  6. 가정 내에 구비되는 다수의 화분의 주변 환경 상태를 적어도 하나 이상 감지하여 지그비 통신에 의해 상기 각 화분을 모니터링 및 관리하는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화분 상태 관리 방법으로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조도센서, 먼지센서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환경 상태 정보 측정 수단을 통해 상기 각 화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경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되는 다수의 환경 상태 정보를 취합하는 단계와,
    상기 취합되는 환경 상태 정보를 상기 온도센서, 습도센서, 조도센서, 먼지센서의 측정 기준값과 각각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취합되는 환경 상태 정보가 상기 각각의 측정 기준값과 일치하지 않으면 각 환경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관리 제안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화분 상태 관리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50123124A 2005-12-14 2005-12-14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화분 상태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0726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3124A KR100726550B1 (ko) 2005-12-14 2005-12-14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화분 상태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3124A KR100726550B1 (ko) 2005-12-14 2005-12-14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화분 상태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6550B1 true KR100726550B1 (ko) 2007-06-11

Family

ID=38358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3124A KR100726550B1 (ko) 2005-12-14 2005-12-14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화분 상태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65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999A (ko)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엔디오에스 실시간 정원 관리를 위한 센서 계측 시스템과 운용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4389A (ko) * 1995-09-05 1999-06-25 다케히코 무코야마 식물체 재배용 지지체 및 식물체 육성 방법
KR20050095140A (ko) * 2004-03-25 2005-09-29 유재희 무선 홈 네트워킹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4389A (ko) * 1995-09-05 1999-06-25 다케히코 무코야마 식물체 재배용 지지체 및 식물체 육성 방법
KR20050095140A (ko) * 2004-03-25 2005-09-29 유재희 무선 홈 네트워킹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999A (ko)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엔디오에스 실시간 정원 관리를 위한 센서 계측 시스템과 운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7980B2 (en) Smart gateway, smart home system and smart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437206B2 (en)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program and system
JP6115919B2 (ja) デバイス制御方法及び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で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1892345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
CN101807072B (zh) 智能家庭监控系统
US8299917B2 (en) System, method, and kit for monitoring an individual remotely
KR100801698B1 (ko) 온실 제어 시스템
KR100828103B1 (ko) 토양 및 환경센서를 이용한 온실 자동제어 시스템 및 온실관리 방법
KR101098867B1 (ko) 축사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US20140129006A1 (en) Smart gateway, smart home system and smart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030050737A1 (en) Energy-smart home system
JP2006228225A (ja) 電子タグを用いたホーム機器の位置認識装置及び方法
CN104199398A (zh) 一种智能家居系统和其控制方法
CN101957618A (zh) 智能家居控制系统
KR20160030883A (ko) 거주지를 위한 인텔리전트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US7839299B2 (en)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method, and remotely controlled device
JP2004180260A (ja) 信号変換装置
KR100726550B1 (ko)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화분 상태 관리 장치 및 방법
JP2013077901A (ja) 電子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KR20090038227A (ko) 이진부호분할다중접속 기반 실시간 영상, 센서데이타모니터링 시스템
JP2009217671A (ja) 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CN114217536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监控系统
KR20070098170A (ko)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댁내 환경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6249029U (zh) 一种基于物联网的房间调控系统
Lai et al. A context-aware multi-model remote controller for electronic home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