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5970B1 - Stem Cleaner - Google Patents

Ste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5970B1
KR100725970B1 KR1020050110740A KR20050110740A KR100725970B1 KR 100725970 B1 KR100725970 B1 KR 100725970B1 KR 1020050110740 A KR1020050110740 A KR 1020050110740A KR 20050110740 A KR20050110740 A KR 20050110740A KR 100725970 B1 KR100725970 B1 KR 100725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tank
water
storage tank
wat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07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52930A (en
Inventor
이기성
박홍훈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무궁화동산
주식회사 넥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무궁화동산, 주식회사 넥터스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무궁화동산
Priority to KR1020050110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5970B1/en
Publication of KR20070052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29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5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59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6Arrangements for steam 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1Regulation of the cleaning machine by electric means; Control systems and remote control syste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8Supply pumps; Spraying devices; Supply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22B1/284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with water in reservoi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상부 및 하부 수용체가 결합되어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도록 하는 저수탱크와; 상기 저수탱크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저수탱크로부터 요홈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서브탱크와; 상기 저수탱크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서브탱크로부터 발생된 스팀과, 상기 저수탱크에 수용된 물을 격리하여 상기 스팀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격판과; 상기 서브탱크 내부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전원을 인가받아 스팀을 발생시키는 히터부와; 상기 저수탱크를 수용하고, 상기 히터부를 제어하는 폐회로를 구비하는 베이스 및 몸체와; 상기 베이스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서브탱크로부터 발생된 스팀을 방출하고, 걸레를 탈착 가능하게 하는 노즐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am cleaner, the configuration of which comprises a reservoir tank for receiving the water supplied by the upper and lower receptors coupled; A sub tank positioned inside the water storage tank to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storage tank through a recess and generate steam; A diaphragm positioned inside the water storage tank to isolate steam generated from the sub tank and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storage tank to form a flow path of the steam; A heater unit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ub tank to generate steam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A base and a body accommodating the water storage tank and having a closed circuit for controlling the heater unit; And a nozzle plate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to release steam generated from the sub tank and to detach the mop.

본 발명은 별도의 물 데움 공간을 저수탱크 내부에 구비시켜 청소에 필요한 량만을 데우게 함과 동시에 사용 전력을 조절함으로써 같은 량의 물로 청소할 수 있는 시간을 극대화하고, 단차진 유로를 형성시켜 흔들림에 의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parate water warming space inside the storage tank to warm only the necessary amount for cleaning and at the same time to maximize the time that can be cleaned with the same amount of water by adjusting the power used, forming a stepped flow path to shak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leakage.

서브탱크, 열감지부, 스팀유로부, 스팀청소기 Sub tank, heat detector, steam flow path, steam cleaner

Description

스팀청소기{Stem Cleaner}Steam Cleaner

도 1은 본 발명의 스팀청소기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a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발명의 스팀청소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Figure 2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a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발명의 스팀청소기에 따른 서브탱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Figure 2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b tank according to the stea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스팀청소기에 따른 히터부 제어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Figure 3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heater control circuit according to the stea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스팀청소기에 따른 히터부 제어 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Figure 4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eater control circuit according to the stea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스팀청소기를 나타내는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ea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스팀청소기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Figure 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stea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스팀청소기에 따른 히터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eater unit according to the stea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스팀청소기 110 : 몸체100: steam cleaner 110: body

120 : 저수탱크 130 : 서브탱크120: reservoir tank 130: sub tank

140: 격판 150 : 히터부140: plate 150: heater unit

160 : 열감지부 170 : 노즐 플레이트160: heat detection unit 170: nozzle plate

본 발명은 스팀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물 데움 공간을 저수탱크 내부에 구비시켜 청소에 필요한 량만을 데우게 함과 동시에 사용 전력을 조절함으로써 같은 량의 물로 청소할 수 있는 시간을 극대화하고, 흔들림에 의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시킨 스팀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a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separate water warming space inside the water storage tank to heat only the necessary amount for cleaning and at the same time to maximize the time that can be cleaned with the same amount of water by adjusting the power us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am cleaner having a flow path capable of preventing leakage due to shaking.

일반적으로 스팀을 이용한 청소방식은 흙과 녹 그리고 찌든 기름의 제거의 있어서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최근 들어 차량에 세척에 국한하지 않고 가정에서도 많이 이용하고 있는 추세이다.In general, the cleaning method using steam is efficiently used in the removal of soil, rust and steamed oil. Recently, the cleaning method using steam is not limited to washing in a vehicle, but has been widely used in homes.

이러한 종래의 스팀청소기를 보면, 청소기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저수탱크와 상기 저수탱크에 수용된 물을 데워 스팀을 발생시킬 수 있게 하는 히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conventional steam cleaner is composed of a storage tank for accommodating water in the cleaner and a heater for heat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storage tank to generate steam.

그러나 종래의 스팀청소기는 저수탱크에 수용된 물의 량과 관계없이 수용된 물을 히터로 가열하여 많은 량의 물을 데워야 하기 때문에 스팀 발생시점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이고, 전력의 소비 또한 많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steam cleaner needs to heat a large amount of water by heating the accommodated water with a heater regardless of the amount of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storage tank, it takes a lot of time until the steam is generated, and also consumes a lot of power. There was this.

또한, 저수탱크의 물을 한번에 가열, 스팀을 발생시킴으로 인해서 필요 이상의 스팀으로 인해 사용시간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스팀청소기가 흔들리거나 기울어져 있을 경우 저수탱크에 수용된 물이 스팀유로를 따라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 time is shortened due to more than necessary steam by heating the water in the storage tank at once, and when the steam cleaner is shaken or tilted, the water contained in the storage tank leaks along the steam flow path. There was a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물 데움 공간을 저수탱크 내부에 구비시켜 청소에 필요한 량만을 데우게 함과 동시에 사용 전력을 조절함으로써 같은 량의 물로 청소할 수 있는 시간을 극대화하고, 흔들림에 의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시킨 스팀청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quip the storage tank with a separate water warming space to heat only the necessary amount for cleaning and at the same time by adjusting the amount of power us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am cleaner that maximizes the time that can be cleaned with water and forms a flow path that can prevent leakage due to shaking.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의 스팀청소기는, 상부 및 하부 수용체가 결합되어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도록 하는 저수탱크와; 상기 저수탱크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저수탱크로부터 요홈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서브탱크와; 상기 저수탱크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서브탱크로부터 발생된 스팀과, 상기 저수탱크에 수용된 물을 격리하여 상기 스팀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격판과; 상기 서브탱크 내부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전원을 인가받아 스팀을 발생시키는 히터부와; 상기 저수탱크를 수용하고, 상기 히터부를 제어하는 폐회로를 구비하는 베이스 및 몸체와; 상기 베이스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서브탱크로부터 발생된 스팀을 방출하고, 걸레를 탈착 가능하게 하는 노즐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tea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receptors coupled to the storage tank to accommodate the water supplied; A sub tank positioned inside the water storage tank to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storage tank through a recess and generate steam; A diaphragm positioned inside the water storage tank to isolate steam generated from the sub tank and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storage tank to form a flow path of the steam; A heater unit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ub tank to generate steam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A base and a body accommodating the water storage tank and having a closed circuit for controlling the heater unit; And a nozzle plate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to release steam generated from the sub tank and detachable from the mop.

또한, 상기 폐회로는 상기 히터부의 전력량을 조절하여 스팀 발생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스팀량 조절회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폐회로는 상기 저수탱크 내부에 위치한 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저수탱크의 수위 조절 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 회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closed circuit further comprises a steam amount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steam generat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power of the heater unit, the closed circu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ing sensor located inside the water storage tank to control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It further comprises a sensing circuit to enable.

그리고 상기 서브탱크와 격판의 결합부를 통해 스팀 압력이 저수탱크로 리턴되도록 하는 공간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서브탱크는 그 벽면 내부가 중공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서브탱크는 상기 히터부와 일체형으로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 space for allowing steam pressure to be returned to the water storage tank through a coupling portion of the sub tank and the diaphragm, wherein the sub tank is formed in a hollow layer on a wall thereof, and the sub tank is integrated with the heater part. It is preferable to make it.

또한, 상기 격판과 상부 수용체는 상하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지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격판과 상부 수용체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스팀유로부 상에 스팀필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격판은 상기 스팀유로부에 위치한 스팀토출구 상에 하단으로 돌출되는 돌출턱을 더 구비하며, 상기 스팀유로부 상에 위치하여 상기 서브탱크로부터 발생된 스팀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열감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열감지부는 그 내부에 구성된 열감지시트와 연결되는 관통공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iaphragm and the upper receptor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r more protruding jaw protruding up and down, further comprising a steam filter on the steam flow path is formed by combining the diaphragm and the upper receptor, the diaphragm is the steam It further comprises a protrusion projection protruding to the lower end on the steam discharge port located in the flow path portion, and further provided with a heat sensing portion located on the steam flow path portion to detect the steam generated from the sub-tank, the heat sensing por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through hole connected to the heat sensing sheet configured therein.

그리고 상기 서브탱크는 상기 열감지부 상으로 연장 돌출되는 감지부토출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The sub tank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discharge port that extends and protrudes onto the heat sensing unit.

또한, 상기 스팀유로부로부터 상기 노즐 플레이트까지 연결되는 관로 형성시 스팀토출구가 상호 엇갈리게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히터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턴부를 가지며, 상기 패턴부와 인접하도록 온도감지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have the steam discharge port alternately provided when forming a conduit connected from the steam flow path to the nozzle plate, wherein the heater portion has at least one or more pattern portions, and a temperature sensing sensor to be adjacent to the pattern portion. Can b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스팀청소기(100)는 몸체(110), 베이스(112), 저수탱크(120), 서브탱크(130), 격판(140), 히터부(150), 열감지부(160)와 노즐 플레이트(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or FIG. 2, the steam cleaner 100 includes a body 110, a base 112, a water storage tank 120, a sub tank 130, a diaphragm 140, and a heater 150. The heat sensing unit 160 and the nozzle plate 170 are included.

상기 몸체(110)는 그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112)와 상기 몸체(110)의 상단부에 위치한 주입구(111)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112)는 하면부에 상기 노즐 플레이트(17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주입구(111)는 관통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저수탱크(120)와 연통되며, 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body 110 is composed of a base 112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and the injection hole 111 located in the upper end of the body 110, the base 112 is the nozzle plate 170 detachable to the lower surface portion. It is coupled to be possible, the inlet 111 is formed in a penetrating form, i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water storage tank 120, it is to be able to inject water.

상기 저수탱크(120)는 상부수용체(122)와 하부수용체(126)를 결합시켜 형성되며, 상기 상부수용체(122)와 하부수용체(126)가 결합시 그 사이에 패킹(125)을 결합시킴으로써 물 공급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상부수용체(122) 내측 상면부 상에 소정량 함몰부(미도시)를 형성시킨 상태에서 상기 함몰부에 상기 격판(140)이 결합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하부수용체(126)는 그 하면부 상에 끼움홈(127)을 형성시켜 상기 서브탱크(1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수용체(126)와 서브탱크(130)의 결합시 그 사이에 위치하는 유입홈(129)을 형성시켜 물이 상기 저수탱크(120)로부터 상기 서브탱크(13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유입홈(129)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량을 스팀 발생에 필요한 극소량을 유입시킴으로써 빠르게 스팀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The reservoir tank 120 is formed by combining the upper receptor 122 and the lower receptor 126, and when the upper receptor 122 and the lower receptor 126 is combined to combine the packing 125 between the water It is to prevent the leakage during supply, and the plate 140 is coupled to the recess in a predetermined amount of depressions (not shown) formed on the inner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upper receptor 122, In addition, the lower receptor 126 forms a fitting groove 127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to allow the sub tank 130 to be coupled. In addition, when the lower receptor 126 and the sub tank 130 are coupled, an inflow groove 129 is disposed between the water container so that water may flow into the sub tank 130 from the water storage tank 120. At this time, the amount of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groove 129 can be generated quickly by introducing a very small amount necessary for steam generation.

그리고 상기 서브탱크(130)는 그 내부에 히터부(150)를 수용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서브탱크(130)로 유입된 물을 상기 히터부(150)로 가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서브탱크(130)에서 발생된 스팀이 상기 상부수용체(122)와 격판(140)이 결합되 형성된 스팀유로부(141)로 공급되도록 스팀토출구(134)를 상부로 연장 돌출 시키고 있으며, 이때 상기 스팀토출구(134)는 상기 격판(140) 내부로 인입시 격판(140)의 상면보다 더 돌출시키고 상기 스팀토출구(134)가 삽입되는 삽입공(142)과 스팀토출구(134)의 사이가 소정량 이격되도록 결합시켜 스팀에 의해 형성된 스팀압력이 상기 스팀유로부(141)를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저수탱크(120)의 내부로 작용하도록 하여 상기 스팀압력으로 인하여 서브탱크(130)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The sub tank 130 may accommodate the heater 150 therein, and may heat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sub tank 130 by the heater 150. In addition, the steam discharge port 134 extends upwardly so that the steam generated in the sub tank 130 is supplied to the steam flow passage part 141 formed by combining the upper receptor 122 and the diaphragm 140. At this time, the steam discharge port 134 is protruded more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diaphragm 140 when drawn into the diaphragm 140 and the space between the insertion hole 142 and the steam discharge port 134 into which the steam discharge port 134 is inserted. Combin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amount so that the steam pressure formed by the steam moves along the steam flow path unit 141 and acts as the inside of the water storage tank 120 to the water to the sub tank 130 due to the steam pressure To allow this to flow.

한편, 상기 격판(140)은 상기 서브탱크(130)로부터 유입된 스팀이 스팀유로부(141)를 따라 원활히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격판 상면 상에 다수개의 방지턱(147)을 형성시켜 온도차에 의해 스팀에서 발생하는 기포가 스팀토출구(144a)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스팀토출구(144a) 상에 돌출턱(144)을 구비시켜 기포의 유입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diaphragm 140 allows the steam introduced from the sub tank 130 to move smoothly along the steam flow path part 141, and forms a plurality of prevention jaws 147 on the diaphragm upper surface to form steam by a temperature difference. Prevents bubbles from occurring from flowing into the steam discharge port 144a and provides a projection jaw 144 on the steam discharge port 144a to effectively prevent the inflow of bubbles.

또한, 상기 스팀유로부(141) 상에 스팀필터(149)를 구비시킴으로써 스팀으로부터 발생된 기포를 필터링하여 기포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steam filter 149 on the steam flow path unit 141 to filter the bubbles generated from steam to prevent the bubbles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열감지부(160)는 상기 몸체(110)에 결합되며, 열감지 시트(166)와 상기 열감지 시트(166)가 안착되는 하부캡(164)과 상기 하부캡(164)가 결합되는 상부캡(16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캡(164)에 상기 열감지 시트(166)가 안착될 때 상기 하부캡(164)을 관통하는 관통공(164a)을 형성시켜 상기 열감지 시트(166)가 상기 저수탱크(120)의 상부수용체(122)와 연통되도록 하며, 상기 상부수용체(122)와 격팍(140)에 의해 형성된 스팀유로부(141) 상에 위치되도록 하고 있 다. 이때 상기 열감지부(160)는 상기 서브탱크(130)의 스팀토출구(134)와 인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서브탱크(130)에 별도의 감지부토출구(136)을 형성시켜 상기 열감지부(160)에 직접 스팀이 접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And the heat sensing unit 160 is coupled to the body 110, the heat cap 166 and the upper cap 164 on which the heat sensing sheet 166 is seated and the upper cap 164 is coupled The cap 162. In this case, when the heat sensing sheet 166 is seated in the lower cap 164, a through hole 164a penetrating the lower cap 164 is formed so that the heat sensing sheet 166 is the water storage tank 120. It is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receptor 122, and is located on the steam flow path 141 formed by the upper receptor 122 and the diaphragm 140. At this time, the heat detection unit 160 is preferably adjacent to the steam discharge port 134 of the sub tank 130, by forming a separate detection unit discharge port 136 in the sub tank 130, the heat detection unit 160 You can also make the steam contact directly.

여기서 상기 스팀유로부(141) 또는 서브탱크(130)의 스팀이 상기 열감지부(160)에 형성된 관통공(164a)에 의해 열감지 시트(166)에 직접 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팀이 발생함과 동시에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서 사용시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Here, steam is generated by allowing steam of the steam flow path part 141 or the sub tank 130 to directly contact the heat sensing sheet 166 by the through hole 164a formed in the heat sensing part 160. It can be checked with the naked eye so that the use time can be used more efficiently.

한편, 상기 스팀토출구(144a)를 따라 스팀이 방출되면 튜브(146)에 의해 상기 노즐 플레이트(170)에 형성된 다수개의 노즐공(172)으로 공급되며, 이때 상기 스팀토출구(144a)와 노즐공(172)의 위치를 엇갈리게 단차를 줌으로써 상기 저수탱크(120)가 흔들리거나 기울어져 물이 넘칠 경우 상기 튜브(146)를 따라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team is discharged along the steam discharge port (144a) is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nozzle holes 172 formed in the nozzle plate 170 by the tube 146, wherein the steam discharge port (144a) and the nozzle hole ( By staggering the positions of the 172, the reservoir tank 120 is prevented from leaking along the tube 146 when the water tank 120 is shaken or tilted to overflow the water.

상기 노즐 플레이트(170)는 상기 베이스(11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서브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이 상기 다수개의 노즐공(172)을 따라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노즐공(172)을 기준으로 앞, 뒤측에 한쌍의 벨크로(174)를 위치시켜 상기 노즐공(172)으로부터 공급된 스팀이 상기 벨크로(174)의 사이에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벨크로(174)에 거취 되는 걸레(미도시)에 스팀이 흡수될 수 있도록 한다.The nozzle plate 17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ase 112, and the steam supplied from the sub tank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long the plurality of nozzle holes 172, and the nozzle hole 172. A mop (not shown) placed on the velcro 174 by placing a pair of velcros 174 on the front and rear sides thereof so that the steam supplied from the nozzle hole 172 is supplied between the velcros 174. To allow steam to be absorbed.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히터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히터부(150)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스위치(SW1)를 선택적으로 위치시켜 제각기 다른 저항값 R4, R5 또는 R6, R7에 의해서 Q1의 A2에 연결된 히터의 전력량을 조절하여 스팀의 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회로 구성을 하고 있다.As shown in FIG. 3, the switch unit SW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eater unit 150 to selectively position the switch SW1 by a user's operation, so as to have different resistance values R4, R5, or R6, R7. By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heater connected to A2 of Q1 by the circuit configuration to control the amount of steam.

예컨대 상기 스위치(Sw1)의 위치를 1-2가 연결되도록 할 경우 저항값 R4, R5로 연결되고, R4에 병렬로 된 R3, D3, LED4가 연결되어 LED4(LED3은 꺼짐)가 켜지고, 상기 저항값 R4, R5의 신호가 R8, D4에 연결되어 Q1의 G에 신호를 주어 Q1의 A2에서 A1의 일정한 전류가 흘러 히터에 연결되도록 하고 있으며, 반대로 상기 스위치(SW1)를 2-3이 연결될 경우 저항값 R6, R7로 연결되고, R6에 병렬로 연결된 R3, D3, LED3이 연결되어 LED3(LED4는 꺼짐)가 켜지고, 상기 저항값 R6, R7의 신호가 R8, D4에 연결되어 Q1의 G에 신호를 주어 Q1의 A2에서 A1의 일정한 전류가 흘러 히터부에 연결되도록 하고 있다.For example, when the position of the switch Sw1 is connected to 1-2, the resistance values R4 and R5 are connected, and R3, D3 and LED4 in parallel to R4 are connected to the LED4 (LED3 is turned off), and the resistance is turned on. Signals of values R4 and R5 are connected to R8 and D4 to give a signal to G of Q1 so that a constant current of A1 flows from A2 to Q1 and is connected to the heater. In contrast, when the switch SW1 is connected to 2-3, R3, D3, and LED3 connected in parallel to R6 and R7 are connected to R6, and LED3 (LED4 is turned off) is turned on, and the signals of the resistance values R6 and R7 are connected to R8 and D4 to G of Q1. The signal is supplied so that a constant current of A1 flows from A2 of Q1 to the heater part.

한편, 상기 폐회로의 구성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 컨트롤 스위치를 온, 오프 시킴으로써 히터2에 의해 전력량을 조절하여 스팀량을 선택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으며, 또한 프런트 스위치가 물통 내부의 일정한 수위면에 위치해 있을 경우 물의 수위가 낮아질 경우 상기 프런트 스위치에 의해서 전원이 차단되어 TR1을 끊어 히터부에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 the configuration of the closed circuit can be configured to select the amount of steam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power by the heater 2 by turning on, off the steam control switch, and the front switch is a constant water level inside the water tank If the water level is lowered when the surface is located, the power is cut off by the front switch can be configured to cut off the power supply to the heater by cutting off the TR1.

예컨대 상기 스팀 콘트롤 스위치가 오프(OFF)일 경우 AC1에 연결된 히터1에만 전원이 공급되고, 이때 스팀 컨트롤 스위치 사이에 병렬로 된 R4, LED4, D4가 연결되어 LED4(LED3은 꺼짐)가 켜진다. 상기 컨트롤 스위치가 온(ON)일 경우 AC1에 연결된 히터1, 히터2가 모두 전원이 공급되며, 상기 스팀 컨트롤 스위치 사이에 병렬로 된 R4, LED4, D4가 연결되어 LED4가 꺼지고, 이때 히터1,2의 전력량이 켜져 스팀량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스팀 컨트롤 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히터1,2를 선택적으로 조작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스팀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 steam control switch is OFF, power is supplied only to the heater 1 connected to AC1. At this time, R4, LED4, and D4 in parallel are connected between the steam control switches to turn on LED4 (LED3 is turned off). When the control switch is ON, all the heaters 1 and 2 connected to AC1 are supplied with power, and R4, LED4 and D4 in parallel are connected between the steam control switches to turn off the LED4. The power of 2 is turned on and the amount of steam is increased. By selectively operating the heaters 1 and 2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steam control switch, the user may adjust the amount of steam as needed.

여기서 상기 폐회로는 상술한 히터부(150)과 연동되어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losed circuit is preferably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above-described heater unit 150.

한편, 상기 프런트 스위치가 켜졌을(ON) 경우 전원 AC2가 R6과 연결되어 플런트 스위치를 통해 R5, D5로 연결되고, 상기 TR1의 3에 신호를 주어, 상기 AC2가 TR1에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여 히터에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 스위치가 오프(OFF)일 경우 전원 AC2의 신호가 TR1에 연결되지 않아 전원 AC2가 TR1에 인가되지 않아 히터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ront switch is turned on (ON), the power supply AC2 is connected to R6 and connected to R5 and D5 through a fleet switch, giving a signal to 3 of the TR1, and the AC2 supplies a constant current to the TR1. Supply to the heater. When the front switch is OFF, the signal of the power supply AC2 is not connected to the TR1, and thus the power supply AC2 is not applied to the TR1, thereby cutting off the power supply to the heater.

여기서 상기 폐회로는 후술하는 히터부(150')와 연동되어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closed circuit is preferably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heater unit 1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저수탱크(120)에 일정량의 물을 주입하여 저수탱크(120)를 채운다. 상기 저수탱크(120)에 물을 채우면, 상기 저수탱크(120)로부터 물이 유입홈(129)을 통해 서브팅크(130)로 유입되는데, 이때 유입되는 물의 량은 미세량이 공급되며, 상기 스위치(미도시)를 작동시켜 히터부(150)에 전원을 인가하면 히터부(150)의 발열에 의해 스팀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발생한 스팀은 상기 서브탱크(130)와 연결되는 스팀유로부(141)로 인입되어 상기 스팀토출구(144aAs shown in FIG. 5, first, a certain amount of water is injected into the storage tank 120 to fill the storage tank 120. When the water tank 120 is filled with water, water flows from the water tank 120 into the sub tink 130 through the inflow groove 129, and the amount of water introduced is supplied with a fine amount, and the switch ( When not shown) to apply power to the heater unit 150 to generate steam by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er unit 150. The steam generated in this way is introduced into the steam flow path unit 141 connected to the sub tank 130 to the steam discharge port 144a.

)를 통해 하부에 위치한 벨트로 플레이트의 노즐공으로 방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팀 발생과 동시에 스팀유로부(141) 상에 스팀압력(P1)이 작용하게 되는데, 상기 스팀압력(P1)은 대기압 상태의 저수탱크(120)보다 크게 작용하는 상태여서 상기 스팀유로부(141)에서 저수탱크(120)로 스팀압력(P1)이 리턴되도록 공간부(143)를 형성시켜 상기 스팀압력(P1)을 통해 상기 서브탱크(13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Is discharged to the nozzle hole of the plate by the belt located at the bottom. At this time, the steam pressure (P1) acts on the steam flow path unit 141 at the same time as the steam generation, the steam pressure (P1) is a state that acts larger than the storage tank 120 in the atmospheric pressure state the steam flow path ( A space portion 143 is formed to return the steam pressure P1 to the water storage tank 120 at 141 to supply water to the sub tank 130 through the steam pressure P1.

또한 상기 스팀유로부(141) 상에 구비된 열감지부(160)를 통해 발생된 스팀을 직접 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팀 발생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스팀은 고온에 의해 생성됨으로 인해 대기와 접했을 경우 스팀유로부(141) 상에 기포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 스팀유로부(141) 상에 방지턱(147)을 엇갈리게 다수개 구비시켜 기포가 스팀토출구를 통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더불어 스팀필터(149)를 위치시켜 기포를 필터링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기포가 스팀과 함께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In addition, by allowing the steam generated through the heat detection unit 160 provided on the steam flow path unit 141 to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steam generation can be confirmed at the same time. Here, since the steam is generated by the high temperature, bubbles may occur on the steam flow passage part 141 when the ai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atmosphere. At this time, bubbles are provided by staggering a plurality of prevention jaws 147 on the steam flow passage part 141. By preventing the discharge through the steam discharge port, and by placing the steam filter 149 to filter the bubbles to prevent the bubbles are discharged with the steam.

또한, 상기 서브탱크(130)를 이루는 벽면에 중공층(132)을 형성시킴으로써 고온의 스팀과 물이 열교환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스팀 발생을 더욱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hollow layer 132 on the wall constituting the sub-tank 13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eat exchange between the high-temperature steam and water to occur more efficiently to generate steam.

이렇게 함으로써 극소량을 물을 이용해 빠르게 스팀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스팀이 손실 없이 노즐까지 방출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스팀 발생을 즉시 확인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By doing this, steam can be generated quickly using very little water, and the generated steam can be discharged to the nozzle without loss, and at the same time, the steam generation can be immediately confirmed, so that user's time can be used efficiently.

도 6은 본 발명의 스팀청소기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이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수용체(122')의 상면부 상에 탈착 가능한 곡선 형상의 격판(140')을 구비시켜 스팀유로부(141')를 형성시키고, 상기 격판(140')과 연결되는 서브탱크를 상기 스 팀유로부(141') 상에 인입되도록 함으로써 발생된 스팀을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상기 스팀유로부(141') 상에 방지턱과 스팀필터를 구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6 is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stea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is, a steam flow path part 141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curved plate 140' on an upper surface part of the upper receptor 122 '. And a sub tank connected to the diaphragm 140 ′ is introduced into the steam flow passage 141 ′ to efficiently discharge steam generated, and also to the steam flow passage 141 ′.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a bump and a steam filter on th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히터부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를 참조하면, 상기 히터부(150')는 평판(152') 상에 제1패턴부(153')와 제2패턴부(154')를 형성시키고, 상기 제1패턴부 및 제2패턴부를 상호 인접하게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제1팬턴부와 제2패턴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호 인접되는 위치에 온도감지센서(155')를 위치시켜 제1패턴부 및 제1패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상기 온도감지센서로 하여금 빠르게 감지하게 하여 상기 히터부(150')에 의한 스팀 발생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7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hea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er unit 150 'may include the first pattern unit 153' and the second pattern unit 154 'on the plate 152'. And form the first pattern portion and the second pattern portion adjacent to each other. At this time, by placing the temperature sensor 155 'between the first panton portion and the second pattern portion and adjacent to each other, the temperature sensor quickly generates heat generated from the first pattern portion and the first pattern por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detect the steam generated by the heater unit 150 '.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고안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hich are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above configuration.

본 발명은 별도의 물 데움 공간을 저수탱크 내부에 구비시켜 청소에 필요한 량만을 데우게 함과 동시에 사용 전력을 조절함으로써 같은 량의 물로 청소할 수 있는 시간을 극대화하고, 단차진 유로를 형성시켜 흔들림에 의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parate water warming space inside the storage tank to warm only the necessary amount for cleaning and at the same time to maximize the time that can be cleaned with the same amount of water by adjusting the power used, forming a stepped flow path to shak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leakage.

또한 본 발명은 스팀유로 상에 필터를 구비시켜 스팀 내의 기포를 제거함으 로써 더욱 효율적인 스팀 발생 효과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lter on the steam flow path to remove the bubbles in the steam can have a more efficient steam generation effect.

또한 본 발명은 발열부를 다수개로 형성하고 상기 발열부에 인접하는 감지센서를 위치시켜 발열부에서 발생하는 온도를 빠르게 감지함으로써 스팀 발생에 필요한 적정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controlling the appropriate temperature required for steam generation by forming a plurality of heat generating portion and by detecting the temperature generated in the heat generating portion by placing a sensor adjacent to the heat generat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은 저수탱크에 수용된 물을 발생된 스팀 압력을 이용해 공급함으로써 별도의 순환장치가 필요 없어 소형화를 추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ly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storage tank using the generated steam pressure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circulation device has the effect that can be pursued downsizing.

Claims (14)

상부 및 하부 수용체가 결합되어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도록 하는 저수탱크와;A reservoir tank configured to receive the water supplied by the upper and lower receptors coupled thereto; 상기 저수탱크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저수탱크로부터 유입홈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서브탱크와;A sub tank positioned inside the reservoir tank to receive water from the reservoir tank through an inflow groove to generate steam; 상기 저수탱크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서브탱크로부터 발생된 스팀과, 상기 저수탱크에 수용된 물을 격리하여 상기 스팀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격판과;A diaphragm positioned inside the water storage tank to isolate steam generated from the sub tank and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storage tank to form a flow path of the steam; 상기 서브탱크 내부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전원을 인가받아 스팀을 발생시키는 히터부와;A heater unit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ub tank to generate steam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상기 저수탱크를 수용하고, 상기 히터부를 제어하는 폐회로를 구비하는 베이스 및 몸체와;A base and a body accommodating the water storage tank and having a closed circuit for controlling the heater unit; 상기 베이스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서브탱크로부터 발생된 스팀을 방출하고, 걸레를 탈착 가능하게 하는 노즐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And a nozzle plate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to release steam generated from the sub tank and to detach the mop.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폐회로는 상기 히터부의 전력량을 조절하여 스팀 발생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스팀량 조절회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The closed circuit steam cleaner further comprises a steam amount control circuit for adjusting the amount of steam generat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power of the heate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폐회로는 상기 저수탱크 내부에 위치한 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저수탱크의 상태확인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 회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The closed circuit is a stea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 detection circuit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ensor located in the water storage tank to check the state of the water storage tank.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서브탱크와 격판의 결합부를 통해 스팀 압력이 저수탱크로 리턴되도록 하는 공간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Steam cleaner further comprises a space for returning the steam pressure to the water storage tank through the coupling portion of the sub tank and the diaphragm.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서브탱크는 그 벽면 내부가 중공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The sub tank is a stea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ide of the wall is formed of a hollow layer.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서브탱크는 상기 히터부와 일체형으로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And the sub tank is integrated with the heater uni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격판과 상부 수용체는 상하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엇갈리게 형 성된 방지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The diaphragm and the upper container is a stea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 bump formed by staggering at least one protruding up and down.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격판과 상부 수용체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스팀유로부 상에 스팀필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Stea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team filter on the steam flow path is formed by coupling the diaphragm and the upper container.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격판은 상기 스팀유로부에 위치한 스팀토출구 상에 하단으로 돌출되는 돌출턱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The diaphrag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am cleaner further comprises a protruding jaw protruding downward on the steam discharge port located in the steam flow path.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스팀유로부 상에 위치하여 상기 서브탱크로부터 발생된 스팀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열감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And a heat sensing unit located on the steam flow path to sense steam generated from the sub tank.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열감지부는 그 내부에 구성된 열감지시트와 연결되는 관통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The steam cleaner further comprises a through hole connected to the heat sensing sheet configured therein.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서브탱크는 상기 열감지부 상으로 연장 돌출되는 감지부토출구를 더 구 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The sub-tank further comprises a detector discharge port that extends over the heat detection unit.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스팀유로부로부터 상기 노즐 플레이트까지 연결되는 관로 형성시 스팀토출구가 상호 엇갈리게 구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Steam clean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am discharge port is provided to be staggered when forming a conduit connected from the steam flow path to the nozzle pla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히터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턴부를 가지고 상호 인접하며, 상기 인접된 패턴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온도감지센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The heater unit has at least one pattern portion adjacent to each other, the stea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temperature sensor located between the adjacent pattern portion.
KR1020050110740A 2005-11-18 2005-11-18 Stem Cleaner KR1007259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740A KR100725970B1 (en) 2005-11-18 2005-11-18 Ste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740A KR100725970B1 (en) 2005-11-18 2005-11-18 Stem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2930A KR20070052930A (en) 2007-05-23
KR100725970B1 true KR100725970B1 (en) 2007-06-08

Family

ID=38275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0740A KR100725970B1 (en) 2005-11-18 2005-11-18 Stem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597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791A (en) * 1993-09-28 1995-04-15 이헌조 Steam generator for vacuum cleaner
KR950016635A (en) * 1993-12-30 1995-07-20 이헌조 Steam Injection Inlet of Vacuum Cleaner
US5920952A (en) 1996-11-13 1999-07-13 Ariete S.P.A. Steam-cleaning appliance
KR200184425Y1 (en) 1999-10-04 2000-06-01 한경희 Steam clea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791A (en) * 1993-09-28 1995-04-15 이헌조 Steam generator for vacuum cleaner
KR950016635A (en) * 1993-12-30 1995-07-20 이헌조 Steam Injection Inlet of Vacuum Cleaner
US5920952A (en) 1996-11-13 1999-07-13 Ariete S.P.A. Steam-cleaning appliance
KR200184425Y1 (en) 1999-10-04 2000-06-01 한경희 Stea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2930A (en) 200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1554B2 (en) Steam iron
KR20080026208A (en) Boiler system for use with a steaming device
ES2881804T3 (en) Hygienic washing device
KR20060104731A (en) A steam cleaner having structuer to return water for preventing water leakage
AU2014101572A4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JP6754939B2 (en) Sanitary cleaning equipment
KR101014468B1 (en) Nozzle for cleaner
KR100725970B1 (en) Stem Cleaner
KR100725969B1 (en) Stem Cleaner
KR100722017B1 (en) Dish wash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11024943A (en) Automatic cleaning apparatus for bathtub
JP6765034B2 (en) Sanitary cleaning equipment
KR100768012B1 (en) Water tank assembly for steam cleaner and steam cleaner
RU2750373C2 (en) Apparatus for steam-pressing clothes with increased water pressure
JP2001204998A (en) Iron
KR20140087347A (en) Bidet having toilet seat washing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59906B1 (en) A system of mugginess generating installed to bidet
KR100883037B1 (en) Automatic water supply possible rice cake steam device with pressure type
JP4254250B2 (en) Hot water toilet seat
JP4716263B2 (en) Iron
JPH08206399A (en) Steam iron provided with spray function
KR200310282Y1 (en) Apparatus for washing a nozzle of ink cartridge
JPH06165900A (en) Steam iron
JPH06205896A (en) Steam iron
CN111936709A (en) Toilet device, and detergent suppl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