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4679B1 - 디엠비 결재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디엠비 수신기 및 이를이용한 디엠비 과금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엠비 결재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디엠비 수신기 및 이를이용한 디엠비 과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4679B1
KR100724679B1 KR1020050034677A KR20050034677A KR100724679B1 KR 100724679 B1 KR100724679 B1 KR 100724679B1 KR 1020050034677 A KR1020050034677 A KR 1020050034677A KR 20050034677 A KR20050034677 A KR 20050034677A KR 100724679 B1 KR100724679 B1 KR 100724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mb
electronic money
receiver
inform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4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2364A (ko
Inventor
최승열
박준현
Original Assignee
사파미디어 주식회사
주식회사 시스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파미디어 주식회사, 주식회사 시스네트 filed Critical 사파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4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4679B1/ko
Publication of KR20060112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5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for pay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mobil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3Billing, e.g. for subscription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ultimedia (AREA)
  • Fina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MB 결재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DMB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DMB 과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MB 결재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DMB 수신기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방송국 과금서버 및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에 연결되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기능을 가진 휴대용 전자장치에 있어서, DMB 수신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입력장치,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DMB 수신기 내의 모든 장치를 제어하는 주제어부, DMB 서비스 업체로부터 송출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는 형태로 신호처리하는 방송수신부, 상기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DMB 수신기에 내장된 전자화폐 저장수단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며, 전자화폐 저장수단에 저장된 전자화폐 정보를 상기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로부터 송신되는 전자화폐 충전금액의 충전, 삭감명령을 수신하여, 전자화폐 저장수단에 저장된 전자화폐 충전금액의 충전, 삭감을 수행하며, 상기 방송국 과금서버(112)로 방송 서비스 이용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방송국 과금서버(112)로부터 방송서비스 이용권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방송수신부로 출력하는 SIM 제어부, 상기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무선인터넷 연결을 수행하는 무선인터넷 제어부, 상기 DMB 수신기와 상기 SIM 제어부를 운영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DMB 수신기에 내장되고, 접촉식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SIM 제어부와 상기 접촉식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내장된 메모리에 저장된 식별정보와 충전금액을 상 기 SIM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SIM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충전정보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충전금액을 증액 또는 삭감하는 SIM 방식의 콤비형 전자화폐 저장수단, 각종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장치 및 상기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방송수신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결재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DMB 수신기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DMB 결재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DMB 수신기를 이용하여,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유료 DM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MB 수신기, 방송과금방법, SIM, 전자화폐

Description

디엠비 결재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디엠비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디엠비 과금 시스템 {Portable DMB receiver within dmb-payment means and Paymenat-system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DMB 과금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DMB 수신기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DMB 수신기를 이용한 DMB 서비스 이용요금 결재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DMB 서비스 이용요금 결재과정이 휴대용 DMB 수신기에서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을 통한 휴대용 DMB 수신기에 내장된 전자화폐 충전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휴대용 DMB 수신기 110 : DMB 송출업체
112 : DMB 송출업체의 과금서버 120 : 네트워크
130 :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 132 : 전자결재 서버
134, 136 : 마일리지 제휴사 서버 138 : 데이터베이스
210 : 주제어부 214 : 입력장치
220 : SIM 제어부 228 : CAS 모듈
230 : SIM 형식 교통카드 240 : 디스플레이부
본 발명은 DMB 결재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DMB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DMB 과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DMB 수신기에 내장된 DMB 결재수단을 이용하여,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유료 DM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DMB 결재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DMB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DMB 과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이제는 새로운 형태의 방송 서비스가 대두되고 있다.
최첨단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함.)의 서비스가 개시되면서, 위성 DMB 서비스, 지상파 DMB 서비스, 인터넷을 통한 IP(Internet Protocol) 방송 서비스 등 다양한 형태의 DMB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또한, 급속한 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종래 가정 또는 차량 내에서만 시청가능했던 DMB 서비스를, 이제는 이동용 또는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DMB 를 수신하 여, 재생할 수 있는 기술들이 제공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방송 서비스는 아무런 제한없이 수신기만을 구비하면 시청할 수 있는 무료방송 서비스와 일정한 서비스 이용대금을 지불하고 방송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유료방송 서비스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유료방송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기술이 CAS(Conditional Access System, 수신 제한 시스템)로서, CAS를 구현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방송서비스 제공업체에서 유료방송 프로그램을 암호화하여 송출하고, 이용대금을 지불한 사용자의 수신기에만 암호화된 유료방송 프로그램을 복호화할 수 있는 키를 부여하여,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유료방송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유료방송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미리 유료방송 서비스 이용을 신청하고, 대금을 결재한 뒤, 방송 서비스업체에서 부여하는 키정보를 수신기에 내장된 IC 카드 등에 저장하여 유료방송 서비스를 이용해 왔다.
통상적으로 대금결재 수단은 카드결재, 지로납부, 휴대폰 이용요금 과금체계, 또는 유선전화 과금체계를 통해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대금결재 수단을 이용하는데는 많은 불편함과 복잡한 절차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대금결재 수단은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가정내 또는 차량내의 DMB 서비스의 대금결재 수단으로서는 어느 정도 역할을 할 수 있었으나, 휴대용 DMB 수신기에 있어서는 그 이용에 불편함과 많은 제약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각종 전자화폐의 저장이 가능한 DMB 결재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DMB 수신기를 이용하여,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유료 DM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DMB 결재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DMB 수신기 및 과금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방송국 과금서버 및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에 연결되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기능을 가진 휴대용 전자장치에 있어서, DMB 수신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입력장치;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DMB 수신기 내의 모든 장치를 제어하는 주제어부; DMB 서비스 업체로부터 송출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는 형태로 신호처리하는 방송수신부; 상기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DMB 수신기에 내장된 전자화폐 저장수단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며, 전자화폐 저장수단에 저장된 전자화폐 정보를 상기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로부터 송신되는 전자화폐 충전금액의 충전, 삭감명령을 수신하여, 전자화폐 저장수단에 저장된 전자화폐 충전금액의 충전, 삭감을 수행하며, 상기 방 송국 과금서버(112)로 방송 서비스 이용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방송국 과금서버(112)로부터 방송서비스 이용권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방송수신부로 출력하는 SIM 제어부; 상기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무선인터넷 연결을 수행하는 무선인터넷 제어부; 상기 DMB 수신기와 상기 SIM 제어부를 운영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DMB 수신기에 내장되고, 접촉식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SIM 제어부와 상기 접촉식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내장된 메모리에 저장된 식별정보와 충전금액을 상기 SIM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SIM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충전정보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충전금액을 증액 또는 삭감하는 SIM 방식의 콤비형 전자화폐 저장수단; 각종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장치; 및 상기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방송수신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결재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DMB 수신기가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과금시스템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휴대용 DMB 수신기; 상기 휴대용 DMB 수신기로부터 방송서비스 이용요청 및 전자화폐 정보를 수신하여, 방송서비스 이용요금을 산정하고,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로 상기 전자화폐 정보와 상기 이용요금에 대한 전자결재를 요청하며, 상기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자결재 승인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DMB 수신기로 상기 방송서비스 이용요청에 상응하는 유료 방송서비스 이용권한 정보를 송신하는 방송국 과금서버; 상기 방송국 과금서버로부터 상기 전자화폐 정보와 상기 이용요금에 대 한 전자결재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전자화폐 정보를 참조하여 유효한 전자화폐인지 확인하고, 유효한 전자화폐인 경우 상기 휴대용 DMB 수신기로 전자화폐 삭감명령을 송신하며, 상기 상기 휴대용 DMB 수신기로부터 전자화폐 삭감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방송국 과금서버에서 요청한 상기 전자결재요청을 승인하는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결재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DMB 수신기를 이용한 DMB 과금시스템이 제공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DMB 결재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DMB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DMB 과금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DMB 과금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DMB 과금시스템은 휴대용 DMB 수신기(100), 유무선 네트워크(120), DMB 송출업체(110), 방송국 과금서버(112),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130), 마일리지 제휴사 서버(134, 136) 및 전자결재 서버(13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DMB 결재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DMB 수신기(이하 '수신기'라 함.)(100)는 내부에 각종 전자화폐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방송국 과금서버(112)에 방송서비스 이용요청을 신청하고, 전자화폐 저장수단(230)에 저장된 전자화폐를 이용하여 유료 DMB 서비스 이용대금을 지불하여, 유료 DM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수신기에 저장되는 전자화폐는 교통카드 결재대금으로 이용되는 T 머니, OK 캐쉬백 포인트 등의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130)와 업무제휴를 한 마일리지 제휴사 의 마일리지 포인트 중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전자화폐가 저장되며, 전자화폐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해 충전할 수 있다.
상기 T머니(T-Money)는 집적회로(IC)칩을 내장한 스마트카드로 티머니 한장으로 버스와 지하철을 탈 수가 있고 택시요금과 주차장 요금을 지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마일리지까지 챙길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오프라인 상에서는 교통카드 충전기기를 구비한 충전소 또는 ATM(Automatic Teller Machine)에서 현금을 지불하고 충전할 수 있으며, 온라인 상에서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130)에 접속하여, 적립된 마일리지 포인트를 전자화폐로 전환하거나, 신용카드 결재, 은행 계좌이체 등의 전자결재 수단을 이용하여 충전이 가능하다.
온라인을 이용하여 저장된 전자화폐를 충전하는 과정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106)는 유무선 네트워크(120)를 통해 마일리지 제휴사 서버(134, 136), 전자결재 서버(132), 방송국 과금서버(112) 및 수신기(100)에 연결되며, 수신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전자결재 수단을 이용한 전자화폐 충전요청, 교통 마일리지 전환요청을 수행하고, 방송국 과금서버(112)로부터 방송 서비스 이용대금 전자결재 요청을 수신하여 수신기에 저장된 전자화폐를 이용한 전자결재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DMB 과금 방법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106)는 이러한 기능의 수행을 위하여 교통카드 식별정보 및 전자화폐 충전금액 등의 전자화폐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138)를 구비할 수 있다.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에 구비되는 데이터베이스(138)는 전자화폐 저장수단 식별정보와 충전금액 정보 및 마일리지 정보로 구성되며, 여기서 전자화폐 저장수단 식별정보는 일종의 교통카드 ID로서 개별적인 전자화폐 저장수단마다 고유한 번호가 부여되어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130)에서의 전자화폐 저장수단 관리의 프라이머리 키값의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충전금액 정보는 각 전자화폐의 충전금액 정보가 저장되며, 마일리지 정보는 교통 마일리지 정보, 마일리지 제휴사 서버(134, 136)로부터 부여된 마일리지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으며, 복수의 마일리지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방송국 과금서버(112)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기(100)로부터 방송서비스 이용요청과 내장된 전자화폐의 식별정보 및 결재수단을 수신하여, 방송서비스 이용요청에 대한 요금을 산정하고, 전자화폐의 식별정보, 결재수단, 방송서비스 이용요금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결재 요청을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130)에 송신하고,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전자결재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기(100)에 방송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이용권한 정보를 송신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DMB 수신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신기(1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주제어부(210), 디스플레이부(240), 오디오 출력부(242), 메모리(212), 입력장치(214), 저장장치(216), SIM 제어부(220), SIM 형식의 전자화폐 저장수단(230),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202), 무선인터넷용 안테나(206) 및 RF 통신용 안테나(23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100)는, 통상적인 DMB 수신기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아 DMB 수신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입력장치(214), 입력장치(214)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DMB 수신기(100) 내의 모든 장치를 제어하는주제어부(210), DMB 수신기(100)를 운영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212),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202),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신호 수신부(205)와 방송신호 수신부(205)에서 수신한 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부(240)에서 재생할 수 있는 형태로 처리하는 신호처리부(204)를 포함하는 방송수신부, 각종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장치(216), 주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DMB 방송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240), 주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DMB 방송 음향데이터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242)를 구비하여 DMB 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214)는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키패드, 터치스크린 등의 다양한 형태의 범용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100)는 무선 네트워크(120)를 통해 방송국 과금서버(112) 및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130)에 접속하게 되는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무선인터넷용 안테나(206)와 무선인터넷 제어부(208)를 구비하고 있다.
DMB 신호를 수신하고 재생하는 과정 및 무선인터넷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은 이미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 다.
DMB 이용대금 결재기능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100)는 입력장치(214)에 방송국 과금서버(112)에 방송서비스 이용요청을 하기위한 전용버튼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저장장치(216)에는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130)의 URL, 방송국 과금 서버(112)의 URL, 무선인터넷 연결프로그램, 교통카드 충전내역, 교통카드 결재내역 등이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수신기(100)는 DMB 이용대금 결재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SIM 형식의 전자화폐 저장수단(230), RF 통신용 안테나(236), SIM 제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전자화폐 저장수단(230)은 콤비형 IC 카드로서, 수신기(100)의 특정 슬롯 또는 기판 위에 장착이 가능한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가입자 인증 모듈)형식으로 제작되어, 수신기(100)에 내장되고, 접촉식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DMB 수신기의 SIM 제어부(220)와 연결되고, 접촉식 인터페이스를 통해 SIM 제어부(220)와 데이터 통신(전자화폐 충전, 삭감, 정보전달 등을 의미하며, 이하 '데이터 통신' 이라함.)을 하며, 비접촉식 인터페이스(통상적으로 RF 통신용 안테나)(236)를 통해 외부 교통카드 리더/라이터 장비와 RF(Radio Frequency) 통신을 이용해서 데이터 통신을 하게 된다.
또한, 전자화폐 저장수단(230)은 DMB 수신기(100)의 전원이 ON된 상태에서는 DMB 수신기의 전원부(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SIM 제어부(22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함과 동시에 외부 전자화폐 저장수단 리더(118)와 비접촉식 데이터 통 신을 할 수 있으며, DMB 수신기의 전원(100)이 OFF된 상태에서는 단지 외부 전자화폐 저장수단 리더와의 비접촉식 데이터 통신만을 수행하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전자화폐 저장수단(230)은 IC(232), 메모리(234), 접촉식 인터페이스부 및 RF 통신용 안테나(236)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4)에는 IC(232)를 구동하기 위한 운영프로그램, 전자화폐 충전금액 및 전자화폐 저장수단 식별정보가 저장되며, 개인정보(전자상거래 인증서, 또는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의 URL 등)가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C(232)는 전자화폐 저장수단(23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데, DMB 수신기(100)의 전원이 ON된 상태에서는 수신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며, DMB 수신기(100)의 전원이 OFF된 상태에서는 외부 전자화폐 저장수단 리더가 형성한 자계속을 교통카드(230)가 통과할 때 안테나(236)에 유도되는 유도전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게 된다.
또한, IC(232)는 외부 전자화폐 저장수단 리더 또는 SIM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234)에 저장된 전자화폐 저장수단 식별정보, 전자상거래 인증서를 독출하여 전송하거나 또는 메모리(234)에 저장된 전자화폐 충전금액을 증액하거나 삭감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접촉식 인터페이스부는 IC(232)와 SIM 제어부(220) 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게 되고, SIM 제어부(220)와 IC(232)는 접촉식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안테나(236)는 RF 통신을 이용하여 외부 교통카드 리더로부터 송신되는 각종 전자화폐 저장수단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IC(232)에 출력하고, IC(232)로부터 전자화폐 저장수단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외부 전자화폐 저장수단 리더로 송신하게 된다.
또한, 안테나(236)는 외부 전자화폐 저장수단 리더가 형성한 자계속을 통과할 때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이를 IC(232)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로서의 역할도 하게 된다.
SIM 제어부(220)는 일종의 접촉식 전자화폐 저장수단 리더로서, 전자화폐 저장수단(230)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게 된다.
SIM 제어부(220)는 데이터 제어모듈(224)을 이용하여 수신기에 내장된 전자화폐 저장수단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며, 전자화폐 저장수단에 저장된 전자화폐 정보를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에 송신하고,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로부터 송신되는 전자화폐 충전금액의 충전, 삭감명령을 수신하여, 저장된 전자화폐 충전금액의 충전, 삭감을 수행하며, 입력장치(214)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서비스 요청을 수신하여, 방송국 과금서버(112)로 방송 서비스 이용요청을 송신하고, 방송국 과금서버(112)로부터 방송서비스 이용권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 방송수신부로 출력하여 암호화된 방송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SIM 제어부(220)는 온라인 전자화폐 충전 및 방송서비스 이용대금 전자결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보안모듈(222) 및 CAS 모듈(228)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안모듈(222)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방송국 과금서버(112) 또는,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130)로 송신되는 각종 정보-전자화폐 저장수단 식별정보, 인증서 정보, 인증정보 등-를 특정 암호화 알고리즘에 따라 암호화하게 된다.
또한,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정보 중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하는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보안모듈(222)과 전자화폐 저장수단(230)을 일 대 일로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보안모듈(222)에 의한 인증과정을 거친 후에만, 전자화폐 저장수단(230)을 액세스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보안모듈(222)과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130)는 서로 공통된 암복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정보를 암호화하므로, 쌍방간에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한 접근성을 제한하여 보안성을 향상 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보안모듈(222) 관련 알고리즘은 이미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CAS 모듈(228)은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서비스 요청과 전자화폐 저장수단(230)의 식별정보 및 결재수단을 방송국 과금서버(112)로 송신하고, 방송국 과금서버(112)가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130)로 요청한 방송서비스 이용대금 결재요청에 따른 전자화폐 삭감명령을 수신하고, 전자화폐 삭감명령에 따라 데이터 제어모듈(224)를 이용하여, 전자화폐 저장수단(230)에 저장된 전자화폐를 삭감한 후, 삭감완료 메시지를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130)로 송신하게 된다.
또한, CAS 모듈(228)은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130)와 방송국 과금서버(112)간의 전자결재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방송국 과금서버(112)로부터 송신되는 유료 방송서비스 이용권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방송서비스 이용권한 정보를 방송수신부로 출력하게 되고, 방송수신부는 방송서비스 이용권한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방송데이터를 해독하여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이때, 방송서비스 이용권한 정보에는 암호화된 방송데이터를 해독할 수 있는 키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각각의 방송 프로그램 단위 또는 시청시간을 기준으로 방송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휴대용 DMB 수신기를 이용한 DMB 서비스 이용요금 결재과정 및 온라인 충전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100)에 구비되는 전자화폐 저장수단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여기에서는 SIM 방식의 교통카드가 구비되고, 교통카드에는 교통카드 충전금액이 전자화폐로 저장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교통카드 이외의 다른 저장수단이 구비되거나 또는 교통카드 충전금액 이외의 전자화폐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이용요금이 결재되는 과정을 동일하게 수행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DMB 수신기를 이용한 DMB 서비스 이용요금 결재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100)를 이용하여 DMB 서비스 이용요금 결재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고객이 수신기(100)의 입력장치를 통하여 방송서비스 이용요청 기능을 선택하게 되면, 수신기(100)는 저장장치에 저장된 방송국 과금서버의 URL을 참조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방송국 과금서버(112)에 접속하고, 방송 서비스요 청을 송신한다(S300).
여기서 방송국 과금서버(112)는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수신기(100)에 포함된 교통카드(230)에 저장된 각종 전자화폐를 이용한 결재가 가능하도록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130)와 업무제휴가 이루어진 방송국 과금서버(112)를 말하며, 복수의 방송국 과금서버(112)가 존재하는 경우, 고객이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특정 방송국 과금서버(112)를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송신되는 방송서비스 이용요청에는 이용하고자 하는 시간 또는 이용하고자 하는 방송프로그램 정보가 포함되며, 고객은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130)에 접속하여, 업무제휴 DMB 송출업체의 목록과 각 송출업체의 송출 프로그램을 열람할 수 있으며, 이를 수신기의 저장장치에 저장하여, 오프라인 상에서도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열람할 수 있다.
방송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 방송국 과금서버(112)는 요청에 상응하는 이용요금을 산정함과 동시에, 수신기(100)로 결재정보 요청을 송신한다(S302).
수신기(100)는 결재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교통카드(230)로부터 교통카드 식별정보를 독출하여 방송국 과금서버(112)로 송신한다(S304).
이때, 저장된 전자화폐가 교통카드 충전금액 1종류일 경우에는 결재수단을 선택할 필요가 없으나, 여러 종류의 전자화폐가 저장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입력장치를 통해서 결재수단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전자화폐를 선택하게 된다.
교통카드 식별정보를 수신한 방송국 과금서버(112)는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 로 교통카드 식별정보와 방송서비스 이용대금정보를 포함하는 교통카드 결재요청을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130)는 수신한 교통카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DB()에 저장된 교통카드 정보와 대조-유효한 교통카드인지, 충전금액이 이용대금을 초과하지 않는지 등의 교통카드 결재에 필요한 각종 정보의 대조-한 후, 유효한 교통카드로 판단되면,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수신기(100)에 이용대금에 상응되는 교통카드 충전금액을 삭감하라는 삭감명령을 송신한다(S306, S308, S310).
수신기는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송신되는 삭감명령을 수신하여, 내장된 교통카드에 충전된 금액을 삭감하고, 삭감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삭감완료 메시지를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130)로 송신한다(S312, S314).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130)는 삭감완료 메시지를 수신하고, DB()에 저장된 교통카드 정보를 갱신한 후(S316), 방송국 과금서버(112)로 교통카드 결재승인 메시지를 송신하며(S316), 방송국 과금서버(112)에서는 이를 수신하고, 수신기(100)로 방송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이용권한 정보를 송신한다(S320).
수신기(100)는 이용권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용권한 정보를 이용하여 DMB 방송을 수신하게 된다(S332).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DMB 서비스 과금과정이 휴대용 DMB 수신기에서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고객이 입력장치(214)를 통해 방송서비스 이용요청을 입력하면, SIM 제어부(220)는 방송서비스 이용요청을 방송국 과금서버(112)로 송신한다(S400).
SIM 제어부(220)는 방송국 과금서버(112)로부터 결재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교통카드의 IC(232)에 교통카드 식별정보를 요청한다(S402, S404).
IC(232)는 메모리(234)에 저장된 교통카드 식별정보를 독출하여 SIM 제어부(220)로 송신하고, SIM 제어부(220)는 이를 수신하여 방송국 과금서버(112)로 송신한다(S406, S408).
방송국 과금서버(112)는 수신한 교통카드 식별정보와 결재대금을 포함한 교통카드 결재요청을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130)에 송신하고,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이를 수신하여, 전자거래에 필요한 각종 사항을 확인한 후, 성공적으로 교통카드가 확인되면 전자화폐 충전금액 삭감명령을 송신한다.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송신되는 교통카드 충전금액 삭감명령은 SIM 제어부(220)에서 수신하게 되며(S410), SIM 제어부(220)는 이를 교통카드 결재 내역정보를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출력하여, 고객의 이용의사를 다시 한번 확인한다(S412, S414).
고객이 입력장치(214)를 통해서 승인의사를 입력하게 되면, SIM 제어부(220)는 삭감명령을 IC(232)에 송신하여 교통카드에 내장된 메모리(212)에 저장된 충전금액이 삭감되도록 한다(S416).
교통카드 충전금액 삭감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IC(232)는 삭감완료 메시지를 송신하고, SIM 제어부(220)는 이를 수신하여(S418),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130)로 송신한다(S420).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130)와 방송국 과금서버(112) 사이에서 교통카드 결재가 유효하게 완료되면, 방송국 과금서버(112)는 방송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이용 권한 데이터를 송신하고, SIM 제어부(220)는 이를 수신하여(S422), 저장하고(S424), 방송서비스 이용대금 결재내역을 디스플레이부(204)를 통해 출력하고, 저장장치에 저장한다(S426).
이때, 표시되는 방송서비스 이용대금 결재내역은 결재금액, 방송국 과금서버, 방송서비스 이용기간 또는 이용프로그램에 관한 사항이 표시된다.
이상에서는 교통카드(230)에 충전된 충전금액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교통카드 충전금액 이외에 교통카드에 저장된 각종 전자화폐를 이용하여 전자결재를 수행하는 과정도 상술한 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고객은 DMB 방송 서비스의 결재수단으로써, 교통카드(230)에 저장된 교통카드 충전금액을 비롯한 각종 전자화폐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을 통한 휴대용 DMB 수신기에 내장된 전자화폐 충전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온라인을 통한 휴대용 DMB 수신기에 내장된 전자화폐 충전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교통카드 충전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고객이 수신기(100)의 입력장치(214)를 통해 온라인 교통카드 충전서비스 기능을 선택하게 되면, 수신기(100)는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130)로 교통카드 충전요청, 전자결재 수단정보 및 교통카드 식별정보를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130)는 전자결재 서버(132)에 전자결재 요청을 송신한다 (S500, S502).
전자결재 요청을 수신한 전자결재 서버(교통카드 서비스 서버(130)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금융기관 서버, 카드사 서버 등)(132)는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130)를 통해 수신기(100)로 인증을 요청한다(S504, S506).
인증요청을 수신한 수신기(100)는 저장장치(216)에 저장된 인증정보를 독출하거나, 입력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인증정보(은행 계좌이체의 경우 계좌명, 비밀번호, 인증서 등)를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130)를 통해 전자결재 서버(132)로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전자결재 서버(132)는 인증 및 전자결재를 수행한다(S508, S510, S512).
전자결재 서버(112)는 전자결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130)로 전자결재 승인정보를 송신하고(S514), 이를 수신한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130)는 수신기(100)로 교통카드 충전명령을 송신한다(S516).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전자화폐 충전명령을 수신한 수신기(100)는 SIM 제어부(220)를 이용하여 교통카드(230)의 IC(232)에 전자화폐 충전금액을 증액하라는 명령을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IC(232)에 의하여 메모리(234)에 저장된 전자화폐 충전금액이 증액되게 된다(S518).
SIM 제어부(220)는 교통카드의 충전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부(204)를 통해 충전내역을 표시하고(S520), 충전완료정보를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130)로 송신한다(S522).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130)는 충전완료정보를 수신하고, 부가된 DB(138)의 교통카드 정보를 갱신한다(S524).
상술한 과정을 통해 수신기에 포함된 교통카드의 온라인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DMB 결재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DMB 수신기를 이용하여,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유료 DM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방송국 과금서버 및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에 연결되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기능을 가진 휴대용 전자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아 DMB 수신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입력장치;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DMB 수신기 내의 모든 장치를 제어하는 주제어부;
    DMB 서비스 업체로부터 송출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는 형태로 신호처리하는 방송수신부;
    상기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DMB 수신기에 내장된 전자화폐 저장수단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며, 전자화폐 저장수단에 저장된 전자화폐 정보를 상기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로부터 송신되는 전자화폐 충전금액의 충전, 삭감명령을 수신하여, 전자화폐 저장수단에 저장된 전자화폐 충전금액의 충전, 삭감을 수행하며, 상기 방송국 과금서버(112)로 방송 서비스 이용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방송국 과금서버(112)로부터 방송서비스 이용권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방송수신부로 출력하는 SIM 제어부;
    상기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무선인터넷 연결을 수행하는 무선인터넷 제어부;
    상기 DMB 수신기와 상기 SIM 제어부를 운영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DMB 수신기에 내장되고, 접촉식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SIM 제어부와 상기 접촉식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내장된 메모리에 저장된 식별정보와 충전금액을 상기 SIM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SIM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충전정보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충전금액을 증액 또는 삭감하는 SIM 방식의 콤비형 전자화폐 저장수단;
    각종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장치; 및
    상기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방송수신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결재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DMB 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IM 제어부는,
    상기 전자화폐 저장수단의 충전정보 또는 삭감정보를 암복호화하는 보안모듈;
    상기 전자화폐 저장수단로부터 출력되는 식별정보와 충전금액을 수신하여 출력하고, 상기 전자화폐 저장수단에 상기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한 전자화폐 충전금액의 충전, 삭감명령을 송신하는 데이터 제어모듈; 및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서비스 요청을 상기 방송국 과금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방송국 과금서버로부터 유료 방송서비스 이용권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유료 방송서비스 이용권한 정보를 상기 방송수신부로 출력하는 CAS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결재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DMB 수신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화폐 저장수단은,
    상기 SIM 제어부와의 접속을 위한 접촉식 인터페이스부;
    충전금액 및 전자화폐 저장수단 식별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상기 접촉식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연결된 상기 SIM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출력하거나,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충전금액을 증액 또는 삭감하는 IC; 및
    비접촉식 전자화폐 저장수단 단말기와 접속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충전금액을 삭감하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결재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DMB 수신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전자화폐 유료방송 서비스 요청을 위한 전용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결재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DMB 수신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화폐 저장수단은 SIM 형식의 교통카드이며, 상기 교통카드에 저장되는 전자화폐는 T 머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결재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DMB 수신기.
  6. 삭제
  7. DMB 결재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DMB 수신기와 방송국 과금서버 및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DMB 과금시스템을 이용한 DMB 과금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DMB 수신기가 상기 방송국 과금서버로 방송서비스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a);
    상기 방송국 과금서버가 방송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휴대용 DMB 수신장치로 결재정보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b);
    상기 방송국 과금서버로부터 송신되는 결재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c);
    상기 방송국 과금서버로 내장된 전자화폐 저장수단에 저장된 전자화폐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단계(d);
    상기 방송국 과금서버가 상기 전자화폐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로 상기 전자화폐 식별정보 및 방송서비스 이용요금이 포함된 전자결재요청를 송신하는 단계(e);
    상기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전자결재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휴대용 DMB 수신기로 전자화폐 삭감명령을 송신하는 단계(f);
    상기 휴대용 DMB 수신기가 상기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화폐 삭감명령을 수신하고, 전자화폐를 삭감하는 단계(g);
    상기 휴대용 DMB 수신기가 상기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로 전자화폐 삭감정보를 송신하는 단계(h);
    상기 교통카드 서비스 서버가 전자화폐 삭감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방송국 과금서버로 전자결재 승인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i);
    상기 방송국 과금서버가 전자결재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단계(b)에서 수신한 상기 방송서비스 요청에 해당되는 이용권한 정보를 상기 휴대용 DMB 수신기로 송신하는 단계(j); 및
    상기 휴대용 DMB 수신기가 상기 이용권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이용권한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k)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결재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DMB 수신기를 이용한 DMB 과금방법.
KR1020050034677A 2005-04-26 2005-04-26 디엠비 결재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디엠비 수신기 및 이를이용한 디엠비 과금 시스템 KR100724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677A KR100724679B1 (ko) 2005-04-26 2005-04-26 디엠비 결재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디엠비 수신기 및 이를이용한 디엠비 과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677A KR100724679B1 (ko) 2005-04-26 2005-04-26 디엠비 결재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디엠비 수신기 및 이를이용한 디엠비 과금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364A KR20060112364A (ko) 2006-11-01
KR100724679B1 true KR100724679B1 (ko) 2007-06-04

Family

ID=37620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677A KR100724679B1 (ko) 2005-04-26 2005-04-26 디엠비 결재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디엠비 수신기 및 이를이용한 디엠비 과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46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214B1 (ko) * 2006-12-20 2008-06-09 남종철 양방향 dmb환경에서 전용epg를 이용하여 특정 사업자고객 대상에게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과금정산시스템 및 방법
KR100924759B1 (ko) * 2008-02-26 2009-11-05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브이오아이피를 통한 결제수단 금액 충전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9213A (ko) * 1999-08-25 2001-03-15 구자홍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유료방송 시청 요금정산 시스템 및 방법과 프로그램 등급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9213A (ko) * 1999-08-25 2001-03-15 구자홍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유료방송 시청 요금정산 시스템 및 방법과 프로그램 등급 관리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100192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364A (ko) 2006-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9144B2 (en) Communications devices comprising NFC communicators
US20090312011A1 (en) Communications devices comprising near field rf communicators
CN1908993B (zh) 价值信息转移系统和价值信息转移方法
JP3369140B2 (ja) 移動通信体、端末機及び基地局
KR100724679B1 (ko) 디엠비 결재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디엠비 수신기 및 이를이용한 디엠비 과금 시스템
KR20080008611A (ko) 전자 카드를 갖춘 이동 단말기에서의 무선 공인 인증서발급 및 관리 장치와 그 방법
EP161024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KR20030012149A (ko)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전자요금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JP5575493B2 (ja) 決済システム
KR100900992B1 (ko) 휴대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가치지불부 충전시스템 및 충전방법
KR100981068B1 (ko) 통신매체 선택에 따른 지불결제 기능을 구비한 셋탑박스와 티커머스 방법
JP2004072423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センターサーバ,利用者端末装置,モバイル認証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記憶媒体,およびセンターサーバのコンテンツ配信方法
JP2006054570A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交換システム
KR101064718B1 (ko) 디지털 방송환경에서 ic 카드 및 셋탑박스와 연계하여 금융 거래를 수행하는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 그리고, 금융거래 방법
KR101777745B1 (ko) 무선단말을 이용한 거래 요청 방법
KR20060112363A (ko) 전자화폐 이체기능을 가진 엠피쓰리 플레이어 및 이를이용한 전자화폐 이체방법
KR100819529B1 (ko) 방송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094473A (ja) 番組購入用端末及び復号鍵格納装置並びに番組購入システム
KR20040107819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방법
KR20090107275A (ko) Ic카드를 이용한 결제 방법, 이를 이용한 데이터 방송수신 장치 및 결제 시스템
KR20090051288A (ko) 브이오아이피 단말을 통한 티커머스 결제 방법 및 시스템과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060112362A (ko) 교통카드 내장형 엠피쓰리 플레이어 및 이를 이용한교통카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060112367A (ko) 엠피쓰리플레이어를 이용한 전자지불수단 전환시스템 및 그방법
KR20130101748A (ko) 시점 기반 프로모션 제공 방법
KR20150128638A (ko) 무선단말 간 금전거래의 전자문서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