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4677B1 - 유비쿼터스 음악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비쿼터스 음악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4677B1
KR100724677B1 KR1020060045601A KR20060045601A KR100724677B1 KR 100724677 B1 KR100724677 B1 KR 100724677B1 KR 1020060045601 A KR1020060045601 A KR 1020060045601A KR 20060045601 A KR20060045601 A KR 20060045601A KR 100724677 B1 KR100724677 B1 KR 100724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tomer
music
service
multimedia
merch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5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욱
Original Assignee
모두스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두스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모두스타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6Payments settled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위치기반서비스(LBS)를 이용하여 고객의 단말기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음악 및 멀티미디어 서버에 접속 할 수 있고, 고객이 예약 및 신청 선택한 음악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고객 주변의 출력기기를 통하여 자동적으로 재생함으로써, 고객 참여형의 유비쿼터스 음악 및 멀티미디어 감상이 가능해지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비쿼터스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고객이 스스로 본인의 위치와 시간에 맞추어, 음악이나 멀티미디어 자료를 본인이 원하는 장소에서 재생시킴으로써, 본인의 자유와 취향에 따라 감상이나 음악선물 및 이벤트로 응용할 수 있게 된다. 이를 구현하는 데 있어서는, 고객이 단말기를 통하여 유무선 인터넷망이나 이동통신망 또는 디지털방송망에 연결된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고객이 검색을 통하여 음악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와; 고객이 선택한 음악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할 기기를 지정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 기기를 통해 음악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단계와; 고객과 관련 사업자간의 과금 정산이 이루어지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비쿼터스, LBS, 음악, 멀티미디어, 단말기, 휴대폰, 가맹점, 이벤트, 고객, 선물

Description

유비쿼터스 음악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Ubiquitous Music and Multimedia Service System and Method}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2 는 도 1 의 일실시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고객 단말기
200A, 200B, 200C. 가맹점(A~C)
300A, 300B, 300C. 출력 기기(A~C)
400. 서버
500A. 음악/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DB)
500B. 회원/가맹점/위치/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
500C. 광고/홍보/고객분석/과금 결제 데이터베이스
600. 출력 기기 구동을 위한 신호 변환용 컨버터
본 고안은 유비쿼터스 시대에 대비하여 안출된 새로운 개념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으로서, 고객이 보유한 개인 단말기를 통하여 즉석에서 음악이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고객 주변의 기기나 고객이 지정한 출력기기로 재생이 됨으로써, 감상이나 이벤트가 고객 주도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그 특징이다. 또한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고객의 위치가 자동적으로 인식되어 유무선 인터넷에 연결된 서버에서 고객의 위치에 설치된 스피커로 고객이 선택한 음악이 흘러나오는 것이 가능하며, 예약 서비스도 가능하여 언제 어디서든지 원하는 음악을 신청 감상할 수 있는 매우 편리한 서비스 방법이다.
이러한 분야의 종래 기술의 일례를 들면, 고객이 커피숍에서 대화를 하는 도중에 특정한 음악을 감상하고자 하면, 고객이 쪽지에 감상을 희망하는 노래를 적어서 커피숍 음악담당 데스크에 제출하게 되면, 담당자가 다수의 고객으로부터 전달된 이러한 쪽지들을 취합하여 담당자가 소장하고 있는 음악 CD 중에서 고객이 신청한 곡을 찾아서 이를 오디오 기기를 통해 재생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은 음악 담당자에게 직접 신청하여야 하고, 음악 담당자가 곡을 검색한 후, 음악 담당자가 이를 재생하여야 하는 방식이므로, 음악 담당자를 반드시 필요로 하며, 희망 대기자가 몇 명이며 언제 본인의 곡이 스피커를 통해 나오게 될지 예측할 수 없으며, 때로는 음악 담당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하여 재생 순서가 바뀌거나 희망한 곡이 제외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또한, 커피숍이라는 제한적인 공간내에서만 이루어지는 한계가 있어서, 야외나 놀이시설, 쇼핑센타 등에서는 이러한 음악 감상이라는 개념 자체가 존재할 수 없는 실정에 있다. 고객은 본인 스스로의 주도적이며 참여적인 방식을 선호하며, 필요할 때에 이벤트 성격의 음악 서비스를 함으로써, 특정한 곡을 이웃한 동행자에게 선물로 증정할 수도 있는 서비스 방식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본 고안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한다. 먼저 고객은 본인의 유선 또는 무선 단말기(휴대폰, PDA, 노트북 등)를 통해 본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인 서버(400)에 접속하게 된다. 서버에는 다수의 음악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소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서버(500)가 연결되어 있어서, 고객은 원하는 음악이나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고, 이 데이터는 고객이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공간에서, 원하는 기기로 재생 또는 출력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고객은 위치기반서비스(LBS)에 의하여 고객의 위치정보가 서버에서 자동 인식되고, 따라서 고객이 본 고안에 따른 서비스의 해당 가맹점 중에서 어느 가맹점인지를 자동 판별하여 고객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오디오 기기나 또는 고객이 원하는 기기 등으로 출력이 가능하다.
상기한 발명은 고객이 단말기를 통하여 신청한 음악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고객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고객 개인뿐 아니라 다수의 사람들과 함께 감상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은 예시를 위하여 사용될 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도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의 블록 구성도이다. 고객은 항시 개인의 단말기(100)을 사용하여 언제 어디서든지 무선인터넷망, 이동통신망 또는 디지털방송망 등을 통하여 본 고안에 따른 서버(400)에 접속 가능하다. 여기서의 단말기(100)는 유선단말기도 포함하므로, 유선인터넷을 통해 서버에 접속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앞으로는 주로 휴대폰 등의 무선단말기를 통한 무선인터넷이나 이동통신망 환경을 중심으로 설명을 하고자 한다. 도 1 에서 고객은 이동 중에 특정 가맹점(200A)에 도달하여 예를 들어, 휴식을 취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서비스 운영회사의 메인 서버(400)에 접속하면, 서버는 고객의 단말기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으며 고객이 위치한 가맹점의 위치도 인지할 수 있다. 위치를 인식하는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 있을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위치기반서비스(LBS)나 GPS를 이용한 방법, 또는 가맹점에 할당된 고유 주소(IP)나 가맹점 내에 설치된 출력 기기(300A)의 주소를 입력하거나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 수단이나 비접촉 스캐닝 수단 등의 기술을 통해서 얼마든지 위치정보를 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
단말기(100)와 가맹점(200A) 또는 단말기(100)와 출력기기(300A)간의 근거리 무선통신 수단으로는 UWB, Bluetooth(블루투스), IrDA(적외선 데이터 통신), ZigBee, NFC, WIFI 등이 있다.
여기서, UWB(Ultra wideband)는 단거리 구간에서 낮은 전력으로 넓은 스펙트럼 주파수를 통해 많은 양의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기술로서 울트라와이드밴드 또는 무선디지털펄스라고도 한다. GHz대의 주파수를 사용하면서도 초당 수천∼수백만 회의 저출력 펄스로 이루어진 것이 큰 특색이다. 대용량의 데이터를 0.5m/W 정도의 저전력으로 70m의 거리까지 전송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땅 속이나 벽면 뒤로도 전송할 수 있다.
ZigBee(지그비)는 저속 전송 속도를 갖는 홈 오토메이션 및 데이터 네트워크를 위한 표준 기술로서, 버튼 하나로 하나의 동작을 잡아 집안 어느 곳에서나 전등 제어 및 홈보안 시스템 VCR on/off 등을 할 수 있고, 인터넷을 통한 전화 접속으로 홈 오토메이션을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려는 것에서부터 출발한 기술이다. IEEE 802.15.4에서 표준화가 진행되며, 듀얼 PHY 형태로 주파수 대역은 2.4GHz, 868/915MHz를 사용하고, 모뎀 방식은 직접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DS-SS)이며, 데이터 전송 속도는 20~250kbps이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모바일 장비나 PC의 단거리 무선통신을 말한다. NFC는 13.56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 10cm 이내의 거리에서 낮은 전력으로 데이터를 전송(424kbps급)할 수 있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의 일종으로 사용자의 인위적인 조작 없이도 두 개 이상의 단말기를 근접시키면 전화번호는 물론 전자상거래 등에 필요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WIFI란 전파나 적외선 전송방식을 이용하는 근거리통신망으로서, 무선접속장치(AP)가 설치된 곳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서 PDA나 노트북 컴퓨터를 통해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무선주파수를 이용하므로 전화선이나 전용선이 필요없으나 PDA나 노트북 컴퓨터에는 무선랜카드가 장착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UWB, Bluetooth(블루투스), IrDA(적외선 데이터 통신), ZigBee, NFC, WIFI 를 구체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비접촉 스캐닝 수단으로는 만일, 단말기가 리더가 장착된 경우라면, RF태그, 바코드, 그래픽코드 등을 읽는 방법이 있다.
결론적으로 자동적으로든 수동적으로든 특정 기술을 사용하면 항상 단말기가 있는 위치, 가맹점의 위치 그리고 출력기기의 위치는 서버(400)에서 선택적으로 파악할 수 있음이 전제되어야 한다. 더 편리한 방법으로는, 고객이 가맹점에 방문시 자동적으로 메인 서버로 연결될 수 있는 접속 방법이 고객의 단말기상에 단문 또는 장문 메시지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게 되면, 고객이 단순히 버튼 하나만 눌러도 상기 메인 서버로 쉽게 초기 접속이 이루어 지는 수단이 있을 수 있다. 가맹점의 위치와 고객의 위치가 일치하는 지 고객에게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면, 고객은 단말기상에서 곡을 검색한 후 선택하게 된다.
고객은 단말기 화면을 통해 서버에서 제공되는 음악/멀티미디어 데이터 자료 리스트 중에서 검색하거나 원하는 데이터를 직접 입력하여 고객이 감상하고자 하는 리스트를 결정하게 된다. 이 때, 고객이 음악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선택할 때, 현재 고객이 이용중인 가맹점에서 고객이 선택할 수 있는 음악 장르를 고객에게 제시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는데, 이는 가맹점 입장에서 고객의 선택 곡이 가맹점이 추구하는 음악 장르와 전혀 맞지 않을 경우 이를 배제하거나 통제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가맹점에서 추구하는 음악 장르와 관련하여, 고객이 신청 곡을 선택할 때, 상기 가맹점에서 이용이 가능한 음악 장르를 제시하여 고객이 선택할 수 있도 록 하는 포지티브(positive) 시스템과 상기 가맹점에서 이용이 금지된 음악 장르를 제시하고 그 외에는 고객이 모두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네거티브(negative) 시스템을 모두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결정은 고객이 현장에서 즉시 가능할 수 있고, 또는 미리 예약도 가능하다. 이 때의 예약은 해당 가맹점이나 출력기기뿐 아니라, 출력되는 시간을 특별한 이벤트로서 예약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출력시간을 예약하지 않는 경우에는 예약 순서대로 출력되나, 특별히 시간을 지정하여 예약하는 경우에는 그 시간을 지켜서 출력하도록 하는 일실시예가 가능한데, 이러한 예는 이벤트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그 효과가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서비스 이용료도 더 고가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고객이 신청한 음악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시키는 단계에서, 재생의 중간이나 앞 또는 뒤의 부분에 고객 본인의 목소리로 녹음한 음성메시지나 음성메일을 삽입 처리하여 출력시킴으로써, 타인에게 음악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과 관련한 특정한 의미를 추가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면 본 서비스의 효과는 더욱 배가될 수 있다.
도 1 에서 가맹점이라 함은, 동시에 서버에서 다수로 연결 가능하며 그 형태 또한 매우 다양할 수 있는데, 그 형태의 예로는, 다방, 커피전문점, 프랜차이즈점, 이벤트홀, 레스토랑, 공원, 쇼핑센터, 해수욕장, 놀이공원, 야구장, 열차, 항공기 등 사람들이 다수 모이는 곳이나 개인 가정집도 가능하고, 심지어 특정 건물이나 회사와 같이 공공건물도 가능하다. 가맹점(200A~200C)이 갖추어야 할 요건이라면, 출력기기(300A~300C)를 갖추고 있으면 충분하다. 또한, 가맹점은 본 고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언제든지 다양한 수단을 통해 접속할 수 있고 상기 가맹 점에 현재 예약된 음악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리스트를 실시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할 뿐 아니라, 상기 가맹점 특색의 고유한 음악 장르를 설정하거나, 변경, 삭제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되어 있어야 하고, 다수의 고객이 예약한 리스트와 상기 가맹점 고유 음악 장르를 비교하여 예약 리스트 상의 데이터를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있는 권한도 부여되어 있다. 다만 가맹점 방문고객은 현재 예약 및 대기중인 음악을 확인할 수 있고 본인이 예약 또는 신청한 곡만 삭제 또는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출력기기라 함은 음악이나 멀티미디어를 출력시켜 다수의 사람이 감상할 정도의 용량이 되는 오디오 또는/그리고 비디오 기기를 말한다. 그 예로는 가정이나 공공 장소의 일반 스피커, TV, 자동차앰프, 건물내의 스피커, 거리나 놀이공원 등 옥외의 전광판, 지하철이나 공공시설의 안내용 모니터나 광고용 모니터 등이 있고, 개인이 소유한 단말기 즉, 휴대폰, PDA, PMP, PMC, PSP, MP3P, 노트북 등 매우 다양하여 그 종류를 일일이 다 열거하기 어려울 정도이다. 또한, 방송사(broadcasting center)의 방송용으로 사용되는 모니터 기기도 포함 가능하다. 그림에서 출력기기가 아날로그 신호용인 경우에는 음악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시키기 위해서는 필요할 경우 신호를 변환하기 위한 컨버터(600) 장치가 추가될 수 있다. 여기서, 컨버터(600)장치는 PC 형태인 경우도 물론 가능하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의 개념을 흐름도로 알기 쉽게 그린 것이다.
도 3 은 가맹점의 가입 또는 해지와 관련한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서비스에 있어서, 초기에는 가맹점 계약을 수기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라 볼 수 있으나, 서비스가 활성화된 이후에는, 가맹점 가입 및 해지 절차가 서버 접속을 통하여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가맹점이 편리하게 서비스 가맹점으로 가입하거나 또는 해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추구한다. 그 순서로는, 처음에 서버에 초기 접속하면, 가맹점 메뉴 중에서 가입 또는 해지 메뉴를 선택하고 가입 또는 해지를 선택한다. 가맹점 가입을 할 경우에는 가입과 관련된 정보를 일정한 형식에 준하여 서버로 송부하고 서버에서 이에 대한 확인 절차를 거쳐 가입을 승인, 완료함과 동시에 이에 대한 통지를 가맹점에 함으로써 가입절차가 완료된다. 가맹점 해지에 대한 절차도 이와 유사하여, 해지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가맹 해지와 관련한 정보를 일정한 형식에 준하여 서버에 송부하고, 서버에서 최종 결제 관련한 정산 과정을 거친 후에 가맹 해지를 승인, 완료함과 동시에 이에 대한 통지를 가맹점에 함으로써 해지 절차를 종료하게 된다.
도 4 는 가맹점 또는 광고주가 직접 광고 관련 디지털 파일을 등록하거나 또는 수정할 수 있고, 또는 삭제할 수 있는 절차를 보여준다. 가맹점 또는 광고주는 자신의 광고를 직접 관리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서버에 초기 접속한 후, 자신의 홈페이지 예를 들면, “My Menu” 형태의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광고물을 신규 또는 수정하여 등록하고자 할 경우에는 광고 등록을 선택한 후, 광고 등록과 관련한 정보, 예를 들면 단말기에 저장된 광고 데이터의 이름 등을 입력하면 이 정 보가 서버에 전송되고, 관련 디지털 파일도 업로드(upload)되고, 이에 대한 서버에서의 처리과정을 거쳐 최종 결과를 가맹점 또는 광고주에게 통지한 후 등록과정을 종료하게 된다. 유사하게 광고 데이터를 삭제하고자 할 경우에도 삭제 메뉴를 선택한 후, 삭제와 관련한 정보를 입력하면 이 정보가 서버에 전송된 후, 서버에서는 결제 관련한 정산 처리를 거쳐 최종 삭제가 완료됨을 통지함으로써 삭제 절차가 종료된다.
도 5 는 광고나 고객에 대한 분석 피드백을 위한 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광고주 또는 가맹점이 자신의 광고에 대한 효과나 고객에 대한 실시간 분석을 통한 피드백 결과를 원할 경우, 서버에 초기 접속하여 자신의 메뉴에 들어가서 분석 피드백을 선택하면 된다. 광고 분석이나 고객 분석이나 동일하게 관련 분석 정보를 입력하여 서버에 전송하면 서버는 이에 대한 처리를 통하여, 최종 피드백의 결과가 광고주 또는 가맹점 단말기에 통지됨으로써 절차가 종료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상기 유비쿼터스 음악 및 멀티미디어 감상 서비스 시스템은 기술적으로 응용 가능한 훨씬 방대한 범위까지 그 권리가 인정됨을 유추할 수 있는 바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환경 내에서 고객이 소유 한 개인 단말기를 통하여, 고객이 원하는 시간이나 장소에서 음악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개인적으로 또는 다같이 감상할 수 있는 서비스 또는 시공간을 초월하여 동영상메세지를 포함하는 음악선물 등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편리하고 간단하면서도 고객 주도적 또는 고객 참여적인 감상이 이루어지는 데 그 효과가 있다.
이러한 개념을 확대하면, 생일이나 특별한 이벤트가 필요로 하는 경우 분위기 있는 음악 선물을 원하는 시간이나 공간 또는 장소에서 증정하거나 깜짝 행사를 개최함으로써 사회 문화적으로 그 파급효과는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은 본인 스스로 감상, 선물 및 이벤트 목적을 주도적으로 달성할 수 있어서 만족도가 크고, 가맹점은 더욱 많은 고객이 가맹점을 방문하여 이용함으로써 매출이 극대화되고, 광고주는 서비스 중간에 광고를 노출시킴으로써 단말기를 보유한 모든 고객에게 홍보효과를 거둘 수 있고, 통신사나 방송사는 기존 망이나 채널을 활용함으로써 부가의 수익을 거둘 수 있는 일석사조 이상의 효과가 있으므로, 전후방 연관산업 발전이나 경제적 효과도 막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유비쿼터스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모든 사물에 개별 주소가 부여되는 기술이 가능하여, 본 발명은 고객 누구나(anyone) 언제(anytime) 어디서나(anywhere) 어느 단말기를 통하여서도(any device) 항상 즐겁게(any fun) 타인과 더불어 참여 주도적으로 음악이나 멀티미디어 감상을 가능하게 하는 진정한 유비쿼터스 기술이라 할 수 있겠다.

Claims (15)

  1. (a)고객의 단말기를 통하여 유무선 인터넷망, 이동통신망 또는 디지털 방송망을 통해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b)고객 관련 위치정보나 가맹점 관련 위치정보가 서버에 제공되는 단계와;
    (c)음악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고객이나 가맹점주에 의해서 선택되는 단계와;
    (d)사전 제작 또는 고객이나 개인이 제작한 육성, 문자메일, 그림, 아바타, 동영상을 서버에 올리거나, 상기 육성, 문자메일, 그림, 아바타, 동영상을 고객, 개인 또는 가맹점주에게 직접 송부하는 단계와;
    (e)가맹점에 설치되어 상기 선택된 음악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재생되거나 재생될 출력 기기를 결정하는 단계와;
    (f)고객, 개인 또는 가맹점주가 이용할 서비스에 대해 과금 및 결제하는 단계와;
    (g)음악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받아서 상기 선택된 출력 기기를 통해 재생시키는 단계와;
    (h)고객이나 개인 또는 가맹점주가 이용한 서비스에 대하여 과금한 결제부분을 정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결제 또는 정산 단계에서는 고객이 상기 서비스의 이용료를 전액 부담하거나 수익 사업 모델 방식을 이용하여 제 3자가 고객을 대신하여 상기 서비스의 이용료 전부 또는 일부를 부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3 자라 함은,
    최초에 단말기를 통해 서비스를 이용 신청한 고객을 제외한 경우로서,
    단독으로서의 가맹점;
    또는 체인형태의 가맹점인 경우 그 본사나 지사;
    또는 통신이나 방송 서비스 업체;
    또는 광고 또는 홍보 또는 판촉 업체;
    또는 개인으로서의 가입자;
    또는 서비스 운영자와 서비스 목적상 필요에 의하여 별도 계약한 사업자나 운영 대행자;
    중에서 일개나 다수로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음악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단말기라 함은,
    휴대폰, PDA폰, 스마트폰, 노트북, PC, DTV, IP-TV, Digital Cable-TV, 인터넷전화기, PMP, PSP, MP3P 등과 같이 유선인터넷 이나 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기기, 또는
    이동통신망 접속용 기기 또는 디지털 방송망 접속용 기기, 또는
    위치기반서비스(LBS)를 제공받을 수 있는 기기, 또는
    자이로스코프나 고도계 등의 각종 센서가 내설되거나 부착되어 있어서 동일 건물에서도 층 구분이 가능한 기기가 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음악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출력 기기라 함은,
    스피커, TV, 오디오, PC, DTV, IP-TV, Digital Cable-TV 등 가정이나 회사, 건물, 상가 내의 오디오/비디오 기기이거나;
    수영장, 대합실 등 대중이용 시설에 설치된 오디오/비디오 기기이거나;
    거리나 놀이공원, 대합실 등 옥외나 야외에 설치된 대형스피커 또는 오디오/비디오 기기이거나;
    지하철, 열차, 항공기, 선박, 자동차 등의 교통수단에 설치된 오디오/비디오 기기이거나;
    휴대폰, PDA, PMP, PMC, PSP, MP3P, 노트북 등 개인 휴대형 단말기이거나;
    고객 자신의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음악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가맹점이라 함은,
    일반 가정, 자동차, 점포(Shop/Store), 건물, 공원, 도시(City), 유락시설, 테마파크 또는 단일 실내 및 옥외광고시설 등 유무선 환경에서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주소(IP)로 음성데이터를 전송 받을 수 있는 경우, 즉 VoIP 서비스 또는 이동통신 또는 디지털방송수신이 가능한 오디오 또는 멀티미디어 기기나 단말기를 보유 또는 설치 가능한 경우,
    개인자격으로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음악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음악이나 멀티미디어 데이터 및 서비스 가맹점의 위치 정보가 입력된 지리정보시스템(GIS)이나 전자지도(Electronic Map)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음악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서비스의 이용료는,
    음악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받기 위하여 지불되는 수수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음악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수익 사업 모델은,
    고객이 신청한 음악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기기에 재생하기 위하여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 받는 과정이나 그 전후 시간에, 고객의 단말기상이나 유비쿼터스 음악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의거한 다수 또는 일개의 출력기기상에 해당지역광고, 소정의 정지영상광고, 문자광고 또는 동영상광고를 출력시키는 방법을 통해서 서비스의 이용료의 일부 또는 전부를 충당하는 유비쿼터스 음악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광고는,
    개인, 가맹점주 또는 고객을 포함하는 광고주가 광고물을 디지털카메라폰 또는 캠코더폰을 이용하여 디지털 파일의 형태로 제작하여 배경화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서버에 등록하고, 등록한 광고 데이터의 파일크기, 다운로드나 스트리밍 시의 패킷크기에 따라 과금하거나 정액제로 과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음악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고객 및 가맹점주는 상기 가맹점에 현재 예약된 음악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리스트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고, 상기 가맹점 특색의 고유한 음악 장르를 설정, 변경, 삭제할 수 있고, 예약 리스트 상의 데이터와 상기 가맹점 고유 음악 장르를 비교하여 예약 리스트 상의 데이터를 수정 및 삭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음악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b)단계는,
    고객 단말기 번호나 IP주소의 고유식별번호, 가맹점의 유선 및 무선 전화번호, 가맹점에 할당된 인터넷주소(IP 또는 WINC) 또는 방송채널, 가맹점에 소속된 출력기기의 인터넷주소(IP 또는 WINC) 또는 방송채널을 고객 단말기에 고객이 입력함으로써 위치기반서비스에 의하여 고객 및 가맹점의 위치가 파악되어 제공되고, 위치기반서비스(LBS)에 의하여 파악된 고객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자동으로 서버에 송부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음악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고객 관련 위치정보나 가맹점 관련 위치정보가 서버에 제공되기 위하여,
    고객이나 가맹점에 의해 별도의 암호가 입력되는 단계가 더 추가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음악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g)단계는,
    가맹점 내의 출력기기와 고객 단말기가 서로 연동되는데, UWB, Bluetooth, IrDA, ZigBee, NFC, WIFI, RF태그로 사용되는 근거리 무선통신의 수단으로 서로 연동하여 재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음악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15. 삭제
KR1020060045601A 2005-07-25 2006-05-22 유비쿼터스 음악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7246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67509 2005-07-25
KR1020050067509 2005-07-25
KR1020050080467 2005-08-31
KR20050080467 2005-08-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4677B1 true KR100724677B1 (ko) 2007-06-07

Family

ID=38358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5601A KR100724677B1 (ko) 2005-07-25 2006-05-22 유비쿼터스 음악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467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7526A (ko) * 2001-12-11 2003-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기기들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블루투스시스템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7526A (ko) * 2001-12-11 2003-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기기들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블루투스시스템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49874A1 (en) Ubiquitous Music and Multimedia Service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CN101690273B (zh) 为个人网络中的移动装置提供服务
CN206226634U (zh) 无线实时投屏系统
US9560478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US20100222100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obile devices
US20050014463A1 (en) Internet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for personal telecommunication terminal
CN101399682A (zh) 广告发布设备中与用户互动地发布广告信息的方法及设备
JP2007537496A (ja) コンテンツ作成、配信、対話、及び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US20030076963A1 (en) System integration for live-venue downloadable music
CN104322030A (zh) 经由手持装置安排媒体记录
CN103188603A (zh) 即时消息交流方法及系统
US20160100224A1 (en) Client Driven Video Presentation for Public Venues
CN102158749B (zh) 一种管理广告播放的方法和用户设备
JP6037949B2 (ja) コンテンツ公開システム、ユーザ端末、サーバ装置、コンテンツ公開方法、コンテンツ公開プログラム
US20140052535A1 (en) Wired/wireless internet ip sharing device for controlling network access and method of providing advertisement using the same
KR20170028655A (ko)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노래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100724677B1 (ko) 유비쿼터스 음악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WO2009127928A2 (en) Multimedia, multichannel, universally accessible, location-aware electronic informational system
CN107318034B (zh) 互动视频展示方法和装置
CN103685199A (zh) 个性化媒体实现方法及系统
WO2009088736A1 (en) Integrated content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media player
KR101630535B1 (ko) Lp 음반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 음원제공 미디어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N106097935A (zh) 一种墙体广告传播方法及装置
KR101098271B1 (ko) 위치 기반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US20130030911A1 (en) Public interactive personalized radio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