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3271B1 - 테잎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테잎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3271B1
KR100723271B1 KR1020070014958A KR20070014958A KR100723271B1 KR 100723271 B1 KR100723271 B1 KR 100723271B1 KR 1020070014958 A KR1020070014958 A KR 1020070014958A KR 20070014958 A KR20070014958 A KR 20070014958A KR 100723271 B1 KR100723271 B1 KR 100723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tape
magnetic force
unit
gu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4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70014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32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3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3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15Orientation; Alignment; Position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6Splicing
    • B65H2301/4606Preparing leading edge for splicing
    • B65H2301/4607Preparing leading edge for splicing by adhesive t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잎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테잎 가공부를 구비하는 본체; 와인딩된 테잎을 상기 테잎 가공부에 공급하거나 상기 테잎 가공부로부터 테잎을 회수하여 와인딩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테잎이 와인딩되는 릴 바디와 상기 릴 바디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테잎의 양측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릴 가이드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릴 유닛; 및 상기 본체와 상기 릴 유닛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릴 가이드들이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릴 가이드들 중 하나를 상기 본체 측으로 자력에 의해 유인하는 자력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테잎의 와인딩/언와인딩 시 테잎에 직접적인 손상이 가해지거나 미세 가루 등이 테잎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테잎 가공 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TAPE}
도 1은 종래의 릴 유닛의 일 작동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의 측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릴 유닛의 다른 작동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잎 가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릴 조립체들 중 로딩부 측 릴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제2 자력부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릴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자력 유닛의 작동에 대한 제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자력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6의 릴 유닛 측에서 본 케이스에 대한 개념적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테잎 가공 장치 200,200': 릴 조립체
230: 릴 유닛 250,250': 자력 유닛
260: 측정 유닛 270: 컨트롤러
본 발명은 테잎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테잎 가공부에 공급될 테잎 및/또는 테잎 가공 유닛을 거친 테잎이 와인딩되는 릴 조립체를 구비한 테잎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잎 가공 장치는 테잎을 일정한 형태로 가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테잎에 구동칩과 같은 칩을 본딩하기 위한 본딩 장치나 테잎에 수지를 도포하기 위한 몰딩 장치 등이 있다. 이들 장치들에서 상기 본딩 및 몰딩과 같은 가공 전/후에 테잎은 릴 조립체로부터 언와인딩(unwinding) 되거나 릴 조립체에 와인딩(winding) 된다.
도 1은 종래의 릴 유닛(30)의 일 작동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의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체(10)에는 모터(20)와 연결된 모터축(2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된다. 모터축(21)에 결합 되는 지지판(23)에 대하여서는 가압판(25)이 스프링(27)을 개재하여 탄성적으로 가압될 수 있게 결합 된다. 릴 유닛(30)은 가압판(25)에 대하여 가압되도록 홀더(29)에 의해 회전축(21)에 결합 된다.
상기 릴 유닛(30)은 테잎이 감기는 릴 바디(31)와, 릴 바디(31)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릴 바디(31)에 대한 테잎의 와인딩/언와인딩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릴 가 이드들(33)을 포함한다. 한 쌍의 릴 가이드들(33)을 지지하기 위하여, 그들의 외측에는 역시 한 쌍의 릴 커버들(40)이 배치된다.
그러나, 상기 릴 커버들(40)이 자중에 의해 그 외주 측 부분들이 서로에게 가까워지도록 변형되면, 상기 릴 커버들(40) 사이의 간격이 설정된 간격과 달리 변동되게 한다. 그 결과로, 상기 릴 커버들(40) 사이로 진행하는 테잎이 상기 릴 커버들(40)에 의해 간섭을 받아 손상(변형)되는 등의 문제가 생긴다.
도 2는 종래의 릴 유닛(60)의 다른 작동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의 정면도이다. 본 도면에서는 앞선 형태와 달리 별도의 릴 커버들(33, 도 1 참조)은 설치되지 않으나, 본체(5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릴 유닛(60)의 릴 가이드들(63)에 그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 가이드(70)가 연동 된다.
상기 간격 가이드(70)는 본체(50)에 결합된 지지축(71)과, 상기 지지축(7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73)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73)에는 릴 가이드들(63)이 삽입될 수 있는 그루브들(75)이 형성된다. 상기 그루브들(75)에 의해 상기 릴 가이드들(63)이 가이드 됨에 따라, 상기 릴 가이드들(63)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앞서와 같은 테잎 손상은 우려는 제거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간격 가이드(70)가 릴 가이드들(63)과 접촉하여 마모됨에 따라 간격 가이드(70)의 롤러(73)나 릴 가이드들(63)에서 미세 가루와 같은 이물질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이물질은 테잎을 오염시켜 또 다른 테잎의 불량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테잎의 가공 전·후에 테잎의 와인딩/언와인딩 시 테잎에 직접적인 손상이 가해지거나 이물질에 의해 테잎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테잎 가공 장치는 테잎 가공부를 구비하는 본체; 와인딩된 테잎을 상기 테잎 가공부에 공급하거나 상기 테잎 가공부로부터 테잎을 회수하여 와인딩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테잎이 와인딩되는 릴 바디와 상기 릴 바디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테잎의 양측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릴 가이드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릴 유닛; 및 상기 본체와 상기 릴 유닛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릴 가이드들이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릴 가이드들 중 하나를 상기 본체 측으로 자력에 의해 유인하는 자력 유닛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잎 가공 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잎 가공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테잎 가공 장치(100)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테잎(T)에 칩을 본딩하기 위한 테잎 가공부와, 상기 테잎 가공부에 테잎(T)을 공급하거나 그로부터 회수하기 위한 릴 조립체들(200)을 포함하는 테잎 본딩 장치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테잎 본딩 장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테잎(T)을 와인딩하기 위한 릴 조립체를 갖춘 테잎 가공 장치라면, 다 른 장치, 예를 들어 테잎 몰딩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테잎 몰딩 장치는 상기 칩이 본딩된 테잎(T)을 수지로 도포하기 위한 장치로서, 본 출원인이 2006년 6월 30일에 출원한 특허출원 2006-0061651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출원은 본 명세서에 병합되는 것으로 본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는 로딩부(110)와 언로딩부(120)의 지지 구조물과 베이스 프레임(13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상기 테잎 가공부는 테잎(T)을 이송방향(M)을 따라 이송하는 테잎 피더(140) 및 테잎 가이드(150)와, 칩들이 배열된 웨이퍼(wafer)를 공급하고 그로부터 상기 칩을 전달하는 웨이퍼 공급 유닛(160) 및 칩 전달 유닛(170)과, 상기 칩 전달 유닛(170)에서 전달받은 칩을 흡착하여 상기 테잎(T)에 본딩하기 위한 본딩 헤드(180) 및 본딩 스테이지(190)를 포함한다.
상기 테잎 가공부의 전·후에서 테잎(T)을 공급하거나 그로부터 테잎(T)을 회수하기 위한 릴 조립체들(200)은 로딩부(110)와 언로딩부(120)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릴 조립체들(200)은 상기 테잎 가공부에 의해 가공되기 전 또는 가공된 후의 테잎(T)을 와인딩된 상태로 유지한다.
도 4는 도 3의 릴 조립체들(200) 중 로딩부(110) 측 릴 조립체(200)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의 측면도이다. 본 도면에서 참조번호(111)은 로딩부(110, 도 3)의 케이스를 가르킨다. 상기 케이스(111)는 로딩부(110)의 지지 구조로서, 상기 본체의 일 부분으로 파악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111)에는 모터(210)에 연결된 샤프트(221)가 회전 가능하게 결 합 된다. 샤프트(221)에 결합 되는 지지판(223)에 대하여서는 가압판(225)이 스프링(227)을 개재하여 탄성적으로 가압될 수 있게 결합 된다. 릴 유닛(230)은 가압판(225)에 대하여 가압 되도록 홀더(229)에 의해 샤프트(221)에 결합 된다.
상기 릴 유닛(230)은 테잎(T, 도 3 참조)이 와인딩되는 릴 바디(231)와, 상기 릴 바디(231)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테잎(T)이 상기 릴 바디(231)의 양단부를 벗어나서 감기지 않게 가이드하는 한 쌍의 릴 가이드들(233)을 포함한다. 상기 릴 가이드들(233)의 외측에는 그들을 지지하기 위하여 한 쌍의 릴 커버들(241 및 242)이 각각 릴 가이드들(233)에 결합된 채로 배치된다.
상기 릴 커버들(241 및 242) 중 하나의 릴 커버(241)와 케이스(111)에는 서로 마주하는 자력 유닛(250)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스(111)의 외면에는 제1 자력부(251)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11)와 마주하는 릴 커버(241)의 외면에는 제2 자력부(252)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자력부(252)는 상기 제1 자력부(251)와 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한다.
제1 및 제2 자력부들(251 및 252)은 서로 다른 극이 근접하도록 배치되어 서로에게 인력이 작용하게 하는 영구자석들일 수 있다. 그와 달리, 제1 자력부(251)는 영구자석이고, 제2 자력부(252)는 상기 영구자석에 자기적으로 반응하는 금속부재일 수도 있다.
도 5에서는 제2 자력부(252)가 원형의 금속부재로 형성된 형태가 예시되어 있다. 제2 자력부(252)가 원형으로 형성된다면, 제1 자력부(251) 역시 그에 대응되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자력의 원활한 발생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자력부(252)는 결합 부재(252a)에 의해, 또는 본딩 등에 의해 릴 커버(241)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자력부(252)가 결합 부재(252a)에 의해 릴 커버(24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됨에 따라서는, 하나의 제2 자력부(252)를 릴 커버(241)를 교체한 후에 새로운 릴 커버(241)에 다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테잎(T)이 릴 바디(231)에 와인딩되거나 그로부터 언와인딩되기 위하여 릴 유닛(230)이 회전할 때(회전하지 않는 경우는 물론), 제1 및 제2 자력부들(251 및 252)간의 자기적인 상호 작용(인력)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인력에 의하여, 릴 커버(241)는 케이스(111) 측으로 유인된다.
릴 커버(241)가 케이스(111) 측으로 휘어짐에 따라, 한 쌍의 릴 커버들(241 및 242) 사이의 간격은 일정한 수준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비록 다른 릴 커버(242)는 상기 릴 커버(241) 측을 향하도록 변형된다 하더라도, 상기 릴 커버(241)가 케이스(111) 측으로 상기 변형량 이상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일정 수준의 간격이 확보된다.
이는 릴 커버들(241 및 242)의 자중에 의해 그들 사이의 간격이 테잎(T)의 폭 이하로 좁아지는 일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로, 테잎(T)이 릴 커버들(241 및 242)에 의해 손상되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자력 유닛(250)가 비접촉 방식으로 구성됨에 따라, 릴 커버들(241 및 242)에서 자력 유닛(250)와의 접촉(마찰)에 의한 미세 가루 등이 발생하거나 소음이 발생하는 일이 없게 된다.
이상에서는 제2 자력부(252)가 릴 커버들(241 및 242) 중 하나에 장착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상기 제2 자력부(252)는 릴 유닛(230)의 릴 가이드들(233) 중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결합부재(252a)에 의하여} 또는 고정적으로 장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릴 커버들(241 및 242)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될 수 있다.
그러나, 릴 가이드들(233)은 릴 유닛(230)마다 각각 구비되어야 한다. 이는 제2 자력부(252)가 릴 유닛(230)마다 각각 구비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나아가, 제2 자력부(252)가 릴 가이드들(233) 중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하여도 릴 유닛(230)의 교체시 마다 제2 자력부(252)를 기존의 릴 유닛(230)에서 분리하여 교체된 릴 유닛(230)에 결합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어떤 릴 유닛(230)에 대해서건 반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릴 커버들(241 및 242) 중 하나에 상기 제2 자력부(252)를 장착하여 필요한 제2 자력부(252)의 개수를 최소화하는 것이 경제적 관점 등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릴 조립체(200')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앞선 설명으로 대신한다.
상기 릴 조립체(200')에 있어서, 릴 커버들(241' 및 242')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다. 다시 말해서 하나의 릴 커버(241')의 직경은 다른 하나의 릴 커버(242')의 직경 보다 크다.
직경이 작은 릴 커버(242')의 외측에는 각각 제1 및 제2 거리센서들(261 및 262)이 배치된다. 제1 거리센서(261)는 릴 커버(242')에서 이격된 채로 다른 릴 커 버(241')에 지향되고, 제2 거리센서(262)는 상기 릴 커버(242')에 지향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거리센서들(261 및 262)은 릴 커버들(241' 및 242')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측정 유닛(260)이라 칭해질 수 있다. 또한, 거리센서들(261 및 262)은 예를 들어 갭 센서들(gap sensors)일 수 있다.
릴 커버(241') 및 케이스(111)에는 자력 유닛(250')이 설치된다. 자력 유닛(250')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자력부(251' 및 252') 중 적어도 하나는 전자석으로 구성된다.
도 7은 도 6의 자력 유닛(250')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에서는 자력 유닛(250') 중 제1 자력부(251')만이 전자석인 경우를 가정하고 있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측정 유닛(260)의 제1 및 제2 거리센서들(261 및 262)은 각각 자신들로부터 릴 커버들(241' 및 242')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제1 및 제2 거리센서들(261 및 262)과 릴 커버들(241' 및 242') 사이의 측정된 거리 들을 입력받은 컨트롤러(270)는 상기 거리 들의 차에 의하여 릴 커버들(241' 및 242') 사이의 간격을 산출한다.
컨트롤러(270)는 또한 상기 산출된 간격을 미리 설정된 기준 간격과 비교한다. 상기 비교에 의한 기준 간격과 산출된 간격의 오차의 정도에 근거하여, 컨트롤러(270)는 제1 자력부(251')에 연결된 전선 및 전원공급장치(미도시)에 의해 제1 자력부(251')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한다.
릴 커버들(241' 및 242') 사이의 산출된 간격이 기준 간격보다 좁아진 상태 라면, 컨트롤러(270)는 제1 자력부(251')에 더 큰 전류를 인가한다.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가 커짐에 따라 제1 자력부(251')는 더 큰 자력을 발휘하여 릴 커버(241')을 보다 케이스(111) 측으로 끌어당기게 된다. 결과적으로, 릴 커버들(241' 및 242') 사이의 간격은 보다 넓어져서 상기 좁아진 상태가 바로 잡아 진다.
측정 유닛(260)이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릴 커버들(241' 및 242')까지의 거리 들을 컨트롤러(270)에 입력하기에, 컨트롤러(270)는 상기 입력에 의한 변화된 산출 간격을 다시 기준 간격과 비교하여 릴 커버들(241' 및 24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해 나간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앞선 실시예에서와 같은 이점에 더하여 릴 커버들(241' 및 242') 사이의 간격을 설정된 시간마다 재조정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릴 조립체(200')를 장시간 사용한 후에도 별도의 수동 점검이 필요가 없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자력부(251")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6의 릴 유닛(230) 측에서 본 케이스(111)에 대한 개념적인 정면도이다. 본 도면에 예시된 구성중 도 6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또한, 도 6의 구성들 중 샤프트(221) 및 지지판(223) 등의 구성은 생략하고, 릴 유닛(230)의 릴 바디(231)와 그에 감기거나 풀리는 테잎(T)은 케이스(111)에 투영하여 개념적으로 도시한다. 또한, 도 7에서 제1 자력부(251')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자력부(251"), 다시 말해 복수의 전자석들(251"-1 내지 251"-4)인 것으로 본다.
도 8(및 도 6과 7)을 참조하면, 제1 자력부(251")는 케이스(11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전자석들(251"-1 내지 251"-4)로 구성된다. 복수의 전자석들(251"-1 내지 251"-4) 각각에 그들에 연결된 전선 및 전원공급장치(미도시)에 의해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는 작업 여건에 따라 설정된 컨트롤러(270)에 의해 차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잎(T)이 릴 바디(231)에서 풀리거나{릴 바디(231)에 감기는} 경우에, 컨트롤러(270)는 테잎(T)이 풀리는 각도 범위에 배치되는 전자석(251"-4)에 대한 전류의 세기를 다른 전자석들(251"-1 내지 251"-3)에 대한 전류의 세기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차별적 전류 공급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전자석(251"-4)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릴 커버들(241' 및 242')의 간격은 다른 영역에서도 보다 넓어진다. 이는 릴 바디(231)에서 풀리는 테잎(T)이 릴 커버들(241' 및 242')에 걸려서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를 앞선 실시예들에서 보다 더욱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전자석들(251"-1 내지 251"-3)에 의해 그들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릴 커버들(241' 및 242')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아짐에 따라, 테잎(T)이 릴 바디(231)에 감기는 과정에서 엇갈리게 감기는 경우를 보다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테잎 가공 장치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잎 가공 장치는 자력 유닛을 구비하기에 테잎이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시에 릴 가이드들의 간격이 좁아져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자력 유닛은 비접촉 방식으로 작동하기에 종래의 릴 가이드들과 릴 커버들이 마찰되어 미세 가루가 발생하고 그 미세가루가 테잎을 오염시키는 등의 직접 접촉 방식에 기인한 문제 들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력 유닛을 전자석으로 구성하고 측정 유닛 및 컨트롤러를 구비함에 따라서는, 릴 가이드들 사이의 간격을 측정해서 지속적으로 변화량을 보상해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간격의 유지에 대한 신뢰성이 보장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전자석을 복수로 구성하여 이들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테잎이 풀리거나 감기는 상황에 대응하여 릴 가이드들의 간격을 영역별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게 한다.

Claims (10)

  1. 테잎 가공부를 구비하는 본체;
    와인딩된 테잎을 상기 테잎 가공부에 공급하거나 상기 테잎 가공부로부터 테잎을 회수하여 와인딩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테잎이 와인딩되는 릴 바디와 상기 릴 바디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테잎의 양측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릴 가이드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릴 유닛; 및
    상기 본체와 상기 릴 유닛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릴 가이드들이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릴 가이드들 중 하나를 상기 본체 측으로 자력에 의해 유인하는 자력 유닛을 포함하는 테잎 가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잎 가공부는 상기 테잎에 칩을 본딩하는 본딩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테잎 가공 장치는 테잎 본딩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잎 가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 유닛은,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제1 자력부; 및
    상기 제1 자력부와 마주하는 상기 하나의 릴 가이드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자력부와 인력을 발생시키도록 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제2 자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잎 가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 유닛은 상기 릴 가이드들의 일 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릴 가이드들을 지지하는 한 쌍의 릴 커버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자력 유닛은,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제1 자력부; 및
    상기 릴 커버들 중 상기 제1 자력부와 마주하는 어느 하나의 릴 커버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자력부와 인력을 발생시키도록 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제2 자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잎 가공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자력부들 중 적어도 하는 영구자석이고,
    상기 제1 및 제2 자력부들 중 어느 하나만이 영구자석인 경우 다른 하나는 금속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잎 가공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자력부들은 원 형태의 배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잎 가공 장치.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력부는 상기 하나의 릴 가이드 또는 릴 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잎 가공 장치.
  8.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자석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전자석이고,
    상기 릴 가이드들과의 거리 들을 측정하는 측정 유닛; 및
    상기 측정된 거리 들에 근거하여 상기 릴 가이드들 사이의 간격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간격을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자석에 공급되는 전류 세기를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테잎 가공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유닛은 상기 릴 가이드들의 일 측에 배치되어, 각각에 대한 거리를 측정하는 한 쌍의 거리 센서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잎 가공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상기 하나의 릴 가이드 또는 릴 커버의 원주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만큼 이격된 채로 배치되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릴 가이드들 사이의 간격이 상기 원주 방향을 따른 각 도 범위들에서 서로 달라지도록 상기 복수의 전자석들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차별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잎 가공 장치.
KR1020070014958A 2007-02-13 2007-02-13 테잎 가공 장치 KR100723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958A KR100723271B1 (ko) 2007-02-13 2007-02-13 테잎 가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958A KR100723271B1 (ko) 2007-02-13 2007-02-13 테잎 가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3271B1 true KR100723271B1 (ko) 2007-05-31

Family

ID=38278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4958A KR100723271B1 (ko) 2007-02-13 2007-02-13 테잎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327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980A (ko) * 2017-06-26 2019-01-04 이동원 퍼스널 헬스케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980A (ko) * 2017-06-26 2019-01-04 이동원 퍼스널 헬스케어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1998005704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9432B2 (en) Inspection vehicle for inspecting an air gap between the rotor and the stator of a generator
CN102803766B (zh) 用于支撑辊轴的磁力轴承装置
JP5514229B2 (ja) ワイヤソー装置およびワイヤソー装置を動作させる方法
KR101397060B1 (ko) 반발력 보상장치
KR20120065116A (ko) 강판 제진장치
CN104948582B (zh) 磁轴承、轴和轴承装置
CN102556734B (zh) 铺布机
KR101798484B1 (ko) 권취장력 유지기능을 구비하는 와이어 권취장치
KR20220045309A (ko) 오버헤드 호이스트 이송 시스템
KR100723271B1 (ko) 테잎 가공 장치
EP2192070B1 (en) Wire bobbin holder of bobbin cassette in wire laying device
JP6842276B2 (ja) 電線供給装置、及び、電線束製造システム
JP2010189185A (ja) 糸状金属の繰出し装置
EP2652187B1 (en) Weft feeder for weaving looms
US20070080302A1 (en) Faraday cup assembl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3328654A1 (en) Tape drive and associated spool
US20180257625A1 (en) Brake control device, traveling vehicle, brake driving method, and program
KR102316948B1 (ko) 전원 유닛 및 이를 갖는 비히클
KR101172743B1 (ko) 비접촉식 임프린트 장치
JP6784284B2 (ja) エレベータ用制動装置及びエレベータ
JP2020183779A (ja) 蛇行補正装置のグリス供給方法
JPWO2009025324A1 (ja) 針金供給装置
KR102250372B1 (ko) 벨트 사행방지를 위한 마그넷이 적용된 컨베이어
JPS63300823A (ja) ワイヤ張力付与装置
US20240044748A1 (en) Dynamoelectric machine examination device, dynamoelectric machine examination system, and dynamoelectric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