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2560B1 - 음원 파일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음원 파일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2560B1
KR100722560B1 KR1020050070586A KR20050070586A KR100722560B1 KR 100722560 B1 KR100722560 B1 KR 100722560B1 KR 1020050070586 A KR1020050070586 A KR 1020050070586A KR 20050070586 A KR20050070586 A KR 20050070586A KR 100722560 B1 KR100722560 B1 KR 100722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source fil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equenc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0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6252A (ko
Inventor
이인환
Original Assignee
(주) 정훈데이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정훈데이타 filed Critical (주) 정훈데이타
Priority to KR1020050070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2560B1/ko
Priority to US11/497,941 priority patent/US20070033422A1/en
Publication of KR20070016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6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2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2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18Audio watermarking, i.e. embedding inaudible data in the audio sig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chnology Law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원 파일을 보호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음원 파일에 인증정보를 합성하고 상기 인증정보에 의해 인증된 재생 장치에서만 상기 음원 파일의 재생이 가능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원 파일 제공 서버에서는 음원 파일을 제공함에 있어 사람의 귀가 인지할 수 있는 주파수 즉, 가청 주파수 대역 외의 주파수 대역에 인증 코드가 위치하도록 음원 파일을 합성하고, 음원 파일 재생 장치는 상기 음원 파일을 수신하여 주파수 분석 방법을 통해 인증 코드를 추출한 후 인증 코드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음원 파일의 재생이 가능하도록 한다. 음원 파일의 불법 유통을 막음으로써, 음원 파일의 무단 복제 또는 무단 전제 방지를 위한 기능을 가지고, 음질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실시간으로 인증정보의 삽입과 추출이 가능하다.
음원, 재생, 보호, 인증 코드, 주파수 분석

Description

음원 파일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Voice source file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에서의 음원 파일 제공 방법의 흐름도.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에서의 음원 파일 재생 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와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의 음원 파일 제공 방법 및 재생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 터미널(600)과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의 음원 파일 제공 방법 및 재생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증정보가 합성된 합 성 음원 파일의 주파수 분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음원 파일 제공 서버
105 : 음원 저장부 110 : 인증정보 등록부
115 : 인증정보 검색부 120 : 음원 파일 합성부
125 : 통신부
200 : 음원 파일 재생 장치
205 : 통신부 210 : 주파수 분석부
215 : 비교부 220 : 음원 재생부
225 : 보상부
본 발명은 음원 파일을 보호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음원 파일에 인증정보를 합성하고 상기 인증정보에 의해 인증된 재생 장치에서만 상기 음원 파일의 재생이 가능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mp3 플레이어는 현대인에게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 중의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 휴대폰에 mp3 플레이어가 내장되어 있기도 하고, 목걸이 형태, 귀걸이 형 태 등 다양한 형태의 mp3 플레이어가 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mp3 플레이어에서 재생 가능한 디지털 음원 역시 예전과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그 수가 증가하였다.
하지만, 디지털 음원은 컴퓨터 등에 의한 복사(copy), 인터넷을 통한 유포가 매우 쉽게 이루어짐으로 인해 보호하기가 쉽지 않고, 따라서 보호방법의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 디지털 음원의 확장자를 변경하거나 음원의 포맷을 다르게 하여 인증받은 사용자 또는 플레이어에서만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디지털 음원의 포맷을 다르게 하더라도 동일 기종의 플레이어 간에는 메모리의 공유를 통해서 인증받지 않은 사용자도 음원 파일의 사용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인증받은 플레이어에서만 재생 가능하고 다른 플레이어에서는 재생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음원 파일을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된다.
기존의 방법으로는 로우비트 부호화(low bit coding), 반향 은닉(echo hiding), 확산대역방식 등이 있다. 로우비트 부호화(low bit coding) 방법은 워터마크에 상응하는 이진 스트링의 각 샘플링 포인트의 최하위비트(LSB; least significant bit)를 대치시켜 음원 파일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기술이다. 재표본화(resampling), 압축(compressing), 잡음(noise), 자르기(cropping), 아날로그/디지털 변환(A/D conversion), 디지털/아날로그 변환(D/A conversion) 등의 신호처리에 약한 문제점이 있다. 반향 은닉(echo hiding) 방법은 반향 성분에 워터마크 신호를 삽입하는 것으로, 반향을 삽입하기 때문에 울림(echo)이 사람에게 들릴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확산 대역 방식은 워터마크 정보가 가능한한 넓은 주파수 스펙트럼에 걸쳐 확산시켜 삽입한다. 이는 좁은 주파수 영역을 가진 스피커 등을 통해서 전달되는 음향 신호에 대해서는 적용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음원 파일에 인증정보를 포함시켜 인증된 사용자 또는 인증된 재생 장치에서만 재생 가능하도록 하는 음원 파일 제공 서버 및 음원 파일 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원 파일의 불법 유통을 막음으로써, 음원 파일의 무단 복제 또는 무단 전제 방지를 위한 기능을 가지는 음원 파일 제공 서버, 음원 파일 재생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질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실시간으로 인증정보의 삽입과 추출이 가능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든 인증정보 삽입/추출 동작이 실시간으로 처리가 가능하며 MP3 플레이어와 같은 휴대용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는 인증정보의 삽입/추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간의 청각적 인지능력으로 구분이 불가능한 영역을 이용하여 인증정보를 삽입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등록된 인증정보를 가지는 음원 파일 재생 장치에서 요청된 재생 가능한 음원 파일을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복수개의 음원 파일을 저장하는 음원 저장부;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의 인증정보가 등록되는 인증정보 등록부; 상기 음원 파일을 요청한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에 상응하는 상기 인증정보를 상기 인증정보 등록부로부터 검색하는 인증정보 검색부; 상기 인증정보를 미리 설정된 합성 주파수에 싣고 상기 음원 저장부로부터 검색된 상기 요청받은 음원 파일에 합성하여 합성 음원 파일을 생성하는 음원 파일 합성부; 및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로부터 상기 음원 파일의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합성 음원 파일을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음원 파일 제공 서버가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증정보는 보상정보 및 보상 주파수 정보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상정보는 상기 합성 음원 파일 중 상기 보상 주파수 정보에 상응하는 보상 주파수에서 변형된 값을 보상하는 정보이고, 상기 보상 주파수는 가청 주파수(20 ~ 20000Hz) 내에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인증정보는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의 제조번호(serial numb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인증정보는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임의의 숫자, 문자 또는 이들의 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에 내장되고,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전화번호 또는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합성 주파수는 가청 주파수 대역(20~20000Hz) 외의 주파 수 대역에 위치하는 주파수이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로부터 인증정보 할당 요청 및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정보 등록부는 상기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인증정보를 할당하여 등록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할당된 인증정보를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로 전송하되,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는 상기 인증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할 수 있고,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의 제조번호(serial number)이거나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에 내장되고, 상기 식별정보는 이동 통신 단말의 전화번호 또는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일 수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음원 파일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음원 파일을 재생하는 음원 파일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원 파일 제공 서버에 상기 음원 파일을 요청하고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음원 파일을 주파수 영역에 대하여 분석하고 제1 인증정보를 추출하는 주파수 분석부;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에 등록된 제2 인증정보 및 상기 제1 인증정보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에서의 비교 결과 상기 제1 인증정보와 상기 제2 인증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음원 파일을 재생하는 음원 재생부를 포함하는 음원 파일 재생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부는 상기 음원 파일 제공 서버에 인증정보 할당 요청 및 식별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음원 파일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제2 인증정보 및 합성 주파수를 수신하여 등록하되, 상기 제2 인증정보는 상기 음원 파일 제공 서버에서 상기 식별정보에 상응하여 생성한 코드이고, 상기 합성 주파수는 상기 제2 인증정보가 위치한 주파수 대역이고, 상기 합성 주파수는 가청 주파수 대역(20~20000Hz) 외의 주파수 대역에 위치하는 주파수이다.
또한, 상기 제1 인증정보에 포함된 보상정보 및 보상 주파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음원 파일 중 상기 보상 주파수 정보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에 상기 보상정보에 상응하는 보상값을 적용하는 보상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음원 재생부는 상기 보상값이 적용된 음원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상기 보상 주파수 정보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은 가청 주파수 내의 주파수 대역이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인증정보는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의 제조번호(serial number)이거나, 상기 제1 및 제2 인증정보는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임의의 숫자, 문자 또는 이들의 결합 중 어느 하나이되,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에 내장되고, 상기 식별정보는 이동 통신 단말의 전화번호 또는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일 수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등록된 인증정보를 가지는 음원 파일 재생 장치에서 재생 가능한 음원 파일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로부터 음원 파일 요청 및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인증정보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확인 결과 등록된 경우 상기 인증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d) 상기 (a) 단계에서 요청받은 음원 파일을 검색하는 단계; (e) 상기 (c) 단계에서 추출된 상기 인증정보를 합성 주파수에 싣고, 상기 (d) 단계에서 검색된 상기 음원 파일에 합성하여 합성 음원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합성 음원 파일을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원 파일 제공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증정보는 보상정보 및 보상 주파수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상정보는 상기 합성 음원 파일 중 상기 보상 주파수 정보에 상응하는 보상 주파수에서 변형된 값을 보상하는 정보이다. 그리고 상기 보상 주파수는 가청 주파수(20 ~ 20000Hz) 내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a) 단계 이전에, (A)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로부터 인증정보 할당 요청 및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인증정보를 할당하는 단계; 및 (C) 상기 인증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는 상기 인증정보를 수신하고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합성 주파수는 가청 주파수 대역 외의 주파수 대역에 위치하는 주파수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음원 파일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음원 파일을 음원 파일 재생 장치에서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음원 파일 제공 서버로 음원 파일 요청 및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음원 파일 요청에 상응하는 합성 음원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합성 음원 파일을 주파수 영역에서 분석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분석된 합성 음원 파일로부터 제1 인증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e)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에 등록된 제2 인증정보 및 상기 제1 인증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f) 상기 (e) 단계에서의 비교 결과 상기 제1 인증정보와 상기 제2 인증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합성 음원 파일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원 파일 재생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f) 단계는, 상기 제1 인증정보에 포함된 보상정보 및 보상 주파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합성 음원 파일 중 상기 보상 주파수 정보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에 상기 보상정보에 상응하는 보상값을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상값이 적용된 합성 음원 파일을 재생한다. 그리고 상기 보상 주파수 정보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은 가청 주파수 내의 주파수 대역이다.
또한, 상기 (a) 단계 이전에, (A) 상기 음원 파일 제공 서버로 인증정보 할당 요청 및 상기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음원 파일 제공 서버로부터 제2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음원 파일 제공 서버는 상기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제2 인증정보를 할당하고 등록함-; 및 (C) 상기 제2 인증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합성 주파수는 가청 주파수 대역 외의 주파수 대역에 위치하는 주파수임이 바람직하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음원 파일 처리 장치는 음원 파일 제공 서버 및 음원 파일 재생 장치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음원 파일 제공 서버와 음원 파일 재생 장치, 그리고 각 장치에서의 음원 파일 처리 방법인 음원 파일 제공 방법 및 음원 파일 재생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는 음원 저장부(105), 인증정보 등록부(110), 인증정보 검색부(115), 음원 파일 합성부(120) 및 통신부(125)를 포함한다.
음원 저장부(105)는 복수개의 음원 파일을 저장한다. 음원 파일은 아날로그 음원 파일 또는 디지털 음원 파일이다.
인증정보 등록부(110)는 추후 설명할 음원 파일 재생 장치의 인증정보가 등록된다. 음원 파일 재생 장치의 인증정보는 복수개의 음원 파일 재생 장치 중에서 현재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에 특정 음원 파일을 요청하고 있는 음원 파일 재생 장치가 무엇인지를 구별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인증정보는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에서 임의의 생성한 코드(code)이거나 음원 파일 재생 장치의 고유번호 또는 제조번호(serial number)이다. 인증정보는 음원 파일 재생 장치의 식별정보에 상응하여 인증정보 등록부(110)에 등록된다. 여기서, 음원 파일 재생 장치의 식별정보는 사용자 ID, 이동 통신 단말의 전화번호,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이다.
인증정보 검색부(115)는 현재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에 특정 음원 파일을 요청하고 있는 음원 파일 재생 장치에 상응하는 인증정보를 인증정보 등록부(110)로부터 검색한다.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에 등록된 음원 파일 재생 장치에 한해서 음원 파일의 재생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인증정보를 이용한다.
음원 파일 합성부(120)는 음원 파일에 인증정보를 합성한다. 음원 파일 재생 장치로부터 요청받은 음원 파일을 음원 저장부(105)로부터 검색한다. 그리고 인증정보 검색부(115)에서 검색된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에 상응하는 인증정보를 미 리 설정된 주파수에 싣는다. 즉, 인증정보가 미리 설정된 주파수를 가지도록 한다. 여기서, 인증정보가 실리는 주파수 대역은 사람이 들을 수 없는 주파수 즉, 가청 주파수(audio frequency) 대역(20~20000Hz) 외의 주파수 대역임이 바람직하다. 가청 주파수 내에 인증정보를 싣는다면, 추후 음원 파일 재생 장치에서 인증정보를 추출해 내는 것이 쉽지 않다. 그리고 인증정보가 음원 파일의 재생시 잡음(noise)이 될 가능성이 많은 바, 가청 주파수 외의 주파수에 인증정보를 싣는다.
그리고 음원 저장부(1050)로부터 검색된 음원 파일과 상기 미리 설정된 주파수에 실린 인증정보를 합성하여 합성 음원 파일을 생성한다. 두 신호의 합성은 신시사이저(synthesizer)를 이용한다.
통신부(125)는 음원 파일 재생 장치로부터 특정 음원 파일의 요청을 수신한다. 그리고 음원 파일 합성부(120)에서 생성된 합성 음원 파일을 상기 특정 음원 파일을 요청한 음원 파일 재생 장치로 전송한다. 상기 통신부(125)는 합성 음원 파일이 아날로그 음원 파일인 경우에는 모듈레이터(modulator)이고, 이에 상응하는 음원 파일 재생 장치의 통신부는 디모듈레이터(demodulator)이다. 또는 상기 통신부(125)는 합성 음원 파일이 디지털 음원 파일인 경우에는 인코더(encoder)이고, 이에 상응하는 음원 파일 재생 장치의 통신부는 디코더(decoder)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는 통신부(205), 주파수 분석부(210), 비교부(215) 및 음원 재생부(220)를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보상부(2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05)는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와 통신을 한다.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는 통신부(205)를 통해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에 임의의 음원 파일을 요청한다. 그리고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로부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합성 음원 파일을 수신한다.
주파수 분석부(210)는 통신부(205)에서 수신한 합성 음원 파일을 주파수 영역에서 분석한다. 주파수 영역에서의 분석은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 웨이블릿 변환(Wavelet transform)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한 분석이 가능하다. 이에 대하여는 추후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주파수 영역에서 분석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감지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상기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에서 합성한 인증정보이고,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은 상기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에서 인증정보를 합성한 주파수 대역이다.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는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 및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가 미리 인지하고 있음이 바람직하다. 또는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에서 각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에 대하여 인증정보를 등록할 때 할당한 주파수 대역을 인증정보와 함께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에 알려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파수 분석부(210)는 인증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합성 음원 파일의 주파수를 분석한다. 주파수를 분석하는 방법에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인 주파수 분석 방법으로써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을 이용한다. 푸리에 변환은 어떤 신호이든 간에 그 신호는 자신을 구성하는 레벨, 주 파수가 다른 각각의 무수한 주파수들의 합으로 표현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용한다. 시간 영역에서 x축은 시간 대역, y축은 레벨값을 가지는 신호는 주파수 영역에서 확인하면 x축은 주파수 대역, y축은 레벨값을 가지는 신호가 된다. 즉, 신호를 구성하는 주파수를 대역별로 볼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인증정보가 실린 주파수 대역을 미리 알고 있는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는 상기 주파수 대역에서 인증정보를 추출한다. 이 방법은 모든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일정 간격으로 조사를 하게 된다.
둘째, 참조 테이블(Lookup Table)을 이용하여 주파수를 분석한다. 참조 테이블은 음향 신호의 각 주파수 대역 구간 중에서 일반적인 분해능이 요구되는 부분 이외에 상대적으로 높은 분해능이 요구되는 부분에 대한 정보이다. 상대적으로 높은 분해능이 요구되는 주파수 구간 및 해당 주파수 구간에서 요구되는 최소 분해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건반 악기의 경우에 40번 건반 C음과 41번 건반 C#음을 구별하고자 할 때, 두 음 간의 주파수 간격이 15.557Hz이다. 따라서, 40번 건반 C음에 해당하는 주파수 261.626Hz 및 41번 건반 C#음에 해당하는 주파수 277.183Hz 대역 근처에서는 15.557Hz 보다 작은 주파수 간격으로 주파수가 분석되어야 한다. 즉, 260Hz 및 280Hz 구간 사이에서의 최소 주파수 분해능이 대략 15.557Hz가 되는 것이다.
인증정보가 실린 주파수 대역 부근에서는 고분해능이 되도록 하고, 그 외 대역에서는 저분해능이 되도록 참조 테이블을 생성한 뒤, 상기 참조 테이블을 활용하면 일반적인 푸리에 변환보다 빠른 시간 내에 보다 정확한 주파수 분석이 가능하 다.
참조 테이블은 다음의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표 1]
Figure 112005042670288-pat00001
주파수 분석을 위한 주파수 변환을 위해서는 벡터가 필요하다. 상기 벡터는 변환하려는 주파수 변환 범위와 주파수 분해능에 따라서 그 수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주파수 100~110Hz 범위 내에서 0.01Hz의 분해능이 요구되면, (110-100)/0.01 만큼의 벡터가 필요하다. 즉, 1000개의 벡터가 필요하다.
상기 <표 1>에서는 참조 테이블은 분석을 요하는 분석 주파수 구간 정보 및 분해능 정보를 포함한다. 분석을 요하는 분석 주파수 구간 정보는 제1 구간 200~201Hz, 제2 구간 500~500.1Hz, 제3 구간 10000~10100Hz이다. 그리고 분해능 정보는 제1 구간에서 0.01Hz, 제2 구간에서 0.001Hz, 제3 구간에서 0.1Hz 이다. 상기 분해능을 가지기 위해서는 제1 구간에서 (201-200)/0.01 즉, 100개의 벡터가 필요하며, 제2 구간에서 (500.1-500)/0.001 즉, 100개의 벡터가 필요하고, 제3 구간에서 (10100-10000)/0.1 즉, 1000개의 벡터가 필요하다. 상기 벡터들은 푸리에 변환 또는 웨이블릿 변환에 사용되는 벡터들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석 주파수 구간 정보는 가청 주파수 대역 외에서 인증 코드를 싣는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가 되고, 상기 분해능 정보는 상기 인증 코드를 추출할 수 있는 정도의 분해능이 된다.
참조 테이블로부터 분석 주파수 구간 및 상기 필요로 하는 벡터 수를 산출하고, 미리 생성되어 저장된 벡터들 중에서 상기 분석 주파수 구간 및 필요로 하는 벡터 수에 상응하는 벡터들을 검출한다. 그리고는 음향 신호와의 스칼라 곱을 통하여 주파수 영역에서의 주파수 분석 신호를 생성한다.
셋째, 밴드패스 필터(bandpass filter)를 이용하여 주파수를 분석한다. 밴드패스 필터(bandpass filter)는 일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필터이다. 이를 이용하여 인증정보가 실린 주파수 대역 부근의 신호만이 통과하는 밴드패스 필터를 구성하고, 상기 밴드패스 필터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인증정보를 추출한다.
이 외에도 당업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방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비교부(215)는 주파수 분석부(210)에서 추출된 인증정보와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에 등록된 인증정보를 비교한다.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에 등록된 인증정보는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에서 생성된 임의의 코드(code)를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가 수신하여 미리 등록한 것임이 바람직하다. 또는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에 등록된 인증정보는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 자체의 고유번호 또는 제조번호(serial number)임이 바람직하다.
음원 재생부(220)는 상기 비교부(215)에서의 비교 결과에 따라 수신한 합성 음원 파일을 재생하거나 재생하지 않는다.
주파수 분석부(210)에서 추출된 인증정보와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에 등록된 인증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해당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의 인증이 성립한 경우이므로 합성 음원 파일을 재생한다. 하지만, 주파수 분석부(210)에서 추출된 인증정보와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에 등록된 인증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신한 합성 음원 파일이 보호되어야 하는 파일이므로 합성 음원 파일을 재생하지 않거나 잡음(noise) 소리가 나도록 한다.
합성 음원 파일의 재생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에 포함된 인증정보는 제거한 후 재생한다. 또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이 사람이 귀로 인지할 수 없는, 가청 주파수 대역 외의 주파수 대역이므로 인증정보를 제거하지 아니하고 수신한 합성 음원 파일을 그대로 재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음원 파일 제공 서버에서의 인증정보는 보상정보 및 보상 주파수 정보를 더 포함한다. 합성 음원 파일의 경우, 가청 주파수 외의 주파수 대역에만 인증정보를 싣게 되면, 현재 통용중인 일반적인 음원 파일 재생 장치(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를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 mp3 재생 프로그램을 내장한 단말 등)에서도 재생이 가능하다. 이는 인증받은 사용자의 재생 장치에 한해서 음원 파일의 재생이 가능하게 하고자 하는 것에 반할 수 있다.
따라서, 가청 주파수 내에 원본 음원 파일 중에서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 해 당하는 신호의 값을 소정의 규칙에 따라 변형시킨다. 상기 변형에 대하여 추후 보상이 가능하도록 하는 보상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소정의 주파수 대역은 보상 주파수가 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대로 인증정보에 보상정보 및 보상 주파수에 상응하는 보상 주파수 정보를 더 포함하여 합성 음원 파일을 생성한다. 이때 합성 음원 파일은 가청 주파수 대역 내의 보상 주파수 부분에서 신호값이 변형되어 정상적인 파일 재생이 불가능한 형태이다.
소정의 규칙에 따라 신호값을 변형시키는 방법으로, 보상 주파수에 해당하는 신호값을 모두 0으로 만들거나 최대값으로 바꾸어 잡음(noise)이 되도록 한다. 또는 임의의 값을 가지는 신호를 보상 주파수에 합성하여 새로운 합성 음원 파일을 생성한다. 이로 인해 추후 음원 파일 재생 장치에서는 상기 신호에 어떠한 변형이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정보인 보상정보 없이는 정상적인 음원 파일 재생이 불가능하다. 보상정보에 따른 보상값의 적용 없이 음원 파일을 재생하게 되는 경우에는 잡음만이 들리거나, 특정 주파수 대역 값이 정상적인 범위 외에서 소리를 내게 되어 원활한 음원 파일 재생이 불가능하게 한다. 이를 통해 음원 파일이 인증받은 사용자의 재생 장치에서만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보상정보 및 보상 주파수 대역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쌍일 수 있다. 다수의 부분에서 복원을 필요로 하는 변형을 만들어 합성 음원 파일을 생성함으로써 음원 파일의 보호를 확실히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상 주파수 대역은 매우 좁은 지역으로, 이의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상기한 주파수 분석 방법 중에서 참조 테이블을 이용한 주파수 분석이 바 람직하다.
이때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는 보상부(225)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상부(225)는 주파수 분석부(210)를 통해서 주파수 분석되고 추출된 인증정보 중에서 보상정보 및 보상 주파수 정보를 검출한다. 상기 보상 주파수 정보에 상응하는 보상 주파수 영역은 가청 주파수 내의 주파수 영역이다.
수신한 합성 음원 파일 중에서 상기 보상 주파수 영역에서의 신호값을 주파수 분석을 통해 분석한다. 그리고는 상기 검출된 보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보상 주파수 영역에서의 신호값을 정상적인 값으로 보상한다. 상기 보상을 통해 합성 음원 파일은 원래의 정상적으로 재생될 때 출력되는 소리를 출력한다. 상기 보상이 없다면 합성 음원 파일은 그대로 재생되어 보상 주파수 영역에서 보상되지 못한 신호값에 의해 잡음 또는 전혀 화음이 맞지 않는 비정상적인 소리를 출력하게 된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에서의 음원 파일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에서 음원 파일 제공 방법은 다음과 같다.
단계 S305에서,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는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로부터 임의의 음원 파일 요청 및 식별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는 바람직하게는 mp3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를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 등의 휴대장치이다. 식별정보는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의 사용자 ID, 이동 통신 단말의 전화번호 또는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이다.
단계 S310에서,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는 단계 S300에서 음원 파일을 요청한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가 등록된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인지 여부를 상기 식별정보를 기초로 하여 확인한다. 즉,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가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의 인증정보 등록부(110)에 등록된 인증정보를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단계 S315에서,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가 등록된 인증정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에 상응하는 인증정보를 인증정보 검색부(115)를 통해서 검색한다. 상기 검색은 식별정보를 기초로 하여 가능하다.
단계 S320에서,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는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가 요청한 음원 파일을 음원 저장부(105)로부터 검색한다.
단계 S325에서,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는 단계 S315에서 검색된 인증정보를 단계 S320에서 검색된 음원 파일에 합성한다. 이때 인증정보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에 싣고 음원 파일에 합성한다. 미리 설정된 주파수는 가청 주파수 외의 주파수 대역임이 바람직하다.
단계 S330에서,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는 음원 파일을 요청한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에 단계 S325에서 생성된 합성 음원 파일을 전송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단계 S325에서 다음과 같은 단계가 더 포함된다.
단계 S325-1에서, 음원 파일은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값이 원래 값이 아닌 다른 값을 가지도록 소정의 규칙에 따라 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변형에 대응하여 원래 값을 복원할 수 있는 보상정보를 따로이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보상 주파수 정보에 포함한다. 소정의 규칙에 대해서는 자세히 상술하였는바 생략한다.
단계 S325-2에서, 인증정보는 상기 보상정보 및 보상 주파수 정보를 더 포함하도록 하여, 변형된 음원 파일에 합성한다.
이로 인해 합성 음원 파일을 인증되지 아니한 재생 장치에서 재생하는 경우에는 보상정보에 따른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아 변형된 음원 파일이 재생되고, 정상적인 출력을 획득할 수 없다. 따라서, 인증받은 사용자에 한해 정상적인 음원 파일의 재생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에서의 음원 파일 재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에서의 음원 파일 재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단계 S405에서,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는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에 임의의 음원 파일을 요청한다. 상기 요청은 하나의 음원 파일 또는 복수개의 음원 파일에 대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요청시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는 다른 음원 파일 재생 장치와 구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함께 제공한다.
단계 S410에서,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는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로부터 합성 음원 파일을 수신한다. 그리고 단계 S415에서, 수신한 합성 음원 파일에 대하여 주파수 분석을 한다. 여기서, 주파수 분석은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 웨이블릿 변환(Wavelet transform) 등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단계 S420에서,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는 주파수 분석된 합성 음원 파일로부터 특정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신호 즉, 인증정보를 추출한다. 특정 주파수 대역은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에서 인증정보를 싣고 합성한 주파수 대역을 의미한다. 특정 주파수 대역은 가청 주파수 외의 주파수 대역임이 바람직하다.
단계 S425에서, 상기 추출된 인증정보와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에 등록된 인증정보를 비교한다.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에 등록된 인증정보는 단계 S405에서 음원 파일을 요청하기 전에 미리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로부터 인증정보를 할당받아 등록된 코드이다. 또는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마다의 고유번호 또는 제조번호(serial number)이다.
단계 S425에서의 비교 결과 두 인증정보가 일치하면, 인증이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단계 S430으로 진행하여,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는 합성 음원 파일을 재생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합성 음원 파일의 재생에 있어서 인증정보를 포함한 상태로 재생하여도 상관없다. 인증정보는 가청 주파수 외의 주파수 대역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사람이 들을 수 없는 신호이기 때문이다. 또는 합성 음원 파일에서 인증정보를 제거한 후 재생할 수 있다.
단계 S425에서의 비교 결과 두 인증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인증이 이루어 지지 않게 되고, 단계 S435로 진행한다.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는 합성 음원 파일을 재생하지 않거나 잡음(noise)을 재생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단계 S430는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430-1에서, 인증정보는 보상정보 및 보상 주파수 정보를 더 포함하고 있다. 즉, 합성 음원 파일은 보상 주파수 정보에 상응하는 보상 주파수 영역에서 소정의 규칙에 따라 변형된 신호값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변형된 신호값을 보상하여 정상적인 출력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보상정보 및 보상 주파수 정보를 추출하여야 한다.
단계 S430-2에서, 추출된 상기 보상 주파수 정보에 상응하는 보상 주파수 영역에서 상기 보상정보에 따라 보상값을 적용하여 정상적인 신호값을 복원한다.
단계 S430-3에서, 상기 복원된 정상적인 신호값을 포함하는 합성 음원 파일을 재생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와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의 음원 파일 제공 방법 및 재생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505에서,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는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에 임의의 음원 파일을 요청한다. 단계 S510에서,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는 해당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인 증 체크를 하고,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인증정보를 검색한다. 단계 S515에서,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가 요청한 음원 파일을 음원 저장부(105)로부터 검색하고, 단계 S520에서, 음원 파일 및 인증정보를 합성한다. 합성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인증정보를 가청 주파수 대역 외의 주파수 대역에 싣고 음원 파일과 합성한다.
단계 S525에서,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는 합성 음원 파일을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로 전송하고, 단계 S530 내지 S535에서,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는 합성 음원 파일의 주파수를 분석한 후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에 있는 인증정보를 추출하여 미리 등록된 인증정보와 비교한다. 단계 S540에서,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는 상기 비교결과 인증정보가 서로 일치하면 합성 음원 파일을 재생하고 외부에 출력한다. 하지만,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합성 음원 파일을 재생하지 않거나 잡음을 재생한다.
여기서, 인증정보는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마다 서로 다르다.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는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마다 임의의 인증정보를 생성하여 할당한다. 또는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식별정보에 따라 인증정보를 생성하여 할당한다.
도 5에 도시된 A 부분의 단계 S501 내지 S503에서,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는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에 앞으로 음원 파일을 요청할 예정이므로, 인증정보 할당 요청을 하면서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의 식별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여기서, 식별정보는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의 고유번호 또는 제조번호(serial number)이다. 또한, 식별정보는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가 mp3 플레이어를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인 경우에는 이동 통신 단말의 전화번호 또는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이다.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는 인증정보 할당 요청과 함께 수신한 식별정보를 토대로 인증정보를 할당한다. 이때, 인증정보는 임의의 숫자, 문자 또는 이들의 결합일 수 있다. 또는 식별정보 자체가 바로 인증정보가 될 수 있다.
인증정보를 할당한 후 상기 인증정보를 인증정보 등록부(110)를 통해 등록하고서,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는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에 인증정보가 할당되었음을 알리고 할당된 인증정보를 전송한다.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는 수신한 인증정보를 등록한다. 상기 인증정보는 이후 합성 음원 파일을 수신한 후 단계 S535에서 인증 여부를 확인할 때 비교대상으로 사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 터미널(600)과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의 음원 파일 제공 방법 및 재생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터미널(600)은 개인용 컴퓨터 등이다. 터미널(600)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를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에 등록하고서, 음원 파일을 수신한다. 그리고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는 터미널(600)과의 유/무선 통신을 통해 음원 파일을 수신한다.
여기서, 인증정보는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마다 서로 다르다.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는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마다 임의의 인증정보를 생성하여 할당 한다. 또는 터미널(600)로부터 수신한 식별정보에 따라 인증정보를 생성하여 할당한다.
도 6에 도시된 A 부분의 단계 S601 내지 S603에서,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는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에 앞으로 음원 파일을 요청할 예정이다. 사용자는 터미널(600)을 통해 음원 파일을 재생하고자 하는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의 식별정보를 전송하고 인증정보의 할당을 요청한다. 여기서, 식별정보는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의 고유번호 또는 제조번호(serial number)이다. 또한, 식별정보는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가 mp3 플레이어를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인 경우에는 이동 통신 단말의 전화번호 또는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이다.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는 인증정보 할당 요청과 함께 수신한 식별정보를 토대로 인증정보를 할당한다. 이때, 인증정보는 임의의 숫자, 문자 또는 이들의 결합일 수 있다. 또는 식별정보 자체가 바로 인증정보가 될 수 있다.
인증정보를 할당한 후 상기 인증정보를 인증정보 등록부(110)를 통해 등록하고서,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는 터미널(600) 또는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에 인증정보가 할당되었음을 알리고 할당된 인증정보를 전송한다. 터미널(600)이 인증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이를 다시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로 전송한다.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는 수신한 인증정보를 등록한다. 상기 인증정보는 이후 합성 음원 파일을 수신한 후 단계 S640에서 인증 여부를 확인할 때 비교대상으로 사용된다.
단계 S605에서, 터미널(600)을 통해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에 임의의 음원 파일을 요청한다. 이때, 터미널(600)은 음원 파일을 재생하고자 하는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의 식별정보 또는 인증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단계 S610에서,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는 해당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인증 체크를 하고,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인증정보를 검색한다. 단계 S615에서, 터미널(600)이 요청한 음원 파일을 음원 저장부(105)로부터 검색하고, 단계 S620에서, 음원 파일 및 인증정보를 합성한다. 합성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인증정보를 가청 주파수 대역 외의 주파수 대역에 싣고 음원 파일과 합성한다.
단계 S625에서, 음원 파일 제공 서버(100)는 합성 음원 파일을 터미널(600)로 전송하고, 단계 S630에서, 터미널(600)은 상기 합성 음원 파일을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로 전송한다. 단계 S635 내지 S640에서,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는 합성 음원 파일의 주파수를 분석한 후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에 있는 인증정보를 추출하여 미리 등록된 인증정보와 비교한다. 단계 S645에서, 음원 파일 재생 장치(200)는 상기 비교결과 인증정보가 서로 일치하면 합성 음원 파일을 재생하고 외부에 출력한다. 하지만,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합성 음원 파일을 재생하지 않거나 잡음을 재생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정보가 합성된 합성 음원 파일의 주파수 분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음원 파일은 사람의 귀가 인지할 수 있는 가청 주파수 대역인 (a) 주파수 대역(20~20000Hz)을 가진다. 상기 음원 파일에 인증정보를 합성하고자 할 때, 인증정보는 바람직하게 (a) 주파수 대역 외의 (b) 주파수 대역에 위치 한다. (b) 주파수 대역에 위치함으로써 원래의 음원 파일을 손상시키지 아니하고, 인증정보의 구별을 쉽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증정보가 합성된 합성 음원 파일의 주파수 분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원본 음원 파일(810)과 비교할 때 합성 음원 파일(820)은 가청 주파수 대역 중 소정의 주파수 대역(830)에서 변형된 신호값을 가진다. 원본 음원 파일(810)과 동일한 소리를 출력하고자 하면, 변형된 신호값을 보상하여야 하며, 이는 합성 주파수(840)에 실린 인증정보, 보상정보 및 보상 주파수 정보를 통하여 가능하다. 보상정보는 가청 주파수 외의 주파수 영역 중 미리 설정된 합성 주파수(도 8에서는 25000Hz)에 위치한다.
인증정보를 통해 인증받은 재생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보상정보를 통해 변형된 신호값을 원본 음원 파일(810)과 동일하게 만들 수 있는 보상값을 획득한다. 그리고 보상 주파수 정보를 통해 변형된 신호값이 존재하는 가청 주파수 내의 보상 주파수 대역을 찾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원 파일 제공 서버 및 재생 장치는 음원 파일에 인증정보를 포함시켜 인증된 사용자 또는 인증된 재생 장치에서만 재생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음원 파일의 불법 유통을 막음으로써, 음원 파일의 무단 복제 또는 무단 전제 방지를 위한 기능을 가지고, 음질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실시간으로 인증정보의 삽입과 추출이 가능하다.
또한, 모든 인증정보 삽입/추출 동작이 실시간으로 처리가 가능하며 MP3 플레이어와 같은 휴대용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인간의 청각적 인지능력으로 구분이 불가능한 영역을 이용하여 인증정보를 삽입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5)

  1. 등록된 인증정보를 가지는 음원 파일 재생 장치에서 요청된 재생 가능한 음원 파일을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복수개의 음원 파일을 저장하는 음원 저장부;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의 인증정보가 등록되는 인증정보 등록부;
    상기 음원 파일을 요청한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에 상응하는 상기 인증정보를 상기 인증정보 등록부로부터 검색하는 인증정보 검색부;
    상기 인증정보를 미리 설정된 합성 주파수에 싣고 상기 음원 저장부로부터 검색된 상기 요청받은 음원 파일에 합성하여 합성 음원 파일을 생성하는 음원 파일 합성부; 및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로부터 상기 음원 파일의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합성 음원 파일을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음원 파일 제공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정보는 보상정보 및 보상 주파수 정보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상정보는 상기 합성 음원 파일 중 상기 보상 주파수 정보에 상응하는 보상 주파수에서 변형된 값을 보상하는 정보인 음원 파일 제공 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주파수는 가청 주파수(20 ~ 20000Hz) 내에 위치하는 음원 파일 제공 서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정보는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의 제조번호(serial number)를 포함하는 음원 파일 제공 서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정보는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임의의 숫자, 문자 또는 이들의 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에 내장되고,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전화번호 또는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인 음원 파일 제공 서버.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주파수는 가청 주파수 대역(20~20000Hz) 외의 주파수 대역에 위치하는 주파수인 음원 파일 제공 서버.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로부터 인증정보 할당 요청 및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정보 등록부는 상기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인증정보를 할당하여 등록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할당된 인증정보를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로 전송하되,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는 상기 인증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음원 파일 제공 서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의 제조번호(serial number)인 음원 파일 제공 서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에 내장되고, 상기 식별정보는 이동 통신 단말의 전화번호 또는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인 음원 파일 제공 서버.
  10. 음원 파일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음원 파일을 재생하는 음원 파일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원 파일 제공 서버에 상기 음원 파일을 요청하고 수신하는 통신부-여기서, 상기 음원 파일은 합성 주파수에 제1 인증정보를 포함함-;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음원 파일을 주파수 영역에 대하여 분석하고, 상기 음원 파일의 합성 주파수에 포함된 상기 제1 인증정보를 추출하는 주파수 분석부;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에 미리 등록된 제2 인증정보와 상기 주파수 분석부에서 추출한 상기 제1 인증정보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에서의 비교 결과 상기 제1 인증정보와 상기 제2 인증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음원 파일을 재생하는 음원 재생부를 포함하는 음원 파일 재생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음원 파일 제공 서버에 인증정보 할당 요청 및 식별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음원 파일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제2 인증정보 및 상기 합성 주파수를 수신하여 등록하되,
    상기 제2 인증정보는 상기 음원 파일 제공 서버에서 상기 식별정보에 상응하여 생성한 코드이고, 상기 합성 주파수는 상기 제1 인증정보가 위치한 주파수 대역인 음원 파일 재생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주파수는 가청 주파수 대역(20~20000Hz) 외의 주파수 대역에 위치하는 주파수인 음원 파일 재생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증정보에 포함된 보상정보 및 보상 주파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음원 파일 중 상기 보상 주파수 정보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에 상기 보상정보에 상응하는 보상값을 적용하는 보상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음원 재생부는 상기 보상값이 적용된 음원 파일을 재생하는 음원 파일 재생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주파수 정보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은 가청 주파수 내의 주파수 대역인 음원 파일 재생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인증정보는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의 제조번호(serial number)인 음원 파일 재생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인증정보는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임의의 숫자, 문자 또는 이들의 결합 중 어느 하나이되,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에 내장되고, 상기 식별정보는 이동 통신 단말의 전화번호 또는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인 음원 파일 재생 장치.
  17. 등록된 인증정보를 가지는 음원 파일 재생 장치에서 재생 가능한 음원 파일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로부터 음원 파일 요청 및 식별정보를 수신하 는 단계;
    (b) 상기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인증정보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확인 결과 등록된 경우 상기 인증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d) 상기 (a) 단계에서 요청받은 음원 파일을 검색하는 단계;
    (e) 상기 (c) 단계에서 추출된 상기 인증정보를 합성 주파수에 싣고, 상기 (d) 단계에서 검색된 상기 음원 파일에 합성하여 합성 음원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합성 음원 파일을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원 파일 제공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정보는 보상정보 및 보상 주파수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상정보는 상기 합성 음원 파일 중 상기 보상 주파수 정보에 상응하는 보상 주파수에서 변형된 값을 보상하는 정보인 음원 파일 제공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주파수는 가청 주파수(20 ~ 20000Hz) 내에 위치하는 음원 파일 제공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A)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로부터 인증정보 할당 요청 및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인증정보를 할당하는 단계; 및
    (C) 상기 인증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는 상기 인증정보를 수신하고 등록하는 음원 파일 제공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주파수는 가청 주파수 대역 외의 주파수 대역에 위치하는 주파수인 음원 파일 제공 방법.
  22. 음원 파일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음원 파일을 음원 파일 재생 장치에서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음원 파일 제공 서버로 음원 파일 요청 및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음원 파일 요청에 상응하는 합성 음원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합성 음원 파일은 합성 주파수에 제1 인증정보를 포함함-;
    (c) 상기 합성 음원 파일을 주파수 영역에서 분석하는 단계;
    (d) 상기 합성 음원 파일 내의 합성 주파수에 포함된 상기 제1 인증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e) 상기 음원 파일 재생 장치에 미리 등록된 제2 인증정보와 상기 추출된 제1 인증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f) 상기 (e) 단계에서의 비교 결과 상기 제1 인증정보와 상기 제2 인증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합성 음원 파일을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원 파일 재생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제1 인증정보에 포함된 보상정보 및 보상 주파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합성 음원 파일 중 상기 보상 주파수 정보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에 상기 보상정보에 상응하는 보상값을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상값이 적용된 합성 음원 파일을 재생하는 음원 파일 재생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주파수 정보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은 가청 주파수 내의 주파수 대역인 음원 파일 재생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A) 상기 음원 파일 제공 서버로 인증정보 할당 요청 및 상기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음원 파일 제공 서버로부터 제2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음원 파일 제공 서버는 상기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제2 인증정보를 할당하고 등록함-; 및
    (C) 상기 제2 인증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원 파일 재생 방법.
KR1020050070586A 2005-08-02 2005-08-02 음원 파일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0722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0586A KR100722560B1 (ko) 2005-08-02 2005-08-02 음원 파일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US11/497,941 US20070033422A1 (en) 2005-08-02 2006-08-01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sound f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0586A KR100722560B1 (ko) 2005-08-02 2005-08-02 음원 파일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6252A KR20070016252A (ko) 2007-02-08
KR100722560B1 true KR100722560B1 (ko) 2007-05-29

Family

ID=37718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0586A KR100722560B1 (ko) 2005-08-02 2005-08-02 음원 파일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70033422A1 (ko)
KR (1) KR1007225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1269A (ko) * 2012-06-15 2013-12-26 (주)다보산업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뇌파유도 시스템 및 뇌파유도 신호 발생 방법
US10409964B2 (en) 2015-11-04 2019-09-10 Screening Room Media, Inc. Pairing devices to prevent digital content misuse
KR101720470B1 (ko) * 2016-10-26 2017-04-10 함현식 음원 저작권 보호를 위한 시스템, 검사용 단말 장치 및 방법
US10452819B2 (en) 2017-03-20 2019-10-22 Screening Room Media, Inc. Digital credential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854A (ko) * 2001-05-22 2002-11-29 장경근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엠피3 플레이어
KR20050002545A (ko) * 2003-06-30 2005-01-07 주식회사 케이티 디지털 오디오 워터마킹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854A (ko) * 2001-05-22 2002-11-29 장경근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엠피3 플레이어
KR20050002545A (ko) * 2003-06-30 2005-01-07 주식회사 케이티 디지털 오디오 워터마킹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33422A1 (en) 2007-02-08
KR20070016252A (ko) 200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0991B2 (en) Embedding, processing and detection of digital content, information and data
US20180268824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JP4376461B2 (ja) 情報処理装置
WO2000072321A1 (en) Audio watermarking with dual watermarks
KR20040024870A (ko) 음성 기록의 자동 확인
JPWO2002047066A1 (ja) コンテンツ検索装置及び方法並びに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722560B1 (ko) 음원 파일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Gomes et al. Audio watermarking and fingerprinting: For which applications?
US20020010826A1 (en) Digital memory car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therefrom
KR20040101299A (ko) 오디오 컨텐츠 식별 방법 및 식별 특징 형성 방법 및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및 시스템
JP4770194B2 (ja) 音響信号に対する情報の埋め込み装置および方法
CN1647581A (zh) 音频分配
WO2020119692A1 (zh) 一种视频流播放方法及装置
KR20060028240A (ko) 음원 편집 방법 및 그 장치
US20040025041A1 (en)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with security measure
JP5082257B2 (ja) 音響信号検索装置
KR100456408B1 (ko) 오디오유전자 생성방법 및 오디오데이터 검색방법
Loytynoja et al. Audio protection with removable watermarking
WO2019052121A1 (zh) 一种音乐识别系统、装置及音乐管理服务器和方法
JP4110690B2 (ja) データ生成方法、記録装置、記録媒体、および再生装置
EP3575994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time-proofing of a recording
WO2023119629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記録媒体、及びデータ構造
CN108885878A (zh) 用于在数据流中嵌入数据的改进方法、装置和系统
JP2010074391A (ja) 録音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ならびに録音再生システム
JP2001216418A (ja) 音楽データ販売方法、および著作物データ販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