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0923B1 - 건축물 안전 창문틀 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 안전 창문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0923B1
KR100720923B1 KR1020060113791A KR20060113791A KR100720923B1 KR 100720923 B1 KR100720923 B1 KR 100720923B1 KR 1020060113791 A KR1020060113791 A KR 1020060113791A KR 20060113791 A KR20060113791 A KR 20060113791A KR 100720923 B1 KR100720923 B1 KR 100720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wall
close contact
vertical wall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3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용
김춘성
Original Assignee
(주)리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리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113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09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62Tightening or covering joints between the border of openings and the frame or between contiguous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건축물 또는 공동주택의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창문틀이 수직벽체의 개구부에 설치가 용이하고 수평도를 손쉽게 잡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건축물 안전 창문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즉, 수직 벽체(10)의 개구부(A) 모서리에 각각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매설 너트(20)가 사선방향으로 매설되되, 매설 너트(20)에는 볼트형 강봉(32)과 격자판(34)이 일체 제작된 조절대(30)가 볼트결합되고, 조절대(3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형 강봉(32)과 슬릿 판재가 절곡된 격자판(34)으로 형성되어 격자판(34)의 내측면에 창문틀(12)이 밀착설치되며,
창문틀(12)은 외측면 상,하와 좌,우측에 각각 벽체 밀착재(40)가 접착제로 접착되어 개구부(A)에 설치되되, 벽체 밀착재(40)는 고무 피복(41)의 폭 방향 내측으로 다수개의 강선으로 제작된 심재(42)가 일체로 제작되고, 고무 피복(41)의 폭 방향 측면에 나사홀(43)이 다수개 형성되며, 한편 고무 피복(41)의 심재(42)가 설치된 위치에 파형 돌출부(44)가 형성되어 수직 벽체(10)와 밀착되며,
벽체 밀착재(40)가 설치된 내실 측과 외측에 각각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된 실링재(50)가 밀착되되, 벽체 밀착재(40)와 실링재(50)는 길이방향 좌,우측과 중간을 관통하는 체결 나사(52)로 체결되고, 실링재(50)가 밀착된 내실 측과 외측에는 각각 코킹재를 이용하여 코킹 처리부(60)가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안전 창문틀 구조가 제시된다.
건축물, 공동주택, 창호, 안전 창문틀

Description

건축물 안전 창문틀 구조{SAFETY WINDOW FRAME STRUCTURE OF BUILDING}
도 1은 일반 건축물의 창호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 건축물 안전 창문틀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건축물 안전 창문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건축물 안전 창문틀의 측면 설치 상세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수직 벽체 12; 창문틀
14; 창문 20; 매설 너트
30; 조절대 32; 볼트형 강봉
34; 격자판 40; 벽체 밀착재
41; 고무 피복 42; 심재
43; 나사홀 44; 돌출부
50; 실링재 52; 체결 나사
60; 코킹 처리부
본 발명은 일반 건축물 또는 공동주택의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창문틀이 수직벽체의 개구부에 설치가 용이하고 수평도를 손쉽게 잡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건축물 안전 창문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기 및 채광을 위해 건축물의 수직 벽체 개구부에 설치되는 창호는 기본적으로 창문틀에서 가이드(GUIDE)되는 창문으로 구성된다.
도 1은 일반 건축물의 창호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건축물의 수직 벽체(10)의 개구부에는 창호가 설치되되, 직사각형 형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창문틀(12)이 설치되고, 창문틀(12)에는 내측에 창문(14)이 안착되어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대부분의 창호 구조는 수직 벽체(10)와 창문틀(12)의 체결을 강화시킬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즉, 건축물의 수직 벽체(10)가 양생되는 과정에서 창문틀(12)에 전해지는 수직압에 의해 창문틀(12)이 틀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별도의 수단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일반적인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수직 벽체의 모서리에 매설 너트가 매설되고 그 매설 너트에 창문틀의 설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대가 설치되어 수평도를 조절한 상태에서 창문틀이 밀착되므로 창문의 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수직 벽체와 창문틀이 밀착되는 사이에 수직 벽체의 수직압에 적절하게 대항할 수 있는 별도의 벽체 밀착재가 설치됨과 아 울러 실링재가 내,외측에 모두 설치된 상태에서 코킹처리시킨 건축물 안전 창문틀 구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건축물 안전 창문틀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건축물 안전 창문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건축물 안전 창문틀의 측면 설치 상세도면이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수직 벽체(10)의 개구부(A)에 창문틀(12)이 안착되는 경우, 직사각 형태로 형성된 개구부(A)의 모서리에 경사지게 매설 너트(20)가 각각 매설되되, 매설 너트(20)에는 조절대(30)가 네 모서리에 각각 볼트 결합된 상태에서 그 조절대(30)를 조절한 후 창문틀(12)을 수평하게 안착시킨다.
또한, 수직 벽체(10)와 창문틀(12)의 외측면이 밀착되는 사이에는 벽체 밀착재(40)를 밀착시켜 창문틀(12)이 시공된 후 수직압의 발생에 벽체 밀착재(40)의 파 형으로 돌출된 돌출부(44)가 밀착되게 되므로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수직 벽체(10)의 내,외측에 각각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 실링재(50)를 설치하게 된다.
한편, 실링재(50)가 설치된 외측에는 체결 나사(52)를 이용하여 실링재(50)와 벽체 밀착재(40)를 체결한 후 실링재(50)의 측면에 코킹을 처리한 코킹 처리부(60)로 마감하여 밀착성을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상술한 창호 시스템은 창문틀(12)을 시공 시 조절대(30)를 통해 창문틀(12)의 수평도 유지를 이루고 벽체 밀착재(40), 실링재(50) 및 코킹 처리부(50)를 연계하여 창문틀(12) 시공 후 틈새로 유입되는 외기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특성을 그 요지로 한다.
건축물의 수직 벽체(10)에는 개구부(A)가 도 3과 같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개구부(A)의 네 모서리에는 수직 벽체(10)에 미리 매설 너트(20)가 매설되어 설치되되, 매설 너트(20)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때, 각각의 매설 너트(20)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형 강봉(32)과 슬릿 판재가 90°각도로 절곡되어 형성된 격자판(34)이 일체로 형성된 조절대(30)의 볼트형 강봉(32)이 볼트체결되되, 조절대(30)는 격자판(34)의 절곡 위치에 볼트형 강봉(32)이 사선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수직 벽체(10)에 매설된 매설 너트(20)에 조절대(30)의 볼트형 강봉(32)을 삽입시 격자판(34)이 간섭되므로 매설 너트(20)에 볼트형 강봉(32)을 먼저 볼트결합시킨 뒤 후에 격자판(34)을 용접처리하여 일체제작하여 사용하게 되면 격자판(34)이 수직 벽체(10)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조절대(30)는 볼트형 강봉(32)이 매설 너트(20)에 볼트체결되는 방식으로 조절이 가능하되, 각각의 조절대(30)가 이루는 격자판(34)의 일측면 내측에 창문틀(12)이 안착되게 된다.
한편, 개구부(A)와 창문틀(12)이 밀착시 그 틈새에 벽체 밀착재(40)가 설치되어 외기(外氣)가 창문틀(12) 틈새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밀착되되, 벽체 밀착재(40)는 일정 두께를 가지는 고무 피복(41)의 내측에 다수개의 강선으로 제작된 심재(42)가 일체 형성되고, 심재(42)가 위치된 고무 피복(41)의 양측에 파형(波形)의 돌출부(44)가 굴곡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고무 피복(41)의 폭 방향 양측에 다수개의 나사홀(43)이 형성된다.
즉, 창문틀(12) 설치시 개구부(A)에는 벽체 밀착재(40)가 상,하와 좌,우에 각각 밀착되어 설치된다.
또한, 벽체 밀착재(40)는 수직 벽체(10)가 양생되는 도중에 수직압이 발생되는 경우 파형의 돌출부(44)가 수직압에 적절하게 대항하면서 창문틀(12)과 밀착성능이 향상되고, 이로 인해 외기가 내실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밀착성능이 향상되게 된다.
한편, 수직 벽체(12)의 개구부(A)에 창문틀(12)의 설치 시 벽체 밀착재(40)가 밀착된 수직 벽체(12)에는 내실(內室) 측과 외측(外側)에 각각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된 실링재(50)가 별도로 설치되게 된다.
실링재(50)는 절단면이 사각형 형태로 고무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되되, 실링재(50)와 벽체 밀착재(40)는 길이방향 좌,우측과 중간에 도 4의 하단 원형과 같이 체결 나사(52)가 체결되고, 실링재(50)가 설치된 외측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코킹재를 통해 코킹 처리부(60)가 형성되어 마감되게 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건축물의 수직 벽체(10)에 창문틀(12)이 안전하게 시 공되는 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수직 벽체(10)를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거푸집 내측에 매설 너트(20)를 매설하게 된다.
즉, 최초 수직 벽체(10) 시공시 매설 너트(20)는 함께 시공되어 거푸집 내측에 배근된 철근과 함께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시공되고 양생된다.
다음으로, 매설 너트(20)에는 조절대(30)를 결합한다.
즉, 매설 너트(20)에 조절대(30)를 기 시공된 창문틀(12)의 외측면과 밀착이 될 수 있도록 볼트형 강봉(32)을 조절한다.
이와 같이, 조절대(30)는 창문틀(12)의 외측면 네 모서리와 밀착시킬 때 수평도를 유지한 상태를 가지도록 조절하여 설치하게 되고, 수직 벽체(10)와 조절대(30)의 격자판(34)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볼트형 강봉(32)을 먼저 매설 너트(20)에 볼트체결한 뒤 볼트형 강봉(32)이 어느 정도 수평도를 유지할 수 있는 위치에 있게 되면 볼트형 강봉(32)에 격자판(34)을 용접처리하여 수평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수직 벽체(10)의 개구부(A)에 설치되는 창문틀(12)의 외측면 네 위치, 즉 상,하부와 좌,우측에 벽체 밀착재(40)를 접착제로 접착시킨 뒤 창문틀(12)이 설치된다.
다음으로, 벽체 밀착재(40)가 수직 벽체(10)의 내실 측과 외측에는 각각 실링재(50)를 설치한다.
즉, 실링재(50)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하와 좌,우측에 다수개의 나사홀이 벽체 밀착재(40)의 나사홀(43)이 형성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바, 체결 나사(52)를 통해 상호 체결하게 된다.
다음으로, 실링재(50)가 설치된 외측에는 코킹재를 통해 코킹 처리부(60)가 형성되어 마감되게 된다.
즉, 코킹재를 사용하는 방식은 종래와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된다.
한편, 도 4의 하면에 폭 방향을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에 수직 벽체(10)와 창문틀(12)의 밀착면에 벽체 밀착재(40), 실링재(50) 및 코킹 처리부(60)가 어떤 형태로 설치되는지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구성 및 시공 순서에서 알 수 있듯이, 수직 벽체(10)의 개구부(A)에 창문틀(12)이 시공되는 경우 그 밀착면에 코킹 처리부(60), 실링재(50), 벽체 밀착재(40), 실링재(50) 및 코킹 처리부(60)가 형성되게 되므로 틈새를 통해 외기(外氣)가 내실 측으로 유입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창문틀(12)은 조절대(30)에 의해 수직 벽체(10) 개구부(A)에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게 되어 시공 후 수직 벽체(10)가 양생에 따른 수직압이 창문틀(12)에 작용될 때 벽체 밀착재(40)의 파형 돌출부(44)에 전달되어 종래의 창호의 문제점인 창문틀의 비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건축물 안전 창문틀에 대한 효과를 하기에 설명한다.
본 발명의 건축물 안전 창문틀 구조는, 그 구조상, 창문틀의 모서리면을 지지할 수 있는 조절대가 설치되므로 창문틀이 정밀하게 개구부에 수평도를 유지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창문틀과 수직 벽체가 밀착되는 면에 벽체 밀착재, 실링재, 코킹 처리부가 형성되게 되므로 외기가 내실 측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수직 벽체의 개구부에 창문틀이 밀착되어 설치되고 창문틀의 내측에 슬라이딩되도록 창문이 설치되며, 수직 벽체와 창문틀이 밀착되는 내,외측에 코킹처리되어 실링되는 건축물 창호에 있어서,
    수직 벽체(10)의 개구부(A) 모서리에 각각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매설 너트(20)가 사선방향으로 매설되되, 매설 너트(20)에는 볼트형 강봉(32)과 격자판(34)이 일체 제작된 조절대(30)가 볼트결합되고, 조절대(3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형 강봉(32)과 슬릿 판재가 절곡된 격자판(34)으로 형성되어 격자판(34)의 내측면에 창문틀(12)이 밀착설치되며,
    창문틀(12)은 외측면 상,하와 좌,우측에 각각 벽체 밀착재(40)가 접착제로 접착되어 개구부(A)에 설치되되, 벽체 밀착재(40)는 고무 피복(41)의 폭 방향 내측으로 다수개의 강선으로 제작된 심재(42)가 일체로 제작되고, 고무 피복(41)의 폭 방향 측면에 나사홀(43)이 다수개 형성되며, 한편 고무 피복(41)의 심재(42)가 설치된 위치에 파형 돌출부(44)가 형성되어 수직 벽체(10)와 밀착되며,
    벽체 밀착재(40)가 설치된 내실 측과 외측에 각각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된 실링재(50)가 밀착되되, 벽체 밀착재(40)와 실링재(50)는 길이방향 좌,우측과 중간을 관통하는 체결 나사(52)로 체결되고, 실링재(50)가 밀착된 내실 측과 외측에는 각각 코킹재를 이용하여 코킹 처리부(60)가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안전 창문틀 구조.
KR1020060113791A 2006-11-17 2006-11-17 건축물 안전 창문틀 구조 KR100720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791A KR100720923B1 (ko) 2006-11-17 2006-11-17 건축물 안전 창문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791A KR100720923B1 (ko) 2006-11-17 2006-11-17 건축물 안전 창문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0923B1 true KR100720923B1 (ko) 2007-05-23

Family

ID=38277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3791A KR100720923B1 (ko) 2006-11-17 2006-11-17 건축물 안전 창문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092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723B1 (ko) 2005-12-19 2006-06-28 주식회사 천일건축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창문틀 고정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723B1 (ko) 2005-12-19 2006-06-28 주식회사 천일건축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창문틀 고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8967B1 (ko)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리모델링용 발코니창호 및 그 시공방법
US20070204535A1 (en) Method of installing windows into a concrete structure
US20070289226A1 (en) Window backdam assembly for preventing water intrusion
JP2018526553A (ja) カーテンウォール二重外被システム建具及びその施工方法
EP2299016B1 (en) Door frame set and door assembly
KR101592152B1 (ko) 구조보강과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발코니 개보수 창호와 그 시공 방법
KR100591393B1 (ko) 창호시스템
KR100720923B1 (ko) 건축물 안전 창문틀 구조
EP3444424B1 (en) Housing for a ventilation device and/or a screen device and method for modifying a housing
JP2747249B2 (ja) 改装窓
KR101975700B1 (ko) 가변형 마감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개보수창
RU2626980C2 (ru) Фасадная система и угловой элемент для такой системы
KR100579447B1 (ko) 건축물 창문틀 보강구조
KR101362259B1 (ko) 내부결속 구조를 갖는 조립식 벽체블록
KR102018426B1 (ko) 재단 및 조립이 용이한 입면 분할 창호
JP3517181B2 (ja) ドア枠改装構造
JP6444762B2 (ja) 建物用付設物の取付具および取付構造
JP4733518B2 (ja) サッシの取り付け構造及びサッシの取り付け方法
KR100916998B1 (ko) 기밀성능이 향상된 창문틀 구조
KR20110005088U (ko) 조립식 건물용 창틀 구조
KR20180028283A (ko) 리모델링용 외부 몰딩과 기존 창호 틀을 이용한 리모델링 방법
JP6885054B2 (ja) 障子及び障子の設置方法
KR101622339B1 (ko) 공동주택용 코너비드 보강장치
JP2005171752A (ja) 建物外壁の改修方法及び建物外壁用胴縁支持部材
US20200032506A1 (en) Installation-ready wall and stud casset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