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0707B1 - 배전선로 개폐장치의 양방향 원격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전선로 개폐장치의 양방향 원격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0707B1
KR100720707B1 KR1020050039755A KR20050039755A KR100720707B1 KR 100720707 B1 KR100720707 B1 KR 100720707B1 KR 1020050039755 A KR1020050039755 A KR 1020050039755A KR 20050039755 A KR20050039755 A KR 20050039755A KR 100720707 B1 KR100720707 B1 KR 100720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ignal
main body
closing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9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7042A (ko
Inventor
이무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일하이테크
이무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일하이테크, 이무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일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050039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0707B1/ko
Publication of KR20060117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7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기의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고압선이 송출되는 송배전시스템에 설치되는 개폐 및 차단장치를 리모콘을 통하여 원격 제어함으로써 작업자의 편의증대 및 안전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배전선로 개폐장치의 양방향 원격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압의 전기가 송출되는 배전선로를 개폐 및 투입하는 개폐 및 차단장치(30)를 포함하는 송배전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버튼으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30)의 조작신호를 무선송신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여 이를 표시하는 리모콘(10)과; 상기 송배전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리모콘(10)으로부터 송신되는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30)를 제어하여 배전선로를 개방 또는 투입시키고 그 결과를 상기 리모콘(10)에 송신하는 본체콘트롤박스(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송변전, 송배전, 배전선로, 양방향원격제어, 리모콘

Description

배전선로 개폐장치의 양방향 원격제어시스템{Bidirectonal remote control system for electromagnetic switch of high voltage supply li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개폐장치의 양방향 원격제어시스템의 설명을 위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개폐장치의 양방향 원격제어시스템에서 리모콘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개폐장치의 양방향 원격제어시스템에서 스위치부의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개폐장치의 양방향 원격제어시스템에서 표시부의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개폐장치의 양방향 원격제어시스템에서 본체콘트롤박스의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개폐장치의 양방향 원격제어시스템에서 정전압부의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개폐장치의 양방향 원격제어시스템에서 릴레이부의 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개폐장치의 양방향 원격제어시스템에서 노이즈필터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리모콘 11 : 제 1 RF모듈
12 : 리모콘제어부 13 : 스위치부
14 : 표시부 20 : 본체콘트롤박스
21 : 전원부 22 : 정전압부
23 : 본체제어부 24 : 제 2 RF모듈
25 : 릴레이부 26 : 노이즈필터
30 : 개폐 및 차단장치 131 : 제 1 버튼
132 : 제 2 버튼 133 : 제 3 버튼
134 : 제 4 버튼 221 : 레귤레이터
222 : 스위칭수단 223 : 모니터링수단
251 : 제 1 릴레이 252 : 제 2 릴레이
253 : 제 3 릴레이 254 : 제 4 릴레이
본 발명은 개폐기의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고압선이 송출되는 송배전시스템에 설치되는 개폐 및 차단장치를 리모콘을 통하여 원격 제어 하므로써 작업자의 편의증대 및 안전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배전선로 개폐장치의 양방향 원격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송변전 및 송배전의 자동제어화율은 약 30%로 추정된다.
물론 장기적으로 자동화율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되나 현재 우리나라의 비자동화라인은 점검해볼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배전선로 상에서 차단기 및 개폐기가 불합리한 요인으로 전원이 개방 되었을 때 다시 투입하려면 상당한 시간과 인력을 낭비하여야 하며 활선작업이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일정부분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작업에 임해야 한다. 이러한 작업의 난이도와 위험요소를 극소화하며 또한 경제적인 이익을 고려해 볼 때에 비자동화라인의 자동화는 이른 시일 내로 이루어져야 한다.
즉, 이와 같은 배전선로 상의 점검을 위하여 작업자는 송배전시스템에서 고전압이 송전되는 상당한 높이의 전주 또는 기타설비에 올라가거나 고전압 송전부위에 근접하여 수작업으로 직접 개폐기와 차단기를 조작해야되기 때문에 작업시간의 증가, 감전 및 추락의 위험을 감수해야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은 배전선로 개폐장치의 설치 및 점검작업시에 RF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일정높이에 설치된 개폐기 및 차단기를 양방향 원격제어할 수 있는 배전선로 개폐장치의 양방향 원격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고압의 전기가 송출되는 배전선로를 개폐 및 차단하는 개폐 및 차단장치를 포함하는 송배전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버튼으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의 조작신호를 무선송신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여 이를 표시하는 리모콘과; 상기 송배전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되는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를 제어하여 배전선로를 개방 또는 투입시키고 그 결과를 상기 리모콘에 송신하는 본체콘트롤박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리모콘은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변환시켜 상기 본체콘트롤박스에 송신하고, 상기 본체콘트롤박스에서 결과신호를 수신하는 제 1 RF모듈과; 개폐 및 차단장치의 개방, 투입, 락(Lock), 언락(Unlock)을 설정하는 다수개의 버튼을 포함하여 해당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조작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 1 RF모듈을 통하여 상기 본체콘트롤박스에 송신토록 제어하는 리모콘제어부와; 상기 제 1 RF모듈로부터 수신된 결과신호에 따라 상기 리모콘제어부에서 인가되는 표시제어신호에 따라 그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체콘트롤박스는 소정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소정의 전원을 일정레벨로 변환 및 유지시켜 출력하는 정전압부와;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 2 RF모듈과; 상기 제 2 RF모듈로부터 인가되는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에 개방, 투입, 락(Lock), 언락(Unlock)중 어느 하나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본체제어부와; 상기 본체제어부 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온되어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에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릴레이부와;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에서 출력된 결과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여 상기 본체제어부에 출력하는 노이즈필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정전압부는 상기 전원부로부터 인가되는 소정의 전원을 일정레벨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레귤레이터와; 상기 레귤레이터에서 출력된 일정레벨의 신호에 따라 스위칭온되어 해당 전원을 상기 본체제어부에 출력하는 스위칭수단과; 상기 스위칭수단과 상기 본체제어부 사이에 연결되어 해당 라인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레벨을 감지하여 이를 상기 레귤레이터에 인가하는 모니터링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릴레이부는 상기 본체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스위칭온되는 트랜지스터와, 상기 트랜지스터에 연결되어 역기 전력을 방지하는 다이오드와, 상기 다이오드의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트랜지스터가 온됨에 따라 활성화되는 마그네틱과, 상기 마그네틱이 활성화되면 접점온되어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에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접점단자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노이즈필터는 상기 투입 및 개폐장치의 출력단에 각각 연결되는 발광소자와, 상기 본체제어부에 각각 연결되는 수광소자를 포함하는 포토커플러인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개폐장치의 양방향 원격제어시스템의 바람직 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개폐장치의 양방향 원격제어시스템의 설명을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무선리모콘(10)과, 배전선로를 개방 및 투입시키는 개폐 및 차단장치(30)(도 5참조)를 제어하는 본체콘트롤박스(20)를 포함한다.
이중, 상기 리모콘(10)은 개폐 및 차단장치(30)(도 5참조)의 원격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고, 상기 본체콘트롤박스(20)는 상기 리모콘(10)으로부터 발신된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개폐 및 차단장치(30)를 개방, 투입, 락(Lock), 언락(Unlock)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가 리모콘(10)에서 배전선로를 개폐시키는 개폐 및 차단장치(30)의 개방, 투입, 락, 언락으로 설정된 동작설정버튼을 누르면 상기 리모콘(10)에서는 해당 무선신호가 상기 본체콘트롤박스(20)에 송신되고, 상기 본체콘트롤박스(20)는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30)를 제어하여 고압의 전기가 흐르는 배전선를 개방 또는 투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본체콘트롤박스(20)는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30)의 동작결과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리모콘(10)에 출력한다. 그러므로 리모콘(10)에서는 이를 수신하여 표시함에 따라 작업자가 그 결과를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작업자는 리모콘(10)에 표시되는 동작결과를 확인하고 배전선로의 상태에 따라 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개폐장치의 양방향 원격제어시스템에서 리 모콘의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상기 리모콘(10)은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1 RF모듈(11)과,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부(13)와,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30)의 동작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14)와,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리모콘제어부(12)를 포함한다.
이중, 상기 스위치부(13)는 개폐 및 차단장치(30)의 개방, 투입, 락, 언락을 설정하는 각각의 버튼(131~134)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버튼을 누르면 해당 신호를 상기 리모콘제어부(12)에 출력한다. 그러므로 상기 리모콘제어부(12)는 상기 스위치부(13)로부터 인가되는 사용자 조작신호를 상기 제 1 RF모듈(11)에 출력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 1 RF모듈(11)은 해당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본체콘트롤박스(20)에 송신한다.
여기서 스위치부(13)에서 개방신호는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배전선로의 개방, 투입은 상기 배전선로에 흐르는 전기를 투입, 락은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30)의 잠금, 언락은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30)의 잠금 해제를 의미한다.
상기 제 1 RF모듈(11)은 상기 본체콘트롤박스(20)에서 송신되는 개폐 및 차단장치(30)의 결과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리모콘제어부(12)에 출력한다. 그러므로 상기 리모콘제어부(12)는 해당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부(14)에 표시제어신호를 인가한다. 따라서 표시부(14)는 해당 동작결과를 표시하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이를 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개폐장치의 양방향 원격제어시스템에서 스위치의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스위치부(13)는 상기 리모콘제어부(12)의 개방(Open), 투입(Close), 락(Lock), 언락단자(Unlock)에 각각 연결되는 제 1 내지 제 4 버튼(131~134)을 포함한다. 이때 각각의 버튼(131~134)은 상기 리모콘제어부(12)의 입력단에 각각 연결되어 제 1 내지 제 4 스위치(SW1~SW4) 중 어느 하나가 온되면 +3V의 전원을 상기 리모콘제어부(12)에 출력한다.
그러므로 상기 리모콘제어부(12)는 상기 개방(Open), 투입(Close), 락(Lock), 언락(Unlock)의 입력단 중, 예를 들면, 언락입력단(Unlock)에서 온신호가 입력되면, 언락제어신호를 상기 제 1 RF모듈(11)에 인가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 1 RF모듈(11)은 해당 신호를 상기 본체콘트롤박스(20)에 송신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개폐장치의 양방향 원격제어시스템에서 표시부의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부(14)는 상기 리모콘제어부(12)의 개방출력단(Open2)에 연결되는 제 1 발광소자(LED1)와, 투입출력단(Close2)에 연결되는 제 2 발광소자(LED2)와, 락출력단(Lock2)에 연결되는 제 3 발광소자(LED3)와, 언락출력단(Unlock2)에 연결되는 제 4 발광소자(LED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발광소자(LED1~LED4)는 애노드단에 저항(R)을 거쳐 +3V의 전원라인에 연결되고, 캐소드단에 상기 리모콘제어부(12)의 출력단에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리모콘제어부(12)에서 개방, 투입, 락, 언락표시 중 어느 하나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제 1 내지 제 4 발광소자(LED1~LED4)중 어느 하나는 연결되는 라인이 통전됨에 따라 상기 +3V의 전원라인을 통해 상기 저항(R)을 거쳐 전류가 인가되므로 발광되므로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30)의 구동에 따른 결과를 표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개폐장치의 양방향 원격제어시스템에서 본체콘트롤박스의 블럭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본체콘트롤박스(20)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1)와, 일정레벨의 전원을 유지 및 출력하는 정전압부(22)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2 RF모듈(24)과,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본체제어부(23)와, 접점온되어 해당신호를 출력하는 릴레이부(25)와, 개폐 및 차단장치(30)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노이즈필터(2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부(21)는 상기 정전압부(22)에 연결되고, 상기 정전압부(22)는 상기 본체제어부(23)에 연결되고, 상기 릴레이부(25)는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30)와 상기 본체제어부(23)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 2 RF모듈(24)은 상기 본체제어부(23)에 연결된다. 또한, 노이즈필터(26)는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30)와 상기 본체제어부(23) 사이에 연결된다.
전원부(21)에서는 소정의 전원을 상기 정전압부(22)에 출력하고, 상기 정전압부(22)는 입력되는 전원을 소정의 레벨로 변환시켜 상기 본체제어부(23)에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RF모듈(24)은 상기 리모콘(10)의 제 1 RF모듈(11)에서 송 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본체제어부(23)에 인가한다.
그러므로 상기 본체제어부(23)는 인가되는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릴레이부(25)를 제어하여 해당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30)에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30)는 상기 릴레이부(25)를 통해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배전선로를 개방 또는 투입하거나 또는 자체 락킹 또는 락킹을 해제하고 그 결과신호를 상기 노이즈필터(26)에 출력한다.
그래서 상기 노이즈필터(26)는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30)에서 출력된 결과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여 상기 본체제어부(23)에 출력한다. 그리고 본체제어부(23)는 수신된 결과신호를 상기 제 2 RF모듈(24)을 통해서 상기 리모콘(10)에 송신토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개폐장치의 양방향 원격제어시스템에서 정전압부의 회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정전압부(22)는 일정전압을 소정의 레벨로 변환 및 유지시키는 레귤레이터(221)와, 상기 레귤레이터(221)에 출력된 소정의 레벨을 스위칭온하여 출력하는 스위칭수단(222)과, 상기 스위칭수단(22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피드백시켜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수단(223)을 포함한다.
상기 레귤레이터(221)는 상기 전원부(21)에 연결되고, 스위칭수단(222)은 상기 레귤레이터(221)와 상기 본체제어부(23)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모니터링수단(223)은 상기 본체제어부(23)의 입력단과 상기 레귤레이터(221) 사이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수단(222)은 상기 레귤레이터(221)의 제 2 출력단(SWI) 에서 상기 본체제어부(23)의 VCC입력단(VCC)에 연결되는 전원라인과 상기 전원부(21)에서 상기 본체제어부(23)의 VCC입력단(VCC)에 연결되는 라인 사이에 연결되는 제너다이오드(ZD)와 상기 레귤레이터(221)의 제 2 출력단(SWI)에서 상기 본체제어부(23)의 VCC입력단(VCC)에 연결되는 전원라인에 형성되는 코일(L1)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링수단(223)은 상기 본체제어부(23)의 VCC입력단에 연결되는 라인에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저항(R1, R2)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저항(R1, R2) 사이에서 상기 레귤레이터(221)의 입력단(CII)에 연결되는 전원라인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저항(R1, R2)에서 분압된 전원을 상기 레귤레이터(221)에 출력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개폐장치의 양방향 원격제어시스템에서 릴레이부의 회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릴레이부(25)는 상기 본체제어부(23)의 개방(Open), 투입(Close), 락(Lock), 언락출력단(Unlock)과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30)의 개방(Open), 투입(Close), 락(Lock), 언락입력단(Unlock)사이에 각각 연결되는 제 1 내지 제 4 릴레이(251~25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릴레이(251~254)는 상기 본체제어부(23)의 출력단에 베이스가 연결되는 트랜지스터(Q1~Q4)와, 상기 트랜지스터(Q1~Q4)의 콜렉터에 연결되어 역기 전력을 방지하는 다이오드(D1~D4)와, 상기 다이오드(D1~D4)의 양단에 연결되는 마그네틱(V1~V4)과, 상기 마그네틱(V1~V4)의 상측에서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30)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접점(K1~K4)을 각각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본체제어부(23)의 출력단에서 소정의 신호가 인가되면 트랜지스터(Q1~Q4)가 온됨에 따라 상기 다이오드(D1~D4)의 양단에 연결된 마그네틱(V1~V4)이 활성화된다. 따라서 접점(K1~K4)은 상기 마그네틱(V1~V4)이 활성화됨에 따라 접점온되므로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30)의 입력단(Open~Unlock)에 해당 신호가 입력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개폐장치의 양방향 원격제어시스템에서 노이즈필터의 회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노이즈필터(26)는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30)와 상기 본체제어부(23) 사이에 각각 연결되는 제 1 내지 제 4 포토커플러(PC1~PC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내지 제 4 포토커플러(PC~PC4)의 발광소자는 +24V의 전원라인과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30)의 개방(Open2), 투입(Close2), 락(Lock2), 언락출력단(Unlock2)에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포토커플러(PC1~PC4)의 각 수광소자는 상기 본체제어부(23)의 개방(Open2), 투입(Close2), 락(Lock2), 언락입력단(Unlock2)에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30)의 각 출력단개방(Open2~Unlock2)에서 로우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전원 라인에서 출력된 전원이 저항(R)을 거쳐 포토커플러(PC1~PC4)의 발광소자에 인가되므로 발광소자가 발광되므로 수광소자가 온되어 상기 본체제어부(23)에 소정의 신호가 입력된다.
즉, 상기 노이즈필터(26)는 포토커플러(PC1~PC4)를 이용하여 전기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본체제어부(23)에 인가하므로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30)에서 출력된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여 출력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개폐장치의 양방향 원격제어시스템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작업자가 고압 전주에 설치되는 배전선로를 점검하기 위해서 먼저 리모콘(10)의 스위치부(13)에 포함된 다수개의 버튼(131~134) 중 언락에 해당되는 제 4 버튼(134)을 온한다. 따라서 제 4 버튼(134)에서 제 4 스위치부(13)가 온됨에 따라 상기 리모콘제어부(12)의 언락입력단(Unlock)에 소정의 신호가 입력된다.
그러므로 상기 리모콘제어부(12)는 상기 제 1 RF모듈(11)을 제어하여 해당신호를 송신토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 2 RF모듈(24)은 해당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본체제어부(23)에 출력한다.
이때 본체콘트롤박스(20)에서 상기 전원부(21)는 +24V의 전원을 상기 정전압부(22)에 출력하고, 상기 정전압부(22)에서 레귤레이터(221)는 해당 신호를 소정의 레벨로 변환시켜 이를 스위칭수단(222)에 출력한다. 이때 상기 스위칭수단(222)의 코일은 상기 레귤레이터(221)에서 인가되는 일정시간 동안 하이신호를 유지하는 스위칭제어신호에 따라 인가되는 전원을 충전하고, 상기 레귤레이터(221)에서 로우신호가 인가되면, 전원을 방전한다. 따라서 상기 코일(L1)에서 방전된 신호는 상기 본체제어부(23)의 입력단에 인가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저항(R1~R2)으로서 분압회로를 구성하는 모니터링수단(223)은 상기 본체제어부(23)에 인가되는 전원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레귤레 이터(221)에 피드백시킨다. 따라서 상기 레귤레이터(221)는 상기 모니터링수단(223)에서 인가되는 신호의 레벨에 따라 상기 코일(L1)의 스위칭시간을 조절하여 상기 본체제어부(23)에 입력되는 전원레벨이 +3V가 유지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상기 본체제어부(23)는 상기 제 2 RF모듈(24)을 통해 언락신호가 인가되면, 언락출력단(Unlock)을 통하여 제 4 릴레이(254)에 일정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 4 릴레이(254)에서 제 4 트랜지스터는 온되므로 제 4 마그네틱(V4)이 연결되는 라인이 통전되므로 상기 제 4 마그네틱(V4)이 활성화된다. 따라서 제 4 접점(K4)은 온되고, 상기 제 4 접점(K4)에 연결되는 개폐 및 차단장치(30)의 언락입력단(Unlock)에 소정의 신호가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30)는 자체 잠금장치를 해제하고, 그 결과신호를 상기 노이즈필터(26)의 제 4 포토커플러(PC4)를 통해 상기 본체제어부(23)에 인가한다. 그러므로 상기 본체제어부(23)는 상기 제 2 RF모듈(24)을 통해 상기 리모콘(10)에 송신한다.
따라서 상기 리모콘제어부(12)는 상기 제 1 RF모듈(11)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30)의 락킹해제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표시부(14)를 제어하여 이를 표시한다.
이후 작업자는 리모콘(10)의 스위치부(13)에 포함된 다수개의 버튼 중 투입에 해당되는 제 2 버튼(132)을 온한다. 따라서 제 2 버튼(132)에서 제 2 스위치(SW2)가 온됨에 따라 상기 리모콘제어부(12)의 투입입력단(Close)에 소정의 신호가 입력된다.
그러므로 상기 리모콘제어부(12)는 상기 제 1 RF모듈(11)을 제어하여 해당신호를 송신토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 2 RF모듈(24)은 해당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본체제어부(23)에 출력한다.
그러므로 상기 본체제어부(23)는 상기 제 2 RF모듈(24)을 통해 투입신호가 인가되면, 투입출력단(Close)을 통하여 제 2 릴레이(252)에 일정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 2 릴레이(252)에서 제 2 트랜지스터(Q2)는 온되므로 제 2 마그네틱(V2)이 활성화되어 제 2 접점(K2)이 온되어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30)의 투입입력단(Close)에 소정의 신호가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30)는 배전선로를 투입하여 인가되는 고압의 전기를 투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30)는 투입출력단(Close2)을 통하여 그 결과신호를 상기 노이즈필터(26)를 거쳐 상기 본체제어부(23)에 출력한다. 이때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30)의 결과신호는 상기 노이즈필터(26)에서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30)의 투입출력단(Close2)에 연결되는 제 2 포토커플러(PC2)에 의해 노이즈가 제거되어 상기 본체제어부(23)의 투입입력단(Close2)에 해당신호를 인가한다.
따라서 상기 본체제어부(23)는 상기와 같은 개폐 및 차단장치(30)의 결과신호를 상기 제 2 RF모듈(24)을 통해 송신하고, 상기 리모콘제어부(12)는 상기 제 1 RF모듈(11)을 통해 해당신호를 수신하면, 투입출력단(Close2)에 로우신호를 출력하므로써 상기 표시부(14)의 제 2 발광소자(LED2)를 온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배전선로의 전원이 투입되었음을 인지하여 작업을 개 시하게 되고, 작업이 완료된 이후, 다시 리모콘(10)에서 개방으로 설정된 제 1 버튼(131)을 온한다. 따라서 제 1 버튼(131)에서 제 1 스위치(SW1)가 온되므로 상기 리모콘제어부(12)의 개방입력단(Open)에 해당 신호가 입력된다.
그러므로 상기 리모콘제어부(12)는 상기 제 1 RF모듈(11)을 통해 개방제어신호를 상기 본체콘트롤박스(20)에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제어부(23)는 상기 제 2 RF모듈(24)을 통해 해당 신호가 인가되면, 개방출력단(Open)을 통해 제 1 릴레이(251)에 소정의 신호를 인가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릴레이(251)는 제 1 트랜지스터(Q1)가 온됨에 따라 상기 제 1 마그네틱(V1)이 활성화되므로 상기 제 1 접점(K1)이 온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30)의 개방입력단(Open)에 해당신호가 입력된다.
그러므로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30)는 투입된 배전선로를 개방시키고, 그 결과신호를 상기 노이즈필터(26)를 통해 상기 본체제어부(23)에 출력한다. 이때 상기 노이즈필터(26)는 상기 제 1 포토커플러(PC1)를 통해 해당 신호를 필터링하여 상기 본체제어부(23)에 인가한다.
그러므로 상기 본체제어부(23)는 상기 제 2 RF모듈(24)을 통해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30)의 결과신호를 송신하도록 하고, 상기 리모콘(10)의 제 1 RF모듈(11)은 이를 수신하여 상기 리모콘제어부(12)에 인가한다. 그러므로 상기 리모콘제어부(12)는 개방출력단(Open2)을 통해 로우신호를 출력하므로써 상기 표시부(14)의 제 1 발광소자(LED1)를 발광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30)를 잠금 상태로 설정하기 위해서 상기 리모콘(10)의 제 3 버튼(133)을 온한다. 따라서 상기 제 3 버튼(133)에서 제 3 스위치부(13)가 온됨에 따라서 상기 리모콘제어부(12)는 락입력단(Lock)에 소정의 신호가 입력되므로 상기 제 1 RF모듈(11)을 통해 해당제어신호를 상기 본체콘트롤박스(20)에 송신토록 한다.
따라서 상기 본체제어부(23)는 상기 제 2 RF모듈(24)을 통해 해당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락출력단을 통해 제 3 릴레이(253)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 3 릴레이(253)는 상기 본체제어부(23)에서 신호가 출력되면 제 3 트랜지스터(Q3)가 온되어 상기 제 3 마그네틱(V3)이 연결되는 라인이 통전됨에 따라 제 3 접점(K3)이 온되므로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30)의 락입력단(Lock)에 소정의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30)는 자체 잠금장치를 구동시켜 락킹되며, 그 결과신호를 상기 노이즈필터(26)를 통해 상기 본체제어부(23)에 출력한다. 그러므로 상기 본체제어부(23)는 상기 제 2 RF모듈(24)을 제어하여 락킹결과 신호를 상기 리모콘(10)에 송신한다.
상기 리모콘제어부(12)는 상기 제 1 RF모듈(11)을 통해 락킹결과 신호를 수신하면, 락출력단(Lock2)을 통해 표시부(14)의 제 3 발광소자(LED3)에 로우신호를 인가하므로 상기 제 3 발광소자(LED3)를 발광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 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개폐장치의 양방향 원격제어시스템은 사용자가 작업을 위해 송변전 또는 송배전장치에 직접 올라가거나 고전압 송전부위에 근접하여 수작업으로 배전선로를 개폐시키는 대신 원거리에서 리모콘을 통하여 개폐 및 차단장치를 원격제어함으로써 작업시간의 단축 및 작업자의 편의, 안전도가 향상되는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고압의 전기가 송출되는 배전선로를 개폐 및 차단하는 개폐 및 차단장치(30)를 포함하는 송배전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버튼으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30)의 조작신호를 무선송신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여 이를 표시하는 리모콘(10)과;
    상기 송배전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리모콘(10)으로부터 송신되는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30)를 제어하여 배전선로를 개방 또는 투입시키고 그 결과를 상기 리모콘(10)에 송신하는 본체콘트롤박스(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개폐장치의 양방향 원격제어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10)은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변환시켜 상기 본체콘트롤박스(20)에 송신하고, 상기 본체콘트롤박스(20)에서 결과신호를 수신하는 제 1 RF모듈(11)과;
    개폐 및 차단장치(30)의 개방, 투입, 락(Lock), 언락(Unlock)의 조작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다수개의 버튼을 포함하여 해당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부(13)와;
    상기 스위치부(13)로부터 조작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 1 RF모듈(11)을 통하여 상기 본체콘트롤박스(20)에 송신토록 제어하는 리모콘제어부(12)와;
    상기 제 1 RF모듈(11)로부터 수신된 결과신호에 따라 상기 리모콘제어부(12)에서 인가되는 표시제어신호에 따라 그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개폐장치의 양방향 원격제어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콘트롤박스(20)는
    소정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1)와;
    상기 전원부(21)에서 공급되는 소정의 전원을 일정레벨로 변환 및 유지시켜 출력하는 정전압부(22)와;
    상기 리모콘(10)으로부터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 2 RF모듈(24)과;
    상기 제 2 RF모듈(24)로부터 인가되는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30)에 개방, 투입, 락(Lock), 연락(Unlock) 중 어느 하나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본체제어부(23)와;
    상기 본체제어부(23)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온되어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30)에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릴레이부(25)부와;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30)에서 출력된 결과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여 상기 본체제어부(23)에 출력하는 노이즈필터(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개폐장치의 양방향 원격제어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부(22)는
    상기 전원부(21)로부터 인가되는 소정의 전원을 일정레벨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레귤레이터(221)와;
    상기 레귤레이터(221)에서 출력된 일정레벨의 신호에 따라 스위칭온되어 해당 전원을 상기 본체제어부(23)에 출력하는 스위칭수단(222)과;
    상기 스위칭수단(222)과 상기 본체제어부(23)사이에 연결되어 해당 라인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레벨을 감지하여 이를 상기 레귤레이터(221)에 인가하는 모니터링수단(2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개폐장치의 양방향 원격제어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부(25)는
    상기 본체제어부(23)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스위칭온되는 트랜지스터(Q1~Q4)와, 상기 트랜지스터(Q1~Q4)에 연결되어 역기 전력을 방지하는 다이오드(D1~D4)와, 상기 다이오드(D1~D4)의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1~Q4)가 온됨에 따라 활성화되는 마그네틱(V1~V4)과, 상기 마그네틱(V1~V4)이 활성화되면 접점온되어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30)에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접점(K1~K4)으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릴레이(251~2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개폐장치의 양방향 원격제어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필터(26)는
    상기 개폐 및 차단장치(30)의 출력단(Open2~Unlock2)에 각각 연결되는 발광소자와, 상기 본체제어부(23)의 입력단(Open2~Unlock2)에 각각 연결되는 수광소자를 포함하는 포토커플러(PC1~PC4)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개폐장치의 양방향 원격제어시스템.
KR1020050039755A 2005-05-12 2005-05-12 배전선로 개폐장치의 양방향 원격제어시스템 KR100720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755A KR100720707B1 (ko) 2005-05-12 2005-05-12 배전선로 개폐장치의 양방향 원격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755A KR100720707B1 (ko) 2005-05-12 2005-05-12 배전선로 개폐장치의 양방향 원격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042A KR20060117042A (ko) 2006-11-16
KR100720707B1 true KR100720707B1 (ko) 2007-05-21

Family

ID=37704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9755A KR100720707B1 (ko) 2005-05-12 2005-05-12 배전선로 개폐장치의 양방향 원격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07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34581A (zh) * 2017-10-25 2018-01-26 中国恩菲工程技术有限公司 智能配电系统
KR102143852B1 (ko) * 2017-12-27 2020-08-12 한국전력공사 배전 선로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042A (ko) 200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84017B (zh) 初级防错的电动家具驱动设备
KR100720707B1 (ko) 배전선로 개폐장치의 양방향 원격제어시스템
CN103208709A (zh) 无线智能插座
KR20050036325A (ko) 원격제어가 가능한 전기분전반의 차단기와 그 제어 방법
KR101103622B1 (ko) 전력제어 표준화를 위해 하네스 연결방식을 사용한 전동기 제어반
CN111696829A (zh) 根据控制部件导通或阻断状态供电或不供电的电气设备
CN105225465B (zh) 带ip地址安全锁的电力自动开关遥控器
CN102047361A (zh) 用于控制电隔离开关马达的设备
WO1998028830A1 (en) Programmable fuse and programming device for timer
KR20070119222A (ko)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용 차단기 테스트장치
CN101763994B (zh) 使用通信和控制信号的现场可配置额定插头
US20190074146A1 (en) Switching device and system for switching on and off an electrical load
KR20130138585A (ko) 다 회로 부하개폐기의 제어장치
KR101257652B1 (ko) 용이한 결속과 전력제어 표준화를 위한 하네스 연결방식을 사용한 전동기 제어반
KR20090006229U (ko) 전원 제어수단이 내장된 분전반용 누전차단기
KR200426099Y1 (ko)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용 차단기 테스트장치
US9473050B2 (en) Motor starter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EP0749642A1 (en) A switching system
JP6997608B2 (ja) スイッチ回路コントロール装置
KR20080092720A (ko) 전원분배장치
US9705358B2 (en) Panel board emergency lighting system
CN201285510Y (zh) 基于无线网络的安全保护装置
CN220874274U (zh) 用于远程控制电机的装置
KR101913272B1 (ko) 배선용 차단 장치
KR20110116316A (ko) 스마트 그리드용 원격제어 누전 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