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0239B1 - Excimer discharge lamp - Google Patents

Excimer discharge lam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0239B1
KR100720239B1 KR1020030065581A KR20030065581A KR100720239B1 KR 100720239 B1 KR100720239 B1 KR 100720239B1 KR 1020030065581 A KR1020030065581 A KR 1020030065581A KR 20030065581 A KR20030065581 A KR 20030065581A KR 100720239 B1 KR100720239 B1 KR 100720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tube
discharge
excimer
discharge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55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34392A (en
Inventor
히로세겐이치
Original Assignee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245205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72023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4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43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2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12Selection of substances for gas fillings; Specified operating pressure or temperature
    • H01J61/16Selection of substances for gas fillings; Specified operating pressure or temperature having helium, argon, neon, krypton, or xenon as the principle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Landscapes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송시에, 방전 용기의 파손을 억제하는 구조를 갖는, 외형이 개략 원통 형상인 외측관과 내측관을 동축에 배치한 엑시머 방전 램프를 제공한다.This invention provides the excimer discharge lamp which coaxially arrange | positioned the outer side pipe | tube and the inner side pipe | tube whose outer shape i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which has a structure which suppresses the damage of a discharge container at the time of transportation.

외형이 개략 원통 형상인 외측관과 내측관을 동축에 배치하고, 이 외측관과 내측관 간에 엑시머 분자를 형성하는 방전용 가스가 봉입되어 양단이 봉해진 중공 원통 형상의 방전 용기를 구비한 엑시머 방전 램프에 있어서, 내측관과 외측관 간에 지지 부재를 상기 방전 용기의 길이 방향에서 중앙 근방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시머 방전 램프로 한다. An excimer discharge lamp having a hollow cylindrical discharge vessel in which both ends are sealed by discharging a gas for discharging between the outer tube and the inner tube and forming an excimer molecule between the outer tube and the inner tube. The excimer discharge lamp is characterized in that a supporting member is provided near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vessel between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Description

엑시머 방전 램프{EXCIMER DISCHARGE LAMP}Excimer discharge lamp {EXCIMER DISCHARGE LAMP}

도 1은 종래의 엑시머 방전 램프의 개략 단면도,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excimer discharge lamp,

도 2는 종래의 엑시머 방전 램프의 파손 부위를 도시한 도면,2 is a view showing a broken portion of a conventional excimer discharge lamp,

도 3은 본 발명의 엑시머 방전 램프의 방전 용기의 구조예,3 is a structural example of a discharge vessel of an excimer discharge 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지지 부재의 구조예,4 is a structural example of a supporting memb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지지 부재의 여러가지 고정예를 나타내고,5 shows various fixing examples of the supporting memb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램프에 주는 충격값과 단부의 응력의 관계를 나타내고,6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act value given to the lamp and the stress at the end,

도 7은 본 발명의 엑시머 방전 램프의 방전 용기의 구조예,7 is a structural example of a discharge vessel of an excimer discharge 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엑시머 방전 램프의 방전 용기의 구조예,8 is a structural example of a discharge vessel of an excimer discharge 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엑시머 방전 램프의 방전 용기의 구조예,9 is a structural example of a discharge vessel of an excimer discharge 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지지 부재의 예를 나타내고,10 shows an example of a support memb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효과를 낙하 시험의 결과로 나타낸 표이다.11 is a table showing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of the drop tes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 … 엑시머 방전 램프 2 … 방전 용기 One … Excimer discharge lamp 2... Discharge vessel

3 … 방전 공간 4, 4' …지지 부재3…. Discharge spaces 4, 4 '... Support member

5 … 지지 부재 고정부 6 … 유지재5…. Support member fixing portion 6.. Oil

7 … 내부 전극 8 … 외부 전극 7. Internal electrode 8. External electrode                 

9 … 강자성체 10 … 석영유리9... Ferromagnetic material 10... Quartz glass

21 … 내측관 22 …외측관 21. Inner tube 22. Outer tube

23 … 측벽부 41 … 구멍 23. Side wall portions 41. hole

42 … 절결 43 … 돌기 42. Notch 43. spin

본 발명은 외형이 개략 원통 형상인 외측관과 내측관을 동축에 배치하고, 이 외측관과 내측관 간에 엑시머 분자를 형성하는 방전용 가스가 봉입되어 양단이 봉해진 중공 원통 형상의 방전 용기를 구비한 엑시머 방전 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 엑시머 방전 램프의 반송시의 방전 용기 깨어짐을 방지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llow cylindrical discharge vessel in which coarse outer tubes and inner tubes of which the outline is outlined are disposed coaxially, and a gas for discharge which forms excimer molecules between the outer and inner tubes is sealed and sealed at both end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cimer discharge lamp,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ucture in which the discharge vessel is not broken during the transportation of the excimer discharge lamp.

액정 기판 패널의 대 화면화에 따라, 액정 기판의 자외선 처리에 사용되는 방전 램프의 장척화가 요구되어 오고 있다. 최근, 액정 기판의 광 세정 등 자외선 처리 용도에는 엑시머 분자의 발광을 이용하여, 고효율로 단일 파장의 자외선을 방사하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제10-283994호 공보에 나타낸 것 같은 엑시머 방전 램프가 사용되어 오고 있다. With the larger screen of liquid crystal substrate panels, the lengthening of the discharge lamp used for the ultraviolet treatment of a liquid crystal substrate has been calculated | required. In recent years, excimer discharge lamps such as thos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83994, which emit light of a single wavelength with high efficiency by utilizing light emission of excimer molecules for ultraviolet ray treatment applications such as optical cleaning of liquid crystal substrates, are used. Has been used.

엑시머 방전 램프에서는, 전체 길이가 800mm를 넘는 것, 예를 들면 1000mm의 것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엑시머 방전 램프의 개략 단면도이다. 방전 램프(1)는 내측관(21)과 외측관(22)이 동축에 배치되어 2중 원통관을 구성하는 동시에, 양단을 봉하여 내측관(21)과 외측관(22) 간에 방전 공간(3)이 형성된 방전 용기(2)가 된다. 방전 공간(3)에는 유전체 배리어 방전에 의해 엑시머 분자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엑시머 분자로부터 엑시머 광을 방사하기 위한 방전 가스, 예를 들면 크세논 가스가 봉입되어 있다. In the excimer discharge lamp, there is one whose total length exceeds 800 mm, for example, 1000 mm.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excimer discharge lamp. In the discharge lamp 1, the inner tube 21 and the outer tube 22 are coaxially arranged to form a double cylindrical tube, and both ends thereof are sealed to discharge space between the inner tube 21 and the outer tube 22 ( It becomes the discharge container 2 in which 3) was formed. In the discharge space 3, excimer molecules are formed by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and a discharge gas, for example, xenon gas, for emitting excimer light from the excimer molecules is enclosed.

외측관(22)의 외면에는 망 형상 전극(8)이 설치되고, 내측관(21)의 내부에 다른쪽 전극인 내측 전극(7)이 설치된다. 망 형상 전극(8)은 이음새 없이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신축성을 갖기 때문에 외측관(22)으로의 밀착성을 좋게 할 수 있다. 내측전극(7)은 파이프 형상, 또는 단면에서 일부에 절결을 갖는 개략 C자 형상의 것이며 내측관(21)에 밀착하도록 설치된다.A mesh-shaped electrode 8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tube 22, and an inner electrode 7 which is the other electrode is provided inside the inner tube 21. Since the mesh-shaped electrode 8 is comprised without a seamless and since it has elasticity as a whole, adhesiveness to the outer side pipe | tube 22 can be improved. The inner electrode 7 has a pipe shape or a roughly C-shaped shape with a cutout in a part of the cross section, and is provi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tube 21.

이러한 관축 방향의 전체 길이가 긴 방전 램프를, 골판지 등의 곤포(梱包) 용기에 개략 수평으로 곤포하여 트럭 등으로 반송한 경우, 램프에 주어지는 큰 충격이나 진동으로 방전 용기가 깨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깨어지는 장소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단부의 내측관(21)과 외측관(22)을 시일(seal)(용착(溶着))하고 있는 측벽부(23)나 그 근방이었다. 깨어지는 원인은 이하와 같이 생각된다. When the discharge lamp with a long total length in the tube axis direction is packaged horizontally in a packing container such as corrugated cardboard and transported by a truck or the lik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ischarge container is broken by a large shock or vibration applied to the lamp. There was a case. As shown in FIG. 2, the side part 23 seal | sealed (welding) the inner side pipe | tube 21 and the outer side pipe | tube 22 of both ends, and its vicinity as shown in FIG. The cause of breakage is considered as follows.

충격이 가해지면 외측 관부는 곤포재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거의 변형하지않으나, 내측 관부는 양단에서 지지되어 있어 중앙부가 휜다. 휨은 관에 응력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양단이 용착되어 있는 부위에도 응력을 발생시킨다. When the impact is applied, the outer tube is hardly deformed because it is fixed to the packing material, but the inner tube is supported at both ends, so the center portion is short. The deflection causes stress in the pipe and at the same time the stress is generated in the areas where both ends are welded.

양단의 측벽부(23)에 가해지는 응력이, 내측관(21) 자체에 가해지는 응력보다 높기 때문에, 내측관(21) 자체보다 먼저 양단 측벽부 부근, 특히 내측관(21)과 의 접속부 부근이 파손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진동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또한 어느 주파수의 진동이 가해지면, 작은 진동에서도 내측관(21)이 양단을 지점으로 공진하여 중앙부가 상하로 변위(휨)하여 파손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Since the stress applied to the side wall portions 23 at both ends is higher than the stress applied to the inner tube 21 itself, near the both side wall portions, especially near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inner tube 21, before the inner tube 21 itself. It is assumed that this is broken. Similarly with respect to the vibration, if a vibration of any frequency is applied, the inner tube 21 resonates at both ends to a point even at a small vibration, and the center portion thereof is displaced (warped) up and down.

(특허 문헌 1) (Patent Document 1)

일본국 특개평 10-283994호 공보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83994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략 램프 관축에 수직으로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진 경우에, 방전 용기의 파손을 억제하는 구조를 갖는, 외형이 개략 원통 형상인 외측관과 내측관을 동축에 배치하고 이 외측관과 내측관 간에 엑시머 분자를 형성하는 방전용 가스가 봉입되어 양단이 봉해진 중공 원통 형상의 방전 용기를 구비한, 엑시머 방전 램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axially arrange an outer tube and an inner tube having an outer shape having a structure of suppressing breakage of the discharge vessel when an impact or vibration is applied perpendicularly to the outline of the lamp tube axis, in a coaxial mann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cimer discharge lamp having a hollow cylindrical discharge container in which a gas for discharging forming excimer molecules is sealed between a tube and an inner tube and sealed at both end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의 발명은, 외형이 개략 원통 형상인 외측관과 내측관을 동축에 배치하고, 상기 외측관과 상기 내측관 간에 엑시머 분자를 형성하는 방전용 가스가 봉입되어 양단이 봉해진 중공 원통 형상의 방전 용기를 구비한 엑시머 방전 램프에 있어서, 상기 내측관과 상기 외측관 간에 지지 부재를 상기 방전 용기의 길이 방향에서 중앙 근방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시머 방전 램프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said subject, the invention of Claim 1 arrange | positions the outer tube and inner tube which have a roughly outer shape coaxially, and the discharge gas which forms an excimer molecule between the outer tube and the said inner tube is sealed, and both ends are The excimer discharge lamp provided with the sealed hollow cylindrical discharge container WHEREIN: It is set as the excimer discharge lamp characterized by providing the support member near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aid discharge container between the said inner pipe and the said outer pipe.

본 발명에서 방전 용기의 길이 방향에서 중앙 근방이란 방전 용기 단부로부터 용기 전체 길이의 1/4길이 보다도 중앙쪽을 말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icinity of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vessel refers to the center of the discharge vessel at the center rather than a quarter length of the entire length of the vessel.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내측관 및/또는 상기 외측관과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기재의 엑시머 방전 램프로 한다. Invention of Claim 2 fixes the said support member with the said inner side pipe | tube and / or the said outer side pipe | tube, The excimer discharge lamp of Claim 1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청구항 3의 발명은, 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방전 용기의 관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기재의 엑시머 방전 램프로 한다. Invention of Claim 3 made the said support member movable to the tube axis direction of the said discharge container, The excimer discharge lamp of Claim 1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청구항 4의 발명은, 상기 지지 부재는 방전 용기의 외부에 설치한 유지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관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 기재의 엑시머 방전 램프로 한다.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member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tube axis direction by moving the holding member provided outside the discharge vessel. The excimer discharge lamp according to claim 3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청구항 5의 발명은, 상기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유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자력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4 기재의 엑시머 방전 램프로 한다. The invention of claim 5 is an excimer discharge lamp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supporting member and at least a part of the holding member are made of a material having magnetic force.

청구항 6의 발명은, 상기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자력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강자성체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4 기재의 엑시머 방전 램프로 한다. The invention of claim 6 is an excimer discharge lamp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support member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magnetic force, and at least a part of the holding member is made of a ferromagnetic material.

청구항 7의 발명은, 상기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강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자력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4 기재의 엑시머 방전 램프로 한다. The invention of claim 7 is the excimer discharge lamp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support member is made of a ferromagnetic material, and at least a part of the holding member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magnetic force.

청구항 8의 발명은, 상기 지지 부재가 다수 있으며, 상기 지지 부재의 적어도 하나를 중앙 근방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엑시머 방전 램프로 한다. In the invention of claim 8, there are a plurality of the supporting members, and at least one of the supporting members is provided near the center, so that the excimer discharge lamp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is characterized.

(발명의 실시형태)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서의 제1 실시예로서 도 3(a)에 엑시머 방전 램프용의 방전 용기(2)의 구조를 도시한다. 전체 길이는 예를 들면 1000mm인 방전 용기이다. A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discharge vessel 2 for the excimer discharge lamp is shown in Fig. 3A. The total length is, for example, a discharge vessel of 1000 mm.

도 3(a)에서는, 방전 용기(2)의 중앙부 부근에 지지 부재(4)를 삽입했다. 지지 부재(4)는 석영 유리제로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너츠 형상의 원판 형상을 한 것을 사용했다. 두께는 2mm이다. 지지 부재(4)는, 수송 중의 진동이나 충격, 또 방전 용기(2)를 수직 방향으로 기울일 때 관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방전 용기(2)와 용착시켜 고정했다. 구체적으로는,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관(21)과 외측관(22)에 용착시켰다. In FIG. 3A, the supporting member 4 is inserted near the center of the discharge vessel 2. The support member 4 was made of quartz glass and had a donut-shaped disk shape as shown in Fig. 3 (c). The thickness is 2mm. The support member 4 was welded and fixed with the discharge vessel 2 so as not to move in the tube axis direction when the discharge vessel 2 was til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during vibration and shock during transportation. Specifically, it welded to the inner side pipe | tube 21 and the outer side pipe | tube 22 as shown to FIG.3 (b).

지지 부재(4)의 고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내측관(21)과 지지 부재(4)의 접합은, 외측관(22)과의 봉지 이전에 행한다. 먼저 내측관(21)이 되는 유리관에 지지 부재(4)를 고정 위치까지 통과시킨다. 내측관(21)을 선반 등으로 회전시키면서 지지 부재(4)의 양측에서 지지 부재(4)와 내측관(21)의 접촉부를 가열하여, 내측관(21) 내부의 압력을 조금씩 올려 가면, 내측관(21)은 직경 방향으로 균일하게 확대되어, 지지 부재(4)의 외주는 내측관(21)과 동축 상에 고정된다. The fixing method of the support member 4 is demonstrated. Bonding of the inner side pipe | tube 21 and the support member 4 is performed before sealing with the outer side pipe | tube 22. As shown in FIG. First, the support member 4 is made to pass through the glass tube used as the inner side pipe 21 to a fixed position. When the inner tube 21 is rotated by a shelf or the like, the contact portions of the support member 4 and the inner tube 21 are heat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member 4 to raise the pressure inside the inner tube 21 little by little. The tube 21 is uniformly enlarged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pport member 4 is fixed coaxially with the inner tube 21.

외측관(22)과 지지 부재(4)의 접합은, 외측관(22)과 내측관(21)을 봉지한 후에 행한다. 봉지한 방전 용기(2)를 선반 등으로 회전시키면서, 지지 부재(4)의 바로 위의 외측관을 가열한다. 유리가 부드럽게 된 시점에서, 조금씩 직경 방향으로 외측관(22)을 누르면, 외측관(22)과 고정된다. 또, 방전 공간 부분을 약간 감압 상태로 하여 선반을 회전시키면서 가열하는 것만으로도 외측관(22)은 균일하게 직경이 작아져, 지지 부재(4)는 외측관(22)과 고정된다. Bonding of the outer side pipe 22 and the support member 4 is performed after sealing the outer side pipe 22 and the inner side pipe 21. The outer tube immediately above the support member 4 is heated while rotating the sealed discharge container 2 on a shelf or the like. When the glass is softened, the outer tube 22 is pressed in the radial direction little by little to fix the outer tube 22. In addition, the outer tube 22 is uniformly small in diameter even by heating the shelf while the discharge space portion is slightly depressurized, and the support member 4 is fixed to the outer tube 22.

이렇게 방전 용기(2)의 중앙부 부근에 지지 부재(4)를 고정함으로써, 지점( 支点) 간의 거리가 짧아져, 같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내측관(21)의 휨량은 대폭 감소한다. 따라서, 양단의 측판에 가해지는 응력도 대폭 줄어, 파손되기 어려워진다. By fixing the support member 4 near the center of the discharge vessel 2 in this way, the distance between the points is shortened, and even if the same impact is applied, the amount of warpage of the inner tube 21 is greatly reduced. Therefore, the stress applied to the side plates at both ends is also greatly reduced, and it is difficult to be damaged.

이 실시예에서는 지지 부재(4)에 도 3(c)와 같은 구조의 것을 사용했다. 내측관(21)과 외측관(22)을 용착시키면 방전 용기(2)는 지지 부재(4)에 의해 2개로 나누어지므로, 2번의 가스 봉입 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도 4(a), 도 4(b)와 같이 지지 부재(4)에 구멍(41)이나 절결(42)을 넣음으로써 통기 구멍을 형성할 수 있어, 방전 램프의 제조 공정에서 지지 부재를 사이에 끼고 양쪽의 방전 공간의 가스 유통이 가능해져 한번의 가스 봉입 공정만 하면 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structure having the structure as shown in FIG. 3 (c) was used for the support member 4. When the inner tube 21 and the outer tube 22 are welded, the discharge vessel 2 is divided into two by the supporting member 4, so that two gas encapsulation steps are required. However, vent holes can be formed by inserting holes 41 and cutouts 42 into the support member 4 as shown in Figs. 4 (a) and 4 (b). It is possible to distribute the gas in both discharge spaces in between, so that only one gas encapsulation step is required.

도 5에 본 발명에서의 제2 실시예로서의 방전 용기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5(a)는, 상기 제1 실시예의 방전 용기에서, 지지 부재(4)의 고정을 내측관(21)에만 행한 것이다. 고정 방법은 상기 제1 실시예에 기재한 것과 같다. 충격이 가해지면 내측관(21)이 휘어, 방전 용기 중앙부의 지지 부재(4)인 원판 부근이 가장 많이 휜다. 지지 부재(4)가 외측관(22)과 접촉할 때까지는, 양단부 측벽을 지점으로 하여 내측관(21)이 휘는데, 외측관(22)과 접촉하면, 양단부 측벽과 지지 부재(4)의 3점이 지점이 되므로, 그 이상은 휘어지기 힘들게 된다. Fig. 5 shows the structure of the discharge vessel as the second embodi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5 (a) shows that the support member 4 is fixed only to the inner tube 21 in the discharge vessel of the first embodiment. The fixing method is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When the impact was applied, the inner tube 21 bends, and the vicinity of the original plate, which is the support member 4 in the center of the discharge vessel, is most frequently broken. Until the support member 4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tube 22, the inner tube 21 is bent with both side walls as a point. When the support member 4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tube 22, the side walls of the both ends and the support member 4 Since the point is three points, the more difficult to bend.

도 6은 가로축에 방전 용기에 가해지는 충격값, 세로축에 그 때 단부에 발생하는 응력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일례이다. 도 1과 같은 종래의 양단 측벽부만의 방전 용기에서는, 충격값이 높아짐에 따라서 방전 용기 단부에 발생하는 응력은 계속해서 늘어나, 파괴 응력에 달하는 (가)와 같은 그래프가 된다고 생각된다. FIG. 6: is an example which shows typically the impact value applied to an electrical discharge container on a horizontal axis, and the stress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s at the edge part at that time on a vertical axis | shaft. In the conventional discharge vessel of only both side wall portions as shown in Fig. 1, as the impact value increases, the stress generated at the discharge vessel end continues to increase, resulting in a graph like (a) reaching the fracture stress.                     

실시예 1의 방전 용기에서는 지지 부재(4)가 있음으로 인해 지점 간의 거리가 짧기 때문에 휨도 작고, 발생하는 응력도 작아지는 (다)와 같은 그래프가 된다고 생각된다. 본 실시예의 내측관(21)에 지지를 고정한 경우는, 충격값을 높게 해 가면, 지지 부재가 외측관과 접촉할 때까지는 종래와 같은 응력이 발생하나, 그 충격값을 넘으면 지점 간격이 짧아져, 휨량의 변화량이 줄어든다. 예를 들면 도 5(a)의 형태에서는, 응력의 변화량, 즉 기울기가 작고 (나)와 같은 그래프가 된다고 생각된다. In the discharge container of Example 1, since there exists a support member 4, since the distance between points is short, it is thought that it becomes a graph like (b) that a curvature becomes small and the stress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s becomes small. In the case where the support is fixed to the inner tube 21 of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impact value is increased, the same stress is generated until the support memb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uter tube, but if the impact value is exceeded, the point interval is shortened. Therefore, the amount of change in the amount of warpage decreases. For example, in the form of Fig. 5 (a), it is considered that the amount of change in stress, that is, the inclination is small and the graph as (b) is obtained.

도 5(a)의 형태에서, 고정된 지지 부재(4)와 외측관(22)의 간극은 최대한 좁은 편이 좋다. 간극이 넓으면, 강한 충격이 가해지면 내측관(21)은 크게 휘어져 발생하는 응력이 커져 (라)와 같은 그래프가 된다고 생각된다. 이 때문에 간극의 간격에 따라서는 양 단부가 파손되는 경우가 있다. 또, 지지 부재(4)와 외측관(22)의 충격이 커짐으로써, 고정부의 파손, 지지 부재(4) 자체의 파손, 내측관(21) 자체의 파손이 되어, 다른 문제도 발생하기 쉬워진다. 반대로, 도 5(a)의 형태에서, 간격이 좁은 경우, 약한 충격으로도 외측관과 접촉하기 때문에, 휨량이 작아져 양 단부에서 발생하는 응력은 작아져 (마)와 같은 그래프가 된다고 생각된다. In the form of FIG. 5 (a), the gap between the fixed support member 4 and the outer tube 22 is preferably as narrow as possible. If the gap is wide, it is considered that when a strong impact is applied, the inner tube 21 is largely bent and the stress generated is large, resulting in a graph as shown in (d). For this reason, both ends may be damaged depending on the space | interval of a clearance gap. In addition, as the impact between the support member 4 and the outer tube 22 increases, damage to the fixing portion, damage to the support member 4 itself, and damage to the inner tube 21 itself are likely, and other problems are likely to occur. Lose. On the contrary, in the form of FIG. 5 (a), when the gap is narrow, the outer tub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uter tube even with a weak impact, so that the amount of warpage decreases and the stress generated at both ends is considered to be the same as (e). .

또, 외측관(22) 또는 내측관(21)과 지지 부재(4)는 최대한 동축 상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후, 지지 부재(4)와 외측관(22) 또는 내측관(21)과의 거리가 불균일해지므로, 어느 직경의 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는 내측관(21)은 휘지 않으나, 어느 직경의 방향에서는 휨이 너무 커져서, 지지 부재(4)가 역할 을 다하지 못하게 되어 방전 용기(2)가 파손되는 경우가 있다. Moreover, it is preferable to fix the outer side pipe | tube 22 or the inner side pipe | tube 21 and the support member 4 on coaxial as much as possible. After fix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member 4 and the outer tube 22 or the inner tube 21 becomes nonuniform, so that when the impact is applied in any diameter direction, the inner tube 21 does not bend, but In the direction, the warpage may become too large and the support member 4 may not play a role and the discharge vessel 2 may be damaged.

지지 부재(4)와 내측관(21)이나 외측관(22)은 반드시 용착 고정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이 지지 부재(4)는, 정해진 위치(축 방향)에서 내측관(21)의 변위량을 어느 일정값 이하로 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도 5(c), (d)와 같이 내측관(21)에 돌기(43)를 설치하거나, 내측관(21)을 변형시키거나 하여, 지지 부재(4)가 좌우(축방향)로 이동하지 않도록 해 두어도 된다. The support member 4, the inner side pipe 21, and the outer side pipe 22 do not necessarily need to be welded and fixed. Since this support member 4 aims to make the displacement amount of the inner side pipe | tube 21 below a predetermined value in a fixed position (axial direction), the inner side pipe 21 like FIG.5 (c), (d) The projection 43 may be provided in the inner tube 21, or the inner tube 21 may be deformed so that the support member 4 does not move left and right (axial direction).

도 5(b)와 같이, 지지 부재(4)를 외측관(22)에만 용착시킨 경우도 같은 메카니즘으로 파손되기 힘들어 진다. As shown in Fig. 5 (b), even when the supporting member 4 is welded only to the outer tube 22, it is difficult to be damaged by the same mechanism.

실시예 1, 실시예 2에서의 지지 부재(4)를 설치하는 위치의 방전 용기(2)의 중앙부 부근이란, 반드시 방전 용기(2)의 양단 측벽의 1/2의 거리일 필요는 없다. 방전 용기(2)의 전체 길이를 4등분했을 때의 중앙의 2/4의 범위이면 된다. 또는, 3등분했을 때의 1/3의 범위 등이어도 된다. 양단에서 고정된 내측관(21)의 휨은 중앙(1/2의 거리)이 가장 잘 휜다. 따라서, 중앙에 지지 부재(4)를 설치하면 효과가 크다.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discharge vessel 2 at the position where the support members 4 are installed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a distance of 1/2 of the side walls of both ends of the discharge vessel 2. What is necessary is just the range of 2/4 of the center at the time of dividing the full length of the discharge container 2 into 4 equal parts. Alternatively, the range of 1/3 when dividing into three may be used. The deflection of the inner tube 21 fixed at both ends was the best at the center (a distance of 1/2). Therefore, the effect is large when providing the support member 4 in the center.

그러나, 방전 용기의 관 직경, 두께, 지점 간의 간격, 지지 부재를 내측관 또는 외측관에 설치한 경우의 다른쪽 관과의 간극 등에 의해, 상기의 범위에서 지지 부재를 관축 방향으로 이동시켜도 파손되지 않는 범위가 있다. 지지 부재를 설치하면, 지지 부재의 두께의 범위는 방전 플라즈마가 없어진다. However, even if the support member is moved in the tube axis direction within the above range, it will not be damaged due to the tube diameter, the thickness, the distance between the points, and the gap with the other tube when the support member is installed in the inner tube or the outer tube. There is no range. When the supporting member is provided, the discharge plasma is eliminated in the range of the thickness of the supporting member.

따라서, 지지 부재의 두께에 따라 다르나, 축 상의 조도 분포가 나빠진다. 예를 들면 광 투과성의 석영 유리로 이루어지는 두께 2mm의 지지 부재를 설치한 경 우, 램프로부터 약 20mm 떨어진 점에서, 5% 출력이 저하했다. 4mm의 경우 9% 출력이 저하했다. 요구되는 광원의 특성에 의해, 중앙에 출력 저하부를 설치하고 싶지 않은 경우는, 중앙으로부터 이동시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although it depends on the thickness of a support member, the roughness distribution on an axial worsens. For example, when a support member having a thickness of 2 mm made of light-transmitting quartz glass was provided, the output was reduced by 5% at a point about 20 mm away from the lamp. At 4mm, the output dropped 9%. When the output reduction part is not desired to be installed in the cent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quired light source, it can be fixed by moving it from the center.

또한 램프 길이가 길어진 경우 등에서는, 중앙에 1점의 지지 부재를 설치한 것만으로 지점 사이의 거리가 충분히 짧지 않아, 파손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3점, 5점과 다수의 지점을 설치함으로써 더욱 긴 램프라도 파손되지 않는 램프를 만들 수 있다. 도 7은 3점의 지지 부재를 설치한 예이다. Moreover, in the case where the lamp length is long, the distance between the points is not short enough only by providing one support member in the center, and it may be damaged. In this case, for example, by providing three points, five points, and a plurality of points, it is possible to make a lamp that does not break even with a longer lamp. 7 is an example in which three support members are provided.

제3 실시예를 도 8에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두께 2mm의 광 투과성의지지 부재(4)를 설치한 경우, 램프로부터 약 20mm 떨어진 점에서 5% 출력이 저하했다. 이 조도 저하를 없애기 위해, 도 8(a)와 같이 수송 중에는 지지 부재(4)를 중앙부에 배치하고, 점등 중에는 단부(4'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조로 했다. A third embodiment is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ight-transmissive support member 4 having a thickness of 2 mm was provided, the output was reduced by 5% at a point about 20 mm away from the lamp. In order to eliminate this fall of roughness, as shown in Fig. 8 (a), the support member 4 is disposed at the center portion during transportation, and the structure is moved to the end portion 4 'position during lighting.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구조로 했다. 지지 부재는 내측관에 통과시켰을 뿐 고정은 하지 않고 있다. 지지 부재를 배치하는 위치에는 내측관에 돌기(5)를 설치하고, 도 8(a)의 축 방향의 우측을 위, 좌측을 아래로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지지 부재를 이동시켜, 돌기(5)에 거는 것에 의해 중앙부 부근에 배치한다(도 8(b)). Specifically, the structure was as follows. The support member is passed through the inner tube but is not fixed. At the position where the support member is disposed, the projection 5 is provided on the inner tube, and the support member is moved by tilting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axial direction in FIG. It arrange | positions in the vicinity of center part by FIG. 8 (b).

그리고, 수송 중에는 축방향 우측을 위, 좌측을 아래가 되도록 기울인 채로 곤포함으로써 지지 부재를 배치하여, 수송중의 진동에 의해 지지 부재는 단부로 이동하지 않아, 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지지 부재와 외측관이 접촉하여 휨을 억제하여, 파손을 방지한다. 램프를 점등하는 경우는 한번 축방향 우측을 아래, 좌측을 위로 기울어지게 하여 지지 부재를 유효 발광부 밖의 단부로 이동시킨 후, 장치에 장착한다. 점등 중에 지지 부재는 방전 공간에서 벗어난 장소에 있기(도 8(a)) 때문에, 램프축 방향에서 균일하게 방전하여, 조도 저하는 없다. During the transport, the support member is placed by wrapping the axial right side up and the left side down so that the support member does not move to the end portion due to the vibration during transportation, and the support member and the outer tube are applied even if a large impact is applied. This contact prevents warpage and prevents breakage. When the lamp is turned on, the support member is moved to the end outside the effective light emitting portion by tilting the axial right side down and the left side up once, and then attaching it to the apparatus. Since the supporting member is located in a place deviating from the discharge space during the lighting (Fig. 8 (a)), the support member is discharged uniformly in the lamp axis direction and there is no decrease in the illuminance.

중앙부 부근은 도 8(c)와 같이 된다. 돌기(5)는 지지 부재(4)가 뛰어넘어 이동하지 않으면 되므로 높이 1mm 정도이고, 점등 중의 방전 안정성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재질은 내측관(21)에 석영유리를 사용한 경우에는, 같은 석영 유리편 등을 용착시켜도 된다. 또, 금속선 등을 감아도 된다. The vicinity of the center portion is as shown in Fig. 8C. The projection 5 is about 1 mm in height because the support member 4 does not have to jump over and hardly affects the discharge stability during lighting. When quartz glass is used for the inner side pipe | tube 21, you may weld the same quartz glass piece etc. as a material. Moreover, you may wind a metal wire etc.

지지 부재(4)는 광 투과성의 석영 유리나 사파이어, MgF2 등을 사용해도 되고, 불투명한 알루미나(Al2O3)나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판을 사용해도 된다. The support member 4 may use light-transmitting quartz glass, sapphire, MgF 2 , or the like, or may use a metal plate such as opaque alumina (Al 2 O 3 ) or stainless steel.

제4 실시예를 도 9에 도시한다. 이 실시예도 제3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1, 2 실시예의 조도 분포를 개선하는 것이다. 도 9(a)와 같이 수송 중에는 지지 부재를 중앙부에 배치하고, 점등 중에는 단부로 이동시키는 구조로 하여, 자력에 의해 이동, 또 유지를 행했다. 도면 중 4'는 단부로 이동시켰을 때의 지지 부재를 나타낸다. A fourth embodiment is shown in FIG. This embodiment also improves the illuminance distribu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similarly to the third embodiment. As shown in Fig. 9 (a), the support member was disposed at the center portion during transport, and moved to the end portion during lighting, and moved and held by magnetic force. 4 'in the figure shows the supporting member when moved to the end.

도 9(b)는, 수송시에 중앙 부근에 지지 부재를 유지했을 때의 모양이다. 지지 부재(4)의 일부에는 강자성체(9)를 고정했다. 구체적으로는,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석영 유리제의 지지 부재(4)에 구멍(41)을 뚫고, 강자성체(9)인 니켈선을 감았다. 그리고, 외측관(22) 밖에 유지재(6)(영구 자석)를 배치하여, 지지 부재(4)를 유지했다. 유지재(6)는 방전 용기(2) 또는 램프의 중앙 부근에 곤포재와 함께 수평으로 곤포된다. Fig. 9B is a view when the supporting member is held near the center at the time of transportation. The ferromagnetic material 9 was fixed to a part of the support member 4.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0A, a hole 41 was drilled through the support member 4 made of quartz glass, and a nickel wire, which is a ferromagnetic material 9, was wound. And the holding material 6 (permanent magnet) was arrange | positioned outside the outer side pipe | tube 22, and the support member 4 was hold | maintained. The holding material 6 is packed horizontally with the packing material near the center of the discharge container 2 or the lamp.                     

수송 중에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지지 부재는 자력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에 중앙부 부근으로부터 이동하지 않고, 또 내측관이 휘어져도 지지 부재가 외측관과 접촉함으로써, 방전 용기는 파손되지 않는다. 램프를 점등시키는 경우는, 유지 부재의 자력을 사용해 방전 공간에서 벗어난 장소로 이동시키거나, 자석을 뺀 뒤 램프를 기울어지게 해 지지 부재를 방전 공간에서 벗어난 장소로 이동시켜, 그 위치에서 다시 자력에 의해 유지한다. 유지재는 도시하고 있지 않은 베이스의 일부에 끼워 넣도록 고정함으로써, 램프 점등 중에도 지지 부재를 유지할 수 있다. 중앙부 부근은 도 9(c)와 같이 아무것도 없기 때문에, 조도 분포의 저하는 없다. Even if vibrations or impacts are applied during transportation, the support member is held by magnetic force, so that the support member is not moved from the vicinity of the center portion, and the support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tube even if the inner tube is bent, so that the discharge vessel is not damaged. When the lamp is turned on, use the magnetic force of the holding member to move to a place out of the discharge space, or remove the magnet and tilt the lamp to move the supporting member to a place outside the discharge space, and then again to the magnetic force at that position. Maintain by The holding member can be held in a part of the base (not shown) to hold the supporting member even during lamp lighting. Since there is nothing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as shown in Fig. 9C, there is no decrease in illuminance distribution.

지지 부재(4)와 유지재(6)는 자력에 의해 유지할 수 있으면 되기 때문에, 여러가지 형태를 생각할 수 있다. ① 적어도 지지 부재의 일부, 유지재의 일부의 양쪽이 자력을 갖는 재료로 되어 있는 경우, ② 적어도 지지 부재의 일부가 자력을 갖는 재료로 되어 있고, 적어도 유지재의 일부가 강자성체로 되어 있는 경우, ③ 반대로, 적어도 지지 부재의 일부가 강자성체로 되어 있고, 적어도 유지재의 일부가 자력을 갖는 재료로 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Since the support member 4 and the holding material 6 can be held by magnetic force, various forms can be considered. ① At least part of the supporting member and part of the holding material are made of a material having magnetic force. ② At least part of the supporting member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magnetic force, and at least part of the holding material is made of a ferromagnetic material. At least part of the supporting member is made of a ferromagnetic material, and at least part of the holding material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magnetic force.

구체적인 형상으로는, 지지 부재(4), 유지재(6) 전체를 자력을 갖는 재료나 강자성체로 만들거나, 상술한 바와 같이, 석영 유리제의 부재에 구멍을 뚫어 와이어를 통과시키거나(도 10(a)), 지지 부재(4)로서 강자성체(9)를 석영 유리(10)로 덮는 구조로 하거나(도 10(b)), 석영 유리와 자력을 갖는 재료나 강자성체가 혼합한 소결체 등이어도 된다. 당연히, 석영 유리는 별도의 유전체 재료이어도 된다. As a specific shape, the whole support member 4 and the holding material 6 are made of the material or ferromagnetic material which has magnetic force, As mentioned above, it makes a hole through the member made of quartz glass, and passes a wire (FIG. 10 ( a)) or the support member 4 may be a structure in which the ferromagnetic material 9 is covered with the quartz glass 10 (Fig. 10 (b)), or a sintered body in which the quartz glass and a magnetic material or ferromagnetic material are mixed. Naturally, the quartz glass may be a separate dielectric material.                     

자력을 갖는 재료로서는, 영구 자석을 생각할 수 있고, 페라이트 자석, 사마륨 코발트 자석, 알니코 자석을 생각할 수 있다. 표면의 자속 밀도가 높은 쪽이 유지력이 높아 지지 부재를 강고히 고정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강자성 재료로서는, 철, 니켈, 규소강, 퍼멀로이, 상품명으로 알팜·알페·센더스트·퍼민버·이소펌 등의 철계 합금이어도 된다. As a material having magnetic force, a permanent magnet can be considered, and a ferrite magnet, a samarium cobalt magnet, and an alnico magnet can be considered. The higher magnetic flux density on the surface is preferable because the holding force is higher and the support member can be firmly fixed. The ferromagnetic material may be iron, nickel, silicon steel, permalloy, or an iron-based alloy such as Alfam Alpe Sendust Perminver Iso Firm under the trade name.

전체 길이 600,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2000mm의 방전 용기를 완충재와 골판지로 2중으로 곤포한 곤포 용기로, 높이 60cm에서 콘크리트의 지면에 낙하시켜 깨어지는지 여부의 비교를 행했다. 결과를 도 11의 표에 나타낸다. 종래의 도 1의 램프에서는, 전체 길이 1000mm의 방전 용기에서 깨어지는 방전 용기가 2개 나왔다. 그 이상의 길이의 방전 용기에서는 모두 깨어졌다. 그러나, 지지 부재를 설치한 도 3, 도 5(a), 도 8, 도 9의 램프에서는, 길이 1600mm의 방전 용기에서도 깨어지지 않았다. 또한, 도 7의 램프(지지 부재를 3개소 넣은)에서는 길이 2000mm의 방전 용기에서도 깨어지지 않았다. A discharge container having a total length of 600,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and 2000 mm was packaged in a double packing with a cushioning material and corrugated cardboard, and a comparison was made whether or not it was dropped by falling to the ground of concrete at a height of 60 cm. The results are shown in the table of FIG. In the conventional lamp of FIG. 1, two discharge vessels breaking out of the discharge vessel having a total length of 1000 mm came out. All were broken in the discharge vessel of the longer length. However, in the lamps of Figs. 3, 5 (a), 8 and 9 provided with the supporting member, they were not broken even in a discharge vessel having a length of 1600 mm. In addition, in the lamp of FIG. 7 (with three support members), the lamp was not broken even in a discharge vessel having a length of 2000 mm.

본 발명에 의하면, 방전 용기의 중앙부 근방에 내측관과 외측관 간에 지지 부재를 넣음으로써, 충격, 진동에 의해 내측관이 휘어지려 하는 힘을, 지지 부재로 분산시키는 것에 의해 내측관의 휨량을 억제할 수 있고, 엑시머 방전 램프용 방전 용기나 엑시머 방전 램프의 양 단부에 발생하는 응력을 억제하여, 방전 용기의 단부로부터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휨량을 어느 일정치 이하로 억제함으로써 방전 용기의 파손을 막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erting the support member between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near the center of the discharge vessel, the amount of deflection of the inner tube is suppressed by dispersing the force that the inner tube is to bend by the support member by impact and vibration. The stress generated at both ends of the discharge vessel for the excimer discharge lamp and the excimer discharge lamp can be suppressed, and damage from the end of the discharge vessel can be suppressed. Moreover, the damage of a discharge container can be prevented by suppressing curvature amount below a certain fixed value.

Claims (8)

외형이 원통 형상인 외측관과 내측관을 동축에 배치하고, 상기 외측관과 상기 내측관 간에 엑시머 분자를 형성하는 방전용 가스가 봉입되어 양단이 봉해진 중공 원통 형상의 방전 용기를 구비한 엑시머 방전 램프에 있어서,An excimer discharge lamp having a hollow cylindrical discharge vessel in which both ends are sealed by disposing a gas for discharging an excimer molecule between the outer tube and the inner tube and coaxially arranging the outer tube and the inner tube having a cylindrical shape. To 상기 내측관과 상기 외측관 간에 통기구멍을 갖는 지지 부재를 상기 방전 용기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방전 용기 단부로부터 상기 방전 용기 전체 길이의 1/4길이 보다도 중앙 쪽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시머 방전 램프.And a support member having a vent hole between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discharge vess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vessel from the end of the discharge vessel at the center of the discharge vess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내측관 및/또는 상기 외측관과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시머 방전 램프. The excimer discharge lamp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ing member is fixed to the inner tube and / or the outer tub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방전 용기의 관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시머 방전 램프.The excimer discharge lamp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member is movable in the tube axis direction of the discharge vesse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방전 용기의 외부에 설치한 유지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관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시머 방전 램프.The excimer discharge lamp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support member is movable in the tube axis direction by moving the holding member provided outside the discharge vesse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유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자력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시머 방전 램프.The excimer discharge lamp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support member and at least a part of the holding member are made of a material having magnetic for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자력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강자성체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시머 방전 램프.The excimer discharge lamp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t least part of the support member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magnetic force, and at least part of the holding member is made of a ferromagnetic materi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강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자력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시머 방전 램프.The excimer discharge lamp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support member is made of a ferromagnetic material, and at least a part of the holding member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magnetic forc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가 다수 있으며, 상기 지지 부재의 적어도 1개를 상기 방전 용기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방전 용기 단부로부터 상기 방전 용기 전체 길이의 1/4길이 보다도 중앙 쪽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시머 방전 램프.The said support member is many, The quarter of the said discharge container whole length from the said discharge container edge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aid discharge container, The said support member is many. Excimer discharge lamp,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center than the length.
KR1020030065581A 2002-10-18 2003-09-22 Excimer discharge lamp KR10072023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04707 2002-10-18
JP2002304707A JP4029715B2 (en) 2002-10-18 2002-10-18 Excimer discharge lam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392A KR20040034392A (en) 2004-04-28
KR100720239B1 true KR100720239B1 (en) 2007-05-22

Family

ID=32452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5581A KR100720239B1 (en) 2002-10-18 2003-09-22 Excimer discharge lamp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029715B2 (en)
KR (1) KR100720239B1 (en)
TW (1) TWI272637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6415B2 (en) * 2004-06-24 2010-01-13 ウシオ電機株式会社 Light irradiation device
JP4816075B2 (en) * 2005-12-28 2011-11-16 ウシオ電機株式会社 Excimer lamp
JP4730212B2 (en) * 2006-06-01 2011-07-20 ウシオ電機株式会社 Excimer lamp
CN101663730A (en) * 2007-04-18 2010-03-03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lamp
KR101034637B1 (en) * 2008-02-15 2011-05-12 김영보 Micro holes label for fermentative foods vess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200250B2 (en) * 2008-02-21 2013-06-05 オスラム ゲーエムベーハー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lamp with holding disc
KR100992382B1 (en) * 2008-10-27 2010-11-08 주식회사 원익 쿼츠 Excimer lamp
JP5332555B2 (en) * 2008-11-28 2013-11-06 ウシオ電機株式会社 Method for manufacturing double tube fluorescent lamp and double tube fluorescent lamp
KR101999486B1 (en) 2018-07-26 2019-07-11 유니램 주식회사 Base structure of excimer lamp
KR102207678B1 (en) * 2019-04-24 2021-01-26 주식회사 원익큐엔씨 Uv lamp for implant surface treat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9890A (en) * 1993-09-08 1995-04-26 유모토 다이죠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Lamp
KR960012276A (en) * 1994-09-20 1996-04-20 다나카 아키히로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Lamp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9890A (en) * 1993-09-08 1995-04-26 유모토 다이죠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Lamp
KR960012276A (en) * 1994-09-20 1996-04-20 다나카 아키히로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72637B (en) 2007-02-01
JP2004139889A (en) 2004-05-13
JP4029715B2 (en) 2008-01-09
KR20040034392A (en) 2004-04-28
TW200406804A (en) 2004-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0239B1 (en) Excimer discharge lamp
KR100893023B1 (en) Electrodeless discharge lamp and ligh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5187412A (en) Electrodeless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KR100792324B1 (en) Eximer lamp
JP4461707B2 (en) Excimer lamp
EP1708229B1 (en) HID lamp and shroud mounted by clips
JP5200250B2 (en)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lamp with holding disc
JP4730212B2 (en) Excimer lamp
JP2000173544A (en) Short arc mercury lamp
JP4230491B2 (en) Long lamp vessel
US7839066B2 (en) Strengthened arc discharge lamp
JP2006228583A (en) High-pressure discharge lamp
JP4270191B2 (en) Excimer lamp package and excimer lamp discharge container package
JP3938010B2 (en) Excimer lamp device
JP7082498B2 (en) Discharge lamp
JPH11102667A (en) Electrodeless discharge lamp
JP2003257376A (en) Excimer lamp, package thereof, discharge container for excimer lamp and package thereof
JP2007242553A (en) Electrodeless discharge lamp, and luminaire using it
JPH09204903A (en) Metal halide lamp
JP2007059358A (en) Electrodeless discharge lamp
JP4456377B2 (en) Electrodeless discharge lamp device
JP3402074B2 (en) Electrodeless discharge lamp
JP2006252842A (en) High voltage discharge lamp
AU2015258275B1 (en) Ceramic metal halide lamp
JP2009158158A (en) Electrodeless discharge lamp device, and illumination fix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0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1310;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60519

Effective date: 20160823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1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5000014;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70223

Effective date: 2017050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205003393; CORREC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205003393; JUDGMENT (PATENT COURT) FOR CORRECTION REQUESTED 20170518

Effective date: 20170825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200007565;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61013

Effective date: 20170825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200007572;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1013

Effective date: 2017082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30000147;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70926

Effective date: 2017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