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9772B1 - A water-cooled convection roaster - Google Patents

A water-cooled convection roas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9772B1
KR100719772B1 KR1020060089085A KR20060089085A KR100719772B1 KR 100719772 B1 KR100719772 B1 KR 100719772B1 KR 1020060089085 A KR1020060089085 A KR 1020060089085A KR 20060089085 A KR20060089085 A KR 20060089085A KR 100719772 B1 KR100719772 B1 KR 100719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grill
water
steam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90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근진
Original Assignee
이근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진 filed Critical 이근진
Priority to KR1020060089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977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7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자연대류방식의 수냉식 직화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직화구이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본체와,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그릴을 포함한다. 본체의 내부에는 열원이 수용된다. 그릴은 물을 수용하기 위한 물탱크와, 물탱크의 내주측에 설치되는 그릴 파이프를 포함한다. 물탱크의 내주측에는 그릴 파이프가 삽입되도록 구멍이 형성된다. 구멍의 둘레에는 물탱크의 내주면을 내부를 향해 구부려 넣은 지지편이 제공된다. 물탱크의 내주면과 그릴 파이프가 접하는 부분에는 용접부가 형성된다. 그릴의 중심으로부터 최외측에 배치된 그릴 파이프에는 손잡이가 부착된다. 손잡이는 일부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물탱크에는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증기배출수단이 탈착 가능하게 제공된다. 증기배출수단은 본체의 상부와 접촉한다. 본체에는 증기배출수단과 연통하도록 배출구 및 배출 도관이 제공된다. 배출 도관의 하부에는 물받이가 제공된다.Disclosed is a natural convection type water-cooled flame. The roasting machine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upper portion and hav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nd a grill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heat source is accommodated inside the main body. The grill includes a water tank for accommodating water, and a grill pipe install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water tank.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water tank, a hole is formed to insert the grill pipe. A periphery of the hole is provided with a support piece in whic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tank is bent inward. The welded part is formed in the part where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ater tank and the grill pipe contact. A handle is attached to the grill pipe disposed at the outermost side from the center of the grill. The handle is partially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The water tank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steam discharging means for discharging steam. The vapor discharge means is in contact with the top of the body. The body is provided with an outlet and discharge conduit in communication with the vapor discharge means. The bottom of the discharge conduit is provided with a drip tray.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그릴 가열시 내부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그릴의 내구성을 기대할 수 있으며, 그릴의 손잡이 사용이 편리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moothly discharge the steam generated from the inside when the grill is heat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urability of the grill can be expected, the handle of the grill is convenient to use.

직화구이기, 냉각수, 증기, 배출 Fire, coolant, steam, exhaust

Description

자연대류방식의 수냉식 직화구이기{A WATER-COOLED CONVECTION ROASTER}Natural convection type water cooled direct roaster {A WATER-COOLED CONVECTION ROAS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냉식 직화구이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cooled fire mouth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냉식 직화구이기의 단면도,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cooled fire mouth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냉식 직화구이기의 그릴의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grill of the water-cooled l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냉식 직화구이기의 그릴의 단면도,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grill of the water-cooled direct fire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증기배출수단의 단면도,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eam discharge mea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증기배출수단의 증기 배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eam discharge state of the steam discharge means shown in FIG.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증기배출수단의 증기 배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eam discharge state of the steam discharge mean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증기배출수단의 외부 공기 유입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xternal air inflow state of the steam discharge means shown in FIG.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증기배출수단의 증기 배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eam discharge state of the steam discharge mean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증기배출수단의 증기 배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eam discharge state of the steam discharge mean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육류구이기의 분해 사시도, 그리고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eat roas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도 1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육류구이기의 불판의 단면도.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late of the meat grill according to the prior art.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100 : 본체 102 : 물받이100: body 102: drip tray

108 : 배출구 110 : 배출 도관108: outlet 110: discharge conduit

200 : 그릴 210 : 물탱크200: grill 210: water tank

216 : 격벽 220 : 그릴 파이프216: bulkhead 220: grill pipe

224 : 손잡이 300 400, 500, 600 : 증기배출수단224: handle 300 400, 500, 600: steam discharge means

본 발명은 내부에 물이 순환하고 있는 그릴이 가열될 때, 그릴 내부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자연대류방식의 수냉식 직화구이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tural convection type water-cooled fireball for discharging steam generated in the grill to the outside when the grill is circulated with water.

일반적으로, 종래의 육류구이기의 경우에는 육류가 전기, 가스, 숯불 등의 열원에 의해 직접 가열되지 않고 달궈진 석쇠에서 구워지기 때문에, 육류가 익기 전에 육류 하부 표면에 막이 형성되어 지방 유출을 방해하여 담백한 맛을 제공할 수 없었다. 또한, 이러한 육류구이기의 경우에는 음식물이 타는 등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며 석쇠 세척의 어려움이 발생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In general,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meat ball, the meat is grilled on a grilled grill without being directly heated by heat sources such as electricity, gas, and charcoal, so that a film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eat before the meat is cooked, thereby preventing fat leakage. Could not provide taste. In addition, in the case of such meat balls, there are many problems such as the burning of food adversely affects health and difficulty in cleaning the grill.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은 "불판 냉각장치를 구비한 육류구이기(실용신안등록 제175602호)"를 출원한 바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applicant has filed a "meat grill having an unplate cooling devic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175602)".

도 11에는 상기 문헌에 개시된 육류구이기가 분해되어 나타나 있으며, 도 12 에는 이 육류구이기의 불판이 나타나 있다. Fig. 11 shows the meat roaster disclosed in the above document disassembled, and Fig. 12 shows the plate of the meat roaster.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류구이기(80)는, 냉각유체 순환관(1)을 프레임(5)의 내측에 부착시킨 불판(10)과; 불판(10)의 냉각유체 순환관(1)이 연결되는 냉각유체 유입구(11) 및 냉각유체 배출구(13)가 각각 형성되고, 냉각유체 유입구(11) 및 냉각유체 배출구(13)의 사이에 스위치(15)가 부착되는 본체(20)와; 냉각유체 배출구(13)와 연결되어 스위치(15)의 온/오프에 따라 동작이 단속되는 순환펌프(30)와; 순환펌프(30)에 냉각유체를 공급하고 냉각유체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냉각유체를 저장하는 유체탱크(40)와; 유체탱크(40)의 수온을 조절하도록 한 히터(50)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11, the meat roaster 80 includes: a fire plate 10 having a cooling fluid circulation tube 1 attached to an inner side of the frame 5; A cooling fluid inlet 11 and a cooling fluid outlet 13 to which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pipe 1 of the platen 10 is connected are respectively formed, and are switched between the cooling fluid inlet 11 and the cooling fluid outlet 13. A main body 20 to which 15 is attached; A circulating pump 30 connected to the cooling fluid outlet 13 to control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on / off of the switch 15; A fluid tank 40 for supplying a cooling fluid to the circulation pump 30 and storing the cooling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cooling fluid inlet 11; It consists of a heater 50 to adjust the water temperature of the fluid tank 40.

여기에서, 불판(10)은 본체(20)의 상부에 거치되어 육류를 받쳐준다. 불판(10)은 냉각유체 순환관(1)을 장방형의 프레임(5) 내측에 부착하여 구성된다. 냉각유체 순환관(1)은 유체가 흐르는 관체를 반복 굴절시켜 등간격으로 배열함으로써 형성된다. 냉각유체 순환관(1)은 선단 양측이 프레임(5)의 측면을 통해 각각 돌출됨에 따라 본체(20)에 결합된다.Here, the fire plate 10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20 to support the meat. The baffle plate 10 is configured by attaching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pipe 1 to the inside of the rectangular frame 5.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pipe 1 is formed by repeatedly refracting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fluid and arranging them at equal intervals. Cooling fluid circulation pipe (1) is coupled to the main body 20 as both ends of the protruding through the side of the frame (5).

본체(20)에는 숯불용기(120)의 내장공간이 제공되고, 불판(10)이 거치된다. 본체(20)의 한쪽면에는 냉각유체 유입구(11) 및 냉각유체 배출구(13)가 각각 형성된다. 냉각유체 유입구(11) 및 냉각유체 배출구(13)에는 냉각유체 순환관(1)의 선단이 각각 연결된다. 냉각유체 유입구(11) 및 냉각유체 배출구(13)의 사이에는 스위치(15)가 부착된다. 스위치(15)는 전원공급라인과 연결되어 순환펌프(30)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한다. The main body 20 is provided with a built-in space of the charcoal container 120, the fire plate 10 is mounted. Cooling fluid inlet 11 and cooling fluid outlet 13 are formed on one side of main body 20, respectively. The front end of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pipe 1 is connected to the cooling fluid inlet 11 and the cooling fluid outlet 13, respectively. A switch 15 is attached between the cooling fluid inlet 11 and the cooling fluid outlet 13. The switch 15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line to interrupt the power supplied to the circulation pump 30.

유체탱크(40)는 불판(10)의 냉각유체 순환관(1)으로 냉각유체를 공급하는 것으로, 호스(31)에 의해 순환펌프(30)와 연결된다. 유체탱크(40)의 한쪽은 본체(20)의 냉각유체 유입구(11)와 연결되고, 다른 쪽에는 내부에 플로우트 밸브(32)를 구비한 급수부(33)가 형성된다. 급수부(33)는 호스(31)를 통해 외부의 용수공급수단과 연결된다. 플로우트 밸브(32)의 개폐에 따라 급수 및 단수가 조절됨으로써, 유체탱크(40)의 냉각유체의 양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The fluid tank 40 supplies the cooling fluid to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pipe 1 of the fire plate 10 and is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pump 30 by a hose 31. One side of the fluid tank 40 is connected to the cooling fluid inlet 11 of the main body 20, and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33 having a float valve 32 therein. The water supply part 33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water supply means through the hose 31. By adjusting the water supply and the number of stages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loat valve 32, the amount of cooling fluid of the fluid tank 40 is kept constant.

또한, 유체탱크(40)에는 벨로우즈(40A,40B)가 형성된다. 벨로우즈(40A,40B)는 유체탱크(40)에 신축성을 부여함으로써 유체탱크(40)가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유체탱크(40)의 내부에는 히터(50)가 구비된다. 히터(50)는 유체탱크(40)에 저장된 냉각유체를 가열한다. 이는, 육류구이기의 작동 초기에 불판(10)이 가열되는 데에 긴 시간이 걸리지 않게 하고, 사용 중에 불판(10)이 지나치게 냉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bellows 40A and 40B are formed in the fluid tank 40. The bellows 40A, 40B provides the fluid tank 40 with flexibility so that the fluid tank 40 can be easily installed. The heater 50 is provided inside the fluid tank 40. The heater 50 heats the cooling fluid stored in the fluid tank 40. This is to avoid taking a long time for the platen 10 to be heated in the early stage of operation of the meat grill, and to prevent the platen 10 from being excessively cooled during use.

도면 중 미설명 부호 5A는 불판(10)의 손잡이이고, 부호 34는 수도관에 연결되는 호스이다. 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5A denotes a handle of the fire plate 10, and reference numeral 34 denotes a hose connected to the water pipe.

이와 같이 구성된 육류구이기의 작동을 살펴보면, 본체(20)의 상부에 불판(10)을 올려놓아 냉각유체 순환관(1)의 선단이 냉각유체 유입구(11) 및 냉각유체 배출구(13)에 각각 연결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스위치(15)가 온상태로 전환되며, 유체탱크(40)의 내부의 물이 불판(10)에 공급된다. 그러면, 냉각유체는 냉각유체 순환관(1)을 경유한 후, 유체탱크(40)의 내부로 되돌아간다. 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meat gril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by placing the fire plate 1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20, the front end of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pipe 1 is connected to the cooling fluid inlet 11 and the cooling fluid outlet 13, respectively Be sure to Accordingly, the switch 15 is turned on, and the water inside the fluid tank 40 is supplied to the fire plate 10. Then, the cooling fluid returns to the inside of the fluid tank 40 after passing through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pipe 1.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육류구이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meat ball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d the following problems.

육류를 조리하는 동안에는 불판(10)을 계속 가열하므로, 냉각유체 순환관(1)의 내부를 흐르는 냉각유체는 과열되어 증기를 발생한다. 그 결과, 냉각유체 순환관(1)의 냉각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또한, 이 증기는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므로 냉각유체 순환관(1)의 내부 압력을 상승시킨다. 그래서, 냉각유체 순환관(1)의 내부에는 냉각유체가 원활하게 유입되지 못한다. 따라서, 이로 인해서도 냉각유체 순환관(1)의 냉각효과가 떨어진다. Since the fire plate 10 is continuously heated while cooking meat, the cooling fluid flowing inside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pipe 1 is overheated to generate steam. As a result, the cooling effect of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pipe 1 is lowered. In addition, since the steam does not escape to the outsid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pipe 1 is increased. Thus, the cooling fluid does not flow smoothly into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pipe (1). Therefore, this also lowers the cooling effect of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pipe (1).

또한, 구조가 복잡하고 부피가 커서 설치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펌프나 히터 등의 장치가 추가로 구비되어 고장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in the installation of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bulky, and a device such as a pump or a heater is additionally provided, which includes a problem of failure.

한편, 도 12를 참조하여 불판(10)의 단면을 살펴보면, 냉각유체 순환관(1)이 프레임(5)의 내측에 설치된 구조를 알 수 있다. 즉, 프레임(5)의 내측면에 구멍을 뚫은 후, 그 구멍에 냉각유체 순환관(1)을 끼워 넣어 용접하였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the cross section of the bull plate 10 with reference to Figure 12, it can be seen that the structure of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pipe 1 is installed inside the frame (5). That is, after making a hole in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5,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pipe 1 was inserted in the hole and welded.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육류구이기(80)의 불판(10)의 경우에는, 용접에 의해서만 결합하기 때문에 냉각유체 순환관(1)이 프레임(5)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용접 부위에 부식이 발생하면 프레임(5)과 냉각유체 순환관(1)이 서로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plate 10 of the meat ball 80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pipe 1 is not firmly fixed to the frame 5 because it is coupled only by welding. In addition, when corrosion occurs in the welding sit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frame 5 and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tube 1 are eas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또한, 불판(10)의 손잡이(5A)는 불판(10)의 상부로 돌출되어 있어서, 옷이 걸리거나 음식물 이동에 방해되는 등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였다. In addition, the handle 5A of the fire plate 10 protrude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e plate 10, causing inconvenience to the user, such as being caught by clothing or preventing food from mov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그릴 가열시 그릴 내부에 흐르는 물이 증기로 변화될 경우, 그 증 기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하기 위한 자연대류방식의 수냉식 직화구이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ater flowing inside the grill when the grill is changed to steam, natural convection to smoothly discharge the steam to the outside It is to provide a water-cooled broiler of the method.

또한,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그릴의 내구성 증대를 위해 그릴의 결합구조를 개선한 자연대류방식의 수냉식 직화구이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In addition,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cooled roasting roaster of the natural convection method to improve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grill to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grill.

또한,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해 그릴의 손잡이 설치구조를 개선한 자연대류방식의 수냉식 직화구이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In addition, 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cooled direct roaster of a natural convection method to improve the handl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grill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또한,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펌프나 히터 등을 없애고 간편한 구조를 제공하여 고장의 우려를 감소시킨 자연대류방식의 수냉식 직화구이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In addition, the four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atural convection type water-cooled roasting roaster that reduces the risk of failure by providing a simple structure without the pump or heater.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수냉식 직화구이기는,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the water-cooled ro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연료를 공급받아 열을 가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열원을 수용하기 위해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본체; 및 A main body having an upper portion open to receive fuel and heat and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for accommodating a heat source; And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고,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증기배출수단이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루프(loop)형 물탱크, 및 물탱크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물탱크의 내주측에 설치된 그릴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그릴을 포함한다. It is arrang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the vapor discharge means for discharging the steam is provided detachably and install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water tank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and a loop-type water tank hav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nd a grill made of grill pipes.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증기배출수단은, 물탱크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설치되며 일단부가 본체와 접촉하는 물탱크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배출관과, 물탱크의 외측으로 돌출된 배출관의 일단부에 결합하며 배출공을 갖는 캡과, 배출관을 개폐 하도록 배출관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배출관의 내면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부체, 및 부체를 탄성 지지하도록 캡과 부체 사이에 제공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Steam discharging mean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ior of the water tank, one end of the discharge pipe protruding out of the water tank in contact with the main body, and coupled to one end of the discharge pipe protruding out of the water tank And a cap having a discharge hole, a floating body provided to be movable inside the discharge pipe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ipe, and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and a spring provided between the cap and the floating body to elastically support the floating pipe.

바람직하게는, 물탱크의 내부에 위치한 배출관의 단부의 지름이 부체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된다.Preferably, the diameter of the end of the discharge pipe located inside the water tank is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loating body.

바람직하게는, 배출관은 물탱크의 내부의 증기만을 배출하기 위해서, 물탱크의 내부에 위치한 배출관의 단부가 물탱크의 상면에 근접하도록 설치된다. Preferably, the discharge pipe is installed so that the end of the discharge pipe located inside the water tank is clos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so as to discharge only the steam in the water tank.

바람직하게는, 배출관의 지름이 좁아진 부분에 접촉하는 부체의 외주에는 패킹이 설치된다. Preferably, a packing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loating body in contact with the portion where the diameter of the discharge pipe is narrowed.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증기배출수단은, 물탱크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설치되며 일단부가 본체와 접촉하는 물탱크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너트와, 너트에 결합하며 중심축을 따라 배출공이 형성되는 볼트와, 일단부가 배출공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고 볼트의 외측에 배치되고 타단부가 배출공의 내면과 간격을 두고 배출공에 삽입되는 제 1 샤프트와, 일단부가 제 1 샤프트의 타단부에 결합하고 타단부가 배출공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고 물탱크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 2 샤프트와, 제 1 및 제 2 샤프트를 볼트에 대해 탄성 지지하도록 제 2 샤프트의 외주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Steam discharg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ior of the water tank and one end protruding out of the water tank in contact with the main body, the bolt coupled to the nut and the discharge hole is formed along the central axis and A first shaft having one en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discharge hole and disposed outside the bolt and the other end inserted into the discharge hole at interval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hole, and one e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haft; The second end has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discharge hole and includes a second shaft disposed inside the water tank, and a spring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shaft to elastically support the first and second shafts against the bolt.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샤프트에는 중심축을 따라 관통공이 형성되고, 제 1 샤프트의 관통공의 내부에는 지지단이 형성되고 지지단에 걸리도록 볼 패킹이 삽입되며 볼 패킹을 탄성 지지하도록 스프링이 설치된다. Preferably,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shafts along the central axis, and support ends are formed in the through holes of the first shaft, and ball packings are inserted to be caught by the support ends, and springs elastically support the ball packings. This is installed.

바람직하게는, 너트와 볼트 사이에는 패킹이 설치된다.Preferably, a packing is installed between the nut and the bolt.

바람직하게는, 볼트의 외측에 위치한 제 1 샤프트의 외주에는 패킹이 설치된다. Preferably, a packing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shaft located outside of the bolt.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증기배출수단은, 물탱크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설치되며 일단부가 본체와 접촉하는 물탱크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너트와, 너트의 내측에 결합하고 어느 한쪽의 단부가 막혀 있으며 그 막힌 단부에 배출공이 형성되는 실린더를 포함한다. Steam discharg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ior of the water tank, one end of the nut protrudes out of the water tank in contact with the main body,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nut and one end is blocked And a cylinder in which a discharge hole is formed at the closed end thereof.

바람직하게는, 실린더는 물탱크의 내부의 증기만을 배출하기 위해서, 물탱크의 내부에 위치한 실린더의 단부가 물탱크의 상면에 근접하도록 설치된다. Preferably, the cylinder is installed so that the end of the cylinder located inside the water tank is clos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so as to discharge only the steam inside the water tank.

바람직하게는, 본체의 상부의 한쪽에는 증기배출수단과 연통하도록 배출구가 제공되고, 본체의 내부에는 배출구로부터 본체의 하부로 이어지도록 배출 도관이 제공된다. Preferably, one of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team discharge means, and the discharge conduit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to run from the discharge port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바람직하게는, 본체의 하부에는 물받이가 구비된다. Preferably, the bottom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drip tray.

바람직하게는, 물탱크는 루프형으로 주조되거나 사각 및 원형 파이프를 이용해 제작된다. Preferably, the water tank is cast in a loop or made using square and round pipes.

바람직하게는, 물탱크의 내부에는 물탱크의 상면에 근접하도록 격벽이 증기배출수단의 주위에 제공된다. Preferably, inside the water tank, a partition wall is provided around the vapor discharge means so as to be clos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바람직하게는, 물탱크의 내주측에는 그릴 파이프의 외주에 대응하는 형태를 따라 물탱크의 내부를 향해 구부러진 지지편이 형성되고, 그릴 파이프는 외주가 지지편에 의해 지지되어 물탱크의 내부에 삽입되며, 물탱크의 내주측과 그릴 파이프 가 접하는 부분은 용접된다. Preferably, a support piece bent toward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water tank along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grill pipe, and the grill pipe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iece and inserted into the water tank.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water tank and the part where the grille pipe is in contact are welded.

바람직하게는, 그릴의 최외측 그릴 파이프에는 손잡이가 부착되며, 손잡이는 일부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하부로 이동했을 때의 최대 높이가 상기 그릴(200)의 상부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Preferably, a handle is attached to the outermost grill pipe of the grill, and the handle is configur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 portion, and is installed such that the maximum height when moved downward is lower than the upper portion of the grill 200. .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직화구이기에 증기배출수단을 구비함으로써, 그릴 가열시 그릴 내부에 흐르는 물이 증기로 변화될 경우, 그 증기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 steam discharge means because it is a direct grill, when the water flowing inside the grill is changed to steam when the grill is heated, the steam can be smoothly discharged to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그릴 파이프와 물탱크의 용접면적이 넓어져 서로 견고하게 결합하므로, 그릴은 외부 충격에 강해지고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eld area of the grill pipe and the water tank is expanded and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the grill may be strong against external impact and durability may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그릴 사용시 손잡이가 그릴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아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does not protrude to the top of the grill when using the grille can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펌프나 히터 등을 구비하지 않고 간편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고장에 대한 우려가 줄어든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has a simple structure without providing a pump, a heater, or the like, the risk of failure is reduc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직화구이기가 나타나 있으며, 도 3 및 도 4에는 직화구이기의 그릴이 나타나 있다. 1 and 2 illustrate a roast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 and 4 illustrate grills of the roasting machine.

본 발명에 따른 직화구이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104)을 갖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그릴(200)을 포함한다. 본체(100)의 수용공간(104)에는 열원이 수용되며, 상부의 한쪽에는 열원의 화력을 조절 하기 위한 제어 노브(106)가 설치된다. The roast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having an upper portion and having a receiving space 104 therein, and a grill 200 disposed above the main body 100. The heat source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04 of the main body 100, and a control knob 106 for controlling the thermal power of the heat source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그릴(200)은 내부에 수용공간(214)을 갖는 루프형 물탱크(210)와, 물탱크(210)의 내주측에 설치되는 그릴 파이프(220)를 포함한다. 물탱크(210)는 사각 및 원형 파이프를 이용하여 형성되거나 금형에 의해 주조된다. 그릴(200)의 중심으로부터 최외측에 배치된 그릴 파이프(220)에는 손잡이(224)가 부착된다. 손잡이(224)는 상측 일부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하여, 그릴(200)을 들어올리기 위해 손잡이(224)를 사용할 때에만 그릴(200)의 상부로 돌출된다. 반대로, 그릴(200)을 사용하고 있을 때에는, 손잡이(224)의 일부가 하부로 이동했을 때의 최대 높이가 그릴(200)의 상부보다 낮게 위치한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물탱크(210)의 내주측에 링 등의 고정수단을 설치하고, 이 고정수단에 손잡이(224)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본 발명을 숙지한 당업자라면, 기타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손잡이(224)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물탱크(210)에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The grill 200 includes a loop type water tank 210 having a receiving space 214 therein and a grill pipe 220 installed at an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water tank 210. The water tank 210 is formed using square and round pipes or cast by a mold. A handle 224 is attached to the grill pipe 220 disposed at the outermost side from the center of the grill 200. The handle 224 is configured such that the upper portion is movable up and down. Thus, it only protrudes above the grill 200 when using the handle 224 to lift the grill 200. On the contrary, when the grill 200 is used, the maximum height when a part of the handle 224 moves downward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upper portion of the grill 200.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a fixing means such as a ring is install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water tank 210, and the handle 224 is installed on the fixing means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install the handle 224 to the water tank 210 to move up and down using a variety of other methods.

물탱크(210)에는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증기배출수단(300,400,500,600)이 탈착 가능하게 제공된다. 증기배출수단(300,400,500,600)은 물탱크(210)의 저면에 제공되어 본체(100)의 상부에 접촉한다. 이 증기배출수단(300,400,500,600)이 접촉하는 본체(100)의 상부에는 배출구(108)가 제공되며, 이 배출구(108)로부터 본체(100)의 하부로 이어지는 배출 도관(110)이 본체(100)의 내부에 제공된다. 그리고, 배출 도관(110)의 하부에는 물받이(102)가 제공된다. 물론, 증기배출수단(300,400,500,600)은 물탱크(210)의 상면 및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The water tank 210 is provided with a steam discharge means (300, 400, 500, 600) for discharging the steam. Steam discharging means (300, 400, 500, 600)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210 to contact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A discharge port 108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to which the steam discharge means 300, 400, 500, 600 contacts, and a discharge conduit 110 extending from the discharge hole 108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It is provided inside. And a drip tray 102 is provided below the discharge conduit 110. Of course, the vapor discharge means (300, 400, 500, 60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and side of the water tank (210).

물탱크(210)에서 증기배출수단(300,400,500,600)을 떼어낸 자리에는 구멍이 나타나는데, 이 구멍을 통해 물탱크(210)의 내부로 물을 주입한다. 즉, 증기배출수단(300,400,500,600)을 물탱크(210)에서 분리한 후, 물탱크(210)의 저면을 위로 향하게 하여 물을 주입한다. 그 다음, 물탱크(210)를 다시 뒤집어 그 저면을 아래로 향하게 하고, 물탱크(210)의 저면에 증기배출수단(300,400,500,600)을 장착하고나서 본체(100)에 올려 사용한다. 따라서, 직화구이기에는 물 주입을 위한 펌프가 구비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직화구이기는 히터도 구비하지 않아서 간편한 구조를 갖는다. A hole appears in the place where the steam discharge means 300, 400, 500, 600 is removed from the water tank 210, and water is injected into the water tank 210 through the hole. That is, after separating the steam discharging means (300, 400, 500, 600) from the water tank 210, water is injected to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210 facing upward. Then, the water tank 210 is turned upside down and its bottom face down, and the vapor discharge means (300, 400, 500, 600) is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210) and then used on the main body (100). Therefore, the direct fire tool does not have to be provided with a pump for water injection. In addition, the ro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a heater and has a simple structure.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그릴 파이프(220)는 단부가 물탱크(210)의 내부로 삽입되어, 물탱크(210)와 접하는 부분에서 용접된다. 물탱크(210)의 내주측에는 그릴 파이프(220)의 외주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멍이 형성되는데, 이 구멍은 물탱크(210)의 내주면을 내부를 향해 구부려 넣음으로써 형성된다. 그리하여, 이 구멍의 둘레를 따라 물탱크(210)의 내부를 향해 지지편(218)이 제공된다. 지지편(218)은 물탱크(210)의 내부로 삽입된 그릴 파이프(220)를 지지한다. 물탱크(210)의 내주면과 그릴 파이프(220)가 접하는 부분에는 용접부(242)가 형성된다. 용접시, 물탱크(210)의 지지편(218)을 따라 용접액이 흘러들어가므로, 물탱크(210)와 그릴 파이프(220)는 더욱 견고하게 결합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4, the grill pipe 220 has an end portion inserted into the water tank 210 and welded at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water tank 210. Holes are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water tank 210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grill pipe 220, which is formed by bend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tank 210 inward. Thus, the support piece 218 is provided toward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210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is hole. The support piece 218 supports the grill pipe 220 inserted into the water tank 210. A weld 242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tank 210 and the grill pipe 220 contact each other. During welding, since the welding liquid flows along the support piece 218 of the water tank 210, the water tank 210 and the grill pipe 220 are more firmly coupled.

도 5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배출수단(300,400,500,600)의 실시 예들이 나타나 있다. 5 to 10 show embodiments of the vapor discharge means (300, 400, 500,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증기배출수단(300)이 나타 나 있다. 5 and 6 illustrate a steam discharge means 3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증기배출수단(300)은, 물탱크(210)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배출관(302)과, 물탱크(210)의 외측으로 돌출된 배출관(302)의 단부에 결합되는 캡(304)과, 배출관(302)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부체(306), 및 부체(306)를 탄성 지지하도록 제공되는 스프링(308)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team discharging means 300 is coupled to the discharge pipe 302 which is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ior of the water tank 210, and the end of the discharge pipe 302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210 A cap 304, a body 306 movably provided inside the discharge pipe 302, and a spring 308 provid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body 306.

배출관(302)은 물탱크(210)의 저면을 통해 물탱크(210)의 내부로 삽입된다. 물탱크(210)의 내부에 삽입된 배출관(302)의 상단부는 물탱크(210)의 상면에 근접하도록 설치된다. 이는, 배출관(302)의 상단부가 물(L)보다 높게 위치해야 증기(V)만 배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배출관(302)의 상부는 지름이 축소된다. 배출관(302)의 내부에는 부체(306)가 제공된다. 부체(306)는 배출관(302)의 내면과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부체(306)는 배출관(302)의 상부를 개폐함으로써 유로를 제공한다. 부체(306)의 상부에는 패킹(310)이 설치되어 배출관(302)과 부체(306) 사이에서 기밀을 유지한다. The discharge pipe 302 is inserted into the water tank 210 through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210.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pipe 302 inserted into the water tank 210 is installed to be clos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210. This is because only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pipe 302 is located above the water (L) can discharge the steam (V). On the other hand, the diameter of the upper portion of the discharge pipe 302 is reduced. A float 306 is provided inside the discharge pipe 302. The floating body 306 is disposed at an interval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302. The floating body 306 provides a flow path by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discharge pipe 302. A packing 31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loating body 306 to maintain airtightness between the discharge pipe 302 and the floating body 306.

또한, 배출관(302)의 하부는 물탱크(210)의 저면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물탱크(210)의 외부로 돌출된 배출관(302)의 하단부에는 캡(304)이 씌워진다. 캡(304)에는 복수개의 배출공(312)이 제공된다. 부체(306)와 캡(304) 사이에는 스프링(308)이 제공된다. 스프링(308)은 부체(306)의 하부에 제공된 홈(316)에 수용되고, 배출관(302) 내부를 향해 돌출된 캡(304)의 돌출부(314)에 의해 지지된다. 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pipe 302 protrudes outward from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210. The cap 304 is covered with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ipe 302 protruding out of the water tank 210. The cap 304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312. A spring 308 is provided between the float 306 and the cap 304. The spring 308 is received in the groove 316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loating body 306 and supported by the protrusion 314 of the cap 304 protruding toward the discharge pipe 302.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증기배출수단(300)의 작동을 설명한다. 6, the operation of the steam discharge means 3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그릴(200)을 오랫동안 가열하면, 물탱크(210)와 그릴 파이프(220)의 내부에 흐르는 물(L)이 가열되어 그 일부가 증기(V)로 변한다. 시간이 지나면서 증기(V)가 계속 발생하여, 물탱크(210)와 그릴 파이프(220)의 내부 기압은 증가한다. 물탱크(210)와 그릴 파이프(220)의 내부의 기압이 일정 기압 이상이 되면, 그 기압에 의해 부체(306)가 하부로 밀려 증기(V)가 물탱크(210)의 외부로 빠져나간다. 즉, 그릴(200)을 가열함에 따라 그릴(200)의 내부의 기체 압력이 부체(306)를 지지하는 스프링(308)의 힘보다 커지면, 부체(306)가 스프링(308)을 밀면서 하부로 이동한다. 그래서, 배출관(302)의 내부의 유로가 열리면, 증기(V)가 캡(304)의 배출공(312)을 통해 물탱크(210)의 외부로 빠져나간다. 이후, 그릴(200) 내부의 기체 압력이 감소하여 부체(306)를 지지하는 스프링(308)의 힘보다 작아지면, 부체(306)가 상승하여 배출관(302)의 내부의 유로를 폐쇄한다. When the grill 200 is heated for a long time, the water L flowing inside the water tank 210 and the grill pipe 220 is heated to change a portion of the grill 200 into steam V. Steam (V) continues to generate over tim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water tank 210 and the grill pipe 220 increases. When the air pressure inside the water tank 210 and the grill pipe 220 is above a predetermined air pressure, the body 306 is pushed downward by the air pressure, and the steam V escapes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210. That is, when the grill 200 heats up, when the gas pressure inside the grill 200 becomes greater than the force of the spring 308 supporting the float 306, the float 306 moves downward while pushing the spring 308. do. Thus, when the flow path inside the discharge pipe 302 is opened, the steam (V)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210 through the discharge hole 312 of the cap 304. Then, when the gas pressure inside the grill 200 decreases to be smaller than the force of the spring 308 supporting the body 306, the body 306 rises to close the flow path inside the discharge pipe 302.

직화구이기를 사용하는 동안, 증기배출수단(300)의 상기와 같은 작동은 반복된다. While using the roasting machine, the above operation of the vapor discharge means 300 is repeated.

도 7 및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증기배출수단(400)이 나타나 있다. 7 and 8 illustrate a steam discharge means 4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증기배출수단(400)은, 물탱크(210)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너트(402)와, 너트(402)에 결합하며 중심축에 배출공(406)이 형성된 볼트(404)와, 볼트(404)의 배출공(406)을 통과하여 설치되는 제 1 및 제 2 샤프트(410,412), 및 제 1 및 제 2 샤프트(410,412)를 볼트(404)에 대해 탄성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42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team discharging means 400, the nut 402 is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ior of the water tank 210, the bolt coupled to the nut 402 and the discharge hole 406 is formed in the central axis ( 404, elastically supporting the first and second shafts 410, 412, and the first and second shafts 410, 412, which are install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406 of the bolt 404, with respect to the bolt 404. A spring 420.

너트(402)는 물탱크(210)의 저면을 통해 물탱크(210)의 내부로 일부 삽입되어 고정된다. 너트(402)에는 물탱크(210)의 외측에서 볼트(404)가 결합된다. 너트(402)와 볼트(404) 사이에는 패킹(414)이 설치된다. 볼트(404)는 중심축을 따라 관통된 배출공(406)을 갖는다. 물탱크(210)의 내부를 향하고 있는 볼트(404)의 상부의 한쪽에는 배출공(406)과 연통하도록 통기공(416)이 제공된다. 통기공(416)과 배출공(406)은 이어져 증기가 통과하는 유로를 형성한다. The nut 402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water tank 210 and fixed through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210. The nut 402 is coupled to the bolt 404 on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210. A packing 414 is installed between the nut 402 and the bolt 404. The bolt 404 has a discharge hole 406 penetrated along the central axis. A vent 416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olt 404 facing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210 to communicate with the discharge hole 406. The ventilation hole 416 and the discharge hole 406 are connected to form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steam passes.

배출공(406)에는 제 1 및 제 2 샤프트(410,412)가 배출공(406)을 통과하여 동축상으로 설치된다. 제 1 및 제 2 샤프트(410,412)는 배출공(406)의 내면과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제 1 샤프트(410)의 하단부는 배출공(406)보다 큰 지름을 갖고 볼트(404)의 하부 외측에 배치되며, 배출공(406)을 개폐한다. 제 1 샤프트(410)의 하단부에는 패킹(418)이 설치되어 배출공(406)의 기밀을 유지한다. 제 1 샤프트(410)의 상단부에는 제 2 샤프트(412)의 하단부가 결합되어 배출공(406)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 2 샤프트(412)는 일부가 볼트(404)의 상부로 돌출되어 물탱크(2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 2 샤프트(412)의 상단부는 배출공(406)보다 큰 지름을 갖는다. 제 2 샤프트(412)의 외주에는 스프링(420)이 설치된다. 스프링(420)은 제 2 샤프트(412)의 상단부와 볼트(404)의 상면 사이에 위치한다. In the discharge hole 406, first and second shafts 410 and 412 pass through the discharge hole 406 and are installed coaxially. The first and second shafts 410 and 412 are installed at interval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hole 406. The lower end of the first shaft 410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discharge hole 406 and is disposed outside the lower portion of the bolt 404, and opens and closes the discharge hole 406. A packing 418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shaft 410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of the discharge hole 406.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haft 412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shaft 410 and disposed in the discharge hole 406. A portion of the second shaft 412 protrude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lt 404 and is disposed in the water tank 210.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haft 412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discharge hole 406. A spring 420 is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shaft 412. The spring 420 is locat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haft 412 and the top surface of the bolt 404.

또한, 제 1 샤프트(410) 및 제 2 샤프트(412)에는 중심축을 따라 각각 관통공(422,424)이 형성된다. 제 1 샤프트(410)의 관통공(422)의 내부에는 지지단(426)이 제공되고, 이 지지단(426)의 상측에 볼 패킹(428)이 삽입되며, 볼 패킹(428)의 상측에 스프링(430)이 설치된다. 볼 패킹(428)은 제 1 샤프트(410)의 관통공(422) 을 개폐한다. 스프링(430)은 볼 패킹(428)과 제 2 샤프트(412)의 하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볼 패킹(428)을 탄성 지지한다. 제 2 샤프트(412)의 하단부는 제 1 샤프트(410)의 관통공(422) 내부에 배치되어 스프링(430)을 지지한다. In addition, through holes 422 and 424 are formed in the first shaft 410 and the second shaft 412 along the central axis, respectively. A support end 426 is provided inside the through hole 422 of the first shaft 410, and a ball packing 428 is inserted above the support end 426, and above the ball packing 428. Spring 430 is installed. The ball packing 428 opens and closes the through hole 422 of the first shaft 410. The spring 430 is installed between the ball packing 428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haft 412 to elastically support the ball packing 428.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haft 412 is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422 of the first shaft 410 to support the spring 430.

한편, 물탱크(210)의 내부에는 증기배출수단(400)의 주위에 격벽(216)이 제공된다. 격벽(216)은 물탱크(210)의 상면에 근접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격벽(216)의 상단부가 물(L)보다 높게 위치해야 증기(V)만 배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On the other hand, the partition 216 is provided in the water tank 210 around the steam discharge means 400. The partition wall 216 is formed to be clos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210. This is because only the upper end of the partition wall 216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water (L) can discharge the steam (V).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증기배출수단(40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steam discharge means 4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7을 참조하면, 물탱크(210)와 그릴 파이프(220)의 내부의 기체 압력이 제 2 샤프트(412)를 지지하는 스프링(420)의 힘보다 커지면, 제 2 샤프트(412)가 스프링(420)을 밀면서 하부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 제 2 샤프트(412)와 연동하여 제 1 샤프트(410)가 하부로 밀려서, 볼트(404)의 배출공(406)을 개방한다. 그러면, 증기가 볼트(404)의 통기공(416)을 지나 배출공(406)을 통해 물탱크(210)의 외부로 빠져나간다. 이후, 그릴(200) 내부의 기체 압력이 감소하여 제 2 샤프트(412)를 지지하는 스프링(420)의 힘보다 작아지면, 제 2 샤프트(412)가 상승하며, 이에 따라 제 1 샤프트(410)가 상승하여 배출공(406)을 폐쇄한다. Referring to FIG. 7, when the gas pressure inside the water tank 210 and the grill pipe 220 is greater than the force of the spring 420 supporting the second shaft 412, the second shaft 412 may be a spring ( 420 moves down while pushing. The first shaft 410 is pushed downward in conjunction with the second shaft 412 to open the discharge hole 406 of the bolt 404. Then, the steam passes through the vent hole 416 of the bolt 404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210 through the discharge hole 406. Thereafter, when the gas pressure inside the grill 200 decreases to be smaller than the force of the spring 420 supporting the second shaft 412, the second shaft 412 is raised, and thus the first shaft 410 is increased. Rises to close the discharge hole 406.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그릴(200)의 가열을 정지하여 그릴(200) 내부의 기체 압력이 감소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증기배출수단(400)은 외부 공기를 그릴(200)의 내부로 공급한다. 즉, 그릴(200)의 내부의 기체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지면, 볼 패킹(428)이 스프링(430)을 밀어 제 1 샤프트(410)의 관통공(422) 을 개방한다. 그러면, 외부 공기가 제 1 샤프트(410) 및 제 2 샤프트(412)의 관통공(422,424)을 통해 그릴(200) 내부로 들어간다. 이후, 그릴(200) 내부의 기체 압력이 대기압 이상이 되면, 스프링(4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볼 패킹(428)이 제 1 샤프트(410)의 관통공(422)을 폐쇄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8, when the gas pressure inside the grill 200 is reduced by stopping heating of the grill 200, the vapor discharge means 4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raws outside air. It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200). That is, when the gas pressure inside the grill 200 is lower than atmospheric pressure, the ball packing 428 pushes the spring 430 to open the through hole 422 of the first shaft 410. Then, the outside air enters the grill 200 through the through holes 422 and 424 of the first shaft 410 and the second shaft 412. Thereafter, when the gas pressure inside the grill 20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tmospheric pressure, the ball packing 428 closes the through hole 422 of the first shaft 410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430.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증기배출수단(500)이 나타나 있으며,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증기배출수단(600)이 나타나 있다. 9 shows a steam discharging means 5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shows a steam discharging means 6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증기배출수단(500)은, 물탱크(210)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너트(502)와, 너트(502)의 내측에 결합하는 실린더(504)를 포함한다. 9, the vapor discharge means 500 includes a nut 502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210, and a cylinder 504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nut 502.

너트(502)는 물탱크(210)의 저면을 통해 물탱크(210)의 내부로 일부 삽입되어 고정된다. 실린더(504)는 너트(502)의 내측에 결합하여 물탱크(210)의 내부로 삽입된다. 물탱크(210)의 내부에 삽입된 실린더(504)의 상단부는 물탱크(210)의 상면에 근접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실린더(504)의 상단부는 막혀 있는데, 그 막힌 상단부에는 복수개의 배출공(506)이 형성된다. 한편, 물탱크(210)의 내부에는 증기배출수단(500)의 주위에 격벽(216)이 제공된다.The nut 502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water tank 210 and fixed through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210. The cylinder 504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nut 502 and inserted into the water tank 210. An upper end of the cylinder 504 inserted into the water tank 210 is installed to be clos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210.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cylinder 504 is blocked,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506 are formed in the blocked upper end. On the other hand, the partition 216 is provided in the water tank 210 around the steam discharging means 500.

한편, 도 10에 도시된 증기배출수단(60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증기배출수단(500)과 유사하다. 증기배출수단(600)은, 물탱크(210)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너트(602)와, 너트(602)의 내측에 결합하는 실린더(604)를 포함한다. 여기서, 실린더(604)는 하단부가 막혀 있으며, 그 막힌 하단부에는 복수개의 배출공(606)이 형성된다. 한편, 물탱크(210)의 내부에는 증기배출수단(600)의 주위에 격벽(216)이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the steam discharging means 600 shown in FIG. 10 is similar to the steam discharging means 5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por discharge means 600 includes a nut 602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210, and a cylinder 604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nut 602. Here, the lower end of the cylinder 604 is blocked,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606 are formed in the closed lower end. On the other hand, the partition 216 is provided in the water tank 210 around the steam discharging means 600.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및 제 4 실시 예에 따른 증기배출수단(500,60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9 and 10, the operation of the steam discharge means (500, 600) according to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그릴(200)을 가열함에 따라, 그릴(200) 내부에는 증기가 발생하여 그릴(200) 내부의 기압이 증가한다. 그러면, 증기(V)는 기압이 낮은 쪽으로 이동하므로, 실린더(504,604)의 배출공(506,606)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간다. As the grill 200 is heated, steam is generated in the grill 200 to increase the air pressure in the grill 200. Then, since the steam V moves to a lower air pressure, the steam V exits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holes 506 and 606 of the cylinders 504 and 604.

한편, 도시하지 않았으나, 증기배출수단(300,400,500,600)은 물탱크(210)의 상부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vapor discharge means (300, 400, 500, 600) may be installed on the top or side of the water tank (21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여러 가지 실시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various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possibl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을 태우지 않고 익힐 수 있으며, 그릴 가열시 그릴 내부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그리하여, 그릴 내부에 흐르는 물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고, 그릴 내부로 물을 원활하게 유입시킬 수 있으므로, 그릴을 사용하는 동안 그릴의 냉각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cooked without burning food, and can smoothly discharge steam generated inside the grill when the grill is heated. Thus,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flowing inside the grill can be maintained, and water can be smoothly introduced into the grill, so that the cooling effect of the grill can be maintained while using the grill.

또한, 증기가 본체의 하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직화구이기를 사용하는 동안 주위가 오염되거나, 증기로 인해 사용자가 델 우려가 없다. In addition, since the steam is discharged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there is no fear that the surroundings may be contaminated while using the roasting grill, or the user may be lost due to the steam.

또한, 본체의 하부에 모인 증기가 상승하여 음식물의 표면에 수분을 제공하므로, 음식물이 촉촉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vapor collec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to provide moisture to the surface of the food, the food can be kept in a moist state.

또한, 그릴 파이프와 물탱크가 견고하게 결합하므로 그릴은 외부 충격에 강해지고 그릴의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으며, 그릴 사용시 손잡이가 그릴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아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grill pipe and the water tank are firmly coupled, the grill is resistant to external impact and the durability of the grill may be increased, and the handle may not be protruded to the top of the grill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또한, 펌프나 히터 등을 없애고 간편한 구조의 직화구이기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irect roaster of a simple structure without the pump or heater.

Claims (18)

연료를 공급받아 열을 가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열원을 수용하기 위해 내부에 수용공간(104)을 갖는 본체(100); 및A main body 100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to receive fuel and being heated and having a receiving space 104 therein for receiving a heat source; And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배치되고,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증기배출수단(300,400,500,600)이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며 내부에 수용공간(214)을 갖는 루프(loop)형 물탱크(210), 및 상기 물탱크(210)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물탱크(210)의 내주측에 설치된 그릴 파이프(220)로 이루어지는 그릴(200)을 포함하고,Is disposed above the main body 100, the vapor discharge means for discharging steam (300, 400, 500, 600) is provided detachably and has a loop-type water tank 210 having a receiving space 214 therein, and the It includes a grill 200 consisting of a grill pipe 220 install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water tank 210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ior of the water tank 210, 상기 증기배출수단(400)은, The steam discharge means 400, 상기 물탱크(210)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설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본체(100)와 접촉하는 상기 물탱크(210)의 외측으로 돌출된 너트(402);A nut 402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210 and having one end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210 in contact with the main body 100; 상기 너트(402)에 결합되며, 중심축을 따라 배출공(406)이 구비된 볼트(404); A bolt 404 coupled to the nut 402 and provided with a discharge hole 406 along a central axis; 일단부가 상기 배출공(406)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고 상기 볼트(404)의 외측에 배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배출공(406)의 내면과 간격을 두고 상기 배출공(406)에 삽입된 제 1 샤프트(410);One end is disposed outside the bolt 404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discharge hole 406,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discharge hole 406 at interval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hole 406 First shaft 410; 일단부가 상기 제 1 샤프트(410)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배출공(406)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고 상기 물탱크(210)의 내부에 배치된 제 2 샤프트(412); 및A second shaft 412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haft 410 and the other end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discharge hole 406 and disposed inside the water tank 210; And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샤프트(410,412)를 상기 볼트(404)에 대해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제 2 샤프트(412)의 외주에 설치되며, 상기 물탱크(210)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볼트(404)의 외면과 상기 제 2 샤프트(412)의 타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420)을 포함하며, The bolts 404 are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shaft 412 so as to elastically support the first and second shafts 410 and 412 with respect to the bolts 404. Spring 420 is locat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haft 412, 상기 제 1 및 제 2 샤프트(410,412)에는 중심축을 따라 관통공(422,424)이 각각 제공되고, 상기 제 1 샤프트(410)의 관통공(422)의 내부에는, 지지단(426)이 제공되고 상기 지지단(426)에 걸리도록 볼 패킹(428)이 삽입되며 상기 볼 패킹(428)을 탄성 지지하도록 스프링(43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대류방식의 수냉식 직화구이기. The first and second shafts 410 and 412 are provided with through holes 422 and 424 along a central axis, respectively, and a support end 426 is provided inside the through holes 422 of the first shaft 410. The ball packing 428 is inserted to be caught by the support end 426, and the water-cooled direct-fire type of natural conv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pring 430 is install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ball packing (428).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너트(402)와 상기 볼트(404) 사이에는 패킹(414)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대류방식의 수냉식 직화구이기. The natural convection type water-cooled fired applian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acking (414) is provided between the nut (402) and the bolt (40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트(404)의 외측에 위치한 상기 제 1 샤프트(410)의 외주에는 패킹(418)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대류방식의 수냉식 직화구이기.The natural convection type water-cooled loo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acking (418) is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shaft (410) located outside the bolt (404).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상부의 한쪽에는 상기 증기배출수단(400)과 연통하도록 배출구(108)가 제공되고,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상기 배출구(108)로부터 상기 본체(100)의 하부로 이어지도록 배출 도관(110)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대류방식의 수냉식 직화구이기.According to claim 1, the discharge port 108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to communicate with the vapor discharge means 400,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from the discharge port 108 from the main body ( A natural convection type water-cooled fireb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conduit 110 is provided to lead to the bottom of the 10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는 물받이(10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대류방식의 수냉식 직화구이기. The natural convection type water-cooled fired applian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rip tray (102) is provided under the main body (10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210)는 루프형으로 주조되거나 사각 및 원형 파이프를 이용해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대류방식의 수냉식 직화구이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water tank 210 is a natural convection type water-cooled direct fire, characterized in that produced by using a loop or square and round pip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210)의 내부에는 상기 물탱크(210)의 상면에 근접하도록 격벽(216)이 상기 증기배출수단(400)의 주위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대류방식의 수냉식 직화구이기. The water-convection type of natural convection method of claim 1, wherein a partition wall 216 is provided around the vapor discharge means 400 in the water tank 210 so as to be close to an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210. It's a firebal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210)의 내주측에는 상기 그릴 파이프(220)의 외주에 대응하는 형태를 따라 상기 물탱크(210)의 내부를 향해 구부러진 지지편(218)이 제공되고, 상기 그릴 파이프(220)는 외주가 상기 지지편(218)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물탱크(210)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물탱크(210)의 내주측과 상기 그릴 파이프(220)가 접하는 부분은 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대류방식의 수냉식 직화구이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ner peripheral side of the water tank 210 is provided with a support piece 218 bent toward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210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grill pipe 220, the grill The pipe 220 is inserted into the water tank 210 while the outer circumference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iece 218, and the portion in which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water tank 210 is in contact with the grill pipe 220 is welded. It is a natural convection type water-cooled fired roasting equipme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릴(200)의 최외측 그릴 파이프(220)에는 손잡이(224)가 부착되는데, 상기 손잡이(224)는 일부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하부로 이동했을 때의 최대 높이가 상기 그릴(200)의 상부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대류방식의 수냉식 직화구이기. The outermost grille pipe 220 of the grill 200, the handle 224 is attached, the handle 224 is configured to be movable up and down part, the maximum when moved downward It is a natural convection type water-cooled direct grill,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is installed to be lower than the upper portion of the grill (20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수단(400)은 상기 물탱크(210)의 상부 또는 측면에 장착 가능하며, 상기 증기배출수단(400)을 떼어낸 부분은 물 주입구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대류방식의 수냉식 직화구이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am discharging means 400 can be mounted on the upper side or the side of the water tank 210, the portion from which the steam discharging means 400 is used as a water inlet Convection type water-cooled fire.
KR1020060089085A 2006-09-14 2006-09-14 A water-cooled convection roaster KR1007197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085A KR100719772B1 (en) 2006-09-14 2006-09-14 A water-cooled convection roas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085A KR100719772B1 (en) 2006-09-14 2006-09-14 A water-cooled convection roas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9772B1 true KR100719772B1 (en) 2007-05-18

Family

ID=38277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9085A KR100719772B1 (en) 2006-09-14 2006-09-14 A water-cooled convection roas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977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1875A2 (en) * 2009-05-09 2010-11-18 Kim Yong Jin Portable composite roaster
KR102244828B1 (en) * 2019-10-30 2021-04-27 주식회사 타임이엔씨 Water-cooled grill having steam eruption prevention pip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6102Y1 (en) * 1995-03-21 1998-04-17 이인재 Roaster
KR200178844Y1 (en) 1997-08-19 2000-05-01 전우기 Meat roaster
KR20040080874A (en) * 2003-03-14 2004-09-20 이계진 A apparatus rost of type water- cooling and the method
KR20050109090A (en) * 2004-05-13 2005-11-17 최수산 Grill used in cooking food
KR20190000940U (en) * 2017-10-12 2019-04-22 김태연 ball-chain with prevent separate par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6102Y1 (en) * 1995-03-21 1998-04-17 이인재 Roaster
KR200178844Y1 (en) 1997-08-19 2000-05-01 전우기 Meat roaster
KR20040080874A (en) * 2003-03-14 2004-09-20 이계진 A apparatus rost of type water- cooling and the method
KR20050109090A (en) * 2004-05-13 2005-11-17 최수산 Grill used in cooking food
KR20190000940U (en) * 2017-10-12 2019-04-22 김태연 ball-chain with prevent separate par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1875A2 (en) * 2009-05-09 2010-11-18 Kim Yong Jin Portable composite roaster
WO2010131875A3 (en) * 2009-05-09 2011-03-10 Kim Yong Jin Portable composite roaster
CN102438492A (en) * 2009-05-09 2012-05-02 金龙辰 Portable composite roaster
US8662065B2 (en) 2009-05-09 2014-03-04 Yong Jin Kim Portable composite roaster
KR102244828B1 (en) * 2019-10-30 2021-04-27 주식회사 타임이엔씨 Water-cooled grill having steam eruption prevention pip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2006B1 (en) A water-cooled barbecue system
KR100719772B1 (en) A water-cooled convection roaster
KR100378679B1 (en) A Roaster
KR100809851B1 (en) Roaster
KR200467037Y1 (en) Roaster
KR200408483Y1 (en) Roaster using charcoal fire
KR101639969B1 (en) Device for roasting meat
KR20050042492A (en) Food fryer
CN210383618U (en) Self-cleaning steam cabinet with movable cart
JP4713684B1 (en) Smokeless roaster
KR200216076Y1 (en) Multi useful handy circulatory boiler
KR20160109316A (en) Waste heat recovery type gas cooking device and heating and hot water supply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1754984B1 (en) Ventilation equipment for green bean roasting
KR102039707B1 (en) Steam generating device for crucible and crucible equipped with the device
KR101045571B1 (en) direct fire cooker
KR102389475B1 (en) Exhaust gas exhaust device for cooking pot with hot water supply structure using waste heat
KR200185658Y1 (en) A roaster
JP4757962B1 (en) Smokeless roaster
KR200394005Y1 (en) Fish loaster
KR200378543Y1 (en) A grill
KR20070052380A (en) Roaster using charcoal fire
KR200146910Y1 (en) Meat roaster
KR200419234Y1 (en) Burner apparatus with auto-drain means for high thermal
KR200204881Y1 (en) Oven Range Rack Cooling System
JP2004350907A (en) Food steamer for business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