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9771B1 - 제거형 앵커 - Google Patents

제거형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9771B1
KR100719771B1 KR1020050091856A KR20050091856A KR100719771B1 KR 100719771 B1 KR100719771 B1 KR 100719771B1 KR 1020050091856 A KR1020050091856 A KR 1020050091856A KR 20050091856 A KR20050091856 A KR 20050091856A KR 100719771 B1 KR100719771 B1 KR 100719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ire
wire
wedge
cap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1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6873A (ko
Inventor
정순용
Original Assignee
정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순용 filed Critical 정순용
Priority to KR1020050091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9771B1/ko
Publication of KR20070036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6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02D2200/146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 현장에서 흙막이 등에 널리 이용되는 앵커 공법에 있어서, 공사 종료 후 타인의 대지에 설치된 앵커의 강선을 제거할 수 있는 앵커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거형 앵커는 간단한 조작 후 강선을 뽑아내게 되면 강선을 물고 있는 웨지가 풀리면서 강선에서 멀어지는 구조를 가진다.
앵커, 제거, 강선, 웨지

Description

제거형 앵커{Removable anchor}
도 1 : 본 발명의 제거형 앵커의 구조 개요(첫 번째 경우)
도 2 : 웨지 및 웨지셋 상세
도 3 : 제거형 앵커의 작동 과정(첫 번째 경우)
도 4 : 다양한 후크와 걸림턱의 예시
도 5 : 변형된 제거형 앵커의 구조(첫 번째 경우)
도 6 : 본 발명의 제거형 앵커의 구조 개요(두 번째 경우)
도 7 : 제거형 앵커의 작동 과정(두 번째 경우)
본 발명은 건설 현장에서 흙막이 등에 널리 이용되는 앵커 공법에 있어서, 공사 종료 후 타인의 대지에 설치된 앵커의 강선을 제거할 수 있는 앵커체에 관한 것이다.
국내 도심지 공사에서는 십수 년 전부터 강선의 제거가 가능한 제거형 앵커 를 빈번하게 이용하고 있으며, 몇 가지 형태의 성공적인 제거형 앵커가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초창기에 개발된 제거형 앵커는 제거를 위한 추가적인 강선이 필요한 형태가 대부분이며, 비교적 근래에 개발된 제거형 앵커는 제거를 위하여 나사결합이 필요하거나 작동이 복잡하여 이상적일 수 없는 실제 현장 상황에서 오작동이 빈번하여 제거율이 낮고 제작 및 조립 등이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어왔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제거형 앵커들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강선의 제거율을 높이고 제작 및 조립이 간편한 제거형 앵커의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간단한 조작 후 강선을 뽑아내게 되면 강선을 물고 있는 웨지가 풀리면서 강선에서 자동적으로 멀어지는 구조를 개발함으로써 오작동의 가능성을 줄였다.
본 발명에서는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하나의 범주에 속하는 두 가지 제거형 앵커의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 첫 번째는 상하로 개구되고 상단에 원뿔형의 웨지셋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본체(11)와, 강선캡(14)에서 멀어지면 강선에서도 멀어지게 구성된 가이드홈(20)을 가지는 2개 이상의 개별 웨지(15a, 15b)로 구성된 웨지셋과, 강선의 끝을 끼울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고 웨지(15)가 강선캡(14)에서 멀어질 때 강선에서 멀어지게 유도하는 가이드(19)를 가지며 걸림턱(17)에 걸릴 수 있는 후크(16)를 가지는 강선캡(14)과, 별도의 부품으로 혹은 덮개(13)와 일체로 구성되며 강선캡(14)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게 설치되고 후크(16)가 걸릴 수 있는 걸림턱(17)과, 강선캡(14)과 걸림턱(17) 사이에 설치되어 강선캡(14)과 걸림턱(17)을 일정한 힘으로 밀어주는 나선형스프링(18)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공사 종료 후 강선을 외부에서 자르거나 외부의 웨지를 이완시켜 강선의 긴장력을 제거한 후 후크(16)가 걸림턱(17)에 걸리게 하고 외부에서 강선을 당기면 강선을 물고 있는 웨지셋이 강선과 함께 빠져나오면서 강선캡(14)의 가이드(19)와 개별 웨지(15a, 15b)의 가이드홈(20)의 상호작용에 의해 강선과 각각의 개별 웨지(15a, 15b)가 분리되어 강선을 제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첫 번째 형태의 제거형 앵커의 구조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거형 앵커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가)와 (나)는 서로 동일한 제거형 앵커이며, (가)는 하나의 부품인 걸림턱(17)을 별도의 부품으로 만들어 뚜껑(13) 안에 넣은 것이며 (나)는 걸림턱(17)을 뚜껑(13)과 일체로 만든 것으로 나머지 부품은 모두 동일하며 그 작용과 역할 역시 동일하다.
몸체(11)는 원뿔 형태의 개구부를 가지며, 개구부 속에는 웨지셋이 물고 있는 강선(12)이 위치하게 되며 강선(12)을 당길수록 웨지셋이 강선을 더욱 강하게 조여 고정시키게 된다. 강선(12)의 위쪽 끝에는 강선캡(14)을 씌우는데, 강선캡(14)의 아래쪽에는 개별 웨지를 바깥쪽으로 유도할 수 있는 가이드(19)를 설치하며 강선캡의 위쪽 끝에는 걸림턱(17)에 걸릴 수 있는 후크(16)를 설치한다.
도 2는 웨지셋을 나타낸 것으로 웨지셋은 2개, 3개 혹은 4개의 개별 웨지로 구성되며, 개별 웨지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웨지셋은 몸체(11)의 원뿔형 개구부 속에서 강선(11)을 물고 빠지지 않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의 (가)는 2개의 개별 웨지(15a, 15b)로 구성된 웨지셋을 나타내고 있으며, (나)는 3개의 개별 웨지로 구성된 웨지셋을, 그리고 (다)는 4개의 개별 웨지로 구성된 웨지셋을 나타내고 있다. 보통의 경우 3개의 개별 웨지로 구성된 웨지셋을 주로 이용하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2개의 개별 웨지로 구성된 웨지셋을 기준으로 도면을 작성하였다. 도 2의 (라)는 (가),(나),(다)의 AA, BB, CC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아래로 갈수록 바깥쪽으로 경사진 가이드홈(20)이 있고, 내부에는 강선(12)이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암나사 모양의 나사산(25)이 형성되어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제거형 앵커의 작동 원리는 도 3과 같다. 강선의 제거는 도 3의 (가)->(나)->(다)->(라)의 순서로 이루어지며, (가)는 강선이 긴장되어 있는 사용 상태이며 사용이 종료된 후 외부에서 강선을 절단하고 강선을 해머 등으로 타격하게 되면 (나)와 같이 '강선(12)+웨지셋+강선캡(14)'이 걸림턱(17) 쪽으로 이동하여 강선갭(14)의 후크(16)가 걸림턱(17)에 걸리게 된다. (다)는 (나)와 같은 상태에서 외부에서 강선을 당길 때의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강선캡(14)은 걸림턱(17)에 고정되어 이동하지 않고 강선(12)과 웨지셋 만이 이동하게 되며, 강선 캡(14)의 가이드(19)가 개별 웨지(15a, 15b)를 바깥쪽으로 유도하는 구조이므로 웨지셋은 강선(12)과 함께 조금 이동한 후 강선(12)에서 분리되고 (라)와 같이 강선(12)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강선의 제거는 강선캡(14)이 뚜껑(13) 쪽으로 이동하여 걸림턱(17)에 고정되고 강선캡(14)의 가이드(19)와 개별 웨지(15a, 15b)의 구조적인 특성 때문에 가능하며, 강선캡(14)이 걸림턱(17)에 고정된 상태에서 강선을 외부에서 당길 때 개별 웨지(15a, 15b)가 강선과 함께 이동하면 가이드(19)는 개별 웨지를 강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1과 도 3에서와 같이 가이드(19)와 개별 웨지(15a, 15b)의 가이드홈(20)은 유격을 두어 완전히 체결된 상태에서는 서로 간섭하지 않게 하고, 가이드(19)와 가이드홈(20)은 개별 웨지(15a, 15b)가 강선(1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가이드(19)에서 개별 웨지(15a, 15b)쪽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형태로 구성된다.
후크(16)와 걸림턱(17)은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결속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도 4의 (가),(나),(다),(라)는 각각 본 발명의 구조에 적합한 후크와 걸림턱의 구조를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의 후크와 걸림턱은 특정한 구조에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한 번의 결속으로 인장 하중에 의해 풀어지지 않는 어떠한 구조를 이용하여도 좋다.
도 5는 상기한 구조에서 나선형 스프링(18)이 지지하는 위치만 일부 변형된 것으로, 나선형 스프링(18)이 강선캡(14)이 아니라 개별 웨지(15a, 15b)를 직접 밀 어주는 구조이다. 이 경우에도 (가)와 같이 결속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강선(12)을 밀어서 후크(16)가 걸림턱(17)에 걸리게 되면 (나)와 같이 외부에서 강선(12)을 당길 때 웨지셋이 해체되면서 강선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형태의 제거형 앵커는 상하로 개구되고 상단에 원뿔형의 웨지 수용 공간을 갖는 본체(11), 강선캡(61)에서 멀어지면 강선(12)에서도 멀어지게 구성된 가이드홈(20)을 가지는 2개 이상의 웨지(15a, 15b)로 구성된 웨지셋,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어 금속 바늘(64)이 파고들 수 있으며 강선의 끝을 끼울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고 웨지(15a, 15b)가 강선캡(61)에서 멀어지면 강선에서 멀어지게 유도하는 가이드(62)를 가지는 강선캡(61), 덮개(66)와 일체로 구성되며 강선캡(61)의 위쪽 끝에 닿아있고 끝이 뾰족하여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강선캡(61)을 파고들 수 있는 바늘(64), 그리고 강선캡(61)과 웨지셋 사이에 설치되어 강선캡(61)과 웨지셋을 일정한 힘으로 밀어주는 나선형스프링(65)으로 구성된다. 강선(12)을 외부에서 자르고 타격하여 바늘(64)이 강선캡(61)을 파고들게 한 후 외부에서 강선을 당기면 강선을 물고 있는 웨지셋이 강선과 함께 빠져나오면서 강선캡(61)의 가이드(62)와 개별 웨지(15a, 15b)의 가이드홈(20)의 상호작용에 의해 강선과 각각의 개별 웨지(15a, 15b)가 분리되어 강선을 제거할 수 있다.
그 구조와 작동 원리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거형 앵커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몸체(11)는 원뿔형 태의 개구부를 가지며, 개구부 속에는 웨지셋이 물고 있는 강선(12)이 위치하게 되며 강선(12)을 당길수록 웨지셋이 강선을 더욱 강하게 조여 고정시키게 된다. 강선(12)의 위쪽 끝에는 플라스틱 재질의 강선캡(61)을 씌우는데, 강선캡(61)의 아래쪽에는 개별 웨지(15a, 15b)를 바깥쪽으로 유도할 수 있는 가이드(62)를 설치하며 강선캡의 위쪽 끝은 금속 재질의 바늘(64)과 닿게 하는데, 바늘(64)은 뚜껑(66)과 일체로 제작하는 것이 편리하다. 강선캡(61)의 위쪽 가운데는 홈(63)을 설치하여 바늘(64)과 맞닿을 때 바늘의 위치를 강선캡의 가운데로 고정시키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제거형 앵커의 작동 원리는 도 7과 같다. 강선의 제거는 도 7의 (가)->(나)->(다)->(라) 의 순서로 이루어지며, (가)는 강선(12)이 긴장되어 있는 사용 상태이며 사용이 종료된 후 외부에서 강선을 절단한 후 그 끝을 해머 등으로 타격하게 되면 (나)와 같이 '강선(12)+웨지셋+강선캡(61)'이 바늘(64) 쪽으로 이동하여 금속 재질의 바늘(64)이 플라스틱 재질의 강선캡(61)에 파고들어 '강선(12)+웨지셋+강선캡(61)'이 바늘(64)쪽으로 파고들면서 이동하게 되고 강선캡(61)은 바늘(64)에 고정된다. (다)는 (나)와 같은 상태에서 외부에서 강선을 당길 때의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강선캡(61)은 바늘(64)에 고정되어 이동하지 않고 강선(12)과 웨지셋 만이 이동하게 되며, 강선캡(61)의 가이드(62)가 개별 웨지(15a, 15b)를 바깥쪽으로 유도하는 구조이므로 웨지셋은 강선(12)과 함께 조금 이동한 후 강선(12)에서 분리되고 (라)와 같이 강선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나선형 스프링(65) 역시 강선(12)에서 분리되는 쪽으로 웨지셋을 밀어주게 되므로 웨 지셋이 강선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때의 금속 바늘(64)는 반드시 단면이 원형일 필요는 없으며, 단면이 삼각형 또는 사각형 등 다각형 일수도 있고 한자의 열십자(
Figure 112005511950651-pat00001
) 형태 등 끝이 뾰족하면서 플라스틱 재질의 강선캡(61)에 파고든 후 일정 이상의 마찰이 작용하여 빠지지 않을 정도면 어떠한 단면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강선의 제거는 강선캡(61)이 바늘(64)쪽으로 파고들면서 이동하여 바늘(64)에 의해 고정되고 강선캡(61)의 가이드(62)와 개별 웨지(15a, 15b)의 구조적인 특성 때문에 가능하며, 강선캡(61)이 바늘(64)에 고정된 상태에서 강선을 외부에서 당길 때 가이드(62)는 개별 웨지(15a, 15b)가 강선과 함께 이동하면 개별 웨지를 강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6과 도 7에서와 같이 가이드(62)와 개별 웨지(15a, 15b)의 가이드홈(20)은 유격을 두어 완전히 체결된 상태에서는 서로 간섭하지 않게 하고, 가이드(62)와 가이드홈(20)은 개별 웨지(15a, 15b)가 강선(1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가이드(62)에서 웨지(15a, 15b)쪽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상의 두 가지 형태의 제거형 앵커는 '강선캡+웨지+강선'을 이동시키고 '강선캡'을 고정시킨 후 '강선+웨지'를 당기면 강선캡의 '가이드'와 웨지의 '가이드홈'의 상호작용에 의해 개별 웨지가 강선에서 멀어지면서 분리되는 공통점이 있으며, 강선캡을 고정시키는 방법만이 다르게 구성되었다.
본 발명의 제거형 앵커를 이용함으로써 웨지가 분리되지 않아 강선의 제거에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강선의 제거율을 높일 수 있으며, 공사중 앵커를 이용하는 상태에서는 나선형 스프링이 웨지를 눌러주고 있으므로 강선이 빠질 위험이 없다.

Claims (4)

  1. 상하로 개구되고 상단에 원뿔형의 웨지 수용 공간을 갖는 본체(11); 강선캡(14)에서 멀어지면 강선에서도 멀어지게 구성된 가이드홈(20)을 가지는 2개 이상의 웨지(15a, 15b)로 구성된 웨지셋; 강선의 끝을 끼울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고 웨지(15a, 15b)가 강선캡(14)에서 멀어질 때 웨지(15a, 15b)가 강선에서 멀어지게 유도하는 가이드(19)를 가지며 걸림턱(17)에 걸릴 수 있는 후크(16)를 가지는 강선캡(14); 덮개(13)와 일체로 구성되며 강선캡(14)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게 설치되고 후크(16)가 걸릴 수 있는 걸림턱(17); 강선캡(14)과 걸림턱(17) 사이에 설치되어 강선캡(14)과 걸림턱(17)을 일정한 힘으로 밀어주는 나선형스프링(18)으로 구성되어,
    강선(12)을 외부에서 자르고; 후크(16)가 걸림턱(17)에 걸리게 한 후; 외부에서 강선을 당기면 강선을 물고 있는 웨지셋이 강선과 함께 빠져나오면서 강선캡(14)의 가이드(19)와 개별 웨지(15a, 15b)의 가이드홈(20)의 상호작용에 의해 강선과 각각의 개별 웨지(15a, 15b)가 분리됨으로써,
    강선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형 앵커
  2. 상하로 개구되고 상단에 원뿔형의 웨지 수용 공간을 갖는 본체(11); 강선캡(14)에서 멀어지면 강선에서도 멀어지게 구성된 가이드홈(20)을 가지는 2개 이상의 웨지(15a, 15b)로 구성된 웨지셋; 강선의 끝을 끼울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고 웨지(15a, 15b)가 강선캡(14)에서 멀어질 때 웨지(15a, 15b)가 강선에서 멀어지게 유도하는 가이드(19)를 가지며 걸림턱(17)에 걸릴 수 있는 후크(16)를 가지는 강선캡(14); 덮개(13)와 일체로 구성되며 강선캡(14)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게 설치되고 후크(16)가 걸릴 수 있는 걸림턱(17); 강선캡(14)과 개별 웨지(15a, 15b) 사이에 설치되어 강선캡(14)과 개별 웨지(15a, 15b)를 일정한 힘으로 밀어주는 나선형스프링(18)으로 구성되어,
    강선(12)을 외부에서 자르고; 후크(16)가 걸림턱(17)에 걸리게 한 후; 외부에서 강선을 당기면 강선을 물고 있는 웨지셋이 강선과 함께 빠져나오면서 강선캡(14)의 가이드(19)와 개별 웨지(15a, 15b)의 가이드홈(20)의 상호작용에 의해 강선과 각각의 개별 웨지(15a, 15b)가 분리됨으로써,
    강선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형 앵커
  3. 상하로 개구되고 상단에 원뿔형의 웨지 수용 공간을 갖는 본체(11); 강선캡(61)에서 멀어지면 강선에서도 멀어지게 구성된 가이드홈(20)을 가지는 2개 이상의 개별 웨지(15a, 15b)로 구성된 웨지셋;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어 금속 바늘(64)이 파고들 수 있으며 강선(12)의 끝을 끼울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고 개별 웨지(15a, 15b)가 강선캡(61)에서 멀어질 때 개별 웨지(15a, 15b)가 강선에서 멀어지게 유도하는 가이드(62)를 가지는 강선캡(61); 덮개(66)와 일체로 구성되며 강선캡(61)의 위쪽 끝에 닿아있고 끝이 뾰족하여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강선캡(61)에 파고들 수 있는 바늘(64); 강선캡(61)과 웨지셋 사이에 설치되어 강선캡(61)과 웨지셋을 일정한 힘으로 밀어주는 나선형스프링(65)으로 구성되어,
    강선(12)을 외부에서 자르고; 바늘(64)이 강선캡(61)에 파고들게 한 후; 외부에서 강선을 당기면 강선을 물고 있는 웨지셋이 강선과 함께 빠져나오면서 강선캡(61)의 가이드(62)와 개별 웨지(15a, 15b)의 가이드홈(20)의 상호작용에 의해 강선과 각각의 개별 웨지(15a, 15b)가 분리됨으로써,
    강선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형 앵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웨지의 두꺼운 쪽의 상부에서 시작하여 웨지의 바깥쪽 측면까지 개구된 가이드홈(20)을 가지는 2개 이상의 개별 웨지(15a, 15b)로 구성된 웨지셋; 개별 웨지 의 가이드홈(20)의 내부에 설치되고 웨지가 강선이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개별 웨지(15a, 15b)를 강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가이드로 구성되어,
    강선을 외부에서 당길 때 웨지셋이 함께 이동하면 가이드와 가이드홈(20)의 상호작용에 의해 개별 웨지가 강선에서 풀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지셋과 가이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형 앵커
KR1020050091856A 2005-09-30 2005-09-30 제거형 앵커 KR100719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856A KR100719771B1 (ko) 2005-09-30 2005-09-30 제거형 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856A KR100719771B1 (ko) 2005-09-30 2005-09-30 제거형 앵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6873A KR20070036873A (ko) 2007-04-04
KR100719771B1 true KR100719771B1 (ko) 2007-05-21

Family

ID=38158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1856A KR100719771B1 (ko) 2005-09-30 2005-09-30 제거형 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97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432B1 (ko) 2014-12-26 2015-08-13 주식회사꾸밈알앤디 건축벽체에 실을 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131742A (ko) * 2015-05-08 2016-11-16 (주)지오알앤디 중앙분리부가 구비된 앵커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474Y1 (ko) 2001-05-25 2001-10-29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정착체
KR20020027443A (ko) * 2002-03-14 2002-04-13 신종덕 앵커공법용 인장재 해체장치
KR200340956Y1 (ko) 2003-10-27 2004-02-05 김성우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474Y1 (ko) 2001-05-25 2001-10-29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정착체
KR20020027443A (ko) * 2002-03-14 2002-04-13 신종덕 앵커공법용 인장재 해체장치
KR200340956Y1 (ko) 2003-10-27 2004-02-05 김성우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432B1 (ko) 2014-12-26 2015-08-13 주식회사꾸밈알앤디 건축벽체에 실을 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131742A (ko) * 2015-05-08 2016-11-16 (주)지오알앤디 중앙분리부가 구비된 앵커체
KR101683451B1 (ko) * 2015-05-08 2016-12-07 (주)지오알앤디 중앙분리부가 구비된 앵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6873A (ko) 2007-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0088B1 (ko) 인장재제거용 앵커의 내부정착제
KR100949196B1 (ko) 강연선 재인장 장치
AU646992B2 (en) Concrete anchor
US4831798A (en) Ground anchoring stake
KR100719771B1 (ko) 제거형 앵커
AU2003203657B2 (en) Removable deep set drop-in anchor
US2237618A (en) Choker knob
US4819304A (en) Snap hook, especially for mountain climbers
KR100954613B1 (ko) 확장형 그라운드 앵커
KR101190027B1 (ko) 제거 및 재정착이 가능한 앵커
KR100816952B1 (ko) 제거식 앵커
KR200235095Y1 (ko)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정착체
US1888265A (en) Nonspreading staple
KR200456572Y1 (ko) 비대칭 구조의 도르래를 이용한 신발끈 고리
KR100929203B1 (ko) 그라우트 분사용 돌출부재를 구비한 지반보강장치
KR20050036832A (ko) 그라운드 앵커용 정착제의 인장재 해체장치
KR200242474Y1 (ko)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정착체
KR20200029859A (ko) 제거식 앵커
KR100447996B1 (ko) 앵커공법용 인장부재 해체방법
EP3984600A1 (en) Brake device
JPH064116Y2 (ja) 索条体係止装置
KR100922082B1 (ko) 인장재 제거용 그라운드 앵커
KR101101113B1 (ko) 제거형 앵커
KR101765536B1 (ko) 그라운드 앵커용 인장재 제거장치
CN106954618A (zh) 安全捕兽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